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원위 요골 골절 치료의 원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원위 요골 골절 치료의 원칙"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97

서 론

원위 요골 골절은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2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골절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그 치료 방법은 1814년 Abraham Colles의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기 술5) 이후 오랜 세월 동안 도수정복과 석고붕대 고정을 통한 고식적 치료방법에 머물러 있었던 대표적 골절 중의 하나이 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의 증가와 노인 인 구의 급격한 증가로 원위 요골 골절로 인한 활동제한은 환자 자신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으 며 이 골절을 치료하는 정형외과의에게도 과거와는 다른 적 극적인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원위 요골 골절은 흔히 골절부가 서로 함몰되거나 복잡 골절 양상을 띠는 경우가 많아 도수정복 후에도 골절부가 불 안정한 경우가 흔하며, 석고붕대 고정만으로는 정복 후 유지 가 어려운 경우가 흔하다9). Lafontaine 등19)은 정복 실패의 요인으로 1) 60세 이상, 2) 초기 골절부의 전위 정도 (20o 이 상의 배측 굴곡이나 5 mm 이상의 골 단축), 3) 요골 배측의 분쇄골절, 4) 동반된 척골 골절, 5) 전위된 관절면 골절 등을 보고한 바 있다.

비 수술적 치료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양호한 운동능력 의 회복을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수술적 치료가 시도되고 있 지만 골다공증과 동반된 원위 요골 골절은 불량한 골질 때문 에 내고정 또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수술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고정력의 약화에도 원인이 있지만 골 절 시 발생하는 심한 함몰로 골절부의 정복 후에도 커다란 골 소실부가 발생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개선된 다양한 형태의

내고정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calcium phosphate 시멘 트 등을 사용하여 골 소실부를 충진하면서 고정력을 향상시 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는 원위 요골 골절 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수술적 치료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함으로써 원위 요 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시 적절한 수술방법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원위 요골 골절 치료의 원칙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는 골절의 양상, 골절편의 전위정 도, 골절의 안정성 여부에 따라 수술적 치료의 필요성이 결 정된다. 임상적 및 생역학적 연구결과에 의하면 관절면의

110,37)∼216) mm 전위가 완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하여

동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약간의 요골단축 (2.5 mm)이나 관절면의 배측 굴곡은 척골측으로의 축성 압박력 을 가중시킨다고 하였다35). 또한 원위 요골 관절면의 배측 굴곡은 주상골 및 월상골과의 접촉면을 감소시키며28), 원위 요척 관절의 부조화를 유발하고, 골간막을 긴장시켜 전완부 의 회전을 제한시킨다1).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록 원위 요골 골절이 관절외 골절이라도 부적절한 치료로 인한 부정유합 은 외상성 관절염의 원인이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여러 연구를 종합하면 원위 요골 골절의 부정유합으로 인 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해부학적 복원 을 원칙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 mm 이상의 요골 길 이 소실, 5o 이상의 요골 경사의 변화, 10o 이상의 수장측 경 사 소실, 원위 요척 관절의 정복소실, 1∼2 mm 이상의 원위 요골 관절면 전위 등은 필히 정복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또한 해부학적 정복과 더불어 장기간의 석고

통신저자박 종 웅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16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031-412-6583․Fax:031-487-9502 E-mail:ospark@korea.ac.kr

Address reprint requests to:Jong Woong Park,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516, Gojan-dong, Danwon-gu, Ansan 425-707, Korea Tel:82-31-412-6583․Fax:82-31-487-9502

E-mail:ospark@korea.ac.kr

(2)

고정 등은 관절연골이나 주위 연부조직의 강직을 초래하는 만큼 안정적 고정을 통한 조기 관절운동과 재활을 허용할 수 있어야 한다7).

