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카추출물의 첨가가 돼지의 육성성적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유카추출물의 첨가가 돼지의 육성성적에 미치는 영향"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www.earticle.net

유카추출물의 첨가가 돼지의 육성성적에 미치는 영향

고용균

강원대학교 사료샘산공학과

Effects of Yucca Shidigera Extract Addition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Goh, Yong Gyun

Department of Feed Science &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Goh, Y. G. Effects of Yucca shidigera extract addition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Anll. Anim. Resources Sci. 8 : 57-66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ucca shidigera extract(YSE) on pig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6 growing pigs of an average lOkg body weight.

Each treatment had 6 pigs with 3 replications. Pig during starter(O~ 14 days) and growing-finishing periods were fed 200 and 100 ppm concentrations of YSE, respectively.

Body weight gain slightly increased for pigs fed YSE during starter and growing-finishing periods compared with control. Especially, in growing-finishing periods, the body weight gain increased by 12% compared with control (824g vs 923 g),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Feed intake iri each treatment was similar over entire periods. During finisher periods, the feed intake of YSE treatment increased by 4 % more than control (2463 vs 2557g), but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Feed efficiency was slightly improved for pigs fed YSE of each periods when compare to the control,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Overall periods, the daily body gain, feed efficiency were slightly improved by feeding YSE compared with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loin eye area, fat thickness,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and lean percentage.

Key words: yucca shidigera extract, pig pe빼rmance, feed intake, feed efficiency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2)

www.earticle.net

1 .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시도로서 지금까 지는 주로 항생물질을 사용하였으며, 양돈사 료에 항생 제를 첨가하면‘ 성장율과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며, 특히 사육환경이 불량할 때는 그 효과가 크다(Hays, 1978; Hawbaker 등, 1960).

셜파제도 가축의 호흡기 및 소화기계통 질환 의 예방과 치료용으로 주로 사용되지만,항생 제와 같이 성장촉진 및 사료효율의 개선목적 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Powley 등, 1981;

Zimmerman, 1986; Stansbury 등, 1990). 최근 에는 항생물질의 돈육내 잔류문제가 야기됨으 로서 생균제, 효모제, 효소제등 비항생제 계통 의 생리활성제를 생산성 개션을 위해 주로 사 용하고 있으며 (Waldrop 등, 1971; Gati, 1992;

Chapple, 1981), 악취감소 및 분배셜량 감소에 대 해 도 연 구되 고 있다 (Jongbloed와 Lenis,

1992). 또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서 가축의 생산성 개선제로서 생리활성제 등 환경친화형 사료첨가제에 대한 사용도 급증하 고 있다. 일반적으로 축사환경 오염원인 분 뇨는 돈사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주성분으로서 암모니 아와 휘 발성 지 방산, 황화수소, 메 탄,

COz 등으로 구성되며 (Bell, 1970), 이러한 유 해가스는 가축뿐만 아니라 농장 빛 사람에게 도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며 특히 가축의 생산 성을 떨어뜨리는 원언이 된다.

축사내 암모니 아 농도가 증가함으로서 닭, 돼 지, 송아지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Attar 와

Brake, 1988), 소의 호흡기 전염병 감염률이 증

가하고(Kelly, 1983), 축사내 작업자에게도 위 험하다는 보고가 있다(Drummond 등" 198이.

따라서 축사내의 암모니아 수준을 조절하여 생산성을 제고시키는 방안으로서 환기시설의 보강이나 축산 분뇨에 유카추출물 등의 활성 제를 첨가하는 방법등이 적용되고 있다. 유카

추출물은 yucca shidigera 식물 줄기를 건조,

분쇄 하여 추출한 천 steroid saponin으로서 이 추출물의 1~ 1.5%는 활성 steroid 인 sarsa- ponin으로 구성되어 었다(Johnston 등, 1982).

