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Study of Science Docents' Expertise through Situated Learning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Study of Science Docents' Expertise through Situated Learning"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20 April, 2015; Revised 27 April, 201 5; Accepted 28 April, 2015

*Corresponding author : Young-Shin Park, Chosun University, Pilmun- daero 319, Dong-gu, Gwangju, 501-759, Korea

Phone: +82-62-230-7379 E-mail: parkys@chosun.ac.kr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 2011-0014352.)”.

ⓒ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s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

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 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 rly cited.

ORIGINAL ARTICLE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 도슨트의 전문성 연구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The Study of Science Docents' Expertise through Situated Learning

Young-Shin Par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science docents developed their expertise in the context of situated learning where two experienced docents played roles of mentors. Two experienced docents as mentors and six participating docents as mentees interacted in the community to develop exhibition interpretation strategies to be more professional in interacting with visitors through the workshop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figure out how docents developed their expertise in exhibit interpretation,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data from docents through observation, artifacts, and interviews as well as surveys. The result of this study included that participating docents formed new perception about scientific inquiry as well as scientific literacy and they developed professional skill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reflecting of exhibition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of situated learning, where docents formed alliance one another. It is recognized that participating docents' passions to be professional in exhibition interpretation and two experienced docents' wills as mentors made dynamic interaction in pursuing the same aim of docents' expertise in exhibition interpretation.

Key words : docent, expertise, situated learning, exhibition interpretation, science

Ⅰ. 서 론

대표적인 비형식 기관으로 거론되는 과학관(자 연사 박물관이나 다른 유형의 과학박물관을 포함) 의 교육적인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모두가 동의하는 바이다. 이에 전시물이나 다른 교육프로 그램으로 관람객들을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나 해설사의 경우 그 역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Falk & Dierking, 1992; Park &

Lee, 2012). 미국의 경우 2011년에 파악된 교육계 자원봉사자는 16백만명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이 중에 박물관에서 일하는 자원봉사자는 1백만명 정도이며, 그중에서도 해설사라 불리는 도슨트의 경우는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자원봉사 자로서 이들때문에 관람객들이 다시 과학관을 찾 는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도슨트의 역할은 중 대하다고 할 수 있다(Good, 2013). 일반적으로 도

(2)

슨트들은 전시 관련 내용을 인지하고 있어야 함 은 물론, 그 외에도 관람객들과 상호작용을 자유 자재로 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기술이 능숙해야 하며, 열정적이어야 하고, 적응능력이 신속해야 하며, 여러 가지의 경험이나 선지식을 통합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지니고 있어야 한다. 또한 어떤 의미에서는 유머감각도 지녀야 하는데 이는 본인 이 학습자로서 또한 본인이 상호작용하는 또 다 른 학습자인 관람객들을 위해서라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연구는 과학관에서 관람객 을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나 해설사의 경우 그 전문성이 약하여 관람객들과 전시해설이 나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유자재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것이 도슨트들에게는 그리 쉽지만은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 Park과 Lee (2011)는 국내 의 도슨트 양성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지 않아 도슨트들의 전문성에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 하고, 과학관에서 도슨트 양성 자체를 위해서는 응시 자격에 차별화를 두어 교육을 담당하는 도 슨트 자원봉사자들에게는 차별화된 양성 프로그 램을 제공하여 이들의 전문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교육과 관 람객에 대한 이해를 성숙시킬 수 있도록 할 것이 며, 전시내용과 해설전략이 융합된 양성프로그램 이 한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제공이 되고 그 기관 소속의 학예사나 다른 교육담당자로부터 지속적 인 평가를 통해 역시 도슨트의 전문성이 도모된 다고 하였다. Lee와 Park (2013)은 한 도슨트의 전 문성에 대한 부분을 생애사적으로 연구한 결과 본인의 교육에 대한 열정과 자기주도적 학습 그 리고 경험이 많은 경력 도슨트와의 멘토링을 통 한 전문성 형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현장 경험 이 많은 선배 도슨트를 통해 멘토링 작업을 받는 것은 도슨트들에게 있어서 전문성에 이르는 지름 길이 될 수 있음을 이 연구에 참여한 김 도슨트 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Park과 Lee (2012)는 참관과 실습 위주의 도슨트 양성교육이야말로 국 내에서 활동하는 과학 도슨트들의 어려움을 어느 정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이라고 제안하였다.

즉, 눈높이에 맞춰서 전시해설을 하지 못하는 경 우처럼 현장 경험의 부족에서 오는 문제점은 경 력 도슨트와 초임 도슨트의 멘토-멘티의 관계를

통해 멘티에 해당하는 초임 도슨트는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때 이러한 도슨 트들의 전문성 함양은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 을 통해서 함양되는 것이 적절하다 (Lave &

Wenger, 1991; Grenier, 2009; 2011; Park & Lee, 2012).

Lave와 Wenge(1991)에 의하면 상황학습은 실질 적인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 지 식의 전이를 경험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인간 활동의 맥락인 공동체 속에서 지식의 전이 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자가 공동체 속에서 경 험하는 학습을 내면화하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 속에서 핵심 구성원으로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고 알려져 있다. 간단 히 말하면 지식이 적용되어야 하는 맥락에서 학 습이 일어나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동 체 안에서는 상호작용이 중요한데 교수자는 비계 구조에 의한 도우미 역할, 즉 촉진자의 역할을 제 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학습자의 상태를 Lave와 Wenge는 ‘합법적인 주변 적 참여’(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라고 기 술하였다. 즉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상황에서 지 식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추상적인 원리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 구체적이고 다양한 사례를 포함하여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 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Grenier (2005)에 의 하면 도슨트와 같은 해설사들이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은 적절한 양성교육 외에도 지속적 인 연수교육이 있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교육은 형식적인 이론 강의 외에도 구체적인 상황 속에 서 학습을 하게 되는, 즉 물리적, 감성적,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합일을 이루는 맥락 속에서 학습의 전이가 쉽게 일어난다고 진술하였다.

