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nduction of G2/M Arrest of the Cell Cycle and Apoptosis by Genistein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nduction of G2/M Arrest of the Cell Cycle and Apoptosis by Genistein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PREVENTION RESEARCH □ ORIG INAL ARTICLE □

46

SK-MEL-2 흑색종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세포주기 G2/M Arrest 및 Apoptosis 유발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1생화학교실, 2내과학교실, 3대학원 바이오물질제어학과 및 4한의학연구소,

5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6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김정임1․박 철1․최우영1,4,6․이정옥5․홍수현2․홍상훈2․이원호6․류충호5․최영현1,3,4

Induction of G2/M Arrest of the Cell Cycle and Apoptosis by Genistein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Jung Im Kim1, Cheol Park1, Woo Young Choi1,4,6, Jeong-Ok Lee5, Su Hyun Hong2, Sang Hoon Hong2, Won Ho Lee6, Chung-Ho Rhu5 and Yung Hyun Choi1,3,4 Departments of 1Biochemistry, 2Intern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3Department of Biomaterial Control, Dongeui University Graduate School and 4Research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Busan 614-052, 5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660-701,

6Department of 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735, Korea

Genistein, a soy metabolite, is a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various types of cancer. There are several studies documenting molecular alterations leading to cell cycle arrest and induction of apo- ptosis in a variety of cancer cell lines; however, its mechanism of action and its molecular targets on human melanoma cells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at genistein inhibited the cell growth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It was found that genistein inhibits cell growth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ich was associated with dendrite-like morphological change and apoptotic cell death.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that genistein could cause an arrest at the G2/M phase of the cell cycle, which was associated with a down-regul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Cdk2) and Cdc2 phosphorylation However, genistein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Cdk inhibitor p21 (WAF1/CIP1) and tumor suppressor p53 in SK-MEL-2 cells.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by genistein was associated with a down-regulation of anti-apoptotic Bid and an inhibition of apoptosis proteins (IAPs) family expression, and up-regulation of Fas and FasL protein. Genistein treatment also induced the proteolytic activation of caspase-3 and a concomitant inhibition and/or degradation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phospholipas C-γ1 (PLCγ1) and β-catenin.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genistein has divergent biological function, additional studies will be needed to evalu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genistein and other agents. (Cancer Prev Res 11, 46-57, 200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Genistein, SK-MEL-2, Cell cycle, Apoptosis

책임저자:최영현, ꂕ 614-052, 부산시 부산진구 양정동 산 45번지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화학교실

Tel: 051-850-7413, Fax: 051-853-4036 E-mail: choiyh@deu.ac.kr

접수일:2005년 12월 30일, 게재승인일:2006년 2월 6일

Correspondence to:Yung Hyun Choi

Department of Biochemistry, Dongeui Universit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 45 Yangjeong-dong, Busanjin-gu, Busan 614-052, Korea Tel: +82-51-850-7413, Fax: +82-51-853-4036

E-mail: choiyh@deu.ac.kr

(2)

서 론

Flavonoids는 과일과 야채를 포함한 많은 식물에 함유 되어 있으며, genistein은 flavonoid의 한 group인 isoflavones 에 속하는 색소의 일종으로 C6-C3-C6을 기본구조로 하 는 phenol계 화합물이다.1) Genistein은 Akiyama 등2)에 의하 여 protein tyrosine kinase (PTK)의 작용을 특이적으로 억제 한다고 알려졌는데, PTK는 tumorigenesis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장 조절 수용체들과도 밀접하게 연관되 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Genistein은 또한 DNA와 topoisomerase II 사이의 공유 결합을 촉진함으로써 topo- isomerase II의 작용을 억제하고,5,6) 세포분화를 유도하거 나 DNA 나선의 절단 효과7) 등도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특히 genistein은 여러 종류의 암세포들에서 apoptosis를

유발하며8-10) 혈관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

다.11) 그리고 생쥐의 배 발생단계의 성장 및 세포증식을 억제하거나,12) 세포분화를 유도하며,7,12) 여러 종류의 인 체 암세포에서 세포분열을 억제시키는13∼15)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genistein 및 그 와 유사한 flavonoid계 화합물에 많은 관심을 갖는 이유는 대두와 같은 콩류를 많이 섭취하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 아계 여성들에서의 유방암뿐만 아니라 남성들에서의 전 립선 및 췌장암의 빈도가 서양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매우 낮다는 통계자료에 기초를 두고 있다.16,17) 세포주기에 관한 개념은 20세기 이전에 광학 현미경 의 관찰을 통한 간기 및 유사 분열기 세포들의 구별이 가능해진 후, G1, S, G2 및 M기에 대한 정의가 내려지면 서 성립되었다. 특히 1971년에 Xenopus 난모세포에서 유 사분열 세포주기 진행에 중요한 인자인 maturation pro- moting factor가 동정되면서 세포주기 조절이 가능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18) 그 후 1983년 세포주기 조절의 양성인자인 cyclin이 동정되었으며, cyclin의 합성, 인산화 및 분해 연구를 통하여 이들이 전 세포주기에 걸 쳐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세포 주기 특이적인 cyclin-dependent kinases (Cdks)의 기능이 세 포주기 진행에 필수적임이 밝혀졌고, 이것이 cyclin에 의 해 활성화된다는 것도 알려지게 되었다.19) 세포주기 조 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dks의 활성은 Cdk inhibitors (CKIs)에 의하여 균형을 이룬다. CKIs는 Cdks와의 결합을 통하여 cyclin/Cdk complex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세포주 기 특이적인 증식의 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20)

한편 세포의 죽음은 necrosis와 apoptosis로 구분되며, 이

는 세포의 형태적 및 생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구분된다.

