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연구 결과요약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연구 결과요약서 >"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연구 결과요약서 >

소속학교 충북과학고등학교 책임 지도교사 이O형 공동 지도교사 임O일

참여학생 김O영, 박O이, 이O진, 이O우

과 제 명 폐자원과 수지상균근균을 활용한 옥상녹화(Green Roof) 활성화에 대한 탐구

연구목표

옥상 녹화는 냉난방 에너지절약효과, 도시홍수 예방, 대기정화 뿐만 아니라 사무 에 지친 현대인에게 생리적·심미적 안정 효과를 주기에 도시의 중요한 조경요소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까다로운 관리와 그에 드는 수많은 비용 때문에 본래 취지와는 달리 방치되어 있는 상황이 대부분이다.

고층 건물의 옥상은 강풍으로 인한 유실현상, 수분 증발과 큰 기온차 등 여러 이유로 식물이 자라기에 열악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옥상녹화는 주로 인공 토양을 사용하여, 식물과 균근균의 공생관계를 차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Green Roof)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폐자원의 탄화를 통해 만든 바이오 숯과 옥상녹화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잔디와 공생하는 균근균 을 상토에 넣어 옥상녹화(Green Roof)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한다.

연구내용

1. 버려지는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숯 제작

가. 버려지는 폐자원 중 바이오 숯 제작 가능성 조사 나. 폐자원의 탄화를 통한 바이오 숯 제작

다. 바이오 숯이 포함된 상토의 유실, 수분증발 방지 탐구 2. 시중에 판매되는 상토와 채집한 상토의 균근균 감염여부 확인 가. 잔디가 자라는 토양과 상토, green roof 토양에서 포자 분리 나. 균근균 존재여부의 분자생물학적 확인

다. 감염된 식물의 뿌리 내 곰팡이 cloning 3. 바이오 숯, 균근균이 포함된 상토 모듈 제작 가. 포자의 분리

나. 수수를 이용한 균근균 배양 및 형태학적확인 다. 균근균과 바이오숯을 포함한 상토 제작 4. 옥상환경에 자작한 상토모듈 적용

가. 제작한 상토 모듈을 이용한 잔디의 생장량 비교

연구성과

S: 물리, 화학적 흡착과 에너지 절약, 대기정화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T: PCR을 이용해 균근균을 동정하고 분자생물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E: 탄화를 통해 바이오 숯을 제작하고 SEM을 통해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A: 옥상녹화(Green roof)를 통해 현대인에게 생리적·심미적 안정 효과를 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M: 바이오 숯과 상토의 혼합비에 따른 관계를 수학적으로 확인 및 적용할 수 있다.

주요어 (Key words)

옥상녹화(Green roof), 바이오 숯, 수지상균근균, 흡착, 토질개선

(2)

< 연구 결과보고서 >

1. 연구 개요

□ 연구 동기 및 배경

지금 우리가 밟고 있는 땅이 아닌, 인공 지반에 정원을 가꾸는 방식인 옥상녹화는 삭막한 도시환경에서 접하기 힘든 자연을 느끼게 해주고 도시인의 안식처 역할을 톡톡히 해주기 때문에 정부와 여러 대기업에서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해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다. 그밖 에 도시의 열섬효과 현상을 줄이고 옥상 생태계 형성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을 높여주며 근래에는 예술과 결합하여 색다른 미를 표현하기까지 한다. 이와 같이 심리적, 예술적, 실용적인 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옥상녹화에도 치명적인 단점 하나 존재하는데, 바로 까다로운 관리와 그와 관련된 문제들로부터 오는 유지의 어려움이다. ‘고층 건물의 옥상’ 이라는 환경은 강한 햇빛에 오래 노출되며 낮과 밤에 기온차가 크고 강한 바람으로 인한 유실 위험까지, 식물이 자라기에 어려움이 있는 환경이다. 게다가 옥상녹화에 주로 사용되는 식물 종은 지상에서 주로 자라는, 높이가 30cm 이하인 잔디, 허브, 다육식물이기 에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어떤 방법을 사용하면 옥상에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까” 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다.

□ 연구 목적

본 탐구는 옥상 녹화의 가장 큰 문제점인 물리적 요인을 바이오 숯을 이용해 극복하고, 생물학적 요인을 균근균과 식물의 공생관계를 적용시켜 까다로운 관리 없이 식물들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옥상녹화를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탐구를 진행 하려한다.

