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욕창치유 사정도구를 적용한 내과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욕창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욕창치유 사정도구를 적용한 내과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욕창특성"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욕창치유 사정도구를 적용한 내과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욕창특성

1

이미란

1

·나연경

2

경북대학교병원 간호부1 경북대학교 간호대학2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Ulcer in Patients Admitted to Medical Intensive Care Unit - using the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PUSH) tool

Lee, Mi Ran

1

, Na, Yeon Kyung

2

1Head Nurs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egu, Korea

2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ulcer in patients who are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by using the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PUSH) too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medical records of 41 patients who admit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an hospital between April 1st in 2010 and August 31st in 2011. The patients had 72 pressure ulcers altogeth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IBM WIN version 21.0. Results: According to the assessment of PUSH, frequency of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was in the sacrum and coccyx area 47.2% and buttocks area 15.3%, heels area 15.3%, occipital area 11.1%, ankle and knees area 1.4%. During the hospital stay, the degree of pressure ulcer healing was completely cured 19.6%, decreased 22.2%, no change 36.0%, and increased 22.2%. The PUSH scor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bowel incontinence but no different on the use of ventilator, in statistical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USH can be a valid assessment tool for the pressure ulcer and an evidence-based tool for tracking changes in the pressure ulc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s a basic data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pressure ulcer.

Key words: Pressure Ulcer; Intensive Care Units; Assessment Tool 국문주요어 : 욕창 중환자실 욕창치유 사정도구 , , ,

Corresponding author : Na, Yeon Kyung

소속 :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680, Gukchaebosangro, Jung-gu, Daegu, 700-422, Korea Tel: +82-53-420-4921 Fax: 82-53-421-2758 E-mail: yoenkna@knu.ac.kr

Received : Jun 30, 2015 Revised : Aug 11, 2015 Accepted : Aug 28, 2015

(2)

연구의 필요성 1.

욕창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 혹은 마 찰과 전단력의 반복적 작용으로 모세혈관에 순환장애 를 일으켜 피부 및 피하심부조직에 괴사가 생기는 것 을 말하며 [1], 환자에게 욕창이 발생하면 재원일수가 늘어나고 욕창치료를 위한 의료비의 증가 등으로 환 , 자와 가족에게 신체 정신적 고통과 함께 경제적인 부 , 담도 수반된다 [2, 3]. 욕창발생은 간호제공자에게도 죄 책감 실패감 잘못된 환자관리와 주의태만 등의 감정 , , 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어 의료진에게도 정신적 스트 레스를 줄 수 있다[4].

우리나라의 경우 욕창발생에 대한 최근 보고는 정확 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 2005 년부터 2008 년까지 국 내 150 곳 병원의 퇴원환자 중 욕창환자의 수가 2005 년

년 에서 년 년

23.1%, 2006 23.6% 2007 28.4%, 2008 24.9%

로 2007 년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2008 년 약간 감소하였 고 욕창환자의 재원일수는 , 2005 년 47.4 일에서 2008 년 일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현재 노인인

60.8 [5],

구의 증가와 더불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욕창의 발생에 있어서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발 생률은 21.7-45.5%[6-8], 일반병실 환자의 욕창발생률 은 11.6-30.3% [9, 10], 로 중환자실 환자가 일반병실의 환자보다 욕창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발생 빈도가 더 높은 원인으로는 인공호흡기 등 부동을 초래하는 장비의 사용 환자의 , 의식저하와 기동력 저하 영양상태 불량 대소변실금 , , 및 능동적인 체위변경 등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11].

최근 전 세계적으로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만성 및 중증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피부통합성 장애에서 가 장 크고 심각한 간호문제 중 하나인 욕창에 대한 간호 및 서비스의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12], 욕창 간호업무 는 간호사가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간호행위로서 간호 사의 판단과 능력이 욕창예방과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른 병원간호사회 용역연구사업의 일환으 [13].

