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도시에 대한 권리"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인터뷰│김수진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sookim@krihs.re.kr)

런던대학교 바틀렛-개발계획유니트에서 개발계획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국토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 중 이다. 박사논문의 주제는 정부와 지역공동체가 도시재난 위험감소를 위해 협력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것이며, 이를 위해 6개월 간 필리핀 마닐라 현지에서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국토연구원에서는 국가도시정책, 포용도시, 포용적 성 장 및 해비타트III 신(新)도시의제 관련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도시에 대한 권리

까밀로 보아노(Camillo Boano)

The Right to the City

까밀로 보아노는 현재 영국 런던에 소재한 런던대 바틀렛-개발계획유니트 (University College London, The Bartlett Development Planning Unit) 교수 (senior lecturer)로 재직 중이다. 그는 지난 20여 년간 남미, 중동, 동유럽,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개발 관련 컨설팅 프로젝트와 연구 및 강 의를 해왔다. 최근 그는 비판이론과 급진적 철학을 중심으로 도시와 건축 설계 과정에서 집단적 기관(collective agency)과 정치학이 도시이론과 만 나는 지점에 관심을 갖고 있다.

(2)

김수진(이하 ‘김’) 먼저 인터뷰 요청에 긍정적으로 답해 주 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의 논의주제로 들어가기 전에 교 수님의 간략한 소개와 연구관심사에 대해 이야기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까밀로 보아노(이하 ‘보아노’) 영국 런던에 위치한 런던대학교 바틀렛-개발계획유니트에서 교수로 재직 중인 까밀로 보 아노입니다. 도시실험실의 공동연구소장을 맡고 있고 또한 디렉터로서 도시설계 대학원생들을 가르치고 담당하고 있 습니다. 지난 20여 년간 남미, 중동, 동유럽,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개발 관련 컨설팅 프로젝트와 연구 및 강

의를 해왔으며 최근에 는 비판이론과 급진적 철학을 중심으로 도시 와 건축설계 과정에서 집단적 기관(collective agency)과 정치학이 도 시이론과 만나는 지점 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 다. 특히 비공식적이고 경쟁적인 도시성에 관 심이 많습니다.

김 도시정치학 논의를 좀 더 살펴보자면, 이와 관련하 여 프랑스 사회학자이자 철학자인 앙리 르페브르는 그 의 주요 저서인 「도시에 대한 권리」(1968)에서 공간에 대 한 개념을 확대시킨 바 있습니다. 이 책은 그의 사후인 1991년에야 영미권에 번역·소개되었습니다. 도시에 대 한 권리의 개념은 여전히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남아 있 습니다. 기관(institutions)과 연구자 각각의 이득을 위 해 개념을 재해석하는 현상에 대해 설명을 부탁드립 니다.

보아노 시민권의 개념과 도시에 대한 권리는 지난 10년 간

학계(특히 비판도시이론)와 활동가(상향식 공동체그룹)에 게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는 그 개념 자체가 다양한 의미를 지니지만 흥미롭다 할 수 있습니다.

본래 1970년대 르페브르에 의해 형성되었고 사실 처음에 는 법적·규범적 권리로 제시된 것은 아닙니다. 그보다 는 사람의 중심성과 도시공간을 구축해가는 서로 다른 과 정에 대한 요구를 의미합니다. 이는 도시공간을 구축해가 는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거주민이 보 다 중심이 될 수 있어야 한다(배제되지 않아야 한다)는 주 장을 의미합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는 모든 거주민의 참 여/개입으로의 급진적인 전환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러한 본래의 의미는 전 세계의 다양한 나라 곳곳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변모해왔습니다. 만약 본래 의미와 차후 다양하게 해석된 의미를 좀 더 단순하게 정리해본다면, 전 자는 도시를 통해 그리고 후자는 도시 안에서 요구되는 것 입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는 단순히 이미 도시가 제공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혁의) 공 간들은 텔아비브, 이스탄불 등지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런 움직임들이 도시에 존재합니다.

