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복부비만, 이상지질혈증 그리고 내당능 장 애 등의 임상적인 특징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 경제의 급속한 발 전과 더불어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생활 양식이 편리해 지면서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이 늘고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우 리나라에서도 대사증후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1,2)

대사증후군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심뇌혈관질환의 중 요한 위험인자로 확인된 중심비만,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을 한 사 람이 동시다발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사증후군이 있 는 경우 심혈관계질환의 발생 위험이 두 배 이상 높고 당뇨병이 발생 할 확률도 두 배 이상 증가한다고 한다.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과 당뇨병의 위험인자들의 복합체로써 위험인자는 하나가 있을 때 보 다 여러 가지가 함께 있을 때 질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대사증후군 Received December 16, 2016 Revised August 4, 2017

Accepted August 11, 2017

Corresponding author Eun Jeong Kim

Tel: +82-51‐601‐6067, Fax: +82-51-601-6339 E-mail: okwisdom@daum.net

Copyright © 2017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7.7.6.800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7;7(6):800-806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옥지혜, 김은정*, 김서준, 정소영

부산보훈병원 가정의학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Ji Hye Ok, Eun Jeong Kim*, Seo Jun Kim, So Young Jeo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Busan Veterans Hospital, Busan, Korea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tential associations among metabolic syndrome, social factors, and depression using a national nutrition survey database. The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the necessity of managing depression in addition to the five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Methods: A total of 3,812 subjects, aged 20 to 59 years, were enrolled from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databa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Complex sample surve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weighting.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Results: Depression showed correlations with metabolic syndrome, waist circumference, and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levels, while fasting blood sugar, triglyceride level, and blood pressur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ist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when adjusted for sex, individual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educational level, and smoking history, as well as for stress and income levels.

Conclusion: This study used mental health surveys and raw health screening test data from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individual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aist circumference and HDL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bined management of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is necessary.

Keywords: Metabolic Syndrome; Stress; Depression; Hyperlipidemia; High-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s; Waist Circumference

(2)

옥지혜 외.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은 의학적으로나 경제, 사회학적으로 의미가 크다.3)

최근 비만은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해 신체적인 질병뿐만 아니라 우 울증이나 식사장애와 같은 정신적인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 져 있다.4) 비만인 사람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으로 식 사장애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체형에 대한 지속적인 불만족은 우울장애로 이어지기도 한다. 우울장애는 정신과 질환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으로 보고 되고 있다.5) 우울증과 심혈관계질환의 발 병 및 사망률 증가와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는데 그 연관성을 설명 할 수 있는 명확한 기전에 대한 이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6) 일부 연구들은 우울증과 부정적 건강 결과와의 연결을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토대로 추측한 바 있다.7) 한편 고혈압, 당뇨 그리고 심장질 환 등 혈관성질환이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주장도 보고 되고 있어 인과론적 관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고 두 질 환 간 상호 관계가 존재할 가능성도 존재한다.8,9) 현재 우울증상과 심혈관계의 연관성 연구에 비하여 우울증과 대사증후군 관련 연구 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우울과의 관련 정도를 파악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 후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우울관리 필요성 에 대한 학문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년)에서 원시자 료의 정신건강설문조사와 건강검진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는 복합표본 설계 자료로써 모집단인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지역별, 연령대별 인구비율의 특성을 잘 반영하도록 2단계 층화 집락 표본 추출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성 인 인구 3,8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보건복지 부, 질병관리본부가 주관하는 국가 통계자료로 원시자료는 자료를 요청하여 학술연구 목적으로 사전승인을 받은 후 이용하였다.10)

2. 연구 방법

1) 대사증후군 5가지 요소의 정의

최근 대한가정의학회에서 간행한 ‘대한민국 성인에서 대사증후 군의 예방 및 치료’ 임상진료 지침을 근거하여 대사증후군 5가지 요 소를 정의하였다.

