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Malodor through the Reproduction of Chemical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Malodor through the Reproduction of Chemicals"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화학물질의 재현을 통한 악취발생원인 규명

박상준1, 오영환2, 조보연2, 이재신2, 김의용1*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Malodor through the Reproduction of Chemicals

Sang Jun Park1, Young Hwan Oh2, Bo Yeon Jo2, Jae Shin Lee2, and Eui Yong Kim1*

접수: 2014년 9월 11일 / 게재승인: 2014년 10월 24일

© 2014 The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Abstract: It was confirmed that malodor connected with an air-conditioner in an automobile is caused by microbial vola- tile organic compounds (MVOCs) produced by microorgan- isms and through microorganisms coexisting with each other to form a biofilm on the evaporator surface. A bacterium, Me- thylobacterium aquaticum, can form a biofilm on the evapo- rator surface. The biofilm was composed of 45.79% C (Car- bon), 42.36% O (Oxygen), 1.85% Na (Sodium), 5.42% Al (Alu- minum), 1.39% P (Phosphorus), 0.74% Cl (Chlorine) and 2.45%

K (Potassium). This result matches the composition of the bio-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sed evaporator. It was determined that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Dime- thyl sulfide) and organic acids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so-Valeric acid) in the air which was blown into the automo- bile were generated by Methylobacterium aquaticum and As- pergillus versicolo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Xylene, 2-Ethylhexanol, 2-Phe- nyl-2-propanol, Ethylbenzene) were not fou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ason is due to the low concentration of generated MVOCs or is caused by the change of some MVOCs depend- ing on the nutrients (medium).

Keywords: MVOCs (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 Biofilm, Evaporator

1. INTRODUCTION

중고차의 실내공기질에 대해 승객의 가장 큰 불만은 불쾌한 냄새이다. 냄새란 공기중의 어떤 냄새분자를 흡입했을 때 생 기는 화학감각으로 인간에게 쾌감을 주는 냄새를 향기로 표 현하고 불쾌한 냄새를 악취라고 표현한다 [1]. 이러한 악취는 승객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호흡기계 과민성질 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일부 중고차에서는 공조시스템 (Air conditioning systems)을 통해 차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내 공기질을 더욱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2,3].

일반적으로 차량 내 에어컨 작동 시 발생하는 악취는 단속 적 (Intermittent)이고 지속시간이 짧다. 또한, 악취유발물질은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후각을 자극하는 특성이 있고, 기기검 출기로 측정 가능한 물질이 제한되기 때문에 아직까지 악취 발생 메커니즘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선행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증발기 (Evaporator)에 번식하는 다수의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휘발성유기화합물 (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MVOCs)이 주요 악취유발물질 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Uchi- yama 등 [4]은 외부에서 유입된 유기물질이 증발기 표면에 흡착되어 부패되고, 증발기의 재질인 알루미늄의 산화와 증 발기에 번식하는 다수의 미생물에 의해 악취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Rose 등 [5]은 중고차 공조시스템에서 발견된 Penicillium viridicatum과 Methylobacterium mesophilicum을 증발기와 이를 감싸고 있는 단열재의 표면에 접종한 후, 이

1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1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Seoul 130- 743, Korea

Tel: +82-2-6490-2365, Fax: +82-2-6490-2364 e-mail: eykim@uos.ac.kr

2FITI시험연구원 환경바이오평가팀

2Environment & Assessment Team, FITI Testing & Research Institute, Cheongju 363-883, Korea

연구논문

(2)

