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linical Analysis of Choledochal Cysts in Childr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linical Analysis of Choledochal Cysts in Children"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28

책임저자: 송영택,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2번지

󰂕 150-713,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소아외과 Tel: 02-3779-1135, Fax: 02-3779-1175

E-mail: ytsong@catholic.ac.kr

접수일:2008년 4월 15일, 게재승인일:2008년 7월 17일 이 연제는 2007년 11월 개최된 대한외과학회 추계통합 학술대회 에서 구연되었음.

소아 총담관낭종의 임상적 고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여의도성모병원 외과학교실

남유희ㆍ정재희ㆍ송영택

Clinical Analysis of Choledochal Cysts in Children

Yu Hee Nam, M.D., Jae Hee Chung, M.D., Young Tack Song, M.D.

Department of Surgery,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e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findings and the outcome of choledochal cysts (CC) in children.

Methods: All cases of CC that underwent operation between 1983 and 2006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the symptoms and signs, types,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union (APBDU) and complications of CC.

Results: Forty-five children were included. The common age range was from 1 year to 5 yea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 to 3.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bdominal pain (71.1%). The main methods of diagnosis were US and CT. According to Todani’s classification, type I (60%) and type IV (35.6%) were most common types. APBDU was confirmed in 21 cases. B-P type (13 cases) was more common than P-B type (8 cases). Three among four patients with pancreatitis had a stone or protein plug in the common channel. Cyst excision with hepaticojejunostomy was performed in most cases. The overall morbidity and mortality were 8% and 0%, respectively. There were no problems, such as cholangitis, biliary stone and biliary cancer during the follow up.

Intrahepatic duct dilatations of type IVa disappeared in the postoperative follow up study, except one.

Conclusion: The outcome of cyst excision with hepaticojejunostomy was excellent. As for CC accompanied with the pancreatitis, the presence of stone or protein plug in the common channel needs to be examined. It is hard to precisely interpret that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in type IVa normalize during the postoperative follow up until more evidence is accumulated. (J Korean Surg Soc 2008;75:328-335)

Key Words: Choledochal cyst, Children, Clinical characteristics 중심 단어: 총수담관낭종, 소아, 임상적 특징

담관낭종은 간내 혹은 간외담관의 낭성확장을 초래하는 비교적 드문 선천성 질환이지만, 한국, 일본 등 동양에서 많

은 예가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 10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견 되며, 여자에서 호발한다. 낭종은 주변 장기의 압박 또는 담 관폐쇄, 염증 등에 의하여 복부동통, 황달, 복부종류 촉지 및 구토, 발열 등의 증세를 나타낸다. 이 질환의 원인에 대 하여는 췌담관 연결부의 이상 등 여러가지 학설이 있으나 아직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1)

담관낭종은 간내는 물론 총수담관의 십이지장 유두부까 지 발생할 수 있으며, 1977년 Todani 등(2)은 이 질환을 5가 지 형태로 분류하였는데, 이 방법이 현재까지 보편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교적 진단이 용이하지만, 진단 즉시 수술하는 것이 원칙이며 수술 전 여러가지 합병증이 동반

(2)

Table 1. Age and sex

Age group M F Total (%)

≤ 1M 11 M < ≤ 1Y 1 Y < ≤ 5Y 5 Y < ≤ 10Y 10 Y < ≤ 15Y

Total

1 0 3 4 4 12

2 3 17 8 3 33

3 (7)0 3 (7)0 20 (44)0 12 (28)0 7 (14)0 45 (100)

Table 2. Clinical manifestations

Symptoms Numbers (%)

