•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예 활동 특성이 직업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일본 도쿄지역 사례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도예 활동 특성이 직업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일본 도쿄지역 사례 중심으로"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9.06.10 심사기간_2019.07.01-14 게재확정일_2019.08.01

도예 활동 특성이 직업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일본 도쿄지역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Experience on Experience and Intention of Occupational Activities - Japanese case

김진미_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 최병건(교신저자)_서울과학기술대학교

Kim, Jin-Mi_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Choi, Byong Keon(Corresponding author)_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차례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2.1. 도예 활동의 개념 2.2. 도예 활동의 특성

3. 연구 모형과 조사 설계 3.1. 연구 모형의 설정 3.2. 연구 가설의 설정 3.3.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3.4. 자료의 분석 방법

4. 연구의 분석결과 4.1.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4.2.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4.3. 가설의 검정

4.4. 직업 활동 의도에 대한 집단별 인식차이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2)

도예 활동 특성이 직업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일본 도쿄지역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Experience on Experience and Intention of Occupational Activities - Japanese case

김진미_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 최병건(교신저자)_서울과학기술대학교

Kim, Jin-Mi_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Choi, Byong Keon(Corresponding author)_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은퇴자와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문화 예술 산업은 미래 일자리의 축소라는 위기감을 불러오고 있 는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인공지능으로도 대체 할 수 없는 지속가능한 직업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 예술 분야에서, 실제로 일자리 창출이 활성화 되고 있는 일본의 선진 사례를 고찰하였는데, 그 중에서 특히, 활성화된 도예 산업 분야를 벤치마킹함으로서 대한민국에서 새로운 직업 창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예활동 특성이 활동만족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도예활동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 중 끈기와 인내 요인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그리고 전문적 인 지식과 기술요인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예활동 만족이 직업활동 의도 에 일정 수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찰소통, 끈기인내, 지식기술, 집중몰입 등 모 두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독립변수인 도예활동 특성이 직업활동 의도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예활동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 중 성찰소통 요인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업활동 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집단은 10회 이상 도예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 이며, 6-9회 참여한 집단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가 도예활동 프로그램과 도예분야에 대한 직업활동 의도와의 연계성과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높지만, 본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서 는 확대된 조사 대상자와 조사지역, 그리고 다양한 영향 변수를 고려하여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job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for retirees and young adults in the republic of Korea who have entered an aging society. The cultural arts industry is a sustainable field of work that cannot be replaced by the AI(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threatens to shrink jobs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jobs in the republic of Korea by benchmarking the ceramic work industry, where job creation is actively being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work had some effect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patience and perseverance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among the detailed factors constituting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work, and that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Secondly, the satisfaction of ceramic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s of vocational activities. Third, the activity of ceramic work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nsisting of four elements: reflec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patience and patience, knowledge and skills, concentration and immersion, had a special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professional activity.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only the reflec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elements among the detailed elements constituting the activity of ceramic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ourth,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tention of vocational activity showed a frequent experience of the ceramic work, with the group participating in more than 10 times activities of ceramic work followed by 6-9 ti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association and influence between the program of ceramic work activity and the vocational activity intention in field of the ceramic work. However, for the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panded survey subject, survey area, and various influence variables.

중심어

도예활동 특성 도예활동 만족 도예직업 의도

ABSTRACT Keyword

Attributes of the Ceramic Works, Satisfaction in Ceramic works,

Job intention to Ceramic works

(3)

1.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배경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적 자원을 잘 활용하는 국가가 경쟁력을 가진 나라가 된다. 선진국의 대부분은 이러한 풍부한 문화적 자원을 활용해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 고 있으며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있다.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려는 노력은 지식, 아이디어, 디자인 등의 창조적 산출물 창출에 중점을 둔 공예문화산업과도 연결된다. 공예문화산업은 문화를 소재로 한 상품개발과 서비스를 행하는 산업이다. 이러한 공예문화산업은 경제적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융합 상품으로서 인공지능이 대체 할 수 없는 영역이 된다.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있는 현 시대의 직업들은 그렇게 얻은 수익으로 자기만족을 위해 펼치는 취미가 될 것이다. 또한 부가수입 활동의 하나가 될 수도 있다. 물론 부가수입이 본수입보다 크다면 그게 본수입이 될 것이다. 하지만 원래 직업은 수익을 떠나서 인간의 가치,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수단이다. 즉 직업이란 수익이 분리되고 명예와 자기 가치만을 위한 수단이다.

