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식도 게실에서 식도운동검사 소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식도 게실에서 식도운동검사 소견"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303 - 310

1)

접수: 1998년 8월 27일, 승인: 1998년 10월 24일 연락처: 박효진, 135-270,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146-9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내과 Tel: (02) 3497-3310, Fax: (02) 3463-3882

서 론

일반적으로 식도 게실은 염증성 질환이나 식도 운동성 질환에 의한 식도 내압의 상승으로 발생된다

식도 게실에서 식도운동검사 소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창규・박효진・김경욱・정대호・송종원・이홍우・이상인・문영명・박인서

Th e F i n d i n g s o f E s o p h a g e a l Mo t i li t y Te s t s i n E s o p h a g e a l D i v e r t i c u la

Ch a n g Ky u Le e , M.D., H yo J i n P a rk , M.D., Ky u n g Wo o k Ki m , M.D., D ae Ho Ch u n g , M.D., J o n g Wo n S o n g , M.D., Ho n g Wo o Le e , M.D., San g In Le e , M.D., Youn g Myung Moon, M.D. a nd In Su h P ark,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Aims: It is commonly stated that hypopharyngeal and epiphrenic diverticula may be

resulted from motor abnormalities of the esophagus and midesophageal diverticulum is a response to scarring and traction on the wall of the esophagus by external inflammatory proces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motor abnormalities of the esophagus which are related to esophageal diverti cula.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and ten normal controls were recrui t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marshmallow esophagogram, esophageal manometry and radionuclide esophageal scan for the esophageal diverticula group and marshmallow esophagogram and radionu clide esophageal scan for the normal control group. Results: In marshmallow esophagogram of the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15 patients showed abnormal findings as mild (4 cases, 26.7%) moderate (5 cases, 33.3%) and severe (6 cases, 40.0%) patterns. In esophageal manometry, 11 pati ents showed abnormal esophageal motility patterns in which 7 cases were non-specific esophagea motor disorder (63.6%) and 4 cases were nutcracker esophagus (36.4%). In the parameter of esopha geal sca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Esophageal diverticula have no significant findings in esophageal transit on radionuclide esophagea scan, but over a half of the patients showed abnormal motility patterns in marshmallow esophago gram or esophageal manometry. (Kor J Gastroenterol 1999;33:303 - 310)

Key Words: Esophageal diverticula, Esophageal motor disorders

(2)

304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3 호 1999

고 알려져 있다.1 식도 게실은 발생 부위에 따라 식 도 체부를 3등분하여 상부 및 중부, 하부 게실로 분 류하며, 발생 기전에 따라 압출성(pulsion type)과 견 인성(traction type)으로, 그리고 조직학적 소견에 따 라 식도 점막이 약해진 근육층을 밀고 나가 형성된 가성 게실과 식도벽 전층이 주위 조직의 염증 변화 로 견인된 진성 게실로 분류된다.2

최근에 식도 운동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이 발달 함으로써, 식도 게실의 발생 원인이 식도 운동성 질 환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주로 식 도 체부의 상부 및 하부, 특히 인두 하부 및 횡격막 상부 게실이 식도 운동성 질환과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횡격막 상부 게실의 경우 그 병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3 대부분은 식도 운동 장애 즉, 미만성 식도 경련, 식도 체부의 비특이성 운동 질환, 고압성 하부식도 괄약근 및 하부식도 괄약근 이완불능증 등 이 동반된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4-7

상부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환자에서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나 식도조영검사에서 식도 게실 이 우연히 발견되거나, 연하 곤란이나 비심인성 흉 통 및 이물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군에서 발 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후자의 경우 연관된 식도 운 동성 질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이견이 많 다. 이에 저자들은 식도 게실 환자군에서 식도 운동 장애 여부를 평가하여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 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95년 3월부터 98년 1월까지 영동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를 내원한 환자 중에서 식도조영검사나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에서 식도 게실로 진단된 29 명(평균 연령 51.2±12.8세, 남자 14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marshmallow 식도조영검사, 식도내압검사, 그리고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식도통과주사를 시행하였다.

식도 게실 환자 중 3예(10.3%)는 무증상이었으며, 호소하는 증상 중에 연하 곤란 8예(27.6%), 흉통 10 예(34.5%), 이물감 5예(17.2%), 상복부 불편감 4예

(13.8%), 그 외 오심, 신트림 등이 각각 1예(3.4%)씩 이었다. 흉부 방사선 소견에서 결핵 흔적이 있는 환 자가 5예(17.2%), 만성 염증이 있는 환자는 4예 (13.8%)이었다.