로 근거 중심의 욕창실무지침서 개발 및 학술강연[14], 입원환자의 욕창실태와 욕창상태 영향요인 [15], 입원환

자 욕창 사정의 정확성 [16]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의 경우 당뇨성 신경병증 환자 . 당뇨와 정맥류가 있는 환자 요양병원 입원

[17], [18],

환자 [19], 욕창이 있는 노인환자 [20] 를 대상으로 과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PUAP)

에 의 Europe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EPUAP) 해 개발된 욕창치유 사정도구인 Pressure Ulcer Scale

를 사용하여 시행한 연구들이 꾸준 for Healing (PUSH)

히 보고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 PUSH 도구를 이 용한 욕창의 치유 정도를 파악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욕창간호에 관한 국가적으로 표준화된 실무지침서가 없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병원간호사회 용역연구로 수용 개작된 욕창간호 실무지침을 사용하고 있으나 국내 의료기관 평가제도에서 제시한 간호서비스 [21],

평가기준은 단지 간호요구도 사정 간호정보 수집 간 , , 호과정 시행 여부의 항목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구체적 인 근거로 한 표준안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16]. 또 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에 따른 표준화된 간호제공 을 수행하여야 하나 간호사간의 간호 실무에 대한 지 식 및 수행방법에 대한 개인 차이가 있어 효과적인 욕 창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기적인 교육 또 , 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입실이후 욕창의 발생정도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욕창 관리를 위해 NPUAP 와 EPUAP 의 PUSH 욕창치유 사 정도구를 이용하여 내과중환자실 재원기간동안 욕창의 치유과정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욕창관리의 실무지 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임상간호실무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한 욕창이 있 는 환자를 대상으로 PUSH 도구를 이용한 욕창치유 사정 기록을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 , 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욕창 특성을 파악한다

1) .

대상자의 재원기간에 따른 도구 점수 변

2) PUSH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구 점수

3) PUSH

변화를 확인한다.

연구방법

연구 설계 1.

본 연구는 상급병원 내과중환자실의 입원환자를 대 상으로 욕창의 실태와 욕창치유 사정도구를 적용한 욕 창의 치유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간호수행기록과 의무 기록 검토를 통해 이루어진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2.

본 연구는 2010 년 4 월 1 일부터 2011 년 8 월 31 일까 지 D 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내과중환자 실에 입원하여 24 시간 이상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 으로 하였다 내과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 369 명 중 개 이상의 욕창이 발생한 대상자 중 회 이상 욕창치

1 2

유 사정도구로 욕창을 사정한 41 ( 명 욕창 개수 : 72 ) 개 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 3.

욕창치유 사정도구 1)

욕창치유 사정도구는 NPUAP 와 EPUAP (2009) 에 의 해 개발된 구조화된 도구인 PUSH Tool version 3.0 으 로써 욕창의 크기 삼출물의 정도 욕창기저부의 조직 , , 상태에 따라 각각의 점수를 구한 후 세 종류의 점수 , 를 모두 더하여 총점을 구한 점수이다 총점은 최저 . 0 점에서 최고 17 점으로 점수가 감소하면 욕창이 치유되 고 있는 것이며 점수가 증가하면 악화되고 있음을 의 , 미한다.

도구 사용 방법 2) PUSH

점수 : PUSH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욕창을 사정하 여 다음의 세 가지 요소를 확인하여 점수를 측정한다.

길이 폭 점수 범위

(1) × : 0

-

10

길이와 폭을 곱하여 욕창의 넓이(cm

2

) 를 구하고 도구에서 해당되는 범위의 점수를 기록한다.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항상 같은 방법으로 cm

측정한다.

삼출물의 양 점수 범위 없음 많음

(2) : 0 ( ) - 3 ( )

드레싱을 제거 후 욕창으로 부터의 삼출물을 측 정하며 양의 정도는 없음 약간 있음 중간 및 , , , 많음으로 구분한다.

(3) 조직의 종류 : 점수 범위 0 ( 폐쇄 ) - 4 ( 괴사조직 ) 괴사조직 가피 검정 갈색 혹은 황갈색의

4- ( ) : ,

조직으로 욕창의 기저부나 가장자리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며 주위의 피부보다 단단하거나 부드럽다.

부육 노란색 혹은 하얀색의 조직으로 욕창 3- :

의 기저부에 부착되어 있다.

육아조직 분홍색 또는 선홍색의 반짝거리며

2- :

촉촉한 원형형태의 조직이다.

상피조직 욕창의 가장자리나 표면에서 자라

1- :

난 새로운 분홍색 조직이다.

폐쇄 욕창이 완전히 새로운 피부로 덮인 0- :

상태를 말한다.

자료수집 방법 4.