또한 취미로 건강한 삶을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여가활동을 증대시켜 주는 것은 삶의 질 향상 과 안정된 노후를 유도하는 촉진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은퇴자와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부합하면서 인공지능이 대체 할 수 없는 지속가능한 직업이 바로 공예문 화산업이 된다. 이러한 공예문화산업 분야에서의 일자리 창출에 시사점을 얻기 위해 본 연구가 시도 되었다. 연구는 도자공예 산업에 종사 하고자 하는 의도가 일반인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예체험 활동에서 비롯될 수 있음에 착안하였다. 도예체험이 요구하는 특성이 직업적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첫째, 도예활동 특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활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둘째, 도예활동을 통해 느끼는 활동만족은 도자공예산업의 직업 활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셋째, 도예체험의 특성이 직업활동 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도예활동의 개념

도예(陶藝)란 도자예술(陶瓷藝術)의 약자이다. 즉 도기(陶器)와 자기(磁器)를 통틀어 흙으로 만들어 구워진 작품 또는 그 작품을 만드는 행위이다. 즉, 도예는 주재료인 점토를 가지고 조형적으로 아름다운 형태들을 표현하여 성형한다. 그 위에 문양, 그림, 유약을 시유해서 소성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도예활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예가나 도예 전공자 등의 소수에서만 참여했던 이러한 도예활동이 일반인에게도 확산되고 있다. 즉 도예공방 및 대학의 평생교육원, 공공기관과 백화점의 문화센터 등에서 이러한 도예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개설하게 되었다. 따라서 일반인들도 손쉽게 도예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도예활 동이 일반인에게 보다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도예활동과 관련된 문화상품과 교육상품이 활 성화 되었다.

도예는 사람의 인체인 손과 뇌를 자극하여 심미적인 안정감을 주는 장점이 있다. 정서적, 신체 적으로 불안정한 사람들에게 치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촉각적이고 감각적인 측면 때문에 친숙함을 준다. 나아가 참여자들의 표현력 및 잠재력을 개발시켜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그 활용 도와 효과가 높다. 또한 흙이라는 재료의 특성은 풍부한 가소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성형시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약과 고온의 불의 효능이 보태어져 도예 작품 들이 새롭게 탄생되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하여 큰 성취감을 안겨줄 수 있는 것이다.(남정희, 2004)1).

그러나 도예활동은 많은 성형과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만 도예의 노하우 를 터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보자들은 오랜 인내심이 요구 된다. 이와 더불어 도예

1) 남정희, 「도예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조형능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현장특수교육연구보고서. 2004, p.1-73.

(4)

활동에서의 도자기 성형은 형태와 크기, 재료에 따라 성형방법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성형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제약이 따르게 된다. 즉 끊임없이 기술을 연마하여야만 보다 개성있고 독특한 작품을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흙과 불, 유약 등을 사용하는 도예활동은 내면의 생각과 감정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도예활동은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키며 표현에 대한 즐거움과 창의성을 길러준다. 또한 긍정적 자아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이영신, 이해균, 2008)2). 뿐만아니라 모든 일상을 탈피해 자신만의 시간을 갖고자 하는 개인의 욕구를 충족 시켜주며, 그것을 충족하는 과정에서 타인과의 교류는 새로운 사회 활동으 로서의 만족감과 정서적 안정감을 가져다 준다(송미림, 2013)3).

2.2. 도예활동의 특성

도예활동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내심을 가지고 도예기술과 도예노하우를 익혀 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르는 사람들과 접촉하며 배워야한다. 따라서 낯선 환경을 극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신체적인 체력이 있어야만 도예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정신적, 육체 적 인내심을 가지고 도예활동에 임해야 한다. 도예활동은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로서 도예의 이론과 각기 다른 많은 재료들의 사용방법과 특성을 알아야 한다. 이를 통해 수준 높은 도예작 품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성이 특히 필요한 분야이다. 그리고 도예활동에 있어 도자성 형과 기능은 개인의 노력을 통하여 전문가적 경지에 오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각별한 장인 정신이 요구되는 분야인 것이다. 한편 도예활동은 자기실현, 자기개발, 자기표현, 자기 재창조, 성취감, 자기 이미지 향상, 사회적 소속감, 신체적 향상 등의 보람을 갖기도 한다. 그리고 도예 활동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도예작품은 혼신의 힘을 들여서 어렵게 만든 작품이다. 따라서 사람 들은 그 어느 것보다도 소중하게 여기면서 자기분신처럼 여기는 경향을 갖게 된다. 이러한 도예활동을 통해 본인만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감성을 도예작품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출이 독창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윤영근, 2014)4).

