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sociation of Work-Time,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sis Prevalenc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5–2016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sociation of Work-Time,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sis Prevalenc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5–2016"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에 따르면 골다공증이란 골량의 감소와 뼈의 미세한 구조적 악화로 인해 뼈가 골절되기 쉬운 상태로 변하는 질환이다.1)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노인인구의 증 가로 골다공증의 유병률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의 발생은 의학적,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Lips

van Schoor

2)에 의하면 노인에서 골절의 발생은 노인의 사회로부터 의 고립, 우울감,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성, 초경을 시작한 나이. 인 종, 가족력과 같은 유전적 요인과 음주, 흡연, 운동, 식사 및 약물 복 용 등의 생활습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교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서 운동의 역할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그 중요성이 익히 알려져 있으나3,4) 우리나라 성인의 신체활동량은 매우 부족한 실정 이다. 또한 신체활동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 는데 특히 노인의 경우 여가 신체활동 뿐 아니라 일 관련 신체활동 이나 집안일까지도 신체활동의 범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5)

본 연구에서는 여가 시 신체활동 뿐 아니라 일과 관련된 신체활

Received July 6, 2018 Revised October 7, 2018 Accepted August 30, 2019

Corresponding author Ki hyon Park Tel: +82-2-2276-8513, Fax: +82-2-2276-7377 E-mail: knuck0@seoulmc.or.kr

ORCID: http://orcid.org/0000-0003-4374-3886

Copyright © 2019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9.9.5.403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9;9(5):403-407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일과 여가시간의 신체활동과 골다공증의 연관성: 2015–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이미경, 정리나, 정윤용, 호자현, 김형민, 김정아, 이수형, 박기현*

서울의료원 가정의학과

Association of Work-Time,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sis Prevalenc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5–2016

Mikyung Lee, Rina Jung, Yoonyoung Jung, Jahyeun Ho, Hyoungmin Kim, Junga Kim, Soohyoung Lee, Ki hyun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Medical Center, Seoul, Korea

Background: Physical ac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eventing osteoporosi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work-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ies with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15–2016. A total of 2,885 postmenopausal wom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work-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ies.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work-time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sis prevalence. However, a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found in case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People with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of at least >1,000 MET-min/week showed lower prevalence of osteoporosis.

Conclusion: An appropriate level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should be recommended to prevent and treat osteoporosis.

Keywords: Osteoporosis; Physical Activity; Work; Leisure

(2)

Mikyung Lee, et al. Association of Work-Time,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sis Preval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동을 하는 경우에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운동으로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체활동의 정도에 따라 서도 골다공증의 발생률이 달라지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행태. 식품 및 영양섭 취 실태에 관하여 전국 단위로 실시되는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통 계 자료로서 매년 표본조사를 통해 시행된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중

2015–2016

년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해당년도 설 문에 참여한 총

15

,

530

명 중 폐경 후 여성

2

,

885

명만을 대상으로 하 였다.

또한 본 연구는 서울의료원 윤리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 하였다(

IRB No

.

2018-06-005

).

2. 연구방법

신체활동과 관련하여 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신체활동설문지 (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의 한글판을 이용하여 설문조 사를 시행하였다.6)

대상자들에게 일 관련 고강도, 중강도 신체활동과 여가 관련 고 강도, 중강도 신체활동으로 나누어 일 주일 중 며칠, 하루 중 몇 시 간, 몇 분 동안 시행하였는지 설문을 작성하도록 한 후 이를 바탕으 로 총 신체활동량을

metabolic equivalent-minute

/

week

(

MET-min

/

week

)로 계산하였다.

최근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적어도

500 MET-min

/

wk

이상의 신 체활동을 권고 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이득은

1

,

000 MET-min

/

wk

상의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 나타난다는 결과가 있었다.7) 이에 일 관 련 신체활동, 여가 관련 신체활동

MET-min

/

wk

결과를 각각 산출 후 총 신체활동량

500 MET-min

/

wk

미만군,

500–999 MET-min

/

wk

군,

1

,

000 MET-min

/

wk

이상군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골다공증에 관련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설문조사상 골 다공증 진단을 받았다고 응답한 사람에 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3. 통계학적 분석

본 연구는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

Version 22

.