(1) 복부비만: 남자 허리둘레 ≥90 cm, 여자 허리둘레 ≥85 cm (대한비만학회 진단기준에 근거[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8])

(2) 고중성지방혈증: ≥150 mg/dL (1.695 mmol/L) (3) 저 high-density lipoprotein (HDL)-콜레스테롤혈증:

남자 <40 mg/dL (1.036 mmol/L), 여자 <50 mg/dL (1.295 mmol/L) (4) 고혈압: ≥130/85 mmHg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5) 고혈당: ≥100 mg/dL (≥6.1 mmol/L)이거나 인슐린 혹은 경구혈당 강하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2) 우울 평가

우울증 유병 여부는 건강설문의 우울증 현재 유병 여부로 우울 증 과거력은 우울증 유병 항목으로 하였다.

3. 통계 처리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 22.0 (IBM Corp., Armonk, NY, USA)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복합표본 설계 자료로 본 연구에서는 분산 추정층, 층화 변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 여하여 복합표본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분율(%)로 표시하였으며 카이제곱 분석을 이용하여 남녀 간 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대사증후군과 사회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정 신건강과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분석하였다. 대사증 후군 5가지 요소와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로지 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성별을 보정한 모형 1 외에 교육과 흡연 을 추가한 모형 2, 모형 2에 스트레스와 수익을 추가한 모형 3까지 세 가지 모형으로 그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대상자의 연령대는 만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남녀로 총인원 수는 3,812명이었다. 성별은 남성 1,621명(42.5%), 여성 2,191명(57.5%)이었다.

50–60대의 인구가 29.7%로 가장 많았으며 40–50대는 27.2%, 30–40대 27.1%, 20–30대는 16.0%로 고른 분포를 보였고, 남녀 간의 차이는 없 었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 36.8%, 고등학교 졸업 33.2%, 중학교 졸업 7.8%, 초등학교 졸업 또는 그 이하의 학력은 5.7%로 나타났다. 평균 소득은 월 300만 원 이상이 63.1%로 가장 많았으며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다. 조사자의 상당수가 결혼한 상태로 78.8%로 나타났다. 음주 와 흡연의 경우 남성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우울증을 이전에 진단받 은 경우는 남자 1.9%, 여자는 5.3%, 현재 우울증 유병인 경우는 남자 1.2%, 여자 3.1%로 모두 여성에게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였다.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3)

Ji Hye Ok, et al.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by gender

Characteristic Men (n=1,621) Women (n=2,191) Total (n=3,812) P-value*

Age group (y)

20–30 243 (15.0) 368 (16.8) 611 (16.0) 0.249

30–40 458 (28.3) 574 (26.2) 1,032 (27.1)

40–50 449 (27.7) 586 (26.7) 1,035 (27.2)

50–60 471 (29.1) 663 (30.3) 1,134 (29.7)

Education level

Elementary school or less 71 (4.4) 147 (6.7) 218 (5.7) <0.001

Middle school 110 (6.8) 188 (8.6) 298 (7.8)

High school 500 (30.8) 767 (35.0) 1,267 (33.2)

College or more 613 (37.8) 790 (36.1) 1,403 (36.8)

No response 327 (20.2) 299 (13.6) 626 (16.4)

Average household (10 thousand won

)

<50 33 (20) 54 (2.5) 87 (2.3) <0.001

50–149 131 (8.1) 224 (10.2) 355 (9.3)

150–299 406 (25.0) 539 (24.6) 945 (24.8)

≥300 1,045 (64.5) 1,361(62.1) 2,406 (63.1)

No response 6 (0.4) 13 (0.6) 19 (0.5)

Marital status

Married 1,219 (75.2) 1,784 (81.4) 3,003 (78.8) <0.001

Unmarried 402 (24.8) 406 (18.5) 808 (21.2)

No response 0 (0.0) 1 (0.0) 1 (0.0)

Alcohol consumption

Non–drinks 166 (10.2) 537 (24.5) 703 (18.4) <0.001

≤1 times/mo 285 (17.6) 742 (33.9) 1,027 (26.9)

