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전방십자인대 기계적 수용기의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전방십자인대 기계적 수용기의 변화"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관절의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s)는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긴장을 신경학적 신호로 전환하여 중추신경계에 전달함으

로써 근육운동지각(kinesthesia)을 하는데, 이를 고유수용감각 (proprioception)이라 한다. 연령이 증가하거나 골관절염 환자에

672

목 적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전방십자인대내 기계적수용기에 대한 양적, 형태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인공슬관절 치환술시 떼어낸 11개의 전방십자인대와 젊은 성인에서 외상성 대퇴 절단시 채취한 정상 전방십자

인대 2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급속 냉각 후, 40 m로 연속절편하여 인대 하나당 최소 77에서 최대 118개의 슬라이드(총 1,308개)를 만들었다. 면역조직화 학적 염색을 한 후, 광학 현미경하에서 기계적수용기의 수와 위치 및 형태를 관찰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chi-square검정을 하였다.

결 과 : 두 개의 정상인대에서는 각각 10개와 9개의 Ruffini소체가 관찰되었고, 11개의 퇴행성 관절염군에서는 인대 하나당 평균 1.4개로 총 15개였다 (p<0.05). 기계적수용기가 관찰된 절편의 비율은 퇴행성 관절염군이 8.3%, 대조군이 4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분포는 정상인대의 경우 경 골부착부에 9개, 대퇴부착부에 10개였으며, 퇴행성 관절염군에서는 기계적수용기가 발견된 8예, 총 15개중 경골부착부에 2개, 대퇴부착부에 13개였다. 형 태는 모두 구형 또는 방추상의 Ruffini소체였고, Pacini소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퇴행성 관절염군에서 발견된 총 15개중 9개는 소위“괴사성”기계적 수 용기였다.

결 론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기계적수용기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또한 괴사를 동반한 형태가 많은 것으로 보아, 고유수용감각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 슬관절, 전방십자인대, 기계적수용기

Changes in the Mechanorecepto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Byung-Ill Lee, M.D., Kyung-Dae Min, M.D., Hyung-Suk Choi, M.D., Dong-Ill Chun, M.D., Soo-Jae Yim, M.D., Chan-Soo Lee, M.D.*, and Dong-Hwa Lee, M.D.*

Departments of Orthopedic Surgery & Path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Purpose:To clarify the morphologic and quantitative changes of mechanoreceptors of the human ACL with degenerative 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Eleven fresh specimen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were obtained from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during TKA. As a control, two fresh specimens were taken from healthy men at the time of a traumatic above knee amputation.

The whole ligaments were serially frozen and sectioned at a thickness of 40 m. Aft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mechanore- ceptors were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The ratios of sections showing mechanoreceptors were calculated. Statistical analy- ses were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In the two control specimens, nineteen mechanoreceptors were found, evenly distributed at the femoral and tibial ends. How- ever, the average number of mechanoreceptors was 1.4 (total 15) in the arthritic ligaments (p<0.05), and these were located near the femoral side rather than the tibial end. The percentage of sections showing mechanorecptors was 8.3% in the arthritic group and 40.2% in the control group (p<0.05). All receptors were round or fusiform shaped Ruffini corpuscles; Pacinian corpuscles could not be found in either group. Nine of 15 mechanoreceptors in the arthritic groups were “necrotic” in shape.

Conclusion:Mechanoreceptors in arthritic AC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number and mainly necrotic in shape. Our findings sug- gest that the numerical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mechanoreceptors are closely related with reduced proprioception in degenera- tive arthritis.

Key Words: Knee, ACL, Mechanoreceptors

672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전방십자인대 기계적 수용기의 변화

이병일ㆍ민경대ㆍ최형석ㆍ천동일ㆍ임수재ㆍ이찬수

*

ㆍ이동화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병리학교실*

672 672 통신저자 : 이 병 일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657 순천향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 02-709-9254∙FAX: 02-794-9414 E-mail: bilee@hosp.sch.ac.kr

*본 논문의 요지는 2002년도 제46차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구 연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 Byung-Ill Le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657 Hannam-dong, Yongsan-gu, Seoul 140-743, Korea

Tel : +82.2-709-9254, Fax : +82.2-794-9414 E-mail : bilee@hosp.sch.ac.kr

(2)