◦ 버려지는 폐자원을 활용해 옥상녹화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바이옷 숯을 제작한다.

◦ 균근균 감염여부 확인을 통해 배양해야 할 균근균을 선택한다.

◦ 바이오 숯과 균근균을 포함한 상토를 제작한다.

◦ 옥상 환경에 제작한 상토를 적용해 잔디의 생장정도를 비교한다.

2. 연구 수행 내용

□ 문제의 착안점

“옥상녹화땐 정부서 기술·자금 지원(대한전문건설신문)”, “도의회, 의원회관 옥상 정원 조성(제민일보)”, “대구 북구청, 푸른 옥상 가꾸기 추진(한국일보)” 다음 기사들처럼 정부와 기업은 최근 옥상녹화 활성화에 매진하고 있다. 이처럼 옥상녹화는 냉난방 에너지절약 효과, 도시홍수 예방, 대기정화 뿐만 아니라 사무에 지친 현대인에게 생리적·심미적 안정 효과를 주기에 도시의 중요한 조경요소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까다로운

(3)

관리와 그에 드는 수많은 비용 때문에 본래 취지와는 달리 방치되어 있는 상황이 대부분이 다. 옥상녹화에 사용되는 식물은 주변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야생화, 허브 종류가 대부분 임에도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지상에서 자라던 식물을 “옥상”이 라는 극단적인 환경으로 옮겨 놓았기 때문이다. 고층 건물의 옥상은 강풍으로 인한 유실 현상, 수분 증발과 큰 기온차 등 여러 이유로 식물이 자라기에 열악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옥상녹화는 주로 인공 토양을 사용하여, 식물과 균근균의 공생관계를 차단하 고 있다.

이에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숯을 제작’해 상토에 섞어 수분 보존 및 다공성 구조를 통한 뿌리 정착을 활성화시키고, ‘균근균과 식물의 공생관계를 이용해 생물학적 요인을 변화시켜 [옥상녹화 활성화방안]을 찾고자 한다.

□ 연구주제의 선정 과정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옥상녹화는 환경조성에 다방면으로 뛰어난 효과를 주지만 지상식물이 자라기에 극단적인 환경 때문에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이 때문에 활성화가 정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문제설정

옥상녹화의 가장 큰 문제점에는 물리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이 존재한다.

폐자원으로부터 만든 바이오 숯은 선행연구 조사에 의하면 척박한 환경에서 토질개선 효과를 통해 식물의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균근균은 식물과 공생관계를 통해 물과 무기양분의 흡수 효율을 높이고 대신 광함성 산물인 고정된 탄소를 제공받는다.

바이오 숯의 토질개선 효과와 균근균의 식물과의 공생관계를 이용하면 척박한 환경에서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켜 특별한 관리 없이 옥상녹화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 STEAM 요소를 적용한 탐구주제 선정

Science

물리, 화학적 흡착과 에너지 절약, 대기정화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Technology

PCR을 이용해 균근균을 동정하고 분자생물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Engineering

탄화를 통해 바이오 숯을 제작하고 SEM을 통해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Arts

옥상녹화(Green roof)를 통해 현대인에게 생리적·심미적 안정 효과를 주는 데 기여할 수 있다.

Mathematics

바이오 숯과 상토의 혼합비에 따른 관계를 수학적으로 확인 및 적용 할 수 있다.

(4)

□ 관련 선행연구 조사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 통합검색 사이트와 구글 학술검색에서 아래와 같은 검색어를 활용하여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검색어 검색 결과 연도 부문 작품 내용 비고