Guens(1978) 에 의 하면 steroid saponin은 식 대사와 성장에 활성작용을 하며, 자연계에는 80여종의 식물에 분포하고 있다고 한다(Stoll

Jucker, 1955). 유카추출물의 주요 작용은

암모니아 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요소분해 효소인 urease activity 를 억 제 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Preston 등, 1987; Gibson, 1985) .

Yucca sa ponin을 첨가한 가축 사양시험에서

Rowland 등(1976) 과 Russell(1984) 은 유카추 출물의 급여는 양계장의 계분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빛 유독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축사 환경을 개선시켜 줌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되었 다고 보고하였으며, Goodall과 Matsushima (1978) 도 숫소에게 유카추출물을 급여시 증체 량 빛 사료효율이 개선되었다고 하였으며,

Johnston (1981) 도 28~51 일령의 육계 에 유카 추출물을 급여할 때 증체량의 개선효과를, 또

Rowland 등(1976) 도 산란계에 사포년을 급

여함으로서 산란율이 증가하였고, 계사내 암모 니아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Cromwell 등(1985) 은 이유자돈에 급여시 성장율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같이 유카추출물을 첨가함 으로서 축사내 악취 및 유해가스의 제거 및 농도를 줄엄으로써 생산성향상을 꾀할 수 있 다는 점에서 최근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그 러나 유카추출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사포년 함량도 차이가 있어 첨가효과가 불분명한 점 도 많다. 특히 돼지에 대한 유카추출물의 첨가 시험이 많지 않은 실정을 감안하여 볼 때 이 들 첨가에 의한 효과를 검토할 필요성이 크다 고 하겠다. 따라서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유통되 는 유카추출물을 선정하여 이를 육성돈 사료 에 첨가할 때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빛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

- 58-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3)

www.earticle.net

여 설시하였다.

H . 채료 및 방법

1. 시험기간 및 장소

1995 년 6월 2 일부터 1995년 10월 6 일까지 강 원대학교 축산대학 동물사육장에서 126 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도체분석은 강원도 철원 축산업협동조합 육가공 공장에서 실시하 였다.

2. 시험설계 및 공시동물

본 시험에 공시된 돼지는 평균 체중 10kg 인 삼원교잡종 (Duroc x Landlace x Yorkshire) 36

두를 선발하여 유카추출물 첨가구와 무첨가구 의 2처리로 하여 각 처리별로 3반복, 반복당 6 두씩을 완전 임의로 배치하였다.

3. 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본 시험에 사용된 육성돈 사료는 NRC(1980)

사양표준에 의거하여 육성기간을 자돈기, 육성 기, 비육천기 빛 비육후기로 구분하여 배함하 였다. 각 육성기간별 단백질 수준은 자돈기

18%, 육성기 15%, 비육 전기 14% 빛 비육후 기의 13% 수준으로 하였으며, 에너지 함량은 대사에너지로 3200-3100 Kcallkg 수준으로 맞 추었다. 유카추출물의 첨가는 자돈기 사료에는

0.02% 수준으로 첨가하였고, 그 이외의 사료

에는 각각 0.01%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구체적 언 배합상황은 Table 1 과 같다. 시험기간동안 의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케 하였다. 기타 사양관리는 본 대학 관행법에 준하였다.

4. 조사항목 및 방법

1 ) 사료섭취 량, 증체 량 및 사료요구율 사료섭취량은 매 1주 단위로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공제하여 섭취량을 측정하였으며, 허설 량은 급여량에서 공제하였다. 증체량은 개시일 로 부터 사육기간별로 구분하여 총 5회에 걸 쳐 개체별로 측정하여 시험개시시 체중에서 종료시 체중을 감하여 증체량으로 산출하였다.

사료요구율은 시험기간별 증체량에 대한 사료 섭취량의 비율로서 산출하였다.

2) 도체분석

도체분석은 시험종료시 각 처리별로 암, 수 각각 4두씩 총 8두를 선발하여 도체중, 등지방 두께, 도체율, 정육율을 측정하였다. 도체율의 측정은 돼지를 도살하여 내장, 발목, 머리, 혈 액 빛 털을 제거한 도체중을 생체중과의 백분 율로 구하였고, 정육률은 도체중에서 뼈와 등 지방(등지방 0.5- 1.0mm만 부착)을 제거한 정 육 중량과 생체중과의 백분율로 구하였다.