Good (2013)도 역시 그룹별로 도슨트와 관람객들 과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도슨트의 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 중에 대부 분의 해설전략은 직접적으로 관람객들 또는 다른 동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되는 것으로 파 악이 되었으며 이러한 해설전략은 도슨트들이 처 한 각각 다른 맥락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의 도슨트에 대한 연 구(Lee & Park, 2013; Park & Lee, 2011; 2012;

Park, Park, & Ryu, 2014) 에서도 도슨트의 전문성

(3)

Stage Procedure Content recruiting docents

for mentor and mentee

2 experienced docents (over 10 years) as a mentor and 6 docents for participants

2 mentors: facilitate participating docents to develop their expertise through workshops 6 mentees:

developing and i m p l e m e n t i n g workshops (3 times)

3 times of workshops offered by the researcher and 2 mentors (experienced docents). each workshop in every month

heory about science museum education(scientific literacy, scientific inquiry, inquiry module, POE model, etc)

Practice: Indirect experience for critical issues at museums, interact with experienced docents, get feedback from the researcher

Monitoring participants' change in perception and practice

workshop about theory and practice in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the context of situated learning of community (researcher, mentors, and mentees)

collect the materials from mentee docents (inquiry interpretation modules)

develop exhibit scenario (POE)

demonstrate exhibit interpretation with visitors discuss some issues among mentors and mentees in the community

Fig. 1. Research context

은 이론에 치우진 양성교육보다는 지속적으로 주 어지는 실습과 탐방에 의해서 함양된다고 보고되 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황학습으로 이루어지는 전문 성 연수를 도슨트들이 경험하였을 때 이를 전후 하여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 시 전시 및 교육해 설에 대한 도슨트들의 인식과 실천이 어떻게 바 뀌어 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 인은 무엇인지 맥락을 통한 도슨트들의 경험에 비추어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이해해보고자 한 다. 이 연구는 시간에 따른 도슨트들의 전문성이 어떻게 성장되는지를 보여주는 기초적 자료이기 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II.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이 연구에 참여하는 도 슨트들이 상황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본 연구자와 경력 도슨트 2명이 워크샵을 기획하고 이 워크샵 을 전후로 하여 6명의 도슨트들의 인식과 해설전 략 관련 실천이 어떻게 변하여 가는지를 조사하 였다. 워크샵 후 도슨트들의 해설전략에 대한 교 육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전시해설 투어에 참여

하였던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Fig.1).

1. 연구 참여자 선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황학습을 메인으로 하는 공동체 단위의 워크샵을 다음과 같은 참여자로 구성하였다. 멘토를 담당하는 참여 자는 본 연구자를 비롯하여 두 명의 경력 도슨트 이며 이들은 15년 가까이 도슨트 경력을 보유하 고 있다. 2명의 멘토 도슨트는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 및 과학탐구에 대한 이해를 체계적 으로 하고 있었으며 교육프로그램 개발 능력이나 해설능력이 전문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6명 의 멘티로 이 연구에 참여하는 도슨트들은 3-6년 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멘토인 2명의 경력 도 슨트는 본 연구자와 이전의 연구에서 2-3년 동안 연구계획을 같이 하였기에 멘토로 지정되었으며 이 연구에 처음 참여하는 6명의 멘티 도슨트의 경우에는 자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멘토의 경우 도슨트 김과 도슨트 이는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 학적 소양에 대해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관람객 들을 대상으로 하여 어떠한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이들과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지속적

(4)

과학관의 목적/도슨트의 정의 및 역할/과학적 소양이란 무엇인가/과학탐구란 무엇인가/과학탐구를 위한 10분짜리 활동지 개발/반영일지 작성하기/전시해설시나리오 작성하기/과학탐구해설 작성하기/사 물을 통한 문화읽기/도슨트의 멘토 및 멘티/멘토로서의 경험/멘티로서의 경험 공유/과학관 또는 박물 관에서의 예민한 사안 토론하기/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전시기획 및 전시물 해설/전문해설가 관찰/현 장해설 실시하기/현장해설 반성하기 및 수정하기

인 관심을 보여 온 상태이다. 특히 과학관에서의 STEAM 교육의 수행은 궁정적이지만 전문적인 연수수행이 받쳐주지 않는 한 도슨트나 해설사들 STEAM 교육을 과학관에서 관람객들을 대상 으로 하여 수행하는게 쉽지는 않다고 믿고 있었 다. 즉 이 연구에 참여하는 2명의 멘토는 다른 6 명의 멘티하고는 다르게 정확하게 과학적 소양, 과학탐구, 및 STEAM교육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주어지는 전문연수 또는 워크샵을 참여하여 전문 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들의 과학관련 배경 은 다양하였으나 모두 학사이상의 교육경력을 보 유하고 있었으며 최소한 2군데 이상에서 과학 도 슨트 또는 교육 프로그램자로 활동하고 있었다.

또한 멘토들은 10년 가까이 과학 도슨트로 활동 해 오면서 전국적으로 그 입지가 형성되어 있는 도슨트 전문가로 다른 멘티 도슨트들에게 신뢰감 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워크샵 개발 및 수행

하나의 공동체로 구성된 본 연구자, 2명의 멘토 경력 도슨트, 그리고 6명의 멘티 도슨트들은 이 연구의 목적에 대해서 미리 공지를 받았으며 멘 티의 경우 본인들이 소속되어 있는 기관에서 상 황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리 해설관련 스 케줄을 정하도록 하였다. 워크샵은 매달 1번씩 세 달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장소는 교육 강의실이 있는 대학이나 과학관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 가 개발한 워크샵은 기본적으로 과학관은 과학교 육의 목적을 실현해야 하는 장소이며 관람객들을 학습 대상으로 생각하였을 때 전시해설을 담당하 는 도슨트들은 기본적으로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 학적 소양,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지식의 전달, 과학실험기능 및 사고기능 함양,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 그리고 과학 과 기술 및 사회의 관계를 이해할 있는 관점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기준아래 관련 내용을 이

(5)

론 강의,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해설가이 드인 시나리오 및 탐구과정 해설안 작성 등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실질적인 해설상황에서 경 험하게 되는 이론과 실제의 괴리 등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좀 더 체계적인 해설전략을 학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세 달 동안 진행되어 온 각각의 워크샵 제목은 다음과 같다.

