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성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종설]

성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이미라

1

, 김완수

2

혜천대학 간호과1, 대구대학교 운동처방학과2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Tool for Korean Adults

Mi-Ra Lee

1

, Wan-Soo Kim

2 Hyecheon College1, Daegu University2

Under the national health project, ‘Health Plan 2010', there have been noticeable important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Korea.

However, partly because of the limitations with the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tool that has been used nationwide, this project has had some difficulties to reach its possible maximum accomplishment. Therefore, it is time to review its limitations in detail with an emphasis on its scientific evidence and, based on this, to provide the directions to change. Therefore, the authors intended to draw the key factors which have led responsible organizations or scientists to modify former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s because these factors reflect important changes in the field of physical activity or exercise and can give directions when developing a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tool. Then, the currently used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tool was reviewed on the basis of these factors. The findings of the in-depth review were as follows. There has been a paradigm shift in which efficacy of physical activity was expanded from cardiorespiratory fitness to health benefits including preventing chronic diseases and weight management. In addition, much emphasis has been laid on feasibility and safety. Accordingly, these three factors (efficacy, feasibility, and safety) have been implied to be importantly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tool.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tool currently used in Korea appeared to have some measurement issues requiring modification.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 more valid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tool. The currently used monitoring tool should be modified in this context: it should apply evidence-based definitions/descriptions of physical activity intensity, include items to incorporate individuals who do meet the minimum recommendation but not regarded as doing either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 or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in the current monitoring tool, and add items to give information on safety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9 ; 9(2):75-85) Key words Health Promotion, Physical activity, Measurement

1서 론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약 190만 명이 사 망하며, 유방암, 대장암 및 당뇨병의 10-16% 그리고 허혈성심 질환의 22%가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해 초래된다고 보고되어 왔다.

1)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신체활동 부족이 건강위험요인

이 논문은 2008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논문임

∙교신저자 : 김 완 수

∙주 소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15번지

∙전 화 : 053-850-6097

∙E-mail : wsk115@daegu.ac.kr

∙접 수 일 : 2009년 5월 23일 ∙채 택 일 : 2009년 6월 16일

에 미치는 기여도는 흡연, 음주, 비만(과체중 포함) 다음으로 높고 영양보다 높으며

2)

,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 비 용이 직접적인 의료비와 조기사망에 따른 생산성 손실비용을 합할 경우 총 약 1조 2,150억 원에 이르고 있다.

3)

이에 따라 신체활동이 초래하는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얻고 결과적으 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목적으로 국민건강 증진종합계획 및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하 신체활동 및 운동 활성화 사업이 범국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 사업에서 그 성과가 과학적 근거 하에 타당하게

그리고 사업의 효과를 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평가되고

있는가가 현 시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물론 현

(2)

신체활동 및 운동 활성화 사업의 중장기 성과지표라 할 수 있 는 실천율 평가를 여러 해에 걸친 수정 과정을 통해(국민건 강․영양조사) 과학적 근거 하에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해 국가 수준에서의 상당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는 것에 대해서는 의 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그동안에 축적된 역학 및 운동 과학 적 근거와 관련 주요 기관 및 전문가들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 된 타당한 평가지표를 제공하고 있고 그에 따라 사업의 성과가 과소평가됨이 없이 최대로 평가될 수 있게 하고 있는가에 대해 서는 더한 논의가 필요한 부분일 것이다.

4,5)

제 3기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 실 천을 묻는 문항의 문제점, 사업의 성과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의 배제, 안전한 신체활동 실천 등의 질적 운동 실천율 측정의 필 요성 등이 제안되어 왔으나

4,5)

,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도 신체활동 및 운동 영역에서 축적된 과학적 근거들을 충분히 반영하고 본 사업의 성과를 최대로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 도구 작성을 위한 충분한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사료된 다. 특히 신체활동 및 운동이라는 건강생활실천의 대표지표라 할 수 있는 ‘규칙적 중등도 신체활동 참여율’ 산출을 위한 문항 의 타당도가 미흡하다

5)

는 측면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과학적 근거 하의 신체활동 모니터링 도구 작성 방 향을 재검토하고 이에 따라 현 도구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작업이 현 시점에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작업은 상당한 시간과 경비를 투자한 사업의 성과를 과소평가함이 없 이 최대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Ⅱ. 본 론

서론 부분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자들은 수 십 년에 걸쳐 진화되어 온 신체활동 권고안을 심층 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시사되는 모니터링 도구 작성 방향(모니터링 도 구는 권고안과 연결성을 가져야 하므로), 사업의 성과를 최대 로 측정할 수 있는 방향, 국제적 비교를 위해 산출해야 할 지표에 근거하여 현 모니터링 도구를 평가하였다. 권고안에 있어서의 진화를 이끈 주요 요소들은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 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에 근거한 현 모니터링 도구의 평가를 통해 수정 방향이 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작성 시 고려할 주요 요소

연대기적 신체활동 권고안의 진화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 해 신체활동의 효과성 측면, 실행 가능성 측면, 그리고 안전

성 측면이 신체활동 권고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요소로 나타 났고

6)

, 이는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작성 시 이러한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1) 신체활동의 효과성 측면

초기의 권고안

7)

과 1978-1990년 사이의 대부분의 권고안들 은 신체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효과로서 심폐체력 향상만을 거의 전적으로 인식하였던 반면, 1990년 이후의 권 고안들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및 암을 포함한 만성질환 위험 감소, 근 체력 향상, 체중조절, 그리고 유연성 향상 또한 신 체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효과로 인식하고 있다.

