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Method for Figurative Art of Sculptures Using Metallic Materials - Based on the purpose of displaying in the residential complex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Method for Figurative Art of Sculptures Using Metallic Materials - Based on the purpose of displaying in the residential complex"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금속재료를 활용한 조형물의 비유적 이미지 시각화 방법 연구 - 주거 단지 전시를 목적으로

원광대학교 귀금속보석공예과 교수고승근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Method for Figurative Art of Sculptures Using Metallic Materials

- Based on the purpose of displaying in the residential complex

Seung-Geun Ko

Professor, Department of Metal Jewellery Craft, Wonkwang University

요 약 현대의 주거단지는 공원을 비롯해 호수, 산책로 등 가족과 이웃의 다양한 만남과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는데, 더불어 주거 공간에 조형물을 전시하는 것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조성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대요구에 맞춰 주거 공간에 전시하는 조형물의 디자인 전개 방법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작가의 생각과 메시지를 조형물 에 넣음과 함께 관람하는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는 조형물디자인 하기 위해 디자인과정에 비유법을 활용한 은유, 유추방 법과 작가의 생각이 공유될 수 있도록 동물형상과 단순화된 디자인을 전개하고, 금속과 돌을 사용하여 조형물의 형태로 완성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조형연구를 통해 거주공간이라는 특수한 장소에 작가의 생각과 관람자 모두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조형물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조형물이 하나의 예술분야로서 특수한 장소에 다양한 시각적 요인인 비유적 시각 화 방법을 통해 형태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로서, 다양한 비유의 시각적 조형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주제어 : 금속조형, 조형, 디자인, 시각화, 비유

Abstract As the quality of our life has improved, residential complexes have become more diverse now.

Modern residential complexes function as a place for meet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and neighbors, including parks, lakes, and promenades, and exhibiting sculptures in residential spaces has become an important componen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design development method for the sculptures displayed in the residential space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and demands of the era. Through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figurative arts with metal and stone used as materials, the artist's thoughts and messages were put in the sculpture and the arts were completed as the shape of the sculpture that viewers could sympathize with. This design and formative research shows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visual elements for sympathy with the creator's thoughts can be formed in a place with the specificity of living space by using a figurative visualization method.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on figurative art of sculptures are required.

Key Words : Metal work, Molding, Design, Figurative, Metaphor

*This paper was supported by Wonkwang university in 2020.

*Corresponding Author : Seung-Geun Ko(kogeun@wku.ac.kr) Received November 10, 2020

Accepted January 20, 2021 Revised December 11, 2020 Published January 28, 2021

(2)

1. 서론

우리나라 국민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주거단지의 환경 또한 인간의 삶이 풍요로워 질 수 있도록 좋아지고 있는 실정이다[1]. 초기의 주거단지는 자연친화적으로 나 무와 풀, 꽃들을 장식했다면, 현대의 주거단지는 조형물, 벤치, 각종 모임시설과 놀이터 등을 배치함으로서 거주자 의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복 합적 형태를 띠고 있다[2,3]. 그와 함께 주거환경의 개선 을 위해 아파트 단지 내에 공원이나 산책길 등 다양한 편 의시설을 조성하게 되었고[4], 이로 인해 시각적 아름다 움을 더해 줄 조형물에 대한 요구[5,6]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대의 거주 지역에 조형물을 전시하기 위한 활발한 작품 활동이 금속조형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조형 디자인에 있어 주거 공간을 목적으로 한 금속조형 활동은 연구되지 않고 있다. 조형물에 단순 히 작가의 감성만을 담아 관람자에게 작가의 의도가 전 해지지 않고 단순히 외형으로만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제작자와 관람자가 모두 공감되는 조형물 연구를 진행하려한다. 세부적으로 금속조형물 디자인에 있어 디자인의 조형원리의 한 방법 인 비유법을 활용하여 형태화 해 보고자 한다. 비유법을 선정한 이유는 비유법은 작가의 의도와 함께 관람자에게 까지 공감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거주 공간에 전시되는 금속조형물의 디자인에 있어 작 가와 관람자가 모두 공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작된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형태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공 감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어떠한 개체의 상징적 의미를 담을 수 있는 ‘비유적'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중심으 로 비유적 개념을 알아본다.