본 연구는 K 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RB) 의 승인

승인번호 을 받아 시행하였다

( : KNUH 2014-01-020) . 자료 수집은 2010 년 월 일부터 4 1 2011 년 월 8 31 일까지 담당간호사가 매주 1 회 사정 기록한 욕창치유 사정점 수 욕창위치 발생시기가 기록된 , , PUSH 도구 기록지 를 이용하였으며 검사결과 및 질병특성 관련 요인들 , 은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에 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도구 에 작성된 기록은 내과중환자실 간 PUSH chart

호사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간호실무지침서에 따라 도구에 대한 교육이 시행된 후에 작성된 것으 PUSH

로 욕창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자 욕창관련 간 호사 보수교육 , 학회 , grand conference 및 ward

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졌다 특히

conference . ward

에서 도구 기록지 작성에 대한 정기

conference PUSH

(4)

적인 공지활동을 통해 기록이 누락되지 않도록 교육했 다 . PUSH 도구 기록지 작성은 입원 당시 혹은 중환자 실 재원 중에 욕창이 발생한 경우 초기 사정이 이루어 졌으며 매주 화요일마다 낮번 근무 간호사가 욕창 발 , 생 부위에 대해 정기적으로 재사정되었다 . 욕창은 도구 기록지에 기록되었으며 욕창 발생부위는

PUSH ,

사진으로 남겨져 추후에도 욕창 치유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분석방법 5.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version 21.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욕창의 특성 및 재 , 원기간에 따른 PUSH 도구의 점수변화는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 PUSH 도구의 점수변화는 빈도 백분율 및 , 

-test 를 이용하였다 .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 과 같다 성 . 별은 남 자가 70.7%, 여자가 29.3% 이며 나이는 , 73.2% 가 60 세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 40 세 미만 14.6%,

세 로 나타났다 재원기간은 주가

40-59 12.2% . 3-4

로 가장 많았으며 주 주 주 주

24.4% , 2 -3 17.1%, 1 -2 주 이상 순이었고 욕창의 발생 개수는 14.6%, 7 12.2% ,

개가 로 가장 많았으며 개 개

1 58.5% , 2 21.9%, 3 9.8%, 개와 개는 동일한 로 나타났다 욕창 발생 진료

4 5 4.9% .

과는 폐 호흡기가 / 46.3% 로 가장 많았으며 알레르기 , / 감염 14.6%, 혈액 종양 / 12.2%, 신장과 소화기계 각각

기타 순이었다 인공호흡기의 사용유무에

9.8%, 7.2% .

서는 사용하는 경우 82.9%, 사용하지 않는 경우 17.l%

이었으며 변실금 유무에서 실금이 있는 경우 , 70.7%, 없는 경우 29 .3% 이었다 내과중환자실 입원 시 알부민 . 수치는 3.2 g/dL 미만이 90.2%, 3.2-4.8 g/dL 이 9.8%

이었으며 , 퇴실 시 알부민 수치는 3.2 g/dL 미만이 이 로 확인되었다 내과중환자실 78%, 3.2-4.8 g/dL 22% .

입원 시 헤모글로빈 수치는 12 g/dL 미만이 73.2%,

이 이었으며 퇴실 시 헤모글로빈 수치 12-18 g/dL 26.8% ,

는 12 g/dL 미만이 95.1%, 12-18 g/dL 이 4.9% 이었다 .

대상자의 욕창 특성 2.

대상자의 70.8% 가 내과중환자실 입원 시 욕창이 있 었으며 , 29.2% 는 입원 후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욕창의 단계는 심부조직손상의심이 44.4% 로 가장 많았 으며 , 2 단계가 43.1%, 3 단계 8.3%, 1 단계 2.8%, 4 단계 순으로 조사되었다 욕창위치는 천골 미골 부위

1.4% . /

가 47.2% 로 가장 많았으며 , 둔부와 발뒤꿈치 각각

후두부 두정골 등이 각각 복사

15.3%, 11.1%, 2.8%,

뼈 견갑골 장골능 및 무릎 뒤가 각각 , , 1.4%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재원기간에 따른 도구 점수변화

3. PUSH

대상자의 재원기간에 따른 PUSH 도구의 점수는 Table 과 같다 재원기간동안 욕창은 완전 치유 감소

3 . 19.6%,

변화 없음 증가 로 나타났다 욕창

22.2%, 36.0%, 22.2% . 의 완전 치유는 재원기간 주 미만에서는 없었으며 2 , 2-3 주 5.6%, 3-4 주 2.8%, 4-5 주와 5-6 주는 1.4%, 6-7 주미만 은 2.8%, 7 주 이상은 5.6% 이었다 . PUSH 점수의 감소는