김 만약 도시에 대한 권리가 도시에서 좀 더 바람직한 삶 의 형태와 도시거주민들 간의 정치적인 일깨움에 대해 이 야기하고 있다면 이러한 (변혁의) 공간들에 대해 좀 더 자 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보아노 도시에서의 다른 존재와 삶의 방식-중첩된 복잡 성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저는 도시에 대한 권리의 두 가 지 방식을 발견했습니다. 그중 하나는 우리가 몇 년 전에 시작한 인도 뭄바이 안의 다라비 슬럼에 대한 연구와 맞 닿아 있습니다. 이 사례연구는 지역 주민과 비공식주거지 거주민의 존재를 무시하는 국제자본과 기업들로부터 도 시의 일부분을 다시 되찾고자 하는, 어떻게 보면 가장 관

도시에 대한 권리는 도시공간을 구축해가는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거주민이 보다 중심이 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e-INTERVIEW

(3)

recent research interests?

Camillo Boano(hereafter ‘Boano’) My name is Camillo Boano and am senior lecturer at the Barttlet-DPU and co-director of the UCL Urban Laboratory at the University College London in London, UK. I also direct the MSc in Building and Urban Design in Development. I have over 20 years of experiences in research, consultancy and development work in South America, Middle East, Eastern Europe and South East Asia. My research interests revolve around the encounters between critical theory, radical philosophy with urban and architectural design processes where collective agency and politics encounters urban narratives and aesthetics, especially those emerging in informal and contested urbanism.

Kim Pushing the discussions about the urban politics further, Henri Lefebvre, French sociologist and philosopher, expanded a notion of space in his book, 「The Right to the City」 in French in 1968, which was only introduced after his death to the English-speaking academic circles in 1991.

However, the concept of the right to the city still remains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Could you explore such openness leaving room for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to reshape the concept for their own interests?

to the city is a very interesting concept, though it might mean several things. It was originally shaped by Lefebvre during the 1970s. Actually, it was not really (suggested as) a legal normative right to the city but rather a claim for the centrality of the person and different processes shaping the urban, urbanism and urban space. It calls out to become more central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city with the city along the city in all the different forms. The right to the city addresses a radical shift towards the engagement of all. This original version(of the right to the city) has took completely different trajectories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ies and of the World. If you want to be more simplistic about the two different terms, the former is claimed through the city and the latter is claimed in the city. The right to the city is not a right to access to what the city can offer but a right to change it. Claimed spaces are to be manifested in the city like Tel Aviv, Cairo and Istanbul. All those movements are present in the city.

Kim If the right to the city speaks to a more desirable form of urban life and envisioning a political awakening among all urban inhabitants, could you introduce some cases of claimed spaces to be manifested in the city?

Camillo Reflecting on different ways of being

(4)

례적이면서도 공격적인 방식을 보여줍니다. 시민사회, 진 보적 공동체 등을 중심으로 참여, 거주, 요구하는 형태들 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뭄바이에 존재하는 주거, 교통, 인 프라에의 접근성 향상을 요구합니다. 1990년 이래로 다 라비 슬럼의 거주민들은 자신들만의 주택을 생산하는 과 정에 개입해왔는데 이는 정부의 슬럼 재개발 계획이라는 큰 틀 안에서 비영리적 개발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 졌습니다. 풀뿌리 비정부기구는 개발과정에서 도시빈민 의 보다 직접적인 참여를 독려·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합 니다. 2009~2010년 초기까지 이러한 현상은 도시에 대한 권리-유엔해비타트가 정의 내리고 배포한 방식으로서- 로 규정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에는 다양 한 (삶/공간 생산)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혁 명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습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는 르페 브르에 의해 형성된 본래 의미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흐름 과 닮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김 르페브르는 도시에 대한 권리에 대해 명확한 정의 를 내리진 않았습니다만 이러한 개념을 수단으로써 어떻 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1970년대 전후 자본주의 시대에 어떤 일들이 실제로 일어 났는지 그리고 오늘날 신자유주의 맥락에서 어떻게 재해 석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르페브르의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에 대해 좀 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보아노 르페브르가 본래 언급한 도시에 대한 권리는 그가 강조하는 중심성에의 요구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건축 배경을 가진 저에게 중심성이란 개념은 참여를 통한 디자인이나 계획이 보다 포용적인 방향으로 변모되어 거 주민이 그 과정에 있어 중심이 되는 그런 방식을 의미합니 다. 이러한 중심성의 개념은 ‘자주관리’와 같은 연구 질문 으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상향식, 공동체주도, 다양한 주