3) 화학분석 및 통계분석

시험사료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1990)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시험에서 얻 은 결과는 T-test에 의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 다 (Steel 과 Torrie, 1980).

1[. 결과 및 고찰

1.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유카추출물(Yucca shidigera extract: YSE) 급여가 육성톤의 증체,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4)

www.earticle.net

Table 1. Feed formula of experimental diets

stage Starter Grower Growing- Finishing Finisher

lngredients Control YSEl) Control YSE Control YSE Control YSE

Corn 19.48 19.48 43.4 43.4 54.7 54.7 59.7 59.7

Soybean hull 2.0 2.0

Wheat germ 25.0 25.0

Blood meal 5.83 5.83

Glucose 4.0 4.0

Yeast 2.0 2.0

Milk replacement 28.1 28.1

Molasses 3.5 3.5 3.5 3.5 3.5 3.5

Soy bean meal 35.6 35.6 22.7 22.7 16.6 16.6

Rape seed meal 1.45 1.45 2.0 2.0

Yellow grease 5.0 5.0 5.0 5.0 5.0 5.0

Limestone 2.2 2.2 1.0 1.0 1.1 1.1 1.0 1.0

TCP2) 1.15 1.15 1.3 1.3 1.45 1.45

MCP3) 1.6 1.6

Salt 0.19 0~19 0.23 0.23 0.21 0.21

HC l-lysine, 98% 0.05 0.05 0.14 0.14 0.17 0.17

DL-methionine, 50% 0.28 0.28 0.13 0.13 0.05 0.05 0.02 0.02

Vit. - Min. Mix. 0.87 0.87 0.76 0.76 0.72 0.72 0.72 0.72

Wheat flour 8.64 8.62 5.45 5.45 5.16 5.16 5.10 5.10

Wheat bran 3.77 3.76 3.95 3.94 4.53 4.52

YSE 0.02 0.01 0.01 0.01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ME, kcal/kg 3252 3252 3161 3161 3155 3155 3100 3100

Crude protein, % 18.3 18.3 15.3 15.3 14.25 14.25 13.2 13.2

Ca, % 0.29 0.92 0.87 0.87 0.84 0.84 0.85 0.85

P, % 0.71 0.71 0.60 0.60 0.62 0.62 0.61 0.61

l)YSE=yucca schidigera extract 2)TCP=tricalcium phosphate 3)MCP=monocalcium phosphate

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 개시일로 부 먼저, 자돈기인 0~17 일 동안의 성적을 Table 터 자돈기 (0~14 일), 육성기 (15~63 일) , 비육전 2에 서 보면 일당증체 량은 대 조구의 557g에 비 기 (64~98 일 ) 및 비 육후기 (99~126 일 )로 각 사 하여 YSE 구가 582g으로 나타나 YSE구가 약 육단계별로 구분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 25g정도 일당 증체량이 높게 나타나 4%의 증 를 보면 Table 2, 3, 4 및 5와 같다. 체 개선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동

- 60-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5)

www.earticle.net

Table 2.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YSE) on pig performance in starter period (O~14 days)

Item Control YSE Significance SE

Initial body weight, kg 10.19 10.36 Final body weight, kg 17.99 18.51

A verage daily gain, g 557 582 NSl) 8.7

Daily Feed intake, g 946 958 NS 9.4

Feed / Gain 1.70 1.64 NS 0.015

l)NS non significant differences

Table 3.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YSE) on pig performance in grower period (15~63days)

Item Control YSE Significance SE

Initial body weight, kg 17.99 18.51 Final body weight, kg 48.37 48.92

A verage daily gain, g 620 621 NSl) 3.5

Daily Feed intake, g 1629 1603 NS 13.0

Feed / Gain 2.63 2.58 NS 0.01

l)NS non significant differences

Table 4.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YSE) on pig performance in growing-finishing period (64~98 days)

Item Control

Initial body weight, kg 48.37 Final body weight, kg 77.21 A verage daily gain, g 824 Daily Feed intake, g 2462

Feed / Gain 2.99

1) NS non significant differences

기간중의 사료섭취량도 YSE 구가 대조구의 946g에 비 하여 12g을 더 섭 취 한 958g으로 나타 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사료요구율도 대조구 의 1. 70 에 비하여 YSE 구가 1. 64로 나타나 3.6%의 개선효과가 있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 은 없었다.