분류

특성 특성 내용

자아

성찰 작품을 본인처럼 여기고 대하는 경향, 자신과 작품을 동일시, 자아성찰의 기회 전문

기술

도예의 이론과 재료에 대한 전문 지식, 도예를 제작하기 위한 각종 성형방법과 노하우 습득, 도예도구 사용과 각종장비의 사용법 터득

인내 낯선 환경과 새로운 도예분야에 적응하기 위한 끈기와 인내, 체력적, 정신적인 인내심

몰입 반복적 연습, 도예성형, 조각, 그림 넣기 등을 숙련될 때까지 몰입

<표 1> 도예활동의 특성

이상과 같이 도예활동은 인내심과 전문성 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기계 발과 성취감, 사회적 소속감 등에 보람을 느낀다. 자신이 만든 작품을 자신과 동일시하는 몰입 과 자아성찰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3. 연구모형과 조사설계 3.1. 연구모형 설정

본 연구에서는 도예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직업활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류하 여 도예활동 특성과 활동만족의 영역으로 유형화 했다. 즉 선행연구를 참조해 이론적 논의와 가정을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2) 이영신, 이해균, 「도예활동이 시각장애 초등학교의 자아개념, 사회성숙도 및 학교생활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시각장애연구」, 2008, p.1-22.

3) 송미림, 「한국 도예공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3, p.184-198.

4) 윤영근, 「도예활동이 진지한 여가로서의 몰입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

<그림 1> 연구의 모형

연구모형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는 도예활동의 특성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도예활동 특성이 활동만족을 매개해 직업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활동만족의 매개 없이 직업활동 의도에 직접적으로 어떠한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 고자 하였다.

3.2. 연구가설의 설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모형에 따라 도예활동의 특성, 활동만족, 직업활동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도예활동 특성은 활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활동만족은 직업활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도예활동 특성은 직업활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도예체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의 주제인 도예체험 특성이 체험만족과 직업활동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대상 자들의 주관적인 인식 및 태도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내용적 대상은 도예체험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평가요인으로 포함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참조하 여 도예활동에 있어 가장 핵심적이라고 볼 수 있는 특성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도예활동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아성찰, 타인과의 소통, 인내심, 끈기력,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등을 포함하였다. 물론 이러한 핵심요소도 도예활동의 여러 분야 및 연구의 목적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도예활동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인식평가를 분석하기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설문조사 방식은 일본(도쿄 23구, 이바라키현, 사이타마현) 지역에서 도예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은 2019년 01월부터 2월까지 총 200부를 배포하여 그 중 136부를 수거하였으며, 결측치 가 발생한 설문을 제거한 후 총 11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3.4. 자료의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거쳐 분석이 진행되었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 적 현황에 대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설문에 사용된 변수들인 도예 활동 특성, 활동만족, 직업활동 의도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헤 다중회귀분석5)을 실시하였고, 개인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석6)을 실시하였다.

5) 다중 회귀 분석은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통계적 방법에 의해 추정하는 회귀 분석의 일종이다. 회귀 분석에는 원인이 되는 독립 변수와 결과가 되는 종속 변수가 존재하는데, 이때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의 인과 관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6) 분산분석은 관측 자료가 몇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 경우 그룹 평균 간 차이를 그룹 내 변동에 비교하여 살펴보는 데이터 분석 방법

(6)

4. 연구의 분석결과 4.1.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빈도분석을 통한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집단별 특성 을 살펴보면, 먼저 유효표본 115명 중 남성 17명(15.9%), 여성 98명(84.1%)으로 여성의 비율이 다소 높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령에 있어서는 주로 중장년층인 40대(18명, 15.9%), 50대(44명, 38.6%), 60대(33명, 28.4%)에 집중되어 있다. 도예활동 횟수는 1회가 24명(20.5%), 2-3회가 35명(30.7%), 4-5회가 13명(11.4%), 10회 이상이 37명(31.8%) 등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4.2.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회전은 직각회전방식7)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가 되는 도예활동 특성 설문도구의 신뢰도 와 타당성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을 말한다.