서는 고유수용감각의 기능이 감소된다는 임상적 보고들2,13)이 있 으나, 이는 다양하게 고안된 임상적 검사를 통한 결과들로서 고 유수용감각 자체의 복잡성 때문에 방법에 따른 변수가 많고 완 전히 이상적인 검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따라서 퇴행 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조직학적인 기계적수용기의 변화를 정상 관절과 비교해 보아 고유감각기능의 감소와의 관련 여부를 객관 적으로 관찰할 필요성이 있다. 저자들은 정상 성인과 퇴행성 슬 관절염 환자의 전방십자인대를 이용하여 기계적수용기의 양적, 형태학적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10명에서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시 채 취한 전방십자인대 11개를 실험군으로 하였다. 환자는 모두 여 자였고 연령은 56세에서 70세로 평균 63.2세였다. 대조군은 각

각 32세와 41세의 건강한 남자에서 사고로 대퇴상부 절단시 채 취한 전방십자인대 2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방법 1) 면역조직화학염색

수술장에서 얻은 신선한 전방십자인대 조직에 경골부와 대퇴 골 부착부를 표시하고, OCT (optimal cutting temperature)배 지에 넣어 액체질소로 급속 냉각 후 동결 절편하였다. 즉시 염 색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는 급속 냉동시킨 조직을 영하 70°냉 동고에 보관 후 사용하였다. 인대조직을 떼어낼 때는 가능한 조 직 표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실을 통과시켜 당기면서 부착부 를 포함하여 절취하였다(Fig. 1). 동결인대조직을 40 m두께로 연속절편을 만든 후, 각 절편을 probe on plus 슬라이드(Fisher, USA)에 부착하고 일련번호를 붙여 놓았다. 두 대조군 인대의 전체 절편수는 264개(104/160개)였고, 실험군 인대 절편수는 총 1,044개로, 인대 하나당 평균 94.9±11.8개의 절편으로 만들 었다. 동결절편 슬라이드를 알코올로 잠시 고정 후 Ultrastrep- tavidine Detectin System (Signet, MA, USA)을 이용하여 avidin-biotin complex법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5)을 시행하였다.

2) 염색 결과판정

염색한 절편의 검색은 광학 현미경하에서 각 슬라이드마다 neurofilament 양성으로 염색되는 신경섬유와 자유신경종말 및 기계적수용기의 형태를 보고 기계적수용기가 나타나는 위치를 표시하였다. 신경섬유나 수용기는 과립상으로 적갈색 염색이 되 는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각 전방십자인대마다 기계적수용기의 수를 세었고, 기계적수 용기가 보이는 절편수를 세어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기계적수용 기는 같은 부위에서 연속적으로 2-3장 이상의 슬라이드에서 볼 수 있는 경우에만 기계적수용기로 인정하였으며, 형태적 분류는

Fig. 2.Histologic finding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control: Neurofilament protein positive nerve fiber bundles and free nerve endings are shown in the subsynovial stroma (Immunohis- tochemistry, ×100).

Fig. 3.Histologic finding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degen- erative arthritis: The distribution of neurofilament protein positive nerve fiber bundles and free nerve endings are shown in the sub- synovial stroma (Immunohistochemistry, ×100).

Fig. 1.This who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was obtained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Note the knife and suture anchoring to reduce tissue damage.

(3)

Freeman과 Wake의 분류7)를 따랐다. 크기는 광학 현미경 대안 렌즈의 micrometer로 직경을 재고, 각 기계적수용기가 연속적 으로 몇 절편에서 나타나는가를 세어 측정하였다.

3.

통계학적 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chi-square검정을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일 때 통계학적 의의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신경섬유의 분포와 기계적수용기가 존재하는 절편 수 신경섬유다발과 자유신경종말은 모든 절편에서 관찰되었다.

