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Surgical Outcome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Treated with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Surgical Outcome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Treated with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ttp://dx.doi.org/10.12671/jkfs.2015.28.1.38

38

Copyright ⓒ 2015 The Korean Fractur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tember 15, 2014 Revised October 29, 2014 Accepted December 3, 2014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oung-Keun Oh,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je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170 Juhwa-ro, Ilsanseo-gu, Goyang 411-706, Korea Tel: 82-31-910-7968ㆍFax: 82-31-910-7967

E-mail: osd11@paik.ac.kr

Financial support: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주석규⋅남지호⋅김영우⋅오형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he Surgical Outcome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Treated with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Suk Kyu Choo, M.D., Ji Ho Nam, M.D., Youngwoo Kim, M.D., Hyoung-Keun Oh,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oyang, Korea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surgical outcomes of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treated with a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09 to August 2012, 16 patients with distal clavicle fracture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Mean age was 36 years (18-62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12.9 months (6-32 months). Two cases were Neer type I, six cases IIa, three cases IIb, three cases III, and two cases V. For the radiologic assessment, union time and metal failure were evaluated, and coracoidiologic assessment, union time and metal failure were evaluatethe acromiocla- vicular joint.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range of mo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Results: Mean time to fracture union was 7.4 weeks (6-14 weeks) in all case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oracoid-clavicle distance was observed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on group and contra-lateral group (p=0.6), but an increase of 2.1 mm was observed in the last follow u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group (p<0.01). The UCLA scoring system showed excellent results in 15 cases and good results in one case. Acromial-clavicle instability occurred in one case so that metal removal and distal clavicle resection were performed.

Conclusion: A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can provide rigid fixation through several screw fixation in the short distal fragment and lead to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in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Key Words: Clavicle, Distal clavicle fracture,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서 론

원위 쇄골 골절은 쇄골 골절의 약 10%-15%를 차지하며,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의 경우 지연유합, 불유합의 빈도 가 높아 수술적 치료가 선호되고 있다.1-3)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방법으로 K-강선을 이용한 고정, 오구-쇄골 고정술, 장력대 강선 고

(2)

Table 1. Summary of the Patients

Patient No. Age (yr)/sex Neer classification Follow-up period (mo) Bone union (wk) Additional fixation UCLA score Complicati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24/male 29/male 74/male 23/male 45/male

41/male 28/male 39/male 50/male 62/male 34/male 40/female

42/male

27/male 46/female 18/female

V III IIa IIa V

V IIa

I IIb IIa IIb III V

I III IIa

6 7 9 13 6

20 7 6 6 6 7 7 12

9 30 7

8 10 10 14 6

8

10 6 6 13 8 6

7 7 10

Wiring (×1) None None None Tension band

wiring Wiring (×3)

None None None None None Wiring (×1)

None

Wiring (×2) None None

33 33 33 35 35

33 35 33 35 33 35 35 31

35 35 33

Metal irritation Limitation of

motion

UCLA scor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score.

Fig. 1. (A) Precontoured lock- ing plate for distal clavicle (3.5 mm LCP superior clavicle plates;

Synthes, Oberdorf, Switzerland).

(B) A 2.4 mm volar distal locking plate (2.4 mm LCP Distal Radius System; Synthes) can provide variable options for screw position at the distal clavicle end compared to con- ventional precontoured locking plate for distal clavicle.

정술과4,5) 최근에는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6) 또한 원위 쇄골 모양에 맞는 잠김 금속판 이 나와 있지만 원위 쇄골 골편이 작을 경우 쇄골 외측 골 편에 넣을 수 있는 잠김 나사의 선택에 제한이 있어 원위 요골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7,8) 이러한 술기의 결과들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지만, 원위 부의 작은 골편에 견고한 고정력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정물에 대해서는 현 재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1,9,10)

저자들은 원위 쇄골 골절에 대하여 원위 골편에 대한 고 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위 요골 골절에 사용하는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으로 내고정 후 임상적 및 방사선적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09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원위 쇄골 골절로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2.4 mm LCP Distal Radius System; Synthes, Oberdorf,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3)

Fig. 2. (A) Original shape of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B) After neu- tralization of volar angle and making a curved shape from the straight distal end of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 ing plate.