식도통과주사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무증상이며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하였다(평균 연령 24.2±

2.1세, 남자 10명).

2. 방 법

1) M a r s hm a llow 식도조영검사

본 검사는 본 교실의 표준화된 방법8에 의해 시행 한 바,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식도 게실 환자와 무 증상의 대조군에서 먼저 복와위(prone position)를 취 하게 하고 황산바륨과 함께 평균 직경 20 mm의 marshmallow 덩어리를 삼키게 하면서 식도조영검사 를 시행하였다. Marshmallow를 삼킨 후 1분 이내에 는 침을 삼키지 않도록 하였는데, 이는 또 한 번의 연하로 인하여 첫 번째 연하의 정상적인 연동에 지 장을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먼저 복와위에서 식도내 marshmallow의 진행을 관찰하여, marshmallow의 정상 통과 시간으로 정한 30초보다 더 길어질 때를 지체(hesitation)라고 정의 하였고, marshmallow가 식도의 한 부위에서 걸려 더 이상의 진행이 없는 경우를 정지(impaction)라고 하 였다.9,10 복와위에서 30초 이상 정지된 소견이 계속 될 때에는 환자를 다시 직립위(standing position)를 취하게 한 뒤 marshmallow의 진행 여부를 관찰하였 고, 만약 직립위에서도 계속 정지의 소견이 있으면 침을 삼키도록 하였다.

검사시 형광투시(fluoroscopy)를 하면서 순간 동 작을 촬영하였으며, 이상의 검사로 marshmallow 덩 어리 진행의 지체만 있을 경우를 ‘경증’(mild), 복와 위에서만 걸림이 있을 경우를 ‘중등증’(moderate), 직립위에서조차 걸림이 있는 경우를 ‘중증’(severe) 으로 구분하였다. 식도 게실의 크기는 식도의 가상 연장선에서 게실의 최대 만곡부까지를 수직으로 잰 거리로 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임의로 대・중・소로 구분하였는데 2.1 cm 이상을 대(大)로, 1.1-2.0 cm의 크기를 중(中)으로, 1.0 cm 이하를 소(小)로 구분하 였다. 식도 게실의 위치는 통상의 식도를 삼등분하

(3)

이창규 외 8인. 식도 게실에서 식도운동검사 소견 305 여 상부, 중부 및 하부로 구분하였다.

2) 식도내압검사

식도 내압은 측공이 8개인 둥근 폴리비닐 도관 (Synetics Medical Co. Stockholm, Sweden)을 사용하 였는데, 원위부의 측공 4개는 동일 선상에 90°각도 로 배열되어 있고, 나머지 측공은 5 cm 간격의 총 75 cm의 도관이었다. 각각의 측공은 low-compliance pneumohydraulic capillary infusion system (Synetics Medical Co. Stockholm, Sweden)을 이용하여 분당 0.5 mL의 속도로 증류수가 관류되었다. 도관은 압력 변환 장치인 PC polygraph (Gastrosoft Inc. USA, version 6.31)에 연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환자 는 아침을 금식시키고 오전에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하였으며, 내압 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는 48 시간 전부터 금식시켰다. 검사는 앙와위에서 하부식 도 괄약근, 식도 체부, 상부식도 괄약근의 순서로 하 였다. 하부식도 괄약근압 측정은 도관을 코를 통하 여 삽입 후 4개의 측공이 위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station pull through 방법으로 하부식도 괄약근의 위 치, 압력, 길이 및 이완 정도를 관찰하였다. 식도 체 부는 근위부 구경 4개를 하부식도 괄약근 상부 3 cm, 8 cm, 13 cm, 18 cm에 위치시킨 뒤 실온의 물 5 cc를 30초 간격으로 10회 이상 삼키게 하여 나타 나는 수축파의 평균을 구하였다.