들 미생물에 의해 MVOCs가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생성된 MVOCs가 악취를 유발한다고 보고하였다. Simmons 등 [6]은 12대의 중고차 에어컨 증발기 중 10대의 증발기 표면에서 미 생물에 의해 생성된 생물막 (Biofilm)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세균과 곰팡이에 의해 생성된 생물막은 증발기를 27개월 동 안 건조보관 후에도 다시 발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공조시스템에서 미생물의 번식이 가능한 이유는 에어컨 작동 시 증발기 표면에 공기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응 축수가 발생되며, 공기 중의 먼지와 미생물이 증발기 표면에 부착하게 된다. 즉, 증발기 표면에 미생물의 증식에 적절한 환경이 만들어지며 다양한 미생물들이 생물막을 형성하여 공생할 수 있게 된다. 생물막이란 고체 표면에 붙어있는 미생 물이 대사과정에서 분비한 세포외고분자물질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로 생물막 내 미생물은 외부환경 (습도, 온도, 산도, 자외선 노출 등)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7]. 예를 들면, 생물막 내 세균은 부유세균 (Planktonic cells) 보다 살생물제 (Biocides)나 항생제 (Antibiotics)에 대한 내성 이 10~1000배 정도로 크다 [8]. 따라서, 증발기 표면에 생물 막이 형성되면 소독이나 살균 등으로 미생물을 완벽하게 제 거하기가 어렵다.

Park & Kim [9]은 선행연구를 통해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통해 유입되는 미생물을 동정하였고, 이 미생물들에 의해 생 성되는 MVOCs가 악취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악취와 생물막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악취유발물질 재현실험을 통하여 악취발생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

2.1. 실험재료

차량용 에어컨을 작동시켰을 때 악취가 심하게 느껴지는 출 고된 지 3년 이내, 누적주행거리가 50,000 km미만인 차량의 에어컨 증발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2.2. 생물막의 존재여부 확인

고품 증발기의 표면에 생물막의 존재여부 확인은 SEM (Scan- ning Electron Microscopy, VEGA 3SB, Tescan, Czech)을 이용 하여 관찰하였다. 고품 증발기에서 알루미늄 핀 (Aluminum

fins)의 일부를 떼어낸 후, 5 mm × 5 mm로 잘라 carbon mount 에 접착시켜 SEM분석에 필요한 시료로 준비하였다. 또한, 시 료는 두께 20 nm로 백금 (Pt)코팅하였고, 작동거리는 25 mm, 가속전압은 20 keV 그리고 배율은 2500배로 고정시켜 관찰 하였다.

2.3. 생물막의 형성능력 및 조성분석

선행연구을 통해 동정된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미생물들 (As- pergillus versicolor, Herbaspirillum sp., Methylobacterium aqu- aticum)이 증발기 표면에 생물막을 형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모의시험 (Simmulation)을 실시하였다. 알루미늄 판 (두 께 0.3 mm, Daekwang Co., Korea)을 구입하여 7 cm × 4 cm 크 기로 자른 후, 각각의 미생물이 부유되어 있는 0.1% Peptone 수용액에 알루미늄 조각을 침지시킨다. 침지된 알루미늄 조 각을 꺼내어 40oC에서 24 h동안 건조시킨다. 이렇게 침지와 건조를 동일하게 3회 반복한 후, 처리된 알루미늄 조각을 22 mL 바이얼 (Agilent, USA)에 넣어 밀봉한다. 밀봉된 바이얼 을 배양기로 옮겨 28oC에서 21일간 배양한다. 배양 종료 후, 2.2항과 동일한 방법으로 SEM을 이용하여 1000배의 배율로 알루미늄 조각 표면을 관찰하여 생물막의 형성여부를 확인 하였다.

또한, 생물막의 조성은 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 troscopy, EDS2008, IXRF,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DX 측정은 가속화된 전자의 충돌에 의해 생물막에서 방출되는 성분을 X-Ray를 통해 검출하는 것으로 가속전압은 20 keV, Takeoff Angle 35.0°, Elaspsed Livetime 30s, 배율은 1000배로 고정시켜 측정하였다.