Fig. 3. (A) Preoperative clavicle anteroposterior view of a 41-year-old male shows a Neer V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B) Intraoperative fluoroscopic image. Cerclage wires were used to stabilize the inferior fragment of the distal clavicle, which is the insertion site of the coraco-clavicular ligament. (C) Intraoperative fluoroscopic image. Short distal fragment could be stabilized by 2.4 volar locking plate for distal radius.

하였다(Fig. 1). 남자 13명, 여자 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6세(18-62세)였다(Table 1). 수상의 원인은 미끄러짐에 의 한 경우가 10예, 교통사고 4예, 낙상 1예, 직접타격 1예였 다. 골절의 분류는 Neer 분류상 I 2예, IIa 6예, IIb 3예, III 3예, V 2예였으며 개방성 골절은 없었다. 동반 손상으 로는 두부손상 1예, 동측 견갑골 골절 및 척추골절 1예, 척추 골절 및 동측 비구골절 1예, 늑골골절 1예, 동측 척 골 간부 골절 1예, 척추골절 1예였다. 수상 후 수술 시행 까지의 기간은 평균 6일(1-18일)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 은 12.9개월(6-32개월)이었다.

2. 수술 방법 및 수술 후 재활

환자를 전신 마취하에 방사선 투과성 수술대에 앙와위로 눕히고, 쇄골 골절 부위를 지나는 피부 횡 절개술을 시행 한 후 골절 부위와 견봉-쇄골 관절을 노출시켰다. 연부 조 직의 박리 시 견봉-쇄골 관절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작은 골편에 부착되어 있는 연부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골절편의 정복 후 K-강선을 이용하여 임시 고 정한 후 영상 증폭기로 골절의 정복 상태를 평가하였다.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원위 쇄골 의 모양에 맞게 금속판의 양 끝을 성형하였으며, 금속판 원위부는 쇄골 원위부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타원형으로 구 부렸다(Fig. 2).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 시 원위 쇄골 골편에 최소 4개 이상의 잠김 나사못 고정을 시행하였다. 오구-쇄골 인대 부 착부인 원위 쇄골 하방의 골편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고정 을 위하여 환형 강선 고정술을 4예에서 평균 1.75개(1-3개) 시행하였으며(Fig. 3), 1예에서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을 추 가로 시행하였다(Fig. 4). 직접적인 오구-쇄골 인대 봉합 및 오구-쇄골 나사못 고정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술 후 2-3일간 팔걸이를 이용하여 보호하였으며 이후부 터 능동 및 수동적인 견관절 운동을 시행하였다. 주기적인 방사선 추시를 통해 골절의 유합 정도에 따라 스포츠 활동

(4)

Fig. 4. (A) Preoperative clavicle anteroposterior (AP) view of a 46-year-old male shows a Neer V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B) Immediate postoperative clavi- cle AP view of tension band wiring addition to plate fixa- tion. (C) Postoperative four months clavicle AP and apical view shows solid union of the fracture site.

Fig. 5. Measurement of Coracoid-clavicle distance. Coracoid- clavicle distance (C) was measured by two parallel lines at the inferior border of the distal clavicle (B) and superior margin of the coracoid process (A).

등을 허용하였다.

3. 연구 방법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 시기를 조사하였으며, 골유합의 기준은 가골이 골절부의 좌우로 모두 연결되거나 골절선이 없이 골소주가 골절부를 통과하는 소견이 보일 때로 정의 하였다. 수술 후 추시에서 견봉-쇄골 관절의 안정성을 평가 하기 위하여 오구돌기와 쇄골 간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이는 오구-쇄골 인대 부착부의 쇄골 하연에 일직선의 선을 긋고, 이 선과 평행한 선을 오구돌기의 상연을 지나게 그 은 뒤 두 선의 거리로 정의하였다(Fig. 5). 건측의 거리를 기준으로 환측의 수술 전, 수술 직후, 최종 추시 시의 거리 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p<0.05)을 평가하였다(MedCalc Version 12.7.0; MedCalc Software bvba, Mariakerke, Belgium). 임상적으로 최종 추시에서 관절 운동의 범위와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기능적 평가 는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 ing11)를 이용하였다.

