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관련요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관련요인"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주요어: 감염관리, 지식, 요양원

*이 논문은 제1저자 홍경희의 석사학위논문의 축약본임.

This article is a condensed form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1제주대학교병원 간호부 간호사

2제주대학교 간호대학 교수⋅건강과간호연구소 연구원

Received Dec 22, 2020; Revised Feb 19, 2021; Accepted Feb 24, 2021

Corresponding Author: Hyo Jeong Song https://orcid.org/0000-0003-2939-3517

College of Nursing, Jeju National University, 102 Jejudaehakno,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3243, Korea

Tel: +82-64-754-3885, Fax: +82-64-702-2686, E-mail: hjsong@jejunu.ac.kr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관련요인*

홍경희1⋅송효정2

Factors Related to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Kyung Hee Hong1⋅Hyo Jeong Song2,3

1Nurse, Department of Nursing,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 Health and Nursing Research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for care workers and provide the necessary data of th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for care worker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are workers working at the Jeju area’s nursing homes. The number of all subjects was 190,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May 20 to June 28, 2014. Result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F=2.80, p=.041) and experiences of infection prevention management education (t=2.53, p=.015). It showed that the care worker’s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positively correlates with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31, p<.001).

The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was the primary factor that impacted the care worker’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by explaining 15.0%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was the major factor that impacte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Therefore, it is vital to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 to improve the care worker’s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Keywords:

Infection control, Knowledge, Nursing homes

(2)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2000년을 기점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 7% 이상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고, 2020년 11월 기준 전체인구의 16.3%에 이르렀다[1]. 노인 인구의 증 가는 노인성 질환의 증가, 노인들의 일상생활 수행의 어려움, 가족의 노인부양 부담 등의 문제들을 우리 사 회에 드러나게 하였고,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건강 관리를 하지 못하거나 혹은 돌봄을 제공 받아야 하는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시설이 중요하게 되었다[2].

2008년 7월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이후, 국 내 장기요양시설의 수는 2016년 12월 기준 5,187개에 2020년 9월 5,694개로 증가하였다[3]. 향후 장기요양 시설 내 쇠약하고 연로한 노인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므로,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에게 제공하는 건 강관리의 질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국가적 그리고 국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당면과제로 대두되었다[4].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은 기저 만성질 환의 고위험과 면역능력의 저하로 인해 감염에 취약하 다[5].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성인에서는 치명적이지 않으나, 노인의 호흡기 관련 감염과 배뇨 및 소화기계 감염은 급성의 심한 질병 상태를 초래하고 사망에 상당 한 영향을 미친다[6]. 따라서 장기요양시설의 감염예 방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장기요양시설에서 요로감염, 폐렴, 욕창 감염이 흔 하게 발생하며, 이에 더하여 인플루엔자, 호흡기 바이 러스, 대상포진도 노인에게 심각한 질환으로 이환된다 [7]. 국외의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에게서 일 년에 발생하는 감염 건수는 160만에서 380만 정도이고, 이 38만 8천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4], 국내 의 경우 이러한 자료가 잘 도출되지 않은 상황이다. 국 내의 장기요양시설의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일 년 동안 의 감염발생 빈도를 본 연구결과에서 거주 노인의 66%

가 감염에 노출되었고, 그 종류는 호흡기계 감염, 피부 및 연조직 감염, 소화기계, 요로감염 등의 순으로 나타 났다[8]. 따라서 표준화된 감시 체계 및 감염관리를 통 한 시설의 질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감염으로 인 해 불필요한 병원 입원과 항생제내성 균주의 전파와 같 은 문제에 노출되어 노인의 삶의 질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고,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9].