8)

그동안의 심폐체력 향상을 위한 고강도 운동 패러다임이 1990년 중반 CDC와 ACSM의 권고안

9)

을 계기로 건강상의 이 점 획득을 위한 중강도 신체활동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었다. 이 러한 패러다임 변화는 미국심장협회

10)

가 신체활동 부족을 관상 동맥질환의 위험요인으로 규명하고 심장질환 위험 감소 방법 으로 중강도 신체활동 지침을 제공하였던 것과 중강도 신체활 동 참여가 미치는 건강상의 이점에 대한 다양한 역학 연구들

11-14)

에 근거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뒤 이어 OSG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15)

,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16)

및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1,17)

권고안에도 반영되 기에 이르렀다.

1990년대 이후의 권고안에서 나타나는 신체활동의 효과성 에 대한 또 다른 인식 변화는 근 체력(근력 및 근지구력) 및 유연성 향상, 체중조절, 그리고 암 예방을 신체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주요 효과로 중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근 체력은 1998년 ACSM position stand

8)

에서부터 나타나고

있으나 2002년 이후에 보다 강조되고 있고, 유연성 향상이

함께 신체활동을 통해 얻어야 하는 중요한 효과로써 인식되

고 있다. 근 체력과 유연성 향상을 위한 근력강화 신체활동

과 유연성 향상 신체활동은 일상 활동 수행 능력 향상, 기능

상의 장애 발생 감소, 더욱이 유산소성 신체활동에 비한 장

점 또한 갖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실천율 모니터링이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근력강화 신체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근

량 증가는 근량 감소가 비만, 인슐린저항성, 제 2형 당뇨병,

혈중지질비정상 및 고혈압을 유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

당한 중요성을 갖는다.

18)

이러한 내용들이 근력강화 신체활동

과 유연성 향상 신체활동 실천이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는 것

을 시사하고 있다. 2001년 ACSM position stand

19)

를 시작으

로 2002년 IOM (Institute of Medicine)

20)

, 2003년 IASO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he Study for Obesity)의 권고

21)

, 2007년 ACSM/AHA 권고안

22)

들에서는 체중조절(체중

감소, 체중 획득 예방, 체중 감소 후 유지)까지 신체활동을

(3)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효과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 권고안을 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천율 모니 터링의 중요성은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뿐 아니라 과체중 및 비만과 암 이환율이 경제성장과 그에 따른 생활양식 변화로 인해 빠르게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른 개인의 건강수명 및 삶의 질 저하 그리고 국가의 의료비 상승이 심각한 사회 문 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현 상황

23)

에 의해 더욱 증가하 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신체활동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가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2) 신체활동의 실행 가능성 측면

연대기적 신체활동 권고안 진화를 가져온 또 다른 주요 요 소는 실행 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로, 강도 및 시간에 있어 서의 대안 개념과 총 신체활동량 대안 개념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 이를 반영하고 있다. 신체활동 권고는 초기에 20분 이 상의 고강도 운동을 주 3회 이상 실천하도록 권고하던 것에 서 개인의 건강 및 건강 체력 수준과 선호도에 따른 강도(고 강도 또는 중강도)나 시간(1회 쎄션 또는 최소한 10분 이상 지속되는 수회의 운동 쎄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특 정 신체활동 유형에 국한하기 보다는 총 신체활동량(총 에너 지 소모량) 개념(㎉ 또는 MET-min 개념)을 포함시키는 등 대안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실행 가능성을 향상하는 측면으로 진화되어 왔다.

중강도 신체활동 또한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심장질환, 당 뇨병, 결장암 및 고혈압과 같은 질병 이환 또는 이로 인한 사망 위험 감소)

15)

을 초래한다는 증거들에 근거하여 격렬한 고강도 운동(intensive vigorous exercise)으로부터 보다 광범 위한 건강증진 신체활동(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ies) 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Healthy People 2010) 중강도로 수행하는 신체활동 강도상의 대안이 추가되었고, 1회 10분 이상 지속되는 쎄션으로 총 30 수행하는 것이 1회 30분 수행 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초래한다는 증거들

24-27)

에 근거하여 시간상의 대안이 추가되었다.

22)

여기에서 언급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주 5일 이상(가능한 매 일), 1일 30분 이상의 중강도 신체활동을 최소한의 신체활동 권 고량으로 하는 권고안은 기존의 고강도 운동 권고안을 대치하 는 것이 아니라 이를 보완하는 대안적 권고라는 것이다. 총 신 체활동량이 신체활동 강도와 독립적으로 사망률 및 심혈관질 환 위험 관련 건강상의 이점을 초래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 되고 있으나, 총 신체활동량과 독립적으로 고강도 신체활동이 초래하는 건강상의 이점이 있으며

22,28,29)

개인의 선호도와 건강 및 체력 수준에 따라 신체활동 강도를 권고하는 것이 실행 가

능성 뿐 아니라 효과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 로,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주요건강지표 (2005년 18.8%에서 2010년 30% 목표)

30)

가 운동의 경우 운동 실 천율(주 5일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중강도 운동 실천율)로 되 어 있는 것은 수정의 여지가 있을 것이다. 총 신체활동량으로 권고하는 것 또한 강도와 시간의 조합을 통해 실행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강도 와 시간보다 총 에너지 소모량(총 신체활동량)이 중요하다는 것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행 가능성 향상을 위한 대안 개념들이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3) 신체활동의 안전성 측면

연대기적 신체활동 권고안 진화에서 시사되고 있는 마지막 한 가지는 신체활동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 증가라 할 수 있다.

강도가 높은 신체활동이 효과적으로 심폐체력 개선을 유도 할 수 있고, 신체활동량과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상의 이점 간에 양-반응 관계(dose-response relationship)가 있으나 그에 따라 신체활동 관련 손상 위험은 증가되기 때문에

9,31)

, 1990년 대 이후의 권고안들에서 중강도 신체활동을 대안으로 제시함 으로써 이를 반영하고 있다.

