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상적인 김치 섭취량의 차이가 건강한 성인의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일상적인 김치 섭취량의 차이가 건강한 성인의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원저]

일상적인 김치 섭취량의 차이가 건강한 성인의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민홍기, 김윤진, 양의진, 김영주, 최상한, 이상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요 약 -

연구배경 건강식품으로서의 김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김치섭취와

혈중 지질을 비롯한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부산의 일개 3차병원에서 종합검진 받은 사람들 중 설문지를 통하여 아침, 점심, 저녁 김치섭취량이 일정한 사람들 1,682명을 대상으로 김치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김치 섭취량은 음식물 모형물을 통해 ‘안 먹는다’, ‘조금 섭취’, ‘보통 섭취’ 및 ‘충분히 섭취’의 4개군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김치 섭취정도에 따른 4개 군 사이의 평균 혈중 지질 농도,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의 차이를 남녀별로 조사하였다. 일반화 선형분석의 개체 간 분석을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보정한 후 혈중 지질, 혈압, 공복 혈당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 영향 인자들 과 김치섭취정도가 혈압, 혈중 지질, 공복 혈당에 상호작용을 하여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남녀별 김치 섭취군 에 따른 이상지질혈증의 교차비를 조사하였다.

결 과 김치 섭취가 많을수록 평균 식이 열량섭취, 비만정도 및 음주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김치 섭취군에 따른 평균 혈중

지질 농도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식이 영양섭취량을 보정한 후에도 김치 섭취군에 따라 평균 혈중 지 질 농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김치 섭취군별 연령대, 비만정도 및 음주 정도의 차이도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 김치 섭취군에 따른 평균의 차이를 보였던 연령, 영양섭취량,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음주 상태를 보정하였을 때 김치섭취량은 남녀 모두에서 이상지질혈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 론 건강한 성인에서 일상적인 김치섭취량의 차이는 혈중 지질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249~255)

중심단어 김치, 혈중 지질, 혈압, 공복 혈당, 심혈관계 위험인자

11서 론

최근의 우리나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에너지 과잉과 지질 섭취량 증가로 비만증, 고혈압, 뇌혈관질환, 동맥경화증 등의 심혈관계 환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순환기계 질환으 로 인한 사망률이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1)

이를 예방하기 위 한 식이 조절 및 규칙적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 교정의 필요 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고 식이습관과 관련하여 김치와 같은 전통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교신저자 : 민 홍 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주 소 : 부산시 서구 아미동 부산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의국

∙전 화 : 051-242-8671

∙E-mail : fmhong@empal.com

∙접 수 일 : 2004년 9월 22일 ∙채 택 일 : 2004년 11월 3일

김치는 채소발효식품으로 배추, 갓, 무, 마늘, 생강, 파, 고 춧가루 및 젓갈 등을 기본 재료로 해서 만들며 그 외에도 다 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담그게 되며, 발효과정에 의해 숙성되 는 대표적인 전통식품으로 열량이 100그램당 32 kcal정도의 저열량 식품이며, 당과 지방질 함량이 낮고 비타민 무기질의 함량이 높아 식이섬유를 비롯한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2)

현대에는 단순한 부식의 차원을 넘어서 고지혈증, 당뇨병

과 같은 성인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서의 김

치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전의 여러 연구

에서 나타난 김치의 효능을 살펴보면 좋은 식이 섬유의 공급

원으로서 혈중지질 강하, 당뇨병 또는 변비예방의 효과

3-5)

대한 기술이 있으며, 최근에는 동맥경화예방효과

3,6)

, 항혈전효

7)

, 면역증진효과

8)

뿐 아니라, 항암 및 항돌연변이효과

9,10)

(2)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김치섭취의 인체 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향후 선 진국 형으로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따라 심혈관계 환자의 수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성 인의 일상적인 김치 섭취정도의 차이가 혈중 지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자 선정