Pain Vomiting Pancreatitis Jaundice Mass Fever Nausea Acholic stool

32 (71.1) 17 (37.8) 15 (33.3) 13 (28.9) 6 (13.3) 5 (11.1) 5 (11.1) 2 (4.4)0

Table 3. Preoperative diagnostic procedures

Diagnosis Numbers

US CT MRCP DISIDA scan ERCP Maternal US Oral GB

38 32 18 6 4 1 1 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빠르고 정확한 진단 및 분류를 시행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 원에 입원하여 수술받은 45예의 담관낭종의 치험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여 소아 담관낭종의 임상양상을 파악함 으로써 향후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1983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에서 담관낭종으로 진단되어 수술 치료를 받았던 15세 이하의 소아환자 4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검사를 하 였다. 의무기록지를 중심으로 성별 및 연령, 임상증상, 낭종 의 형태, 췌담관합류이상의 형태학적 분류, 동반질환, 수술 방법, 술 후 합병증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담관낭종의 해 부학적 유형은 Todani 등(2)의 분류법과 Miyano 등(3)의 분 류법에 따라 분류하였다. 췌담관합류이상은 Komi 등(4)의 새 분류법과 Guelrud 등(5)이 제시한 최대 공통관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1) 성별 및 연령분포

연령은 생후 12일부터 15세까지 다양하였고, 1개월 미만 이 3예(7%), 1개월∼1세가 3예(7%), 1세∼5세가 20예(44%), 5세∼10세가 12예(28%), 10세 이상이 7예(14%)였다. 45명의 환자 중 남아가 12명, 여아가 33명으로 1:3의 성비를 보였 다(Table 1).

2) 증상 및 이학적 소견

복통 32예(71.1%), 황달 13예(28.9%), 복부종류 6예 (13.3%), 발열 5예(11.1%), 구토 17예(37.8%)를 보였고 복통, 황달, 복부종류 등 전형적인 3대 증상을 모두 보인 경우는

3예였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2예였다(Table 2).

3) 진단방법

진단방법은 한 개 이상의 검사를 중복하여 시행하였고 초음파는 38예에서 시행되어 가장 많이 이용되었으며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경우도 1예 있었다. 이외에 복부 전산화단 층촬영(computerized tomography, CT) 32예, 자기공명담췌관 조영술(magnetic resonence cholangiopancreatograpgy, MRCP) 18예, DISIDA scan 6예, oral GB 1예, ERCP 4예에서 시행되 었다(Table 3). ERCP를 시행한 환아의 나이는 2예(9세, 11 세)는 전신마취 하에 검사하였고 2예(15세)에서는 마취 없 이 검사가 가능하였다.

4) 검사소견

총빌리루빈은 정상인 경우가 23예, 비정상인 경우가 20예 였다. AST, ALT는 각각 정상인 경우가 13예, 15예였고, 비 정상인 경우가 각각 32예, 30예였다.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는 정상 범위인 경우가 12예, 정상 범위 이상인 경우가 28예 에서 보였고, 혈청아밀라아제는 26예에서 정상이었고, 고아 밀라제혈증 보인 15예 중에서 수술소견 및 방사선적 검사 로 췌장염이 진단된 경우는 4예였다. 전 환자의 혈청아밀라 아제 평균치는 375.5 U/dl였다(Table 4).

(3)

Table 4. Laboratory findings

Lab. Normal

N.

Abnormal N.

No

date Average TB (0.11∼1.2 mg/dl)

GOT (13∼36 U/L) GPT (5∼33 U/L) AP*

Serum amylase (0∼200 U/dl)

23 13 15 12 26

20 32 30 28 15

2 0 0 5 4

3.2 102.7 101.6 745.4 357.5

*Alkaline phospatase (AP) normal range 1∼9 years: 145∼420 U/L, 10∼11 years: 130-560 U/L, 12∼13 years: 200∼495 U/L (M), 105∼420 U/L (F), 14∼15 years: 130∼525 U/L (M), 70∼

230 U/L (F).

Table 5. Range of bile amylase

Range (L/dl) Numbers (33)

0∼200 200∼500 500∼1,000 1,000∼10,000 >10,000

4 3 8 11 7

Fig. 1. MRCP (A) and the operative cholangiogram (B) of chol- edochal cyst (Todani type Ia, C: Choledochal cyst, CH:

common channel (1.2 cm), P-B type APBDU).