3. 도슨트 전문성 향상을 위한 워크샵 내용 첫째, 이론중심의 강의를 통해 우선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과 과학탐구란 무엇인지, 그리 고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질문의 종류는 무엇인 지, 해설전략으로 POE 전략은 무엇인지 등을 새 롭게 학습하였다. 이 외에도 도슨트로서 기본적으 로 작성해야 할 문서작업 즉 해설계획서, 반영일 지, 탐구, 해설시나리오 작성 등에 대한 행정능력 부터 해설능력까지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황학습이 주어졌다. 본 연구자와 멘토인 경력 도슨트가 제공하는 간접적인 상황을 경험하면서 과학전시해설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경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경력 도슨트의 간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예민한 사안이나 여러 가지 과학관이나 박물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 제에 대해서 토론을 하였다. 둘째, 멘티로 참여하 는 도슨트의 경우는 본인들이 실시하는 전시해설 을 선정하여 해설시나리오나 전시해설탐구를 작 성하게 되며, 멘토 및 본 연구자의 피드백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완성하게 된다. 각 개인당 참여 도슨트들이 개발한 해설시나리오 및 전시해설탐구는 최소한 1개씩이다. 셋째, 과학관 을 한 개 정하여 현장에서 준비한 전시해설을 하 게 되며 현장에서 역시 멘토 및 다른 동료와 본 연구자로부터 평가를 받아 스스로 반영일지를 작 성하고 앞으로 전시해설을 어떤 방향으로 수정할 것인지에 대해서 발표한다. 이 외에도 각자 본인 들이 활동하는 기관에서 2시간짜리 전시해설탐구 를 적용하여 반영일지를 작성하게 된다.

4. 자료수집

멘토 역할로 연구에 참여한 도슨트와 멘티로 이 연구에 참여하는 도슨트들의 도슨트 본인 및

해설전략, 그리고 과학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서 면담을 실시하였다. (1) 멘토의 자세한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서 2명의 경력 도슨 트가 해설시나리오 및 해설탐구 과정 안에 작성 하게 되는 피드백의 내용과 면담을 통하여 이들 이 생각하는 멘토의 역할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2) 멘티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해설전략의 인 식 및 실천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 각 멘티의 심 층면담은 그룹으로 워크샵 중에 행하여지거나 각 개인별로 해설시나리오 작성 및 해설, 멘토로부터 의 피드백 및 반영일지 작성, 해설시나리오의 수 정 및 완성의 단계에서 개발 자료를 수집하게 되 고 역시 면담이 이루어진다. (3) 이외에 해설탐구 를 작성한 경우는 멘토로부터 피드백을 받게 되 고 수정하여 2시간짜리로 교육프로그램을 투입하 게 되며 역시 사후 반영일지와 면담으로 각 멘티 의 인식과 실천의 변화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4) 멘티 도슨트들의 해설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해설에 참여하였던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자원에 의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5. 자료분석

멘토의 역할을 하게 된 2명의 도슨트와 본 연 구자가 공유한 자료 및 담화 속에서 멘토 역할을 코딩화하여 그 특징을 추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 타당성은 2명의 멘토 경력 도슨트와의 사후 면담에서 구축하였다. 이 외에 멘티의 참여 도슨 트들의 인식 형성 및 변화정도는 면담자료 및 직 접 관람객들과 상호작용하는 전시해설 또는 교육 프로그램을 관찰하고 전사한 자료에서 역시 그 특징을 찾아 추출하였으며 삼각 구도법에 의하여 자료 수집 및 해석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구축하 도록 하였다. 즉 참여 도슨트의 경우 이들의 과학 탐구 또는 과학적 소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형 성은 관찰로 이루어진 해설 장면과 이들이 개발 한 시나리오 및 탐구과정해설안에서도 새롭게 형 성되거나 변해가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이 러한 코딩을 통해 개발된 코딩의 카테고리화는 참여 도슨트 또는 멘토 도슨트들의 인터뷰를 통 해서 확인하였다.

(6)

기존의 도슨트 활동에서는 간단한 메모정도만 하는 것으로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시해설을 하거 나 탐구활동해설을 하기도 하였지만 제대로 학습목표를 작성해보지 않았기에 이러한 해설 전시해설안을 작성하는 능력을 학습함으로써 관람객을 대상으로 해설하는 데 있어서 자신감이 생겼다고 하였다.

위의 내용은 차 도슨트가 개발한 오징어를 주제로 하는 해부를 포함한 전시해설탐구의 학습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차 도슨트가 작성한 학습목표를 멘토 도슨트가 피드백을 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 연 구에 참여하는 도슨트들은 학습목표에 지식위주, 탐구기술 즉 실험과 사고기술의 두 개가 포함되며, 그 외에도 과학의 본성이나 과학자의 태도를 알 수 있는 태도에 대한 학습목표가 있음을 학습하게 되었다. 특히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여 POE를 적용하는 것은 관람객을 질문으로 유도하여 예상을 하 게 하여 참여를 권유함으로써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다고 도슨트는 반응하였다. 이러한 과학탐구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형성함으로써 참여 도슨트는 전시해설탐구에 이를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III. 연구결과 및 논의

멘토의 역할을 하는 2명의 경력 도슨트와 6명 의 참여자인 멘티 도슨트들이 형성하는 공동체 안에서 과연 멘티의 도슨트들은 어떻게 전문성을 함양하게 되는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상황학 습을 통한 이들의 도슨트의 전시해설 및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은 어떻게 변하는지를 3번의 워크샵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파악하도록 하였다.