주 미만에서 주 주 주

1 1.4%, 1-2 2.8%, 2-3 6.9%, 3-4

주 주 이었으며 주와 주 이

4.1%, 4-5 2.8%, 6-7 4.1% , 5-6 7 상에서는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USH 점수의 변화 없음은 주 미만 1 5.6%, 1-2 주와 2-3 주 6.9%, 3-4 주 와 4-5 주 2.8%, 5-6 주 4.1%, 6-7 주 2.8%, 7 주 이상 이었다 점수가 증가는 주 미만에서는 없었

4.1% . PUSH 2

으며 , 2-3 주 2.8%, 3-4 주 6.9%, 4-5 주 4.1%, 5 주부터의 주별과 주 이상에서 모두 동일한 7 2.8% 로 조사되었다 .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구 점수변화

4. PUSH

일반적 특성에 따른 PUSH 도 구 점수변화는 변실금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 <.05), 인공호흡기 사용 유무와 입원 시 알부민 수치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5)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M±SD

Gender(M/F) Male 29 (70.7)

Female 12 (29.3)

Age(yr) <40 6 (14.6)

40-59 5 (12.2)

60

≥ 30 (73.2)

Length of Hospital Stay <1 3 (7.3)

(week) 1 ≤ Hospital stay<2 6 (14.6)

2 ≤ Hospital stay<3 7 (17.1) 3 ≤ Hospital stay<4 10 (24.4) 4 ≤ Hospital stay<5 2 (4.9) 5 ≤ Hospital stay<6 4 (9.8) 6 ≤ Hospital stay<7 4 (9.8)

7

≥ 5 (12.2)

Pressure Ulcer Number 1 24 (58.5)

2 9 (21.9)

3 4 (9.8)

4 2 (4.9)

5 2 (4.9)

Department Lung/Respiratory 19 (46.3)

Allergy/Infection 6 (14.6)

Nephrology 4 (9.8)

Hemato/Oncology 5 (12.2)

Gastrointestinal 4 (9.8)

Others 3 (7.3)

Ventilator Yes 34 (82.9)

No 7 (17.1)

Bowel Incontinence Yes 29 (70.7)

No 12 (29.3)

Albumin on admission (g/dL) <3.2 37 (90.2) 2.50±0.44

3.2-4.8 4 (9.8)

Albumin on transfer (g/dL) <3.2 32 (78.0) 2.56±0.59

3.2-4.8 9 (22.0)

Hemoglobin on admission (g/dL) <12 30 (73.2) 10.71±1.85

12-18 11 (26.8)

Hemoglobin on transfer (g/dL) <12 39 (95.1) 9.50±1.54

12-18 2 (4.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 N =41)

(6)

N=Numbers of Pressure Ulcer

Characteristics

PUSH Score Change Complete Cure

n (%)

Decrease n (%)

No change n (%)

Increase n (%)

<1 week 0 (0) 1 (1.4) 4 (5.6) 0 (0)

1 ≤ Hospital stay<2 weeks 0 (0) 2 (2.8) 5 (6.9) 0 (0)

2 ≤ Hospital stay<3 weeks 4 (5.6) 5 (6.9) 5 (6.9) 2 (2.8)

3 ≤ Hospital stay<4 weeks 2 (2.8) 3 (4.1) 2 (2.8) 5 (6.9)

4 ≤ Hospital stay<5 weeks 1 (1.4) 2 (2.8) 2 (2.8) 3 (4.1)

5 ≤ Hospital stay<6 weeks 1 (1.4) 0 (0) 3 (4.1) 2 (2.8)

6 ≤ Hospital stay<7 weeks 2 (2.8) 3 (4.1) 2 (2.8) 2 (2.8)

7 weeks

≥ 4 (5.6) 0 (0) 3 (4.1) 2 (2.8)

Total 14 (19.6) 16 (22.2) 26 (36.0) 16 (22.2)

Table 3. The Score Change of PUSH Tool by Length of Hospital Stay ( N =72)

N=Numbers of Pressure Ulcer

Characteristics

PUSH Score Change

p No Change

n(%)

Decrease n(%)

Increase n(%)

Bowel Incontinence Yes 4 (5.6) 10 (13.9) 9 (12.5)