결 과

방사선적으로 전 예에서 수술 후 평균 7.4주(6-14주) 후 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절부의 전위 및 금속판 부전의 경우는 없었다.

견봉-쇄골 관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건측의 오구 돌기와 쇄골 간의 거리는 평균 7.7±2.4 mm, 환측의 거리 는 수술 전 평균 14.0±7.7 mm에서 수술 직후 9.0±3.0 mm로 교정되어, 건측과 비교하여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 최종 추시에서의 오구돌기와 쇄골 간의 거 리는 평균 9.8±2.7 mm로 수술 직후와 비교 시 통계적으 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p=0.2), 건측과의 비교 시 평균

(5)

Fig. 6. (A) Preoperative radiograph of a 42-year-old male shows a Near V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B) At postoperative 5 months, acromio-clavicle joint dislocation developed as a complication. (C) Removal of plate and distal clavicle resection was performed as a salvage operation.

2.1 mm의 오구돌기-쇄골 간 거리가 증가하였으며,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금속제거는 골유합을 얻은 후 금속자극 증상이 있는 경 우와 환자가 원한 경우 시행하였으며, 평균 13개월(8-28개 월)에 6예에서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평균 견관절 운동 범위는 굴곡 165o (100o-180o), 외전 170o (120o-180o), 내회전 70o (35o-90o), 외회전 65o (15o-90o)로 측정되었다. 최종 추시 시 기능적 평가에서 평균 UCLA 점수는 34.1점(31-35점)으로 우수 (excellent)가 15예, 양호(good)가 1예였다.

Neer 분류 V로 수술을 시행한 1예의 술 후 5개월 방사 선 사진에서 원위 쇄골부가 상방으로 전위되는 견봉-쇄골 관절 탈구 소견이 보였으며, 금속 자극 증상 및 술 후 8개 월에 굴곡 100o, 외전 120o, 내회전 35o, 외회전 15o의 운 동제한을 보여 금속 제거 및 원위 쇄골 절제술을 시행하였 다(Fig. 6).

고 찰

원위 쇄골 골절에서 대부분의 전위를 동반하지 않는 골 절은 보존적 치료가 추천되며 특히 Neer 분류 I형과 III형 은 오구-쇄골 인대 외측에서 골절이 발생하여 쇄골의 근위 골편이 오구-쇄골 인대에 의해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보 존적 치료가 추천된다.12)

반면 Neer 분류 II형의 골절은 근위 골편에 오구 쇄골 인대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완골과 견갑골에 부착된 근 육과 팔의 무게로 인하여 전위 및 회전이 발생하는 불안정 한 골절이다. 이로 인하여 보존적 치료 후 지연 유합이 45%-67%, 불유합이 21%-22%까지 보고되어 수술적 치료가 선호된다.1-3)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시 K-강선을 이용한 고 정, 오구-쇄골 나사못 고정술, 장력대 강선 고정술, 여러

형태의 금속판 고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 으며,4,5) 최근에는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6) 이러한 술기의 결과들은 다양하게 보고되 고 있으나 원위부의 작은 골편에 쉽고 견고한 고정력을 얻 을 수 있으며 정복의 소실, 금속물의 이완, 강직 등의 다양 한 합병증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골유합을 얻을 수 있는 고 정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논란이 되어 왔다.1,9,10)

Neer5)는 K-강선을 사용하여 견봉을 통한 골수강 내 고 정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시 절개 부위가 적고 고정이 쉬운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반면 높은 빈도의 불유합, 견봉-쇄 골 관절의 관절증, 핀주위 감염과 피부 자극 현상, 핀의 경 추, 기관, 폐, 복부 등으로 전이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10,13)

오구-쇄골 인대를 고정하여 견봉-쇄골 관절의 수직 안정 성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나사못, PDS 봉합사, Dacron tape 등을 이용한 술식이 있다. 이러한 술식은 견관절의 조기 관절운동이 어려우며 골융해 및 술 후 쇄골이나 오구돌기 의 미란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12,14,15)