안전성 확보는 신체활동 실천에서 기본으로 고려되어야 하 며 효과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기본 요건이므로 안전성 측면 이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2.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작성 방향

위에서 언급한 신체활동의 효과성, 실행 가능성 및 안전성 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작성 방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효과성

심폐체력 향상 효과 뿐 아니라 만성질환 위험 감소, 체중 조절(체중 획득 예방 및 체중 감소 후 유지), 암 예방, 근 체 력 및 유연성 향상 등을 포함한 신체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 는 다른 건강상의 이점 또한 중요하므로, 이들 효과의 가능 한 많은 부분을 얻을 수 있는 신체활동 실천율과 실천 현황 (실천상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총 신체활동량

중 충분한 증거가 부족한 부분(예를 들어, 체중조절 관련 총

신체활동량)이 있으나 어느 정도는 합의에 이르고 있으므로

상기 언급한 다양한 목적 달성을 위한 유산소성 신체활동 실

천율을 산출할 수 있는 도구여야 한다(표 1, 2).

(4)

Table 1. Suggested minimum weekly energy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hysical activity.

Purpose of physical activities Calories per week & Organizations / researchers

Health promotion &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1,000 Calories : Paffenbarger et al. (1978)14), Morris et al. (1990)32), CDC/ACSM (1995)9) USDHHS (1996)15)

․700 Calories : ACSM/AHA (2007)22)⁺

Prevention of unhealthy weight gain ․700 Calories : Hill et al (2003)33), IOM (2007)20)⁺⁺

Prevention of weight regain after substantial weight loss

․2,800 Calories : Klem et al (1997)34)

․2,500 Calories : Hill & Wyatt (2005)35)

․2,000 Calories : IOM (2007)36)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USDHH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IOM,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 Calculated on the basis of its recommendation of at least 30 min of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 on 5 days of the week, 20 min of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on 3 days of the week, or combination of moderate-intensity or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amount of moderate- or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 〔if moderate-intensity (4METs on average), 140kcal (for adults with the body weight of 70kg)

× 5days = 700; if vigorous-intensity (8METs on average), 186.6kcal × 3days = about 560〕; ⁺⁺ PA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workshop (October 23-24, 2006) summary sponsored by USDHHS, in Suitor & Kraak (2007)

Table 2. Suggested minimum daily physical activity tim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hysical activity.

Purpose of physical activities Duration & Organizations / researchers Health promotion &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30 min : CDC/ACSM (1995)9), NIH (1995)16), USDHHS (1996)15)

․60 min : IOM (2002)20) Prevention of unhealthy weight gain ․30 min : CDC/ACSM (2004)37)

․60 min : IOM (2002)20), USDA (2007)38) Prevention of weight regain after

substantial weight loss ․60 min : CDC/ACSM (2004)37), IASO (2003)21), USDA (2007)38)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USDHH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OM, Institute of Medicine;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IASO,

Table 3. Muscle strengthening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s.

Sets; repetitions Exercises Frequency

Healthy/sedentary adults ACSM/AHA guidelines(2007)22) ACSM guidelines⁺(2006)39) Carpinelli et al⁺⁺⁺(2004)40) ACSM position stand(1998)8) USDHHS(1996)15)

1 set; 8-12 reps 1 set; 3-20 reps 1 set; 3-15 reps

less than 50-60 years 1 set; 8-12 reps 50-60 years and over 1 set; 10-15 reps

1-2 sets; 8-12 rep

8-10 exercises 8-10 exercises⁺⁺

8-10개 exercises 8-10개 exercises

2/wk, at least 2-3/wk 2-3/wk 2-3/wk 2/wk, at least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USDHH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ntensity of RPE 19-20 (volitional fatigue) or RPE 16 (less than 2-3 repetitions than the intensity of volitional fatigue) is recommended; ⁺⁺ at least 1 exercise per each major muscle: eg, chest press, shoulder press, triceps extension, biceps curl, pull-down(upper back), lower-back extension, abdominal crunch/curl-up, quadriceps extension or leg press, leg curls(hamstrings), calf raise; ⁺⁺⁺ recommended to finish when feeling difficult.

Table 4. Flexibility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s.

․a minimum of 2 to 3 days per week, ideally 5 to 7 days per week

․at a point to tightness, without inducing discomfort

․hold each stretch for 15 to 30 seconds

․2 to 4 repetitions for each stretch

ACSM (2006)39)

근력강화 신체활동과 유연성 신체활동 또한 해당 권고안에 근거하여 실천율과 실천 현황이 도출될 수 있는 도구여야 한 다(표 3, 4). 유연성 향상 신체할동 또한 권고

39)

에 근거하여 그 실천율과 실천 현황이 도출될 수 있는 도구여야 한다. 유 연성 향상을 위한 신체활동은 주근육군(관절)을 최소한 2-3일 (바람직하게는 5-7일), 긴장감을 느낄 정도로(불편함을 초래하 지는 않을 정도로), 15-30초간 시행하고, 1회 시행 시 2-4회

반복할 것이 일반적으로 권고되고 있다.

39)

(5)

2) 실행 가능성 관련

실행 가능성 향상을 위한 대안 개념이 반영되도록 작성되 어야 한다. 즉 신체활동 강도 및 시간에 대한 대안, 총 신체 활동량(중강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 뿐 아니라 중강도 +고강도의 조합으로서의 신체활동 실천) 대안 개념이 실천율 측정에 반영되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신체활동 강도 및 시간에 대한 대안 개념은 중강도 신체활 동 및 고강도 신체활동 단독으로 수행하는 신체활동 뿐 아니 라 고강도와 중강도 신체활동의 조합을 통해 신체활동을 수 행하는 경우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리고 일일 총 신체활동 시간으로 질문함으로써 반영될 수 있다.