YSE Significance SE

48.92 81.22

923 NS1) 30.5

2557 NS 45.6

2.77 NS 0.101

육성기인 14~63 일 까지의 성적을 Table 3에 서 보면,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의 62bg과 YSE 구의 625g으로서 비슷한 증체성적을 보였으나,

사료섭 취 량은 YSE구가 대 조구의 1629g에 비 하여 다소 적은 1603g을 섭취하여 사료요구율 도 YSE구가 대조구의 2.63보다 다소 향상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6)

www.earticle.net

2.58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처리간의 일당증 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통 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비육전기인 64~98 일 까지의 성적을 Table 4에서 보면, 일당 증체량 은 대 조구에 비 하여 YSE구가 훨씬 증가한 결 과를 보였는례, 즉 대조구의 824g 에 비하여 YSE구가 923g으로 나타나 유카추출물의 첨가 에 의하여 약 12% 증체가 향상된 결과를 보 였다. 이 기간중 사료섭취량도 증체량이 증가 한 만큼 섭취량도 증가하여 대조구의 2462g에 비하여 YSE 구의 2557g으로 나타나 YSE구가 일당 95g을 더 섭취한 결과를 보였다. 사료요 구율은 대조구의 2.99에 비하여 YSE구의 2.77

로 나타나 약 8%정도 사료효율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동일기간중 사료섭취량이 YSE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많이 섭취하 였지만 증체량이 높아 결국 사료요구율의 개 선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나 이들 처리 구간의 증체 량, 사료섭 취 량 및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비육후기인 99~126 일 까지의 사양성적을

Table 5 에서 보면,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의

913g, YSE구의 91lg 이고, 사료섭취량도 대조구 의 2673g과 YSE구의 2642g으로 나타나 일당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이 공히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의 2.93, YSE구의 2.80으로 나타나 YSE구가 다소 사료효율이 개 선되었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비육후기의 성적에서도 자돈기, 육성기와 같이 이들 처리구간의 육성성적에는 큰 차이가 없 이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한편, 126 일간 사양시험을 한 결과를 종합하 여 보면 Table 6과 같다. 일일 증체량은 대조 구의 736g에 비 하여 YSE구가 765g으로 나타나 일당 29g, 약 3%정도 증체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의 2020g과 YSE

구 2028g의 섭취를 보여 각구 공히 비슷한 섭 취량을 보였다. 전 시험기간동안의 사료요구율

은 증체량이 다소 높았던 YSE 구가 대조구의 2.74에 비 하여 2.65로 나타나 약 3.4%의 사료 효율 개선효과가 나타나 유카추출물을 급여함 으로서 일단 일당증체량이 향상되고, 사료요구 율의 개선효과가 나타난 점은 긍정적으로 평 가된다. 본 시험의 결과논 유카추출물을 돼지 에게 급여할 때 일당증체량이 개선되었다는

Foster(1983) Ma 등(1993) 의 결 과와, 사료 요 구 율 이 개 선 되 었 다 는 Mader 와 Brumm(1987) 의 결과와, 증체량과 사료요구율 이 개선되었다는 Jacques(1988 )의 결과와 경향 을 같이 하고 있으나, Preston (1987) Yen

과 Pond (1993) 의 증체개선에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로 나타나 이점 에 대하여 보다 많은 시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볼 때 유카 추출물의 첨가는 자돈기와 비육기에 있어서는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향상되었 으나, 육성기와 비육후기에는 거의 비슷한 성 적을 보이고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분명한 원 언을 파악할 수 없으나, 일단 자돈기의 경우 첨가수준이 0.02%으로서 육성기 및 비육기에 비하여 2배정도 더 많이 첨가하여 그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할 수가 있지만,

비육기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의 개선효과에 대하여서는 분명한 원언을 알 수가 없다.