3) 방사성 동위원소 식도통과주사

대상자는 검사 전날 밤 10시부터 금식하도록 하 였고, 위장관 운동에 관계된 복용약이 있을 경우 최 소 72시간 이상 복용을 중단하도록 하였다. 대상자 를 저에너지 범용 조준기가 부착된 감마 카메라(AD- AC, Millpitas, USA)밑에 앙와위로 눕힌 후 구강, 식 도 및 위의 일부가 포함되도록 자세를 잡고, 유동식 이 및 고형식이로 구분하여 검사를 하였다. 유동식 이 통과검사는 1 mCi 99mTc 표지 황교질(sulfur colloid)을 포함하는 물 10 mL를 만들어 입에 머금 게 하고, 한꺼번에 삼키도록 한 다음 30초 간격으로 180초 동안 총 6회의 연하 운동을 반복시켰다. 고형 식이 통과검사는 1 mCi 99mTc 표지 황교질(sulfur colloid)과 시리얼(cereals) 2 g, 젤리 6 g, 물 10 mL를

함께 원형 컵에 섞어 젤 형태로 만든 뒤, 4등분한 1 조각(4.5 g, 6.9 Kcal, 2.4 cm)으로, 유동식이 통과검 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꺼번에 삼키도록 한 다음 30초 간격으로 180초 동안 총 6회의 연하 운동을 반 복시켰다. 자료의 수록이 끝난 후 영상을 보면서 전 체 식도 영역에 대한 시간 방사능 곡선을 얻어서, 유 동식이와 고형식이에서 각각 반감기(T1/2) 및 30초 정체율(R30)을 구하여 식도 게실 환자군과 정상 대 조군을 비교하였다.

3. 통계학적 분석

통계 분석은 Mann-Whitney U 및 Wilcoxon Rank Sum W Test,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유의 수준 p<0.05를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상 관계수 r>0.5를 통계학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하였 다.

결 과

1. M a r s h m a llow 식도조영검사

식도 게실을 가진 23명의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10명에서 시행한 marshmallow 식도조영검사에서 식 도 게실 환자군에서 비정상이 15예(65.2%)였으며, 이 중 경증 4예(26.7%), 중등증 5예(33.3%) 및 중증 6예(40.0%)이었으며(Fig. 1), 대조군에서는 모두 정 상 소견을 나타내었다. 식도 게실 환자의 marshmal- low 식도조영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는 군에서 도 흉통 3예(37.5%), 연하 곤란, 이물감 및 상복부 불편감이 각각 1예(12.5%)였고, 비정상군의 중증도 에 따른 증상을 살펴볼 때, 경증에서는 무증상, 흉통 오심 및 상복부 불편감이 각각 1예(25.0%)였고, 중 등증에서는 무증상, 연하 곤란, 흉통, 상복부 불편감 및 신트림이 각각 1예(20.0%)였으며, 중증에서는 연 하 곤란 3예(50.0%), 흉통, 이물감, 상복부 불편감 등 이 각각 1예(16.7%)의 결과를 나타냈다.

식도 게실의 크기는 대형 6예(23.1%), 중형 12예 (46.1%), 소형 8예(30.8%)였으며, 최소 0.5 cm, 최대 3.0 cm로서 평균 크기는 1.6±0.8 cm였다. 대형에서 연하 곤란 2예(33.3%), 무증상, 흉통, 이물감, 상복부 불편감 등이 각각 1예(16.7%)였고, 중형에서 흉통 5

(4)

30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3, 1999

예(41.7%), 이물감 3예(25.0%), 무증상 및 연하 곤란 이 각각 2예(16.7%)였고, 소형에서는 흉통 3예 (37.5%), 상복부 불편감 2예(25.0%), 무증상, 연하 곤란 및 이물감이 각각 1예(12.5%)였다.

게실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상부 3예 (11.5%), 중부 19예(73.1%), 하부 4예(15.4%)였다.

위치에 따른 증상으로 상부의 경우 흉통, 연하 곤란 및 이물감이 각각 1예(33.3%)였고, 중부의 경우 연 하 곤란, 흉통이 각각 5예(26.3%)였고, 무증상 4예

(21.1%), 상복부 불편감 3예(15.8%), 이물감 2예 (10.5%)였으며, 하부의 경우 흉통 2예(50.0%), 이물 감 및 신트림이 각각 1예(25.0%)였다. 즉, marshmal- low 식도조영검사에서의 중증도 및 게실의 크기, 위 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증상이 고루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식도 게실의 크기는 marshmallow 식도조영검사 에서의 중증도 등과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r=0.355) (Fig. 2).

Fig. 2. Correlation between size of esophageal diverticula and severity on mar- shmallow studie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Fig. 1. Marshmallow esophagograms in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 cula. Of the 23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15 patients showed abnormal findings in marshmallow esophagogram as mild, moderate, severe patterns.