국외의 경우 정책적으로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감염률을 감소시키고자 손 씻기, 깨끗한 환경, 소독 등 의 포괄적인 감염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을 하고 있 으나[9], 우리나라의 장기요양시설의 감염관리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 감염관리 프로그램 운영이 아직 미흡 한 상황이다. 정책적인 지침과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근거 자료가 필요하며, 이에 장기요양 시설에서 노인과 가장 밀접하게 일선에서 간호하고 있 는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요양보호사는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독립 적인 일상생활의 수행이 어려운 노인들을 위해 신체 및 가사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기요양 인력으로서 시 설에 거주하는 노인에 대한 직접간호를 대부분 담당하 고 있어[10], 이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 가 노인의 감염 예방과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장기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감 염관련 연구는 요로감염[11]과 흡인성 폐렴[12]등의 단 일 종류의 감염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를 파악한 것 들로 주로 이루어졌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Kim과 Park [13]은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그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감염관리 중요성 인지도에 대 해서만 파악하였다.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 식정도를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일 지역의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도와 감염예방 지식을 파악하 , 이를 통해 추후 장기요양시설의 감염관리 프로그 램 개발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염 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를 파악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 행도를 파악한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를 파악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 행도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

(3)

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를 파악하 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한 서술적 단면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 대상자는 J도 소재 J시 지역 6개, S시 지역 6 개, 총 12개의 장기요양시설에서 최소 1개월 이상 근무 를 하고 있으면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지 작성 에 동의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적절한 연구자 수는 G* 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정력 .95,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15, 독립변수 12개 를 입력하여 산출하였을 때 필요한 표본 수는 184명이 었다. 설문지 회수 시의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200명 을 임의 표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설문지 작성이 불 충분한 10부를 제외한 총 19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 였다.

3. 연구 도구

1)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성별, 교육정도 3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직무관련 특성은 현 요양시설 근무 경력, 요양보호사 근무경력, 감염예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감염예방 교육경험과 교육 경로, 감염예방 교 육을 받은 횟수, 감염예방의 정기적 교육기간으로 총 7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2) 감염예방 지식

감염예방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Ryu와 Ryu [14]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간호학과 교수 2인, 노인요양시 설 간호과장 1인과 노인전문간호사 1인, 감염내과 교 1인의 자문을 받은 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감 염예방 지식은 감염의 일반적 개념 4문항, 소독과 멸균 3문항, 손 씻기와 장갑 착용 8문항, 호흡기 감염관리 2

문항, 인공 도뇨관 관리 3문항, 위 장관 감염관리 3문항, 상처 감염관리 2문항, 잠재적 감염성 위험환자 관리 3 문항, 환자의 배설물 관리 3문항, 환자병실 청소 5문항, 세탁물 관리 3문항, 주방 및 기타 관리 3문항, 12개 영역으 로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의 점수는 ‘정답’ 1 , ‘오답’과 ‘모른다’라고 답한 경우는 0점으로 처리하 였다. 점수범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42점까지이며 점수 가 높을수록 감염예방 지식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Ryu Ryu [14]의 연구에서의 도구 신뢰도 Cronbach’s α는 .76이었고, 본 연구에서 K-R 20 (Kuder-Richardson 20)은 .58이었다.

3) 감염관리 수행도

감염관리 수행도는 Park 등[15]의 도구를 본 연구자 가 간호학과 교수 2인, 장기요양시설 간호과장 1인과 노인전문간호사 1인, 감염내과 교수 1인의 자문을 받 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감염관리 수행도는 5가 지 영역으로 손 씻기 12문항, 개인위생 6문항, 요로 감 염관리 4문항, 호흡기 감염관리 6문항, 환경 관리 7문 ,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거의 수행하 지 않는다’ 1점부터 ‘항상 수행하고 있다’에 4점으로 점 수가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신뢰 도는 Park 등[1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6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5이었다.

4.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제주대 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연구승인을 받은 후 시행 하였다(JJNU IRB-20140519-HR-010-01).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 20일부터 2014년 6월 28일까지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시행하기 전에 국민건강보험공단(www.longtermcare.or.kr)의 장 기요양 보험기관에 등록된 J도의 62개 장기요양시설 J시 지역 44개와 S시 지역 18개 시설에서 입소노인 30인 이상인 시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자는 각 장 기요양시설에 전화를 걸어, 시설장으로부터 자료 수집 허락을 받은 후 J시 6개 시설과 S시 6개 시설을 방문하 였다. 해당 시설의 요양보호사에게 연구의 목적, 방법, 설문지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에 연구 참여를 허락한 요양보호사에게 서면동의서를 받았다. 교대근 무로 인해 부재중이었던 요양보호사는 설문지와 함께