상황학습을 통하여 멘티의 전문성 성장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상황학습의 종류대로 열거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1. 상황학습 통한 과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 형성

과학적 소양 및 과학탐구에 대한 새로운 인식 형성

3번의 걸친 워크샵을 통해서 참여자인 멘티 도 슨트들은 과학적 소양과 과학탐구에 대해 새롭게 개념을 형성하였다. 이 이론 강의는 거의 본 연구 자에 의해서 제공되었으며, 이들이 처음 워크샵을 접하기 전에는 과학적 소양이나 과학탐구에 대해 서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지만 세 달에 걸친 워크샵 동안에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형성하거나 변화를 준 것임을 알 수 있다. 두 명 의 멘토 도슨트는 이러한 참여 도슨트들이 과학

(7)

탐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토대로 탐구해설목표 를 지금의 현 과학교육에 맞게 지식, 탐구, 그리 고 태도의 관점에서 작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 는 역할을 하였다. 이 외에도 6명의 참여 도슨트 에게 전시물을 이용하거나 실험활동으로 주로 구 성된 탐구활동을 위해서는 과학교육에서 많이 사 용되고 있는 POE (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의 전략을 사용하도록 권장하였다, 이러한 전략은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게 될 때에 관람 객들의 참여를 높이고 질문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해설전략이기에 참여 도슨트들이 선호하 는 경향을 보였다.

관람객의 특성에 맞춰서 해설을 해야 해요. 어 린이가 있다면 만화위주로 애길 해도 되고, 노인 분들이 계시면 먹는 얘기로 끌고 가는 것도 그 분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적절한 것 같아요. [중 략] 또 마지막에 해양 쓰레기를 언급하고 싶은 것은 과학적 소양을 위해서 과학의 발달이 생명 을 위협하고 지구를 위협한다는 hearts-on에 대해 서 언급하고 싶었어요.[이 도슨트, 인터뷰에서]

과학적 개념에서의 시야를 넓혔다고 생각하며, 과학 분야의 도슨트로서 또는 교수자로서 갖춰야 할 소양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각각 관점의 차이가 다양하 여 매우 흥미로웠으며, 정리하는 방법도 다양하다 는 생각과 교수자의 입장에서 연수된 느낌이었습 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선 도슨트를 교수자로 인정 하지 않는 아쉬움이 다시금 안타까웠지요. 하지만 우리 연구에 있는 두 분의 멘토 도슨트를 보면서 자랑스럽기도 하였고, 이들에게서 받는 도움은 진 짜 많았습니다. [전 도슨트, 설문지에서]

마인드 온에서의 질문은 어떻게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 이 질문을 왜 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했 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어떠한 가치관을 가 지고 전달하고자 하는 목표를 정확히 알고 전달 해야지만 좋은 수업이 될 수 있다는 것과 수업을 진행시 이렇게 많은 것을 고려해야 하는지 몰랐 다. 얼마나 엉성하게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나 를 돌아보게 하는 시간이었다. 시나리오랑 탐구과 정안에 남겨진 멘토 도슨트들의 피드백이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었다.[차 도슨트, 설문지에서]

이러한 참여 도슨트의 과학탐구를 포함한 과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형성 및 변화가 가능했 던 것은 단순한 본 연구자에 의한 이론 강의에 의해서만 가능했던 것이 아닌 두 명의 멘토 도슨 트가 참여 도슨트의 과학탐구를 포함한 과학적 소양의 새로운 이해를 제대로 다양한 해설 맥락 에서 적용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상황학습을 형 성하여 도움을 줬기에 가능했다고 판단된다(Falk

& Dierking, 1992; Good, 2013; Grenier, 2011; Lee

& Park, 2013; Park & Lee, 2011). 참여 도슨트는 작성한 탐구이나 시나리오에 대해서 온라인으로 또는 워크샵을 통한 오프라인으로 해서 수시로 조언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요구를 하였으며 이러한 부분에 멘토 도슨트나 본 연구자는 상응 하는 조언과 평가로 이들의 새로운 인식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2.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해설 실천 및 반성을 통한 해설전략 전문화

이 상황학습에서는 참여 도슨트가 직접 작성한 시나리오 또는 개발한 전시해설탐구를 토대로 직 접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여 전시해설을 하거나 탐구활동을 관람객들과 함께 수행한 후 역시 반 영일지를 통해서 본인들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평가를 함으로써 도슨트 활동을 계획, 실천 그리 고 반성을 함으로써 그 전문성을 함양하는 경우 라 할 수 있겠다. 이 연구에 참여한 도슨트의 경 우는 해설 이후에 반영일지를 사용하도록 권유받 았다. 매번 전시해설이 교육해설을 한 다음에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해설활동의 구성내용에 대 해서 기술하고, 이때 관람객의 반응을 중심으로 하여 인상적이었거나 건의할 부분에 대해서 반영 하는 것이다. 반영일지 외에도 해설시나리오를 작 성하게 하고 이를 토대로 멘토 도슨트와 본 연구 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좀 더 관람객들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시나리오로 수정을 하기도 하 였다.

우선 시나리오 작성은 6명의 참여 도슨트에게 각자 본인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전시를 이용 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멘토

(8)

워크샵 이전의 시나리오 작성

(박 도슨트의 경우) 워크샵 이후의 시나리오 작성

(이하생략) (이하생략)

이전의 시나리오는 백상어에 대해서 박제를 중심으로 하여 생물학적인 특징에 대해서 곧바로 해설 을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멘토와 본 연구자의 피드백을 받은 후 워크샵을 통해서 형성한 새로운 인식아래 많은 질문으로 시나리오가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시각적인 자료를 사용하 여 관람객들이 관찰을 하고 대답할 수 있도록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 어와 관련된 관람객들의 경험담을 이끌어 냄으로써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도록 하였다. 심화단계 는 내용전달에서 벗어나 관람객들이 과학과 사회 또는 과학과 기술에 대한 그 관계를 생각해보는 기 회를 갖게 하거나 박 도슨트의 경우 상어를 많이 잡아 나타나게 되는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서 고민해 보도록 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관람객들의 의견을 물어보고 생명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시 나리오를 마치고 있다 (시나리오 작성 관점 변화)

(9)