수술적 치료 방법

원위 요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 외고정술, 외고정 및 K-강선 고정술, 내고정술, 내고정과 외 고정을 겸하는 방법, 골시멘트를 이용한 고정 등 다양한 수 술방법이 사용된다.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골절의 해부학적 정복 및 유합뿐 아니라 안정적 고정을 통한 조기 관절운동의 허용에 있는 만큼 골절의 양상과 환자의 전신적 상태, 환자 의 사회적 활동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선의 수술 방 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1. 경피적 K-강선 고정술 (Percutaneous K-wire fixation)

원위 요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시 K-강선을 이용한 고정 은 단독 또는 다른 고정방법과 겸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 한 방법이다. 골절면의 분쇄가 있을 때 비 수술적 방법은 최 초 정복이 잘 이루어져도 이후 정복의 소실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부가적인 K-강선 고정으로 이런 단점을 극복할 수 있 다. 경피적 K-강선 고정은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비교 적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으며,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영구적인 이물질을 남길 필요가 없다. 따라서 원위 요골 골 절의 분쇄가 심하지 않거나 골다공증이 심하지 않을 경우는 좋은 수술방법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경피적 K-강선 고정술식 중의 하나인 Kapandji 의 intrafocal fixation 술식15)은 골절면에 직접 K-강선을 삽입 하여 지렛대로 이용하면서 골절면을 정복하고 그 상태에서

더 밀어 넣어 반대쪽 피질골에 고정하는 방법이다 (Fig. 1).

이 방법은 비 수술적 방법으로 충분한 정복이 안 되는 경우나 관절외 골절 또는 최소한의 관절 내 골절이 있는 경우 유용하 나 확실한 관절내 골절편의 전위가 있거나 수장측 피질골의 분쇄가 심하거나 해부학적 정복을 얻기 힘든 경우 및 골다공 증이 심한 노인 환자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38). 따라서 intrafocal fixation으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주저 없이 고정력의 보강을 위해 근위 및 원위 골편을 모두 통과하는 고식적 K-강선 고정 (interfragmentary fixation)을 추가하거나 (Fig. 2), 외고정 장치를 추가하거나

33,38)

, 골이식 또는 calcium phosphate 시멘트를 충진하여 보 강하는 방법3) 등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34).

Fig. 1. Schematic drawing shows the intrafocal K-wire fixation method (Kapandji's technique).

Fig. 2. Intrafocal fixation reduces the fracture fragment and prevents collapse. The additional interfragmentary fixation pro- vides more rigid fixation.

(3)

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고정 장치의 여러 이점에도 불구하 고 특히 골질이 약한 골다공증과 동반된 원위 요골 골절 시 에는 외고정 장치의 나사못이 충분한 고정력을 얻기 힘들다 는 문제점이 있다.

외고정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좀 더 굵 은 직경을 가진 (3.0∼4.0 mm) threaded pin을 사용하거나 K-강선 고정을 첨가할 수 있다. Moroni 등25)은 골다공증이 있는 원위 요골 골절 시 고정력의 강화를 위해 hydroxya- patite가 코팅된 외고정 핀을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전통적인 외고정 장치의 고정방법은 완관절을 건너 제2중 수골에 핀을 고정하는 방법이다. 소위 “non-bridging exter- nal fixation” 방법은 완관절을 건너지 않고 원위 골절편에 외고정 장치의 원위 고정 핀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관절내

다. 이때 K-강선 고정을 첨가하는 것은 골절편의 정복을 용 이하게 할 뿐 아니라 골절부의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8,39) (Fig. 3). 먼저 외고정 장치로 골절부의 정복 과 정렬을 맞춘 후 K-강선을 이용하여 관절내 골절편을 조작 하여 고정하는 것이 고식적인 방법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먼 저 도수정복과 K-강선 고정을 시행한 후 외고정 장치로 정복 의 소실을 방지하는 방법도 유용하다. 부가적 K-강선 고정은 불안정한 관절 외 골절 시에도 훌륭히 사용될 수 있다. 경피 적 혹은 제한적인 관혈적 정복 (limited open)을 통해 배측 으로 회전된 골절편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Freer elevator 나 골절편에 고정한 K-강선을 지렛대로 사용하여 골절편을 들어올린 후 5 mm 이상의 함몰 및 골 소실이 있으면 골 이 식으로 골 간단부 소실을 충진하여야 한다36).