(5)

Lee et al. Esophageal Motility Tests in Esophageal Diverticula 307

2. 식도내압검사

식도 게실 환자 19명에서 시행한 식도내압검사에 서 8예(42.1%)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으며, 11예 (57.9%)에서 식도 운동 이상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식도내압검사에서 정상군에서 게실의 위치에 따라 상부 및 하부 1예씩(12.5%), 중부 6예(75.0%)였고, 게실의 크기에 따라 대형 1예(12.5%), 중형 4예 (50.0%), 소형 3예(37.5%)의 분포 양상을 보였고, 호 소하는 증상으로는 흉통 3예(37.5%), 연하 곤란 2예 (25.0%), 상복부 불편감, 이물감 및 무증상이 각각 1 예(12.5%)였다.

식도내압검사에서 관찰된 이상 소견은 비특이성 식도 운동 질환 7예(63.6%), 호두까기 식도증 4예

(36.4%)의 결과를 보였는데(Fig. 3), 비특이성 식도 운동 질환중 게실은 모두 중부에 있었으며, 대형 2 예(28.6%), 중형 4예(57.1%), 소형 1예(14.3%)의 분 포였고, 증상은 연하 곤란, 흉통, 무증상이 각각 2예 (28.6%), 상복부 불편감 1예(14.3%)였다. 호두까기 식도증에서의 게실의 위치는 상부 1예(25.0%), 중부 3예(75.0%)였으며, 대형 2예(50.0%), 중형 및 소형이 각각 1예(25.0%)였고, 증상은 연하 곤란 2예(50.0%), 흉통 및 무증상이 각각 1예(25.0%)의 양상을 나타내 었다.

비특이성 식도 운동 장애의 소견으로는, 모든 예 에서 식도 체부의 낮은 수축압을 나타냈는데, 주로 식도 중부 및 하부에서 감소 소견을 보였고, 5예에 서 비진행성 수축파(non-transmitted contraction)를, 1

Fig. 3. Esophageal manometric findings in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Of the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11 patients showed abnormal esophageal motility patterns as NEMD and nutcracker esophagus.

Table 1. Parameters on Esophageal Scan in Control and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Group

Esophageal scan

Liquid meal Solid meal

T1/2 R30 T1/2 R30

Control Patients p-value

4.8±4.8 8.7±12.9

0.68

11.3±5.2 22.6±22.6

0.28

7.7±10.5 4.4±3.5

0.23

15.1±15.8 15.6±14.2

0.93 T1/2, time to reach half of radioisotopes; R30, retention rate at 30 seconds.

(6)

30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3 호 1999

예에서 역행성 수축파(retrograde contraction)의 소견 을 보였다.

정상 식도내압검사 소견을 보이는 식도 게실 환 자군과 식도 운동 이상 소견을 보이는 식도 게실 환 자군에서의 게실의 위치, 크기에 있어서 큰 차이점 은 없었다.

3. 방사성 동위원소 식도통과주사

정상 대조군 10명과 식도 게실 환자 14명에서 방 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식도통과주사를 시행하였 으며, 유동식이에서 T1/2는 대조군에서 4.8±4.8초, 환자군에서 8.7±12.9초, 30초 정체율은 대조군에서 11.3±5.2%, 환자군에서 22.6±22.6%의 결과를 나타 냈으며, 고형식이에서의 T1/2는 대조군에서 7.7±

10.5초, 환자군에서 4.4±3.5초, 30초 정체율은 대조 군에서 15.1±15.8%, 환자군에서 15.6±14.2% 의 결 과를 보였으며, 유동식이의 T1/2, 30초 정체율에서 다 소 지연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1).

유동식이에서 5명의 환자에서 평균치보다 심한 정체를 보였는데 게실의 위치에서 모두 중부였으며, 크기는 대형 3예(60.0%), 중형 및 소형이 각각 1예 (20.0%)였고, marshmallow 식도조영검사에서 중증 2예(40.0%), 중등증 3예(60.0%)의 분포였으며, 식도 내압검사에서 비특이성 식도 운동 질환 2예(40.0%), 호두까기 식도증 1예(20.0%)가 관찰되었다. 호소하 는 증상은 상복부 불편감 2예, 연하 곤란, 흉통 및 무증상이 각각 1예씩이었다.