2–4times/mo 402 (24.8) 428 (19.5) 830 (21.8)

2–3 times/wk 345 (21.3) 216 (9.9) 561 (14.7)

≥4 times/wk 152 (9.4) 54 (2.5) 206 (5.4)

No response 271 (16.7) 214 (9.8) 485 (12.7)

Stress

Much more 63 (3.9) 93 (4.2) 156 (4.1) <0.001

Much 300 (18.5) 487 (22.2) 787 (20.6)

Some 828 (51.1) 1,155 (52.7) 1,983 (52.0)

Less 159 (9.8) 241 (11.0) 400 (10.5)

No response 271 (16.7) 215 (9.8) 486 (12.7)

History of depression

Yes 30 (1.9) 117 (5.3) 147 (3.9) <0.001

No 1,267 (78.2) 1,780 (81.2) 3,047 (79.9)

No response 324 (20.2) 294 (13.4) 618 (16.2)

Prevalence of depression

Yes 19 (1.2) 68 (3.1) 87 (2.3) <0.001

No 11 (0.7) 49 (2.2) 60 (1.6)

No response 1,591 (98.1) 2,074 (94.7) 3,665 (96.1)

Aerobic exercise

Yes 790 (48.7) 1,049 (47.9) 1,839 (48.2) <0.001

No 502 (31.0) 844 (38.5) 1,346 (35.3)

No response 329 (20.3) 298 (13.6) 627 (16.4)

Smoking status

<5 pack 45 (2.8) 48 (2.2) 93 (2.4) <0.001

≥5 pack 987 (60.9) 199 (9.1) 1,186 (31.1)

Non–smoker 318 (19.6) 1,729 (78.9) 2,047 (53.7)

No response 271 (16.7) 215 (9.8) 486 (12.7)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By chi-square test.

(4)

옥지혜 외.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유산소 운동은 중강도(2시간 30분/주) 또는 고강도(1시간 15분/주) 를 하는 경우는 48.2%로 하지 않는 경우인 35.3%보다 높은 분율을 보 였다. 스트레스의 경우 여자가 좀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조금 이상은 느끼는 것으로 Table 1에 나타내었다.

2. 우울증 진단 여부와 사회인구학적 특성과의 관계

현재 우울증을 진단받은 사람과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인 경우 남성보다

우울증 확률이 높으며(P<0.004), 연령과 우울증과의 관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16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증 진단 비율이 낮았다(P<0.001). 수입이 적을수록 우울증의 빈도가 높게 나 왔으며(P<0.001), 결혼과 우울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P=0.897). 음주 빈도와 우울증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P=0.109). 스트레스의 경우는 우울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유산소 운동은 중강도(2시간 30분/주) 또는 고강도(1시간 15분/주) 시행 시 우울증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815), 흡연 또한 우울증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 (P=0.098)으로 Table 2에서 보여진다.

3.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의 연관성

현재 우울증이 있는 경우와 각각에 대한 대사증후군 요소의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울증과 대 사증후군 요소 중 waist circumference (cm) (P=0.045)와 HDL choles- terol level (P=0.018)이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대사증후군(P=0.046) 과 우울증과도 유의한 연관성이 보여졌다. 대사증후군의 waist cir- cumference (cm)와 HDL cholesterol level이 진단 기준에 해당할 경우 우울증이 진단될 확률은 각각 1.797배, 2.027배 높아졌으며 대사증 후군 진단 시 우울증이 진단될 확률은 1.849배 높아지는 결과를 Ta- ble 3에 나타냈다.

4.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의 연관성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우울증이 성별을 보정한 경우 1.96배 증 가되었고, 교육수준과 흡연을 추가로 보정한 경우와 스트레스와 수 익까지 추가로 보정한 경우에는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결과를 보이 지 않았다.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별로 분석한 결과를 모형 1에서 보면 성별을 보정한 경우 waist circumference (cm) (P=0.001)와 triglyc- eride level (mg/dL) (P=0.006)이 우울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보여졌다.