Necrosis는 생리적, 화학적인 외상에 의한 세포의 죽음이 고, apoptosis는 개체의 정상적인 발달과 분화에 관여하 며, 태아의 형태형성, 난자의 배란, 신경세포의 시냅스 형성 등과 연관된 체내 비정상적인 세포들을 제거하는 기전이다.21,22) 특히 apoptosis에는 세포질 및 염색질 응축, 세포막 수포화 현상, DNA 단편화 등이 수반되는데 이러 한 현상은 세포내부의 정교한 신호전달에 의해 조절된 다.23)

본 연구에서는 genistein의 효능에 관하여 비교적 조사 가 이루어지지 않은 인체 흑색종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K-MEL-2 세포주를 대상으로 먼저 증식억제의 정도를 조사하였고, DAPI staining을 통 한 암세포의 핵 형태 변화 및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apoptosis 및 세포주기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 였다. 또한 genistein에 의한 SK-MEL-2 세포의 세포주기 및 apoptosis 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 를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Genistein 처리 및 세포배양

본 실험에 사용된 genistein은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100μm의 농도로 dimethyl- sulfoxide (DMSO, Sigma)에 용해하여 -20oC에 보관하였 고, 처리 전 배지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SK-MEL-2 세포는 생명공학연구소(KRIBB, Taejeon, Korea) 에서 분양 받았으며, 90%의 DMEM 배지(Gibco BRL, Grand Island, NY, USA),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BRL) 에 1%의 penicillin 및 streptomycin (Gibco BRL)이 포함된 성장배지를 사용하여 37oC,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 였다.

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성장억제 조사

세포 배양용 6 well plate에 SK-MEL-2 세포를 5×104개/

ml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genistein을 적정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tetrazolium bromide salt (MTT, Amresco, Solon, OH, USA) 를 0.5 mg/ml 농도가 되게 성장배지로 희석하여 2 ml씩 분주하고 3시간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시킨 다음 DMSO로 well에 생성된 formazin을 모두 녹인 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540 nm에 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모두 세 번을 하였으며, 그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 오차를 Sigma Plot 4.0 프로그램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PSS Ins.)으로 구하였다.

3.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의 성장과 형태의 관찰

세포 배양용 100 mm petri dishes에 SK-MEL-2 세포를 1×105개/ml 정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genistein을 적정농도로 희석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위상차 현미경(inverted microscope, Carl Zeiss, Germany)을 이용하여 200배의 배율로 각 농도에 따른 형 태의 변화를 관찰한 다음 Kodak 자동 카메라용 필름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였다.

4. DNA flow cytometry에 의한 분석

정상 및 genistein을 처리한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 시킨 암세포를 모아서 PBS로 충분히 씻은 다음 1,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만 버리고 남은 세포를 PBS로 잘 부유시키고, 차가운 ethanol을 첨가하여 4oC에서 한 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들을 핵 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형광물질인 DNA intercalating dye propidium iodide (PI, concentration, 50μg/ml; Sigma)와 10 kunit의 RNase (Sigma)를 처리하여 암실, 4oC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PBS로 두 번 washing 과정을 거친 후 DNA flow cytometry (Becton Dickinson, San Jose, CA, USA) 에 적용시켜 형광반응에 따른 histogram을 ModiFit LT (Becton Dickinson)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 DAPI 염색에 의한 세포핵의 형태 관찰

Genistein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 여부 확 인을 위한 핵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준비된 세포를 모은 다음 3.7% formaldehyde 용액을 처리하여 상 온에서 10분 동안 고정하였다. PBS로 washing하고 4',6- diamidino-2-phenylindole (DAPI, Sigma)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이를 PBS 및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형광 현 미경(Carl Zeiss, Germany)을 이용하여 400배의 배율로 각 농도에 따른 암세포의 핵의 형태 변화를 관찰한 다음 Axio Vi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였다.

6.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 action 분석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준비된 암세포를 PBS로 세척 하고 TRIzol reagent (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를 4oC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정량한 후, 각각의 primer, DEPC water 그 리고 ONE-STEP RT-PCR PreMix Kit (Intron, Korea)를 넣고 Mastercycler gradient (Eppendorf, Hamburg, Germany)를 이

Table 1. Gene-specific primers for RT-PCR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ene name Sequenc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APDH

Sense 5’-CGG AGT CAA CGG ATT TGG TCG TAT-3’

Antisense 5’-AGC CTT CTC CAT GGT GGT GAA GAC-3’

Cyclin A

Sense 5’-TCC AAG AGG ACC AGG AGA ATA TCA-3’

Antisense 5’-TCC TCA TGG TAG TCT GGT ACT TCA-3’

Cyclin B1

Sense 5’-AAG AGC TTT AAA CTT TGG TCT GGG-3’

Antisense 5’-CTT TGT AAG TCC TTG ATT TAC CAT G-3’

Cdc2

Sense 5’-GGG GAT TCA GAA ATT GAT CA-3’

Antisense 5’-TGT CAG AAA GCT ACA TCT TC-3’

Cdk2

Sense 5’-GCT TTC TGC CAT TCT CAT CG-3’

Antisense 5’-GTC CCC AGA GTC CGA AAG AT-3’

p53

Sense 5’-GCT CTG ACT GTA CCA CCA TCC-3’

Antisense 5’-CTC TCG GAA CAT CTC GAA GCG-3’

p21

Sense 5’-CTC AGA GGA GGC GCC ATG-3’

Antisense 5’-GGG CGG ATT AGG GCT TCC-3’

Bax

Sense 5’-ATG GAC GGG TCC GGG GAG-3’

Antisense 5’-TCA GCC CAT CTT CTT CCA-3’