7) 많은 자료나 변수를 보다 적은 수의 요인 또는 차원으로 축소하는 경우에 추출된 요인의 해석을 쉽게 하기 위한 회전법 중에서 요 인 간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회전방법을 말한다. 직각회전에는 동일요인 내에서 변수들의 요인부하량 벡터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Varimax 방법, 동일변수 내에서 요인 간의 요인부하량 분산을 최대화하는 Quartimax 방법과 이 둘의 방법을 혼합한 Equamax 방법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분 빈도 %

성별

남자 17 15.9

여자 98 84.1

합계 115 100.0

연령

10대 1 1.1

20대 8 6.8

30대 10 9.1

40대 18 15.9

50대 44 38.6

60대 33 28.4

합계 115 100.0

활동 참여횟수

1회 24 20.5

2-3회 35 30.7

4-5회 13 11.4

6-9회 7 5.7

10회이상 37 31.8

합계 115 100.0

<표 2>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 문항 요인

적재량

고유치

(Eigen Value) 분산설명력 신뢰도

(Cronbach ⍺)

성찰 소통

자율성 .814

4.12 34.4 .736

흥미 .631

자신이해 .560

책임감 .558

동일시 .541

타인이해 .454

<표 3> 도예활동특성의 신뢰도와 타당성

(7)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도예활동 특성변수를 구성하는 요인이 모두 4개의 요인으로 묶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분류 없이 도예활동 특성을 개별 항목 혹은 전체를 하나의 변수로 사용 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 연구의 요인 분석 결과 4개의 요인으로 구분이 되었다. 도출된 요인은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설문 항목을 참조하여 성찰과 소통, 끈기와 인내, 지식과 기술, 집중과 몰입 등으로 요인 명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찰과 소통의 고유치8)가 4.124이며, 분산설명 력이 34.386,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크론바하 알파계수9)는 .736, 각 항목의 요인적 재량10) 0.4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나머지 3개 요인도 모두 고유치 1이상, 신뢰도 0.6이상, 항목적재량 0.6이상을 보이고 있어 전체 요인이 타당성과 신뢰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활동만족의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요인 문항 요인

적재량

고유치 (Eigen Value)

분산 설명력

신뢰도 (Cronbach ⍺)

체험 만족

능력발휘 .821

2.52 63.2 .801

전반만족 .806

삶의가치 .805

성취감 .745

<표 4> 활동만족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결과

활동만족 변수의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으로 묶였으며, 고유치 2.528이며, 분산 설명력이 3.189,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크론바하 알파계수는 .801을 나타내고 각 항목의 요인 적 재량이 모두 0.7 이상을 보이고 있어 체험만족 요인이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직업활동의도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직업활동의도 변수의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으로 묶였으 며, 고유치 1.934, 분산설명력 64.476,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크론바하알파계수는 .720을 나타내고 각 항목의 요인적재량이 모두 0.5이상을 보이고 있어 직업활동의도 요인이 타당성과 신뢰도를 모두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8) 각각의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변수들의 분산의 총합으로 각 요인별로 모든 변수의 요인적재량을 제곱하여 더한 값이다. 즉 변수 의 정보(분산)가 어떤 요인에 의해 어느 정도 표현되는지를 나타내주는 비율이다. 먼저 추출된 요인의 고유값은 항상 다음에 추출 되는 요인의 고유값보다 크다고 본다. 요인분석에서 일반적으로 고유치가 1이상인 경우에 한해 하나의 요인으로 인정될 수 있다.

9) 설문 문항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계수로 설문 문항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척도를 말한다. 통상 계수는 0~1의 값을 갖는데, 값이 높을 수록 신뢰도가 높다고 본다. 보통 0.8~0.9의 값이면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보며, 0.6 이상이면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 각 변수와 요인간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말한다. 그러므로 각 변수들의 요인적재치가 자장 높은 요인에 속하게 된 다. 요인적재치가 어느 정도 커야 하는가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은 보통 0.3 이상이면 유의하다고 보지만 보수적인 기준은 0.4 이 상이다. 그리고 0.5이상인 경우는 높은 유의성을 가진 것으로 본다. 적재치의 유의성은 표본의 수, 변수의 수 및 요인의 수 등에 따라 변동된다. 즉 변수들과 요인 사이의 상관계수로서, 요인적재량의 제곱은 해당변수가 요인에 의하여 설명되는 분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인 문항 요인