0

(

SPSS Inc

.,

Chicago

,

IL

,

USA

)을 이용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 여 집락추출변수(

Psu

), 층화변수(

Kstrata

) 및 개인별, 연도별 가중치 를 적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신체활동량에 따라 분 류한 각각의 군에서의 골다공증 진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 석을 시행하였으며 그룹간 차이에 대한 유의성에 대하여 범주형변 수들은

chi-square

방법을 이용, 연속형변수들은 분산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이 때 통계적 유의 수준은

0

.

05

미만으로 정 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골다공증 진단률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나이, 키,

body mass index [BMI]

, 알코 올 섭취량,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 칼슘 섭취량)들을 보정한 후 보정된 승산비(

adjusted odds ratio

)와

95

% 신뢰구간(

95

%

confidence interval [CI]

)을 구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들을 일 관련 신체활동 정도와 여가 관련 신체활동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Table 1

Table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rk-time physical activity

Variable Group 1 (n=2,808) Group 2 (n=29) Group 3 (n=48) P-value

Age (y) 63.300 (0.230) 60.080 (1.555) 62.070 (1.075) 0.092

Height (cm) 154.200 (0.189) 155.160 (1.133) 154.210 (0.716) 0.710

Body weight (kg) 57.850 (0.237) 62.460 (2.064) 56.900 (1.043) 0.056

Body mass index (kg/m2) 24.230 (0.085) 25.950 (0.766) 23.890 (0.404) 0.040

Current smoking 99 (4.2) 3 (14.2) 1 (1.2) 0.067

Alcohol intake, ≥once/mo 748 (29.1) 9 (35.7) 8 (13.9) 0.050

Rheumatoid arthritis 145 (4.7) 2 (7.7) 4 (9.7) 0.266

Diabetes mellitus 444 (14.6) 6 (20.6) 3 (6.0) 0.109

Energy intake (kcal) 1,602.010 (16.085) 1,720.50 (126.634) 1,501.240 (83.947) 0.254

Protein intake (g) 53.500 (0.677) 59.620 (5.751) 47.750 (2.746) 0.070

Calcium intake (g) 414.050 (6.151) 422.370 (57.921) 355.390 (22.755) 0.04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standard deviation) or unweighted number (weighted %).

Group 1: <500 MET-min/wk, Group 2: 500–999 MET-min/wk, Group 3: >1,000 MET-min/wk.

ANOVA and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groups.

(3)

이미경 외. 일과 여가시간의 신체활동과 골다공증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2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 관련 신체활동의 경우

BMI

(

P=0

.

04

), 칼슘 섭취량(

P=0

.

041

)이 각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그 외의 요소 들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가 관련 신체활동의 경우 나이 (

P<0

.

001

), 키(

P=0

.

032

),

BMI

(

P<0

.

001

), 알코올 섭취량(

P<0

.

001

), 에너지 섭취량(

P=0

.

003

), 단백질섭취량(

P<0

.

001

), 칼슘섭취량(

P<0

.

001

)이 각 그 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신체활동 정도와 골다공증의 연관성

일 관련 신체활동의 경우

500 MET-min

/

wk

미만군에서

26

.

6

%,

500–1

,

000 MET-min

/

wk

군에서

11

.

4

%의 골다공증 진단율을 보였으 며

1

,

000 MET-min

/

wk

이상군에서

30

.

4

%로 가장 높은 골다공증 진 단율을 보였다.

P-value

0

.

131

로 유의미한 결과값을 나타내지 않았 다(

Table 3

). 여가 관련 신체활동의 경우

500 MET-min

/

wk

미만군에 서

27

.

5

%,

500–1

,

000 MET-min

/

wk

군에서

20

.

2

%,

1

,

000 MET-min

/

wk

이상군에서

11

.