(4)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밀봉 가능한 봉투에 넣어 시설의 담당자를 통해 요양보호사에게 배포하였으며, 연구 참 여 동의서와 설문지를 읽고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 대상자의 설문지와 연구 참여 동의서는 요양시 설의 담당자를 통해 회수하였다. 본 설문지 작성에 소요 된 시간은 약 20분 정도이었다. 연구 협조에 대한 보답 으로 대상자들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AS WIN 9.2 program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는 기술적 통계를 사 용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 석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Duncan test를 이용하였 다. 요양보호사의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 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산출하였고,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 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는 총 190명으로 여성 167명(87.9%), 남성 23명(12.1%)이었다. 평균연령은 47.4±8.29세로 50 세 이상이 91명(47.9%)이었고, 학력은 고졸이 90명 (47.4%)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근무하는 요양시설 경 력은 평균 2.7±2.28년으로 1년 이상∼3년 미만이 60명 (31.6%)으로 가장 많았고, 요양보호사 근무경력은 평 3.3±2.25년이었으며 1년 이상∼3년 미만이 55명 (29.0%)으로 가장 많았다.

감염예방 교육은 감염예방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 답한 경우는 179명(94.2%), ‘보통이다’는 11명(5.8%)이 었다.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58명(83.2%),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없다’는 32명 (16.8%)이었다.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는 대상자 중 감염예방 교육기간은 ‘6개월에 한번’이 51명(32.3%)으 로 가장 많았고, ‘1년에 한번’은 49명(31%), ‘기타’는 31

(19.6%), ‘한 달에 한번’은 19명(12%), ‘1주 이내’는 5 명(3.2%), ‘2∼3주 이내’가 3명(1.9%)이었다. 감염예 방 교육경로로는 ‘요양시설 전체교육’이 88명(55.7%) 으로 가장 많았으며, ‘요양시설 간호사’가 52명 (32.9%)이었고, ‘이전에 근무하던 요양시설 혹은 기 관’이 11명(7.0%)이였으며, ‘기타’ 7명(4.4%)으로 나 타났다(Table 1).

2.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의 문항별 평균 평 점은 0.83±0.08점이었다. 감염예방 지식의 하위영역별 평균점수를 보면, 환자의 배설물 관리와 상처 감염관리 0.99±0.06점으로 가장 높았고, 손씻기 및 장갑 착용 0.81±0.15점이었다. 낮은 점수를 나타낸 영역은 감염의 일반적 개념 0.74±0.27점, 환자병실 청소가 0.57±0.15점 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수행도의 평균평점은 4점 만 점에 3.60±0.47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점수는 개인 위생이 3.79±0.3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경관리가 3.76±0.47점, 요로 감염관리가 3.57±0.70점, 호흡기 감 염관리가 3.28±0.85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Table 2).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 행도는 연령과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20대 연령군은 30대, 40대, 50대 연령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나타냈다(F=2.80, p=.041).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감염예방 교 육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군이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군보다 유의하게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53, p=.015)(Table 3).

4.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의 상관관계 요양보호사의 감염예방 지식은 감염관리 수행도와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r=.31, p<.001). 즉, 요양보호사의 감염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5)

Variables Categories n (%) Mean±SD

Gender Male 23 (12.1)

Female 167 (87.9)

Age (year)

24-29 8 (4.2)

47.4±8.29

30-39 23 (12.1)

40-49 68 (35.8)

≥50 91 (47.9)

Education

≤Middle school 19 (10.0)

High school 90 (47.4)

≥College 81 (42.6)

Career in care facilities (year)

<1 54 (28.4)

2.7±2.28

1-<3 60 (31.6)

3-<5 40 (21.1)

≥5 36 (18.9)

Care worker career (year)

<1 32 (16.8)

3.3±2.25

1-<3 55 (29.0)

3-<5 50 (26.3)

≥5 53 (27.9)

Necessity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Surely required 179 (94.2)

Moderately required 11 (5.8)

Experiences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Yes 158 (83.2)

No 32 (16.8)

Number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s*

1-10 135 (85.4)

5.11±5.84

11-20 20 (12.7)

>21 3 (1.9)

Interval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Once a week 5 (3.2)

Once 2-3 weeks 3 (1.9)

Once a month 19 (12.0)

Once in six months 51 (32.3)

Once a year 49 (31.0)

Others 31 (19.6)

Course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Education of care facility 88 (55.7) Nurses of care facility 52 (32.9) The previous care facility or institute 11 (7.0)