Flinkkilä6)은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 시 K-강 선 고정법에 비하여 만족할 만한 관절 안정성 및 골유합과 견관절 운동의 회복 및 낮은 합병증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최근 여러 연구들에 의해 금속물의 실패, 견봉하 골침식, 회전근 개 파열, 견봉 골절, 견봉하 충돌증후군 등의 합병 증이 보고되고 있으며 노령 환자에서 Hook 금속판이 견봉 에 구멍을 뚫는 합병증도 보고되었다.16-19)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 때문에 수술 후 3-5개월에 내고정물을 제거하 는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하며 금속판의 가격도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Hook 금속판 이외에도 저접촉 압박 금속판(LCDCP), 반 원형 금속판(semitubular plate) 등을 이용한 고정술이 시도 되었으나7) 원위 쇄골 골편에 고정할 수 있는 금속판의 나 사 구멍이 제한되어 충분한 수의 금속나사 고정이 불가능

(6)

할 때가 있으며 견고한 고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 한 원위 쇄골 모양에 맞게 제작된 잠김 금속판도 상품화되 어 사용되고 있지만 원위 쇄골 골편이 작고 외측에 위치해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나사 구멍이 제한적이다(Fig.

1).

이에 비해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 은 상방부가 편평해지면서 전후경으로 넓어지는 원위 쇄골 단의 모양과 비교적 잘 맞으며 원위 골편에 금속판의 가로 부위를 위치시켜 원위 골편 고정에 충분한 나사 구멍을 확 보할 수 있고 견봉-쇄골 관절에 보다 가깝게 여러 개의 잠 김 나사를 고정할 수 있어 원위 골편이 작은 경우에도 비 교적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다 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견봉-쇄골 관절을 통과시키지 않고 고정하므로 내고정물이 견봉-쇄골 관절을 통과함으로써 발 생할 수 있는 관절 손상 및 외상성 관절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4)

원위 쇄골의 전후방의 안정성에는 견봉-쇄골 인대가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하 안정성에는 오구-쇄골 인대가 중요 한 역할을 한다.20) 오구-쇄골 인대 부착부인 원위 쇄골 하 방의 골편이 있는 경우에 상하 안정성의 추가적인 보강을 위하여 환형 고정술 혹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을 추가시행 하였으며, 이 술기를 시행한 5예 모두에서 골유합 및 합병 증 없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1예의 술 전 방사 선 사진에서 원위 쇄골 하방의 골편이 뚜렷이 관찰되지 않 아 환형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았으나 방사선 추시에서 뚜 렷한 원위 쇄골 하방의 골편이 관찰되었으며 술 후 5개월 방사선 사진과 추시에서 원위 쇄골 골편이 상방으로 전위 되는 견봉-쇄골 관절 전위 소견 및 임상적으로 관절운동 제한과 금속 자극 증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원위 쇄골 하방의 골편이 관찰되는 경우 상하 안정성을 위한 추 가적인 고정이 필요하며 환형 고정술이나 장력대 강선 고 정술을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16예 중 5예에서 강선을 이용 하여 추가 고정을 하였지만 오구-쇄골인대에 대해 나사 고 정을 하거나 인대 재건술 같은 추가적인 시술을 하지 않고 골절에 대한 정복과 고정만을 가지고 만족할만한 치료 결 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 대상에 포함을 시켰다. 하 지만 본 연구의 증례가 적어 추가적인 비교 대조 연구와 생체 역학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오구돌기와 쇄골 간의 거리는 건측과 환측의 최종 추시 에서의 거리를 비교하였을 때 평균 2.1 mm였으며 통계적 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술 직후에 비해 최 종 추시에서도 증가를 보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 으며 그 원인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수상 당시 골절이 되 면서 오구-쇄골 인대 역시 손상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골절편 정복만으로는 오구돌기와 쇄골 간의 거리를 회복하 는 데 한계가 있었을 것이고 추시하는 동안에도 긴장이 가 해져 거리가 증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원위 쇄골 골절 이후 오구 돌기와 쇄골 간의 거리의 허용 범위에 대 한 임상학적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견봉-쇄골 관절 손상의 경우를 보았을 때 Basamania와 Rockwood21)는 5 mm 이상 증가가 되어 있을 때를 완전 탈구로 보고 있어 본 연구처럼 2.1 mm의 건측 대비 거리 차이는 임상학적 의미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5 mm 이상인 예는 없었으며, 쇄골의 외측단이 피부로 튀어나와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 및 견관절의 상하 불안정성을 보 이는 경우 또한 없었다.