2002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부산의 일개 대 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검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김치 섭취량을 조사하여 아침, 점심, 저녁 각각의 김치 섭취량이 일정한 사람들(2,031명)을 선별하였다. 이들 중 고혈압, 당뇨 병, 고지혈증으로 약물치료 받고 있는 환자, 비만치료제를 복 용중인 환자, 여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중인 여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저하증으로 진단되거나 치료중인 환자, 그리 고 뇌혈관 질환 및 허혈성 심질환, 천식, 악성종양 등 기타 심각한 신체질환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 325명을 제외한 1,682명(남자 922명, 여자 760명)이 최종 연구 대상자로 포함 되었다. 연구대상자의 김치섭취량은 음식모형물을 통해 범주 화하여 전문영양사가 직접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인구 학적 지표는 건강문진표를 활용하여 수집하였고, 모든 대상 자들은 병력조사와 혈압측정 및 신체계측, 폐기능검사, 흉부 방사선 촬영, 심전도 검사, 일반혈액검사, 소변검사, 간기능검 사, 신장기능검사, 공복혈당검사, 공복지질검사, 복부초음파검 사, 갑상선 기능 검사 등을 시행 받았다.

2. 김치섭취량과 영양평가 및 생활요인(음주, 흡연, 운동) 평가

김치 섭취는 아침, 점심, 저녁 세 끼 식사에 따른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한 끼의 식사시에 김치 섭취량이 1단위(70그램) 를 기준으로 김치모델을 수진자에게 보여준 후 70그램 1단위 만큼의 섭취는 ‘보통섭취’로 정의하였고, 이보다 많이 섭취할 때는 ‘충분히 섭취’, 적게 섭취할 때는 ‘조금 섭취’, 전혀 먹지 않을 때는 ‘안 먹는다’로 정의하였다. 4분류에 의해 아침, 점 심, 저녁의 각각의 김치 섭취량이 동일한 사람들만을 대상으 로 세 끼 모두 김치를 안 먹는 사람들, 조금 섭취하는 사람 들, 보통 섭취하는 사람들 및 충분히 섭취하는 사람들의 4군 으로 연구대상자들을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영양평가는 반정량적 식품섭취 빈도법의 하나인 간이조사법 설문지

11)

이용하여 각자 작성하도록 한 후 임상 영양사의 재확인 과정 을 거쳐 반정량적 식품섭취 빈도법에 의해 총열량, 지방, 당 질, 단백질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일일 평균 알코올 섭취량은 하루 30그램 미만 섭취군과 30그램 이상 섭취군으로 분류하 여 비교하였다. 흡연 상태는 비흡연자, 흡연자, 금연자로 구 분하였고 운동 상태는 주 3회 이상 운동하는 경우 규칙적 운 동군으로 분류하였다.

3. 비만도 분류

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을 비만정도에 따라 5 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체질량지수가 18.5 kg/m

2

미만인 경 우에는 저체중군으로, 18.5 kg/m

2

이상, 23 kg/m

2

미만인 경 우에는 정상군으로, 23 kg/m

2

이상, 25 kg/m

2

미만인 경우에 는 과체중군으로, 25 kg/m

2

이상, 30 kg/m

2

미만인 경우에는 경도 비만군으로, 30 kg/m

2

이상인 경우에는 고도 비만군으 로 분류하였다.

4. 신체계측

체중과 키는 킬로그램과 센티미터 단위로 각각 소수점 한 자리까지 측정하였으며, 혈압은 자동혈압기(BP-203RV II, Colin Corp., Aichi, Japan)

12)

를 사용하여 수축기혈압(systolic blood pressure)과 이완기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을 측 정하였고, 체질량지수는 체중(kg)/키(m)

2

로 계산하였다.

5. 혈액검사

혈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 롤), 공복혈당, 간기능검사 및 신기능 검사 등은 12시간 이상 공복 후 오전에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혈액 자동분석기(Hitachi 7600 chemical analyzer, Hitachi co., Ltd,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총콜레스테롤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enzymatric colorimetry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고, 중성지방은 lipase, GK, GPO, POD with glycerol blan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공복혈당은 HK, G6PD 및 UV법으로 측정하였고,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 소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는 IFCC without pyridoxal phosphate without sample blan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감마 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제는 Szasz modified method로 측정하였다. 크레아틴은 Jaffe, kinetic method로 측정하였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유리 T4, 총 T3 검사는 Automatic

(3)