Rowland 등 (1976) 과 Russell(1984) 의 보고에 의하면, 밀폐된 돈사에서 사포년의 첨가는 돈 사내의 암모니 아 농도를 감소시 키는데 효과적 이라는 점을 감안 할 때, 본 시험은 동일 돈방 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여 유카추출물 첨가에 한 암모니 아 농도의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Johnstone 등, 1981) 이 환경 chamber를 사용하 여 부로일러에게 사포년을 첨가하여 사양시험 을 실시한 결과, chamber 내 암모니아 농도는 차이가 없게 나타나,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7)

www.earticle.net

Table 5.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 (YSE) on pig performance in finisher period(99-126 days)

Item Control YSE Significance SE

Initial body weight, kg 77.21 81.22 Final body weight, kg 102.78 106.70

A verage daily gain, g 913 911 NSl) 9.03

Daily Feed intake, g 2679 2642 NS 35.1

Feed / Gain 2.93 2.90 NS 0.035

l)NS non significant differences

Table 6.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 (YSE) on pig performance in overall period (0-126 days)

Item Control

Initial body weight, kg 10.19 Final body weight, kg 102.78 A verage daily gain, g 736 Daily Feed intake, g 2020

Feed / Gain 2.74

l)NS non significant differences

키는 것 이외에 다른 요인이 작용하여 증체량 이 향상되 었다는 보고 등을 감안하여 보면, 본 시험의 유카 추출물의 급여가 육성성적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분명한 설명을 할 수가 없 어 이 점에 대해서는 더 많은 사양시험 등 연 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도체분석

도체분석을 위해 처리구에서 평균체중 107kg 의 시험돈 8두를 도체하여 유카추출물의 급여 가 돼지의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처리구의 도체중은 대

조구의 78kg, YSE 구의 79.5kg로서 비슷한 성 적을 보여 결과적으로 도체율은 각각 73.6%

빛 73.1%로 나타나 차이가 없이 비슷한 성적

YSE Significance SE

10.36 106.70

765 NSl) 10.0

2028 NS 14.1

2.65 NS 0.040

을 보였다. 등지방두께도 공히 23mm로서 차이 가 없었고, 정육율도 대조구의 47.7% YSE 구의 46.7%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시 험의 결과, 유카추출물의 첨가는 도체등급을 좌우하는 등지방 두께, 정육율 및 도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

유카 추출물의 첨가가 육성돈의 증체 량, 사료 섭취량, 사료효율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조구, 유카추출물 첨가 구로 하여 2처 리 3반복, 반복당 6두씩 총36두 의 평균체중 lOkg의 육성돈을 배치하여 사양시 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8)

www.earticle.net

Table 7.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 (YSE) on carcass characteristics of pig

Treatment Control YSE Significance

Item Male Female Mean Male Female Mean

Live weight, kg 106.7 105.0 105.9:1:4.9 110.0 107.5 108.8:1: 3.3 NS1)

Carcass weight, kg 77.5 78.5 78.0:1:4.5 80.0 79.0 79.5:1:2.9 NS Loin eye area, cm2 33.1 36.3 34.7 :1:2.6 36.0 37.5 36.8:1:0.8 NS F a t thickness, mm 20.0 2.6 23.0:1: 2.3 24.0 22.0 23.1 :1:3.0 NS Dressing, % 72.5 74.6 73.6:1: 1.1 72.8 73.4 73.1:1: 1.1 NS Lean, % 47.8 47.5 47.7:1:0.3 47.3 46.1 46.7 :1:0.5 NS 1) NS non significant differences. Mean :1: SE

1. 증체량은 자돈기, 비육전기에서는 대조구에 비 하여 유카추출물 첨가구가 공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비육전기에서는 대 조구의 일당 증체 량 824g에 비 하여 유카추 출물 첨 가구의 923g으로 나타나 약 12%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육성기와 비육후기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사료섭취량은 자돈기,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에서는 비슷한 섭취경향을 보였으 나, 비육후기의 경우 대조구의 사료섭취량 2463g에 비 하여 유카추출물 첨 가구는 2557g 으로서 약 4%, 더 섭취한 결과로 나타났다.