모형 1에 추가로 교육수준과 흡연을 보정한 모델 2의 경우에는 waist Table 2. The depression recognition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

tics

Characteristic Depression (%)

χ2 P-value*

No Yes

Gender

Male 98.2 1.8 12.960 0.004

Female 96.1 3.9

Age group (y)

20–30 97.9 2.1 6.990 0.161

30–40 97.5 2.5

40–50 97.5 2.5

50–60 95.9 4.1

Education level

Elementary school or less 91.8 8.2 22.344 <0.001

Middle school 97.1 2.9

High school 97.2 2.8

College or more 97.9 2.8

Average household (10 thousand won)

<50 86.7 13.3 77.152 <0.001

50–149 90.8 9.2

150–299 98.1 1.9

≥300 98.0 2.0

Marital status

Married 97.1 2.9 0.021 0.897

Unmarried 97.2 2.8

Alcohol consumption

Non–drinks 96.3 3.7 8.505 0.109

≤1 time/mo 97.5 2.5

<4 times/mo 98.3 1.7

≥4 times/mo 96.1 3.9

Stress

Much more 82.4 17.6 144.452 <0.001

Much 95.5 4.5

Some 98.7 1.3

Less 98.5 1.5

Aerobic exercise

Yes 97.1 2.9 0.067 0.815

No 97.3 2.7

Smoking status

<5 pack 96.4 3.6 5.164 0.098

≥5 pack 99.2 0.8

None 97.6 2.4

*By chi-square test.

Table 3. The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prevalence of depres-

sion

Variable (yes) Criterion (yes) P-value* Exp (B) OR, 95% CI Prevalence of

depression

Waist circumference (cm) 0.045 1.797 (1.012–3.191) Fasting blood glucose (mg/dL) 0.178 1.463 (0.838–2.555) Triglyceride level (mg/dL) 0.141 1.509 (0.871–2.614) HDL cholesterol level 0.018 2.027 (1.132–3.631) Blood pressure 0.859 0.941 (0.531–1.695) Metabolic syndrome 0.046 1.849 (1.010–3.385)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HDL, high-density lipoprotein.

*By logistic regression.

(5)

Ji Hye Ok, et al.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circumference (cm) (P=0.014)가 우울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 로 보여졌다. 모형 2에 추가로 스트레스와 수익을 보정한 경우에도 waist circumference (cm) (P=0.010)는 우울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Table 4에서 보여진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사회 인구학적 요소를 살펴보고 우울과 대 사증후군 요소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우울증 진단 여부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인 경우 남성보다 우울증 확률이 높으며, 연령과 우울증과의 관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증 진단 비율이 낮고, 수입이 적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증의 빈도 가 높게 나왔으며, 결혼, 음주, 유산소 운동, 흡연은 우울증과 상관관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대사증후군 요소 중 waist circumference (cm)과 HDL cholesterol level이 유의한 연관성이 보였으며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도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우울증에 성별을 보정한 경우 1.96배 증 가되었고, 교육수준과 흡연을 추가로 보정한 경우와 스트레스와 수

익까지 추가로 보정한 경우에는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의미를 보이 지 않았다.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성별을 보정한 경우 waist circumference (cm)와 triglyceride level (mg/dL)이 우울증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추가로 교육수준과 흡연을 보정한 경우에 는 waist circumference (cm)가 우울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스 트레스와 수익까지 추가로 보정한 경우에도 waist circumference (cm) 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혈관성 우울증 가설(vascular depression hypothesis)을 살펴보면 고 혈압, 당뇨, 심장질환 그리고 동맥경화 등 혈관성 질환들이 뇌피질하 영역에 소혈관질환 발생을 야기하고 이것이 신경생물학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켜 우울증상을 발생시킨다는 개념이다.11) 실제로 뇌 자 기공명영상 연구에서 심혈관계질환, 뇌소혈관질환, 우울증 간 연관 성이 보고되고 있다.12,13) 최근에는 대사증후군이 뇌소혈관질환 발생 에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보고되었고, 이것은 대사증후군이 혈관성 우울증 가설에 근거하여 우울증을 발생 및 악화시킬 수 있다는 추 론을 가능케 한다.14) 우울증을 동반한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부정적 건강 행동, 예를 들면 흡연, 비 건강식 섭취, 수동적 생활습관 그리고 치료에 대한 낮은 순응 등을 흔히 보인다. 이런 행동들이 대사증후 군을 야기시키고 결과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15)