Gamma counter(Wallac, 1470 WIZARD, DPC, Los Angeles, USA)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6. 통계분석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비교에서 김치섭취군에 따른 연령, 성별, 비만군, 음주량, 흡연상태, 규칙적 운동여부의 비 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의 비교는 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검정을 이용하였다. 김치섭취 군에 따른 일일 평균 총열량 섭취량,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 물 섭취량의 비교 및 혈압, 혈중 지질, 공복 혈당의 비교는 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정을 이용하였다. 일반화 선형모 델 분석의 개체간 분석을 이용하여 일일 평균 식이 영양섭취 량(총열량섭취,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 섭취량)을 보정한 후 김치 섭취 정도와 연령, 비만 및 음주량의 심혈관계 위험 인자(혈중 지질, 혈압, 공복혈당)에 대한 상호작용 여부를 조 사하였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ATP-III에 따른 이상지질혈증(총콜레스테롤 〉200 mg/dl, LDL-콜레스테 롤 〉130 mg/dl, HDL-콜레스테롤〈 40 mg/dl, 중성지방 〉150 mg/dl)에 대한 교차비를 구하였다. 유의성은 양측성으로 P값 이 0.05 미만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통계분석은 윈 도우용 SPSS version 10.0(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 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징

김치 섭취군에 따른 연령대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 김치를 안 먹는 군은 60세 이상이 34명(32.4%)으로 가장 많았고 조금 섭취군, 보통 섭취군, 충분히 섭취군에서는 40대가 각각 323명(34.8%), 226명(40.4%), 34명(38.2%)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체질량 지수에 따른 비만군별 분포도 각 김치 섭취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김치를 안 먹는 군과 조금 섭취군에서는 정상 체중군이 각각 47명(44.8%), 343명(37.0%)로 가장 많았으며 보통 섭취군과 충분히 섭취군에 서는 경도 비만군이 각각 207명(37.0%), 41명(46.1%)로 가장 많 았다. 일일 평균 30 g 기준의 음주여부에서도 각 김치 섭취군별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김치를 안 먹는 군에서 30 g 이상 음주군이 11.4%로 가장 낮은 반면 충분히 섭취군에서는 25.8%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흡연 상태와 규칙적 운동 여부에 서는 김치 섭취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Kimchi intake class

Total (N=1682) None

(N=105) Small (N=928)

Moderate (N=560)

Sufficient (N=89) Age(y)*

30-39 16(15.2) 128(13.8) 82(14.6) 14(15.7) 240(14.3) 40-49 27(25.7) 323(34.8) 226(40.4) 34(38.2) 610(36.3) 50-59 28(26.7) 294(31.7) 181(32.3) 30(33.7) 533(31.6) >60 34(32.4) 183(19.7) 71(12.7) 11(12.4) 299(17.8) Sex*

Man 28(26.7) 506(5 334(59.60 54(60.7) 922(54.8) Women 77(73.3) 422(45.5) 226(40.4) 35(39.3) 760(45.2) Obese class

Underweight 3( 2.8) 20( 2.2) 5( 0.9) 2( 2.2) 30( 1.8) Normal 47(44.8) 343(37.0) 172(30.7) 20(22.5) 582(34.6) Overweight 27(25.7) 259(27.8) 154(27.5) 24(27.0) 464(27.6) obese-1 26(24.8) 286(30.8) 207(37.0) 41(46.1) 560(33.3) obese-2 2( 1.9) 20( 2.2) 22( 3.9) 2( 2.2) 46( 2.7) BMI(kg/m2) 23.3±3.0 23.9±2.9 24.5±2.9 24.7±2.7 24.1±2.9 Waist(cm)§ 79.8±9.4 82.1±9.3 84.0±9.4 85.2±8.4 82.8±9.2 Alcohol intake

>30 g/day 12(11.4) 179(19.3) 134(23.9) 25(25.8) 350(26.1) <30 g/day 93(88.6) 749(80.7) 426(76.1) 64(74.2) 1332(73.9) Smoking

Current smoker 24(22.9) 231(24.9) 161(28.7) 23(25.8) 439(26.1) Ex-smoker 10( 9.5) 129(13.9) 77(13.8) 15(16.9) 231(13.7) Never 71(67.6) 568(61.2) 322(57.5) 51(57.3) 1012(60.2) Regular exercise

Yes 41(39.0) 301(32.4) 213(38.0) 31(34.8) 586(34.8) No 64(61.0) 627(67.6) 347(62.0) 58(65.2) 1096(65.2) Values of BMI and waist circumference are Mean±SD. The others are number(%)

* P<0.001, †P<0.05 by Chi-square test

P<0.05 between none and moderate: none and sufficient class.