적재량

고유치

(Eigen Value) 분산설명력 신뢰도

(Cronbach ⍺) 끈기

인내

어려움 극복 .862

1.44 12.1 .721

끝까지 참여 .776

지식 기술

전문적 지식 .826

1.14 9.6 .675

전문적 기술 .803

집중 몰입

감정 이입 .789

1.03 8.6 .644

자리 유지 .692

(8)

요인 문항 요인 적재량

고유치 (Eigen Value)

분산 설명력

신뢰도 (Cronbach ⍺)

직업 활동 의도

경제적 소득 .908

1.93 64.5 .720

직업적 도전 .887

전문성 제고 .568

<표 5> 직업활동의도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결과

4.3. 가설의 검정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가 서로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하였다. 도예활동 특성, 활동만족, 그리고 직업활동 의도 간의 인과관계의 검증을 위해 SPSS 23.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11)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1에서 도예활동특성은 활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도예활동 특성이 활동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종속

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

B 표준 오차 베타 확률

활동 만족

(상수) 3.223 .454 7.101 .000

성찰소통 .175 .131 .164 1.336 .185

끈기인내 .176 .083 .240 2.116* .037

지식기술 -.221 .090 -.276 -2.444* .017

집중몰입 .130 .117 .131 1.116 .268

모형 요약

R 수정R² SD F p

.403a .162 .122 .774 4.019* .005

<표 6> 도예활동 특성이 활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p<.05

성찰소통, 끈기인내, 지식기술, 집중몰입 등 모두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독립변수인 도예활동 특성과 활동만족과의 상관관계는 R=.403, 설명력 R²=16.2%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F=4.019(p<.05)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예활동 특성이 활동만족에 일정 수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예활동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별 로 활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끈기와 인내 요인(t=2.116, p<.05)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그리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요인(t=-2.444, p<.05)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도예활동 특성이 활동만족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도예활동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별로는 활동만족에 끈기와 인내 요인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그리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요인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도예활동이 갖고 있는 끈기와 인내를 요하는 특성은 활동만족에 도움을 주는 반면,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특성은 활동만족을 감소시 키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설 2에서 활동만족은 직업활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가설의 검 증을 위해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7>과 같다. 매개변수인 활동만족과 직업활동 의도와의 상관관계는 R=.422, 설명력 R²=17.4%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F=18.622(p<.05)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예활동 만족이 직업활동 의도에 일정 수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설명 될 수 있다.

11) 다중 회귀 분석은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통계적 방법에 의해 추정하는 회귀 분석의 일종이다. 회귀 분석에는 원인이 되는 독립 변수와 결과가 되는 종속 변수가 존재하는데, 이때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의 인과 관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9)

종속

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

B 표준 오차 베타 확률

직업 활동 의도

(상수) .651 .382 1.704 .092

활동만족 .467 .108 .422 4.315* .000

모형 요약

R 수정R² SD F p

.422a .178 .168 .835 18.622* .000

<표 7> 활동만족이 직업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p<.05

가설 3에서 도예활동특성은 직업활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도예활동 특성이 직업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8>과 같다.

종속

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

B 표준 오차 베타 확률

직업 활동 의도

(상수) 1.471 .519 2.833 .006

성찰소통 .345 .150 .293 2.308* .023

끈기,인내 .096 .095 .119 1.013 .314

지식기술 -.123 .103 -.138 -1.189 .238

집중몰입 -.025 .133 -.023 -.191 .849

모형 요약

R 수정R² SD F p

.329a .108 .065 .885 2.516* .047

<표 8> 도예활동 특성이 직업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찰소통, 끈기인내, 지식기술, 집중몰입 등 모두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독립변수인 도예활동 특성과 직업활동 의도와의 상관관계는 R=.329, 설명력 R²=10.8%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F=2.516(p<.05)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예활동특성이 직업활동의도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설명 될 수 있다. 도예활동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별로 직업활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성찰소통요인(t=2.308, p<.05)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머지 3개 요인은 요인별로 는 직업활동 의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찰소통, 끈기 인내, 지식기술, 집중몰입 등 모두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독립변수인 도예활동 특성이 직업활 동 의도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도예활동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별로는 성찰소 통요인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음을 나타낸다. 즉 도예활동을 통해 직업으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찾게 되는 것은 자아성찰과 함께 자아 및 타인과의 소통경험 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4.4. 직업활동 의도에 대한 집단별 인식차이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설정한 직업활동의도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집단별 인식차이 확인을 위해 t-test 및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소득 등에서는 유의미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도예활동프로그램 참여횟수 집단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예활동 프로그램 참여횟수 집단별 분석결과는 <표 9>와 같다.