신경섬유는 주로 경골과 대퇴골 부착부 부근의 인대를 둘러싸는 활액막하층과 인대 섬유속사이 기질내에 산재하였고 특히 혈관 주위에 많았다(Fig. 2, 3). 퇴행성 슬관절염군 인대는 대조군 인 대에 비하여 신생 혈관과 인대 섬유속 사이의 기질의 양이 많았 고 지방조직이 증가하였다. 주로 신경섬유가 많이 산재한 부위 에서 neurofilament 양성인 기계적수용기를 볼 수 있었다. 기계

적수용기를 볼 수 있었던 절편의 수는 대조군 인대에서는 총 264절편 중 106절편(40.2%)에서 볼 수 있었고, 퇴행성 슬관절 염군 인대에서는 총 1,044절편중 87절편(8.3%)에서 관찰되어 (Table 1)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기계적수용기의 분포와 수

기계적수용기의 수는 두 개의 대조군 인대에서 각각 10개와 9 개로 총 19개였으며 경골 부착부에서 10개, 대퇴골 부착부에서 9개가 분포하였으며, 이 중 16개는 신경섬유와 같이 골부착부와 인대를 둘러싸는 활액막으로 이행하는 부위의 활액막하층에 있 었고 3개는 인대 섬유속내의 기질에 있었다(Table 2, 3). 퇴행 성 슬관절염군에서는 총 11예에서 15개의 기계적수용기를 볼 수 있었으며, 기계적 수용기가 있는 8예의 전방십자인대 중, 1예에 서는 경골 부착부에 두 개, 대퇴골 부착부에 한 개의 기계적수 용기가 있었고, 나머지 7예의 인대에서는 기계적수용기 12개 모 두 대퇴골 부착부에 있었다. 이 중 인대 섬유속내에 한 개가 있 는 것 외에는 모두 활액막하층에 있었다(Table 4). 퇴행성 슬

*: intraligament, MR: mechanoreceptor.

Case No. No. of MR No. of sections/MR Location

1 1 2 Femoral

2 0

3 3 6, 8, 7 Tibial, Tibial, Femoral

4 1 7 Femoral*

5 4 5, 5, 4, 4 Femoral (all)

6 0

7 0

8 1 5 Femoral

9 2 9, 5 Femoral (all)

10 1 7 Femoral

11 2 7, 7 Femoral (all)

Total 15 88

Mean±SD 1.4±1.3 5.9±1.8

Table 4.Number of mechanoreceptors in the ACLs of the de- generative arthritis group with the number of sections and loca- tion of each mechanoreceptor

*: intraligament, MR: mechanoreceptor.

Serial No. of MR No. of sections/MR Location

1 3 Femoral

2 11 Tibial*

3 5 Femoral

4 3 Femoral

5 3 Femoral

6 7 Tibial

7 10 Tibial

8 5 Tibial

9 8 Tibial

10 4 Tibial

Mean±SD 5.9±3.0

Table 2.Number of serial sections showing one mechanore- ceptor and their locations in the ACL of control 1

*: intraligament, MR: mechanoreceptor.

Serial No. of MR No. of sections/MR Location

1 7 Femoral

2 5 Tibial*

3 5 Femoral

4 7 Femoral

5 10 Femoral*

6 3 Tibial

7 12 Femoral

8 3 Tibial

9 7 Tibial

Mean±SD 6.5±3.0

Table 3.Number of serial sections showing one mechanore- ceptor and their locations in the ACL of control 2

No.: number, MR: Mechanoreceptors, OA: Osteoarthritis.

Total No. of No. of sections sections with MR

Case No. % with MR

Control 1 104 47 45.2

Control 2 160 59 36.9

Total 264 106 40.2

OA 1 80 2 2.5

2 100 0 0.0

3 100 21 21.0

4 81 7 8.6

5 98 17 17.3

6 93 0 0

7 77 0 0

8 99 5 5.1

9 99 14 14.1

10 99 7 7.1

11 118 14 11.9

Total 1,044 87 8.3

Table 1.Number of sections containing mechanoreceptors

(4)

관절염군에서 기계적수용기의 수는 네 개가 1예, 세 개가 1예, 두 개가 2예, 한 개가 4예, 볼 수 없는 경우가 3예로서 한 예당 평균 1.4±1.3개로 대조군에서 보다 하나의 인대당 존재하는 기 계적수용기의 수가 현저하게 적었다(p<0.05).

