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퇴골두무혈성괴사에서시행한지지적골시멘트치환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대퇴골두무혈성괴사에서시행한지지적골시멘트치환술"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23

목 적: 젊은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 크기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서 보존 요법으로 시행한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의 단 기 결과를 보고하기 위함.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0년 2월에 수술한 41 대퇴골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34.2세(남자;

33명, 여자; 5명)였다. 수술 전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48.6점이었다. Ficat-Arlet에 의한 방사선학적 병기상 제 1기가 2 고관절(5%), 제 II-a기는 7 고관절(17%), II-b기가 8 고관절(20%) 그리고 III기가 24 고관절(59%)이었다. 자기 공명 영상 에 의한 괴사 정도 지표에 의하면 8 고관절(20%)이 B등급이었고, 나머지 33 고관절(80%)은 C등급이었다. 수술 방법은 괴사 골의 제거 후 골 시멘트를 충진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6개월이었다. 최종 추시 상 3 고관절이 소실 되었다.

결 과: 수술 후 즉각적인 고관절통의 감소는 38 고관절(86%)에서 관찰되었다. 최종 추시 상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77.3점이었다. 방사선학적 병기의 진행은 11 고관절(27%)에서 보였으며, 나머지 30 고관절(73%)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인공관절 치환술은 6 고관절(15%)에서 시행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괴사 정도 지표는 C 등급이었다.

결 론: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은 기존의 구제법에 비해 기술적으로 쉽고, 수술 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자기 공명 영상 의 괴사 지표가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장기적인 추시 관찰이 필요하다.

색인 단어: 대퇴골두, 고관절, 무혈성 괴사,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

Purpose: To report early results of supportive bone cement replacement for medium to large size osteonecrotic femoral heads in young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osteonecrotic femoral heads in 38 patients, who received operation from Mar. 1998 to Feb. 2000, were reviewe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4.2 years (men; 33, women; 5). The preoperative mean Harris score was 48.6. Radiologic staging of Ficat showed I in 2 hips (5%), II-A in 7 hips (17%), II-B in 8 hips (20%) and III in 24 hips (59%). According to the index of necrotic extent (INE) by MRI, 8 hips (20%) were grade B and the remaining 33 hips (80%) were grade C. The oper- ative method used was debridement of necrotic bone and bone cement replacement. Mean length of fol- low-up was 24.6 months. Three hips were lost to final follow-up.

Results: Postoperative immediate pain relief was observed in 38 hips (86%). Mean Harris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77.3. Radiologic progression of stage was observed in 11 hips (27%), and no progression in the remaining 30 hips (73%). Arthoplasty was performed in 6 hips (15%), which were INE C in all cases.

Conclusion: Supportive bone cement replacement is easier than other salvage techniques and pro- duced a good result. INE was an important factor effecting postoperative results. Long term follow up is necessary.

Key Words: Femoral head, Hip, Osteonecrosis, Supportive bone cement replacement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Youn Soo Park, M.D., Jong Yoon Lee, M.D.

*

, Jin Seok Kang, M.D., and Irvin Oh, M.D.

Supportive Bone Cement Replacement for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123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서 시행한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

박윤수ㆍ이종윤*ㆍ강진석ㆍ오일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대한적십자사 인천병원*

123 123 통신저자 : 박 윤 수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50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 02-3410-3504∙FAX: 02-3410-1230

E-mail: yspark@smc.samsung.co.k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 Soo Park,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0 Ilwon-dong, Gangnam-gu, Seoul 135-710, Korea Tel: +82.2-3410-3504, Fax: +82.2-3410-1230

E-mail: yspark@smc.samsung.co.kr

(2)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는 젊은 연령층에서 이환되어 조기에 고관절의 파괴로 진행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15,26). 이 질환은 일단 증상이 출현하면 급속도로 진행하