Bcl-xL

Sense 5’-CGG GCA TTC AGT GAC CTG AC-3’

Antisense 5’-TCA GGA ACC AGC GGT TGA AG-3’

Bcl-2

Sense 5’-CAG CTG CAC CTG ACG-3’

Antisense 5’-ATG CAC CTA CCC AGC-3’

XIAP

Sense 5’-GAA GAC CCT TGG GAA CAA CA-3’

Antisense 5’-CGC CTT AGC TGC TCT CTT CAG T-3’

cIAP-1

Sense 5’-TGA GCA TGC AGA CAC ATG C-3’

Antisense 5’-TGA CGG ATG AAC TCC TGT CC-3’

cIAP-2

Sense 5’-CAG AAT TGG CAA GAG CTG G-3’

Antisense 5’-CAC TTG CAA GCT GCT CAG G-3’

Survivin

Sense 5’-GCA TGG GTG CCC CGA CGT TG-3’

Antisense 5’-GCT CCG GCC AGA GGC CTC AA-3’

Fas

Sense 5’-TCT AAC TTG GGG TGG CTT TGT CTT C-3’

Antisense 5’-GTG TCA TAC GCT TTC TTT CCA T-3’

FasL

Sense 5’-GGA TTG GGC CTG GGG ATG TTT CA-3’

Antisense 5’-AGC CCA GTT TCA TTG ATC ACA AGG-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

용하여 증폭하였다. 각 PCR 산물들의 양적 차이를 확인 하기 위하여 1X TAE buffer로 1% agarose gel을 만들고 well 당 각각의 primer에 해당하는 PCR 산물에 DNA gel loading solution을 섞어서 loading 한 후 100 V에서 전기영 동을 하였다. 전기영동으로 DNA 분리가 끝난 gel을 ethidium bromide (EtBr, Sigma)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였다. RT-PCR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한 유전자의 종류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때 housekeeping 유전자인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 genase (GAPDH)를 internal control로 사용하였다.

7. Western blotting 분석

정상 및 genistein이 처리된 배지에서 자란 세포들을 적 당량의 lysis buffer [25 mM Tris-Cl (pH 7.5), 250 mM NaCl, 5 mM EDTA, 1% NP-40, 1 mM phenymethylsulfonyl fluoride (PMSF), 5 mM dithiothreitol (DTT)]로 용해한 후, 고속원심 분리로 세포 내 잔사물을 분리시킨 다음 동량의 단백질 을 sodium dodecyl sulphate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 하여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nitro- cellulose membrane (Schleicher and Schuell, Keene, NH, USA) 으로 electroblotting에 의해 전이시킨 후,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와 그에 대한 이차 항체 반응을 실시한 후 en-

Fig. 1. Anti-proliferative effect, morphological changes and G2/M arrest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following incubation with genistein. (A) Cells were seeds as described in materials and methods, and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enistein.

After 48 h incubation with genistein, cell morphology was visualized by light microscopy. Magnification, ×200. (B) Cells were incubated variable concentrations of genistein for 48 h, then sampled, fixed and stained with DAPI. After 10 min incubation at room temprature, stained nuclei were observed under a fluorescent microscope using a blue filter. Original magnification, ×400. At the same condition, MTT assay was also performed. Results are expressed as average from two separate experiments (R.V.: relative viability). (C) DNA-flourescence histogram of SK-MEL-2 cell nuclei after treatment with genistein. Exponentially growing cells at 50% confluency were treated for 48 h with indicated concentrations of genistein. Cells were trypsinized and pellets were collected. The cells were fixed and digested with RNase, and then cellular DNA was stained with PI, and analyzed by flow cytometry.

A

B

0 10 20 30 40

83 76 61 57

R.V (%)

C

Cell number

DNA content G1

S G2/M

0 10 20 30 40

sub G1-

Genistein ( M)µ

Genistein ( M)µ

(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hanced chemiluminoesence (ECL) 용액(Amersham Life Science Corp., Arlington Heights, IL, USA)을 적용시킨 다음 암실에 서 X-ray film에 감광시켜 특정단백질의 양을 분석하였 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항체들은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USA) 및 Calbiochem (Cambridge, MA,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2차 항체로 사용된 peroxidase- labeled donkey anti-rabbit 및 peroxidase-labeled sheep anti- mouse immunoglobulin은 Amersham Life Science에서 구입하 였다.

8. In vitro caspase-3, -8 및 -9의 활성 측정

Caspase의 in vitro 활성 측정을 위한 colorimetric assay kits 는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에서 구입하였다.

활성 측정을 위하여 정상 및 genistein이 처리된 배지에서 48 시간 배양된 세포를 모은 뒤 단백질을 추출하고 정량 하여 각각 150μg의 단백질을 fluorogenic peptide 기질 100 μm이 함유된 extraction buffer 50μl에 혼합하였으며, mi- crotiter plate에 다시 extraction buffer에 희석하여 각 sample 당 총 volume이 100μl가 되게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기 질은 caspase-3의 경우에는 Asp-Glu-Val-Asp (DEVD)-p- nitroaniline (pNA)이었고 caspase-8의 경우에는 Ile-Glu-Thr- Asp (IETD)-pNA이었으며, caspase-9은 Leu-Glu-His-Asp (LEHD)-pNA였다. 준비된 plate를 37oC에서 2시간 동안 incubation 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의 흡 광도를 이용하여 반응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Genistein에 의한 인체흑색종세포의 증식 억제, G2/M arrest 및 apoptosis 유발