Table 6. Type of choledochal cyst Todani classification

(numbers)

Miyano classification (numbers) Ia (21)

I (29) Ic (7) Unknown (1) IVa (15)

IVb (1)

Ia (1), Ib (20) IIb (7) Unknown (1)

Ia (11) IIa (4) IIb (1) 담즙 아밀라아제는 33예에서 측정되었고, 그 중 18예가

1,000 U/dl 이상을 보였다. 10,000 U/dl 이상인 경우도 7예에 서 관찰되었다. 평균치는 16,721.21 U/dl였다(Table 5).

5) 담관낭종의 해부학적 유형

Todani 분류법에 따라 분류한 결과 I형이 29예(64%, a: 21,

c: 7, unknown: 1)(Fig. 1), IVa형이 15예(33%)(Fig. 2-1), IVb형 이 1예(2%)였고, Myano 분류법에 의한 결과 Ia형이 12예, Ib형이 20예, IIa형이 4예, IIb형이 8예, 형태를 분류할 수 없 는 경우가 1예였다(Table 6). IVa 형은 수술 전 방사선적 검 사 또는 수술 중 시행한 담도조영술에서 간내 담관이 확장 되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15예 중 수술 후 추적 검사에서 간내담관의 확장이 남아있었던 경우는 1예에서 있었고 나머지는 모두 간내담관의 확장이 소실되었다(Fig.

2-2).

6) 수술

45예 모두 담관낭종을 절제하였으며, 41예에서 간공장문 합술을 시행하였다. 2예에서 공장삽입술을 시행하였고 1예 에서 간공장문합술 및 비역류성밸브조성술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1예에서는 낭종을 부분절제하고 낭종십이지장 문 합술 및 T자관 총담관조루술을 시행하였다. 단계적 수술은

(4)

Fig. 2-1. Operative cholangiogram (A) and ERCP (B) of Type IV a choledochal cyst (S = common chan- nel stone; CH = common channel; IHD = intra- hepatic duct; C = chol- edochal cyst; PD = pan- creatic duct).

Table 7. Operative procedures

Operations Numbers

Excision & hepaticojejunostomy Excision & jejunal interposition

Excision & hepaticojejunostomy + antireflux valve Partial cystectomy, cystoduodenostomy,

T-tube choledochostomy

41 2 1 1

Fig. 2-2. The postoperative follow up sonogram after 2 years showing no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A: left in- trahepatic duct, B: right intrahepatic duct).

2예에서 시행하였으며, 그 중 1예는 낭종천공으로 T-tube 총 담관조루술을 먼저 시행한 후 근본수술을 하였고, 나머지 1예는 경피적 경간 담즙배액술을 시행한 후 후복막혈종이 생겨 T-tube 총담관조루술을 먼저 시행한 후 근본수술을 하 였다(Table 7).

7) 동반질환

수술 당시 췌담관결석이 동반된 경우가 4예 있었고, 간경 화가 있는 경우 2예, 낭종천공(임박천공 1예 포함)이 있는

경우가 4예있었다. 췌장염이 4예에서 동반되었다.

8) 술 후 합병증

조기 합병증은 4예에서 발견되었다. 위저류 1예, 급성 췌 장염 1예와 창상열개, 유착성 장마비로 재수술을 시행한 경 우도 각각 1예가 있었다.

후기 합병증은 2예에서 확인되었다. 모두 유착성 장마비 였으며 1예는 1개월 후, 다른 1예는 1년 후에 발생하여 모두 보존적 치료 후 호전되었다.

9) 담도 췌관 이상 연결(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PBDU)

술 전 실시한 CT, MRCP, 수술적 담도조영술 소견으로 이상 연결 유무가 확인된 경우는 22예였다. 그 중 1예는 정 상이었다. 이상이 발견된 21예 중 B to P type의 경우는 13예 였으며, 8예는 P to B type이었다. 검사방법 중 중복검사를

(5)

포함하여 담도 췌관 이상연결이 수술적 담도조영술 17예 중 13예에서 확인되었고 MRCP 18예 중 6예, ERCP 4예 중 4예, CT 32예 중 1예에서 확인되었다.