총 신체활동량 개념은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 또는 MET-min 을 충족하는 인구비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도구를 작성함으로써 반영될 수 있다. 첫째, ㎉ 개념의 경우, 현재로서는 건강상의 이점 을 위해서는 주당 1,000㎉

14,15,32,41-43)

그리고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주당 2,000㎉ 초과

20,44)

를 하는 경우 각각 해당 신체활동 실천율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 시사되고 있다(표 1, 2). 둘째, MET-min 개념〔주당 신체활동시간(분) × 신체활동 강도(MET)〕의 경우, ACSM/AHA

22)

에서 건강증진과 유지를 위해 주당 450 MET-min 로 권고하고 있다.

3) 안전성 관련

신체활동 중 손상 위험성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들이 충분히 고려된 경우 높지 않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특히 위 험요인을 갖고 있거나 고강도 신체활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심각한 심혈관 및 근골격계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31)

. 따라서 규칙적 신체활동 실천(양적 측면) 뿐 아니라 안전한 규칙적 신체활동 실천(질적 측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 구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신체활동 금기사항에 포함되는 대상자가 신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가, 상당한 신체활동 증가 전 전문가와 의 상담이 요구되는 대상자가 상담 없이 신체활동을 실천하 고 있는가, 신체활동 중 또는 직후 과도한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는 증상 및 징후를 경험하는가 등 안전성 측면이 측정 가능하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3. 현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수정 방향성

위에서 언급한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 작성 방향에 근거할 때, 현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인 국민건강․영 양조사

45)

신체활동 부분 설문지는 몇 가지 사항들이 수정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래에 현 도구의 제한점과 이에 따른 수정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1) 효과성 측면

현 도구는 신체활동 권고안 진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신체 활동 효과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다.

그 근거와 수정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성 측면에서 측정이 필요한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 활동 실천율 관련 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나, 강도 정의에 있어 문 제가 있다. 제 3기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2006b)에서 고강도를 ‘평소보다 숨이 많이 가쁘고 심장박동이 많이 증가’하 는 격렬한 강도로 정의하고 중강도를 ‘평소보다 숨, 심장박동이 조금 증가’하는 강도로 정의하고 있었던 것을 제 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45)

에서는 ‘평소보다 몸이 조금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중등도 신체활동', ‘평소보다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많이 가쁜 격렬한 신체활동’으로 각각 수정하였으나, 이 또한 선행 모니터 링 도구와 마찬가지로

5)

관련 기관 및 문헌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의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표 5).

또 한 가지 고려되어야 할 것은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의 예가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성인(18-64세)에서 3-6METs에 해당하는 신체활동

47)

은 타당도가 높은 편이고 CDC/ACSM

9)

, NIH(1995)

16)

, USDHHS(1996)

15)

등의 권고안에서도 이러한 절대 적 강도상의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의 예가 제시되고 있으 나, 이와 같이 절대적 강도상의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의 예 를 제시하는 것은 개인차를 무시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42)

호흡, 심박 수, 신체활동 자각도, 대화/노래 가능성 등의 상대적 강도를 제시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절대적 강도상의 중강도 및 고강도는 개인에 따라 저강도, 고강도 또는 격렬한 신체활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큰 문제라 할 수 있는 것은 중강도 신체활동에서 걷기 가 제외되었다는 것이다(‘걷기는 제외함’이라고 명시되어 있 음). 이는 중강도 신체활동으로 빈번히 선택되는 신체활동 유 형을 중강도 신체활동에서 제외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그럼으 로써 정확한 중강도 신체활동 실천율을 산출할 수 없게 한다.

나아가서는 신체활동 실천율을 과소평가함으로써 국민건강증 진종합계획 신체활동 및 운동 활성화 사업의 성과를 과소평가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보다 과학적 근거가 있으 면서 신체활동 강도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정의(신체활동자각 도, 호흡, 심박 수, 대화/노래 등의 다양한 준거를 병용한 정의) 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신체활동 실천율을 얻고 국민건 강증진종합계획 신체활동 및 운동 활성화 사업의 성과를 최대 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근력강화 및 유연성 신체활동 실천을 측정하는 문항이 지나치게 간소화되어 있어 문항을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여러 기관에서 발표한 근력강화 신체활동 지침에 근거한

근력강화 신체활동 실천율과 실천 현황(효과적으로 안전하게

(6)

Table 5. Definitions of moderate- and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NHIS, NHNES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Activities that cause only light sweating or slight to moderate increase in breathing or heart rate

․Activities that cause heavy sweating or large increase in breathing or heart rate BRFSS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Moderate activities cause small increases in breathing or heart rate

․Vigorous activities cause large increases in breathing or heart rate CDC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some increase in breathing or heart rate, a "perceived exertion" of 11 to 14 on the Borg Scale

․large increase in breathing or heart rate (conversation is difficult or "broken"), a "perceived exertion"

of 15 or greater on the Borg scale Healthy People 2010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Activities that use large muscle groups and are at least equivalent to brisk walking

․Rhythmic, repetitive physical activities that use large muscle groups at 70% or more of maximum heart rate

IPAQ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Activities that take moderate physical effort and make you breathe somewhat harder than normal

․Activities that take hard physical effort and make you breathe much harder than normal GPAQ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Activities that require moderate physical effort and cause small increases in breathing or heart rate

․Activities that require hard physical effort and cause large increases in breathing or heart rate ACSM (2006) & Howley (2001)

․moderate-intensity

․hard/vigorous-intensity

․40~59 %HRR, 64~76 %HRmax, 12~13 RPE

․60~84 %HRR, 77~93 %HRmax, 14~16 RPE RAPA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your heart beats faster than normal, you can talk but not sing