체 참여 등의 방향으로 갈수록 시민권의 개념이 달라집니 다. 도시는 국가, 지역, 근린을 기반으로 합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는 서로 다른 사회에서 살아가고 거주하는 경로 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는 거주민과 풀뿌리그룹에 의해 전 세계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입니다. 도시 화가 전 세계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고 그 자체가 변모해 가는 이러한 현상을 다양한 레벨에서 이해하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저에게 도시성이란 지리적이거나 행정적인 또는 사회공간적인 제도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보다 는 보다 중첩되고, 압축된, 충돌이 일어나는 다양한 방식 으로 실체화된 어떤 것에 가깝습니다.

김 계획이 어떻게 보다 포용적일 수 있는지 언급하셨습니 다. 그렇다면 일견 서로 연관되어 있는 듯 보이는 두 개념, 즉 도시에 대한 권리와 포용도시의 개념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보아노 제 생각에 두 개념은 활용되는 방식에서 상당히 유 사한 부분이 있다고 봅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는 한편으로 는 정부, 건축가, 계획가, 기업들 간에 공유된 영토 정보 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것입니다. 당신 혼자서 는 당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도시를 규제하고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또한 그 과정의 일부분이 될 권 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경로들 이 존재해 왔습니다만 도시에 대한 권리는 진정 이 시점에 서 시의적절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누가 도시를 구축 하는가 하는 질문에서 그동안 국제적, 재정적 이익이 실제 로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질보다는 더 중요하게 여겨져 왔습니다. 확실히 현재 삶의 방식은 우리가 어떻게 도시에서 더불어 살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방식 을 요구합니다. 반면에 포용성이란 아마도 정책 중심의 요 소이기에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을 축소하거나 재배치한 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e-INTERVIEW

(5)

India pretty much several years ago is one of the most conventional but very aggressive forms we try to redevelop by using the big part of the city from corporations and the big international capital ignoring the existence of local groups and informal settlements. We discovered different movements of civil society, progressive community, and different ways of participating, living and claiming in Mumbai for access to housing, transportation and infrastructure. Since the 1990s, Dharavi’s inhabitants have engaged in producing their own housing in cooperation with the non- profit developer within the Government’s slum redevelopment schemes. This grassroots NGO-the Alliance-sought for urban poor’s engagement in the development processes in a more direct way.

In the beginning of 2009 and 2010, this was not configured as a right to the city which was spread out and used by the UN-Habitat. This was just called over the revolution-different ways of doing in the city. The right to the city resembles this part of research movement on the very meaning of the right to the city as originally shaped by Lefebvre.

Kim Lefebvre did not provide a clear definition of the right to the city but directs how to use such concept as a tool for understanding what really happened in the postwar capitalism of the

Camillo The original version of the right to the city shaped by Lefebvre is more intellectually grounded into what he calls the claim for centrality. For me with an architectural background, this implies different reflections along participatory design and how planning can become more inclusive in a way of allowing centrality of the person to a certain extent. This yields a movement of research questions about autogestion. More we go to the bottom-up and community-driven, multiple practices are claiming more different citizenship. The city is based on the nation, the local an the neighborhood. The right to the city is understanding different trajectories of living and inhabiting in different societies. It is manifested in practice by residents and grassroots groups throughout the World. Now this is a very useful way of understanding how urbanization is globally forming and transforming itself at the different levels. The urban for me is not much referring to a geographical, administrative place or socio-spatial institution. Rather, it is very layered, condensed, conflicted, and materialized in many different ways.