3

%로 신체활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의 진단

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값은

P-value 0

.

01

로 통계 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Table 4

).

3. 여가 신체활동의 정도와 골다공증의 연관성

위의 교차분석결과 여가관련 신체활동의 경우는 골다공증 진단 여부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여가신체활동과 골 다공증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때 나이, 키,

BMI

, 알코올 섭취량,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섭취량, 칼슘섭취량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총 신체활동량

500 MET-min

/

wk

미만군에 비 교하여

500–1

,

000 MET-min

/

wk

군의 경우 승산비

1

.

069

(

95

%

CI

,

0

.

641–1

.

783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1

,

000 MET-min

/

wk

이상군의 경우 승산비

0

.

454

(

95

%

CI

,

0

.

248–0

.

833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Table 5

).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Prevalence Group 1 (n=2,657) Group 2 (n=114) Group 3 (n=114) P-value

Age (y) 63.790 (0.242) 57.370 (0.826) 58.120 (0.654) <0.001

Height (cm) 154.090 (0.179) 155.920 (0.677) 154.790 (1.902) 0.032

Body weight (kg) 58.000 (0.247) 557.100 (0.849) 56.150 (1.111) 0.142

Body mass index (kg/m2) 24.350 (0.088) 23.450 (0.333) 22.850 (0.413) <0.001

Current smoking 96 (4.4) 4 (4.4) 3 (2.6) 0.732

Alcohol intake, ≥once/mo 673 (27.4) 43 (40.6) 49 (48.5) <0.001

Rheumatoid arthritis 143 (4.9) 3 (3.3) 5 (4.4) 0.770

Diabetes mellitus 431 (15.1) 10 (10.0) 12 (9.1) 0.120

Energy intake (kcal) 1,586.550 (16.435) 1,698.690 (75.736) 1,818.370 (68.805) 0.003

Protein intake (g) 52.500 (0.692) 59.350 (2.882) 67.720 (3.342) <0.001

Calcium intake (g) 406.400 (6.409) 483.850 (26.740) 482.370 (19.842)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standard deviation) or unweighted number (weighted %).

Group 1: <500 MET-min/wk, Group 2: 500–999 MET-min/wk, Group 3: >1,000 MET-min/wk.

ANOVA and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groups.

Table 3. Osteoporosis prevalence in work-time physical activity group

Prevalence Group 1 (n=2,808) Group 2 (n=29) Group 3 (n=48) P-value

Osteoporosis 805a (26.6b) 4a (11.4b) 19a (30.4b) 0.131

Values are presented as unweighted number (weighted %).

Group 1: <500 MET-min/wk, Group 2: 500–999 MET-min/wk, Group 3: >1,000 MET-min/wk.

aUnweighted total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in each substratum. bProportions weighted to account for complex survey sampling strategy.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groups.

Table 4. Osteoporosis prevalence i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group

Prevalence Group 1 (n=2,657) Goup 2 (n=114) Group 3 (n=114) P-value

Osteoporosis 789a (27.5b) 25a (20.2b) 14a (11.3b) 0.010

Values are presented as unweighted number (weighted %).

Group 1: <500 MET-min/wk, Group 2: 500–999 MET-min/wk, Group 3: >1,000 MET-min/wk.

aUnweighted total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in each substratum. bProportions weighted to account for complex survey sampling strategy.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groups.

(4)

Mikyung Lee, et al. Association of Work-Time,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Osteoporosis Preval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고 찰

본 연구는 일 신체활동과 여가신체활동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일 신체활동은 골다공증의 유병 률 감소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고 여가 신체활동을 한 그룹 에서는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또한 여가신체 활동이 적어도

1

,

000 MET-min

/

wk

이상이어야 골다공증의 유병률 저하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일 관련 신체활동 혹은 여가관련 신체활동 여부에 따른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결과의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져 왔 다.