․your heart rate increases a lot, you can't talk or your talking is broken up by large breaths KNHNES (3rd)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평소보다 숨, 심장박동이 조금 증가하는 중등도 신체활동....걷기는 제외함

(activities that cause small increases in breathing, heart rate.... with an exception of walking)

․평소보다 숨이 많이 가쁘고 심장박동이 많이 증가하는 격렬한 신체활동 (activities that cause large increases in breathing and heart rate) KNHNES (4th)

․Moderate-intensity PA

․Vigorous-intensity PA

․평소보다 몸이 조금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중등도 신체활동....걷기는 제외함

(activities that are slightly more difficult than usual or that cause small increases in breathing.... with an exception of walking)

․평소보다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많이 가쁜 격렬한 신체활동

(activities that are much more difficult than usual or that cause large increase in breathing)

Modified from Lee (2006)5);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HIS,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NHNE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RFSS,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GPAQ,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RAPA, Rapid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KNHN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vailable on

ftp://ftp.cdc.gov/pub/Health_Statistics/NCHS/Survey_Questionnaires/NHIS/2004/english/QADULT.pdf http:/www.cdc.gov/nchs/data/nhanes/nhanes_03_04/sp_paq_c.pdf

http:/www.cdc.gov/brfss/questionnaires/pdf-ques/2005brfss.pdf http://www.cdc.gov/nccdphp/dnpa/physical/terms/index.htm www.healthypeople.gov/Document/pdf/Volume2/22physical.pdf www.ipaq.ki.se/ipaq.htm

http://www.who.int/chp/steps/GPAQ%20Instrument%20and%20Analysis%20Guide%20vs.pdf http://www.sdprc.org/Ihn-tools/RAP-final-3-16-05.pdf

http://knhanes.cdc.go.kr/data/Data_02.aspx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얻을 수 없다(표 3).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문항은 ‘지난 1주일동안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아령, 역기, 철봉 등의 근력 운동을 한 날은 며칠입

니까?’로(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45)

, 일반적 근력강화 신체

활동 권고안〔일반적으로는 8-10개 종목(8-10개 주요 근육)을

8-12 반복으로 상당한 정도의 피로를 초래할 강도로 최소한 주

(7)

Upper limit of safety (freq, duration)

1

Participation in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

2

Participation in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3

Light Moderate Moderate~Vigorous Vigorous

← Upper limit of Safety (intensity) Below the level of the minimum

physical activity ←

→ Meeting the minimum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

Missed parts of monitoring when simply monitored by moderate- or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clude the following:

1 2 3

Light-intensity physical activity but meeting the minimum amount

Meeting the minimum amount by combination of moderate- or vigorous- intensity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risky physical activity

Fig. 1. The spectrum of physical activity (Adopted from Lee, 2006).

2회로 하되 비연속적으로〕

22)

과 무관하게 시행한 근력강화 신 체활동을 수행한 대상자까지 포함함으로써 근력강화 신체활동 실천율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고, 그 실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2) 실행 가능성 측면

현 도구는 신체활동 권고안 진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실행 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다. 현 도구는 실행 가능성 향상과 관련하여 강도 및 시간 측면에서 의 대안 개념 즉, 고강도 신체활동의 대안인 중강도 신체활 동과 1회 연속 신체활동의 대안인 축적(최소 10분씩 총 30분)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총 신체활동량 개념의 경우 신체활동 강도에 따라 중강도 신체활동이 될 수 있는 걷기가 중강도 신체활동에서 배제되어 있고(‘...걷기는 제외’라는 문구 가 포함되어 있음), 걷기를 묻는 문항의 경우 그 강도를 묻지 않음으로써(‘최근 1주일 동안 한 번에 적어도 10분 이상 걸은 날은 며칠입니까? 출퇴근 또는 등하교, 이동 및 운동을 위해 걷는 것을 모두 포함하여 대답해 주십시오.’) 총 신체활동량 개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현 도구로 규칙적 고강도 및 중강도 신체활동 실천율을 산 출할 경우 고강도 및 중강도 신체활동 실천율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최소한의 신체활동 권고량을 충족하는 대상자가 신체 활동 실천율에서 배제되게 된다(그림 1). 예를 들어 일주일에 4일간은 30분 이상의 중등도 운동을 하고 2일은 20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고 있다면 건강상의 이점을 얻기 위한 운동

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을 것이나, 이들은 규칙적 고 강도 및 중강도 신체활동 실천율에 포함되지 않게 된다.

5)

강 도가 낮은(40% 미만) 신체활동의 효과에 대해서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 또한 보고되고 있으나 최대산소섭취량의 40%

미만의 저강도 신체활동으로는 얻고자 하는 건강상의 이점을 얻을 수 없다고 보고되므로

8)

그림 1에서 1에 해당하는 부분 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신체활동 실천율에 포함하는 것에 대 한 고려는 일단 차치할 것이다.