Kim You mention how planning can become more inclusive. Then how we can differentiate the concept of the right to the city from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as the two terms are distinctively

(6)

김 포용도시 개념이 정책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목적을 위한 수단이라고 이해해도 될지 궁금 합니다.

보아노 포용성의 개념에는 늘 다른 누군가를 포용하기 위 한 또 다른 누군가가 전제되기 때문에 불균형의 가능성이 늘 존재합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가 중심성의 질문을 중 심에 두기 때문에 무엇이(또는 누가) 도시인가 하는 질문 이 중요해집니다. 포용성은 도시의 일부분이 아니었던 누 군가를 포용함으로써 도시를 다스리는 방식을 의미합니 다. 그러므로 일종의 불균형을 재창조하게 되는 셈입니 다. 포용성은 배제 자체 를 포용하는 굉장히 공 간적인 개념입니다. 누 군가 또는 무언가를 포 용함으로써 그 외의 것 을 남겨두게 됩니다. 그 러므로 도시에 대한 권 리가 (포용의 개념보다) 통합적인 듯 보입니다.

저는 연구자로서 그동 안 주거권을 위한 아시아연대라는 비정부기구와 함께하며 타이완, 베트남, 네팔 등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둘러싼 일련의 활동들을 지켜봐왔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에 서 포용성과 참여의 개념은 명확히 드러났지만 반면 도시 에 대한 권리는 특정 라벨이나 범주로 활용되지는 않았습 니다. 이러한 연구경향은 사람중심의 과정과 연결되어 있 지만 아직 도시에 대한 권리라는 프레임으로 소개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중심성과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는 사 실만은 확실합니다. 이러한 사람중심 접근법은 도시에 대 해 어떠한 주장을 해야 할지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이 것이야말로 도시에 대한 권리가 말하고자 하는 바입니다.

포용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과 배제에 저항하고자 하는 투

쟁은 다릅니다. 후자는 시민권을 형성하는 책임을 모두에 게 다시 돌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이 하나의 공동체, 연합, 근린조직으로 조직화해갈수록 공동체 연대감은 강 력해질 뿐만 아니라 보다 가시적이 되고 협상 가능해집니 다. 주거권을 위한 아시아 연대는 동남아시아에 많이 입지 하는 비공식주거지 거주민들의 포용성 향상을 위해 노력 하고 있습니다. 포용성은 국가 또는 도시에 의해 주어지 는 선물이 아니라 각 문제에 대해서는 개별 공동체가 해결 책을 제시해야 하는 것처럼 스스로 요구하고 연대하고 투 쟁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야 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해결책 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우리의 삶에 대한 해답을 찾습 니다. 우리는 개인으로서의 에이전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어떤 의미에서 르페브르적이며 진보적입니다. 도시 는 삶의 다양한 형태, 즉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를 구축할 권리를 의미합니다. 연구를 통해서 저는 도시에 대한 권리 가 단순히 중심성 자체를 위한 추구가 아니라 르페브르가 이전에 언급했듯이 차이의 도시-이미 존재 하는 도시와 는 다른 도시를 꿈꿀 수 있는 방법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 다. 1970년대의 르페브르에게 이는 어반 유토피아이며 동 시에 다양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향식 접근법이 한계 를 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체 주도 또는 수요 주 도의 접근법은 확산되고 있으며 도시 레벨에서의 실질적 인 개입이 가능하도록 역량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단순 히 도시에 대한 주장이 아니라 도시 레벨에서 활동하는 것 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다양한 삶의 방식이 더불어 존재할 수 있는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한 변화를 가져올 것 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시민권이란 단순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과정을 통해) 차차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도시성을 분석, 이론 그리고 숙고의 대상으로 제고 할 필요가 있습니다. 도시에 대한 권리, 포용성 그리고 상 향식 접근법의 과정을 통해 다시금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은 도 e-INTERVIEW

포용성은

스스로 요구하고

연대하고 투쟁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야 하는 것입니다.

