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198

전립선적출술의 비교: 단일 술자 경험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versus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 Single Surgeon’s Experience

Jae Wook Cho, Tae Hyo Kim, Gyung Tak Sung

From the Department of Ur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Purpose: We compared a single surgeon’s experience with radical pro- statectomy by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LRP) versus robot- 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ARP) with regard to pre- 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20 patients under- going LRP and RARP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8. The patients were matched for age, body mass index, prostate-specific antigen, patho- logical stage, and Gleason score. Preoperative, perioperative, and post- operative data, including complications, and trifecta results (positive sur- gical margin, potency, and continence) were analyz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milar with respect to age, body mass index, prostate-specific antigen, Gleason score, and clinical stage. The RARP group showed better results in operative time, estimated blood loss, hospital stay, and bladder catheterization duration. There were no major complications, but minor complications occurred in 25.0% versus 10.0%

of cases. The trifecta results were better in the RARP group than in the LRP group.

Conclusions: RARP showed excellent results in several operative para- meters compared with LRP. If the economic hurdle to RARP can be overcome, it will become the standard treatment in radical prostatectomy.

(Korean J Urol 2009;50:1198-1202)

󰠏󰠏󰠏󰠏󰠏󰠏󰠏󰠏󰠏󰠏󰠏󰠏󰠏󰠏󰠏󰠏󰠏󰠏󰠏󰠏

Key Words: Prostatic neoplasms, Prostatectomy, Laparoscopy, Robotics

Korean Journal of Urology Vol. 50 No. 12: 1198-1202, December 2009

DOI: 10.4111/kju.2009.50.12.1198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조재욱ㆍ김태효ㆍ성경탁

ReceivedJuly 21, 2009 AcceptedNovember 26, 2009 Correspondence to: Gyung Tak Sung

Department of Ur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3- ga, Dongdaesin-dong, Seo-gu, Busan 602-715, Korea TEL: 051-240-5446 FAX: 051-253-0591 E-mail: sunggt@dau.ac.kr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s from Dong-A University.

Ⓒ The 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2009

 1982년 Walsh와 Donker가 전립선암 환자의 근치적 전립 선적출술에서 신경보존 술식을 보고하면서 전립선의 해부 학을 재정립하였고 [1], 이후 근치적 치골 후 전립선적출술 의 시행이 증가하였다. 1992년에는 Schussler 등이 복강경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LRP)을 시도하였고, 1997년 결과를 보고하였다 [2]. 그리고, 1997년에는 Raboy 등이 복막외 접근법을 이용한 LRP를 보 고하였다 [3]. LRP가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수술방

법이 정립되었고, 전체적인 성공률은 개복수술과 비슷하면 서도 재원 기간의 감소와 술 후 위험도의 감소 및 출혈량의 감소와 같은 우수한 성적을 보고하였다. 영상 기술과 복강 경 장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hand-to-eye coordination과 2 차원의 단면 영상 등의 단점들로 인해 학습곡선의 극복이 어려운 문제가 남아있었고, 이러한 단점들로 인해 정교한 해부학적 구조에 따른 박리를 위해 로봇이 도입되었다.

Binder와 Kramer는 2000년 처음으로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robot 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ARP)을 보고하였고 [4], Pasticier 등과 Menon 등이 수술술기를 정립하여 보고하였다 [5,6]. 이후로

(2)

Table 1. Preoperative patients characteristics in LRP and RARP groups

LRP (n=60) RARP (n=60) p-value

Age (years) BMI (cm/kg2) PSA (ng/dl) Prostate volume (cc) Gleason score Clinical stage

66.5 (57-75) 23.65 (18.1-28.4) 11.04 (2.72-36.6) 39.7 (19-72) 6.81 (5-9) T2N0M0-42 (70%) T3aN0M0-14 (23.3%) T3bN0M0-4 (6.7%)

66.3 (50-77) 24.61 (19.9-26.3) 9.98 (2.91-26.3) 36.6 (22-92.8) 6.83 (5-8) T2N0M0-51 (85%) T3aN0M0-5 (8.3%) T3bN0M0-4 (6.6%)