P<0.005 between small and moderate class by ANOVA with Scheffe's post hoc test

§P<0.005 between none and moderate: none and sufficient class:

small with moderate class. P<0.05 between small and sufficient class by ANOVA with Scheffe's post hoc test

2. 김치 섭취군에 따른 식이 영양섭취량의 차이

남자의 경우 총 칼로리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은 각 김치

섭취군별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방 섭취량은 충분

히 섭취군이 김치를 안먹는 군 및 조금 섭취군에 비해 유의

하게 많았다. 탄수화물 섭취량은 김치를 안먹는 군과 조금

섭취군 사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나머지 군들 사이

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의 경우 총 칼로리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 및 탄수화물 섭취량은 보통 섭취군과

충분히 섭취군 사이를 제외한 나머지 군들에서는 모두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 지방 섭취량은 각 김치 섭취군별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김치 섭취정도가 증가할수록 식이 섭취량

(4)

도 증가하였다(표 2).

Table 2. Comparison of caloric intake of the study subjects

(Mean±SD) Daily intake Kimchi intake class

None Small Moderate Sufficient Male

Total energy*(kcal) 1804.4±397.7 2030.8±339.3 2163.5±378.3 2435.3±403.0 Protein*(gram) 67.4±16.1 77.5±16.8 82.0± 17.5 92.9±19.8 Fat(gram) 39.3±15.9* 45.1±13.7 46.3± 13.5 50.8±15.3* Carbohydrate*(gram) 295.3±85.9 328.5±60.6 354.6± 69.4 401.4±72.9 Female

Total energy(kcal) 1540.4±324.3* 1785.7±329.9* 1947.9±334.3* 2068.8±379.5 Protein(gram) 53.3±15.6* 62.3±14.4* 67.5± 14.9* 70.8±18.1 Fat(gram) 33.4±13.3 35.6±12.2 38.1± 13.8 38.7±15.7 Carbohydrate(gram) 256.3±57.4* 303.6±61.9* 333.4± 64.2* 359.0±66.7

*P<0.05 by ANOVA with Scheffe's post hoc test

3. 김치 섭취군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의 비교

남자의 경우 김치 섭취 정도가 증가할수록 평균 수축기 혈 압, 이완기 혈압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by simple linear regression, 표로 제시하지는 않음) 남녀 모두 김치 섭취군에 따른 평균 혈중 지질 농도, 혈압 및 공복혈당 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표 3).

Table 3. Comparison of Kimchi intak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an±SD)

Kimchi intake class

None Small Moderate Sufficient Male

Lipid profile(mg/dl)

Total cholesterol 196.7±22.3 200.5± 37.6 206.0±35.1 198.9±34.3 LDL-cholesterol 120.8±24.2 121.0± 34.8 126.2±32.8 118.9±35.5 HDL-cholesterol 51.7±13.6 49.7± 12.5 50.6±12.9 48.1±11.1 Triglyceride 120.9±60.4 148.8±170.9 145.8±84.2 159.7±87.5 Blood pressure(mmHg)

Systolic BP 121.1±18.3 121.3±18.4 124.7±18.0 125.0±18.5 Diastolic BP 74.6±11.7 75.6±11.2 77.6±11.2 78.4±11.8 Fasting glucose(mg/dl) 94.4±29.5 95.8±26.9 96.8±37.7 93.1±20.2 Female

Lipid profile(mg/dl)

Total cholesterol 199.4±37.6 203.5±36.9 201.1±36.2 210.6±45.8 LDL-cholesterol 123.0±32.7 126.2±32.9 125.8±32.4 133.0±35.7 HDL-cholesterol 54.8±13.7 55.1±13.7 52.9±12.4 54.9±12.1 Triglyceride 107.9±55.4 110.7±65.2 111.8±69.4 113.3±65.1 Blood pressure(mmHg)