3. 사료요구율은 각 사육단계 에서도 유카추출 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공히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4. 전체 시험성적에서 일당 사료섭취량은 대조

구의 2020g 빛 유카추출물 첨 가구의 2028g으

로 비슷하게 섭취하였고, 일당증체량과 (736 vs 765g) , 사료효율 (2.74 vs 2.65) 은 유카첨 가구가 다소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 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5. 도체성적에서 도체중, 배장근 단면적, 등지 방 두께, 정육율 및 지육율은 처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고문헌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 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 Attar, A.J. and T. Brake. 1988. Ammo-nia Control: Benefits and trade-offs. Poul-try Digest. Watt Publishing. Co., Mount Morris III. 61054. Aug. p.362.

3. Bell, R. G. 1970. Fatty acid content as a measure of the odor potential of stored liquid poultry manure. Poult. Sci., 49: 1126 4. Chapple, R. P. 1981. Effect of calcium pho-

sphorus ratios, phosphorus levels andlive yeast culture on phosphorus utilization of growing/finishing sWÌne. M.S. thesis. Univer- sity of Missouri, Columbia.

5. Cromwell, G. L., T. S. Stahly and J. J.

Monegue. 1985. Efficacy of sarsaponin for weanling and growing-finishing swine hous- ed at two animaldensities. J. Anim. 61 (suppl.1.) : 111.

6. Drummond, J. G., S. E. Curtis, J. Simon and H. W. Norton. 1980. Effects of aerial

- 64-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9)

www.earticle.net

ammonia on growth and health of young pigs. J. Anim. Sci. 50: 1085.

7. Foster, J. R. 1983. Sarsaponin for grow- ing-finishing swine alone and in combina- tion with an antibiotic at different pig densities. J. Anim. Sci. 57(suppl.) :245.

8. Gati, L. 1992. Effect of Lacto-Sac added to sow or piglet diet, Biotechnology in the feed industry. Alltech Technical publication.

pp:52.

9. Gibson, M. L., R. L. Preston, R. H. Prit- chard and S. R. Goodall. 1985. Effect of sarsaponin and monensin on ruminal am- monia levels and in vitro dry matter di- gestibilities. J. Anim. Sci. 61(Suppl. 1): 492.

10. Goodall, S. R. and J. K. Matsushima.

1978. Sarsaponin in beef cattle rations.

Pages 9-10 in Beef nutrition research. Gen.

Ser. 979. Colorado State Univ. Exp. Sta.

11. Guens, J. M. C. 1978. Steroid hormones and plant growth development. Phytoche- mistry. 17: 1.

12. Hawbaker, J. A., F. Diaz, Speer, V. C.

Hays and D. V. Cartron. 1960. The effect of oleandomycin on the performance of the young growing pig. J. Anim. Sci., 19 : 938.

13. Hays, V. W. 1978. The role of antibiotics in efficient livestock production. Nutr. and Drug Interrelations. J. N. Hathcock and J.

Coon, Eds. Academic Press, N.Y. pp:545.

14. Jacques, K. A. 1988. Yucca extract impro- ves air quality and pig performance. Pigs 4(5) :8.

15. Johnston, N. L., C. L. Quarles, D.J. Fager- berg, and D.D. Caveny. 1981. Evaluation of yucca saponin on broiler performance and ammonia suppression. Poultry Sci., 60:2289.

16. Johnson, N. L., C. L. Quarles, and D. J.

Fagerberg. 1982. Broiler performance with DSS40 yucca saponin in combination with monensin. Poultry Sci. 61: 1052.

