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의 사진을 통한 체중 예측에 키가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의 사진을 통한 체중 예측에 키가 미치는 영향"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pISSN 1226-4407, eISSN 2234-7631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의 사진을 통한 체중 예측에 키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ight on Body Weight Estimation by the Photo in Internet Users and Experts

탁영진(1)․김윤진(1)*․이상엽(2),(3)․이정규(1)․정동욱(2)․이유현(1)․조영혜(2)․최은정(2)․조병만(4)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1),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클리닉(2),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3), 부산대학교병원 예방의학교실(4)

Young-Jin Tak(1), Yun-Jin Kim(1)*, Sang-Yeoup Lee(2),(3), Jeong-Gyu Lee(1), Dong-Wook Jung(2) Yu-Hyeon Yi(1), Young-Hye Cho(2), Eun-Jung Choi(2), Byung-Mann Cho(4)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1); Family Medicine Clinic,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2); Medical Education Unit,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3); and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4)

요 약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체중을 예 측할 때 제시된 키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현재 한 국내 다이어트 관련 인터넷 사이트에는 자신 의 신체 사진을 올리고 키를 제시하며 다른 가입자들에게 자 신의 체중이 얼마나 나가 보이냐고 물어보는 게시판이 있다 (Fig. 1). 그래서 2009년 5월 1일부터 2011년 4월 30일 사이, 가입된 인터넷 사용자가 상대가 제시한 키를 인지한 상태에서 그의 사진을 보고 예측한 체중을 답한 1,217개의 댓글을 분석 하였다. 또한 같은 사진에 대해 전문가(가정의학과 전공의와 전문의) 37명을 대상으로 같은 방법으로 키를 공개하고 체중 을 예측하게 하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사진에서 제시된 키 에 따른 실제 체중과 예측 체중의 차이, 사진 상 보이는 허리 엉덩이 너비비, 허벅지 종아리 너비비, 허리 허벅지 너비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 누어 실제 체중과 예측 체중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예측 체중은 키와 허리 엉덩이 너비비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키는 클수록(r = 0.161, P < 0.01), 허리 엉덩 이 너비비는 작을수록(r = -0.192, P < 0.01) 실제 체중보다 적게 체중을 예측했다.

또한 체중 예측의 정확도에서 인터넷 사용자(0.68 ± 5.15 kg)와 전문가 집단(-1.02 ± 9.05 kg)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P = 0.509), 전문가 집단 내 성별, 연령, 전공의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height affects the estimation of body weight. Korean internet users and experts were asked to estimate the body weight of people shown on posted photographs.

Methods: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based research involving internet users (1,217 replies) and 37 experts who were asked to estimate body weights of people by looking at their photos posted on a diet related website from May 1, 2009 to April 30, 2011.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height with difference between real and estimated body weight, and anthropometry on photograph (waist hip width ratio, thigh calf width ratio, lateral waist thigh width ratio).

We categorized the subjects into either internet user group or expert group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ir estimation of body weight.

Results: Estimated body weight showed correlation to height(r = 0.161, P < 0.01) and waist hip width ratio (r = -0.192, P < 0.01). The accuracy of the body weight estimation among internet users (-0.68 ± 5.15 kg) was similar to that of the experts (-1.02 ± 9.05 k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uracy of body weight estimation within the expert group regardless of either sex, age, in residency training or board certified.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Received: Jul. 09, 2012; Reviewed: Aug. 18, 2012; Accepted: Nov. 21, 2012

Corresponding author: Yun-Ji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10 Ami-dong, Seo-Gu, Busan, 602-739, South Korea

Tel: 82-51-240-7834, Fax: 82-51-242-8671, E-mail: yujkim@pusan.ac.kr, Mobile: 82-17-552-1787