4. 내고정 (Internal Fixation)

최근 다양한 원위 요골 골절용 내고정물이 개발됨에 따라 안정적인 내고정과 조기 관절 운동을 허용함으로써 보다 양 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원위 요골 골절의 고정 에 사용된 초창기 금속판은 굵고, 원위요골의 해부학적 모양 에 맞지 않아 사용에 제한이 많았고 특히 배부 금속판에 의 한 통증과 신전건의 파열 등의 합병증이 많았다31). 이런 단 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얇고 (low profile), 해부학적 디 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골절면의 모양에 따라 쉽게 휠 수 있 고 다양한 나사못의 선택이 가능한 수 십 종의 내고정 장치 들이 개발되어있다. 이런 내고정 방법은 특히 원위 요골 월 상골 관절면의 관상면 골절 (coronal fracture)23)이나 Barton 골절과 같은 volar shearing 골절 등이 가장 좋은 적응증이 된다13).

수장측에 금속판 및 나사못을 고정하는 방법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고정 방법으로 분쇄나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배측 전위된 분쇄골절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었던 π-plate 등은 신전건의 건초염을 일으킬 수 있고 때로는 신전건의 파열 및 조기 금속판 제거 가능성 Fig. 3. Accurate reduction of intraarticular fragment is difficult

with external fixation alone. K-wire augmentation can over- come this problem and provides additional stability.

(4)

이 대두되어 즐겨 사용되지는 않는다. Fragment-specific fixation을 장점으로 최근 시도되고 있는 “pin-plate” 방법은 K-강선을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작고 얇은 금속판을 사용하 는데 각 골절편의 전위를 일으키는 힘에 독립적으로 저항하 도록 고정함으로써 생역학적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27). 하지만 이 방법도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에는 골절부가 주저앉는 경향이 있고 K-강선과 금속판 사이가 헐 거워져 K-강선이 돌출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18).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잠김 금속판 및 나사못 고정술 은 골다공증으로 약해진 원위 요골 골절의 내고정에 좋은 해 결책이 될 수 있다 (Fig. 4). Fixed-angle 또는 angular stable screw는 골실질 내에 나사못이 맞물리는 형식이 아니기 때 문에 단지 연골하골을 지지할 뿐 고정력은 약할 수 있다. 어 떤 금속판은 fixed-angle distal screw만 가지고 있거나26,30) fixed-angle blade를 가진 것도 있으나11), 어떤 것은 이와 더 불어 나사못을 첨가할 수 있는 디자인도 있다.

골다공증이 심한 원위 요골 골절 시 고정력을 강화시키 는 다른 방법은 여러 각도에서 골절부를 고정하는 방법이

12,27,29). 분쇄가 심한 경우에는 배부 또는 수장측 금속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bicolumnar “90-90” 개념에 따라 서 로 직각으로 ultra-low profile의 내고정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fragment-specific internal fixation의 개념에 따라 요 골 경상돌기, 수, 배부 월상골 관절면에 각각의 금속판을 사 용할 수도 있다18) (Fig. 5).

이러한 여러 가지 내고정 방법의 발달로 골다공증과 동반 된 원위 요골 골절의 내고정은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 Jupiter 등14)의 보고에 의하면 평균 68세 이상 (60∼81) 20명의 골다공증을 가진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내고정에서 고정실패는 한 예도 발견되지 않았으나 6예에서 금속판에 의 한 자극성 건염으로 내고정물을 제거하였다고 하여 고정력 은 우수하나 건자극 등의 단점을 지적한 바 있다. 여러 가지 내고정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관절내 골절로 내고정 이 선호되는 상황이거나, 환자가 보다 완전한 완관절 기능회 복을 원한다면 골다공증과 동반된 원위 요골 골절 시에도 적 절한 금속판 및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이 좋은 수술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5. 내고정 및 외고정

요골 수, 배부 피질골을 모두 침범한 복잡골절이나 관절내 분쇄골절이 동반된 경우에는 내고정만으로 안정적 고정을 얻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외고정만으로는 함몰 된 관절내 골절편을 정복하기는 더욱 어렵다. 이럴 때에는 외고정과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내고정이 함께 사용될 수 있 다. 외고정과 더불어 K-강선, 금속판 및 나사못, 또는 나사못 고정이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적절한 골이식도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골유합을 촉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6,21). 6.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내 골절의 정복

Auge와 Velazquez2)의 연구에 따르면 fluoroscope 하에서 는 완벽히 정복된 것으로 보이는 원위 요골 관절내 골절도 Fig. 4. The locking plate and screw fixation enables rigid

fixation and anatomical reduction of fracture fragments.