(10)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F p

1회 24 1.89 .686 .162

2.061* .009

2-3회 35 2.12 .699 .135

4-5회 13 2.17 .774 .245

6-9회 7 2.53 .506 .226

10회 이상 37 2.60 1.205 .228

합계 115 2.25 .915 .098

<표 9> 도예 활동 참여 횟수별 직업활동 의도 인식수준

분석결과, 직업활동 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집단은 도예활동 10회 이상 집단(M=2.60)으로 나타났으며, 6-9회 집단(M=2.53)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은 직업활동의도를 갖 고 있는 집단은 1회 집단(M=1.89)으로 나타났다. 즉 도예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도예분야를 직업 혹은 경제활동의 하나로 선택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 로 설명될 수 있다.

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의 요약과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예활동 특성이 활동만족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예활동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별로 활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끈 기와 인내 요인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그리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요인이 유의한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즉 도예활동에 필요한 끈기와 인내를 요하는 특성은 활동만족에 도움을 주는 반면,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특성은 오히려 활동만족을 감소시키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예활동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 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보다는 도예활동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용이한 소재 중심의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도예활동 만족이 직업활동 의도에 일정 수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도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만족한 수준의 결과를 인식했을 때 직업활동으로 전환하고 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예산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해당 산업분야에의 직업활동 의도를 가진 인구를 확산하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많은 도예 활동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만족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성찰소통, 끈기인내, 지식기술, 집중몰입 등 모두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독립변수인 도예활동 특성이 직업활동 의도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예활동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별로는 성찰소통 요인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도예활동을 통해 직업으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찾게 되는 것은 자아성찰과 함께 자아 및 타인과의 공감과 관련된 소통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 서 도예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환경에 있어 자아 성찰이 보다 극대화 되고, 함께 체험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의 적극적인 소통이 가능한 내용으로의 전환을 통해 직업활동에 참여하고 자 하는 의도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직업활동 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집단 은 10회 이상 도예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며, 6-9회 참여한 집단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은 직업활동 의도를 갖고 있는 집단은 1회만 참여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즉 도예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도예분야를 직업 혹은 경제활동의 하나 로 선택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도예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활동 참가 횟수를 고려하여 초기 참여자는 보다 쉽게 도예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재미와 환경을 제공하고, 참여 횟수가 늘어날수록 전문성을 가미한 프로그램을 구성하 는 등의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도예활동 프로그램과 도예분야에 대한 직업활동 의도와의 연계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높다. 그러나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별로 연구의 조사 대상에 포함하고,

(11)

도예산업에 대한 직업활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독립변수 혹은 매개, 조절 변수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면 더욱 정교하고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 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변수와 확대된 조사대상자를 포함하는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석희, 『도예작업 활동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직업적 기능과 직업생활태도에 대하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한홍곤, 『도예기초실기』, 예경, 2006.

남정희, 「도예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조형능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현장 특수 교육 연구보고서, 2004.

김정옥, 「도예 활동이 노인의 우울정서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학술논문, 2007.

방성연, 「문화예술체험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도예체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송미림, 「한국 도예공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3.

김혜인, 「선수 학습이 도자기 체험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윤영근, 「도예활동이 진지한 여가로서의 몰입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이영신, 이해균, 「도예활동이 시각장애 초등학교의 자아개념, 사회성숙도 및 학교생활 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시각장애연구, 2008.

박자영, 「노인 도예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노인의 우울정서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대구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권은정, 「공유가치창출에 바탕을 둔 기업의 문화예술 마케팅 연구」, 신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박수아, 「일본 근대 도예의 현대로의 이행 과정 연구 : 도미모토 켄기치(富本憲吉)의 도예 관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참조

관련 문서

And, it also verified that there ar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 situational factors on th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ship and the performance

Among the sub-factors of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strategy recognition had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the grit of athletes, followed by

Firstly, it was discovered that hierarchical culture of sports organizational culture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while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First, it was found that some factors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design qua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qualities of relationship to users such

Among the sub-factors, confidence, The factors of setting, team harmony, image and will power were higher in the group with national representative

Performance shaping factors (PSFs) are factors that influence human performance in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1,2]. Typical examples of PSFs

Competence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human relationships and self-confidence also had the positive (+) influence. However, in attra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