옥상 녹화

저 토 심 ㆍ 저 관 리 형 옥상녹화 시스템을 위한 Sedum 속 식 물의 내한성 평가

2010

- 저토심ㆍ저관리형 옥상녹 화 시스템의 환경조건에 적 합한 상록성 지피식물 선별

을 위한 기초 자료 제시 구글 저토심 옥상녹화시 학술

스템에 따른 토양수 분의 변화

2010

- 현장적용 옥상녹화시스템 에 중점을 맞춘 토심과 토 양배합비에 따른 토양수분 이동 특성 파악

이끼를 활용한 옥상녹

화 방법에 관한 탐구 2009 식 물

- 옥상녹화의 환경여건을 조 사하고 활성화를 위해 이끼 를 이용하여 초경량 이끼매 트 제작

전 람 회

3.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내용

○ 폐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숯의 제작 및 효과에 대한 탐구

- 바이오 숯으로 만들 수 있는 폐자원에 대한 사전조사

- 폐자원을 이용해 바이오 숯을 만들고 물리적 요인 해결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상토와 채집한 상토의 균근균 감염여부 확인 - 잔디가 자라는 토양과 상토, green roof 토양에서 포자 분리 - 수지상균근균 존재여부의 분자생물학적 확인

- 감염된 식물의 뿌리 내 곰팡이 cloning

○ 바이오 숯, 균근균이 포함된 상토 모듈 제작

- 포자의 분리

- 수수를 이용한 균근균 배양 및 형태학적확인 - 균근균과 바이오숯을 포함한 상토 제작

○ 제작한 상토모듈의 옥상환경에 적용

- 제작한 상토 모듈을 이용한 잔디의 생장량 비교

(5)

□ 연구방법 및 절차

○ 이론적 배경

1. 옥상녹화(Green roof)

건축물의 단열성이나 경관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지붕이나 옥상, 인공지반 위에 새로운 토양층을 만든 뒤 그 위에서 식물을 기르는 방식이다. 장소나 규모에 따 라 차이가 있지만, 나타나는 효과는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옥상녹화는 건물의 옥상에서 최상층으로의 열전달을 막아주며 토양의 온도가 상승하는 온도 폭이 인공자재에 비해 작기 때문에 실내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미세먼지가 식물의 잎에 달라붙어 방진의 효과도 있으며 지상과 격리된 ‘옥상’이 란 환경에서 생태계를 형성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안식처가 되어준다.

그렇기에 최근 학교를 포함한 여러 건물들에 형성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의 아크로스 빌딩 등이 있다.

2. 수지상균근균(Arbuscular mycorrhizal fungi)

현존하는 육상 식물의 약 80%는 수지상균근균(arbuscular mycorrhizal fungi)과 상 리공생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수지상균근균은 격막이 없는 균사가 특징이며 상대 적으로 큰 포자(40-650㎛)를 형성한다. 균사가 식물 세포 내부에서 풍선모양의 소 낭(vesicle)이나 나뭇가지 모양의 수지상체(arbusucle) 형성하기에 수지상균근균 (arbuscular mycorrhizal fungi)라 불린다. AMF는 식물과의 공생관계를 통해 식물의 물과 무기양분의 흡수 효율을 높이고 대신 광합성 산물인 고정된 탄소를 제공받는 다. 또한 식물 종 다양성에 영향을 주고 병해충 및 병원균으로부터의 방어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 군집 변화와 식물의 천이에도 큰 영향을 준다.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수지상균근균의 종은 240여종이 존재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수지상균근균의 40% 미만이 보고 되었다.

3. 숯

가. 숯의 물리적 성질

숯을 확대하여 보면 커다란 기공과 세공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된 표면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멍들은 숯의 표면적을 300-500m2/g으로 크게 만들어준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로서의 특징을 이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 숯의 기공 크기와 pH는 제조 온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고온탄화 숯은 염기성이 되고 저온탄화 숯은 약 산성이 된다. 잘 부셔지지 않고 불이 오래 가는 성질이 있다.

(6)

나. 수질정화제로서의 이용

숯의 다공질과 흡착성은 미생물에게 최적의 번식처가 되며, 특히 유기물을 분해하 는 방선균이 물속의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불순물을 흡착하여 미생물을 분해하 여 정화시킴으로써, 숯은 이상적인 천연 수질정화제로 활용되고 있다. 수돗물의 불순물과 염소냄새를 없앨 수 있고 숯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은 탄산염이나 산 화물이 되어 물에 녹아 미네랄수가 되게 한다. 생활하수가 흘러나오는 곳에 숯을 넎은 물이 통과 할 수 있는 부직포를 설치하고 이 속으로 폐수를 흐르게 하여 장 기간 처리하면 어류가 살 수 있는 훌륭한 수질로 정화할 수 있다.