Fig. 5. An example shows a fragment-specific bicolumnar fixa- tion.

(5)

부에 압박 붕대를 감아 관류액의 누수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7. 골다공증이 심한 원위 요골 골절에서 골이식 및 골이식 대체물의 사용

대부분의 원위 요골 골절은 정복이 가능하고 특히 배부 분쇄골절이나 골소실은 골절부 함몰이나 보존적 치료 실패 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1980년대부터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골 시멘트를 이용한 원위 요골 골절의 고정이 시도된 바 있다17,32). 하지만 이런 acrylate 시멘트는 골실질 의 재형성을 기대할 수 없고, 자가골과 융합되지도 않으며, 시술 시의 발열반응으로 인해 골절 치유를 방해할 뿐 아니 라, 액화상태에서는 세포독성이 있고, 골절부 외로 새어나가 면 조직손상을 줄 위험이 있다24). 따라서 아직까지는 당연히 관절면 골편의 함몰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골유도 및 골전도 역할을 할 수 있는 자가 해면골 이식이

“gold standard”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가골 이식의 대치물로서 1990년대 중반 개발된 주입식 calcium phosphate 골 시멘트 (Norian, Synthes)는 자가골 과 쉽게 융합되면서 재형성과정을 거치게 되고 osteocon- ductive carbonated apatite로서의 역할을 한다4,40). 하지만 경피적 삽입 방법만으로는 골 간단부의 함몰로 형성된 골 소 실부를 충분히 채워 넣기는 힘든 단점이 있으며, 부가적인 K-강선 고정 없이 일부분만 시멘트 충진이 되면 시멘트 주위 로 골절부가 함몰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K-강선을 제 거한 후에 함몰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시멘트의 단점과 더불어 그 가격이 비싸서 광범위한 사용에 제약을 받는다.

최근에는 인체 골을 이용한 DBM (demineralized bone matrix)도 연고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열 발생 없이 빨리 굳고 골 전도력이 있을 뿐 아니라 주위골과 결합하여 골재생 과정을 거친다.

Cassidy 등3)의 연구에 의하면 시멘트 고정 환자는 수술 후 2주에 관절운동을 시작한 반면 외고정이나 석고붕대고정의 경우는 술 후 6∼8주에 관절운동을 시작하여 시멘트 고정군

이 보다 조기에 관절운동의 회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으나 수술 후 3개월의 최종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단지 시멘트의 사용이 조기 관절운동을 허용함으로써 기능 의 조기회복에 따른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확실 한 것 같다. 경피적 시멘트 삽입법을 사용 시 골 소실부가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경우가 있으나 제한적인 관혈적 방법 을 통해 직접 시멘트를 충진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단점을 극 복할 수 있다. Cohen 등은 척추 압박 골절의 정복에 사용하 는 balloon tamp를 이용하여 경피적으로 원위 요골 골절을 정복하고 시멘트를 충진한 결과 관혈적 정복 후 시멘트를 충 진한 것과 강도가 비슷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3).

맺음말

결론적으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방법은 골절의 양상, 환자의 활동력과 기대치, 각각의 치료 방법에 따른 환자 및 수술자의 선호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최근 연구 결과들 을 종합하면 대부분의 수술방법이나 다양한 내고정물의 선 택에 있어 다른 방법에 비해 특별히 우월한 성적을 보고하는 것은 없는 것 같다. 따라서 환자에 따라 치료의 위험성과 득

Fig. 6. 3D-CT is a good diagnostic tool for the intraarticular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and is very helpful for the preoperative planning of fracture management.

(6)

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개인적인 맞춤형 치료가 시도되어 야 한다.