Systolic BP 117.3±18.7 121.5±21.0 121.2±18.9 121.8±17.6 Diastolic BP 72.0±10.8 74.1±12.1 73.8±10.9 73.4±10.3 Fasting glucose(mg/dl) 88.1± 9.6 90.6±15.7 90.2±19.8 87.7± 9.3

4. 식이 영양섭취량 보정 후 김치 섭취정도와 연령 및 체질 량 지수의 혈중 지질 농도에 대한 상호작용 여부

총칼로리 섭취량, 단백질섭취량, 지방섭취량 및 탄수화물섭 취량을 보정한 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혈중 지질 농도, 공복 혈당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연령대별 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체질량 지수에 따른 비만군별 비교에서는 혈압, 혈중 지질, 공복 혈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루 30 g 기준의 음 주군별 비교에서는 LDL-콜레스테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연령대, 비만정도, 음주 정도는 모두 김치 섭취군별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로서 김치 섭취군별 혈압, 혈중 지 질 및 공복 혈당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화 선형모델을 이용하여 개체간 분석을 한 결과 김치 섭 취군에 따른 연령대 차이, 비만군 차이, 음주 정도의 차이는 혈중 지질, 혈압, 공복 혈당에 김치 섭취정도와 상호작용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4).

Table 4. Relationship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ith Kimchi intake class, age, obese class and alcohol intake after adjusting by total calorie, protein, fat, carbohydrate intake

Source Sys. BP Dia. BP T-Chol. LDL-C HDL-C TG Glucose K-cls 0.786 0.908 0.477 0.487 0.301 0.750 0.958 Age-cls 0.000* 0.000* 0.665 0.357 0.763 0.117 0.545 BMI-cls 0.000* 0.003* 0.002* 0.001* 0.000* 0.020* 0.007*

Alcohol 0.580 0.656 0.068 0.002* 0.171 0.444 0.579 K-cls*Age cls 0.223 0.287 0.675 0.721 0.917 0.462 0.997 K-cls*BMI cls 0.866 0.728 0.618 0.354 0.363 0.520 0.718 K-cls*Alcohol 0.583 0.419 0.516 0.888 0.468 0.159 0.901 K-cls*Age cls*BMI-cls 0.016* 0.043* 0.501 0.211 0.112 0.319 0.932 K-cls*Age cls*Alcohol 0.558 0.400 0.745 0.281 0.262 0.852 0.987 K-cls*BMI cls*Alcohol 0.122 0.195 0.401 0.448 0.980 0.000* 0.730 K-cls*Age cls*BMI-cls*Alcohol 0.312 0.353 0.923 0.134 0.467 0.020* 0.398

5. 김치 섭취군에 따른 이상지질혈증의 교차곱비

김치 섭취군에 따른 이상지질혈증(총콜레스테롤 〉200

mg/dl, LDL-콜레스테롤 〉130 mg/dl, HDL 콜레스테롤 <40

mg/dl, 중성지방 〉150 mg/dl)의 교차곱비는 표 5와 같다. 각

김치 섭취군에 따른 비교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있었던 연

령,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일일 총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지방(남자의 경우), 탄수화물 섭취량, 음주 정도를 보정하였을

때 김치 섭취량은 남녀 모두에서 이상지질혈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Table 5. Odds ratios (95% CI) of dyslipidemia according to Kimch intake class

Kimch intake TC ≥ 200 LDL ≥ 130 TG ≥ 150 HDL < 40 Male

None 1 1 1 1

Small 0.93(0.42-2.04) 1.02(0.44-2.33) 1.36(0.53-3.49) 0.50(0.20-1.23) Moderate 1.13(0.50-2.53) 1.25(0.53-2.93) 1.27(0.48-3.30) 0.45(0.17-1.14) Sufficient 0.93(0.35-2.47) 1.02(0.36-2.85) 1.37(0.45-4.18) 0.49(0.16-1.55) Female