경력 도슨트와 본 연구자가 평가를 하여 좀 더 관람객들과 친근감 있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 록 해설 멘트를 바꾸도록 하였다. 특히 관람객들 의 실질적인 경험위주로 스토리를 끌고 가도록 하였으며, 전시해설 시작 전에는 동기부여를 위하 여 해설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서 시각적인 자 료나 경험담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도록 지도하였다. 이 외에도 시나리오의 마지막에서는 단순한 내용의 심화가 아닌 관람객 들이 해설을 들은 후에는 마음으로 무언가를 느 끼면서 현장을 떠날 수 있도록 과학의 본성이나 과학자의 태도 또는 과학을 지속가능발전 관점으 로 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아 래의 시나리오는 박 도슨트가 상어에 관한 전시 해설을 위해 작성한 것이며 워크샵을 받으면서 멘토 도슨트의 평가를 토대로 좀 더 관람객들의 경험에 맞추어 이전의 설명위주의 시나리오에서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참여를 유도하 고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스토리를 포함 하도록 하였다. 전시해설 시나리오가 관람객들과 좀 더 상호작용적인 질문과 대답으로 구성되어 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1) 해설 시나리오 작성

해설 시나리오는 각 도슨트로부터 받은 1-2개의 시나리오를 말하는 것이다. 짧은 시간동안 전시물 을 이용해서 해설을 하는 것으로 평상시에 제일 자주하는 시나리오를 작성해서 워크샵을 전후로 그 변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아래는 박 도슨트의 ‘상어’에 대한 전시해설 내용을 시나리 오로 작성한 것이다. 먼저 본인이 작성해 온 시나 리오를 워크샵을 수행하는 동안 멘토 및 본 연구 자의 평가를 바탕으로 다시 작성하였다. 박 도슨 트는 전시해설을 하는 것처럼 워크샵을 통하여 동료들 앞에서 해설을 시도하였으며 본 연구자를 포함한 멘토 경력 도슨트와 다른 동료들의 피드 백을 통해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관람객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 토론하였다. 이러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하여 박 도슨트는 시나리오를 수정작업을 거쳐 좀 더 체계적인 것을 작성하게 된다. 새롭게 수정된 경우는 관람객의 참여를 유 도하고, 흥미를 돋울 수 있는 시각적 자료를 사용 하고, 과학의 본성이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함양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볼 수 있다.

스토리를 관람객들이 다 아는 것을 하는 것도 너무 지루하고 너무 생소한 것을 하는 것도 문제 있잖아요. 여하튼 저는 관람객들의 수준을 맞춰보 려고 애를 많이 써요. 꼬맹이들을 위해서 만화 주 제로 한번 만들어 볼 생각도 하게 되고, 아무래도 바다보다는 천체에 대해서 학생들의 경험이 많은 것이라고 생각이 들면 이 둘을 비교하면서 해양 을 설명하게 되었어요. 무엇보다도 관람객들의 경 험이 무엇인지 파악을 해야 해설을 쉽게 잘 할 수 있어요. [차 도슨트, 인터뷰에서]-관람객들의 경험을 중시하기 시작

저는 과학교육이라는 말에는 익숙하지만 과학 적 소양이 무엇인지 그리고 탐구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정의를 내릴 수 없었는데 이번 연수를 통 해서 그런 부분에 대해서 자신감이 생겼어요. 그 리고 질문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도 몰랐는데 이 제는 질문을 사용할 때 어떤 의도로 다른 질문의 형태를 사용하게 될지를 알게 되었고요 다양한 관점으로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것도 신기해요. 그 리고 무엇보다도 해설을 하는데 마음이 따듯한 관람객으로 변화시켜 본다는 게 가장 신선한 생 각이었어요. [박 도슨트, 인터뷰에서]-과학적 소양 에 대한 새로운 인식 형성

근데 딱 보면 전공자가 관람객으로 오는 경우 도 있어요. 그런 경우는 물어보지 않아도 느낌이 와요. 같은 해양생물 특히 어류에 대해서 해설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관람객들이 어시장에서 일하 시는 여자분들로 구성된 관람객이 있었고, 생물학 과인가 해양생물인가 전공자들이 교수님이랑 학 생들이 온 적이 있어요. 그런 경우는 제가 관람객 들의 성향을 잘 파악해서 해설의 방향을 잘 조절 해야 해요. 일단 그 분들은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니깐 동선을 제가 리드를 하면서 전공자들에 게는 제가 질문의 형태로 해설을 진행하게 되고 요, 어시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그들의 경험에 맞춰서 질문을 한 후에 제가 과학적 개념 을 갖다 연결을 해요. 모두 즐겁게 해설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게 가장 힘들지만 제일 재밌게 할 수 있어요.[김 도슨트, 인터뷰에서]-다양한 관

(10)

람객들의 눈 맞춤 전략 사용시작

해설시나리오는 나 또한 매 수업마다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고 수 업을 임하면 짜임새 있는 수업이 전개되고 도출 될 수 있는 질문과 문제들을 예상 가능하게 해 수업을 재미있게 해 주는 장점이 있었다. [차 도 슨트, 설문지에서]-시나리오를 작성하면서 예측 문제 예상하기 시작

즉 이러한 시나리오 작업은 실질적인 관람객들 과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하면 좀 더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 다른 경력 및 동료 도슨트와의 경험을 통해 좀 더 완성된 (이때 모든 도슨트들의 완성 이라는 의미는 다양한 연령대의 관람객들과 어떻 게 하면 공감대를 형성하여 상호작용을 할 수 있 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이때의 커뮤니티는 시범시연을 통해 본 연구자를 포함하여 멘토인 경력 도슨트 그리고 다양한 맥 락에서 도슨트활동을 하고 있는 동료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실질적인 맥락에서 이뤄지는 시연은 아니었지만 다양한 맥락에서 오는 가능한 전시해 설 전략을 공유한 피드백이 있었기에 전문화가 가능했다고 볼 수 있겠다. 조직적인 교실 상황과 는 달리 복잡한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박물관 이나 과학관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일방적인 해 설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적절한 연수를 통해 관 람객들과의 쌍방의 상호작용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은 도슨트들이 학습하게 되는 지식을 실천할 수 있도록 전이학습상황, 즉 상황학습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Cox-Petersen, Marsh, Kisiel, & Melber, 2003; Lee