2.4. 악취유발물질 재현실험

악취유발물질의 재현 실험은 차량 내 에어컨 작동 시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유발물질이 2.3항의 모의실험을 통해 재현되 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하였다. MVOCs에 대한 분석은 2.3항에서 21일간 처리된 바이얼 내의 공기를 대상으로 황화 합물류, 휘발성유기화합물류와 지방산류에 대한 분석을 실 시하였다. MVOCs를 정성·정량하기 위한 표준물 및 시험기 기를 요약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물질류에 대 한 분석조건을 요약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다. 황화합물류 분석 시 바이얼 내의 공기로는 시료량이 부족하여, 동일하게 Table 1. Standard materials and testing instruments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f malodor- causing chemicals

Compounds Standard materials Testing instruments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13-08767 & 13-08786 (Rigas, Korea)

Thermal Desorption System- GC/FPD (Turbomatrix 300- PerkinElmer Clarus 680, USA) Dimethyl sulfi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52 Component Indoor

Air Standard (Supelco, USA) Headspace Sampler-GC/MSD

(Agilent G1888-Agilent 7890A/Agilent 5975C, USA) Xylene

Ethylbenzene

2-Ethylhexanol 08607-1ML-F (Fluka, USA) 2-Phenyl-2-propanol P30802-5G (Aldrich, USA)

Organic acids

n-Butyric acid

S-19991 (AccuStandard, USA) Headspace Sampler-GC/FID

(Turbomatrix 40-PerkinElmer Clarus 680, USA) n-Valeric acid

iso-Valeric acid

(3)

처리한 10개의 바이얼에서 공기를 분취한 후, 초순수 질소로 10배 희석하여 황화합물류에 대해 선택성이 좋은 Thermal Desorption System-GC/FPD (Turbomatrix 300-PerkinElmer Clarus 680, USA)로 분석하였다. 휘발성유기화합물류 분석 에는 바이얼 내의 공기 2 mL를 Headspace Sampler-GC/MSD (Agilent G1888-Agilent 7890A/Agilent 5975C, USA)에 직접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지방산류 분석에는 바이얼 내의 공기 2 mL를 Headspace Sampler-GC/FID (Turbomatrix 40-Perkin Elmer Clarus 680, USA)에 직접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2.5. Biocide 효과

부유성 미생물과 고착성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알아보 기 위해, 시판중인 차량용 액상 Biocide제품 (A사, Korea)을 구입하여 살균시험을 실시하였다. 부유성 미생물에 대한 살 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ethylobacterium aquaticum을 0.1% Peptone 수용액에 접종한 후, 28oC에서 7일간 배양하여 부유성 미생물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일정한 균밀도 (2×104 CFU/mL)로 준비된 현탁액에 Biocide제품을 농도별로 첨가 하여 28oC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Methylobacte- rium aquaticum의 생존수를 측정하였다.

고착성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는, Methylobacterium aqua- ticum에 의해 생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 조각 표면에 Biocide 제품을 10초간 분사하였다. 분사처리된 알루미늄 조각을 40

oC에서 1 h동안 건조시킨다. 이렇게 분사와 건조를 동일하게 3회 반복한 후, SEM을 이용하여 1000배의 배율로 알루미늄 조각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Methylobacterium aquaticum의 살균효과를 관찰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생물막의 존재여부 확인결과

고품 증발기의 표면은 흙, 먼지 및 유기물 부스러기 등이 부

착되어 육안적으로 판단해도 오염이 심한 상태였다. 오염의 주된 원인은 증발기 표면에 응결된 수분에 흙, 먼지, 유기물 부스러기와 미생물 등이 부착되어 오염이 지속적으로 진행 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품 증발기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Fig. 1(A)에 나타내었다. 증발기의 알루미늄 핀 표면을 약 2500배의 배율 로 관찰한 결과, 표면에서는 직경 2~3 µm 정도 크기의 사슬 형태의 미세미생물군락 (Microcolony)이 발견되었다. 미세미 생물군락에서는 세균과 곰팡이 등이 복잡한 사슬형태를 이 루면서 생장하기 때문에, SEM이미지만으로 선행연구을 통 해 동정된 미생물들을 구분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여러 층이 겹쳐진 모양의 생물막이 관찰되었다 (Fig.

1(A)에서 1지역). 즉, 고품 증발기의 표면에서 생물막의 존재 가 확인되었다. 생물막의 조성을 EDS로 측정한 결과를 Fig.