여 치료하지 않으면 4년 이내에 80%에서 대퇴골두가 붕괴하게 된다23,25,27,35). 젊은 나이에서의 대퇴골두 무혈 성 괴사의 치료로서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은 증가된 일 상 생활의 활동 능력 및 거듭된 재치환술 시의 어려움 등 으로 인하여 나쁜 결과를 보고하고 있어7,29,40), 젊은 환자 에 있어서 증상을 보이는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에 대 해서는 대퇴골두를 보존하려는 노력들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보존 치료들로서 핵심 감압술(core decom- pression), 비혈관성 골이식술(nonvascularized bone graft), 혈관성 골이식술(vascularized bone graft), 절골술(osteotomy) 등의 생물학적 수술법등이 주종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 부분이 광 범위하고 진행된 경우에는 이러한 보존적 수술마저도 시 도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대부분이 MRI 시대 이전의 단 순 방사선 소견으로만 분류된 병변에 대해서만 행해져 결과의 해석에 대해서 신빙성이 떨어지고, 그 결과에 대 해서도 다양한 보고들과 함께 진행된 병변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나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보존 치료로서 수술의 이상적인 조건은 수술이 쉬어야 하며, 덜 침습적이고, 다른 부위에 병변을 만들지 않아야 하며, 수술 후 조기에 고관절 통증을 감소시키 고, 고관절 전 치환술을 일정 기간 연기할 수 있어야 한 다. 이와 같은 구제술로서 생물학적인 시도 외에 Glim- cher와 Kenzora12)및 Hernigou 등13)이 골 시멘트를 이 용한 술기를 소개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상기 조건을 어느 정도 만족시키면서 수술 전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 하여 병변의 크기 및 위치를 찾아 선정된 중등도(mod- erate) 및 중증(large)의 괴사 병변에 대해 시행한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supportive bone cement replace- ment)의 임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한 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시행된 41 대퇴골두, 38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34.2세(19-49세)로 연령 분 포는 10대가 1명, 20대가 12명, 30대가 15명, 40대가 10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33명이었고, 여자가 5명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6개월(범위, 12-37개월) 이었고, 원인 인자는 24 고관절에서 스테로이드, 15 고 관절에서 알코올, 3 고관절에서 외상이었으며 나머지 3 예에서는 불명이었다. 수술의 적응증으로는 고관절통을 동반하며, 50세 이하의 나이로 방사선 촬영 상 고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없으며 자기 공명 영상 상 중등도 이상의 괴사 정도를 가진 경우였다. 수술 전 평균 Harris 고관 절 점수는 48.6 점(범위, 25-71점)이었다. 최종 추시 상 소실된 3 고관절은 제외하였다.

Ficat-Arlet 분류법11)에 따른 방사선학적 병기(stage) 로 제 1기가 2 고관절(5%), 제 II기가 7 고관절(17%)이, 제 II-b기로는 8 고관절(20%)이, 제 III기로는 24 고관 절(59%)이 포함되었다(Table 1). MRI 병기로는 Koo 등19)이 보고한 괴사 정도 지표(index of necrotic ex- tent, INE)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괴사 정도 지표는 괴사 지역의 각도를 자기 공명 영상에서 중앙 관 상면(midcoronal, A)과 중앙 시상면(midsagittal, B) 에서 각각 측정하여 (A/180)×(B/180)×100의 공식으 로 계산하며 이렇게 계산된 수치는 대퇴골두의 체중 부 하 부위에서 상대적인 괴사 부피를 반영한다. 괴사 정도 지표는 3등급으로 세분화되는데 경도(mild)의 괴사 정도 인 33% 이하를 A 등급이라 하고, 중등도의 괴사 정도인 34-66%를 B 등급, 중도의 괴사 정도인 67% 이상을 C 등급이라 정의하였다. 이 분류법에 따라 8 고관절(20%)이 B 등급이었고, 나머지 33 고관절(80%)이 C 등급이었다 (Table 1). 방사선 병기와 자기 공명 영상 괴사 지표간 의 연관성은 없었다(Pearson 상관 계수, p>0.05).

추시 항목은 수술 후 즉각적인 고관절 통의 소실 여부, 병기의 방사선학적 진행, Harris 고관절 점수, 임상적 실패로 정의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시행 유무, 합병 증 등이었다.