10) 공통관

공통관 길이는 15예에서 확인이 가능하였고 중복검사를 포함하여 수술적 담도조영술 17예 중 7예, MRCP 18예 중 5예, ERCP 4예 중 4예, CT 32예 중 1예에서 관찰 가능하였 다. 공통관의 길이는 0.8∼4 cm까지 다양하게 측정되었으 며, 평균치는 1.84 cm였다.

11) 재원기간

수술 후 재원 기간은 8일에서 32일까지였으며 평균 11.8 일이었다.

고 찰

담관낭종은 담관의 형태가 낭종성으로 확장된 질환으로, 본질적으로 선천적인 담도 췌관 기형의 스펙트럼 중 가장 뚜렷한 표현으로 간주되고 있다.(6) 빈도상 드물지만 우리 나라와 일본 등 동양에서 많이 발생하며,(7) 어느 연령에서 나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10세 이전의 유아나 소아에서 발견되며, 남성보다 여성이 3∼4배 높게 나타난다.(8) 담관낭종의 원인은 정확하게 규명되어 있지는 않다. 췌 담관합류 이상에 의해 반복적인 췌장액의 담관내 역류와 이로 인한 염증변화에 의해 이차적으로 형성된다는 Babbit 등(1)의 ‘long common channel theory’가 가장 설득력이 있으 며, 낭종의 해부학적 형태나 낭종내 아밀라제 소견이 이러 한 가설을 지지한다. Nagata 등(9)은 췌담관합류 이상의 진 단 척도로 첫째, 담도 조영상 담도와 췌장관 사이의 이상 연결이 십이지장 벽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이거나 둘 째, 담도 조영상 공통관 길이가 1.5 cm 이상인 경우, 셋째, 담즙의 아밀라제 수치가 10,000 IU 이상인 경우 등 3가지 임상소견 중 적어도 2가지를 충족할 때로 규정하였다. 또한 공통관의 형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B-P type은 총수담관이 췌관으로 들어가는 형태이고, P-B type은 췌관 이 총수담관으로 들어가는 형태이다. Komi 등(10)은 B-P type이 선천성 담관 낭종과 관련이 깊다고 보고한 반면, Kimura 등(11)은 56%에서 P-B type, 44%에서 B-P type이 관 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ommon channel의 길이가 평균 1.8 cm, 담즙 아밀라제 수치가 평균 16,721.21

IU으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B-P type이 68%로 더 많이 관찰 되었다. 하지만 산전 진단된 환아에서는 공통관 형성에 의 한 췌장액 역류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어 이 가설 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다.(12) 담관낭종의 다른 원인으로 는 총수담관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폐쇄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총담관 신경근 기능장애나 신경절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총담관의 섬유화에 의한다는 설 등 여러 가능 성들이 제시되고 있다.(13,14)

담관낭종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황달, 복부 종괴 를 들 수 있으나 이들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1/3 이하이며 연령이나 담관낭종 유형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신 생아나 영아에서는 간헐적 황달이 가장 흔한 증상이고, 유 소아에서는 복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연령이 증가할수 록 복통 등의 비특이적이며 간헐적인 증상을 나타내기 때 문에 진단이 늦어지거나 다른 질환으로 진단되기도 한다.