(7)

that people organize and manage any territorial information shared by governor, architects, planner and major corporations. You can not just hold, control, transform the city the way you want as we also have the right to be part of it. Historically there have been different forms of trajectories. This claims is really a call to the present. The question of who is shaping the city is much more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interest, financial interests rather than the real living and the livability of the people.

Certainly the forms of life are at the present really claiming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how we live together in the city. Whereas, inclusiveness is probably policy-driven element that somehow reduces or repositions the claim of the right to the city.

Kim Do you think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can be used as a policy instrument? Can it be understood as a means towards the end?

Camillo As the concept of the inclusiveness intellectually there is always someone who includes someone else, there is a possibility of imbalance.

As the right to the city positions the question of centrality in the center, who is the city becomes the question we need to answer. The inclusiveness is a way of ruling the city by including you who are not part of the city, which recreates a sort

have been researching a series of practices around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Taiwan, Vietnam, Nepal etc with the Asian Coalition for Housing Rights. The right to the city was not a specific label or a specific category, while the notion of inclusiveness and participation was spelled out. These researches seem to be related to a people-driven process, which is not yet somehow framed around the right to the city but certainly well fits into centrality and participation. This people-driven approach is thinking of what are the demands the city has. This is the demands the right to the city is calling. This kind of call against exclusion rather than a call for inclusion is different from inclusiveness as the former repositions a responsibility to all to organize a citizenship. The more an individual organizes into community, association, or neighborhood organization, the claim for collectivity becomes not only powerful but more visible and negotiable. The Asian Coalition for Housing Rights was working with inclusiveness of people living in informal settlements that many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Inclusiveness was not given as a gift from the state or the city, but was claimed, organized, and demanded as each community was providing solutions. People ar e the solutions. We live and find solutions to our life. We have an agency as an individual. This is a

(8)

시에 대한 물질적인 비전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김 오늘날 포용도시 개념이 지난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보아노 오늘날의 사회는 혼합되어 있고 이동이 가능합니 다. 더 이상 적대적인 빈부갈등 또는 유럽식 계급분리와 같은 전통적인 의미의 계급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도시는 점점 이질적이고 다양하게 변모해왔습니다. 그렇다면 무 엇이 도시입니까? 도시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정의는 없 으며 도시에는 다양한 삶의 형태만이 존재할 뿐입니다. 자 본은 유동적이고 산업들은 도시적 차원을 규정하지 못하 며 지역적 이슈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므로 도시와 도시 화란 영토적인 요소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도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움직이며 세분화된 것입니다. 사람들의 삶이 란 보다 복잡하며 이런 방식으로 도시성이란 더 이상 일반 적으로 말해지듯 도시가 아니며 이제 우리는 도시의 개념

자체에 대해 다르게 생각해봐야만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포용의 개념은 오늘날 영토와 삶의 방식 제고라는 측면에 서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어떤 사회를 우리는 원 하는가, 정의라는 기치하에 어떠한 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 가, 이는 선하면서도 동등한 사회와 모두를 위한 삶의 방 식을 영토(공간)로 구현하는 문제로 연결됩니다. 정리하자 면 포용성이란 공간을 전유함에 있어 단지 하나의 계급만 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내 삶의 방식과 공간을 활 용하는 방식은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회가 급격 하게 변화하는 이 때 포용성은 우리로 하여금 보다 나은 사회를 꿈꾸게 할 것입니다.

김 시간 내주시고 도시에 대한 권리와 관련한 최근 작업 에 대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

의 핵심을 중심성에 대한 권리 주장으로 보는 시각에 동의 합니다. 앞으로의 저작활동을 기대합니다.

e-INTERVIEW

까밀로 보아노의 최근 저서 및 논문

Boano, C. 2016. Jerusalem as a paradigm: Agamben’s ‘whatever urbanism’ to rescue urban exceptionalism. City 20, no.3: 455-471.