1. 수술 술기

수술 전 촬영한 자기 공명 영상에서 괴사된 영역을 미 리 계측한다. 수술은 골절 수술 침대 위에서 앙와위의 자세로 영상 증폭기(image intensifier)하에서 이루어 진다. 외측 도달법을 이용하며 근위 대퇴골에 접근이 끝 나면 가이드 핀을 미리 계측된 골 괴사 부분에 삽입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괴사 부분이 대퇴골두의 전상방에 위치 하므로 가능하면 근위 대퇴골 외측 피질골의 약간 후방

(3)

및 원위부에 삽입구를 잡는다. 가이드 핀이 괴사된 부위 에 정확히 삽입이 되면 가이드 핀의 삽입구 주변에 약 1.5-2 cm 정도 지름의 피질골 창(cortical window)을 만들어 한 덩이(one piece)로 제거해 보존해 놓는다. 이 어 근위 대퇴골의 골간단부 및 대퇴 경부에 있는 제거된 피질골 창 내부의 살아있는 해면골을 소파하여 역시 보존 해 놓는다. 이 후 가이드 핀 겉으로 11 mm 지름의 can- nulated drill bit을 삽입하여 drilling을 시행하는데 가능한 괴사된 많은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drill gun에 각도를 주어 여러 방향으로 시행한다. 나머지 괴사가 남 아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부러진 소파기 (curved curette)을 이용하여 철저히 소파술을 시행한 다. 소파가 완료되면 관계를 시행한 후 혼합한 골 시멘 트(CMW3, DePuy, England)를 압력 gun을 이용하 여 대퇴골두 내의 소파된 부분의 빈 공간에 충진하면서

원위부로 이동하여 대퇴골의 경부까지 시행한 후 지름 10 mm의 막대를 이용하여 충진된 시멘트에 충격을 가 하여 가능하면 단단한 기계적 지지를 얻도록 한다. 시멘 트가 충진된 원위부의 대퇴골 골간단부에는 미리 제거해 보존해 놓은 해면골의 이식을 시행하고, 외측 피질골 결 손부에는 피질골 창을 위치시켜 놓은 후 연부 조직을 봉 합한다.

결 과

수술 후 즉각적인 고관절통의 감소는 38 고관절(86%) 에서 있었으며 최종 추시 시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 는 77.3점(48-91) 이었다(91점 이상: 9예, 81점-90점:

10예, 71점-80점: 9예, 70점 이하:10예). 임상적 실패 는 모두 6 고관절(15%)이었는데, 이 6 경우 모두에서 괴 사 정도 지표는 C 등급이었으며 4예에서는 스테로이드 에 의한 것이었고, 2예는 알코올이 원인이었다(원인 질

Preoperation (%) Postoperation (%) Radiologic stage

1 2 (5)

2 7 (17) 8 (20)

2-b 8 (20) 9 (22)

3 24 (59) 20 (51)

4 0 (0) 4 (19)

MRI stage

A 0 (0)

B 8 (20) 7 (17)

C 33 (80) 34 (83)

Table 1.Progression of radiologic and MRI stage

Preop. Radiologic stage No. of progression (%)

1 1 (50)

2 2 (28)

2-b 3 (38)

3 5 (21)

Preop. MRI stage No. of progression (%)

A 0

B 1 (2)

C 10 (25)

Table 2.No. of progressions according to preoperative X-ray and MRI stage

Fig. 1.26-year-old male patient. Preoperative X-ray and MRI showing Ficat stage 2 and INE B. At the final follow-up, no advanced collapse was observed and the Harris hip score changed from 46 to 91.

<Preop. X-ray & MRI> <Postop. 0> <Postop. 3M> <Postop. 6M> <Postop. 24M>

1

1

(4)

환과 임상 실패와의 Pearson 상관 계수, 각 p>0.005).