*본 논문은 부산대학교 자유과제 학술연구비(2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

*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서 론

최근 각종 언론매체들의 영향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마른 체형을 선호하게 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유행은 자신이나 타 인의 외모에 대한 주관적인 신체상에 변화를 주었다.1,2) 특 히 여성은 남성들에 비해 자신의 체중을 과대평가하는 경향 이 있으며 체중과 관련하여 본인 신체에 대해 만족도가 낮 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젊은 여성들 사이 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고된다.3) 주관적인 기준에 따 른 체중 예측은 최근에 이루어진 국내연구에서 보고되고 있 듯이 객관적인 비만기준에 의한 평가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 인다.4) 왜곡된 체중 예측은 실제로 체중 감량이 필요 없는 정상체중이나 저체중의 사람이 자신의 체중을 과대평가하 게 하여 무리한 다이어트를 행하게 한다. 이로 인해 식습관 장애 및 영양의 불균형이 생기고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으 므로 신체적 건강 뿐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친 다.5-7) 체중 예측은 체중에 대한 주관적 인지 상태를 반영하 며8), 신체나 외모에 대한 자신의 주관적인 관점과 감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상에 따라 자기 자신 혹은 타인의 체중 에 대한 예측이 다를 수 있다.9) 사람들은 타인과의 상호작 용을 통하여 자기 이미지를 높이고자 하는 성향이 있어 자 신의 체중에 대한 타인의 인식에 많은 관심을 갖고 이를 체 중 관리 행동에 반영한다.10,11)

현재까지 체중 예측에 대한 연구는 자신의 체중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을 다루는 것에만 이루어져 있고12-14) 타인의 신체를 보고 예측된 체중을 조사하여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키가 크면 날씬해 보인다고 믿어 지고는 있지만 키와 체중인식에 관한 연구가 없고 어떠한 요소들이 그 사람을 실제 체중보다 더 뚱뚱하게 혹은 더 날 씬하게 보이게 하는지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다.

한편 최근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다이어트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에 대한 정보를 습 득하고 비슷한 처지에 있는 이들과 정보를 교환하며 충고와 격려를 주고받는다. 이러한 소통은 자신의 체형에 대한 타 인의 인식을 알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을 잘 반영하는 국내 한 인터넷 사이트 게시판에 자신

의 신체를 찍은 사진을 올리고 이에 대한 평가를 회원들끼 리 주고받으며 자신의 체형에 대한 다른 회원들의 생각을 알아보는 예가 있었다.15)

본 연구는 이 게시판에 올려진 사진을 보고 체중을 추정 한 회원들의 답글을 분석하여 타인의 체중을 얼마나 실제 체중과 가깝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실제 체중보다 마르게 혹 은 뚱뚱하게 보이게 하는데 키가 영향을 미치는 지, 키 이외 의 다른 인자들은 없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같은 사진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평가와 인터넷 사용자 집 단의 평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국내 한 인터넷 다이어트 관련 사이트를 이용하는 회원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사이트는 82만 여명의 회원들이 체중감량을 위해 식이나 운동요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포털사이트의 동호회이다.

이곳에는 타인에게 자신의 체중에 대한 평가를 받기 위 해 자신의 사진을 올리고 신장을 공개한 다음 체중이 얼마 정도로 보이는지 물어보는 형식의 글을 올리는 게시판이 있 다. 보정 없는 사진의 게시와 솔직한 답변을 이끌어내기 위 와 전문의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사진으로 체중을 예측할 때 키와 허리 엉덩이 너비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체형에 관심이 많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전문가 집단만큼 다른 사람의 체중을 잘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심단어: 키, 체중 예측, 인터넷 사용자, 전문가

Conclusion: As shown above, height and waist-hip width ratio are strong anthropometric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stimation of body weight of other people after seeing photographs. Internet users, interested in body image, could estimate body weight exactly as experts.

Key words: Height, Estimated body weight, Internet user, Expert

Fig. 1. Example of selecting photo.

(3)

해 게시자와 답변자 모두 익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게시판에 올려진 글 중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 을 선정하였다(Fig. 1).

1) 2009년 5월 1일부터 2011년 4월 30일 사이에 작성된 것 2) 최소 답글 수가 50개 이상인 것

3) 신장을 밝힌 게시물에 대해 다른 회원들이 예상 체중 을 댓글로 작성한 이후 게시자가 자신의 실제 체중을 공개한 것

4) 게시물의 사진은 정면상과 측면상이 모두 공개된 것 5) 게시자의 얼굴을 제외한 전신이 목부터 발목까지 포함

된 것

6) 속옷 이외의 의복(신발을 포함)은 착용하지 않은 것 7) 편평한 바닥에 서있는 자세로 각도를 기울이지 않고

정면에서 촬영한 것

위의 조건으로 33장의 사진을 선정한 후 여기에 달린 댓 글 1,217개의 예상 체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대학 교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심의면제 승인(E-2012091)을 받았다.