이들을 규칙적 신체활동 실천율에 포함시킬 수 있는 방법은

총 신체활동량 개념, 즉 ㎉ 또는 MET-min 개념을 활용하는 것

이다(표 2, 6).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신체활동 실천율

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체활동 및 운동 활성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과소평가 가능성이 감소되게 된다. 상기 언급된

대상자를 신체활동 실천율에 포함함으로써 과소평가 가능성이

감소될 뿐 아니라

5)

평균 신체활동량을 산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지표를 제공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평균 신체활동

량은 최소한의 신체활동 권고량이 설정되고 있으나, 신체활동

과 그 효과간의 양-반응 관계에 근거하면 그 변화 추이가 또한

신체활동 및 운동 활성화 사업에서 중요한 성과지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기구(WHO)에서 필요로 하는 보

건부분 통계

17)

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되므로 MET-min 개념으로

서의 총 신체활동량을 산출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할 것이다

(표 5). 그러므로 걷기를 따로 분류하여 측정하는 이유가 ‘성인

1일 평균 보행시간을 증가시킨다.’는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의 운동 부분 추진 목표 때문에 걷기를 분리한 것이라면, 현재

(8)

Table 6.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Physical activity level Definition

USDA

Active ․60 minutes or more of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Moderately active ․30 to 60 minutes of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Sedentary ․Only the light physical activity associated with typical day-to-day life

IPAQ⁺⁺

: Short form

High

․Vigorous-intensity activity on at least 3 days achieving a minimum total physical activity of at least 1500 MET-minutes/week

․7 or more days of any combination of walking, moderate-intensity or vigorous-intensity activities achieving a minimum total PA of at least 3000 MET-minutes/week

Moderate

․3 or more days of vigorous-intensity activity of at least 20 minutes per day

․5 or more of moderate-intensity and/or walking of at least 30 minutes per day

․5 or more days of any combination of walking, moderate-intensity or vigorous intensity activities achieving a minimum total PA of at least 600 MET-minutes/week

Low ․Not meet criteria for categories 2 or 3

GPAQ⁺⁺⁺

High ․Vigorous activity (work, recreational activities), ≥ 3 days, & MET minutes ≥ 1500

․The sum of 3 areas ≥ 7 days & MET minutes ≥ 3000

Moderate

․Vigorous activity (work, recreational activities), ≥ 3 days, & ≥ 60 min.

․The sum of moderate (work, recreational activities) and travel activity ≥ 5 days & ≥ 150 min

․The sum of 3 areas ≥ 5 days & MET minutes ≥ 600 Low ․Not meet criteria for categories 2 or 3

ACSM/AHA(2007)22) Moderate ․450 ≤ MET-min ≤ 900

United States Dept. of Agriculture,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available on http://www.health.gov/dietaryguidelines/dga2005/document/pdf/Chapter4.pdf

⁺⁺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short and long forms available on http://www.ipaq.ki.se/dloads/IPAQ%20LS%20Scoring%20Protocols_Nov05.pdf

⁺⁺⁺ GPAQv2.0; total physical activity = the sum of 3 areas which are activities at work, travel to & from places (walk or bicycl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available on http://www.who.int/chp/steps/GPAQ%20Instrument%20and%20Analysis%20Guide%20vs.pdf

와 같이 분리하여 측정하되 수행하는 강도를 추가적으로 묻도 록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걷기는 수행하는 속도에 따라 다양 한 강도(3.2kph로 걸을 경우 2.5METs, 8kph로 걸을 경우 8.0METs까지 다양하고, 짐이나 아이를 안고 걷거나 경사도와 같은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차이가 있기 마련임)의 신체활동이 될 수 있으므로

47)

일괄적인 METs로 계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보다 정확한 총 신체활동량 측정을 위해 추후 논의되어야 할 부분은 중강도 신체활동을 4 METs로 그리고 고강도 신체활 동을 8 METs로 즉 평균 METs로 계산하는 것의 타당성이다.

평균 METs로 계산하여 MET-min나 ㎉를 산출하는 것은 동일 한 운동 강도 내에서도 존재하는 상당한 강도 차이(예를 들어, 중강도의 경우 3-6METs)가 있다는 것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이에 따라 각 신체활동 유형별 METs를 사용하 여 총 신체활동량을 추정한다면, 현재 이용 가능한 신체활동 종류에 따른 METs

47)

를 우리나라 성인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 의 타당성 또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신 체활동 유형별 METs를 미국 성인(18세-64세)에게 사용하는 것 은 문제가 거의 없다고 하더라도

22)

우리나라 성인에게 적용할 경우에는 심폐체력과 같은 체력상의 차이를 감안하여야 할 것

이며, 이는 소소한 문제로 인식되더라도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우리나라 성인이 실천하는 신체활동 종류가 일부 포함되어 있 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추후 이들 신체활동(특히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라는 측면에서 중강도 이상 즉 중강도 포함 그 이상의 강도가 될 신체활동 종류)의 평균 MET를 설정하는 작 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체중을 부하하는 미용체조(calisthenics), 계단 오르기 등의 주요 근육군을 포함하는 저항운동

22)

이 또한 근력강화 신체 활동의 예가 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이는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실행가능성 측면) 근력강화 신체활동 실천율을 보다 정확하게 그리고 과소평가됨이 없이 측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Ⅲ. 결 론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하 신체활동 및 운동 활

성화 사업의 성과를 타당하게 그리고 과소평가함이 없이 최

대로 평가하는 데에 기여하기 위해, 신체활동 권고안의 진화

를 가져온 주요 요소들을 분석하여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측정 도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되고

(9)