3. 기계적수용기의 크기와 형태 및 단위 기계적수용기당 절편 수

기계적수용기의 형태는 대조군 인대에서 구형과 방추상의 모 양이고 수지상으로 분지하는 성근 신경섬유말단으로 구성되는 Ruffini소체가 대부분이었으며(Fig. 4) 장경은 100 m 이하의 작은 것에서부터 약 700 m정도로 크기가 다양하였고, 평균 크기는 280±198.9 m이었다. 동심원 구조인 Pacini소체는 볼 수 없었다. 퇴행성 슬관절염군 인대에서 관찰한 기계적수용기의 형태는 대조인대와 유사한 구형 또는 방추상의 Ruffini소체였고 Pacini소체는 볼 수 없었다. 총 15개의 기계적수용기 중 염색강 도가 약하고 모양이 성근 소위“괴사성”기계적 수용기4)가 9개 였다(Fig. 5). 퇴행성 슬관절염군의 기계적 수용기의 크기는 장 경이 100 m 이하부터 500 m까지 다양하였으나“괴사성”기 계적수용기가 대부분이라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려웠 다. 대조군 인대의 기계적수용기는 각 수용기 당 3-11개의 절편 에서 연속적으로 보여 한 개의 기계적 수용기가 차지하는 평균 절편수는 5.9±3.0절편이었다. 퇴행성 슬관절염 인대의 기계적 수용기는 각 수용기당 2-9개의 절편에서 연속적으로 관찰되었 고, 한 개의 기계적수용기당 평균 절편수는 5.9±1.8절편으로 대 조군 인대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Table 4).

고 찰

인대의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는 관절 움직임의 한 계를 감지하여 근육의 보호반사(ligamento-muscular protec- tive reflex)를 유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운동시 관절의 안정성 을 유지함으로써 조직의 손상을 막고 퇴행성 관절질환을 방지하

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이러한 고유수용감각(pro- prioception)의 기능을 측정하고자 다양한 임상적 검사들2,13)이 고안되었으나, 고유수용감각 자체의 복잡성 때문에 측정시 변수 가 많아 완전히 이상적인 검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따라서 저자들은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전방십자인대 내 고유 수용체 자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관찰해 보고자 하였다.

인대내 기계적수용기의 형태학적 분류와 양적인 측정에 대한 보고들은, 연구방법이 서로 달랐기 때문에 그 결과 또한 다양하 다13). 기존의 도금 염색법31)은 염색액에 노출되는 시간이나 절 편의 두께에 따라서 배경에 인공산물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신경 섬유 뿐만 아니라 혈관, 콜라겐과 탄력섬유도 비특이적으로 염 색이 되므로6,10) 염색결과의 신빙성이 적다고 한다. 따라서 신경 섬유에 대한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형광염색법17,18)이나 면역조직화학염색법3,5)을 통해 선택적으로 기계적수용기의 성분 만을 볼 수 있다. 또한 기계적수용기의 적절한 검색을 위해서는 연속절편하여 관찰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기계적 수용 기가 비교적 크고 때로는 인대의 부분절편에서만 보면 혈관 등 이 기계적수용기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16,19). 기존의 연구

들 중18,20,21,26,28) 인대 전체를 절편으로 만들어 검색한 연구는 많

지 않고, 이 중 Shimizu 등26), Wada 등28)과 Krauspe 등18)이 인대 전체를 연속절편하여 검색하였다. 저자들은 선택적으로 신 경섬유만을 염색하는 neurofilament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시행하였으며, 전방십자인대를 적출 후 즉시 동결하여 항원성의 보존을 도모하였고, 인대 전체를 일정 한 두께로 연속 절편하여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기계적수용기의 분류는 Free- man과 Wyke의 분류7)를 기초로 하여 I형에서 IV형으로 나누 며, I형은 구형이나 난원형의 Ruffini소체, II형은 원주형의 동심 원상의 Pacini소체, III형은 방추상의 Golgi소체, 그리고 IV형은 수초화되지 않은 자유신경종말이다. 그러나 기계적수용기의 분 Fig. 4.Histologic appearance of a mechanoreceptor in the anteri-

or cruciate ligament of the control. (A) A round Ruffini corpuscle, (B) A fusiform Ruffini corpuscle (Immunohistochemistry, ×200).

A B

Fig. 5.Histologic appearance of a necrotic mechanoreceptor i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degenerative arthritis (Immuno- histochemistry for neurofilament, ×200).