여섯 예 중 4예는 초기 수술했던 부적절한 술기가 원인 으로 작용했는데 이 중 1예는 고관절 내 골 시멘트 유출 을 보였었고, 나머지 3예는 부적절한 소파술이 시행된 경우였고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은 처음 수술 후 6, 8, 26, 32개월째 각각 시행되었고 모두 대퇴골두의 함몰 소견을 보였다. 나머지 2예는 특별한 원인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수술 소견에서도 비교적 관절 연골의 보존을 보였었으며 처음 수술 후 20, 23개월 째 각각 고관절 전 치환술이 시행되었다. 방사선학적 병기의 진행은 11 고 관절(27%)에서 보였으며 나머지 30 고관절(73%)에서

는 수술 전 병기와 변화가 없었다(Table 1, 2) (Fig. 1, 2). 수술 후 방사선학적 병기가 진행된 고관절 중 수술 전 방사선학적 병기의 구분으로 분류해 볼 때 병기 I이 1 예(2%), 병기 II가 2예(5%), 병기 II-b가 3예(7%), 병기 III이 5예(12%)였으며(수술 전 병기와 수술 후 진행된 고 관절과의 상관 관계, Pearson 상관 계수, 각 p>0.005), MRI상 괴사의 크기에 따라 분류해 볼 때 괴사 정도 지 표 B 등급이 1 고관절(2%)(수술 전 괴사 등급과 수술 후 진행된 고관절과의 상관 관계, 상관 계수, p>0.005) C 등급이 10 고관절(25%)이었다(수술 전 괴사 등급과 수 술 후 진행된 고관절과의 상관 관계, Pearson 상관 계 Fig. 2.23-year-old male patient. Preoperative X-ray and MRI showing Ficat stage 3 and INE C. At the final follow-up, no advanced collapse was observed and the Harris hip score changed from 45 to 90.

<Preop. X-ray & MRI> <Postop. 0> <Postop. 3M> <Postop. 12M> <Postop. 27M>

Fig. 3.32-year-old female patient. Preoperative X-ray and MRI showing Ficat stage 2-a and INE B. At the final follow-up, no advanced collapse was observed and the Harris hip score changed from 39 to 88.

<Preop. X-ray & MRI> <Postop. 0> <Postop. 3M> <Postop. 12M> <Postop. 34M>

1

1

1

1

(5)

수, p<0.005) (Fig. 3, 4). 방사선학적 병기가 진행된 경우에 있어서 평균 진행 기간은 12.1개월이었다. 합병 증은 2예에서 발생하였다. 골 시멘트의 고관절 내로의 유출이 1예로 이 경우에는 수술 후 빠른 골관절염을 보 여 수술 후 6개월에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하였 다. 나머지 1예는 수술 후 1일에 낙상하여 전자하부의 골절을 보여 칼침판(blade plate)으로 내고정하여 골유 합을 얻었다.

고 찰

젊은 나이에서의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의 고식적 치 료법으로 핵심 감압술이 시행되어 왔으며, 1979년 Hun- gerford16)가 처음으로 이 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 면서 다양한 결과의 보고들이 있어 왔다. 이를 주장하는 저자들의 이론적 근거는 증가된 대퇴골두 내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서 고관절통을 감소 시키고, 대퇴골두의 치유를 도우며, 젊은 나이에서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을 연기한다는 것이다10,11,32). 그러나 이에 관한 보고들을 보 면 본 질환의 초기(대부분 붕괴가 일어나기 전)에 시행 시에만 좋은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으며1,6,36-38) 대다수의