& Park, 2013; Tran, 2007) (2) 5분 전시해설 시범

앞서 언급한 두세 가지의 해설 시나리오 중에 서 참여 도슨트는 한 개의 시나리오를 다른 참가 도슨트와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하여 해설을 하게 한다. 참여 도슨트는 본인들이 활동하는 과 학관이나 박물관에서 자주 실시하는 전시분야의 주제를 선정하여 본인이 활동하는 또는 임의의 과학관에서 5분 분량의 (실질적으로는 시간을 초 과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시간을 엄수하여 해설을

하기를 권유하였다. 그 이유는 지정된 시간에 해 설을 하는 것 또한 전문성의 하나로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해설을 공개하였다. 해설을 담당한 참 여 도슨트는 본 연구자를 비롯하여 멘토 도슨트 그리고 동료들로부터 해설관련 피드백을 받았으 며 이러한 피드백을 토대로 각자의 도슨트들은 본인들의 이론 및 실제에 대해서 반영(reflection) 의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반영의 시간을 통해 참여 도슨트는 형식적인 교수전략을 과학관 맥락에 맞도록 전이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Castle, 2006; Park et al., 2014; Tran, 2007).

이러한 전시해설은 워크샵이 진행되는 동안에 수정작업을 거쳐 내용위주의 해설에서 벗어나 관 람객들에게 과학에 대한 태도 또는 과학의 본성 을 경험하도록 해설내용과 방법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전문연수를 통해서 새롭게 학 습하게 되는 전략과 이론에 대해서 반영의 시간 을 거쳐 본인 스스로 다양한 맥락에 멘토 도슨트 나 본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을 더 해 학습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에서 관련 내용지식이 증가함은 물론 (Dover &

Rowe, 2010; Grenir, 2011, Lee & Park, 2013), 관 람객들과 상호작용하는 전략에 대해서 좀 더 전 문화가 이루어지며, 본인의 경험뿐만 아니라 관람 객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의 경험을 이 끌어 내어 해설을 연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령 층에 대한 해설전략의 적응력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아래의 두 멘토 도슨트로부터 전시해설 등을 할 때에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멘토로서 어떤 점을 감안하여 지도를 하였는지를 보여준다.

즉 내용의 전문화는 물론, 경험에 연계된 해설전 략,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유머나 재치 또는 열정 을 보여줘야 한다는 점 등은 도슨트의 전문성의 특징으로 열거한 내용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Grenier, 2005).

전시해설을 하는데 있어서는 중요한 것은 기본 적으로 도슨트로서의 복장이나 마이크를 챙기는 것도 있지만 해설 단계에서는 관람객에 적절한 테마를 선정하였는지, 테마에 부합하는 소재와 내 용을 선정하였는지, 해설의 흐름을 생각해서 해설 내용의 연관성, 정확성, 본인의 경험에 비추어 연

(11)

참여 도슨트는 각자 본인들이 가장 자신있는 하는 전시주제를 골라 한 과학관에서 5분짜리 전시해 설을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여 시연하였으며 동료 도슨트와 멘토 도슨트는 관람객이 되거나 다른 실질 적인 관람객들의 학습상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슨트들이 시연한 대부분의 전시해설은 내용위주와 흥미를 돋우는 관람객들의 수준에 맞는 경험담을 시작으로 하여 해설을 진행하였다. 특히 어린이 관 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시해설의 경우 어린이 키에 맞춰 도슨트들이 허리를 낮추거나 다리를 구부리 는 자세로 해설을 진행하였으며 어린이로만 구성된 그룹 또는 가족단위로 오는 그룹 등 다양한 관람 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전략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해설은 내용전달이 주를 이루었지만 식물의 경우 사회적으로 생물이 어떻게 보호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생물다양성 협약, 생물자원 이용 국제지 침, 그리고 외래식물의 도래 및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이외의 STS 관련 관점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었 다. 또한 행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경우 역시 행성의 특징에 대해서 언급함은 물론 명왕성이 더 이상 행성이 아님을 결정한 지식의 사회적 합의과정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전통과학관에서 볼 수 있는 선덕대왕신종에 담겨 있는 과학의 원리 (맥놀이 현상)를 이해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 해설에서 1200년 전에도 뛰어난 과학기술이 있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 왕 의 권위를 자랑하는 과학발달에 담겨있는 사회적 관점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12)

계하는지, 또한 진행 기술에 있어서 해설위치를 잘 선정하였는지, 위치별 시간도 고려하는지, 질 문에 대해 성실하게 답변을 하였는지, 또한 안전 사고나 돌발사고에 대해서 대처를 할 수 있는지, 테마를 강조하면서 요약을 잘하는지, 체험내용에 대해서 공유를 하는지 등을 체크해주도록 한다.

[김 도슨트의 멘토로서의 역할, 설문지에서]

전시해설을 하는데 있어서 준비사항 (마이크, 해설 장소 등)을 제대로 확인하고, 자기소개를 정 확하게 한 후에 전시관에 대해서 소개를 하도록 한다. 해설 방향에 대해서는 관람객의 관람목적을 파악한 후에 동의를 얻어 시작해야 불만이 없게 된다. 또한 주의 사항에 대해서도 먼저 언급을 해 야 하며, 소요시간을 먼저 공지하고 맞추도록 노 력해야 한다. 해설을 진행하는데 있어서는 전시물 옆으로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관람객 스스로 느끼면 생각 할 수 있는 시간을 줘야 하고, 내 지 식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며 관람객들 절대 무시 하는 언행은 삼가야 한다. 무엇을 가리킬 때에는 손가락으로 가리키지 않도록 하며 손바닥으로 가 리킨다, 항상 존대어를 사용하도록 하지만 지나친 존대어는 피하도록 한다. 대화식으로 질문 답이 가능하도록 유도할 것이며 관람객의 답변이 틀린 경우 무안하지 않도록 정정해주거나 유머 있고 재치 있게 넘어가도록 한다. 동선을 고려하여 관 람객보다 먼저 이동하도록 하고 다음 전시물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한다. 해설이 끝난 후에는 방 문해준 것에 대해서 인사를 꼭 하도록 하며 부차 적인 부대시설을 소개하도록 한다. [이 도슨트의 멘토로서의 역할, 설문지에서].