(5)

류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은 바, 각 수용기의 유형이 서로 다른 형태가 아니며 동일한 수용기가 국소적인 환경에 대하여 적응하 는 데에 따라서 형태가 다르게 보이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8).

Schultz 등23)은 사람의 전방십자인대에서 최초로 기계적수용 기를 관찰하였으며, 인대전체를 검색하지 못하였으나, 각 인대 한 개로부터 세 개의 수용기를 보았고 모양은 Golgi소체와 유사 하다고 하였다. Zimny 등30)과 Schutte 등25)은 전방십자인대의 기계적수용기로 자유신경종말 이외에 Ruffini소체와 Pacini소체 를 관찰하였고, 이중 크기가 큰 Ruffini소체는 Golgi소체와 유사 하다고 하였으며 이를 Ruffini소체의 변형으로 간주하였다. 이는 Golgi소체가 전자현미경 검색에 의하여 Ruffini소체와 유사하다 는 이전의 연구들9,24,29) 때문이고, 그 이후에도 인대에서 보는 Ruffini소체는 Golgi소체와 동일하다는 보고가 있다8,11). 본 연구 에서도 Ruffini소체와 Golgi소체는 구별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전방십자인대의 기계적수용기는 주로 Ruffini소체와 자유신경종 말이며, Ruffini소체가 가장 흔히 기술되고 있다. Krauspe 등18) 은 사람의 전방십자인대 전체의 절편을 간접 면역형광염색법으 로 검색하여 자유신경종말이외에“spiral-like” I형과“spray- like”II형의 기계적수용기를 보고 이를 Ruffini소체로 간주하였 으며, 대조군으로 피부의 Pacini소체를 염색하여 비교한 결과 전방십자인대에서 Pacini소체는 볼 수 없었다고 하였다. 본 연 구에서 관찰된 neurofilament 양성인 기계적수용기는 구형과 방추상의 수지상으로 분지하는 신경섬유 소체로서 지금까지 보 고된 Ruffini소체와 동일하였으며, 특히 방추상인 경우에 크기 가 커서 장경이 약 700 m정도이므로 Golgi소체일 가능성을 생각하였으나, 구형과 방추상이 수용기의 내부구조가 거의 동일 하여 이를 함께 Ruffini소체라고 생각하였다. 일부에서 Pacini소 체와 유사한 구조를 관찰하였으나 연속절편으로 확인하여 혈관 과 관련이 있는 신경섬유구조로 생각되었다. 국내 연구14,27) 중 에서도 사람 전방십자인대의 신경분포를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연구한 보고27)가 있으며 Ruffini소체, Pacini소체 및 신경종말 구조를 보았다고 하였으나 인대 전체의 연속절편을 시행하지 않 았으므로 그 결과를 본 연구와 비교하기는 어려웠다.

전방십자인대에서 기계적 수용기는 주로 인대의 경골과 대퇴 골 부착부에 분포하는데, 경골 부착부에 많다는 보고25,30)와 대 퇴골 부착부에 많다는 보고22,23)가 있어서 보고자에 따라 상이하 다. 본 연구에서 대조인대는 경골과 대퇴골 부착부에 거의 동일 하게 분포하였으나, 퇴행성 슬관절염에서는 대부분이 대퇴골 부 착부에 분포하였다.

기계적 수용기의 크기는 각 형에 따라서 다르며, 보고에 따라 서 전방십자인대에서는 Golgi소체가 200×75 m23), Ruffini소 체는 120 m 이하, Pacini소체는 150 m 이하라고도 하고12), 또는 Ruffini소체는 50×500 m이고 Pacini소체는 150×600 m라고 보고되고 있다13). 본 연구에서 대조인대는 장직경이 100 m 이하에서 700 m정도로 평균 280 m이었으나 퇴행 성 관절염은 소위“괴사성”기계적 수용기4)가 많아 크기를 정확