King

8)에 의하면 정상 성인에 있어서 충분한 일 관련 신체활 동은 비만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Chu

Moy

9) 에 의하면 여가신체활동 뿐 아니라 직업, 집안일 등 모든 영역의 신 체활동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기 때문에 모든 영역의 신체활동이 권장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골밀도 와 일 신체활동의 영향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Damilakis

10) 에 의하면 농사일을 했던 폐경 여성이 회사원이나 주부였던 여성들 보다 고관절, 척추의 골무기질밀도(

bone marrow density

,

BMD

)가 더 좋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Weiss

11)에 의하면 일 하는 시간 중 앉아 있는 시간보다 서 있는 시간이 고관절의 골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러한 일 관련 신체활동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와 반대로 여가관련 신체활동만이 의미가 있다는 연구도 많이 있다.

Holter

­

mann

12)에 의하면 일 신체활동은 보통 무거운 물건을 지속적으 로 나르는 등 단순반복적인 일이 많고 안 좋은 자세를 지속적으로 취해야 하며 휴식시간이 부족한 점 등 때문에 혈압이나 심박수가 높은 경향이 있으며 여가 신체활동보다 심혈관 건강에 좋지 않다고 하였다. 또한

Walker-Bone

13)에 의하면 고강도 일 관련 신체활동과 골무기질밀도(

BMD

) 증가와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일 관련 신체활동은 골다공증의 유병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여가 관련 신체활동만이 골다공증 유병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일 관련 신체활동의 한계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가신체활동이라도 충분한 정도의 신체활동을 해야 골다 공증 유병률과의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Lahti

14)이 연구한 강한 강도의 여가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에 저, 중강 도의 여가신체활동을 하는 경우보다 사망률이 낮았다는 결과와 맥 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단면연 구로써 젊은 시절의 운동량, 그 외 삶의 질 등이 고려되지 못한 채 현재상태에서만의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운동과 골다공증 유병률의 선후관계를 알 수 없다는 점이 있을 수 있다. 둘째, 골다공증의 유 병율을 고려할 때 골다공증을 의사로부터 진단받았는지 여부만 가 지고 파악했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있지만 진단을 받지 못한 사람이 배제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골밀도 측정을 이용한 골상태 악화의 정확한 정도 파악에도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신체 활동이라는 자료수집의 특성상 객관적으로 측정된 것이 아니라 참 여자 개개인의 판단 하에 시행한 설문지 수집이라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넷째, 일 관련 신체활동이나 여가 관련 신체활동의 구체적 인 종류에 대해 파악하기 어려웠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골다공증과 관련하여 일 과 여가 관련 신체활동의 연관성에 대해 각각 분류하여 조사한 점 에 의의가 있다.

골다공증 및 골밀도에 긍정적인 운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 직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체중부하운동이나 저항운동의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러한 운동이 불가능한 노인인구에서는 그 효과가 불분명하나 수중운동이 권고되고 있다.3)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더 나아 가 적절한 운동의 정도나 방법 교육이 진료실에서 적극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신체활동 평가 및 골다공증의 유병률 평가 뿐 아니라 더 많은 대상을 통한 전향적 추 적관찰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연구배경: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른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인구의 신체활동량은 부족한 실정이 다. 여가 시 신체활동 뿐 아니라 일과 관련된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 에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운동으로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지, 더 나아가 신체활동의 정도에 따라서도 골다공증의 발생률이 달라지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2016

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총 참여자 Table 5. Odds ratio for osteoporosis according to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Group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Group 1 (n=2,657) 1.000 (reference)

Group 2 (n=114) 1.069 (0.641–1.783)

Group 3 (n=114) 0.454 (0.248–0.833)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Adjusted for age, height, body mass index, alcohol intake (≥once/mo), energy intake (kcal), protein intake (g), calcium intake (g).

(5)

이미경 외. 일과 여가시간의 신체활동과 골다공증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2

,

885

명의 폐경 후 여성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 신 체활동, 여가 신체활동에 대하여 각각 신체활동량 정도에 따라

3

룹으로 나눈 후 골다공증의 유병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로 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odds ratio

를 구하였다.