저자들6,14,20,21,30,33,39)이 핵심 감압술의 효과에 대해서 의

심하고 있는 바, 이들은 핵심 감압술이 본 질병의 자연 경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것이다. Mont 등25)에 의하면 Ficat-Arlet 분류상의 모든 병기에서 핵 심 감압술을 시행한 결과 63.5%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제 3기의 생존율은 47%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 보고는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Smith32)는 핵심 감압술을 시행한 114 고관절의 3년 추 시 결과로 임상적 실패를 보인 비율이 평균 56%로 방사 선 병기상 제 3기는 전례에서 실패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무혈성 괴사의 자연 경과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 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보고로는 Hopson과 Silver- hus14), Learmonth21), Schawarz와 Mathiesen30)의 그것이 있는데 이들은 핵심 감압술을 시행한 후에도 많 은 경우에서 병변의 진행이나 임상적, 방사선학적 실패 를 보인다고 하였다. 한편 무혈성 괴사를 자기 공명 영 상에서 정량화하여 병변의 크기와 핵심 감압술의 효과에 관한 보고도 있었는데 Beltran 등2)은 수술 전 자기 공 명영상에서 대퇴골두의 25% 미만으로 분류된 경우에만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단순 방사선 사진에 의한 병기 의 분류보다 자기 공명 영상에 따른 분류가 치료 성적을 예측하는데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골이식술도 비교적 흔한 술기 중의 하나인데 이는 연골 하골의 함몰을 방지하는 구조적 지지(structural sup- port)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초기의 보고들은 비 교적 긍정적인 것들이었으나4,5), Buckley 등3)은 평균 8 년의 추시 결과 상 90% (20 고관절 중 18 고관절)의 성 공률을 보고하였는데, 이들은 전례에서 방사선학적 병 기상 제 1기와 2기 군의 환자만을 수술하였으며 또한 비 교적 불량한 결과를 보인다고 알려진 스테로이드에 의한 Fig. 4.40-year-old male patient. Preoperative X-ray and MRI showing Ficat stage 2-b and INE C. At the final follow-up, the X-ray showed more advanced collapse, but the Harris hip score remained reasonably high (85 from 34).

<Preop. X-ray & MRI> <Postop. 0> <Postop. 3M> <Postop. 12M> <Postop. 35M>

1

1

(6)

무혈성 괴사는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Smith 등31)에 의하면 경골 이식술을 받은 56 고관절 중 평균 9년 추시 상 25 고관절(45%)이 인공 관절 치환술을 받았으며 이 들은 이식술 전 대퇴골두의 붕괴 등이 있는 경우가 대부 분이었다고 했다. Park 등28)은 괴사 정도 지표가 C 인 34 고관절을 포함하는 42 고관절을 대상으로 한 고착 골이식술(impaction bone graft)의 결과에 대해 보고 한 적이 있는데, 평균 기간 29개월의 추시 관찰 상 59%

에서 방사선학적 진행을 보였으며 34%에서 인공 고관 절 전 치환술을 필요로 했다고 하였다. Dunn과 Grow 의 보고9)에 의하면 피질골 이식술을 받은 방사선 병기상 제 2기와 3기의 대부분이 진행하여 결국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을 필요로 했다고 하였다. Yoo 등41)은 혈관성 비 골 이식술을 시행한 121 고관절을 대상으로 평균 5년 2 개월의 추시 결과 91%에서 좋은(good to excellent)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89%에서 질환이 진행하지 않거 나 방사선 소견상 약간의 호전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Urbaniak 등39)은 방사선학적 분류상 제 2기와 3기로 분류된 103 고관절에 대해 시행한 혈관성 비골 이식술의 결과 보고에서 4년 이상 추시 관찰했을 때 제 3기에 속 했던 63 고관절 중 18 고관절(29%)이 인공 고관절 전 치 환술을 받아 비교적 고무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Sotre- anos 등34)은 5.5년 이상 추시 관찰한 88 고관절의 생존 율 분석에서 방사선학적 병기상 제 2기의 28%가, 제 3 기와 4기에 포함된 38%가 인공 관절 전 치환술을 받았 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Meyers24)의 보고도 골 이식의 결 과에 부정적이다. 이처럼 본 술식은 다른 그것에 비해서 다양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으나 수술 방법이 어렵고, 골이식에 따른 또 다른 병변을 초래함으로서 이상적인 보존 술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저자들이 고안해 낸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의 이론 적 배경은 괴사된 부분을 제거한 후 골 시멘트를 충진하 여 연골하골의 단단한 기계적 지지를 해 줌으로서 관절의 붕괴를 막고, 관절 연골의 손상없이 관절염의 진행을 늦 춰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의 시행 시기를 연기한다는 것 이다. Cruess의 보고8)에 의하면 무혈성 괴사에서 대퇴 골두에 붕괴가 일어나더라도 관절 연골은 보통 정상이며 비구역시도 별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에서 골 시멘트의 사용은 Glimcher와 Ken- zora12)의 보고에서 비롯된다. 김 등17)은 핵심 감압술 후