0.45a 0.05a 0.28a 0.21a 0.5a 0.12b

LRP: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ARP: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BMI: body mass index, PSA:

prostate-specific antigen, a: Student's t-test, b: Fisher's exact test da Vinci robotic Surgical System (Intiutive Surgical, Inc., Sunnyvale, USA)은 최소 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한 근치적 전 립선적출술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가 되었고,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단일 술자에 의해 시행된 LRP군과 RARP군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소 전립선암으로 진단되어 단일 술자에 의해 근치적 전립선적출술을 시행받은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 다. 2003년 1월부터 LRP를 시행하였고, 2006년 12월 da Vinci Robotic Surgical System의 도입 이후 LRP와 RARP를 병행하여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 검사로 직장수 지검사, 자기공명영상검사 및 골주사검사를 시행하였다.

LRP는 모든 예에서 복막외 접근법으로 시행하였고, RARP 는 모든 예에서 경복막 접근법을 시행하였다. 골반 림프절 절제술은 전립선특이항원 (prostate-specific antigen; PSA)이 10 ng/ml 이상인 경우에서 시행하였다. 신경보존술은 술 전 발기가 가능한 환자들 중 임상적 병기가 T2 이하이고, 술 전 전립선특이항원이 10 ng/ml 이하이며, Gleason 점수가 7 미만인 환자에서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 다. 임상적 병기는 영상의학과에서 시행하는 병기에 따라 구분하였다. 배액관은 모든 환자에서 유치하였고, 100 cc 미 만일 경우 3일 내로 제거하였다. 도뇨관의 제거는 LRP는 술 후 12일, RARP는 술 후 7일에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방광요도문합 시에 특이사항이 있었던 경우는 유치 기간을 연장하였고, 도뇨관 제거 시에는 방광조영술을 시 행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LRP군이 51.2개월 (43-89), RARP 군이 16.8개월 (9-22)이었다. 술 후 배뇨기능과 발기력 및 전 립선특이항원은 외래 내원 시마다 평가하였다. 일상생활에

서 안전패드 1장 이하로 착용하는 정도까지 요자제력이 회 복된 것으로 평가하였고, 발기가 전혀 되지 않는 경우를 제 외하고 경구용 발기 부전약을 사용한 경우를 포함하여 약 한 정도의 발기가 되는 경우부터 발기력이 있는 것으로 평 가하였다.

 LPR군과 RARP군 간의 술 전, 술 중 및 술 후 변수들을 chi-square test, Student's t-test 및 Fisher's exact test 를 이용하 여 비교분석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PSS 12 (SPSS Inc, Chicago, USA)를 이용하였다.

결 과

 LRP군의 평균연령은 66.5세 (57-75), RARP군은 66.3세 (50-77)였다 (p=0.45). 평균 신체질량 지수는 LRP군이 23.65 kg/m2 (18.1-28.4), RARP군이 24.61 kg/m2 (19.9-26.3)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p=0.05). 평균 전립선특이항원수치는 LRP군에서 11.04 ng/ml (2.72-36.6), RARP군에서 9.98 ng/ml (2.91-26.3)였다 (p=0.28). 평균 Gleason 점수는 LRP군에서 6.81 (5-9), RARP군에서 6.83 (5-8)이었고 (p=0.5), 평균 전립 선 크기와 술 전 방사선학적 병기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Table 1). LRP군과 RARP군에서 각각 평균 수술 시간 (RARP군의 경우 console time)은 321.84분 (220- 480)과 224.47분 (116-370) (p=0.01), 술 중 출혈량은 289.73 ml (120-630)와 208.15 ml (50-430) (p=0.02)였다. 수술과 관 련된 합병증은 LRP군에서 15례 (25%)가 있었으며 술 중 직 장 손상이 2례 (3.3%), 술 후 방광요도문합 부위의 요누출이 13례 (21.6%)였으며, RARP군에서는 술 중 합병증은 없었으 며, 술 후 요도방광문합 부위의 요누출이 4례 (6.6%)였다.