1(B)에 나타내었다. 생물막의 조성 (wt.%)은 C (탄소) 41.02, O (산소) 40.28, Na (나트륨) 5.09, Al (알루미늄) 4.38, P (인) 2.77, Cl (염소) 1.21, K (칼륨) 5.25로 분석되었다. 검출된 알 루미늄은 증발기의 재질인 알루미늄이 일부 측정된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성분들은 생물막을 구성하는 다양한 Matrix (Polysaccharides, Proteins, Glycoproteins, Glycolipids, Extra- cellular DNA 등)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10]. 미생 물은 종간 혹은 같은 종의 미생물이라도 strain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와 조성을 갖는 생물막을 형성하므로 실제로 생물 막의 조성을 명확히 규명하기는 어렵다 [11].

Simmons 등 [12]은 에어컨 작동 시 악취가 심한 29대의 중 고차 공조시스템에서 공기 포집 등의 방법으로 15종의 곰팡 이를 동정하였고, 증발기에서만 11종의 곰팡이를 동정하였 다. 또한, Costerton 등 [13]은 생물막의 형성 발달 단계를 세 균이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표면에 강하게 고착하는 단계 (Monolayer 형성), 미세미생물군락 형성 단계, 3차원 구조의 성숙된 생물막 형성 단계, 생물막의 해체 및 전이 단계를 거 치면서 성숙된 구조로 완성된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고품 증발기 표면은 수분 및 영양성분이 존재하여 Table 2. Summary of analytical conditions for malodor-causing chemicals

Compounds Analytical conditions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 TD: Cold trap temp.: -30oC, Desorption temp.: 90oC, Desorption time: 2 min, Desorption flow rate: 5 mL/min

- GC: 40oC (5 min), 15oC/min to 200oC (5 min) - Column: Elite-1 60 m - 0.32 mm * 1 µm - FPD: Air 100 mL/min, H2 80 mL/min, 280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Xylene Ethylbenzene 2-Ethylhexanol 2-Phenyl-2-propanol

- Headspace: oven 70oC, Needle 80oC, Transfer 90oC - GC: 38oC (5 min), 5oC/min to 250 (5 min) - Column: DB-1 MS 60 m - 0.25 mm * 0.25 µm - MSD: He 0.8 mL/min, 280oC

Organic acids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so-Valeric acid

- Headspace: oven 90oC, Needle: 100oC, Transfer: 150oC

- GC: 40oC (2 min), 5oC/m into 80oC (10 min), 10oC/min to 200oC (5 min) - Column: Elite - Wax 30 m - 0.53 mm * 0.5 µm

- FID: Air 450 mL/min, H2 45 mL/min, 250oC

(4)

미생물의 증식에 적절한 환경이며, 다양한 미생물들이 생물 막을 형성하며 공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2. 생물막의 형성능력 및 조성분석 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동정된 미생물들이 증발기 표면에 생물막 을 형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모의시험 (Simmulation)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Fig. 2(A, B, C)에 나타내었다. 0.1%

Peptone 배지로 전처리 한 알루미늄 조각 표면에 (A) Asper- gillus versicolor, (B) Herbaspirillum sp., (C) Methylobacterium aquaticum을 각각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이다. 알루미늄 조각 표면을 약 2500배의 배율로 관찰한 결과, (A) Aspergillus ver- sicolor와 (B) Herbaspirillum sp.에서는 생물막을 확인할 수 없었고, (C) Methylobacterium aquaticum에서는 생물막이 확 인되었다 (Fig. 2(C)에서 2지역). 즉, 고품 증발기의 표면에 생 물막을 형성한 미생물은 세균인 Methylobacterium aquaticum 으로 확인되었다. Mori 등 [14]은 16곳의 가정용 화장실 변기 (Toilet bowl)에서 128종의 세균을 동정하였고, 이 세균들 중 에서 Methylobacterium sp.와 Sphingomonas sp.에서 생물막 형성능력 (Bioform formation abilities)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Methylobacterium sp.는 수분이 많은 환경조건 (수돗물 공급장치, 공조시스템, 욕실의 욕조와 세면대 등)에서 흔히 발견되며 대부분이 Cl (염소)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고 알려 져 있다 [15-17].