히 측정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저자들은 기계적수용기가 보이 는 절편의 수로 그 크기를 비교하였으며, 대조군의 기계적수용 기 한 개가 연속하여 나타나는 절편의 수가 평균 6.2개이고 퇴 행성 슬관절염도 평균 5.9절편으로서 두 군에서 각 기계적 수용 기가 차지하는 범위는 유사하므로 대조군와 퇴행성 관절염군의 기계적수용기 크기는 비슷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인대의 모든 절편에서 볼 수 있는 자유신경종말은 동통수용기 (nociceptor)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증과 염증의 정보를 전 달하는 것외에, 혈류를 조절하고 면역체계에 관여한다고 하며15), 활액막하층에서 주로 보이고 인대 교원섬유속의 혈관부근에 많 다고 한다13). Amir 등1)이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신경조직의 양 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퇴행성 관절염군에서 모두 인대주위의 활액막하층에 균등하게 분포하였으며, 퇴행성 관절염군에서 신 경조직이 차지하는 부위가 양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던 바, 이는 퇴행성 관절염에서 자유신경종말이 증식하는 것이며 전방십자인 대의 신경학적 역할을 시사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기계 적수용기가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자유 신경종말은 질환이 없는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증 가한다는 다른 보고1)와 비교한다면 흥미로운 소견이라고 생각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퇴행성 슬관절염환자의 전방십자인대 내 기 계적수용기가 숫적으로 현저하게 감소하고, 형태도 괴사를 동반 하는 모양이 많음을 알 수 있었으나, 이 결과로서 퇴행성관절염 의 진행이 고유수용기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인지, 또는 기계적 수용기의 손상이 퇴행성 슬관절염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 지에 대해서는 단정키 어려웠다. 따라서 퇴행성 슬관절염의 병 인과 관련하여 기계적수용기의 변화가 연관이 있는지의 여부는 퇴행성 슬관절염 초기부터 기계적수용기의 변화와 함께 슬관절 의 기능변화에 대한 추적관찰이 가능하다면 이를 밝히는데 도움 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정상 슬관절에 비해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기계적수용기의 수 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괴사를 동반하는 형태가 많은 것으로 보 아,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고유수용감각이 감소한다는 임상적 검 사들을 조직학적으로 입증해주는 결과이며, 이를 바탕으로 퇴행 성 슬관절염의 병인에 대한 연구와 임상적 적용을 위한 추가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Amir G, Lowe J and Finsterbush A: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innerva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 osteoarthritis. J Orthop Res, 13: 78-82, 1995.

2. Barrett DS, Cobb AG and Bentley G: Joint proprioception in normal, osteoarthritic and replaced knees. J Bone Joint Surg, 73-B: 53-56, 1991.

3. Biedert RM, Stauffer EDI and Friederich NF: Occurrence of free

(6)

nerve endings in the soft tissue of the knee: a histologic investigation. Am J Sports Med, 20: 430-433, 1992.

4. Delgado-Baeza, Utrilla-Mainz V, Cintrera-Porta J, Santos-Alvarez I and Martos-Rodriguez A:Mechanoreceptors in collateral ligaments:

an animal experiment. Inter Orthop, 23: 168-171, 1999.

5. Del Valle ME, Harwin SF, Maestro A, Murica A and Vega JA: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mechanoreceptors in the human posteri- or cruciate ligament. A demonstration of its proprioceptive role and clini- cal relevance. J Arthroplasty, 13: 916-922, 1998.

6. Denti M, Monteleone M, Berardi A and Panni AS: Anterior cruciate ligament mechanoreceptors: histologic studies in lesions and reconstruc- tion. Clin Orthop, 308: 29-32, 1994.

7. Freeman MAR and Wyke B: The innervation of the knee joint. An 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udy in the cat. J Anat, 101: 505-532, 1967.

8. Halata Z: Ruffini corpuscle-a stretch receptor in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skin and locomotion apparatus. Prog Brain Res, 74: 221-229, 1988.

9. Halata Z: The ultrastructure of the sensory nerve endings in the articular capsule of the knee joint of the domestic cat (Ruffini corpuscles and Pacini corpuscles). J Anat, 124: 717-729, 1977.

10. Halata Z and Haus J: The ultrastructure of sensory nerve endings in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at Embryol, 179: 415-521, 1989.

11. Halata Z, Reittig T and Schulze W: The ultrastructrue of sensory nerve endings in the human knee joint capsule. Anat Embryol, 172: 265-275, 1985.

12. Haus J and Halata Z: Innerva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ter Orthop, 14: 293-296, 1990.

13. Hogervorst T and Brand RA: Current concepts review. Mechanore- ceptors in joint function. J Bone Joint Surg, 80-A: 1365-1378, 1998.