2. 연구방법

키에 따른 체중 추정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키를 5 cm 간격으로 5구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즉 Group 1은 151.0~155.9 cm군, Group 2는 156.0~160.9 cm군, Group 3 은 161.0~165.9 cm군, Group 4는 166.0~170.9 cm군, Group 5는 171 cm 이상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실제 몸 무게와 예상 몸무게로 각 사진의 BMI (body mass index) 를 계산하고 이 두 값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또한 키 이외에 체중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보기 위해 게시물 사진의 신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 정하였다.

1) 정면 상에서 허리 너비와 엉덩이 너비를 mm 단위로 측정하여 허리-엉덩이 너비비를 구하였다. 허리 너비는 사 진상에서 갈비뼈 가장아래위치로 예상되는 곳과 장골능의 중간부위중 가장 얇은 곳의 가로길이를 측정하였고 엉덩 이 너비는 엉덩이에서 가장 넓은 부위의 가로길이를 측정 하였다.

2) 정면 상에서 한쪽 허벅지 너비와 같은 쪽 종아리 너비 를 mm 단위로 측정하여 허벅지-장딴지 너비비를 구하였다.

허벅지 너비는 한쪽 다리가 시작되는 곳과 무릎사이의 가장 넓은 곳의 가로길이를 측정하였고 장딴지 너비는 무릎과 발 목의 중간지점의 가장 넓은 곳의 가로길이를 측정하였다.

3) 측면 상에서 허리두께와 허벅지두께를 mm 단위로 측 정하여 측면 허리-허벅지 너비비를 구하였다. 허리두께는 사진상에서 갈비뼈 가장 아래 위치로 예상되는 곳과 장골능 의 중간부위 중 가장 넓은 곳의 가로길이를 측정하였고 허

벅지두께는 엉덩이 밑선과 무릎사이 가장 넓은 곳의 가로길 이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사용자들과 전문가들의 체중 예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앞서 선정되었던 33장의 사진 중에서 설문조사의 용이성을 위해 11개의 사진만 무작위 추출하였 다. 이 사진을 가정의학과 전문의 20명, 전공의 17명에게 보이고 신장을 공개한 다음 몸무게를 추정하도록 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성별과 나이, 전공의인지 전문의인지를 조사 하였고 인터넷 사용자와 비교하여 사진을 보고 체중을 예측 함에 있어 이점을 주지 않기 위해 한 사진을 보는데 시간은 10초 이내로 하였다.

3. 통계 방법

키에 따른 체중 예측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키를 5 cm 간격으로 5구간으로 나누고, 이들 군사이의 실제 체중과 예 상 체중의 차이, 실제 체중보다 무겁게 본 사람의 비율을 분 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과 Scheffe의 사후검 정으로 비교하였다. 체중 예측과 키 이외의 요소(허리-엉덩 이 너비비, 허벅지-종아리 너비비, 측면 허리-허벅지 너비비) 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 다.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 집단의 체중 예측의 차이는 분 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과 Dunnett T3의 사 후검정으로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 <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2.0 for windows 한글판을 이용하였다.

결 과

1. 키에 따른 인터넷 사용자의 체중 예측 차이 키 구간에 따른 사진 수는 Group 1, Group 2, Group 3, Group 4, Group 5 군에서 각각 3장, 7장, 12장, 9장, 2장, 답글 수는 111개, 236개, 448개, 391개, 31개로 Group 3 (161.0-165.9 cm) 이 가장 많았고 Group 5 (171 cm 이상) 는 가장 적었다. 전체 사진에 대해 인터넷 사용자가 예측한 체중은 실제 체중과 –0.95 ± 4.97 kg의 차이를 보였다 (Table 1). 키 구간에 따른 분석에서 가장 작은 Group 1 (151.0~155.9 cm)의 사진이 실제보다 2.32 ± 3.42 kg 더 무겁게 예측되었고 가장 큰 Group 5 (171 cm 이상)의 사진 은 실제보다 1.58 ± 9.39 kg 더 가볍게 예측되었다. 또한 실제 체중보다 무겁게 체중을 예측한 댓글 수가 키가 작은 그룹의 사진에서 큰 그룹의 사진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Table 1).