어느 정도의 변형을 받아들이고 적당한 정도의 완관절 기 능회복으로 만족한다면, 골다공증을 동반한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을 석고붕대 고정만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급격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이들 중 많은 수가 점점 더 완전 한 완관절 운동 능력의 회복을 통한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원 하기 때문에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에는 수술적 치료가 적 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수술적 방법으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를 시도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방사선 사진, CT 또는 3차원 CT (Fig. 6)를 통 한 정확한 골절의 양상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양한 수 술방법의 장단점을 숙지하여야 하고, 술자의 경험과 능력에 비추어 가장 좋은 결과가 예상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의 수술 을 택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골다공증이 심한 원위 요골 골 절의 수술적 치료 시에는 미리 선택한 한 가지 수술 방법만 으로 충분한 골절편의 정복이나 고정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 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하며 K-강선 고정, 외고정 및 내고정 방법을 충분히 습득하여 필요한 경우 서로 보완적인 방법을 첨가함으로써 환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1) Adams BD: Effects of radial deformity on distal radioulnar joint mechanics. J Hand Surg Am, 18: 492-498, 1993.

2) Auge WK 2nd and Velazquez PA: The application of in- direct reduction techniques in the distal radius: the role of adjuvant arthroscopy. Arthroscopy, 16: 830-835, 2000.

3) Cassidy C, Jupiter JB, Cohen M, et al: Norian SRS cement compared with conventional fixation in distal radial fractures.

A randomized study. J Bone Joint Surg, 85-A: 2127-2137, 2003.

4) Cohen MS and Whitman K: Calcium phosphate bone ce- ment - the Norian skeletal repair system in orthopedic surgery.

AORN J, 65: 958-962, 1997.

5) Colles A: Historical paper on the fracture of the carpal extremity of the radius (1814). Injury, 2: 48-50, 1970.

6) Cooney WP and Berger RA: Treatment of complex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Combined use of internal and external fixation and arthroscopic reduction. Hand Clin, 9: 603-612, 1993.

7) Dias JJ, Wray CC, Jones JM and Gregg PJ: The value of early mobilisation in the treatment of Colles' fractures. J Bone Joint Surg, 69-B: 463-467, 1987.

8) Dunning CE, Lindsay CS, Bicknell RT, Patterson SD, Johnson JA and King GJ: Supplemental pinning improves the stability of external fixation in distal radius fractures during simulated finger and forearm motion. J Hand Surg Am, 24:

992-1000, 1999.

9) Earnshaw SA, Aladin A, Surendran S and Moran CG:

Closed reduction of colles fractures: comparison of manual manipulation and finger-trap trac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 Bone Joint Surg, 84-A: 354-358, 2002.

10) Fernandez DL and Geissler WB: Treatment of displaced articular fractures of the radius. J Hand Surg Am, 16: 375-384, 1991.

11) Gesensway D, Putnam MD, Mente PL and Lewis JL:

Design and biomechanics of a plate for the distal radius. J Hand Surg Am, 20: 1021-1027, 1995.

12) Jakob M, Rikli DA and Regazzoni P: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treated by internal fixation and early function. A pro- spective study of 73 consecutive patients. J Bone Joint Surg, 82-B: 340-344, 2000.

13) Jupiter JB, Fernandez DL, Toh CL, Fellman T and Ring D: Operative treatment of volar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J Bone Joint Surg, 78-A: 1817-1828, 1996.

14) Jupiter JB, Ring D and Weitzel PP: Surgical treatment of redisplaced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J Hand Surg Am, 27: 714-723, 2002.

15) Kapandji A: Internal fixation by double intrafocal plate.

Functional treatment of non articular fractures of the lower end of the radius (author's transl). Ann Chir, 30: 903-908, 1976.

16) Knirk JL and Jupiter JB: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in young adults. J Bone Joint Surg, 68-A: 647-659, 1986.

17) Kofoed H: Comminuted displaced Colles' fractures. Treatment with intramedullary methylmethacrylate stabilisation. Acta Or- thop Scand, 54: 307-311, 1983.

18) Konrath GA and Bahler 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results using the trimed fixation system. J Orthop Trauma, 16: 578-585, 2002.

19) Lafontaine M, Hardy D and Delince P: Stability assess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s. Injury, 20: 208-210, 1989.