있는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를 검토함으로써 요구되는 수정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결언하면,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하 신체활동 및 운동 활성화 사업의 성과를 경험적 근거 하에 타당하게 측정하고, 사업의 성 과를 극대화하고, 더불어 그 활용도를 다양하게 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구는 다음의 내용을 측정할 수 있게 개발되어야 한다. 첫째, 심폐체력 향상 효과 뿐 아니라 만성질환 위험 감소, 체중조절(체중 획득 예방 및 체중 감소 후 유지), 근 체력 및 유연성 향상 등을 포함한 신체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른 건강상의 이점 또한 상당한 중요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들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신체활동 실천율과 실천 현황(실천상의 문 제점)이 과학적 근거 하에 도출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둘째, 대안(신체활동 강도, 시간, 총 신체활동량 개념) 개념 즉, 중강도 또는 고강도 단독 실천 신체활동량 뿐 아니라 중강도+고 강도의 조합으로서의 신체활동량 측정을 통한 신체활동 실천율 측정이 가능하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셋째, 규칙적 신체활동 실 천(양적 측면) 뿐 아니라 안전한 규칙적 신체활동 실천(질적 측 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이에 근거할 때 현 도구가 수정되어야 할 구체적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을 묻는 문항에서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의 정의가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걷기를 중강도 신체활동 측정 문항에 포함하거나 걷기 관련 문항에서 강도가 함께 측정되어야 한다. 셋째, 근 력강화 및 유연성 향상 신체활동 실천을 측정하는 문항이 보 다 구체화되어야 하다. 넷째, 신체활동 실천의 안전성을 측정 할 수 있는 문항이 개발, 추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한다. 첫 째, 상기 내용에 근거하여 새로운 신체활동 실천 모니터링 도 구를 작성하고 그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수행되 어야 할 것이다. 신체활동은 복잡한 행위이며 따라서 이를 정 확히 측정할 수 있는 완벽한 도구를 개발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과제일 수 있으나, 건강증진을 저해하는 신체활동 부족을 최대 한 과학적 근거 하에 모니터링하는 것은 신체활동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의 설정과 이러한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성인의 건강증진 신 체활동으로 제한하였다. 학령기(아동 및 청소년)와 노인을 위 한 신체활동 권고는 성인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그 모니터링 도구도 달라져야 할 것이며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 에 대해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요 약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하에 우리나라 성인의 규칙적 신체활

동 참여율 증가를 위한 노력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 라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어 왔다. 반면, 부분적으로는 신체활 동 참여 모니터링 도구의 제한성으로 인해 그 사업의 성과가 최대로 얻어지고 있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도구의 타당성을 그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구 체적으로 검토, 제시하고, 이를 근거로 보다 타당한 신체활동 참여 모니터링 도구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현 시점에 서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신체활동 권 고 관련 기관이나 전문가들로 하여금 기존의 신체활동 권고를 수정하도록 이끈 주요 요인들을 권고안의 변화에 대한 심층 고 찰을 통해 도출하여 신체활동 모니터링 도구 개발 시 요구되는 방향성을 규명하고, 그 후 규명된 방향성에 근거하여 현재 사 용되고 있는 도구의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신체활동 권고를 수정하도록 이끈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았 다. 첫째, 신체활동의 효과를 심폐체력으로부터 만성질환 예방 및 체중 관리를 포함하는 건강상의 이점으로 확장하는 패러다 임의 변화이다. 둘째, 실행 가능성과 안전성에 대한 증가된 중 요성이다. 즉 신체활동 모니터링 도구 개발 시에는 효과성, 실 행 가능성 및 안전성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암시되고 있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체 활동 모니터링 도구를 검토한 결과 몇 가지 개선될 사항이 있 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구는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수정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선 행 문헌에 근거한 신체활동 강도에 대한 정의/기술을 보다 충 분히 반영하여야 한다. 둘째, 최소한의 권고를 충족하고 있으 나 중강도 신체활동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것 으로 간주되고 있는 대상자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한다. 셋째, 신체활동 참여의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는 문항들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보다 타당한 신 체활동 모니터링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중심단어

건강증진, 신체활동, 측정

참고문헌

1.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and development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sport. World Health Organization,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Mental Health, N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003.

(10)

2. Jung YH. Disease and health promotion from the point of economic factor: analysis of health determinants. 2007 Public health center executives' workshop on health promotion business and leadership 2007.

3.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guidelines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ject-exercise, nutrition, drinking in moderation, and obesity-. 2006a.

4. Yang YJ. Development of the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Project paper of health promotion project. 2007.

5. Lee MR. A study for health promotion in middle-aged Korean women:

measuring exercise behavior, analysing exercise barriers,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in triglycerides and high-int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Konyang University;2006.

6. Kim WS, Lee MR. Guidelines for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status quo and directions to change. 32nd health science symposium 2007;68-69.

7.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position statement on the recommende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fitness in healthy adults. MSSE 1978;10:7-10.

8.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Position stand: the recommende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cardiorespiratory and muscular fitness in healthy adults. Med Sci Sports Exerc 1998;22:265-274.

9. Pate RR, Pratt MP, Blair SN, Haskell WL, Macera CA, Bouchard C, Buchner D, Ettinger W, Health GW, King AC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a recommendation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JAMA 1995;273:402-407.

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Medical/scientific statement on exercise: benefits and recommendations for physical activity for all Americans. Circulation 1992;85(1):2726-2730.

11. Blair SN, Kohl HW, 3rd, Paffenbarger RS Jr, Clark DG, Cooper KH, Gibbons LW (1989). Physical fitness and all cause mortality.

A prospective study of healthy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89;262:2395-2401.

12. Morris JN, Hady JA, Raffle PA, Roberts CB, Parks JW. Coronary heart disease and physical activity of work. Lancet 1953;1053:1111-1120.

13. Paffenbarger RS JR, Hyde RT, Wing AL, Lee IM, Jung DL, &

Kampert JB. The association of changes in physical-activity level and other lifestyle characteristics with mortality among men.

The New England Jouranal of Medicine;1993;328:538-535.

14. Paffenbarger RS Jr, Wing AL, & Hyde RT. Physical activity as

an index of heart attack risk in college alumni. Am J Epidemiol 1978;108:161-175.

1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 Department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1996.

16.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health. NIH consensus statement. 1995;13(3):1-33.

17. WHO.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framework to monitor and evaluate implementation. WHO Library Cataloguing-in-Publication Data. 2006.

18. Braith RW, Stewart KJ.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its role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06;113:2642-2650.

19. ACSM. Position stand: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weight loss and prevention of weight regain for adults. Med Sci Sports Exerc 2001;33:2145-2156.