둘째, 비유적 개념의 시각화를 위해 비유적 개념의 활 용범위와 방법을 작품 또는 연구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셋째,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주거지의 대표적 개념 을 연구자가 단어로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감성과 비유적 개념을 통해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시각 화 하여 조형물로 완성한다.

넷째, 완성된 조형물을 설명하고 결론짓는다.

다섯째, 연구 작품의 범위는 현재, 주거지역에 설치된 조형물로서 경쟁을 통해 채택되기 때문에 관람자의 공감 을 얻었다 가정하고, 주거 지역에 전시된 작품으로 한정 한다.

2. 이론적 배경

비유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른 대상이나 내용에 빗대어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으로, 어떤 대상의 모양, 성질, 특성, 상태 또는 추상적인 의미나 관념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그것과 유사한 다른 대상에 비교하여 표현하는 것 이다[7].

비유는 사물이나 상황을 효과적이고 구체적으로 선명 하게 드러나게 하는 방법이다. 즉, 서로 다른 두 사물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결합시켜서 구체적인 이해나 인식을 얻는 표현이다. 비유적 이미지란, 지각적 이미지와 같이 감각 체험에서 재생된 이미지가 아니라 의미, 개념을 표 상하고 있다[8].

비유적 표현의 특성으로는 문장 수식, 상상력 증대, 돌 려 말하기, 진술 축소, 통일성 부여, 인식의 전환 등의 기 능이 있다. 여기서 상상력 기능이 가장 중요한데, 상상력 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가 아니라 사물을 보는 새로운 관 점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비유적 표현을 통해 창의력이 한층 더 증대된다. 또한 간접적으로 우회적인 표현 또는 설득과 충격을 주기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된다[9].

비유법의 하위 개념으로는 직유법, 은유법, 의인법, 활 유법, 대유법, 풍유법[10] 등이 있다.

직유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직접적으로 비유하는 것, 은유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일체화로서 'A=b다' 라는 개념이다.

의인법은 사물에 감정을 이입하거나 정서를 반영하고 활유법은 생명이 없는 물체를 생명이 있는 것으로 표현 하는 방법이다.

대유법은 환유법과 제유법으로 나뉘는데 환유법은 사 물의 속성이나 특징으로 대처하는 방법이고 제유법은 부 분으로서 전체를 대신하는 방법이다.

풍유법은 원관념을 완전히 숨기고 보조관념만을 제시 하여 원관념의 의미를 밝혀내는 방법이다[11].

3. 비유적 개념을 활용 사례

비유적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특히 교육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김영희(2020)는 그림책을 글과 그림이 서로 상호작용 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복합매체양식으로 보고 초등 학교 글쓰기 시간에 활용하였다[9]. 이를 통해 글과 그림

(3)

을 융합하여 창작하는 창의력 증진과 국어능력을 확장시 키는 효과도 있었다. 특히 그림책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 생들에게 비유적 글쓰기를 유도하였고 비유적 방법을 통 해 학생들은 쉽게 창작에 접근하고 부담 없이 글과 그림 을 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책 창작을 통한 비유적 글 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글쓰기 태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 었으며 학생들이 창작함에 있어, 자신의 문제와 연결된 비유적 방법을 수행함으로서 수업활동에 자신감, 흥미, 태도가 모드 향상되었다.

주정란(2020)은 실제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비유적 표 현이 함축적으로 들어 있는 광고를 활용하여 교육에 적 용할 수 있는지 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방법을 제시하였 다[12]. 광고에 함축적으로 나타나는 비유 표현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외국어로 되어 있는 광고를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광고에서 나타나는 비유적 표현에 속하는 은유 와 함축적 내용을 예측하게 유도한 후 이것을 다시 글로 작성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교육방법을 통해 광 고 속의 비유적 언어를 이해하고 이를 다시 표현할 수 있 게 유도하는 리텔링 교육방법을 제안했다.