Kalamaras 등7)은 8명의 원위 쇄골 골절에 대해 원위 요 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임상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16예의 원위 쇄골 골절에 대해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 고정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골절선이 쇄골-견봉 관절에 가깝게 위치하며 골편 의 크기가 작은 Neer I형 혹은 III형의 골절이거나 원위 골 편의 분쇄가 심한 골절을 동반한 경우에는 충분한 금속 나 사를 고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 로는 후향적인 연구이며 증례가 적고 추시 기간이 짧다는 점, 그리고 다른 수술 방법과의 비교가 없었다는 점이다.

추후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전향적 연구 가 필요하며 비교군과의 통계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에서 원위 요골 2.4 mm 수장 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외측 골편에 여 러 개의 나사 고정이 가능하여 원위 골편이 작은 경우에도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고정 방법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Edwards DJ, Kavanagh TG, Flannery MC: Fractures of the distal clavicle: a case for fixation. Injury, 23: 44-46, 1992.

2) Nordqvist A, Petersson C, Redlund-Johnell I: The natu- ral course of lateral clavicle fracture. 15 (11-21) year fol- low-up of 110 cases. Acta Orthop Scand, 64: 87-91, 1993.

(7)

3) Robinson CM, Cairns DA: Primary nonoperative treat- ment of displaced lateral fractures of the clavicle. J Bone Joint Surg Am, 86: 778-782, 2004.

4) Eskola A, Vainionpää S, Pätiälä H, Rokkanen P:

Outcome of operative treatment in fresh lateral clavicular fracture. Ann Chir Gynaecol, 76: 167-169, 1987.

5) Neer CS 2nd: Fractures of the distal third of the clavicle.

Clin Orthop Relat Res, 58: 43-50, 1968.

6) Flinkkilä T, Ristiniemi J, Hyvönen P, Hämäläinen M:

Surgical treatment of unstable fractures of the distal clavi- cle: a comparative study of Kirschner wire and clavicular hook plate fixation. Acta Orthop Scand, 73: 50-53, 2002.

7) Kalamaras M, Cutbush K, Robinson M: A method for internal fixation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early observations using a new technique. J Shoulder Elbow Surg, 17: 60-62, 2008.

8) Page RS, Bhatia DN: Noncomminuted lateral end clavi- cle fractures associated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dis- ruption: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optimal anatomic fix- ation and stability. Int J Shoulder Surg, 8: 86-89, 2014.

9) Nuber GW, Bowen MK: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ies and distal clavicle fractures. J Am Acad Orthop Surg, 5:

11-18, 1997.

10) Kao FC, Chao EK, Chen CH, Yu SW, Chen CY, Yen CY: Treat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 using Kirschner wires and tension-band wires. J Trauma, 51: 522-525, 2001.

11) Constant CR, Murley AH: A clinical method of func- tional assessment of the shoulder. Clin Orthop Relat Res, (214): 160-164, 1987.

12) Hessmann M, Kirchner R, Baumgaertel F, Gehling H, Gotzen L: Treatment of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with and without lesions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27: 47-52, 1996.

13) Tsai CH, Hsu HC, Huan CY, Chen HT, Fong YC:

Late migration of threaded wire (schanz screw) from right distal clavicle to the cervical spine. J Chin Med Assoc, 72: 48-51, 2009.

14) Ballmer FT, Gerber C: Coracoclavicular screw fixation for unstable fractures of the distal clavicle. A report of five cases. J Bone Joint Surg Br, 73: 291-294, 1991.