Others 7 (4.4)

*N=158

Table 1.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190)

(6)

Variables Items Number of

items Mean±SD Range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Patients excrement management 3 0.99±0.07

0-1

Wound infection management 2 0.99±0.06

Infection of the gastrointestinal management 3 0.92±0.19

Kitchen and other management 3 0.90±0.17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3 0.84±0.28

Urinary catheterization management 3 0.84±0.18

Respiratory infection control 2 0.82±0.28

Hand washing and wearing gloves 8 0.81±0.15

Laundry management 3 0.76±0.21

Potential infection risk patients management 3 0.75±0.29

The generic concept of the infection 4 0.74±0.27

Patient room cleaning 5 0.57±0.15

Total 42 0.83±0.08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Personal hygiene 63.79±0.39

1-4

Environmental management 7 3.76±0.47

Hand washing 12 3.61±0.55

Urinary infection control 4 3.57±0.70

Respiratory infection control 63.28±0.85

Total 35 3.60±0.47

Table 2. The Level of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N=190)

Variables Categories Mean±SD F or t p

(Duncan)

Gender Male 3.63±0.42

0.33 .743

Female 3.60±0.48

Age (year)

24-29 3.14±0.76a

2.80 .041

a<b

30-39 3.60±0.56b

40-49 3.63±0.42b

≥50 3.62±0.44b

Education

≤Middle school 3.71±0.32

0.59 .555

High school 3.60±0.48

≥College 3.58±0.50

Career in care facilities (year)

<1 3.51±0.52

1.02 .385

1-<3 3.62±0.41

3-<5 3.65±0.58

≥5 3.66±0.34

Care worker career (year)

<1 3.57±0.56

1.08 .360

1-<3 3.60±0.36

3-<5 3.52±0.60

≥5 3.69±0.37

Necessity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Surely requiredModerately required 3.59±0.483.73±0.29 -0.94 .348

Experiences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YesNo 3.65±0.433.37±0.61 2.53 .015 Table 3.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N=190)

(7)

5.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 성 중에서 감염관리 수행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던 연령, 감염예방 교육경험과 감염관리 수행 도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된 감염예방 지식을 독립 변수로 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자의 연령은 연속변수로, 감염예방 교육경험을 dummy 변수로 처리하였다. 독립변수에 대한 회귀분석의 가정 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공선성을 진단한 결과 공차한 계(tolerance)가 .95로 0.1이상으로 나타났고, 분산팽창 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 VIF)가 0.98로 기준이 되는 10이상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다. 요양 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 염예방 지식(β=.39, t=5.87, p<.001)으로 나타났고, 이것 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15.0%로 설명하였다(F=34.42, p<.001) (Table 5).

논 의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수준은 평균 0.83점 (범위 0∼1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지식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은 환자의 배설물 관리와 상처 감염 관리로, Hong과 Kang [16]의 간병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손 위 생은 감염예방과 관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손 씻기와 장갑 착용 영역 의 지식 점수는 0.81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Aiello 등[17]의 손 위생 지식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요 양보호사들이 손 위생의 중요성은 높게 인식하였으나

손 씻는 시간에 대한 정답률은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 . 또한, Ryu와 Ryu [14]의 연구에서는 감염예방 교육 을 받은 후에도 여전히 손 씻는 시간에 대한 정답률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및 선행 연구 결과를 바 탕으로 추후 손 위생 교육 시에는 손 씻는 시간에 대한 이론적 근거뿐만 아니라 손 씻기 각 단계마다 원칙을 지켜 수기 실습을 하는 교육과정이 포함되어야 하며, 또한 교육이 끝난 후에는 손 씻기에 대한 세부적 지식 문항을 제공하여 그 수준을 반드시 평가해야 할 것이 . 환자병실 청소 영역은 0.57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이는 Hong과 Kang [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으로는 체계적인 청소 원리와 방법 을 교육받지 못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요양보 호사 혹은 간병인 양성을 위한 교육, 혹은 실무 및 직무 교육에서 청소원리, 청소 방법 및 절차, 환경 소독제 선 택 등의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점수는 4점 만점 3.60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영역별 점 수는 개인위생 3.79점, 환경 관리 3.76점, 손 씻기 3.61 , 요로 감염관리 3.57점, 호흡기 감염관리 3.28점 순으 로 나타났다. Park 등[15]의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감 염관리 수행도는 환경관리 3.75점, 요로 감염관리 3.70 , 개인위생 3.66점, 호흡기 감염관리 3.64점, 손 씻기 3.59점의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영역별로 약간의 차 이를 보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손 씻기는 감염관리수 행도 중에 중간 순위를 나타내었다.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요양 보호사에 의해 돌봄을 받고 있고, 요양 보호사는 한 번에 여러 노인을 돌보는 상황으로 이들의 손에 일시적으로 오염되어 있 던 균에 의해 교차 감염이 일어날 위험성이 높다. 그러 므로 손 씻기 수행을 더 높이기 위한 교육을 강화해야