20) Lindau T, Arner M and Hagberg L: Intraarticular lesions in distal fractures of the radius in young adults. A descriptive arthroscopic study in 50 patients. J Hand Surg Br, 22:

638-643, 1997.

21) Lipton HA and Wollstein R: Operative treatment of intra-

(7)

25) Moroni A, Faldini C, Marchetti S, Manca M, Consoli V and Giannini S: Improvement of the bone-pin interface strength in osteoporotic bone with use of hydroxyapatite-coated tapered external-fixation pins.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 cal study of wrist fractures. J Bone Joint Surg, 83-A: 717-721, 2001.

26) Orbay JL and Fernandez DL: Volar fixation for dorsally displaced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a preliminary report. J Hand Surg Am, 27: 205-215, 2002.

27) Peine R, Rikli DA, Hoffmann R, Duda G and Regazzoni P: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plating techniques for the dorsum of the distal radius: a biomechanical study. J Hand Surg Am, 25: 29-33, 2000.

28) Pogue DJ, Viegas SF, Patterson RM, et al: Effects of distal radius fracture malunion on wrist joint mechanics. J Hand Surg Am, 15: 721-727, 1990.

29) Putnam MD, Meyer NJ, Nelson EW, Gesensway D and Lewis JL: Distal radial metaphyseal forces in an extrinsic grip model: implications for postfracture rehabilitation. J Hand Surg Am, 25: 469-475, 2000.

30) Ring D, Jupiter JB, Brennwald J, Buchler U and Hastings H 2nd: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of a plate for dorsal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Am, 22: 777- 784, 1997.

Conehead wedging screw for distal radius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Clin Orthop, 407: 203-210, 2003.

35) Short WH, Palmer AK, Werner FW and Murphy DJ: A biomechanical study of distal radial fractures. J Hand Surg [Am], 12: 529-534, 1987.

36) Swigart CR and Wolfe SW: Limited incision open techniques for distal radius fracture management. Orthop Clin North Am, 32: 317-327, 2001.

37) Trumble TE, Schmitt SR and Vedder NB: Factors affecting functional outcome of displaced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Am, 19: 325-340, 1994.

38) Trumble TE, Wagner W, Hanel DP, Vedder NB and Gilbert M: Intrafocal (Kapandji) pinning of distal radius fractures with and without external fixation. J Hand Surg Am, 23: 381-394, 1998.

39) Wolfe SW, Austin G, Lorenze M, Swigart CR and Panjabi MM: A biomechanical comparison of different wrist external fixators with and without K-wire augmentation. J Hand Surg Am, 24: 516-524, 1999.

40) Yetkinler DN, Ladd AL, Poser RD, Constantz BR and Carter D: Biomechanical evaluation of fixation of intra- 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part of the radius in cadavera:

Kirschner wires compared with calcium-phosphate bone ce- ment. J Bone Joint Surg, 81-A: 391-399, 1999.

수치

Fig. 2. Intrafocal fixation reduces the fracture fragment and  prevents collapse. The additional interfragmentary fixation  pro-vides more rigid fixation.
Fig. 5. An example shows a fragment-specific bicolumnar fixa- fixa-tion.
Fig. 6. 3D-CT is a good diagnostic tool for the intraarticular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and is very helpful for the  preoperative  planning of fracture management.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greater tubercle is palpable on the line from the lateral epicondyle of the distal humerus in the direction of the humeral longitudianl axis and just below the acromion

Purpose: Calcaneal fracture is a rare fracture, which accounts for about 2% of all fractures, but is one of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the ankle bone.. There is

‘the special law for digital switchover’ states that is the general planning for vitalization of digital switchover, the program schedule of digital broadcast

ECG is a valuable noninvasive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on of NSTE-ACS. In addition, it has a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of NSTE-ACS such a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ading rate effect on the fracture resistance under cyclic loading conditions to clearly understand the fracture behavior of

Also, the quasi-infraversion is larger for the inferior safe insertion limit direction (Fig. In practical design of a screw guiding device, targeted safe angles can

Figure 8.1 A propane tank truck explosion due to fracture from initial cracks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