따라서 소아가 간헐적 복통이 있거나 반복적인 췌장염이 있는 경우는 반드시 담관낭종을 염두에 두고 조기에 발견 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15) 발열, 구토, 간비대, 성장불 능 등도 가끔 나타난다. 소아에서는 드물지만 담즙 정체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담도염, 담관 낭종 파열, 석회 형성, 이 차적 담도성 간경화, 문맥압 항진증, 담도의 악성 변성 등이 있다.(16) 특히 췌장액이 담도계로 자유롭게 역류됨으로써 담도에 지속적인 염증을 일으키고 담도암을 일으키는 중요 한 요소가 된다.(17)

본 연구의 중요 임상검사 소견을 보면 수술 전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수치가 소아에서는 성인에서보다 높은 수치 를 보이나 나이에 따른 정상수치에 기준하여 가장 높은 빈 도로 증가하였고 그 외에도 혈중 빌리루빈 수치 및 AST, ALT가 증가하여 다른 보고와 비슷하였다.(18) 담관낭종 환 자는 낭종내 담즙의 아밀라아제 수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고아밀라아제혈증을 일으키는데 급성췌장염이 없이도 폐 쇄성담관염이나 담관협착에 의해 담관내 압력이 증가하면 담즙내 췌효소가 혈류로 역류하여 고아밀라아제혈증을 일 으킨다.(19) 본 연구에서도 고아밀라아제혈증을 보인 15예 중 수술소견이나 방사선적 검사로 진단된 급성췌장염을 동 반한 경우는 4예 뿐이었으나 이들 중 3예에서 공통관 및 총 담관 내 결석이나 단백전(protein plug)이 있었고 1예는 결석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담관낭종의 진단에 있어 기본적인 진단방법은 복부 초음 파검사로 연령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복부 CT는 비침 습적인 검사방법으로써 간내 담관낭종을 진단하는데 유용

(6)

하며 낭종의 위치, 수, 담석의 유무, 주위 구조와의 관계 등 을 명확히 보여준다. 내시경적 역행적 담췌관조영술(ERCP) 및 경피적 간담조영술(PTC)은 간내, 간외 담관의 해부학적 구조와 췌담관합류이상 유무를 확인하는데 유용하나, 최근 엔 MRCP가 비침습적인 검사로 ERCP의 대체검사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20,21)

담관낭종의 해부학적 분류는 1977년 발표된 Todani 등 (2)의 분류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Todani 분류법 에 근거하면 I형은 간외 담도의 분절 혹은 전반적 확장이다.

II형은 간외 담도의 게실이고, III형은 원위부 담도의 총담관 류이다. IVa형은 간내외 담도의 다발성 낭종, IVb형은 간외 담도의 다발성 낭종, V형은 간내 담도의 다발성 낭종을 말 한다. 소아나 성인에서 가장 많은 형태는 I형이고, IV형은 소아에 비해 어른에 많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도 I형 이 64%, IV형이 36%를 보였다. 그러나 IV형의 경우 1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근본적인 수술 이후 경과를 관찰하는 동 안 간내담관의 확장이 소실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렇다 면 이것이 진정한 IVa형인지 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Visser 등(22)은 Todani 분류 I형에서도 어느 정도 간내담관 이 확장되어있고 완전히 정상인 것은 없다고 하면서 I형과 IVa형을 구분하는 것은 간내담관의 확장정도에 따른 분류 의 기준이 모호하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법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Todani 분류의 I형과 IV형을 합하여 담관낭종으로 분류하자고 하였다. 다른 논문들을 살펴보아 도 이 같은 모호한 기준에 대한 해답과 IVa형의 경우 수술 후 간내담관의 확장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 급을 찾기가 어렵다. 국내에서도 아직 이에 대한 합의가 이 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 여러보고를 통하여 명확한 기준이 도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Todani 등의 분류가 현재로서는 가장 널 리 사용되고 있는 분류법이기에 이를 사용하였고 수술 전 담관낭종의 형태를 토대로 간내담관의 확장소견이 있으면 IVa로 분류하였다.

담관낭종에서 동반질환은 흔치 않으나 담석, 간경변, 간 농양 등의 간담도에 발생하는 동반질환이 있으며 중복담 낭, 환상췌장, 선천성간섬유증 등 선천적인 기형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석이 동반된 경우가 4예, 간경화 2 예, 담관 낭종 파열이 4예 있었다.