조형분야에서의 비유법 활용 사례는 아래와 같다. 비 유는 지각적 이미지를 통합하고,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만들어 하나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제시해 ㅈ는 것이다.

이미지가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다른 의미들을 풍부하게 함축하고 있는 것에 의미가 있다. 더 나아가 디자인에 비유적 이미지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과 독창적인 이미지의 적용이 필요하다. 비유 를 이루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결합이 상식적인 수준이 거나 너무 낯익어서 진부한 것이라면 충격과 경이감을 줄 수 없다.

Fig. 1. Reference picture 1

Fig. 1은 동물의 이미지에서 비유적 이미지를 추출하 여 평면화, 그래픽화, 시각화해서 표현한 작품이다.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비유적 접근을 시도한 것으로서 시각적으로 흥미롭고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재미있 게 표현되었다[7].

Fig. 2. Reference picture 2

Fig. 2는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 가운데 하 나를 대상으로 비유적 이미지를 추출하고 시각화하여 입 체적으로 나타낸 작품이다. 비유를 조형요소로 사용하여 감정의 풍경들을 담아 표현하고 전달함으로서, 예술적 표 현을 풍부하게 나타내었다. 특히 인간의 내면세계 또는 마음을 언어로 비유해 보고 전달하고자하는 핵심적 개념 을 함축적인 입체 형상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하였다.

비유적 개념 중 가장 많은 조형요소로 활용되는 것은 은유와 유추이다. 은유와는 새로운 의미를 창조한다는 뜻 이다. 은유는 합리적이고 논리적, 과학적,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의 직관과 상상력에서 나오는 것이다.

은유가 의미를 전이하는 것이라면, 유추는 어떤 사물 이나 현상들 사이에서 형식상 유사한 점이나 관련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한쪽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성질이 다 른 한쪽의 사물에도 있을 것으로 미루어 추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추는 기존의 인식하던 것으로부터 새로운 창의적인 생각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나의 내용이나 유사성을 다른 하나에 관련시켜 해결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모티브가 조 합되어 새로운 의미를 갖는 사물을 만들 수도 있다(Fig.

3 참고)[8].

연구자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비유적 개념에 있어 가장 대표되는 은유와 유추를 중심으로 디자인을 전개하 려하며, 거주공간이라는 특성을 살려 보는 사람들로 하여 금 친숙함을 유도할 수 있고 다양한 상상을 펼칠 수 있도 록 전체적인 디자인을 구체적 형상에 비유하거나 단순화 하는 두 가지 디자인 전개를 진행하려한다.

Fig. 3. Reference picture 3

(4)

Work 1

Title: Family Love

Material: Granite, Oseok, Pocheon stone, stainless steel

Size: 2400 x 1400 x 3200 mm Production: 2017

Location: Sollae Regional Housing Association Apartment in Song cheon-dong, Deokjin-gu, Jeonju

4. 비유적 이미지의 조형화 4.1 디자인 전개

연구자가 선정한 비유법 중 은유와 유추를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은유와 유추의 대상으로는 인간에 게 가장 친숙하게 다가 갈 수 있는 동물과 언어를 디자인 요소로 설정하였다.

거주공간의 특징을 살려 모든 사람들에게 익숙한 동물 을 비유적 시각화과정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디 자인의 조형원리인 점, 선, 면, 대칭, 비대칭, 비례, 율동 [13]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 재미와 특징을 비유적인 형태 로 하나의 조형물이 아닌 두 개의 개체가 합쳐져 서로 연 결되어 있는 형태로 나타냈다.