None 1 1 1 1

Small 1.50(0.88-2.57) 0.89(0.52-1.53) 1.12(0.56-2.24) 1.02(0.46-2.26) Moderate 1.38(0.77-2.50) 0.82(0.45-1.49) 1.09(0.50-2.35) 1.12(0.47-2.68) Sufficient 1.74(0.71-4.25) 1.02(0.42-2.50) 1.94(0.69-5.47) 0.38(0.75-1.99) determined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ag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daily total energy intake, protein, fat(for male) and carbohydrate intake, and alcohol drinking status

고 찰

배추김치의 섭취가 지방질 대사 강하효과가 있다는 것은 동물실험을 통해 보고 된 바 있다. 흰쥐에 김치를 식이의 3%, 5% 그리고 10%수준으로 첨가한 뒤 6주간 사육하면서 지방질 대사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

13)

에 의하면 모든 김치섭 치군에서 간의 지방질 농도는 감소하였고, 고밀도 지단백 콜 레스테롤과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능은 증가하였으며 체중증 가량은 대조군과 김치섭취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 다. 또한 김치섭취군의 중성지질, 혈중 콜레스테롤, 인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인체에 대한 실험은 아직 미미한 단계이나 중년남성의 김치 섭취정도와 혈중 지질 농도의 차이에 대한 한 역학조사연구

6)

에 의하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과 김 치섭취량은 양의 상관관계(P=0.09)를 나타내었고, 음식의 기 호도에서 짠맛에 대한 선호도는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에 대해 양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 매운맛 선호도는 수축기 혈압과 유의한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매운 맛 선호도는 혈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와 음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한 연구

21)

에 의하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갓을 첨가한 배추김치를 분말화하여 6주 동안 보충한 경우 위약군에 비하 여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이 유의 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비만한 여중생을 대상 으로 김치 분말을 이용한 김치 보충제를 6주간 투여한 결과 김치 보충과 운동을 병행한 군이 운동 단독군 및 김치 보충

제 단독군에 비해 혈중 지질 상태의 개선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하였다.

22)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김치 섭취량에 따른 평 균 혈중 지질 농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김치 섭취량과 혈중 지질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도 없었다.

김치의 성분중 하나인 식이섬유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 인들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3-5)

, Vahouny

3)

의 연구에 의하면 식이섬유는 지질의 용해성에 영향을 주고,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림프절 흡수에도 관여하며 당과 인 슐린이 간과 말초에서의 지단백 대사에 미치는 이차적인 영 향을 통해 혈중 지질 감소에 상당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 고되었으며. 또한 특정한 식이섬유들은 심혈관계 질환에 장기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iramda 등

4)

의 연 구에서는 인슐린 치료를 받는 당뇨환자에서 고식이섬유 섭취 가 혈당강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인슐린 치료를 받는 당뇨환자들을 대상으로 10일 동안 같은 양의 칼로리, 탄수화물, 지방섭취를 하면서 하루 3 g 식이섬 유 섭취군과 20 g 식이섬유 섭취군을 비교한 결과 평균 혈당 이 각각 169.4±11.7 mg/dl, 120.8±10.1 mg/dl로 고식이섬유를 한 당뇨환자들에서 유의하게 혈당이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P<0.001).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에서 김치 섭취 량에 따른 비교군별 평균 혈당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송영옥

7)

등은 김치 및 김치재료의 피브린 분해활성에 대 해서 보고했다. 3, 5, 10%의 냉동건조김치를 6주간 쥐에게 투 여한 후 혈장의 피브린 분해 활성이 검사되었는데, 10%의 냉 동건조김치를 투여한 군에서 혈장의 피브린 분해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김치의 성분중 메탄올추출물을 투여 한 군에서 물추출물을 투여한 군에 비해서 피브린 분해활성 이 6배 높게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김치섭취가 조혈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면역세포 발달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8)

또 다른 김치의 효과로 항산화 효과

14,15,16)

, 피부세포독성 완화 효과

17,18)

도 보고되고 있다. 최홍식

16)

등의 연구에서는 김 치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보고하고 있는데, 김치의 항산화 작용에 기여하는 항산화 관련성분은 ascorbic acid, chlorophylls 및 phenolic compounds 등인 것으로 밝히고 있다.