전시물에 붙어서 해설을 들으라고는 하지 않아 요. 아무래도 다른 멘토가 지적한 것처럼 전시물 을 잘 볼 수 있도록 듣는 위치가 중요한거 같아 요, 그래서 해설자인 나보다는 두 걸음 뒤로 물러 서서 해설을 들으라고 부탁을 해요.[강 도슨트, 인터뷰에서]

다른 분의 해설을 보면 설명을 잘하는데 마이 크를 사용해야 관람객들이 그 해설사를 보더라고 요. 만약 이어폰을 따로 주면 귀에 꽂고 다른 전 시물을 보는 듯 집중도가 떨어지더라고요. 그래서

멘토 김 도슨트가 말한 것처럼 그냥 마이크를 사 용하고 이어폰을 주는 것은 안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최 도슨트, 설문지에서]

(3) 전시해설탐구 및 반영일지 작성 및 적용 전시해설탐구란 각 도슨트들이 특정한 시간 안 에 실험이나 또는 전시해설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공하여 관람객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프로그램 이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전시해설에는 해설 개요, 대상, 소요시간, 장소 및 교과연계와 관련하 여 기본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학습목표에서는 워 크샵을 통해 학습하였던 과학적 소양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내용, 실험기능, 사고기능 그리 고 과학의 본성을 포함하여 과학에 대한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제시하게 되어 있다. 실험과정 에서는 관찰을 통해서 관람객들이 먼저 예상을 하고 실험을 한 후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설명을 하는 POE 학습모형을 기본으로 하여 탐색과정을 포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험과정 을 추가하기도 하였다. 이때 필요한 전시물이나 탐구활동지를 포함하기도 하였다. 활동 후에는 복 습 및 적용단계를 적용하고 사후평가를 통해 도 슨트들이 전시해설탐구과정이 성공적이었는지 그 렇지 않은지, 그렇다면 보완점은 무엇이어야 하는 지 등을 후기담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전시해설탐구 작성에 대해서 도슨트들은 긍정적 으로 반응하며 이를 작성하면서 관람객들의 반응 을 생각해 볼 기회가 있어 좀 더 융통성 있는 전 략을 고려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멘토와 본 연구자로부터 평가를 받아 수정작업을 하면서 내 용과 해설전략에 대해서 좀 더 학습하게 되며, 실 질적으로 관람객들에게 적용한 결과 본인들의 인 식 및 전략에 대한 반영과정이 일어나면서 본인 들이 좀 더 전문화되어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 다고 하였다 (Castle, 2006; Grenier, 2011; Iverson

& McPhee, 2008, Lee & Park, 2013). 이때 작성하 는 반영일지의 경우는 본인의 활동에 관람객들의 반응이 어떠하였는지를 기술하고 반성해보는 활 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다양한 관람객들의 반응을 이용하여 다음 전시해설에는 어떻게 수정 또는 추가할 것인지에 대해서 고민해보는 기회였다고 할 수 있겠다. 참여 도슨트는 이러한 반영일지를 통한 본인의 이해와 해설전략에 대한 반성의 시

(13)

간이 본인들이 전문가가 되는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해설을 하다보면 관람객들 중에 학생들은 중간 에 다 빠져버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초등 학생들에게는 어느 정도 흥미를 줄 수 있는 해설 이었지만 과제를 하러 온 중학생의 경우에는 나 의 해설이 그들의 요구목적에 맞지 않을 수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경우는 적절한 관람객수를 담당하게 되거나 아니면 다양한 연령의 관람객들 을 염두에 두어놓고 다른 해설내용을 준비하는 것 또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전 도슨트 반영일 지]

같은 전시내용이라도 욕심을 갖고 많은 패널을 짧은 시간에 설명하려는 것보다는 패널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고 있는 상태에서 관람객 수준에 따 라서 몇 개의 패널만 스토리가 되게 골라서 해설 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3 층의 패널 20개 중에서 학생들의 경우 베게너 관 련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얘길 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 일반인이라면 베게너가 어떻게 해서 대 륙이동설을 발견하게 되었는지 베게너 인물에 대 해서 얘기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 하게 되었다. 다양한 관람객들에게 같은 내용으로 해설을 하는 것만큼 바보 같은 짓은 없을 것 같 다.[차 도슨트 반영일지]

결과적으로 도슨트의 전문성을 위하여 개발한 전문연수 워크샵은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즉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을 달성하기 위해 비형식교육기관 과학관 활동하고 있는 교육 자고 할 수 있는 해설담당 도슨트는 과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형성하고, 관람객에 대한 이 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융통성 있게 전시해설의 전략을 다양한 전략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 었다. 특히 전시해설을 즉흥적으로 수행하기 보다 는 시나리오작성, 전시해설탐구과정, 그리고 반영 일지 작성을 통해서 기획, 수행 및 반성하는 등 전문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본인들의 열 정과 본인을 포함한 공동체 즉 본 연구자와 두 명의 스캐폴딩(scaffolding) 역할을 한 두 명의 경 력 도슨트, 그리고 다양한 관점을 공유할 수 있었

던 다른 동료 도슨트의 상호작용이 있는 상황학 습을 통해 전문화 과정을 시도하였기에 가능하였 다고 볼 수 있겠다 (Lave & Wenger, 1991). 이러 한 상황학습을 고려한 공동체 속에서 도슨트의 전문성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멘토들은 서로 신 뢰하는 것이 중요한 조건이며 또한 충분한 시간 이 주어져 상호작용이 빈번해야 전문성이 함양된 다고 하였다.