7.654 .022

No 22 (30.6) 20 (27.8) 7 (9.7)

Ventilator Yes 20 (27.8) 24 (33.3) 16 (22.2)

4.209 .122

No 6 (8.3) 6 (8.3) 0 (0)

Hypoalbuminemia on admission 22 (30.6) 30 (41.7) 15 (20.8)

5.117 .077

Normal Albumin on admission 4 (5.6) 0 (0) 1 (1.4)

Table 4. The Score Change of PUSH Tool by General Characteristics ( N =72)

N=Numbers of Pressure Ulcer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Onset on admission 51 (70.8)

after transfer 21 (29.2)

Stage Stage 1 2 (2.8)

Stage 2 31 (43.1)

Stage 3 6 (8.3)

Stage 4 1 (1.4)

Suspect Deep Tissue Injury 32 (44.4)

Location Occipital 8 (11.1)

Parietal 2 (2.8)

Sacrum/Coccyx 34 (47.2)

Buttock 11 (15.3)

Malleolus 1 (1.4)

Post heel 11 (15.3)

Scapular 1 (1.4)

Back 2 (2.8)

iliac 1 (1.4)

Post knee 1 (1.4)

Table 2. Characteristics of Pressure Ulcer ( N =72)

(7)

본 연구는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욕창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PUSH 도구를 이용한 욕창사정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 욕창관리 간호중재 방법으로

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PUSH .

연구 결과 대상자의 연령은 60 세 이상이 73.2%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지 . 주일 이상 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세

1 60

이상이 62.1% 로 가장 많았으며 [7], 종합병원 중환자실 에 일 이상 입원한 환자 3 280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 과 60-69 세 사이가 25.78%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또한 입원 시 욕창 보유 환자와 입원 중 욕창 발생환 자의 욕창관련 특성을 비교 한 결과 나이 변수에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5]. 이는 본 연 구와 유사한 결과로서 연령이 욕창발생 위험인자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고령화시대에 따른 노인 . 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의 욕창 발생 또한 증가하고 있으므로 욕창 예방 및 간호중재시 정확하고 용이한 욕창 사정 도구를 적용하여 피부통합성을 파악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욕창관리가 필요하다.

대상자의 재원기간은 3-4 주가 24.4% 로 가장 많았으 며 , 4 주 이상 입원한 환자는 36.7% 이었다 호주에서 . 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욕창이 2,000

재원기간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독립요인이라고 보고하 였다 [2]. 이는 중환자실의 재원기간이 길수록 욕창 치 유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고 욕창으로 인해 재원기간 이 연장될 수 있으므로 욕창 치유과정을 파악하는 것 은 매우 중요한 욕창관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대상자의 입원 시 알부민 수치는 90.2% 가 저알부민 혈증이었고 헤모글로빈은 , 73.2% 가 정상수치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부민과 헤모글로빈은 영양 상태 . 와 관련이 많으며 특히 헤모글로빈은 조직의 산소 관 , 류에 중요하게 작용하여 세포가 살아가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6]. 국내 한 연구 [6] 에서 알부민이 낮 은 군과 정상인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부민이 낮은 군에서 욕창발생률이 높고 헤모글로빈이 낮은 군 에서 욕창 발생률이 높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본 .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서 알부민과 헤모글로빈의 지속 적인 평가를 통해 환자의 영양 상태에 대한 간호중재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대상자의 70.8% 가 욕창이 발생된 상태로 입원하였으 며 , 29.2% 는 입원 후 욕창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는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병원에 입원한 전체 대 . 상자에서 욕창 발생률을 보고하였고 본 연구에서 회 , 2 이상 욕창치유 사정도구를 적용하였던 대상자만이 분 석된 점을 고려하면 논의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특성상 기저질환으로 인해 다른 시설 병원 혹은 병동에서 질병을 치료 중 , 이었던 경우가 많아 입원 시 욕창이 이미 발생한 경우 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의 욕창단계는 심부조직 손상이 의심되는 단계가 44.4% 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입원 전에 이미 욕창이 발생한 환자를 모두 포함된바 중환 , 자실 입원 전에 있던 병동이나 가정 혹은 시설에서 질 적인 간호관리를 받지 못해 심부조직 손상이 유발되어 욕창 단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연구 . [15] 에서 는 단계 욕창이 2 49.8% 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연구 대상 , 자가 대부분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로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반 환자에 비해 의식 저하 부동으로 인한 , 활동장애 실금 및 금식이나 비경구 영양으로 인한 영 , 양결핍 등의 문제를 가진 중환자라는 부분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독일의 한 연구에서는 . 32,40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과 일반 병동의 욕창 위험 비교연구에서도 중환자실의 욕창 발생이 일반 병 동보다 더 높았으며 성별 나이 응전력 기동성 체 , , , , , 위변경 및 표면과 같은 변수를 통제했을 때 그 차이는 줄어들었다고 보고하였다 [22]. 따라서 중환자실에 입원 한 대상자 또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욕창 사정과 관 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욕창 호발 부위는 천골 미골부위가 / 로 가장 많았다 이는 내과중환자실 입원환자의