항암효과의 경우 여러 논문들의 보고에서 배추김치의 재료 가 되는 배추, 젓갈, 소금 및 고춧가루의 안전성이 확인되었 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암 예방 효과가 보고 되고 있다.

9,10,19,20)

특히 잘 익은 배추김치가 생김치와 과숙한

김치에 비해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는

데 이는 적당히 익은 김치의 경우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C등 여러 영양소의 합성이 가장 많고, 발효과정 중 젖산균의

생성 등에 의한 효과로 여겨진다.

9,10,20)

(6)

이렇게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인 김치의 여러 가지 인체에 유익한 효능이 밝혀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김치섭취와 심혈관계 위험인자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김치 섭취군에 따른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 레스테롤, 중성지방, 평균 수축기,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의 차이가 없었으며 각 김치 섭취군별 평균 식이 열량섭취량, 연령, 체질량 지수, 음주 정도의 차이를 보정한 후에도 혈중 지질, 혈압, 공복 혈당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정량적인 김치 섭취량을 조 사하지 못한 점이다. 김치모델(1단위, 70 g)을 보여준 후 평균 적으로 하루 세끼 1단위에 해당되는 김치를 섭취하는 경우를

‘보통 섭취’로 정의하고 ‘안 먹는다, 조금섭취, 보통섭취, 충분 히 섭취’로 섭취군을 범주화하여 정확한 정량적인 김치 섭취 량의 조사가 이루어 지지 못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단면적 연구로서 김치 섭취정도와 혈중 지질 농도 사이의 인과관계 를 밝히기 어렵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김치는 가정과 지역마다 약간씩 다른 재료들이 들어가는데 복합적인 내용물들을 모두 고려해서 설문지를 만들기는 어렵고, 따라 서 이러한 각각의 성분들이 심혈관계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지 못한 점이다. 앞으로 다양한 김치성분을 고 려하여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김치 섭취정도가 혈중 지질을 비롯한 혈압, 공복 혈당과 같은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김치종류와 김치제조에 들어가는 재료가 다 양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김치섭취와 혈중 지질 농도와의 명확한 관련성을 결정짓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지만 건강한 성인에 있어 일상적인 김치 섭취량의 차이는 혈중 지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통계청. 2000년 사망원인통계연보. 2001.

2. 백희영, 문현경, 최영선, 안윤옥, 이홍규, 이승욱. 한국인의 식생활 과 질병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7(p.358).

3. Vahouny GV. Dietary fiber, lipid metabolism and atherosclerosis.

Fed. Proc. 1982;41(11):2801-6.

4. Miramda PM, Horwitz DL. High fiber diets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mellitus. Ann intern. Med. 1978;88(4):482-6.

5. 송정자. Dietary fiber의 영양학적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 연구소 논문집. 제 1집;1983.

6. 송영옥, 권명자, 전진호, 송영선. 김치 섭취수준이 중년 남성의 혈

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9;28(5):1144-50.

7. 송영옥, 김미정, 송영선.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 및 김치재료 의 피브린 분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8;27(4):633-8.

8. 김미정, 권명자, 송영옥, 이은경, 윤현주, 송영선.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가 혈액성상과 면역세포배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식품영양과학회지 1997;26(6):1208-14.

9. 박건영. 김치의 영양학적 평가와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한국식 품영양과학회지 1995;24(1):169-82.

10. 백경아. 김치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석사학위논문]. 부산:부산 대학교 대학원;1994.

11. 문수재, 이기열, 김숙영. 간이식 영양조사법을 적용한 중년 여성 의 영양실태. 연세논총 1980;17:203-218.

12. Asai Y, Ishikawa S, Kayaba K, Goto T, Nago N, Kario K, et al.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Japanese rural communities. Nippon Koshu Eisei Zasshi 2001;

48(10):827-36.

13. 권명자, 송영옥, 송영선. 흰쥐에서 김치식이가 조직과 분변의 지 질조성과 Apo단백 및 Thyrox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 영양과학회지 1997;26(3):507-513.