2. 인터넷 사용자에서 체중 예측에 미치는 영향 인자

예측 체중과 신체 계측치(키, 허리-엉덩이 너비비, 허벅지

(4)

-종아리 너비비, 측면 허리-허벅지 너비비) 간의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Table 2). 키는 실제 체중에서 예측 체중을 뺀 값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 = 0.161, P < 0.01), 허리 엉덩이 너비비는 실제 체중에서 예측체중을 뺀 값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192, P < 0.01). 즉, 키는 클수록, 허리 엉덩이 너비비는 적을수록 체중이 실제보다 적게 예측 되었다. 이외 다른 인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의 체중 예측 차이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의 예측 체중과 실제 체중의 차 이를 비교하였다(Table 3). 각각의 사진에 대해 분석하면 인 터넷 사용자가 전문가 집단보다 비교적 정확하게 체중을 예 측하였다(사진 1, 3, 4, 5, 7, 10, 11). 하지만 전체 사진에 대해서는 인터넷 사용자 집단의 실제 체중과 예상 체중의 차이가 –0.68 ± 5.15 kg 로 전문가 집단의 –1.02 ± 9.05 kg 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509). 전문가 집단의 성별에 따른 예측도 차이를 보고 자 남녀를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 전문가 -1.03 ± 9.68 kg, 남성 전문가 -1.02 ± 8.89 kg으로 인터넷 사용자의 예 Table 1. The difference of real and estimated body weight according to height in internet users group

Group 1 Group 2 Group 3 Group 4 Group 5 Total

Height range (cm) 151.0~155.9 156.0~160.9 161.0~165.9 166.0~170.9 ≥ 171

Answer count (%) 111 (9) 236 (19) 448 (37) 391 (32) 31 (3) 1217 (100)

Photo count (%) 3 (9) 7 (21) 12 (36) 9 (27) 2 (6) 33 (100)

Difference of real-estimated*

-2.32 ± 3.42 -0.78 ± 5.36 -1.49 ± 4.78 -0.24 ± 4.62†,‡ 1.58 ± 9.39 -0.95 ± 4.97

Waist Hip width ratio* 0.75 ± 0.02§ 0.77 ± 0.89§ 0.76 ± 0.08§ 0.71 ± 0.07 0.65 ± 0.10 0.74 ± 0.08 Thigh Calf width ratio* 1.59 ± 0.13 1.71 ± 0.22 1.74 ± 0.21 1.76 ± 0.11 1.68 ± 0.00 1.73 ± 0.19 Lat. Waist Thigh

width ratio*

1.09 ± 0.08 1.19 ± 0.19 1.13 ± 0.11 1.18 ± 0.11 1.17 ± 0.10 1.15 ± 0.14

Answer of over estimated body weight number (%)

90 (81.1) 133 (56.5)†,‡ 309 (69.0)†,‡ 197 (50.4) 8 (26.0)§ 716 (58.9)

* Plus-minus values are mean ± SD.

†,‡,§ The same letters indicate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ANOVA with Scheffe's post hoc test.

Difference of real-estimated : Difference between real body weight and estimated body weight.

Table 2. Correlation of difference between real and estimated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some anthropometric factor in internet users

Waist hip width ratio Thigh calf width ratio Lateral waist thigh width ratio Height

Difference of real-estimated BW -.192* .034 .050 .161*

Difference of real-estimated BMI -.237* .025 .061 .206*

*P < 0.01.

Values are presented a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W; body weight, BMI;body mass index.

Table 3. The difference of real and estimated body weight by internet users and experts

Photo Height (cm) Weight (kg) Internet users Expert women (8) Expert men (29) P value

Average -0.68 ± 5.15 -1.03 ± 9.68 -1.02 ± 8.89 0.135

1 155 45 -2.15 ± 2.60 (37) -9.38 ± 6.30 -10.38 ± 6.49 < 0.001

2 157 46 -4.65 ± 3.38 (37) -7.38 ± 8.65 -6.07 ± 5.42 0.279

3 160 76 1.42 ± 5.29 (66) 9.63 ± 9.07 9.83 ± 7.73 < 0.001

4 160 47.5 -2.46 ± 2.81 (24) -6.50 ± 6.63 -6.27 ± 4.80 0.006

5 161 48 -0.67 ± 2.32 (30) -4.63 ± 5.10 -4.03 ± 5.32,‡ 0.008

6 163 49 -4.41 ± 4.21 (34) -0.88 ± 7.68 -1.34 ± 7.25 0.092

7 164 65 -1.99 ± 6.35(51) 4.38 ± 8.40b 2.69 ± 8.50,‡ 0.007

8 168 74 0.54 ± 3.20 (35) 0.50 ± 5.29 1.28 ± 5.85 0.804

9 168 59 1.22 ± 3.26 (18) -1.25 ± 5.06 -1.41 ± 5.10 0.151

10 171 85 3.95 ± 6.53 (41) 11.00 ± 10.33 9.24 ± 8.96,‡ 0.008

11 173 58 0.92 ± 2.43 (19) -6.88 ± 7.96 -4.71 ± 5.27 < 0.001

Mean ± SD (answer count number).