이번 멘토링을 통하여 사람을 잘 관리해야 한 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믿음을 줘야 하 며 신의를 지킬 때 멘토로서의 역량 발휘는 물론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요. 또한 멘티 를 잘 양성해야 멘토가 할 일을 다 한 것이라는 신념이 생겼습니다. 그러한 믿음을 주기 위해서는 내 스스로 전시해설에 대한 자신감이 있어서 멘 티 도슨트가 나를 잘 믿어주고 의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정도로 내 스스로 전문성이 있어야 된다 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고요. 보람과 행복과 즐 거움이 공존하여 상호간의 믿음과 하나 됨을 느 끼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멘토 김 도슨트]

같이 완성해 가는 뿌듯함이 있고 같이 발전하 고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 발견 하게 됩니다. 비슷한 고민을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을 보며 동지감도 느끼고 도슨트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자신을 좀 더 단련시키게 됩니다. 이러 한 모든 것이 서로간의 신뢰를 조장하고 이러한 공동체 속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더더구나 현장 에 강한 경력자들이 있기에 신참이나 전문성을 키우고자 하는 도슨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멘토 이 도슨트]

시간이 제일 문제입니다. 조금 더 시간이 있고 경제적 여건이 받쳐준다면 현장에서의 Tip 제공 은 물론 보완 작업이 가능할 텐데~ 백번의 문서 오감 보다는 직접 보고 느끼고 함께하는 것이 멘 토의 최선이라고 믿습니다. 00팀은 이제 궁금한 것들을 토로합니다. 그리고 사적 내용부터 본인 들의 수치라 여겼던 부족함까지 보여줍니다. 해 서, 좀 더 부응하여 드릴 것이 없는지 고민합니 다. 먼저 제게 있는 도록을 드리기로 했습니다.

우리는 전문적 자료만큼 고맙고 감사한 것이 없

(14)

는 사람들이거든요. 다행히 아직은 그들이 요구하 는 정도의 자료나 지식은 갖고 있습니다만 좀 더 멘토링이 이뤄지고 나면 제게 있는 전문적 자료 나 지식이 바닥나겠지요. [멘토 김 도슨트]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늘 공부를 해야 하는 부담이 있지만 도슨트의 스터디 모임을 통해 여 러 도슨트의 지식을 적절히 나눌 수 있는 장이 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끼는 수업이었다. 또 한 멘토와 멘티의 사이가 수직적인 관계가 아닌 수평적인 관계를 지향한다면 뜻을 같이하는 동지 가, 서로가 발전할 수 있는 친구가 될 수 있을 것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차 도슨트, 설문지]

IV. 결론 및 제언

도슨트는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접적으 로 상호작용을 통해 해설을 하는 사람들이다. 현 재 과학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교 육뿐만 아니라 학교 밖의 교육에 대해서도 교육 의 전문성을 확보되어야 하며 이런 의미에서 도 슨트가 어떻게 전문화과정을 경험하게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겠다. 도슨트의 해설에 대한 전문화과정을 기술 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워크샵을 통한 상황학습의 환경을 조성하여 두 명의 경력 도슨트는 멘토로, 6명의 참여 도슨트는 멘티로 그리고 본 연구자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실질적인 맥 락 속에서 참여 도슨트의 전문화과정을 알아보았 다.

첫째로 상황학습을 통하여 도슨트의 전문화가 이루어졌다. 참여 도슨트는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 학적 소양 및 과학탐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형 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전시시나리오 및 전시해설탐구 을 작성하는 기술을 익히게 되었고, 전시해설은 관람객들과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임을 감안 할 때에 경력 도슨트 및 본 연구자의 멘토 역할과 참여 도슨트의 열정은 이들의 전문성 함 양을 가능하게 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단순한 이 론 강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론의 학습이나 인 식의 변화는 실질적인 맥락 안에서 반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며 관람객들에 대한 이해도

이러한 다양한 맥락 속에서 높아졌다고 할 수 있 겠다. 이 연구에 참여하였던 도슨트들은 우선 본 인에 대해서 부족함을 느낌과 동시에 해설을 하 기 위한 자료들을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기술에서 부터 시나리오 및 탐구과정안을 작성하는 순간부 터 벌써 관람객들에 대한 이해를 시작하게 되었 다는 것, 또한 전시물을 통해 체계적인 전달방법 에 대해서도 고민을 해보고 준비된 전시해설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그만큼 전문 성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해설이라는 것 은 비형식교육 맥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 략이며 도슨트가 이 해설에 전문가가 되기 위해 서는 실질적인 전시해설을 할 수 있는 환경과 영 향을 서로 줄 수 있는 구성원이 상호작용이 가능 한 공동체를 토대로 상황학습이 제공되었을 때 도슨트의 전문화가 의미 있게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Good, 2013; Grenier, 2005; Lave &

Wenger, 1991; Park & Lee, 2012). 도슨트는 해설 대상인 과학내용과 개인적인 의미 있는 경험을 연계함으로써 관람객들을 해설에 참여할 수 있도 록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능숙한 전시해 설의 전략은 형식적인 양성과정이 아닌 공동체가 있고 그 안에서 멘토와 동료들과 실질적인 맥락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상황학습 속에서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는 도슨트의 열정적인 참여와 멘토와의 신 뢰는 전문성을 함양하는 상황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과학의 내용이나 과학교육에 대해서 제한 적인 이해를 하고 있던 참여 도슨트들은 이 연수 워크샵을 통해서 강한 참여의도를 보이고 열정을 보였을 때 전시해설에 대한 전문성의 척도가 될 수 있는 시나리오 및 탐구과정안을 작성하는 완 성도를 보여줌과 동시에 과학탐구 및 관람객들에 대한 이해도를 확장하는 등의 전문성을 보여주었 다. 실질적으로 멘토 도슨트들은 국내에서도 도슨 트로서 경력이 우수하여 다른 해설사나 도슨트에 게 신뢰를 받는 입장이었기에 참여 도슨트들이 신뢰하는 부분이 강하였으며, 특히 멘티인 참여 도슨트들은 본인들의 짧은 경력에도 불구하고 과 학적 소양 및 과학탐구에 대한 짧은 이해를 바탕 으로 하여 전시해설을 하는 것에 대해 이를 극복 하여 전문해설가로 되겠다는 강한 열정을 보여주

수치

Fig.  1. Research context

참조

관련 문서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As a result of deriving the problems of each stop through the purpose of the study, informability was satisfied with the essential condition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at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that students used, students showed that they mainly used strategy when they found meaning

Scientific literacy is also well illustrated in the goal of domestic and foreign science curricular and additionally it require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Situat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socio‐scientific issues as contexts for practice?. What Major “Socio-Scientific Topics” Should the Science Curriculum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