Methylobacterium aquaticum에 의해 형성된 생물막의 조성 을 EDS로 측정한 결과를 Fig. 2(D)에 나타내었다. 생물막의 조성 (wt.%)은 C 45.79, O 42.36, Na 1.85, Al 5.42, P 1.39, Cl 0.74, K 2.45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품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

된 생물막의 조성과 일치하는 결과로, 고품 증발기의 생물막 은 Methylobacterium aquaticum에 의해 생성된 것임이 확인 되었다.

3.3. 악취유발물질 재현시험 결과

0.1% Peptone 배지로 전처리한 알루미늄 조각 표면에 (B) As- pergillus versicolor, (C) Herbaspirillum sp., (D) Methylobacte- rium aquaticum을 각각 접종하여 21일간 배양한 후, 이들 미 생물로부터 발생하는 MVOCs를 정성·정량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B) Aspergillus versicolor에 의해 생성된 MVOCs는 n-But- yric acid 0.002 ppmv, n-Valeric acid 0.001 ppmv, iso-Valeric acid 0.002 ppmv이 검출되었다.

또한, (C) Herbaspirillum sp.에 의해 생성된 MVOCs는 2- Propannone 2.7 ppmv이 검출되었다.

한편, (D) Methylobacterium aquaticum에 의해 생성된 MVOCs는 Hydrogen sulfide 0.0008 ppmv, Dimethyl sulfide 0.0003 ppmv이 검출되었다.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A) 차량 내 에어컨 작동 시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유발물질은 Hydrogen sulfide 0.0014 ppmv, Dimethyl sulfide 0.0005 ppmv, Toluene 0.438 ppmv, Xylene 0.09 ppmv, Ethylbenzene 0.018 ppmv, 2-Ethylhexanol 0.009 ppmv, 2-Phenyl-2-propanol 0.026 ppmv, n-Butyric acid 0.003 ppmv, n-Valeric acid 0.002 ppmv, iso-Valeric acid 0.003 ppmv 이다 [9].

결과적으로, 차량 내로 유입되는 황화합물류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는 Methylobacterium aquaticum에 의 Fig. 1. SEM-EDX analysis of used evaporator.

(5)

해 생성되고, 지방산류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so-Va- leric acid)는 Aspergillus versicolor에 의해 생성됨이 재현되었 다. 하지만, 휘발성유기화합물류(Toluene, Xylene, 2-Ethylhe- xanol, 2-Phenyl-2-propanol, Ethylbenzene)의 생성은 재현되지 못했고, 2-Propannone 2.7 ppmv이 새롭게 검출되었다.

일부 물질이 재현되지 못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추정된 다. 첫 번째, 생성된 MVOCs의 농도가 낮아 검출되지 못한 경

우로, 알루미늄 조각 (7 cm × 4 cm)은 증발기와 비교하여 상 대적으로 표면적이 작아 MVOCs의 발생량도 적을 것이다.

두 번째, 영양성분 (배지)에 따라 생성되는 MVOCs의 종류도 일부 달라질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차량 내 에어컨 작동 시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 유발물질은 증발기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들에 의해 생성 된 MVOCs임이 재현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Fig. 2. SEM-EDX analysis of microorganism and biofilm on aluminum surface.

(6)

3.4. Biocide 효과

시판 중인 액상 Biocide제품을 사용한 부유성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고, 고착성 미생물에 대한 살 균효과를 Fig. 3에 나타내었다. Biocide제품을 1% 이상 첨가 한 현탁액에서는 1.5 h이내에 부유성 Methylobacterium aqua- ticum이 모두 사멸하였다. 하지만, 생물막을 형성한 후에는

Biocide원액을 수회 분사처리 하여도 고착성 Methylobacte- rium aquaticum은 사멸되지 않았다. 또한, 형성된 생물막도 제거되지 않았다. 이처럼, 생물막 내 세균은 부유성 세균 보 다 Biocide에 대한 내성이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Biocide에 의해 일부 세균이 사멸한다고 해도 향후 환경적인 조건이 맞는다면 세균이 재발현될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차량 내 에어컨 작동 시 악취가 발생하는 원인 을 규명하고자, 악취와 생물막간의 인과관계 확인 및 악취유 발물질의 재현시험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 다.