다. 토양 개량제로서의 이용

숯과 토양을 혼합할 경우 물과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뿌리 가 호흡하는 데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존재하게 되어 식물이 생육하는 데 바람직 한 환경이 조성된다. 빗물이나 관개수에 의한 토양 손실이 감소된다. 숯의 다공성 표면에서 미생물이나 소동물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 연구 방법 및 절차

탐구과제 1. 폐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숯의 제작 및 효과에 대한 탐구

1. 폐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숯의 제작

① 선정한 Biomass를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후 끝을 접어 공기가 일부 통하 도록 한다.

② 버너와 석쇠로 약 15∼20분 동안 열분해하여 탄화시킨다.

③ 접어놓은 부분에서 수증기와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더 이상 수증기와 연기가 발생 하지 않으면 가열을 멈추고 숯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 탄화되지 않은 것을 제 거한다.

④ 생성된 숯을 빻고 갈은 후 체로 쳐 300m이하로 거른다.

2. 바이오 숯과 상토의 혼합비에 따른 수분 유실률에 대한 탐구 ① 가로×세로×높이가 50×50×20cm인 아크릴 상자를 준비한다.

② 상토와 바이오 숯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아크릴 상자에 넣는다.

③ 동일한 조건(온도, 습도, 바람)에서 아크릴 상자에 물 100mL를 넣은 후 시간별 로 상자의 질량을 측정한다.

(7)

탐구과제 2. 상토 속 균근균 존재여부 확인 1. 포자분리

① 옥상정원의 상토 1종류, 지상의 상토 3종류, 시중에 판매되는 상토 2종류를 각 각 준비하여 60mm petri dish에 20g 씩 덜어 넣는다.

② 45㎖ tube에 40% 설탕물 15㎖를 넣은 후, 주사기를 이용해 60% 소금물 15㎖

을 아래에 넣는다.

③ 망의 틈이 600㎛인 체와 300㎛인 체, 63㎛인 체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놓아 겹친후, petri dish에 담아놓았던 흙을 약하게 흐르는 물을 이용해 걸러낸다.

④ 망의 틈이 63㎛인 체 위에 걸러진 물질을 45㎖ tube에 넣고, Rotor20, 2000rpm, 1min 30 sec, 24℃로 원심분리 한다.

⑤ 원심분리한 ④의 상등액을 63㎛인 체에 넣고, 물을 약하게 흘려주면서 걸러낸 후, 포자가 포함된 물을 60㎜ petri dish에 넣는다.

2. 균근균 존재여부의 분자 생물학적 확인

①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포자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 물질을 마이크로 파이펫을 이용해 물과 함께 2㎕씩 분리하여 0.2㎖ pcr 튜브에 넣는다.

② 90% ethanol로 살균한 곤충핀을 이용하여 포자를 깨뜨린다.

③ 깨뜨린 포자가 들어있는 0.2㎖ pcr tube에 NS1/NS4 primer를 각각 1㎕씩 넣 고, 2X Taq premix(Solgent, Korea) 10㎕와 D.W 6㎕를 넣어 최종 부피를 20㎕

가 되게 한 후, 1차 PCR을 진행한다.

④ 1차 PCR 산물에 D.W 80㎕를 첨가하여 1/10 배로 희석한 후, 희석액 2㎕를 덜 어 새로운 0.2㎖ pcr tube에 넣는다.

(희석액을 주형 DNA로 하여 2차 PCR을 진행한다.)

⑤ 희석액이 들어있는 0.2㎖ pcr tube에 AML1/AML2 primer를 각각 1㎕씩 넣고, 2X Taq premix(Solgent, Korea) 10㎕와 D.W 6㎕를 넣어 최종 부피를 20㎕가 되게 한 후, 2차 PCR을 진행한다.

⑥ 100㎖ 1X TAE buffer에 agarose 1.5g을 넣고,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3분간 돌 려준 후, redsafe용액 5㎕을 넣고 주형틀에 부어 15분간 굳힌다.

⑦ 전기영동 장치에 굳은 agarose gel을 넣고 agarose gel이 잠길 때 까지 TAE buffer를 부어준다.

⑧ 2차 PCR 산물에 6X loading dye 3㎕를 넣고, 피펫을 이용해 혼합한다.

⑨ ladder를 4㎕씩 덜어 1.5% agarose gel에 loading한 후, 110V로 15분간 전기영 동을 실시한다.