47.2% .

욕창 연구 [23] 에서 천골 미골부위가 / 58.4% 로 가장 많았 고 다른 중환자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 [6]

에서도 욕창이 미골에서 39.06% 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경외과 중환자는 . 15 건의 천

골부위보다 둔부가 22 건으로 가장 많았다 [7]. 미국의

경우 160 명의 요양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24] 에

서 천골부위가 48% 로 가장 많았고 , 스웨덴의 경우

(8)

명의 내 외과 병동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에

530 · [11]

서 천골부위 욕창이 26.2% 로 천골부위가 주요 욕창 호발부위임을 보고했다 욕창의 호발부위는 약간의 차 . 이가 있으나 천골이나 미골이 가장 잘 발생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므로 천골과 미골에 대한 관리가 더 철저 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재원기간에 따른 PUSH 도구의 점수 변화에서 완치 된 욕창 중 주 미만은 7 10 개인 반면 , 7 주 이상에서는 개만 완치되었고 도구 점수는 감소한 사례가

4 , PUSH

없었으며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확인 , 되었다 . PUSH 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등의 연구에서 개월 동안 요양병원 환자를

Gardner 6

대상으로 총 32 개의 욕창을 PUSH 도구를 사용하여 사정한 결과 개월 동안 6 21 (66%) 개 가 치유되었고 11 개 는 치유되지 않았으며 도구 점수는 치유

(34%) , PUSH

된 욕창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치 유되지 않은 욕창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19]. 이는 본 연구가 대상자 수가 적고 재원기간의 차이가 있어 논의하기에 어려운 점은 있으나 치유되고 있는 욕창과 치유되고 있지 않는 욕창을 구별하는데 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대 PUSH

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PUSH 도구의 점 수변화에서 변실금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도구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PUSH

보였고 인공호흡기 사용과 영양상태는 , PUSH 도구 점 수와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된 . 국내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비교 논의 할만한 결과가 없으나 변실금으로 인한 피부 통합성 장애로 인해 PUSH 도구의 점수 변화에 차이가 나타 난 것으로 추정되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 환자 중 내과중환자실 에 입원한 환자의 간호수행기록과 의무기록을 분석한 것이며 , 대상자의 수가 적고 입원기간이 다양하여 도구 점수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지 못하였 PUSH

으므로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그러나 . 변 실금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 이를 활용한 욕창의 간호 중재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욕창의 치유과정을 예측하는 도구로서 PUSH 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므로 욕창간호를 위한 임상실무의 질향상

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욕창의 사정과 관리를 위해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욕창환자를 대상으로 PUSH 도구를 적용하여 근무 간호사에 의해 수행된 욕창 관찰 기록 지를 분석 욕창의 치유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 . 재원기간이 길수록 욕창이 완치되거나 PUSH 도구 점 수가 감소하는 사례보다 점수변화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변실금이 있는 경우 , PUSH 도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이는 욕창의 치유과정을 사정하고 욕창 치유를 . 예측하는데 사용하기 쉬운 도구로서 PUSH 도구의 활 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간호사들의 욕창에 대한 지식과 욕창관리 지침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간호실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 . 탕으로 욕창치유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여러 환경 연 , 구 기간 및 대상자의 수를 늘려 반복 연구가 필요하 며 실무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욕창관리 , 프로토콜 개발을 제언한다.

REFERENCES

1.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Pressure ul cer definition and stages/categories [Internet]. Washi ngton: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1 4 [cited 2014 February 27]. Available from: http://

www.npuap.org/resources/educational-and-clinical-res ources/

2. Graves N, Birrell F, Whitby M. Effect of Pressure Ulcers on Length of Hospital Stay.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05;26(3):293-297.