17. Jongbloed, A. W. and .N. P. Lenis. 1992.

Alternation of nutrition as a mean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by pigs. Pig News and Information. 13(3) :262.

18. Kelly, T. 1983. Effect of different calf house disigns on calf performance. Ph.D. Thesis.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Dub파1.

19. Ma, M. D., L. C. Wung, Y. T. Huang and C. M. Fu. 1993. Effect of ad버ng deodori- zers to diets on the performance of pigs and the deodorization of pig wastes. 1. Pre- liminary observation of deodorizers in diets for pigs. Pig News and Information. 14(1)

:64.

20. Mader, T. L. and M. C. Brumm. 1987.

Effect .of feeding sarsaponin in cattle and swine diets. J. Anim. Sci., 65:9.

21. NRC. 1988. Nutrient Requirements of Swine.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ic Press, Washignton, D.C.

22. Powley, J. S., P. R. Cheeke, D. C. England, T. P. Davidson and W. H. Kennick, 1981.

Performance of growing-finishing swine fed high levels of alfalfa meal: Effects of alfalfa level, dietary additives and antibiotics. J.

Anim. Sci. 53: 308.

23. Preston, R .L., S. J. Bartle, T. May and S. R. Goodall. 1987. Influence of sarsaponin on growth, feed and nitrogen utilization in growing male rats fed diets wíth added urea or protein. J. Anim. Sci. 65:481.

24 Rowland, 1., O. Jr., J. E. Plyler, and J. W.

Bradley. 1976. Yucca schidigera extract effect on egg production and house ammo-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10)

www.earticle.net

nia levels. Poultry Sci., 55: 2086.

25 Russel, . J.B. 1984. The effect of sarsaponin on ammonia leve1s in rodent cages. District

& Convention Amer. Assoc. Lab. Anim.

Sci. (abstr.) .

26. Stansbury, W. F., L. F. Tribble, and D. E.

Jr. Orr. 1990. Effect of chelated coppér sources on performance of nursery and growing pigs. J. Anim. Sci. 68: 1318.

27. Steel. R. G. D. and J. H. Torrie. 1980.

Principle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McGraw Hill Books Co., New Y ork., NY.

28. Stoll, A. and E. Jucker, 1955. Modern

methods of plant analysis. (Berlin) 3: 178.

29. Waldrop, P. W., C. M. Hilard and R. J.

Mitchell. 1971. The nutritive value of yeast growth on hydrocarbon fractions for broiler chicks. Poult Sci. 50(4): 1022.

30. Yen, J. T. and W. G .. Pond. 1993. Effect of carvadox, copper, or yucca shidigera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and visceral weight of young pigs. J. Anim. Sci. 71:

2140.

31. Zimerman, D. R. 1986. Role of subthera- peutic levels of antimicrobials in pig production. J. Anim. Sci. 62: (supp1.3) :6.

- 66-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33 PM

수치

Table  1.  Feed  formula  of  experimental  diets
Table  2.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YSE)  on  pig  performance  in  starter  period  (O~14  days)
Table  5.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  (YSE)  on  pig  performance  in  finisher  period(99-126  days)
Table  7.  Effect  of  yucca  shidigera  extract  (YSE)  on  carcass  characteristics  of  pig

참조

관련 문서

They also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with respect to negative control in the scratch - wound healing assay using confluent monolayers

Therefore, this experiment apply the NH 3 and HFC-134a to the study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 though the superheat control and compare the energy

The research tasks for achieving this purpose are: a) the experimental group's self concept will b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outlet air temperatures for the hot and cold periods are calculated after the regenerator achieves a steady periodic state, and the effectiveness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leakage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three 2-step adhesives and two 1-step adhesives) in class V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of treatments per person by treatment behavior, the fluoride application during the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 was significantly

First, the degree of exercise participation of weight lifting hobbyist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gender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th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prepare tenoxicam-ethanolamine salt with improv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to compare the flux of tenoxicam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