골 시멘트 충진은 생 비골 이식술과 같이 구조적인 상태 를 잘 유지하면서 스트레스를 전달한다고(stress trans- fer with structural integrity) 보고한 바 있다. Herni- gou 등13)은 평균 5년 동안 추시 관찰한 결과를 보고하 였는데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전 60점에서 수술 후 85점이 되었으며, 전 예에서 수술 후 즉각적인 고관 절통의 소실을 보였다고 하였으며, 방사선학적 병기의 진행상 2예(13%)에서만 붕괴를 보여 완전한 골관절염으 로 발전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저자들이 사용 한 수술 방법보다 공격적인 수술 술기를 사용하였고, 괴 사부위의 철저한 골 소파가 미진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어 나쁜 결과에 어느 정도는 일조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많은 술식들이 대부분 자기 공명 영상이 보편화되기 전 방사선학적 분류에만 의존하여 이 루어져 이들 보고들의 치료 결과와 실제 병변의 크기에 따른 연관성에 대해서 예측하기 곤란한 면이 있다. Kim 등18)에 의하면 자기 공명 영상은 무혈성 괴사의 부위 및 괴사 범위 등을 잘 관찰할 수 있어 질병의 예후를 판정하 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저자들이 금번 이용한 자기 공명 영상 에 의거한 괴사 정도 지표는 괴사 정도를 정량화하여 치 료에 적용하므로서 괴사 정도와 치료 결과의 관계에 대 해 좀 더 밀접하게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겠다. 본 연구 에서도 수술 후 붕괴를 보인 11 고관절 중 수술 전 방사 선학적 분류상 병기 2-b 및 병기 3에서는 통계학적으로 별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수술 전 MRI상 괴사 정도 지 표 C등급의 10 고관절이 수술 후 추시 관찰상 붕괴를 보 여 의미있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생존율을 보면 중등도나 중도의 괴사 정도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 였음에도 24.6개월 생존율은 86%로 좋은 결과를 보이 고 있다. Koo 등21)의 보고에 의하면 치유하지 않은 무혈 성 괴사의 자연 경과를 연구하였을 때 괴사 정도 지표 B 등급을 보인 고관절의 95%가 평균 9개월에, C 등급의 100%는 평균 6개월에 붕괴되었다고 하였다. Lida 등22) 의 보고를 볼 때 수술 후 즉각적인 고관절통의 감소는 감 압 효과화 함께 괴사부위를 제거한 후 시행한 골 시멘트 의 충진으로 인한 단단한 기계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하 여 골수부종을 줄인 때문으로 생각된다.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77.3점으로 그리 높은 점수는 아니나 이 점수에는 임상 실패로 정의된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의

(7)

경우도 포함되어 있고 또 대부분 수술 시작 초창기의 부 적절한 수술 술기로 인하여 최근의 수술 결과에 비하여 낮은 점수를 보여 평균 점수가 그리 높지 못한 것으로 보 인다.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 받은 6예 중 4예가 이와 같은 부적절한 수술 술기가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 다. 이러한 수술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술 전 자 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골괴사 부위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거나 수술 중 골 소파술과 함께 내시경적 관찰을 동반한다면 좀더 철저한 골 소파술과 함께 시멘트의 관 절내 유출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젊은 환자에서 중간 크기 이상의 대퇴골두 무혈성 괴 사의 치료에 있어서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은 기존의 구제법에 비해 기술적으로 쉽고 수술 후 조기에 고관절 통증을 감소시키며, 고관절 전치환술을 일정 기간 연기 할 수 있어 좋은 술식으로 생각된다. 장기적인 추시 관 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Aaron RK, Lennox D, Bunce GE and Ebert T: The conserva- tive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 comparison of core decompression and pulsing electromagnetic fields. Clin Orthop, 249: 209-218, 1989.