⑩ UV를 이용해 DNA band를 확인한다.

(8)

3. 포자의 DNA swquencing

2차 PCR 산물을 솔젠트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에서 BLAST하여 일 치도가 가장 높은 종을 확인한다.

탐구과제 3. 바이오 숯과 균근균이 포함된 상토 모듈 제작

1. 수수를 이용한 균근균 배양 및 형태학적 확인

① 멸균된 포트에 멸균된 상토를 넣고, 무균 발아한 수수의 뿌리에 분리한 포자를 멸균수와 함께 피펫을 이용하여 하나하나 부착시킨다.

② 3개월간 일정한 온도에서 하루에 한 번씩 물을 주어 기른다.

③ 3개월이 지난후, 수수의 뿌리를 잘라 trypan blue로 염색하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균근균의 감염여부를 확인한다.

2. 바이오 숯과 균근균을 포함한 상토 제작

① 수수 뿌리 주변의 흙, 멸균토, 바이오 숯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상토를 제작한다.

② 가장 간편한 형태의 상토모듈을 제작한다.

탐구과제 4. 제작한 상토 모듈의 옥상환경에 적용 1. 제작한 상토모듈을 이용한 잔디 재배

① 제작한 상토 모듈을 옥상환경에 심는다.

② 3개월간 하루에 한 번씩 물을 주고, 3일에 한 번씩 잔디의 생장량을 확인한다.

③ 상토모듈 주변의 흙을 채취해 균근균 포자가 퍼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9)

3. 연구 결과 및 시사점

□ 연구 결과

○ 과제 1. 폐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숯의 제작 및 효과에 대한 탐구 나무젓가락과 톱밥을 약 20분 동안 가열하여 바이오 숯을 얻어내었다.

Figure1. 완성된 바이오 숯 Figure2. Chitosan RB의 SEM 사진

SEM을 이용하여 500배(좌), 4000배(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Chitosan RB의 다공성 구조가 잘 발달하였으며, 평균 10㎛의 Pore가 발달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3. Alginate RB의 SEM 사진

SEM을 이용하여 700배(좌), 5000배(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Algiante RB의 다공성 구조가 잘 발달하였으며, 평균 15㎛의 Pore가 발달한 것을 알 수 있다.

대조군(일반 상토) Alginate RB Chitosan RB

초기질량(g) 31.5 31.5 31.5

물의 양(mL) 100 100 100

2시간 후 질량(g) 91.8 94.2 90.5

6시간 후 질량(g) 89.105 92.571 91.111

각각의 함수율은 Alginate RB > Chitosan RB > 일반 상토 순으로 높았다. Chitosan RB 를 상토에 4.76% 가량 혼합한 경우, 일반 상토에 비해 1% 정도 함수율이 높았으며, Alginate RB를 상토에 4.76% 가량 혼합한 경우, 일반 상토에 비해 4% 정도 함수율이 높 았다. 현재 데이터 상에서는 함수율의 차이가 매우 작지만, 이를 더 광범위한 토양에 적 용한다면 그 차이가 더욱 커질 것이다.

(10)

과제 2. 상토 속 균근균 존재여부 확인

공원주변과 산 속의 상토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포자가 10개 정도 검출되었다. 그에 반해 구매한 상토 2종류에서는 비슷한 형태의 포자 5개 정도가 검출되었으며, 집주변, 옥상정원의 상토에서 는 포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옥상정원에서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이유는 균근균의 부재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공원 주변의 흙에서 검출된 포자(P)

P1 P3 P5 P7 P9

산 속 흙에서 검출된 포자(W)

W2 W3 W4 W5 W8

구매한 상토 A에서 검출된 포자(S)

S1 S2 S3 S4 S5

구매한 상토 B에서 검출된 포자(B)

B1 B2 B3 B4 B5

Table 3. 현미경으로 관찰한 포자

공원 주변의 상토에서 채집된 포자 DNA 구매한 상토 A에서 채집한 포자의 DNA

산 속 상토에서 채집된 포자의 DNA 구매한 상토 B에서 채집한 포자의 DNA Table 4. 젤 전기영동 결과

(11)

- PCR을 진행한 30개의 포자 DNA 중 25개의 DNA가 증폭되었고, 증폭된 DNA의 염기서 열을 분석하여 NCBI Blast를 통해 종을 확인한 결과, 관찰된 대부분의 포자가 동일한 종류였으며, 균근균의 포자였다. 이를 통해 식물과 공생관계를 갖는 균근균이 우점종임 을 알 수 있었다.