언어를 시각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거주공간의 사용 자인 가족을 중심으로 마인드맵을 통해 단어를 추출하고 여기에서 추출된 단어를 선택하여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가족애와 사랑 협동, 함께 등의 단어들이 선정되었다. 가 족애는 집을 한 공간으로 보고 이를 나누어 쓰는 개념 [14]으로 테두리의 개념과 공간을 분리하는 형태를 은유 적으로 표현하여 나타내었고 사랑은 동물과 함께 가족을 꾸리는 개념으로서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주변 환 경을 고려[15]하여 나무가 너무 무성하고 빛이 잘 안드는 곳은 따뜻한 분위기로, 주거공간의 위치가 도시적이고 모 던한 곳은 형태의 단순화 과정을 거쳐 심플하게 표현하 였다.

4.2 재료의 선정

주거 공간에 전시되는 조형물은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전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환경적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기후 또는 주변 환경에 크게 영향 받지 않을 수 있는 금 속과 돌을 주재료로 선정하였다. 금속은 부식 가능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부식을 막기 위해 표면처리를 통해 내구성을 높였다.

또한 작품의 크기가 주변 환경에 비해 너무 크거나 작 으면 시각적인 효과를 전혀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주변의 나무 및 벤치와 잘 어우러질 수 있는 크기로 변형 가능하 도록 디자인하였다.

4.3 완성작

현대와 전통의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전주에 신축되었 다. 아파트의 현대적 세련미와 전통의 우아함이 함께 어 우러져 있는 듯 두 개의 개체가 유기적인 곡선을 따라 이

어져 있도록 디자인하였으며, 사람과 문화가 공존하는 비 유적 시각화를 위해 거주공간의 기본 개념인 가족애와 구성원의 개성은 분할을 통해 나타내고 전체적인 이미지 를 안락한 아파트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개체를 하나는 받히고 있는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Work 2

Title: Nest

Material: Oseok, Yellowstone, Granite, Stainless Size: 6000 x 6000 x 7000 mm

Production: 2018

Location: Jeonju Taeyoung Desiang Apartment

현대사회에서 아파트 개념은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친 환경문화의 트렌드가 신 주거 가치로 진화되고 있는 현 실이다. 데시앙 네스트Ⅱ 아파트는 주변 저수지들과 풍부 한 녹지 공간을 확보하고 있어 가장 친근하게 느껴지는 새를 비유적 시각화 이미지로 선정하고 공동주택에서 살 아가는 구성원들의 사랑과 애정을 가족애를 전달하면서,

(5)

주변 환경의 자연 친화적 생태아파트 이미지를 나타내도 록 조형화 하였다.

주변의 친환경적 수변녹지와 조화될 수 있도록 금속재 와 석재를 재질별 조합으로 새 조형물을 녹청 착색하여 검정 오석좌대와 색상이 조화되도록 하였으며 둥지와 가 족의미로 스테인레스 파이프 벤딩과 구형석물을 이용하 여 앉아서 담소하고 쉴 수 있도록 벤치 개념기능을 조형 물 설치위치의 삼각 형태로 자연스럽게 동선을 배치하였다.

5. 결론

거주공간에 전시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시작된 본 연구 는 예술적 가치로서의 조형물과 더불어 관람자에게 편안 하게 작가의 생각과 감성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감되는 조 형물 디자인 전개위해 비유적 이미지 표현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유적 이미지의 시각화를 표현한 조형물을 완성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유는 다양한 이야기를 내포하고 있는 포괄적 인 언어로서 우리생활 전반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 조형 요소로 사용한 비유는 이질적인 두 사물의 결합과 같은 양식으로 비교를 통해 관념들이 전 달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유적 요소를 조형적으로 시각화함으로서 관람 자로 하여금 이질적인 두 대상 사이에 동일성이나 유사 성을 찾고 느낄 수 있다.

셋째, 비유의 시각화는 고정 관념이나 비유가 아닌 새 롭고 독창적인 인식을 담으며 더 나아가 시각적으로 풍 부한 상상력을 유도하며 더 나아가 시각적 충격까지도 유도 할 수 있다.