2. Beltran J, Knight CT, Zuelzer WA, et al: Core decompression for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Correlation between long- term results and preoperative MR imaging. Radiology, 175: 533- 536, 1990.

3. Buckley PD, Gearen PE and Petty RW: Structural bone graft- ing for early atraumatic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J Bone Joint Surg, 73-A: 1357-1364, 1991.

4. Boettcher WG, Bonfiglio M and Smith K: Nontraumatic necro- sis of the fermoal hed: Part II. Experiences in treatment. J Bone Joint Surg, 52-A: 322-329, 1970.

5. Bonfiglio M and Bardenstein MB: Treatment by bone-grafting of aseptic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nd non-union of the femoral neck (Phemister technique). J Bone Joint Surg, 50-A: 48-66, 1968.

6. Camp JF and Colwell CW Jr: Core decompression of the femoral head for osteonecrosis. J Bone Joint Surg, 68-A: 1313-1319, 1989.

7. Cornell CN, Salvati EA and Pellicci PM: Long term follow-

up of total hip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osteonecrosis. Orthop Clin North America, 16: 757-769, 1985.

8. Cruess RL: Cortisone-induced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J Bone Joint Surg, 59-B: 308-317, 1977.

9. Dunn AW and Grow TG: Aseptic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Treatment with bone graft of doubtful value. Clin Orthop, 122:

249-254, 1977.

10. Fairbank AC, Bhatia D, Jinnah RH and Hungerford DS:

Long-term results of core decompression for ischemic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J Bone Joint Surg, 77-B: 42-49, 1995.

11. Ficat RP: Idiopathic bone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early diag- nosis and treatment. J Bone Joint Surg, 67-B: 3-9, 1985.

12. Glimcher MJ and Kenzora JE: The biology of osteonecrosis of the human femoral head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Clin Orthop, 140: 273-312, 1979.

13. Hernigou P, Bachir D and Galacteros F: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in sickle-cell disease. J Bone Joint Surg, 75-B:

875-880, 1993.

14. Hopson CN and Silverhus SW: Ischemic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Treatment by core decompression. J Bone Joint Surg, 70-A:

1048-1051, 1988.

15. Hungerford DS: Treatment of avascular necrosis in the young patient. Orthopedics, 18: 822-823, 1995.

16. Hungerford DS: Treatment of ischemic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Evarts CD ed. Surger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Chur- chill Livingston Co: 1425-1432, 1983.

17. Kim JS, Lee SJ and Kim YS: A biomechanical analysis of sur- gical procedures for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using 3 dimen- sional finite element method: A parametrical analysis by varying physiological loading conditions. J Korean Orthop Research, 1: 76- 82, 1988.

18. Kim YM, Kim YM, Ahn JH, Kang HS and Kim HJ: Esti- mation of the ext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using MRI.

J Bone Joint Surg, 80-B: 954-958, 1998.

19. Koo KH and Kim R: Quantifying the ext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 new method using MRI. J Bone Joint Surg, 77-B: 875-880, 1995.

20. Kristensen KD, Pedersen NW, Kioer T and Starklint H:

Core decompression in femoral head osteonecrosis: 18 stage I hips followed up for 1-5 years. Acta Orthop Scand, 62: 113-114, 1991.

(8)

21. Learmonth ID, Maloon S and Dali G: Core decompression for early atraumatic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J Bone Joint Surg, 72-B: 387-390, 1990.

22. Lida S, Harada Y, Shimizu K, et al: Correlation between bone marrow edema and collapse of the femoral head in steroid-induced osteonecrosis. American J Radiology, 174: 735-743, 2000.

23. Matsui M, Saito S, Ohzono K, et al: Experimental steroid- induced osteonecrosis in adult rabbits with hypersensitivity vas- culitis. Clin Orthop, 277: 61-72, 1992.