Genistein에 의한 SK-MEL-2 인체흑색종세포의 성장억 제와 연관된 기전의 해석을 시도하기 위하여 먼저 48시 간 동안 다양한 농도의 genistein을 처리한 후 MTT assay 를 이용하여 genistein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 였다. Fig. 1A에 나타낸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20μm 및 40μm genistein 처리군에서 배양된 경우 정상배지에서 자란 세포에 비하여 약 24% 및 43% 이상의 증식억제 효 과가 있었다. 이러한 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genis- tein의 농도 증가에 따른 심한 형태적 변형과도 연관성이 있었는데, Fig. 1A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genistein의 농 도가 증가할수록 염색질이 응축되면서 짧고 많은 가지 를 형성하는 듯한 모양으로 바뀌었으며, 부착력을 상실 하고 배지 위로 부유되는 경향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 고 이는 선행연구에서 관찰된 경우들과 매우 유사하였

음을 알 수 있었다.24,25)

한편 세포주기 조절의 관점에서 암세포는 세포주기의 비정상화에 기인한 질병으로서 특정 시기의 세포주기 억제는 세포주기 checkpoint 각각의 시기에 요구되는 세 포주기 조절인자의 발현 및 활성 여부에 따라 조절된

다.19,20) 따라서 genistein의 처리에 따른 SK-MEL-2 세포의

증식억제가 세포주기 특정 시기의 진행억제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주기 분포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상 및 다양한 농도의 genistein이 처리된 배지에서 자란 암세포를 flow cytometry 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Fig. 1C 및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genistein이 함유되지 않은 배지에서 자란 암세포의 경우 G1, S 및 G2/M기에 해당되는 세포의 빈도는 약 48.60%, 20.65% 및 30.76%

정도였다. 그러나 genistein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1기에 해당하는 세포의 빈도는 감소하는 반면 G2/M기 에 해당하는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여 40μM의 농도에서 는 88.40%로 약 3배정도 증가된 반면 G1 및 S기에 해당 되는 세포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감소되었다. 즉 genistein 에 의한 SK-MEL-2 세포의 증식억제는 다른 암세포주들 에서 관찰된 경우와 같이 세포주기 G2/M기 arrest와 연관 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9,10,14,15,24∼26)

Genistein에 의한 SK-MEL-2 세포의 증식 억제가 세포주 기의 억제 이외에도 apoptosis 유발과도 연관성이 있을 것 으로 기대되어 이에 관한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하기 위 하여 먼저 정상 및 genistein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된 암세포를 대상으로 핵의 형태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Fig. 1B는 DAPI 염색에 의한 핵의 형태를 나타낸 결과로

Table 2. Fractions of each cell cycle phase of SK-MEL-2 hu- man melanoma cells cultur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genistein. Exponentially growing cells at 50% confluency were treated for 48 h with indicated con- centrations of genistein. Cells were trypsinized and pellets were collected. The cells were fixed and digested with RNase, and then cellular DNA was stained with PI, and analyzed by flow cytometry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of cell Genistei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μm) G1 S G2/M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 48.60 20.65 30.76

10 47.50 18.86 33.65

20 29.60 14.75 55.65

30 11.24 8.59 80.17

40 4.61 6.98 88.4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6)

서, genistein이 처리된 배지에서 자란 암세포의 경우 정 상배지에서 자란 세포들에서 관찰할 수 없는 apoptosis 유 발 특이적인 핵 내 염색질 응축에 의한 apoptotic body21,22) 의 출현이 증가되어 genistein의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성 장 억제는 apoptosis의 유발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enistein의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 정도를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한 결 과, 정상배지에서 자란 암세포의 자연적 apoptosis 유발 빈도는 약 3% 정도였지만 genistein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apoptosis의 유발 정도가 증가하여 30μm 및 40μm 처리 군에서는 각각 18% 및 23%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genistein 처리에 의한 SK-MEL-2 인체흑색종세 포의 증식 억제는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G2/M기 arrest와 연관된 apoptosis 유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9,10,24,25)

2. 세포주기 조절인자 발현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

진핵세포의 세포분열에는 여러 종류의 cyclins와 Cdks 및 그들의 저해제에 해당하는 Cdk inhibitors (CKIs) 외에

여러 가지 전사인자들이 관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진 핵세포에서 세포주기의 진행을 위해서는 세포주기 특이 적인 cyclin의 발현 증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G1기의 조절에는 D type cyclin이 발현하여 Cdk4 및 Cdk6와 결합 하여 관여를 하고, G1기에서 S기로의 진입에는 cyclin E 가 관여를 한다. Cyclin A는 G1기 후기에 발현하여 S기와 G2기 동안 영향을 주게 되고 G2기와 M기는 cyclin B1이 Cdk2 및 Cdc2와 결합을 함으로써 영향을 미친다.19,20,27)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genistein의 처리에 의한 암 세포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G2/M arrest와 연관이 있었기 에 genistein 처리에 따른 G2/M기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 자들 발현 변화 유무를 RT-PCR 및 Western blotting 방법 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Fig. 2의 결과와 같이 조사된 cy- clin과 Cdk 중, Cdk2의 발현 저하가 매우 뚜렷하게 관찰 되었으며 Cdc2 단백질의 인산화 수준도 genistein 처리에 따라 다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Cdc2의 활성 은 cyclin B1과의 결합에서 뿐만 아니라 Cdc2 자체의 인 산화 정도에도 영향을 받는데, Cdc2를 인산화하여 활성 을 조절하는 kinase로 Wee1이 알려져 있다. Wee1은 세포

Fig. 2.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cyclins and Cdks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A) Cells were incubated with genistein for 48 h and total RNAs were isolated and RT-PCR was performed using cyclin A, cyclin B1, Cdc2 and Cdk2 primers.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B) Cells were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probed with the indicated antibodies. Proteins were visualized using an ECL detection system.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 B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Cyclin A