Variable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r (p)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31 (<.001) 

Table 4.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N=190)

Variable B SE β t R2 Adj R2 F (p)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0.69 0.12 .39 5.87 .16 .15 34.42

(<.001)  Table 5. Factor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N=190)

(8)

할 뿐만 아니라 손 씻기에 용이한 환경 정비, 그리고 손 세정제, 손 소독제, 종이 타월 등의 물품을 갖추어 손 씻 기 수행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는 연령과 감염예방 교육경 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대상자의 20대 연령군은 나머지 연령군, 즉, 30대, 40대, 50대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보였는데, 이 는 연령이 높은 요양 보호사에 비해 노인 대상자를 돌 보는 경험의 부족으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실제 로 장기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의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에 있어서도 고 연령의 요양보호사가 젊은 연령에 비해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이 높았다[11]. 또한 본 연 구에서 감염관리 수행도는 감염예방에 대한 교육을 받 았던 요양보호사에서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 등[18]의 연구에서 장기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포함한 종사자를 대상으로 손 위생 교육프로그램 중재 후, 대조군에 비해 수행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 준 다. 본 연구 대상자의 94%가 감염예방 교육이 필요하 다고 응답하였고, 현재의 일괄적인 집단교육으로부터 탈피해 컴퓨터/웹 기반, 스마트폰, 책자 등 다양한 방법 으로 교육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19]. 또한 요양보호 사의 연령과 각 시설 환경 등을 반영한 맞춤형 감염예 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교육을 한다면 궁극적으로 감염예방과 관리의 강화가 이루어져 장기요양시설의 감염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20].

본 연구에서 감염예방 지식은 감염관리 수행도에 유 의한 정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일 지역 간병인을 대상으로 Cho와 Hong [21]의 연구에서 간병인의 감염관리 지 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고, Hong과 Kang [16]의 요양병원의 간병인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도 감염관리 수행도에 관련된 요인으로 감염예방 지식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노인과 밀 접하게 일선에서 접촉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는 장기요 양시설의 성공적 감염예방과 관리의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20].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감염관리 수행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감염예방 지식을 높이기 위한 방 안이 제시되어야 하고, 보수교육 및 직무교육 등에 감 염관리 내용을 포함시켜 교육하여 요양보호사의 감염 예방 지식수준을 높임으로써 감염예방과 관리에 대한 올바른 수행이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요양보호

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감염관리 수행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13], 감염관리에 대 한 인식 개선을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요양 시설 요양보호사들이 언제든지 손쉽게 감염관리에 대 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하며, 실무 또는 실무 외에서 용이하게 지침을 학습하 고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웹기반과 같은 전달 방법도 개발되어야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장기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 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감염예방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염예방 지식의 수준을 높이는 것 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전략으로 실무 기반 교육프로 그램 개발과 정기적인 직무교육이 이루어져야겠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가 드물게 수행된 장기요 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영 향요인을 파악하고,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장기요 양시설의 요양보호사에 초점을 둔 감염관리 교육안과 지침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본 연구는 일 지역에 한정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에 의한 주관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일 시점에 국한된 조사이므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 계가 있다.