_____. 2016. The impossible city: Short reflections on urbanism, architecture and violence. Materia Architettura, June.

Boano, C. and Astolfo, G. 2016. Informal urbanism, city building processes and design responsibility. UrbanisticaTre 8: 51-57.

Boano, C. and Desmaison, B. 2016. Lima’s ‘Wall of Shame’ and the gated communities that build poverty into Peru. The Conversation, February 11.

https://theconversation.com/limas-wall-of-shame-and-the-gated-communities-that-build-poverty-into-peru-53356.

Boano, C. and Gyftopoulou, S. 2016. Crisis-ridden space, politics, and the social imaginary: The case of Athens. Critical Planning 22: 67-97.

Boano, C. and Killing, A. 2016. Reconstructing the city: The potential gains of using urban design in recovery and why they are so difficult to achieve.

in Urban Disaster Resilience: New Dimensions from International Practice in the Built Environment, eds. Sanderson, D., Kayden, J. S. and Leis, J., 35-53. New York: Routledge.

Boano, C. and Perucich, F. 2016. Half-happy architecture. Viceversa 4: 58-81.

Boano, C. and Talocci, G. 2016. Potentiality, potentials and design research: Notes for a subversive ethos. In DPU SummerLab 2015, eds. Talocci, G. and Boano, C., 3-5. London: DPU Development Planning Unit.

(9)

for the centrality per se but thinking of a different city that Lefebvre once calls the differential city, the city that is different from one that we have.

For him, in the 1970s, this is a urban utopia and diversity. Diversity means that the city is shaped and dreamed by different people. Although acknowledging the limits or problematics of this bottom-up approach, the community-driven or demand-driven approach allows us the scaling up and the capacity to really engage at the level of the city. This is not only about a claim on the city but working at the level of the city, in other words, ability to invent different futures of the city. This process brings about changes for a better society where different ways of living can be together.

Citizenship in that sense is not granted but coming and emerging. Today, we need to rethink the urban as an object of analysis, theory and reflections, which is important to be thought through the process of the right to the city, inclusiveness, or the bottom-up approach. Otherwise what we have is the very materialistic vision of the city.

Kim Why today the notion of inclusive cities seems to have tendency to become more emphasized than before?

Camillo Today’s society is mixed and moveable and there is no any more to a certain extent the very

forms of life exist in the city. Capital is mobile and industries are not determining the urban dimension but more regional issues now. So the city and urbanization have been thought as territorial element. The city is not fixed but moving and tearing things apart. Life of the people becomes even more complicated in a way that the urban is no longer the city normally said and we have to think differently our notion of the city. That is why the notion of inclusiveness is now re-branded in terms of territory and ways of life to rethink of which society we want, which society we are able to construct in its ethos of justice, a good and equal society and living for everybody into the shaping of the territory. In brief, inclusiveness does not mean that only one class exists for appropriating space but means that multiple forms of urban life and uses of urban space exist. The society is now dramatically changing and inclusiveness allows us to a better dream of society.

Kim Thank you for taking the time to introduce your recent work on The Right to the City. I agree with your position that a Lefebvrian approach to the production of space must be viewed as the right to a renewed centrality. I look forward to reading your new book shortly.

참조

관련 문서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national Edition,

However, all greetings are usually used to welcome people and wish them

Since every classical or virtual knot is equivalent to the unknot via a sequence of the extended Reidmeister moves together with the forbidden moves, illustrated in Section 2,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with the experimental C versus t data. If the fit is unsatisfactory, another rate equation is guessed and tested. Integral method is especially useful for fitting simple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The language of the journey is used as indicative of the reality that transformation and achievement of equality and justice are actually a process not necessarily a once

A frame size error in a frame that could alter the state of the entire connection MUST be treated as a connection error (Section 5.4.1); this includes any frame carrying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