14. Jung YB, Kim HK and Kim MK: Innervatin of the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J of Korean Knee Society. 6: 24-28, 1994.

15. Kennedy JC, Alexander IJ and Hayes KC: Nerve supply of the human knee and its functional importance. Am J Sports Med 10: 329-335, 1982.

16. Koch B, Kurriger G and Brand RA: Characterisation of the neurosen- sory elements of the feline cranial cruciate ligament. J Anat, 187: 353-359, 1995.

17. Krauspe BR, Schmidt M and Schaible HG: Sensory innerva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of the response properties of single identified mechanoreceptors in the cat. J Bone Joint Surg, 74-A: 390-397, 1992.

18. Kuauspe R, Schmitz F, Zoller G and Drenckhahn D: Distribution of neurofilament-positive nerve fibers and sensory endings in the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rch Orthop Trauma Surg, 114: 194-198, 1995.

19. McLain RF: Mechanoreceptors in human ligaments. J Bone Joint Surg, 77-B: 982, 1995.

20. Petrie S, Collins J, Solomonow M, Wink C and Chulnard R:

Mechanoreceptors in the palmar wrist ligaments. J Bone Joint Surg, 79-B:

494-496, 1997.

21. Petrie S, Collins G, Solomonow M, Wink C, Chuinard R and D’Ambrosia R:Mechanoreceptors in the human elbow ligaments. J Hand Surg, 23-A: 512-518, 1998.

22. Salo PT and Tatton WG: Age-related loss of knee joint afferents in mice.

J NeurosciRes, 35: 664-677, 1993.

23. Schultz RA, Miller DC, Kerr CS and Micheli L: Mechanoreceptors in human cruciate ligaments: a histologic study. J Bone Joint Surg, 66-A:

1072-1076, 1984.

24. Schultz TW and Swett JE: The fine structure of the Golgi tendon organ.

J Neurocytol, 1: 1-26, 1972.

25. Schutte MJ, Dabezies EJ, Zimny ML and Happel LT: Neural anato- my of the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J Bone Joint Surg, 69-A: 243- 247, 1987.

26. Shimizu T, Takahashi T, Wada Y, Tanaka M, Morisawa Y and Yamamoto H:Regeneration process of mechanoreceptors in the recon- struct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rch Orthop Trauma Surg, 119: 405- 409, 1999.

27. Song EK, Kim HS, Han HJ, Bae CS and Yoon JR: Innervation of human cruciate ligaments. J of Korean Knee Society. 4: 197-207, 1992.

28. Wada Y, Takahashi T, Michinaka Y, Morisawa Y and Yamamoto H:Mechanoreceptors of patellar tendon used for ACL reconstruction. Acta Orthop Scand, 68: 559-562, 1997.

29. Zelena J and Soukup T: The development of Golgi tendon organs. J Neurocytol, 6: 171-194, 1977.

30. Zimny ML, Schutte MJ and Dabezies EJ: Mechanoreceptors in the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at Rec, 214: 204-209, 1986.

31. Zimny ML, St Onge M and Schutte MJ: A modified gold chloride method of the demonstration of nerve endings in frozen sections. Stain Technol, 60: 305-306, 1985.

수치

Fig. 2. Histologic finding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control: Neurofilament protein positive nerve fiber bundles and free nerve endings are shown in the subsynovial stroma  (Immunohis-tochemistry,  × 100).
Table 2. Number of serial sections showing one mechanore- mechanore-ceptor and their locations in the ACL of control 1
Fig. 5. Histologic appearance of a necrotic mechanoreceptor i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degenerative arthritis  (Immuno-histochemistry for neurofilament,  × 200).

참조

관련 문서

3 Mean percentages of bone implant contact ratio i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at 6 and 12 weeks after placement of the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mpound exercise of spinning and Zumba for 8 weeks, the change in α-amyl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lt;.01), and

However, the decrease was less in the SDF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lt;0.05). In the volumetric change measurement, the volume increase of the demineralized enamel

In the region of Auerbach’s plexus (AP) of small intestine, the staining intensity of the ICC-IR cells was reduced in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numbers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In between-group comparison before and after elastic band exercis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ntage of body fat, fat-free

The change in active oxygen was decreased after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trol group, lifestyle-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blood glucose (p &lt;.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