Cyclin B1

Cdk2

Cdc2

GAPDH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Cyclin A

Cyclin B1

Cdk2

Cdc2

P Cdc2 (Tyr15)-

Cdc25C

P-Cdc25C (Ser216)

Wee1

Actin

(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가 mitosis로 들어갈 수 있는 조건이 될 때까지 Cdc2의 Tyr15 잔기를 인산화하여 그 활성을 억제하며,28,29) Wee1 은 Cdc2 및 nim1/cdr 등에 의하여 mitosis 동안 불활성 상 태로 유지된다.30) Wee1의 작용과는 반대로 세포주기를 G2기로부터 mitosis로 진행하는데 역할을 하는 것이 phosphatase인 Cdc25 단백질로서, Cdc25는 Cdc2의 Tyr15 잔기를 탈인산화하여 Cdc2를 활성화한다.31) Genistein의 처리에 따라 Wee1 단백질의 경우는 발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Cdc25C의 경우는 geniste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단백질의 발현정도가 매우 감소함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세포증식 억제 신호에 의해서 유도되 는 Cdk inhibitor들은 Cdks와 강한 결합을 통하여 그들 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크게 두 가지 의 family (INK4 및 CIP/KIP family)로 분류된다.20) 이들 중 CIP/KIP family에 속하는 p21은 DNA 손상에 의한 종양억제유전자인 p53에 의해 조절을 받는 것으로 알 려져 왔다.32)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p53 비의존 적인 p21의 조절 기전이 밝혀지고 있으며 세포주기 전반에 걸친 조절자로서 다양한 cyclin/Cdk complex의 활성을 조절하며, 노화 및 apoptosis에도 관여하는 것으 로 알려지고 있다.33,34) 따라서 genistein의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억제 현상이 종양억제 유전자 또는 세 포주기 조절 억제인자들의 발현 변화와 상관성이 있 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종 양억제 유전자 중 가장 중요한 p53 및 전체적인 세포 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dk inhibitor p21의 발현 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선행 연구 들의 경우와는 달리 두 유전자 모두 전사 및 번역 수 준에서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Fig. 3).24~26)

3. Apoptosis 조절인자 발현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

Apoptosis의 유발에 관여하는 가장 대표적인 유전자인 Bcl-2 family 중 Bcl-2는 anti-apoptotic 분자로서 apoptosis의 유발을 억제하고 Bax는 pro-apoptotic 분자로서 apoptosis의 유발과 관계가 있다.35,36) 이들 두 유전자군은 세포 내 소 기관 중 mitochondria로부터의 cytochrome c를 유리시켜 caspases, p53, DNA의 단편화와 연관된 endonuclease 등의 활성을 조절하는데, 이들은 서로 heterodimer를 이루며 미 세한 발현의 차이로 apoptosis를 유발한다. 따라서 genis- tein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이들 유전자가 관련되어 있 는지의 여부를 RT-PCR 및 Western blotting으로 조사한 결과 Fig.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사된 Bcl-2 family 중 Bid 단백질의 발현만이 genistein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되었다. 한편 caspase의 활성과 연관된 조절 인자로서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family는 caspase와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하여 그들의 활성을 억제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38) 따라서 genistein 처리 에 의한 SK-MEL-2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IAPs family가 관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Fig.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cIAP-1만이 단백질 수준에서 특히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apoptosis를 유발하는 경로는 크게 mitochondrial pathway와 death receptor pathway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death receptor는 세포사멸의 기능을 갖는 tumor necrosis factor (TNF) 수용체군을 의미하며, 가장 잘 알려 진 다섯 종류 중 하나가 APO-1 또는 CD95라고도 알려진 Fas에 의한 신호전달계이고 TNF 수용체군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리간드(ligand) 중의 하나가 FasL이다.23,39) FasL

Fig. 3.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dk inhibitor p21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A) Cells were incubated with genistein for 48 h and total RNAs were isolated and RT-PCR was performed using p53 and p21 primers.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B) Cells were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probed with the anti-p53 and anti-p21 antibodies. Proteins were visualized using an ECL detection system.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 B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p53

p21

GAPDH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p53

p21

Actin

(8)

는 type II transmembrane protein으로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인 Fas에 결합하여 immune homeostasis 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apoptosis를 유발한다. 따라서 genistein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death receptor가 관여하 는지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Fig.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Fas 및 FasL 모두에서 번역수준에서 매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Fig. 6). 그리고 apoptosis 유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aspase는 핵과 mitochondria의 외막에 불활성 형태로

존재하다가 apoptosis를 유도하는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 되고, 활성의 정도는 Bcl-2 family의 발현 정도 및 p53에 의존적인 경우도 있다.23) 따라서 caspase의 활성화는 apo- ptosis의 유발에 대한 또 다른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많은 선행연구 등에서 검증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cas- pase 중 대부분의 apoptosis가 유발된 세포에서 caspase-3, -8 및 -9이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므로 이들 caspase의 발 현과 활성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ig.