결과: 일 신체활동은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유의성이 없었으며 여가 신체활동은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여가신체 활동이 적어도

1

,

000 MET-min

/

wk

이상이어야 골다공증의 낮은 유 병률과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여가 관련 신체활동의 중요성 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

중심단어: 골다공증; 신체활동; 일; 여가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 ORCID

Mikyung Lee

,

http

://

orcid

.

org

/

0000-0003-3403-4877 Yoonyoung Jung

,

http

://

orcid

.

org

/

0000-0003-3798-3015 Jahyeun Ho

,

http

://

orcid

.

org

/

0000-0001-6021-1457 Hyoungmin Kim

,

http

://

orcid

.

org

/

0000-0003-0976-5248 Junga Kim

,

http

://

orcid

.

org

/

0000-0001-7381-9365 Soohyoung Lee

,

http

://

orcid

.

org

/

0000-0002-0064-0388 Ki hyon Park

,

http

://

orcid

.

org

/

0000-0003-4374-3886

REFERENCES

1. Kanis JA, Melton LJ 3rd, Christiansen C, Johnston CC, Khaltaev N. The di- agnosis of osteoporosis. J Bone Miner Res 1994; 9: 1137-41.

2. Lips P, van Schoor NM.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Osteo-

poros Int 2005; 16: 447-55.

3. Moreira LD, Oliveira ML, Lirani-Galvão AP, Marin-Mio RV, Santos RN, Lazaretti-Castro M. Physical exercise and osteoporosis: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exercises on bone and physical function of postmenopausal wom- en. Arq Bras Endocrinol Metabol 2014; 58: 514-22.

4. Nguyen TV, Center JR, Eisman JA. Osteoporosis in elderly men and women:

effects of dietary calcium,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J Bone Miner Res 2000; 15: 322-31.

5. Baert V, Gorus E, Mets T, Bautmans I. Motivators and barriers for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with osteoporosis. J Geriatr Phys Ther 2015; 38: 105- 14.

6.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 analysis guide. [Internet]. Geneva: WHO; 2012. [cited 2015-2016].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cds/surveillance/steps/resources/GPAQ_

Analysis_Guide.pdf

7. Lauer EE, Jackson AW, Martin SB, Morrow JR Jr. Meeting USDHHS physi- cal activity guidelines and health outcomes. Int J Exerc Sci 2017; 10: 121-7.

8. King GA, Fitzhugh EC, Bassett DR Jr, McLaughlin JE, Strath SJ, Swartz AM, et al. Relationship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occupational activity to the prevalence of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1; 25: 606- 12.

9. Chu AH, Moy FM. Associations of occupational, transportation, household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patterns with metabolic risk factors among middle-aged adults in a middle-income country. Prev Med 2013; 57 Suppl: S14-7.

10. Damilakis J, Perisinakis K, Kontakis G, Vagios E, Gourtsoyiannis N. Effect of lifetime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on indices of bone mineral status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Calcif Tissue Int 1999; 64: 112-6.

11. Weiss M, Yogev R, Dolev E. Occupational sitting and low hip mineral densi- ty. Calcif Tissue Int 1998; 62: 47-50.

12. Holtermann A, Krause N, van der Beek AJ, Straker L. The physical activity paradox: six reasons why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OPA) does not confer the cardiovascular health benefits tha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does. Br J Sports Med 2018; 52: 149-50.

13. Walker-Bone K, D'Angelo S, Syddall HE, Palmer KT, Cooper C, Coggon D, et al. Exposure to heavy physical occupational activities during working life and bone mineral density at the hip at retirement age. Occup Environ Med 2014; 71: 329-31.

14. Lahti J, Holstila A, Lahelma E, Rahkonen O.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all-cause mortality. PLoS One 2014; 9: e101548.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rk-time physical activity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showing an association between HGS and fracture risk are similar. 30) reported a relationship between HGS and muscle qual- ity in Australian women, with the mean HGS and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