3. Erwin-Toth P. Cost-effective pressure ulcer management in extended care. Ostomy Wound Manage. 1995;41(7).

4. Beckmann JD. Nursing malpractice: implication for clinical practice and nursing education.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WA. 1995. Cited

by Jun SS, Jeong IS, Lee YH. Validity of pressure

(9)

Braden, and Douglas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4;41:199-204.

5. Nam MH, Lim JH.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inpatients with pressure ulcer by patient safety indicator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2;10(3):197-205.

6. Kim YK. Evaluation of predictive Validity for the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 2.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0;12(2):37-51.

7. Lee JK. The Relationship of Risk Asses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3;15(2):267-277.

8. Im MJ, Park HS. A study on the Pressure Ulcers in Neurological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2):190-199.

9. Im GC, Song MS. The effect of Position Change including 30° laterally Inclined Position on Decubitus Ulcer Preven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96;8(2):274-290.

10. Van Marum RJ, Ooms ME, Ribbe MW, Van Eijk JT. The dutch pressure sore assessment score or the Norton scale for identifying at risk nursing home patients?. Age & Ageing 2000;29:63-68.

11. Lindgren M, Unosson M, Fredrikson M, Ek A, In stitutionen f r medicin och v rd, Omv rdnad, et ö å å al. Immobility – a major risk factor for developm ent of pressure ulcers among adult hospitalized pat ients: a prospective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04;18(1):57-64.

12. Peter B, Trevor FS, Barbara L.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in Palliative Home Care.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6;9(6):1369-1375.

13. Kim HY. Development of a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ressure ulcer man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p. 179.

14. Kim KS, Kim JA, Kim MS, Kim YJ, Kim ES,

Park KO, et al.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133-147.

15. Kim KN, Kang KJ, Lee HS, Shin YH, Kim SK, Park KH, et al. Survey on pressure Ulce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tage Change in Acute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3):433-442.

16. Kwon EO, Eom IH, Chang SJ, Shim MY, Lee SH. Accuracy of nurses' Assessments of Pressure Ulcers in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29-38.

17. Gardner SE, Hillis SL, Frantz RA. A prospective study of the PUSH tool in diabetic foot ulcers. Jo 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11;38(4):385-393. http://dx.doi.org/10.1097/WON.

0b013e31821e4dbd

18. Hon J, Lagden K, McLaren A, O'Sullivan D, Orr L, Houghton P, et al.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to Validate Use of the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PUSH (c)] in Patients with Diabetic, Venous, and Pressure Ulcers. Ostomy wound management. 2010;56(2):26-36.

19. Gardner SE, Frantz RA, Bergquist S, Shin CD. A prospective study of the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PUSH). The Journals of gerontology:

Biological Sciences. 2005;60(1):93-97.

http://dx.doi.org/10.1093/gerona/60.1.93

20. Stotts NA, Rodeheaver GT, Thomas DR, Frantz RA, Bartolucci AA, Sussman C, et al. An instrument to measure healing in pressure ulce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PUSH).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1;56(12):M795-M799.

http://dx.doi.org/10.1093/gerona/56.12.M795

21. Jung IS, Kim SM, Jung JS, Hong EY, Im EY,

Seo HJ et al. Prevention and Management

(10)

Pressure Ulcer, Evidence 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al Guideline.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3.p.1-137.

22. Lahmann NA, Kottner J, Dassen T, Tannen A. H igher pressure ulcer risk on intensive care? – Com parison between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34):354 -361.

23. Shin JH.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Pressure Ulcer in Patients Admitted to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p.1-37.

24. Burd C, Langemo DK, Olson B, Hanson D,

Hunter S, Sauvage T. Skin problems: epidemiology

of pressure ulcers in a skilled care facilit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2;18(9):29.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 N =41)
Table 4. The Score Change of PUSH Tool by General Characteristics ( N =72)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treams by evaluat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s and ammonia nitro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Customer Satisfaction (CS) policy affects the employees'level of stress and satisfaction, and to minimize the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suicid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according to the design manual,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ckground,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in Chapter 1, and the second part of the theoretical study is related to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the traffic flow characteristics(volume, spot speed, headway, occupancy, and density, etc.) at the basic seg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the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volume, speed, occupancy, and density, etc.) in expressway basic segments, analy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