Fig. 4.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Bcl-2 family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A) Cells were incubated with genistein for 48 h and total RNAs were isolated and RT-PCR was performed using indicated primers.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B) Cells were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probed with the indicated antibodies. Proteins were visualized using an ECL detection system.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 B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Bax

Bcl 2-

Bcl XL-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Bax

Bcl 2-

Bcl XL-

GAPDH Bid

Actin

Fig. 5.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IAPs family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A) Cells were incubated with genistein for 48 h and total RNAs were isolated and RT-PCR was performed using indicated primers.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B) Cells were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probed with the indicated antibodies. Proteins were visualized using an ECL detection system.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 B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XIAP

cIAP 1-

cIAP-2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XIAP

cIAP 1-

cIAP-2

Survivin Actin

GAPDH

(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7A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caspase-9는 genistein 처리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며, caspase-8의 경우 비활성형의 발현이 다소 감소하였고, caspase-3의 경우는 genistein 처 리 농도 의존적으로 비활성형 단백질의 발현이 매우 감 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단백질 수준에서의 결 과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caspase activity assay를 통 하여 caspase의 활성 정도를 직접 분석한 결과, Fig. 7B에 서 나타난 바와 같이 genistein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caspase-3의 활성이 매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고, caspase-8의 활성도 다소 증가되었으나 caspase-9는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특정 내·외부 자극에 의하여 apo- ptosis가 일어나면 PARP 단백질이 부분적으로 잘리는 분 해과정이 나타난다. 정상세포의 경우는 116 kDa의 분자 량을 가지지만 apoptosis가 일어난 경우는 85 kDa 크기의 단편을 관찰할 수 있다.40,41) PARP는 정상세포의 DNA re- pair나 genomic stability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apoptosis 과정 중 caspase의 활성에 의해 단백질 분해가 일어나면 PARP의 역할은 상실되어 정상적인 repair기능 이 상실된다.42) 한편 catenin family 단백질은 세포질 단백 질로서 E-cadherin과 결합하여 세포 연접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β-catenin은 세포 내 골격유지와 부착 Fig. 6.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Fas/FasL system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A) Cells were incubated with genistein for 48 h and total RNAs were isolated and RT-PCR was performed using Fas and FasL primers.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B) Cells were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probed with the anti-Fas and anti-FasL antibodies. Proteins were visualized using an ECL detection system.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 B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Fas

FasL

GAPDH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Fas

FasL

Actin

Fig. 7. Activation of caspase by genistein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Cells were treated with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of genistein for 48 h and collected. (A) Cells were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probed with the indicated antibodies. Proteins were visualized using an ECL detection system.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B) Aliquots (150μg protein) were incubated with DEVD-pNA, IETD-pNA and LEHD-pNA for caspase-3, -8 and -9 activity, respectively, at 37oC for 3h. The released fluorescent products were measured. Data represent the mean of two independent experiments.

A B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Pro caspase 3- -

Pro caspase 8- -

Pro caspase 9- -

Actin

0 10 20 30 40

Genistein ( M)µ 0

0.5 1.0 1.5 2.0 2.5 3.0 3.5

Capase 8 Capase 3 Capase 9

(10)

성 세포의 전사조절 및 세포유착과 관계된 apoptosis 조절 과 관련이 있는데,43) 정상세포의 경우 92 kDa의 크기를 가지나 세포 유착성 apoptosis가 일어나면 62∼72 kDa으 로 단편화가 일어난다.44) PLC-γ1은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를 hydrolyze시켜 protein kinase C (PKC) activator인 diacylglycerol 및 세포 내 Ca2+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inositol 1,4,5-trisphosphate (IP3)를 생산한다.

따라서 PI3K나 Ras와 같은 세포성장 신호분자와 같이 PLC-γ1 역시 세포의 증식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45) 그러나 apoptosis가 유발될 경우 활성 화된 caspase 효소에 의하여 PLC-γ1 단백질은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두 종류의 단백질과 함께 apoptosis 유 발의 생화학적 표식자로 사용이 가능하다.46) Fig. 8의 결 과에서 알 수 있듯이 genistein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PARP 및 PLC-γ1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면서 뚜렷한 단편화현상이 관찰되었으며, β-catenin 단백질의 경우는 단편화 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전체적인 단백질 발 현의 양은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apoptosis 의 가장 중요한 현상 중 하나가 염색질 응축을 야기할 수 있는 DNA의 단편화 유발인데 여기에 관여하는 중요 한 인자가 DNA fragmentation factor (DFF)이다. DFF family

는 caspase-activated DNase인 DFF40/CAD와 inhibitor of caspase-activated DNase인 DFF45/ICAD로 구성되어 있다.47) DFF40/CAD와 DFF45/ICAD는 서로 complex를 형성하고 있으며, apoptosis가 유발되면 활성화된 caspase에 의하여 ICAD의 두 군데 Asp 잔기에서 단편화가 일어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48) 따라서 DFF40/CAD 및 DFF45/ICAD가 genistein의 처리에 따른 apoptosis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 아보았다. Fig.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SK-MEL-2 세포에서 DFF40/CAD의 경우는 genistein의 처리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으나, DFF45/ICAD의 경우는 단편화된 band의 양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SK-MEL-2 인체흑색종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 하였다. Genistein 이 처리된 SK-MEL-2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의 증식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심한 형태적 변형이 동 반되었다. 이러한 SK-MEL-2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 변 형은 G2/M기의 세포주기 억제 및 apoptosis 유발과 연관 성이 있음을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세포주기의 분석, DAPI 염색을 통한 핵의 형태 변화 등을 통하여 확인하 였다. Genistein에 의한 G2/M기의 세포주기 억제는 p53 및 p21의 발현 변화 없이 특히 Cdk2의 발현 감소와 연관 성이 있었으며, apoptosis의 유발에는 Bid의 발현 감소, IAPs family 단백질의 선택적 발현 감소 및 caspase-3의 활 성화와 그에 따른 기질 단백질인 PARP, PLC-γ1, β- catenin의 발현 감소와 분해 현상 및 DFF45/ICAD의 발현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 들은 현재까지 거의 연구가 진행된 바 없는 인체흑색종 포에서 genistein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 가 될 것이고 나아가 genistein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 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림부 농림기술개발사업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No. 105113-3).