†,‡ The same letters indicate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ANOVA with Dunnett T3 post hoc test.

(5)

상보다 큰 오차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 0.135). 추가로 전문가 집단의 전공의와 전문의, 연령에 따 라 분류하여 예측 체중을 비교하였을 때도 그룹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표로 제시하지 않음).

고 찰

본 연구는 사진을 보고 체중을 예측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인터넷 사용자와 전문가 간 체중 예측의 정확도를 비교한 연구로, 그 결과 키와 사진 상의 허리-엉덩 이 너비비가 체중 예측과 연관성이 있었고 정확도에서는 인 터넷 사용자와 전문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통 키가 크면 날씬해 보인다고 하여 많은 여성들이 좀 더 커 보이기 위해 발의 불편함을 감수해가면서 하이힐을 신는데16) 본 연구가 이러한 통념에 근거를 제시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사진의 특성상 실제 허리 엉덩이 둘레비를 구 할 수 없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사진 상에서 측정한 허리- 엉덩이 너비비도 체중 예측과 연관성이 있었는데 이는 정면 에서 봤을 때 허리와 엉덩이 사이의 굴곡이 있을 때 실제보 다 날씬하게 보일 수 있음을 반영한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사진으로 봤을 때는 인터넷 사용자 와 전문가 집단 간 체중 예측의 차이가 없었지만 각각의 사 진으로 보면 인터넷 사용자들이 체중을 좀 더 정확하게 예 측하였고 전문가의 체중 예측에는 일관성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진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의 댓글수가 각기 달랐고 두군 간에 체중을 예측하게 된 동기나 설문조사 당시 대상 자들의 환경적 요인이 달랐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전문가에 못지않게 체중을 잘 예측하였는데 이는 다음 몇 가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인 인터넷 사이트 회원의 과반수가 여 성이며 연령은 20~30대로 어느 연령대보다 자신이나 타인 의 몸매에 관심이 많고 자신의 체중을 자주 체크하는 집단 이다. 그래서 남성의 비율이 78%이고 30~50대 연령의 전문 가 집단과 비교하여 체중 예측에 차이가 없었다고 생각된다.

전문가 집단을 성별로 나누어 인터넷 사용자와 비교했을 때 예측 체중에 차이가 없었던 것도 자신이나 타인의 체중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는 전문가들에게 설문 조사를 시행할 당시 사진의 개수와 체중을 판단하는데 주어진 시간이 인터넷 사용자들과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인터넷 사용자들이 체중을 판단할 당시 사진을 보는 시간과 이전에 사진을 보고 판단한 경험이 전문가 보다 많았을 것 이다. 셋째로 인터넷 사용자들은 이미 작성된 댓글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추정한 체중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이 체중 예측을 답할 때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게시물 사진의 몸무게와 키가 실제 측정된 값이 아니라 self reporting 된 것으로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체형을 타인들에게 평 가받고자 최대한 전신을 노출하고 측면과 정면사진을 찍어 올린 행동으로 볼 때 본인이 제시한 키와 체중은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사진에 찍힌 신체를 보고 판 단한 체중이었기 때문에 실제 타인의 신체를 보고 판단한 체중과는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보안하고자 사진의 정면상과 측면상을 같이 포함한 게시물만 선정하여 어느 정도 평면 사진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셋째 는 같은 맥락에서 사진으로 보이는 허리 엉덩이 둘레비로 대체 한 것이 실제 허리 엉덩이 둘레비를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는가에 대해 명확하지 않은 점이 있다. 넷째 익명 게시판 의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체중을 예측한 1,217개의 댓 글 속에 같은 사람이 얼마나 중복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가 없어 이번 연구 대상인 인터넷 사용자가 몇 명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다섯째 인터넷 사용자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없어 이들을 인터넷 사용자 전체를 대표하는 집단으로 보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이트 회원 중 대다 수가 여성이며 20~30대의 연령이 대부분이고 주된 관심사 가 다이어트로 체중을 예측하는데 있어 다른 연령이나 성별, 관심사가 다른 집단들보다 유리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 문가 집단의 대답수가 인터넷 사용자들의 대답 수에 비해 적어 전체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가정 의학과 전공의와 전문의를 전문가 집단으로 포함한 것에 있 어서 전문가에 대한 확실한 자격기준이 모호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실제 인터넷 사이트의 기존 자료를 이용했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의 연구 목적이 아닌 관심사 가 그대로 반영된 체중 예측을 알아볼 수 있었던 첫 번째 연구임에 의의를 가진다. 이번 연구 대상이 되었던 인터넷 사이트 회원들은 체중을 평가받기 위해 자신의 신체를 찍어 게시판에 올렸는데 이러한 행위는 현대 사회에서 타인의 시 선을 중요시하는 요즘 젊은이들의 경향을 반영한다. 또한 익명게시판을 통하여 타인의 체중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솔직하게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인터 넷은 사용인구가 많고 접근의 용이성과 시공간을 초월하여 다양한 인구집단의 군집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일반인과 전 문가 집단의 의견 교환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진다. 그래서 일반인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향후 타인의 체중을 예측할 때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이번 연구에서는 측정되지 못했던 가슴-허리 둘레비, 전체 키에 대한 얼굴 길이비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1. Yoo SJ.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status and behavioral factors to obesity in sample of Korean adult [MS Thesis]. Yonsei