1. 악취가 발생하는 차량의 증발기 표면에서 미세미생물군 락과 생물막이 발견되었다. 생물막의 조성 (wt.%)을 EDS로 Table 3.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of VOCs produced by microorganisms

Compound Concentration (ppmv)

(A) (B) (C) (D)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0.0014 - - 0.0008

Dimethyl sulfide 0.0005 - - 0.0003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0.438 - - -

Xylene 0.09 - - -

Ethylbenzene 0.018 - - -

2-Ethylhexanol 0.009 - - -

2-Phenyl-2-propanol 0.026 - - -

2-Propannone - - 2.7 -

Organic acids

n-Butyric acid 0.003 0.002 - -

n-Valeric acid 0.002 0.001 - -

iso-Valeric acid 0.003 0.002 - -

(A) Inside the automobile, (B) Aspergillus versicolor, (C) Herbaspirillum sp., (D) Methylobacterium aquaticum.

Fig. 3. Effect of biocide on Methylobacterium aquaticum in biofilm.

Table 4. Effect of biocide on the planktonic Methylobacterium aquaticum

Biocide (%) (CFU/mL)

0 h 1.5 h

0 2×104 2×104

0.1 2×104 2×104

1.0 2×104 0

5.0 2×104 0

10.0 2×104 0

(7)

측정한 결과 C 41.02, O 40.28, Na 5.09, Al 4.38, P 2.77, Cl 1.21, K 5.25로 분석되었다.

2. 선행연구를 통해 동정된 미생물들 중에서 세균인 Methy- lobacterium aquaticum만이 생물막을 형성하였다. 생물막의 조성 (wt.%)은 C 45.79, O 42.36, Na 1.85, Al 5.42, P 1.39, Cl 0.74, K 2.45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품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 된 생물막의 조성과 일치하는 결과로, 고품 증발기의 생물막 은 Methylobacterium aquaticum에 의해 생성된 것임이 확인 되었다.

3. 차량 내로 유입되는 황화합물류 (Hydrogen sulfide, Dime- thyl sulfide)는 Methylobacterium aquaticum에 의해 생성되었 고, 지방산류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so-Valeric acid) 는 Aspergillus versicolor에 의해 생성됨이 재현되었다. 휘발 성유기화합물류 (Toluene, Xylene, 2-Ethylhexanol, 2-Phenyl- 2-propanol, Ethylbenzene)가 재현되지 못지 이유로는 생성된 MVOCs의 농도가 낮아 검출되지 못했거나, 영양성분 (배지) 에 따라 생성되는 MVOCs가 일부 달라지는 것으로 추정된 다.

4. 고착성 Methylobacterium aquaticum은 시판 중인 Biocide 제품에 대해 내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생물막 제거효 과도 없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생물막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궁극적으로는 악취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REFERENCES

1.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Order control task manual. pp. 2- 22 & 299-305. Seoul. Korea.

2. Kim, K. H., S. H. Kim, Y. R. Jung, M. G. Kim, J. H. Kim, H. Y.

Park, J. K. Lee, Y. J. Jee, and K. H. Kim (2006) A Study on odor evaluation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evaporator by using lab- scale test bench.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11:

685-691.

3. Ryu, Y. J., I. H. Lee, and M. G. Kim (2010) Investigation of repro- duction method for malodor emitted from automobile air conditio- ner and identification of VOCs from evaporator using test cooling bench. Korean Soc. Odor Res. Eng. 10: 108-113.

4. Uchiyama, K., O. Kasebe, K. Kobayashi, S. Sato, and H. Ito (2003) Analysis for adsorbed odor from car air conditioner evaporator.