참 고 문 헌

1) MacGregor JT. Genetic toxicology of dietary flavonoids. Prog Fig. 8.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PARP, β-catenin,

PLCγ1, CAD and ICAD proteins in SK-MEL-2 human mela- noma cell. Cells were incubated with genistein for 48 h, lysed and cellular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s and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s. The mem- branes were probed with indicated antibodies. Proteins were visualized using ECL detection system. Actin was used as a loading control.

Genistein ( M)µ

0 10 20 30 40

PARP

PLC 1

β-catenin

DFF40 CAD/

DFF45 CAD/I

Actin

(1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Clin Biol Res 206, 33-43, 1986.

2) Akiyama T, Ishida J, Nakagawa S, Ogawara H, Watanabe S, Itoh N, Shibuya M, Fukami Y. Genistein, a specific inhib- itor of tyrosine-specific protein kinases. J Biol Chem 262, 5592- 5595, 1987.

3) Bishop JM. Cellular oncogenes and retroviruses. Annu Rev Biochem 52, 301-354, 1983.

4) Rubin JB, Shia MA, Pilch PF. Stimulation of tyrosine-specific phosphorylation in vitro by insulin-like growth factor I. Nature 305, 438-440, 1983.

5) Markovits J, Linassier C, Fosse P, Couprie J, Pierre J, Jacquemin-Sablon A, Saucier JM, Le Pecq JB, Larsen AK.

Inhibitory effects of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 genistein on mammalian DNA topoisomerase II. Cancer Res 49, 5111-5117, 1989.

6) McCabe MJ Jr, Orrenius S. Genistein induces apoptosis in immature human thymocytes by inhibiting topoisomerase-II.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4, 944-950, 1993.

7) Kiguchi K, Constantinou AI, Huberman E. Genistein-induced cell differentiation and protein-linked DNA strand breakage in human melanoma cells. Cancer Commun 2, 271-277, 1990.

8) Yanagihara K, Ito A, Toge T, Numoto M.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isoflavones on human cancer cell lines establish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Res 53, 5815-5821 1993.

9) Spinozzi F, Pagliacci MC, Migliorati G, Moraca R, Grignani F, Riccardi C, Nicoletti I. The natural tyrosine kinase inhibitor genistein pro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Jurkat T-leukemia cells. Leuk Res 18, 431-439, 1994.

10) Pagliacci MC, Smacchia M, Migliorati G, Grignani F, Riccardi C, Nicoletti I. Growth-inhibitory effects of the natural phyto- oestrogen genistein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Eur J Cancer 30, 1675-1682, 1994.

11) Fotsis T, Pepper M, Adlercreutz H, Fleischmann G, Hase T, Montesano R, Schweigerer L. Genistein, a dietary-derived in- hibitor of in vitro angiogenesis. Proc Natl Acad Sci USA 90, 2690-2694, 1993.

12) Jing Y, Waxman S. Structural requirements for differentia- tion-induction and growth-inhibition of mouse erythroleuke- mia cells by isoflavones. Anticancer Res 15, 1147-1152, 1995.

13) Hotz MA, Del Bino G, Lassota P, Traganos F, Darzynkiewicz Z. Cytostatic and cytotoxic effects of fostriecin on human promyelocytic HL-60 and lymphocytic MOLT-4 leukemic cells. Cancer Res 52, 1530-1535, 1992.

14) Finlay GJ, Holdaway KM, Baguley BC.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genistein and amsacrine on leukemia cell prolifera- tion. Oncol Res 6, 33-37, 1994.

15) Rauth S, Kichina J, Green A. Inhibition of growth and induc- tion of differentiation of metastatic melanoma cells in vitro by genistein: chemosensitivity is regulated by cellular p53. Br J Cancer 75, 1559-1566, 1997.

16) Messina M, Barnes S. The role of soy products in reducing risk of cancer. J Natl Cancer Inst 83, 541-546, 1991.

17) Messina MJ, Persky V, Setchell KD, Barnes S. Soy intake and

cancer risk: a review of the in vitro and in vivo data. Nutr Cancer 21, 113-131, 1994.

18) Masui Y, Markert CL. Cytoplasmic control of nuclear behavior during meiotic maturation of frog oocytes. J Exp Zool 177, 129-145, 1971.

19) Pines J. Protein kinases and cell cycle control. Semin Cell Biol 5, 399-408, 1994.

20) Elledge SJ, Harper JW. Cdk inhibitors: on the threshold of checkpoints and development. Curr Opin Cell Biol 6, 847-852, 1994.

21) Lieberthal W, Koh JS, Levine JS. Necrosis and apoptosis in acute renal failure. Semin Nephrol 18, 505-518, 1998.

22) Searle J, Kerr JF, Bishop CJ. Necrosis and apoptosis: distinct modes of cell death with fundamentally different significance.

Pathol Annu 17, 229-259, 1982.

23) Schulze-Osthoff K, Ferrari D, Los M, Wesselborg S, Peter ME. Apoptosis signaling by death receptors. Eur J Biochem 254, 439-459, 1998.

24) Yu Z, Li W, Liu F. Inhibition of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genistein in colon cancer HT-29 cells. Cancer Lett 215, 159-166, 2004.

25) Lian F, Li Y, Bhuiyan M, Sarkar FH. p53-independent apoptosis induced by genistein in lung cancer cells. Nutr Cancer 33, 125-131, 1999.

26) Choi YH, Lee WH, Park KY, Zhang L. p53-independent induction of p21 (WAF1/CIP1), reduction of cyclin B1 and G2/M arrest by the isoflavone genistein in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s. Jpn J Cancer Res 91, 164-173, 2000.

27) Sherr CJ. The Pezcoller lecture: cancer cell cycles revisited.

Cancer Res 60, 3689-3695, 2000.