추후 요양보호사의 감염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의 수행과 그 효과를 측정하는 중재연구를 제안한다.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sido/si/gun/gu)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20 [cited 2020 December 17].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 orgId=101&

tblId=DT_1YL20631&vw_cd=MT_GTITLE01&list_id=101&se 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

conn_path=MT_GTITLE01

(9)

2. Cho CY. Geriatric long-term care practi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2018;19(2):63-71. https://doi.org/10.156 56/kjcg.2018.19.2.63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tistical status of long term care facilities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0 [cited 2020 December 25].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

announce/wbhaec11502m01.do

4. Richards C. Infections in resident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 agenda for research. Report of an expert pane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2;50(3):570-576. https://doi.org/

10.1046/j.1532-5415.2002.50128.x

5. Kariya N, Sakon N, Komano J, Tomono K, Iso H. Current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apan. Journal of Infection &

Chemotherapy. 2018;24(5):347-352. https://doi.org/10.1016/j.jiac.

2017.12.004

6. Herzig CT, Stone PW, Castle N, Pogorzelska-Maziarz M, Larson EL, Dick AW.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in US nursing home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6;17(1):85-88. https://doi.org/10.1016/j.

jamda.2015.10.017

7. Yoshikawa TT, Norman DC. Approach to fever and infection in the nursing hom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6;

44(1):74-82.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6.tb05642.x 8. Choi S.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Korean nursing home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p. 1-115.

9. Smith PW, Bennett G, Bradley S, Drinka P, Lautenbach E, Marx J, et al. SHEA/APIC Guideline: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long-term care facilit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8;36(7):504-535. https://doi.org/10.1016/j.ajic.2008.06.001 10. Kim SY, Hong HS. Satisfaction of training education for care helper.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2011;15(1):15-32.

11. Oh YJ, Song YS. The caregiver’s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preventive behavior for urinary tract infec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 Sociology. 2019;9(10):407-421. https://doi.

org/10.35873/ajmahs.2019.9.10.035

12. Jeong IS. Care helper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about preventive action for aspiration pneumon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4. p. 1-62.

13. Kim KJ, Park SW.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fection management

behavior of health worker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6;

23(2):155-165. https://doi.org/10.22705/jkashcn.2016.23.2.155 14. Ryu BM, Ryu SM. The effects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 to nursing caregiver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010;15(5):167-177.

15. Park EJ, Lim YJ, Cho BH, Sin IJ, Kim SO. A survey on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workers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1;13(2):79-90.

16. Hong NK, Kang K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n a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0;18(1):187-198. https://doi.org/10.14400/JDC.

2020.18.1.187

17. Aiello AE, Malinis M, Knapp JK, Mody L. The influence of knowledge, perceptions, and beliefs, on hand hygiene practices in nursing home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9;37(2):

164-167. https://doi.org/10.1016/j.ajic.2008.04.258

18. Ho ML, Seto WH, Wong LC, Wong TY. Effectiveness of multifaceted hand hygiene interven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Hong Kong: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2;33(8):761-767. https://doi.org/10.

1086/666740

19. Kaur J, Stone PW, Travers JL, Cohen CC, Herzig CTA. Influence of staff infection control training on infection-related quality measures in US nursing home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7;45(9):1035-1040. https://doi.org/10.1016/j.ajic.

2017.04.285

20. Travers J, Herzig CTA, Pogorzelska-Maziarz M, Carter E, Cohen CC, Semeraro PK, et al. Perceived barriers to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or nursing home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a qualitative study. Geriatric Nursing. 2015;36(5):355-360. https://

doi.org/10.1016/j.gerinurse.2015.05.001

21. Cho HJ, Hong YH.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status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caregivers.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 Prevention. 2020;25(1):29-39. https://doi.org/10.14192/

kjicp.2020.25.1.29

(10)

수치

Table 1.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190)
Table 2. The Level of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N=190)
Table 4.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N=190)

참조

관련 문서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 선형회귀분석에서 유의한 항목(유의확률 0.1 미만)을 대상으로 다중선형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병원감염관리 특성에 따른 수행도의 차이를 보면 감염담당 부서,감염관리 지침 서,감염관리 교육경험,환자들의 질병에 대한 정보,병원감염 사고경험이

반면에 일반적 특성의 병원서비스 요구도 조사에서는 학년에 따른 차이 및 전공 에 따른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보건행정 전공자가

대상자의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변수 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지식과 인지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위 특성의 효과를 통제 한 상태에서 사회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 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보건행정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일반적 특성, 전공 관련 요인과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여 의무기록사 선택에 영향 을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보건계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05로 하였다.연구

소아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직무만족도의 차이 는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건강행위 특성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