직장 손상의 경우 2례 모두 수술 중 확인되어 일차적인 봉 합을 시행하였고, 요누출은 LRP군의 경우 12일 째, RARP 군의 경우 7일 째 방광조영술을 시행하여 요누출이 있는

(3)

Table 2. Intraoperative and perioperative outcomes in LRP and RARP groups

LRP (n=60) RARP (n=60) p-value

Operative times (minutes) Blood loss (cc)

Nerve sparing Unilateral Bilateral

Catheter indwelling (day) Hospital stay (day) Complications Rectal injury Anastomotic leakage Pathologic results

321.84 (220-480) 289.73 (120-630) 19

22

14.2 (10-21) 16.4 (11-24) 2 (3.3%) 13 (21.6%) T2N0M0-47 (78.4%) T3aN0M0-10 (16.7%) T3bN0M0-2 (3.3%) T3bN1M0-1 (1.6%)

224.47 (116-370) 208.15 (50-430) 12

41 8.4 (5-13) 12.3 (7-18) 0 4 (6.6%) T2N0M0-54 (90%) T3aN0M0-3 (5%) T3bN0M0-1 (1.6%) T3bN1M0-2 (3.4%)

0.01a 0.02a

0.01a 0.04a 0.02b 0.04b

LRP: laparoscopic radical prostaectomy, RARP: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 Student's t-test, b: Fisher's exact test

Table 3. Postoperative trifecta ouctones in LRP and RARP groups No. of patients (%)

p-value LRP

(n=60)

RARP (n=60) Continence (pad≤1/day)

Months 1 (%) 3 (%) 6 (%) 12 (%)

Potency in nerve sparing patients (41:53) Months 1 (%) 3 (%) 6 (%) 12 (%)

Positive surgical margin Apex

Middle Base T2 T3

6 (10) 16 (26.7) 21 (35) 17 (28.3) 32 (78.0)

3 (7.3) 7 (17.1) 9 (21.9) 13 (31.7) 23 (38.3) 13 (56.6) 3 (13.0) 7 (30.4) 16/47 (34.0) 7/13 (53.8)

27 (45) 20 (33.3) 9 (15) 4 (6.7) 43 (81.1)

9 (16.9) 11 (20.8) 7 (13.2) 16 (30.1) 14 (23.3) 7 (50.0) 2 (14.3) 5 (35.7) 12/54 (22.2) 2/6 (33.3)

0.001a 0.21a 0.07a 0.05a

0.02a 0.13a 0.06a 0.32a

0.23a 0.42a 0.35a 0.01a 0.01a LRP: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ARP: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 chi-square test

경우였다. 도뇨관 유치 기간은 각각 14.2일 (10-21)과 8.4일 (5-13)이었고 (p=0.01), 재원일수는 16.4일 (11-24)과 12.3일 (7-18)이었다 (p=0.04) (Table 2).

 모든 환자에서 술 후 6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이 시행되었 다. 술 후 요자제기능의 회복에서 LRP군의 경우 1개월 내 기저귀 1개 미만으로 된 경우가 6례 (10%)였으며, 3개월에 는 16례 (26.7%), 6개월에는 21례 (35%), 12개월에는 17례 (28.3%)였고, RARP군에서는 1개월에 27례 (45%), 3개월에 20례 (33.3%), 6개월에 9례 (15%), 12개월에 4례 (6.7%)였다.

발기능의 회복에서는 LRP군의 경우 41례 (한 쪽: 19례, 양 쪽: 22례)에서 신경보존술을 시행하였고, RARP군의 경우 53례 (한 쪽: 12례, 양쪽: 41례)에서 신경보존술을 시행하였 다. 결과로는 LRP군에서 1개월에 발기가 가능하였던 환자 가 3례 (7.3%), 3개월에 7례 (17.1%), 6개월에 9례 (21.9%), 12개월에 13례 (31.7%)였고, 전체적으로 32명 (78.0%)에서 발기가 가능하였다. RARP군에서는 1개월에 9례 (16.9%), 3 개월에 11례 (20.8%), 6개월에 7례 (13.2%), 12개월에 16례 (30.1%)였고, 전체적으로 43명 (81.1%)에서 발기가 가능하 였다. 수술절제면양성률의 경우 LRP군에서 23례 (38.3%)에 서 양성을 보였고, RARP군의 경우 14례 (23.3%)에서 양성 을 보였다. LRP군의 경우 첨부의 양성이 13례 (56.6%), 중간 부위의 양성이 3례 (13.0%), 기저부의 양성이 7례 (30.4%)였 으며, RARP군의 경우 첨부의 양성이 7례 (50.0%), 중간 부 위의 양성이 2례 (14.3%), 기저부의 양성이 5례 (35.7%)였 다. 술 후 3개월 이후부터 측정한 전립선특이항원의 생화학 적 재발률은 LRP군에서 43.3% (26례), RARP군에서 15% (9 례)였다 (Table 3).