담관낭종의 가장 좋은 치료로 담석형성, 담관염, 암성변 성을 방지하기 위해 진단 즉시 되도록 빨리 낭종을 완전 절제해야 한다는 데는 이의가 없다. 수술적 치료는 담관낭

종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I형에서는 낭종을 완전히 절 제하고 간담관공장문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추천된다.(23) 간내담도까지 확장된 IVa형의 담관낭종은 흔히 총간담관이 간내담관에 비해 작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간외담도를 완전 히 제거한 후 분기점을 가로지르는 커다란 간장관문합술을 실시하여 담즙배액을 원할하게 하여 상행성 담도염을 피해 야한다. 또한 간문이나 간내담관이 너무 작을 때는 담관과 장관 사이의 문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간문에서 총간관을 절제하고 양측 간관벽을 절개한 뒤 담관점막을 뒤집어 간 실질에 고정시킨 뒤 간문담관-공장문합술을 실시한다.

(24,25)

담관낭종의 술 후 단기 및 후기 합병증은 최근 많이 감소 하여 수술 후 추적검사에서 대부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다. 본 연구에서 수술 후 단기 합병증으로 췌장염이 1예 발 생하였는데, 증상이 경미하여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담관낭 절제술 후에 발생하는 췌장염은 비교적 드물게 보 고되고 있으나,(26) 재발이 흔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췌장염의 원인을 철저히 검사하여 담관 낭, 췌관, 공통관에 결석이나 단백전 등이 있다면 수술 시에 이를 완전히 제거해야 하고, 이를 제거할 수 없는 경우나 복합형의 췌담관합류기형이 만성 췌장염이나 재발성 췌장 염과 동반된 경우에는 췌십이지장 절제술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27) 그 외 합병증으로 간-공장문합부위의 협착이 있을 수 있다.

담관낭과 관련된 악성종양의 빈도는 2.5에서 28%로 알려 져 있고 나이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관낭 과 관련된 악성종양은 증상 및 증후가 늦게 나타나 진단이 지연되기 때문에 예후가 극히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2년 생존율이 5%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다.(28) 여러문헌들 의 보고에 의하면 담관낭뿐만 아니라 담도계 어디에서도 생길 수 있고 드물지만 담관낭 절제술 후에도 원위부나 근 위부의 담도 어디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29) Yoshikawa 등 (30)은 IVa형 담관낭에 대해 간외담관낭 절제술을 시행한 지 12년 후에 췌장내 남은 담도에서 담도암이 발생하였다 고 보고하였고, Goto 등(31)은 Ia형 담관낭에 대해 담관낭 절제술을 시행한 지 12년 후에 간내담관암의 발생을 보고 하였다. 따라서 담관낭의 절제술 시에는 동반된 악성종양 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해 두고 담관낭 이외의 담도계를 자 세히 평가해야 하고, 담관낭종으로 수술받은 소아들은 정 규적이고도 지속적인 추적조사 및 검사를 해야한다.

(7)

결 론

저자들이 24년간 경험한 45예의 총담관낭종을 정리하면 1) 1∼5세 사이의 여아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복

통이 주증상이었다.

2) 복부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주로 진단이 이루 어졌고 최근에는 MRCP의 역할이 점점 늘어나 췌담관 합류 이상 유무 및 형태도 관찰할 수 있었다.

3) Todani 분류상 I (29예: 64%), IVa (15예: 33%), IVb (1 예: 2%)의 분포를 보였고 IVa 경우 수술 후 추적검사 에서 간 내 담관확장이 지속적으로 남아있는 경우는 1예밖에 없었다.

4) 췌담관 합류이상에서 B to P type이 P to B type보다 많았다.

5) 검사실소견에서 담즙아밀라제가 33예 중 29예에서 상 승하였고 평균치는 16,721 U/dl였다. 고아밀라제혈증 을 보였던 15예 중 췌장염이 증명된 경우는 4예였고 이들 중 3예가 공통관의 담석 또는 단백전이 있었다.