14. 송은승, 전영수, 최흥식. 갓김치의 발효과정 중 chlorophylls 및 carotnoids의 변화와 동획분의 항산화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7;26(4):563-8.

15. 이영옥, 박건영, 최흥식. 발효시간이 다른 김치의 우육 지방질에 대한 항산화성. 한국영양 식량학회지 1996;25(2):261-6.

16.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에서 김치재료의 항산화 효과. 한 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8;27(6):1189-96.

17. 류승희, 전영수, 문정원, 이영순, 문갑순. 김치 추출물의 활성산소 에 대한 피부세포 독성 완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7;

26(5):814-21.

18. 문갑순, 류승희, 전영수, 문정원, 이영순. 김치 주.부재료의 활성산 소에 대한 피부세포 독성 완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7;

26(6):998-1005.

19. 박건영, 김소희, 서명자. Salmonella assay system에서 고춧가루에 의한 Aflatoxin B1의 돌연변이 유발 저해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 지 1991;20(2):156-61.

20. 허영미. 배추김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석사학위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대학원;1996.

21. 최선혜, 김현주, 권명자, 백영호, 소영옥. 김치 보충제가 건강한 성 인의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1;

30(5):913-920.

22. 백영호, 곽정록, 김세종, 한상섭, 송영옥. 운동 및 김치 보충제 섭 취가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 품영양과학회지 2001;30(5):906-912.

(7)

[ Abstract ]

The Effects of Dietary Kimchi Intake on Plasma Iipid Concentration in Healthy Ddult

Hong-Gi Min, Yun-Jin Kim, Ai-Jin Yang, Young-Joo Kim, Sang-Han Choi, Sang-yeoup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ackground As eating habits in Korea have changed into western style,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disease have surged, and the rate of mor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increases each year. Because Kimchi, our traditional food, attracts people as a healthful food to prevent chronic diseases for modern people, the research intend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chi intake and plasma lipid and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682 people (male 922, female 760) with constant Kimchi intake each meal at an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2.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ne, small, moderate, sufficient- according to Kimchi intake degree classified through the food model. Differences in means of plasma lipid leve,l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fasting glucose level in four groups were tested using ANOVA with Sheffe's post hoc test. After adjusting by dietary caloric intak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associated with plasma lipid, blood pressure, and fasting glucose level and Kimchi intake degree were evaluated using Tests of Between Subjects Effects of GLM univariate ANOVA. Odds ratios of dyslipidemia according to Kimchi intake classes were evaluat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plasma lipid, fasting glucose level, and blood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Kimchi intake groups.

After adjusting by dietary caloric intake, there was no differences in plasma lipid, blood pressure and fasting glucose level among Kimchi intake groups and no interaction between Kimchi intake degree and other factor, such as age, body mass index, alcohol intake. After adjusting by age, dietary caloric intak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lcohol drinking state, Kimchi intake degrees did not affect dyslipidemia, based on ATP-Ⅲ.

Conclusions We suggest ordinary difference in Kimchi intake do not affect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plasma lipid, blood pressure and fasting glucose level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 ; 4 :249~255) Key words Kimchi, plasma lipid,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12

∙Address for correspondence : Hong-Gi Mi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T e l : 051-242-8671

∙E-mail : fmhong@empal.com

수치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Kimchi  intake  class
Table  2.  Comparison  of  caloric  intake  of  the  study  subjects
Table 5. Odds  ratios  (95%  CI)  of  dyslipidemia  according  to  Kimch  intake  class

참조

관련 문서

- The magnetic pressure and plasma pressure each produce positive (outward forces) near the outside of the plasma...

FBG: fasting blood glucose, TC: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e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including interaction with marriage, occupation level, and Year.. Methods : We used the Korea N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trol in Korean adult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Association of stress

period was prolonged unavoidably, (3) by explaining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to patients honestly, and subsequently performing

• Flow in the reservoir and central core of the tube: primary forces are pressure and gravity forces.. • Selective withdrawal: Colder water is withdrawn into the intake channel

In the control group, lifestyle-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blood glucose (p &lt;.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ify that USF2 interacts with BRCA1 in HeLa cells, and investigate changing interaction between.. BRCA1 and USF2 after treatment of ionizing radiation (IR), 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