고 찰

 Menon 등이 RARP를 정립하고 난 이후로 [7], RARP에 대

(4)

한 보고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개복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과 LRP 및 RARP를 비교한 논문이 많이 발표되었다.

Ahlering 등은 LRP와 RARP의 수술 시간에는 별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8]. LRP의 긴 학습곡선을 극복하고, 많은 경험이 있는 술자에서는 RARP에 걸리는 시간이 LRP 를 하는 것과 비슷하였고, RARP가 요도방광문합을 할 때 더 쉽게 할 수 있어 술자의 피로가 적었다고 보고하였다.

출혈량은 RARP군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이는 3차원 입체영상을 통하여 술자가 더욱 정교하게 지혈 을 시행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또 Rozet 등은 LRP에 비해 RARP는 3차원 영상과 6도의 자유도, 손 떨림 방지 및 인체공학적 설계의 콘솔 (console)이 학습곡선을 짧 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하였다 [9]. 저자들의 결과에서는 RARP군에서 수술 시간과 출혈량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 는데, LRP의 경우 지금까지 60례의 수술을 시행하였지만, 수술이 연속적으로 꾸준히 시행되지 않은 반면, RARP는 복 강경 수술을 시행해오던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시작하였 고, 로봇수술 자체의 짧은 학습곡선으로 인해 이와 같은 결 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한다. LRP는 초기 10례는 경복막으 로 시행하였고, 이후 복막외로 시행하였다. 초기 경복막 접 근법으로 시행한 경우에서 발생한 술 후 요누출이나 출혈 시 복막외 접근법이 유리하여 계속해서 복막외로 시행하였 고, RARP의 경우 초기 결과에서 다른 합병증이 없어 경복 막 접근법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학습곡선과 관련된 보고 중에서 복강경에 대한 경험이 없는 술자에서 12례의 RARP 를 시행할 경우 학습곡선을 극복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 고 [8], LRP와 RARP를 직접 비교하여 RARP에서 술자의 경 험에 따라서 수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7]. 저자의 경우 LRP에 비해 RARP에서 학습곡선이 짧았 고, 이는 LRP가 RARP에 출혈 시 지혈이나, 제공되는 영상 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한다.

 Joseph 등은 해부학적 측면에서 정확한 양측 신경보존술 은 LRP군보다 RARP군에서 훨씬 시행하기가 수월하였다고 보고하였다 [10]. 로봇수술에서 제공되는 확대된 수술시야 가 전립선의 경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저자의 경우에서도 신경보존술 시에 술자가 원하는 정확한 시야를 얻기가 힘들고, 출혈 시 즉각적인 지혈이 어려워 보존해야 하는 부위를 정확히 구별하는데 시간이 걸린 것에 비해 로 봇수술은 원하는 시야를 확대된 영상으로 볼 수 있고, 출혈 시 즉각적인 지혈이 가능하여 술자가 느끼기에 복강경 수 술 시에 비해서 수월하게 신경보존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Guillonneau 등은 1,000례의 LRP를 시행하고 종양학적 결과 를 보고하였는데, 3년간 전체 생화학적 생존율 (overall bio- chemical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을 90.5%라고 보고하