28) Sanchez V, McElroy AK, Spector DH. Mechanisms governing maintenance of Cdk1/cyclin B1 kinase activity in cells infected with human cytomegalovirus. J Virol 77, 13214-13224, 2003.

29) Fattaey A, Booher RN. Myt1: a Wee1-type kinase that phosphorylates Cdc2 on residue Thr14. Prog Cell Cycle Res 3, 233-240, 1997.

30) Belenguer P, Pelloquin L, Baldin V, Oustrin ML, Ducommun B. The fission yeast Nim1/Cdr1 kinase: a link between nutri- tional state and cell cycle control. Prog Cell Cycle Res 1, 207- 214, 1995.

31) Kumagai A, Dunphy WG. The cdc25 protein controls tyro- sine dephosphorylation of the cdc2 protein in a cell-free system.

Cell 64, 903-914, 1991.

32) Harper JW, Adami GR, Wei N, Keyomarsi K, Elledge SJ.

The p21 Cdk-interacting protein Cip1 is a potent inhibitor of G1 cyclin-dependent kinases. Cell 75, 805-816, 1993.

33) Eastman A. Cell cycle checkpoints and their impact on anti- cancer therapeutic strategies. J Cell Biochem 91, 223-231, 2004.

34) Yu J, Zhang L. The transcriptional targets of p53 in apoptosis contro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1, 851-858, 2005.

35) Rosse T, Olivier R, Monney L, Rager M, Conus S, Fellay I, Jansen B, Borner C. Bcl-2 prolongs cell survival after Bax- induced release of cytochrome c. 391, 496-499, 1998.

(12)

36) Osford SM, Dallman CL, Johnson PW, Ganesan A, Packham G. Current strategies to target the anti-apoptotic Bcl-2 protein in cancer cells. Curr Med Chem 11, 1031-1039, 2004.

37) Cheng JQ, Jiang X, Fraser M, Li M, Dan HC, Sun M, Tsang BK. Role of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in che- moresistance in ovarian cancer: possible involvement of the phosphoinositide-3 kinase/Akt pathway. Drug Resist Update 5, 131-146, 2002.

38) Salvesen GS, Duckett CS. IAP proteins: blocking the road to death's door. Nat Rev Mol Cell Biol 3, 401-410, 2002.

39) Sheikh MS, Huang Y. Death receptors as targets of cancer therapeutics. Curr Cancer Drug Targets 4, 97-104, 2004.

40) Kaufmann SH, Desnoyers S, Ottaviano Y, Davidson NE, Poirier GG. Specific proteolytic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n early marker of chemotherapy-induced apop- tosis. Cancer Res 53, 3976-3985, 1993.

41) Lazebnik YA, Kaufmann SH, Desnoyers S, Poirier GG, Earnshaw WC.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by a proteinase with properties like ICE. Nature 371, 346-347, 1994.

42) Tewari M, Quan LT, O'Rourke K, Desnoyers S, Zeng Z, Beidler DR, Poirier GG, Salvesen GS, Dixit VM. Yama/CPP32 beta, a mammalian homolog of CED-3,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cleaves the death substrate poly (ADP-ribose) polymerase. Cell 81, 801-809, 1995.

43) Johnson JP. Cell adhesion molecules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malignant melanoma. Cancer Metastasis Rev 18, 345-357, 1999.

44) Fukuda K. Apoptosis-associated cleavage of β-catenin in human colon cancer and rat hepatoma cells. Int J Biochem Cell Biol 31, 519-529, 1999.

45) Chang JS, Noh DY, Park IA, Kim MJ, Song H, Ryu SH, Suh PG. Overexpression of phospholipase C-gamma1 in rat 3Y1 fibroblast cells leads to malignant transformation. Cancer Res 57, 5465-5468, 1997.

46) Bae SS, Perry DK, Oh YS, Choi JH, Galadari SH, Ghayur T, Ryu SH, Hannun YA, Suh PG. Proteolytic cleavage of phospholipase C-γ1 during apoptosis in Molt-4 cells. FASEB J 14, 1083-1092, 2000.

47) Degen WG, Pruijn GJ, Raats JM, van Venrooij WJ. Caspase- dependent cleavage of nucleic acids. Cell Death Differ 7, 616- 627, 2000.

48) Nagata S, Nagase H, Kawane K, Mukae N, Fukuyama H.

Degradation of chromosomal DNA during apoptosis. Cell Death Differ 10, 108-116, 2003.

수치

Fig. 1.  Anti-proliferative effect, morphological changes and G2/M arrest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following incubation with genistein
Table 2. Fractions of each cell cycle phase of SK-MEL-2 hu- hu-man melanoma cells cultur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genistein
Fig. 2.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cyclins and Cdks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Fig. 3. Effect of genistein on the levels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dk inhibitor p21 in SK-MEL-2 human melanoma cells
+3

참조

관련 문서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profiles of miRNA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establishment of miRNAs relate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in normal human oral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by adenosine in human oral fibroblast and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 ·

It also suggest that cell proliferation inhibits by a novel signal transduction for adenosine effect in human FaDu hypopharynx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The melanoma cell line WM793 was employed for the Fascin and MST2 knock-down and then analyzed by the Western blot assay, and the melanoma xenograft followed by Fascin

1)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Capsella bursa-pastoris on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

Results: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subline MCF-7/MX5 cells selected in the presence of 5 µg/ml mitoxantrone (MX) were more resistant to MX (15.7... Western blot and

In contrast, cells expressing wild-type form or constitutively active form of RapC (GFP-RapC and GFP-RapC G13V ) showed decreased cell area and cell adhesion, whereas rapC

 Often found connected to other molecules on the outsides of cells --- cellular recognition, cell signaling,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