20.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macronutrien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2002.

21. Saris WH, Blair SN, van Baak MA, Eaton SB, Davies PS, Pietro L, Fogelholm M, Rissanen A, Schoeller D, Swinburn B, Tremblay A, Westerterp KR, Wyatt H. How much physical activity is enough to prevent unhealthy weight gain? Outcome of the IASO 1st Stock Conference and consensus statement. Obes Rev 2003;4:101-114.

22. Haskell WL, Lee I-M, Pate RR, Powell KE, Blair SN, Franklin BA, Macera CA, Heath GW, Thompson PD, Bauman A.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7;116:1081-1093.

2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expected longevity of Koreans. 2007.

24. DeBusk RF, Stenestrand U, Sheehan M, et al. Training effects of long versus short bouts of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Am J Cardiol 1990;65:1010-1013.

25. Jakicic JM, Marcus BH, Gallagher KI, Bapolitano M, Lang W.

Effect of exercise duration and intensity on weight loss and intensity on weight loss in overweight, sedentary women. A randomized trial. JAMA 2003;290:1323-1330.

26. Murphy MH, Hardman AE. Training effect of short and long bouts of brisk walking in sedentary women. Med Sci Sports Exerc 1998;30:152-157.

27. Murphy M, Neville A, Neville C, Biddle S, Hardman A. Accumulation of brisk walking for fitness, cardiovascular risk and psychological

(11)

health. Med Sci Sports Exerc 2002;34:1468-1474.

28. Duscha BD, Slentz CA, Johnson JL, Houmard JA, Bensimhon DR, Knetzger KJ, Kraus W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mount and intensity on peak oxygen consumption in middle-age men and women at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CHEST 2005;128:2788-2793.

29. Swain DP & Franklin BA. Comparison of cardioprotective benefits of vigorous versus moderate intensity aerobic exercise.

Am J Cardiol 2006;97:141-147.

30. Available from:URL:http://2010.hp.go.kr/cont/cont_2.aspx.

31. Thompson PD, Franklin BA, Balady GJ, Blair SN, Corrado D, Estes NAM, Fulton JE, Gordon NF, Haskell WL, Link MS, Maron BJ, Mittleman MA, Pelliccia A, Wenger NK, Willich SN, Costa F. Exercise and acute cardiovascular events: placing the risks into perspectiv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scil on nutrition, phyh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and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Circulation 2007;115:2358-2368.

32. Morris JN, Clayton DG, Everitt MG, Semmence AM, Burgess EH. Exercise in leisure time: corobary attack and death rates. Br Heart J 1990;63:325-334.

33. Hill JO, Wyatt HR, Reed GW, Peters JC. Obesity and the environment:

where do we go from here? Science 2003;299:853-855.

34. Klem ML, Wing RR, McGuire MT, Seagle HM, Hill JO. A descriptive study of individuals successful at long-term maintenance of substantial weight loss. Am J Clin Nutr 1997;66:239-246.

35. Hill JO, Wyatt HR.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J Appl Physiol 2005;99:765-770.

36. Suitor CW, Kraak VI. Adequacy of evidence for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development: workshop summary. Food and Nutrition Board & Board on Population health and Public Health Practice,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The National Academies Press;2007.

37. Kohl HW.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Meeting

Summary, March 30-31, 2004, www.health.gov/dietaryguidelines, accessed on 10/07/2007.

3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Inside the pyramid: how much physical activity is needed?;2007. Available from:URL:

http://www.mypyramid.gov.

39. ACS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seventh edition. Philadelphia: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6.

40. Carpinelli RN, Otto RM, Winett RA. A critical analysis of the ACSM position stand in resistance training: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recommended training protocols. JEP online 2004;7(3):1-60.

41. Haskell WL. Health consequences of physical activity:

understanding and challenges regarding dose-response. Med Sci Sports Exerc 1994;26:649-660.

42. Lee I-M, Sesso HD, Oguma Y, Paffenbarger RS. Relativ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Circulation 2003;107:1110-1116.

43. Lee IM, Skerrett P. Physical activity and all-cause mortality:

what is the dose-response relation. Med Sci Sports Exerc 2001;33:S459-S471,S493-S494.

44. Ross R, Janssen I. Physical activity, total and regional obesity:

dose-response considerations. Med Sci Sports Exerc 2001;33:S521- S527,S528-S529.

4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nutrition survey. 2007.

Available:from:URL:http://knhanes.cdc.go.kr/data /Data_02.aspx.

46.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National health․nutrition survey. 2006b.

47. Ainsworth B, Haskell WL, White MC, Irwin ML, Swartz AM, Strath SJ, O'Brien WL, BAssell DR Jr, Shmitz KH, Emplaincourt PO, Jacobs DR Jr, Leon AS.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Med Sci Sports Exerc 2000;32:S498-S516.

수치

Table  1.  Suggested  minimum  weekly  energy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hysical  activity.
Fig.  1.  The  spectrum  of  physical  activity  (Adopted  from  Lee,  2006).
Table  6.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참조

관련 문서

Therefore, it suggests that sensorial activities based performance play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mprove playfulness and creativ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Changes on tea culture and tea ceremony thought should be performed in various areas.. But, there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used in this

Moreover, it describes how this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with referring to studies and litera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ading book

So this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on the various forms of tag questions is required and English textbooks should include the practical types of

 The composition schema must include activities that receive and send messages as prescribed by the protocol, and in the appropriate order.  How can protocol definitions be

Remember that the method of scoring the project over time (whether individual or team-based) should be consistent because it is a subjective rating. • Compare project

If this spring should happen to be part of a larger elastic system, it will always contribute the energy (2.3) to the total stored energy of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