본 연구 결과는 대사증후군 5가지 요소 중 waist circumference Table 4. Association of metabolic profile with prevalence of depression

Characteristic Model 1 Model 2 Model 3

OR (95% CI) P-value* OR (95% CI) P-value* OR (95% CI) P-value* Waist circumference (cm)

<90 (<85 for women) 1.00 0.001 1.00 0.014 1.00 0.010

≥90 (≥85 for women) 2.63 (1.44–4.81) 2.20 (1.17–4.15) 2.26 (1.21–4.24)

Fasting blood glucose (mg/dL)

<100 1.00 0.057 1.00 0.237 1.00 0.260

≥100 1.71 (0.98–2.97) 1.41 (0.79–2.53) 1.41 (0.77–2.58)

Triglyceride level (mg/dL)

<150 1.00 0.006 1.00 0.069 1.00 0.073

≥150 2.13 (1.24–3.67) 1.68 (0.96–2.95) 1.70 (0.95–3.04)

HDL cholesterol level

≥40 (≥50 for women) 1.00 0.667 1.00 0.454 1.00 0.750

<40 (<50 for women) 0.81 (0.31–2.08) 0.70 (0.28–1.77) 0.85 (0.32–2.24)

Blood pressure

Normal 1.00 0.603 1.00 0.922 1.00 0.795

Abnormal 1.16 (0.65–2.09) 1.03 (0.54–1.94) 1.08 (0.56–2.09)

Metabolic syndrome

No 1.00 0.029 1.00 0.172 1.00 0.124

Yes 1.96 (1.07–3.58) 1.60 (0.81–3.18) 1.71 (0.86–3.40)

Normal: systolic <130 mmHg and diastolic <85 mmHg, Abnormal: systolic ≥130 mmHg or diastolic ≥85 mmHg. Model 1 is adjusted for gender. Model 2 reflects model 1 additionally adjusted for education level and smoking status. Model 3 reflects Model 2 additionally adjusted for stress and average household income.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HDL, high-density lipoprotein.

*By logistic regression.

(6)

옥지혜 외.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cm)와 HDL cholesterol level이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우울증을 분석함에 있어 성별을 보정한 경 우, 추가로 교육수준과 흡연을 보정한 경우와 이에 추가로 스트레스 와 수익을 보정한 경우에도 waist circumference (cm)는 우울증 유병 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대사증후군환자 관리 시 신체적 관리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 관 한 중재를 시행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싶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 및 우울에 관한 중재는 대사증후군 환자의 치료결과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단면연구이므로 대사증후군 요소와 사 회인구학적 특성 및 우울증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기에는 한계 가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과 우울증과 의 연관성에 대하여 다 각도로 분석해 보았다는 점과 대한민국 전국 단위의 건강영양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 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요소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 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대사증후군의 만성 화를 예방하기 위해 위험 대상자에 대한 관리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고 려해 본다.

요 약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사증후 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우울과의 관련 정도를 파악하 였다. 그리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우 울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학문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만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성인 인구 3,8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에서 (2014년) 원시자료의 정신건강설문조사와 건강검진자료를 활용하 여 수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 22.0 (IBM Cor.) 통계프 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 추정층, 층화 변수에 따 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합표본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분율(%)로 표시하였으며 카이제곱 분석을 이 용하여 남녀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대사증후군과 사회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정신건강과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분석 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고혈압, 당뇨병,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과 사회인구학