JSAE Annual Congress 37: 1-4.

5. Rose, L. J., R. B. Simmons, S. A. Crow, and D. G. Ahearn (2000)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sociated with microbial growth in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s. Curr. Microbiol. 41: 206-209.

6. Simmons, R. B., L. J. Rose, S. A. Crow, and D. G. Ahearn (1999) The occurrence and persistence of mixed biofilms in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s. Curr. Microbiol. 39:141-145.

7. Chung, S. K. (2005) Biofilm. J. Rhinol. 12: 5-9.

8. Gilbert, P., J. Das, and I. Foley (1997) Biofilms susceptibility to antimicrobials. Adv. Dent. Res. 11: 160-167.

9. Park, S. J. and E. Y. Kim (2014) Determination of malodor-caus- ing chemicals produced by microorganisms inside automobile.

KSBB J. 29: 118-123.

10. Flemming, H. C., R. Thomas, and J. W. Daniel (2007) The EPS matrix: “house of biofilm cells”. J. Bacteriol. 189: 7945-7947.

11. Lee, J. H. (2007) The latest research trends in biofilm. KSBMB News. 27: 34-39.

12. Simmons, R. B., J. A. Noble, L. Rose, D. L. Price, S. A. Crow, and D. G. Ahearn (1997) Fungal colonization of automobile air condi- tioning systems. J. Indust. Microbiol. Biotechnol. 19: 150-153.

13. Costerton, J. W., P. S. Stewart, and E. P. Greenberg (1999) Bacte- rial biofilm: a common cause of persistent infection. Science 284:

1318-1322.

14. Mori, M., M. Gomi, N. Matsumune, K.Niizeki, and Y. Sakagami (2013) Biofilm-forming activity of bacteria isolated from toilet bowl biofilms and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disinfectants against the isolates. Biocontrol Science 18: 129-135.

15. Furuhata, K., A.U. Banzai, Y. Kawakami, N. Ishizaki, Y. Yoshida, K. Goto, and M. Fukuyama (2011) Genotyping and chlorine-resis- tance of Methylobacterium aquaticum isolated from water sam- ples in Japan. Biocontrol Science 16: 103-107.

16. Furuhata, K., Y. Kato, K. Goto, M. Hara, S. Yoshida, and M. Fuku- yama (200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ethylobacterium spe- cies from the tap water in hospitals in Japan and their antibiotic susceptibility. Microbiol. Immunol. 50: 11-17.

17. Hiraishi, A., K. Furuhata, A. Matsumoto, K. A. Koike, M. Fuku- yama, and K. Tabuchi (1995) Phenotypic and genetic diversity of chlorine-resistant Methylobacterium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environ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1: 2009-2107.

수치

Fig. 2. SEM-EDX analysis of microorganism and biofilm on aluminum surface.
Fig. 3. Effect of biocide on Methylobacterium aquaticum in biofilm.

참조

관련 문서

The meeting was attended by Assistant Foreign Minister for GCC Affairs, Ambassador, Nasser Al-Muzayyen, and Deputy Assistant Foreign Minister for the Office of the

“ Sheikh Nasser has a written message from HH the Amir, Sheikh Sabah Al-Ahmad Al-Jaber Al-Sabah to the Chinese President, Chi Gen Beng related to enhancing mutual

On his part, CEO of Express Roads Authority, Saud Al-Naqqi said that the heavy rains of the previous day led to clogging parts of the express

Kuwait will celebrate on Sunday the fourth anniversary of the UN honoring and proclamation of His Highness the Amir, Sheikh Sabah Al-Ahmad Al-Jaber Al-Sabah as

The Joseon government designed and promulgated the Taegeukgi as a national flag for diplomatic and political purposes, but it wa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made it

Keywords: Indigenous, methodology, Southeast Asian Studies, area studies, Kaupapa Maori, Sikolohiyang Pilipino.. * Programme Leader, History and International Studies,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파이프 형태의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재의 슬리브에 로프를 넣고 프레스로 압축하여 슬리 브가 로프 표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로프성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