6) 낭종은 1예를 제외하고 완전절제를 하였고 수술로 인 한 유병률(8%)과 사망률(0%)은 낮았고 추적검사(평균 54.9개월) 시 담관염 및 담석, 담관암 등의 특이한 문제 는 없었다.

REFERENCES

1) Babbit DP, Starshak RJ, Clemett AR. Choledochal cyst: a con- cept of etiology. AJR 1973;119:57-62.

2) Todani T, Watanabe Y, Narusue M, Tabuchi K, Okajima K.

Congenital bile duct cysts. Classification, operative proce- dures, and review of thirty-seven cases including cancer aris- ing from choledochal cyst. Am J Surg 1977;134:263-9.

3) Miyano T, Suruga K, Chen SC.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choledochal cyst. World J Surg 1980;4:231-8.

4) Komi N, Takehara H, Kunitomo K, Miyoshi Y, Yagi T. Does the type of anomalous arrangement of pancreaticobiliary ducts influence the surgery and prognosis of choledochal cyst? J Pediatr Surg 1992;27:728-31.

5) Guelrud M, Morera C, Rodriguez M, Prados J, Jaen D. Normal and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un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Gastrointestinal Endoscopy 1999;50:189-93.

6) Katyal D, Less GM. Choledochal cysts; A retrospective review of 28 patien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Canad J Surg 1992;35:584-8.

7) Tsardakas E, Robenett AH. Congenital cystic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report of 3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Surg 1956;72:311-27.

8) Kimura K, Tsugawa CT, Ogawa K, Matsumoto Y, Yamamoto T, Kudo M, et al. Choledochal cyst. Arch Surg 1978;113:159- 63.

9) Nagata E, Sakai K, Kinoshta H, Hirrohashi K. Choledochal cyst: complication of anomalous connection between the chol- edochus and pancreatic duct and carcinoma of the biliary tract.

World J Surg 1986;10:102-10.

10) Komi N, Kashiwagi Y, Ikeda N. The etiology of congenital dilatation of the biliary duct. J Pediatr Surg 1977;9:1101-4.

11) Kimura K, Ohto M, Saisho H. Association of gall-bladder car- cinoma and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 union.

Gastroenterology 1985;89:1258-65.

12) Davenport M, Stringer MD, Howard ER. Biliary amylase and congenital choledochal dilatation. J Pediatr Surg 1995;30:474- 7.

13) Tsang TM, Tam PK, Chamberlain P. Obliteration of the distal bile duct in the development of congenital choledochal cyst.

J Pediatr Surg 1994;29:1582-3.

14) Matthew S, Simon A, Guy J. Management dilemmas with choledochal cyst. Arch Surg 2003;138:333-9.

15) Suh SJ, Choi SO, Park WH. Clinical analysis of choledochal cyst in childhood. J Korean Surg Soc 2003;65:564-71.

16) Robertson JFR, Raine PAM. Choledochal cyst; a 33 year review. Br J Surg 1988;75:799-801.

17) Iwai N, Yanagihara J, Tokiwa K, Shimotake T, Nakamura K.

Congenital choledochal dilatation with emphasis on patho- physiology of the biliary tract. Ann Surg 1992;215:27-30.

18) Kim SC, Lee SM, Lee TS, Hong SW, Oh SM. The clinical analysis of choledochal cyst in 44 cases. J Korean Surg Soc 1995;48:676-84.

19) Samuel M, Spitz L. Choledochal cyst: varied clinical pre- sentations and long-term results of surgery. Eur J Pediatr Surg 1996;6:78-81.

20) Mori K, Nagakawa T, Ohta T, Nakano T, Kayahara M, Akiyama T, et al. Pancreatitis and anomalous union of the pancreaticobiliary ductal system in childhood. J Pediatr Surg 1993;28:68-71.