15) Goldberg JA, Bruce WJ, Sonnabend DH, Walsh WR:

Type 2 fractures of the distal clavicle: a new surgical technique. J Shoulder Elbow Surg, 6: 380-382, 1997.

16) Charity RM, Haidar SG, Ghosh S, Tillu AB: Fixation failure of the clavicular hook plate: a report of three cases. J Orthop Surg (Hong Kong), 14: 333-335, 2006.

17) Sim E, Schwarz N, Höcker K, Berzlanovich A: Repair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s using the acro- mioclavicular-hook plate. Clin Orthop Relat Res, (314):

134-142, 1995.

18) Faraj AA, Ketzer B: The use of a hook-plate in the management of acromioclavicular injuries. Report of ten cases. Acta Orthop Belg, 67: 448-451, 2001.

19) Salem KH, Schmelz A: Treatment of Tossy III acromio- clavicular joint injuries using hook plates and ligament suture. J Orthop Trauma, 23: 565-569, 2009.

20) Banerjee R, Waterman B, Padalecki J, Robertson W:

Manage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s. J Am Acad Orthop Surg, 19: 392-401, 2011.

21) Basamania CJ, Rockwood CA: Fractures of the clavicle.

In: Rockwood CA ed. The shoulder.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428-482, 2009.

(8)

Copyright ⓒ 2015 The Korean Fractur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http://dx.doi.org/10.12671/jkfs.2015.28.1.38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주석규⋅남지호⋅김영우⋅오형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목 적: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의 내고정술을 시행 후 수술적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6세(18-62세), 추시 기간은 12.9개월 (6-32개월), 골절 형태는 Neer 분류상 I 2예, IIa 6예, IIb 3예, III 3예, V 2예였다.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 시기, 금속판 부전 및 오구돌기와 쇄골 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임상적으로 관절 운동 범위,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기능적 평가는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ing을 이용하였다.

결 과: 전 예에서 평균 7.4주(6-14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오구돌기-쇄골 간 거리는 수술 직후 건측과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 만(p=0.6), 최종 추시에서 건측에 비해 평균 2.1 mm 증가되었다(p<0.01). UCLA 점수는 우수 15예, 양호 1예였다. 1예에서 견봉-쇄골 관절의 불안정성을 보여, 금속 제거 및 원위 쇄골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 론: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에서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고정 방법으로 생각된다.

색인 단어: 쇄골, 원위 쇄골 골절, 원위 요골 2.4 mm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

접수일 2014. 9. 15 수정일 2014. 10. 29 게재확정 2014. 12. 3 교신저자 오 형 근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170,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정형외과 Tel 031-910-7968, Fax 031-910-7967, E-mail osd11@paik.ac.kr

45

수치

Fig. 1.  (A) Precontoured lock- lock-ing plate for distal clavicle (3.5  mm LCP superior clavicle plates;
Fig. 2.  (A) Original shape of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B) After  neu-tralization of volar angle and  making a curved shape from  the straight distal end of 2.4  mm volar distal radius  lock-ing plate.
Fig. 4.  (A) Preoperative  clavicle anteroposterior (AP)  view of a 46-year-old male  shows a Neer V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Fig. 6.  (A) Preoperative radiograph of a 42-year-old male shows a Near V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참조

관련 문서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NTIS-1711139325)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n

Conclusion: In Neer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 treatment, both groups showed satisfactory result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but the hook plate

Mean thickness of palate including bone and soft tissue according to Level at 2 and 4 mm laterally from antero-posterior reference line in

For an exacting investigation of the distance from root apex to outer surface of buccal cortical bone of mandibular first molar with 2R2C (2 separate

Quality life assessment of bone-anchored fixed partial denture patients with unilateral mandibular distal-extension edentulism.. Kent G, Johns R..Effects

Longitudinal study on torque transmitted from a denture base to abutment tooth of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circumferential clasps..

High complication rate in locking plate fixation of lower periprosthetic dist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ies.. Management and

3,4 Therefore, to dat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absorbable fixation plate manufactured using polymer and a fixation screw that 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