였고 [11], 병리학적 병기에 따른 생존율은 평균 12개월 추 적 관찰한 결과 T2a 92%, Tb 88%, T3a 77%, T3b 44%로 보 고하였다. Rozet 등도 600례의 복막외 접근법을 이용한 RARP를 시행하고, 평균 12개월간 추적 관찰하여 95%의 전 립선특이항원의 생화학적 무진행 생존율 (PSA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을 보고하였다 [12]. Patel 등은 200례의 RARP를 시행하고, 9.7개월의 평균 추적관찰 후 PSA pro- gression-free survival rate를 95%로 보고하였다 [13]. Joseph 등은 LRP와 RARP를 비교 분석하여 두 군 간의 출혈량을 제외한 여러 가지 척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10], Menon 등도 출혈량 및 여러 척도에서 RARP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14]. 반면에 Rozet 등은 모든 척도에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여러 명의 술자를 대상으로 한 보고였기 때문에 단일 술자에 대한 보고만큼 정확한 결과라고 보기는 힘들다고 하였다 [9]. 저자의 경우 에서는 많은 척도에서 RARP군이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 는 전립선암의 유병률이 높은 서구에 비해 낮아 LRP군의 경험이 적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한다. 국내에서 보고된 개복술과 RARP를 비교한 경우에서는 RARP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고하였다 [15].

 술 후 절제면 양성률에 대한 비교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 가 없었다는 보고가 있고 [10,14],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으 나 RARP군에서 조금 더 높게 보고하기도 하였다 [10]. 저자 의 경우에서는 초기 20례의 로봇수술까지는 LRP군과 비슷 한 절제면 양성률을 보였으나, 이후 60례까지는 LRP군에 비해 낮은 양성률을 보였다.

 요자제에 대한 정의는 보고되는 논문마다 조금씩은 차이 가 있지만, 대개의 경우 전립선적출술 후 하루에 기저귀 하 나 미만인 경우를 요자제의 회복으로 정의하고 있다.

Stolzenburg 등은 복막외 접근법을 이용한 LRP를 시행한 700명의 환자에서 6개월에 84%, 1년에 92%의 요자제 성적 을 보고하였다 [16]. Ahlering 등은 RARP 후 1년 경과 시 98%의 요자제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17]. Menon 등은 1,100 명의 RARP를 시행 받은 환자에서 96%의 요자제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18]. 저자의 경우에서는 마지막 20례에서 후부 재건술 (posterior reconstruction)을 시행하였고, 이후 뛰어난 요자제 기능의 회복을 보였다. 후부 재건술이 방광과 요도 문합의 후방부를 견고하게 하여 요자제의 빠른 회복을 가 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한다.

 Su 등은 LRP에서 양측 신경을 보존한 환자 중 12개월 경 과관찰 후 76%에서 성교가 가능하였다고 보고하였고 [19], Menon 등은 1,100명의 RARP를 시행한 환자 중 60세 미만 인 경우 64%, 60세 이상인 경우 38%에서 성교가 가능하였

(5)

다고 보고하였다 [18]. 합병증에서는 RARP군에서 LRP군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LRP에서는 RARP에 비해 Denovillier's fascia를 박리하여 전립선의 첨부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시야가 불명확하여 직장에 열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었으며, 요도문합에서도 카테터 유치 기 간이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층대층 문합이 힘들어 요누출이 많았다. LRP에서는 기본적으로 12일 정도 카테터 를 유치하였고, RARP에서는 7일 정도 카테터를 유치하였 다. LRP에서는 방광요도 문합 시 층대층 봉합이 완전하지 못한 점을 감안하였고, 이에 반해 RARP에서는 확대된 시야 에서 층대층 문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결 론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RARP군에서 모든 척도에서 LRP 군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RARP는 LRP에 비해 학 습곡선도 짧고, 특히 전립선 복강경 수술에 대한 경험이 있 는 경우는 더욱 짧은 학습곡선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술 후 발생하는 요자제나 발기능 및 종양학적 결 과를 고려할 때 RARP는 유용한 수술방법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Walsh PC, Donker PJ. Impotence following radical pro- statectomy: insight into etiology and prevention. J Urol 1982;

128:492-7.

2. Schuessler WW, Schulam PG, Clayman RV, Kavoussi LR.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initial short-term experi- ence. Urology 1997;50:854-7.

3. Raboy A, Ferzli G, Albert P. Initial experience with extra- peritoneal endoscopic radical retropubic prostatectomy. Uro- logy 1997;50:849-53.

4. Binder J, Kramer W. Robotically-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BJU Int 2001;87:408-10.

5. Pasticier G, Rietbergen JB, Guillonneau B, Fromont G, Menon M, Vallancien G. Robotically 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feasibility study in men. Eur Urol 2001;40:

70-4.