21) Kim MJ, Han SJ, Yoon CS, Kim JH, Oh JT, Chung KS, et al. Using MR. Cholangiopancreatography to reveal anomalous pancreatobiliary ductal union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chol- edochal cysts. AJR 2002;179:209-14.

22) Visser BC, Suh I, Way LW, Kang SM. Congenital choledochal cysts in adults. Arch Surg 2004;139:855-62.

23) Chijiiwa K, Koga A. Surgical management and long-term fol- low-up of patients with choledochal cysts. Am J Surg 1993;165:238-42.

24) Todani T, Watanabe Y, Urushihara N, Noda T, Morotomi Y.

Biliary complications after excisional procedure for chol- edochal cyst. J Pediatr Surg 1995;30:478-81.

25) Todani T, Watanabe Y, Toki A, Ogura K, Wang ZO. Co-exist-

(8)

ing biliary anomalies and anatomical variants in choledochal cyst. Br J Surg 1998;85:760-3.

26) Nagai H. Pancreatic complications in choledochal cyst and their surgical outcomes. World J Surg 2001;25:1519-23.

27) Ando H, Kaneko K, Ito T, Watanabe Y, Seo T, Harada T, et al. Complete excision of the intrapancreatic portion of chol- edochal cysts. J Am Coll Surg 1996;183:317-21.

28) Bismuth H, Krissat J. Choledochal cystic malignancies. Ann Oncol 1999;10:94-8.

29) Ishibashi T, Kasahara K, Yasuda Y, Nagai H, Makino S, Kanazawa K. Malignant change in the biliary tract after ex-

cision of choledochal cyst. Br J Surg 1997;84:1687-91.

30) Yoshikawa K, Yoshida K, Shirai Y, Sato N, Kashima Y, Coutinho DS, et al. A case of carcinoma arising in the intra- pancreatic terminal choledochus 12 years after primary ex- cision of a giant choledochal cyst. Am J Gastroenterol 1986;81:378-84.

31) Goto N, Yasuda I, Uematsu T, Kanemura N, Takao S, Ando K, et al.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arising 10 years after the excision of congenital extrahepatic biliary dilation. J Gastroenterol 2001;36:856-62.

수치

Table  1.  Age  and  sex
Table  4.  Laboratory  findings Lab. Normal  N. Abnormal N. No date Average TB  (0.11∼1.2  mg/dl) GOT  (13∼36  U/L) GPT  (5∼33  U/L) AP* Serum  amylase      (0∼200  U/dl) 2313151226 2032302815 20054     3.2102.7101.6745.4357.5
Fig. 2-1. Operative  cholangiogram  (A)  and  ERCP  (B)  of  Type  IV  a  choledochal  cyst  (S  =  common   chan-nel  stone;  CH  =  common  channel;  IHD  =   intra-hepatic  duct;  C  =   chol-edochal  cyst;  PD  =   pan-creatic  duct).

참조

관련 문서

The main objective of the Bi Regional Center for SMES Development is oriented towards generating the conditions of cooperation among the countries which

Current Tokyo is rich in green compared to other metro cities. In some parts, the greenery has been contributed by the many inherited gardens from the Edo era to today which

In a statement to Kuwait News Agency (KUNA) on the sidelines of a meeting of the Arab Parliament's Foreign Affairs Political and National Security

The meeting was attended by Assistant Foreign Minister for GCC Affairs, Ambassador, Nasser Al-Muzayyen, and Deputy Assistant Foreign Minister for the Office of the

“ Sheikh Nasser has a written message from HH the Amir, Sheikh Sabah Al-Ahmad Al-Jaber Al-Sabah to the Chinese President, Chi Gen Beng related to enhancing mutual

On his part, CEO of Express Roads Authority, Saud Al-Naqqi said that the heavy rains of the previous day led to clogging parts of the express

Kuwait will celebrate on Sunday the fourth anniversary of the UN honoring and proclamation of His Highness the Amir, Sheikh Sabah Al-Ahmad Al-Jaber Al-Sabah as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