(6)

Univ.;2004.

2. Chin JH, Chang KJ.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 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34:1559-65.

3. Boutelle K, Neumark-Sztainer D, Story M, Resnick M.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obese, overweight, and nonoverweight adolescents. J Pediatr Psychol 2002;27:531-40.

4. Franzoi SL, Koehler V.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body attitudes: a comparison of young and elderly adults. Int J Aging Hum Dev 1998;47:1-10.

5. Lee HJ, Choi MR, Koo JO. A study of body image, weight control and dietary habits with different BM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10:805-13.

6. Choi BS. A Comparative survery on misconception and desire for physipue college students in Taegu. J Korean Soc Maternal child Health 1999;3:267-74.

7. Jakobovits C, Halstead P, Kelley L, Roe DA, Young CM.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woman over a thirty year period. J Am Diet Assoc 1977;71:405-11.

8. Schwartz MB, Brownell KD. Obesity and body image. Body Image 2004;1:43-56.

9. Powell TM. Body size misperception: a novel determinant in the obesity epidemic. Arch Intern med

2010;170:1695-7.

10. Costa Lda C, De Vasconcelos Fde A. Influence of socioeconomic, behavioral and nutritional factors on dissatisfaction with body image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Florianopolis, SC. Rev Bras Epidemiol 2010;13:665-76.

11. Ben-Tovim DI, Walker MK. The development of the Ben-Tovim Walker Body Attitudes Questionnaire (BAQ), a new measure of women's attitudes towards their own bodies. Psychol Med 1991;21:775-84.

12. Ryu HK, Isobel R. Contento. A study on body image perception and eating disorders by birth-place and the length of residence in USA in Korean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13-25.

13. Chaung SK.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1;18:163-75.

14. Hwang JK, Kim HK, Kong HS, Yoon HJ, Hwang YH, Lee KY, et al. The self-assessment of obesity in Korean adults. Korean J Obes 2002;11:349-55.

15. Daum communications. A successful diet and war of obesity. [accessed 2010. May 1] Available from:

URL: http://cafe.daum.net/slim/

16. Cho SM, Kim HS, Koh AR. A qualitative study on the psychological meanings of wearing female high heeled shoes. J Korean Soc of clothing and textiles 2009;33:1361-73.

수치

Fig.  1.  Example  of  selecting  photo.
Table  2.  Correlation  of  difference  between  real  and  estimated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some  anthropometric  factor  in  internet  users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온라인 청각장애인 대학생 커뮤니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농인의 온라인 공동체 문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즉,다른 장애에 비해 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골다공증은 성별 연령 체중 흡연 여부 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 , , 연구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점수와의 관계를 단순상관관계 분석으로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고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정보탐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인터넷 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윤하영 (2006) 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패션제품 중독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 회 심리적 변수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물질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본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수련생의 인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분석 규명하고자 한다 태권도 지도자의 자도유형이 수련효과에. 미치는

대개 인체 모델링을 할 때 한쪽 발이 체중을 싣고 다른 한쪽 발은 힘을 뺀 자세인데 좌 우가 비대칭의 · 형태지만 시각적으로 매우 안정감 있는 균형을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만족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인터넷 쇼핑몰 에서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이트 디자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consumer's emotion in case of using internet shopping-mall, the contents related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