6. Menon M, Tewari A, Peabody J. Vattikuti Institute prostatec- tomy: technique. J Urol 2003;169:2289-92.

7. Menon M, Shrivastava A, Tewari A, Sarle R, Hemal A, Peabody JO, et al. Laparoscopic and robot assisted radical

prostatectomy: establishment of a structured program and preliminary analysis of outcomes. J Urol 2002;168:945-9.

8. Ahlering TE, Skarecky D, Lee D, Clayman RV. Successful transfer of open surgical skills to a laparoscopic environment using a robotic interface: initial experience with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J Urol 2003;170:1738-41.

9. Rozet F, Jaffe J, Braud G, Harmon J, Cathelineau X, Barret E, et al. A direct comparison of robotic assisted versus pure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 single institution experi- ence. J Urol 2007;178:478-82.

10. Joseph JV, Vicente I, Madeb R, Erturk E, Patel HR. Robot- assisted vs pure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re there any differences? BJU Int 2005;96:39-42.

11. Guillonneau B, el-Fettouh H, Baumert H, Cathelineau X, Doublet JD, Fromont G, et al. Laparoscopic radical pro- statectomy: oncological evaluation after 1,000 cases a Mont- souris Institute. J Urol 2003;169:1261-6.

12. Rozet F, Galiano M, Cathelineau X, Barret E, Cathala N, Vallancien G. Extraperitoneal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 tomy: a prospective evaluation of 600 cases. J Urol 2005;174:

908-11.

13. Patel VR, Tully AS, Holmes R, Lindsay J. Robotic radical prostatectomy in the community setting--the learning curve and beyond: initial 200 cases. J Urol 2005;174:269-72.

14. Menon M, Shrivastava A, Tewari A.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conventional and robotic. Urology 2005;66 (5 Suppl):101-4.

15. Ham WS, Park SY, Rha KH, Choi YD. Comparison of open versus robotic radical prostatectomy in clinically advanced prostate cancer. Korean J Urol 2008;49:886-92.

16. Stolzenburg JU, Rabenalt R, Do M, Ho K, Dorschner W, Waldkirch E, et al. Endoscopic extraperitoneal radical pro- statectomy: onc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after 700 pro- cedures. J Urol 2005;174:1271-5.

17. Ahlering TE, Woo D, Eichel L, Lee DI, Edwards R, Skarecky DW. Robot-assisted versus open radical prostatectomy: a comparison of one surgeon’s outcomes. Urology 2004;63:

819-22.

18. Menon M, Tewari A, Peabody JO, Shrivastava A, Kaul S, Bhandari A, et al. Vattikuti Institute prostatectomy, a tech- nique of robotic radical prostatectomy for management of localized carcinoma of the prostate: experience of over 1100 cases. Urol Clin North Am 2004;31:701-17.

19. Su LM, Link RE, Bhayani SB, Sullivan W, Pavlovich CP.

Nerve-sparing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eplicating the open surgical technique. Urology 2004;64:123-7.

수치

Table  1.  Preoperative  patients  characteristics  in  LRP  and  RARP  groups LRP  (n=60) RARP  (n=60) p-value Age  (years) BMI  (cm/kg 2 ) PSA  (ng/dl) Prostate  volume  (cc) Gleason  score Clinical  stage   66.5  (57-75) 23.65  (18.1-28.4)11.04  (2.72-3
Table  2.  Intraoperative  and  perioperative  outcomes  in  LRP  and  RARP  groups

참조

관련 문서

addition of each monomer molecules to the chain end addition of each monomer molecules to the chain end involves an attack by the radical site on the unsaturated

1. Free radical initiator abstract a hydrogen from polymer chains 2. Through chain transfer of propagating chain with polymer chain 3. Polymer mixtures are mechanically

In chlorination, the transition state resembles the reactant (small radical character), therefore the tertiary radical is slightly more stable than the primary one.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Yanggaeng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Molokhia( Corchorus olitorius L.) powder.. Bars with different letters

Antiinflammatory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ocyanidins containing extract from the bark of Pinus pinaster So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 on Lifestyle-related factors and blood free oxygen radical of

The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In the DPPH radical assay syste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roblems relating to the renegotiation or adaptation in the cases of radical change of circumstances where the CISG applies,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