지역 샘플 학명 일치도(%) Accession number

공원 P2 Claroideoglomus lamellosum 99 KX879068.1

공원 P3 Claroideoglomus lamellosum 99 KX879068.1

공원 P6 Glomus etunicatum 98 AJ852598.1

산속 W3 Paraglomus occultum 89 JN687477.1

산속 W6 Glomus etunicatum 99 AJ852598.1

산속 W10 Ambispora leptoticha 86 KU900344.1

Table 5. DNA sequencing 결과

과제 3. 바이오 숯, 균근균이 포함된 상토 모듈 제작

3-1. 수수를 이용한 균근균 배양 및 형태학적 확인

수수의 트랩 배양 산물을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포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3-2. RB와 균근균을 포함한 상토 제작

수수 배양 포자 사진 사용한 RB 제작한 상토

과제 4. 제작한 상토모듈의 옥상환경에 적용

4-1. 제작한 상토모듈을 이용한 잔디 재배

현재 3일을 주기로 생장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후에 건중량과 잎의 흡광도를 측정할 예 정이다.

□ 결과 해석 및 논의

○ 수분 유실률 측정 결과, 일반 상토에 비해 Alginate RB를 혼합한 상토의 경우 약 70mL 정도의 수분을 더 함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lginate Bead를 통 해 식물 생장에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균근균의 부재로 옥상정원의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 결론 및 제언(시사점 및 향후 계획)

○ 옥상정원의 관리에 들어가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옥상정원의 활성화를 통한 냉, 난방비 절감을 통한 에너지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12)

4. 홍보 및 사후 활용

- 수수를 재배하는 실험에 예상외의 시간을 소비하는 바람에 미처 진행하지 못했던 잔디에 관한 실험 또한 진행하고자 한다.

- 바람이 유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코안다 효과에서 착안하여 방풍 파노라를 제작하고자 한다.

5. 참고문헌

◦ 이은화, 이정윤, 어주경, 가강현, 엄안흠 - 식물 근권토양에서 분리한 수지상균근균

『한국균학회지』(2014)

◦ Harro J. Bouwmeester, Christophe Roux, Juan Antonio Lopez-Raez, Guillaume Bécard - Rhizosphere communication of plants, parasitic plants and AM fungi(2007) ◦ 엄안흠, 구창덕, 박용우, 김상준, 이지은, 심미영, 길리종, 충북농업기술원, 서울 바이오

- 수지상 균근균을 이용한 친환경 균근 비료 및 상토 개발에 관한 연구 (2010)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http://www.ndsl.kr/index.do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www.riss.kr

◦ 구글 학술 검색

www.scholar.google.com

참조

관련 문서

- 휘어 있는 호흡기 구조를 활용하면서도 앵무조개는 많은 양의 공기를 좁은 공간으로 빨아들임 - 정삼각형을 붙여 가는 형태의 황금비를 나타내는 앵무조개 모양에서

이때 단순한 움직임보다는 파동의 간섭현상을 통해 관찰 가능한 여러 모습을 이용하여 더욱 규칙적인 물의 움직임을 생성한다.. 위상이 같은 두 파동이 만나

이를 위해 보이는 방향으로의 구좌표계 도입을 통해 표면을 렌더링 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고민해보았다... 그러나 프로그래밍을 통해 3차원 객체를 2차원 평면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던지는 방식이 아닌 방향을 맞춘 뒤, 대략적인 거리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앞으로 이동하여 구명 튜브가 전개되는 방식으로 결정함으로써 누구나

○ 피부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의 여가시간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교통이 발달하면 서 쉽게 여행을 다닐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일본의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배기가스의 문제점이 크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가스 속 미세먼지도 커다란 환경오염 요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현 재 나와 있는 설계인 트러스 구조와 비교해서도 상당히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응답 가속도 값 자체로 볼 때에도 트러스 구조와 상당히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는데

MAC주소 및 악성코드의 복사시간 실행시간을 텍스트 파일에 저장하는 악성코드 제작,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서버로 전송하는 악성코드 제작 , USB가 인식되었을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