넷째, 거주 공간에 맞는 조형물을 디자인함으로서 제 작자와 관람자가 조형물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예술적 공존의 방법으로서의 조형물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형물을 디자인함에 있어 비유적 시각화라 는 세부적인 연구방법만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거주지역이라는 한정된 장소에 전시할 목적의 조형 물만을 연구한 한계가 있으나, 향후 다양한 공간에 전시 될 수 있는 예술적 조형물의 연구 범위가 넓혀지기 위해 서는 다양한 장소에 맞는 창의적 조형물에 대한 다양한 조형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S. J. Oh. (2019).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Sales Price of Multi-Household Houses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193-201.

DOI: 10.15207/JKCS.2019.10.3.193

[2] H. S. Chung. (2020). A Study on Interior Design Planning of Apartment Facilities for Community Activation,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3] D. L. Kim & H. S. Kang. (201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partment Brand Image on Occupancy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241-247.

DOI: 10.15207/JKCS.2018.9.3.241

[4] J. Y. Jo. H. S. Jang. J. Y. Jeong, W. S Nam & J. S. Jang.

(2020). Convergence Research for CIGS Solar Cell Aesthetics Product Design Development for Utilizing Urban Living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4), 157-163.

DOI : 10.15207/JKCS.2020.11.4.157

[5] T. O Choi & G. Y. Lee. (2017). Development of the Urinal of Emotional Type with Screen converging with Public Cultur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191-198.

DOI: 10.15207/JKCS.2017.8.7.191

[6] J. W. Park. W. Xie. H. S. Ro & W. S Kim. (2018). The Possibilities in Craft Creation through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52-58.

DOI : 10.15207/JKCS.2018.9.1.051

[7] C. Moon, M. J. Kim, H. K. Shin, N. S. Lim & S. H. Lee.

(2010). Basic Sculpture THINKING. Seoul:Ahn Graphics.

[8] M. Young Choi, J. H. Kim, H. S. Park, Y. C. Lee & N.

H. Jeon. (2011). Basic molding PRODUCING. Seoul:Ahn Graphics.

[9] Y. H. Kim. (2020). How to teach figurative writing through the creation of picture books:Mainly on IDEAL model,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0] S. L. Kim.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Metaphorical Express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Saseolsijo.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1] Y. S. Young. (2010). A Study onthePoetry Writ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Formation of Figurative Image,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2] L. J. Jeang. (2020). A Study on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Method using Advertising Text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3] C. Moon, M. J. Kim, S. Y. Kim, H. K. Park, J. H. Lee &

H. W. Jung. (2012). Basic Sculpture Communicating.

Seoul:Ahn Graphics.

(6)

[14] H. S. Choi. (2017). A Study on the Residential Community through Social Collective housing in France -Focused on Unité d’Habitation in Marseill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201-207.

DOI: 10.15207/JKCS.2017.8.10.201

[15] H. S. Woo. (2020). A Study on the sense of Neighborhood Community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public rental artistic Community Housing in Seoul.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F. Ambler. (2019). Story of Bauhaus.

Seoul:Sigongmunhwasa

고 승 근(Seung-Geun Ko) [정회원]

1984년 2월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금속공예과 (미술학 석사)

2006 년 2월 : 동신대학교 보석공학과 (공학박사)

1991년 2월 ~ 현재 : 원광대학교 교수

관심분야 : 디자인, 보석학

E-Mail : kogeun@wku.ac.kr

수치

Fig.  2.  Reference  picture  2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Based on the parametr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olid NaBH 4 hydrolysis using the NaHCO 3 agent, a prototype of the hydrogen 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method to evaluate Virtual Reality Art. To suggest the method, Noël Carroll's category-relative evaluation

this study analysed cast speed and solidification in thermal and flow perspectives and based on the results, conducted a confidence test on the high-speed general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 activities using Motion-based games o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첫째, UTAUT모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구매에 대해 검정한 결과 독립변수들 (성과기대, 예상노력, 사회적 영향, 유희적 가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Flourish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pan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