24. Meyers MH: The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hip with osteo- chondral allografts and with muscle pedicle graft technique. Clin Orthop, 130: 202-209, 1978.

25. Mont MA, Carbone JJ and Fairbank AC: Core decompres- sion versus nonoperative management for osteonecrosis of the hip.

Clin Orthop. 324: 169-178, 1996.

26. Musso ES, Mitchel SN, Schink-Ascani M and Bassett CAL:

Results of conservative manage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 retrospective review. Clin Orthop, 207: 209-215, 1986.

27. Ohzono K, Saito M, Takaoka K, et al: Natural history of non- traumatic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J Bone Joint Surg, 73-B: 68-72, 1991.

28. Park YS, Yi SR, Park YK, et al: Core Decompression and impac- tion bone graft in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J Korean Orthop Assoc, 34: 425-430, 1999.

29. Saito S, Saito M, Nishina T, Ohzono K and Ono K: Long- term results of total hip arthroplasty for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 comparison with osteoarthritis. Clin Orthop, 244: 198- 207, 1989.

30. Schwarz LG and Mathiesen B: Core decompression for femoral head necrosis. Prospective study of 28 patients. Acta Orthop Scand, 61: 507, 1990.

31. Smith KR, Bonfiglio M and Montgomery WJ: Non-trau- matic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treated with tibial bone-graft- ing: A follow-up note. J Bone Joint Surg, 62-A: 845-847, 1980.

32. Smith SW, Fehring TK, Griffin WL and Beaver WB: Core decompression of the osteonecrotic femoral head. J Bone Joint Surg, 77-A: 674-680, 1995.

33. Steinberg ME, Hayken GD and Steinberg DR: The “conser- vative” management of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In:

Arlet J, Ficat RP, Hungerford DS ed.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Circula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 334, 1982.

34. Sotereanos DG, Plakeseychuk AY and Rubash HE: Free vascularized fibula grafting for the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al head. Clin Orthop, 344: 243-256, 1997.

35. Steinberg ME, Brighton CT, Corces A, et al: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Results of core decompression and grafting with and without electrical stimulation. Clin Orthop, 249: 199- 208, 1989.

36. Steinberg ME, Hayken GD and Steinber DR: A quantita- tive system for staging avascular necrosis. J Bone Joint Surg, 77B:

34-41, 1995.

37. Steinberg ME, Hosick WB and Hartman K: 300 cases of core decompression with bone grafting for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 ral head. Assoc Res Cird Oss News, 4: 120-121, 1992.

38. Stulber BN, Davis AW, Bauer TW, Levine M and Easley K: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 prospective randomized treatment protocol. Clin Orthop, 268: 140-151, 1991.

39. Urbaniak JR, Coogan PG, Gunneson EB and Nunley JA: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with free vascular- ized fibular grafting. J Bone Joint Surg, 77-A: 681-694, 1995.

40. Xenakis TA, Beris AE, Malizos KK, Koukoubis T, Gelalis J and Soucacos PN:Total hip arthroplasty for avascular necro- sis and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the hip. Clin Orthop, 341:

62-68, 1997.

41. Yoo MC, Chung DW and Hahn CS: 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ing for the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Clin Orthop, 277: 128-138, 1992.

수치

Table 1. Progression of radiologic and MRI stage
Fig. 3. 32-year-old female patient. Preoperative X-ray and MRI showing Ficat stage 2-a and INE B

참조

관련 문서

Histologic evaluation of early human bone response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2. Histologic evaluation of human bone integration on machined and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o elevat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apply them in our educational

: Bone response to unloaded titanium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 A histomorphometric study in the canine mandible.. : Early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of patellar comminuted fractures using modified tension band wiring.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isseel™, used as an adjunct to tooth ash and plaster of Paris mixture, on the early healing of surgically

→ To use wastes in cement industry,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behavior of heavy metals and alkali chlorine, and influence on the cement properties. Emerging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