적 특성과 우울증 진단 여부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대 사증후군과 우울증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대사증후군 요소 중 waist circumference (cm) (P=0.045)과 HDL level (P=0.018)이 우울증과 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중성지방과 공복혈당 그리고 혈압은 이 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구성요 소와 성별을 보정한 경우, 추가로 교육수준과 흡연을 보정한 경우와 이에 추가로 스트레스와 수익을 보정한 경우에도 waist circumfer- ence (cm)는 우울증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대사증후군을 진단하거나 추적 관찰함에 있어서 대한민국 전국단위의 건강영양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 여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요소와 우울증을 살펴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대사증후군을 진단하 거나 추적관찰 할 때 임상지표로 우울증과의 연관 관계를 적용해 볼 수 있겠다.

중심단어:

대사증후군; 스트레스; 우울증; 고지혈증; 고밀도지단백 질; 중성지방; 복부비만

REFERENCES

1. Han BS, Park JC, Youn KW, Kwak JS, Kim WS. Associations between socio- economic status, healthy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s:

about 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articipants.

Korea J Fam Pract 2015; 5: 51-7.

2. Kim NL, Jeong HS, Kim SW, Lee DW, Shim MS, Teong CH. Related clinical factors to number of diagnosing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J Korea Soc Health Satistics 2012; 37: 37-45.

3. Jung CH, Park JS, Lee WY, Kim SW.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Med 2002; 63: 649-59.

4. Kinder LS, Kamarck TW, Baum A, Orchard TJ.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Type I diabetes mellitus: a study of possible mechanisms. Health Psychol 2002; 21: 542-52.

5. Yoon DH, Park JH, Cho SC, Park MJ, Kim SS, Choi SH, et 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Korean J Obes 2005; 14: 213-9.

6. Taylor WD, Steffens DC, MacFall JR, McQuoid DR, Payne ME, Provenzale JM, et al. White matter hyperintensity progression and late-life depression outcomes. Arch Gen Psychiatry 2003; 60: 1090-6.

7. Akbaraly TN, Kivimäki M, Brunner EJ, Chandola T, Marmot MG, Singh- Manoux A, et al.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adults: results from the Whitehall II study. Dia- betes Care 2009; 32: 499-504.

8. Schmidt C, Bergström GM. The metabolic syndrome predicts cardiovascu- lar events: results of a 13-year follow-up in initially healthy 58-year-old men.

Metab Syndr Relat Disord 2012; 10: 394-9.

9. Heuser I. Depression, endocrinologically a syndrome of premature aging?

(7)

Ji Hye Ok, et al.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Maturitas 2002; 41 Suppl 1: S19-23.

10. The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Cheongju: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cited 2016 Feb 14].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2_02.do.

11. Alexopoulos GS, Meyers BS, Young RC, Campbell S, Silbersweig D, Charl- son M. ‘Vascular depression’ hypothesis. Arch Gen Psychiatry 1997; 54: 915- 22.

12. Park HS, Oh SW, Cho SI, Choi WH, Kim YS.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South Korean adults. Int J Epidemiol 2004; 33: 328-36.

13. Lee SK, Jang YE, Choi JS, Shim HB, Lee HW. Gender differences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adults using commu- nity health servic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 54: 570-7.

14. Cohen BE, Panguluri P, Na B, Whooley MA. Psychological risk factor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findings from the Heart and Soul Study. Psychiatry Res 2010; 175: 133-7.

15. Dunbar JA, Reddy P, Davis-Lameloise N, Philpot B, Laatikainen T, Kilkkin-

en A, et al. Depression: an important comorbidity with metabolic syndrome

in a general population. Diabetes Care 2008; 31: 2368-73.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by gender
Table 3. The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prevalence of depres- depres-sion

참조

관련 문서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The study on the clinical efficacy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postmenopausal syndrome..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ex and metabolic syndrome are important for biological factors, and occupation, smoking, and exercise are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besity on the core stabil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middle - aged women.. The effec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The facilitation of social-emotional understanding

In addition, measurements at 0 and 12 weeks (body composition, α-amylase,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were performed twice. For 12 weeks,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