고 찰

식도는 인두로부터 위까지 이어지는 근육막성 통 로로서 상・하부 괄약근과 체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식도 괄약근은 주로 윤상 인두근이 관여하고 식 도 체부중 상부 1/3은 횡문근, 하부 2/3는 평활근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식도 괄약근은 3-4 cm 길 이로 다른 부위와 생리적 특성이 다른 원형 평활근 으로 구성되어 있다.11-13

소화관의 게실은 대부분 괄약근의 상부에 발생되 는 것이 특징이며14 식도 게실의 경우 발생 위치에

따라 상부, 중부 그리고 하부 게실로 분류를 한다.

대체로 식도 체부 상부 게실 및 하부 게실은 압출성 게실이고, 식도 중부 게실은 주로 기관, 기관지, 림 프선 등 주위 조직의 염증에 의해서 생기는 견인성 게실로 게실낭이 식도벽의 모든 층을 포함하는 진성 게실로 알려져 왔으나2,15 최근의 경향은 중부 식도 게실의 원인도 염증 반응보다는 식도 운동 장애로 인한 것이라는 의견7,16,17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생 빈도는 인두 하부식도 게실(Zenker' s diverti- culum)이 가장 많고 식도 중부 및 하부 게실은 비교 적 낮은 발생 빈도를 보인다는 보고17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상부 게실이 3예, 하부 게실이 4예, 중부 게실이 19예로 식도 중부 게실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식도 게실의 경우 상부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환자에서 상부소화관 내시경검사나 식도조영 검사에서 식도 게실이 우연히 발견되거나, 연하 곤 란이나 비심인성 흉통 및 이물감 등의 증상을 호소 하는 환자군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체 로 식도 게실 환자들에서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 으며,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는 주로 상부 게실인 경 우, 고식적인 연하 곤란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데, 이 와 같은 연하 곤란, 비심인성 흉통, 이물감 등의 증 상은 식도 게실 자체에 의한 증상이라기 보다는 식 도 운동 장애로 인한 증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7 그 러나, 극히 일부의 환자에서 거대 게실로 인해 하부 식도의 각이 져서 폐쇄 현상이 생기거나, 게실 내부 에 생긴 궤양, 거대 게실로 인한 흉부 압박에 의해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그 외 음식의 역류나 구토, 트 림, 음식물의 기관지 흡입,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수가 있다고 하나 대부분의 경우 게실의 크기는 증 상과는 별로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4 본 연구에서도 식도 게실의 크기는 marshmal- low 식도조영검사의 중증도 구분에서 편중됨이 없 이 즉, 상관 관계 없이 무작위 분포됨을 볼 수 있었 다(r=0.355).

일반적으로 상부 및 하부 게실 중에서 특히 인두 하부 및 횡격막 상부식도 게실에서 식도 운동 장애 와 관련있다고 하며, 횡격막 상부 게실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기능 장애나 다른 운동성 질환과 관계가

(7)

이창규 외 8인. 식도 게실에서 식도운동검사 소견 309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간혹 협착과 같은 기계적 폐쇄로 인한 내압의 증가로 인할 수도 있다고 한 다.17 즉, 하부식도 괄약근과 식도 연동 운동의 부조 화 등에 의해서 횡격막 상부 게실이 동반되며, 흔히 관련되는 식도 운동 이상으로서는 미만성 식도 경 련, 식도 체부의 비특이성 운동 장애, 그리고 하부식 도 괄약근 이완불능증 등이 보고되고 있다.1,4-7,18 횡 격막 상부 게실 환자에 있어서의 식도 운동 장애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도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는 않지만2,6,7 횡격막 상부 게실 환자 65명 중 50예 (76.9%)에서 식도 운동 질환이 동반되었다는 보고3 가 있고, 이 중 미만성 식도 경련 21예(32.3%), 식도 이완불능증 13예(20.0%), 고압성 하부식도 괄약근 6 예(9.2%), 비특이성 식도 운동 장애 10예(15.4%) 등 이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도 체부 상부 및 하 부 게실의 증례 수가 적어 그 의미를 정확하게 평가 하기가 어려웠지만, 본 교실의 과거 보고19에서 1970 년부터 15년간 본원에 내원한 91예의 식도 게실 환 자 중에서 20예(22.0%)가 횡격막 상부 게실이었으 며, 동반된 질환으로는 식도 이완불능증 2예(10.0%), 역류성 식도염 2예(10.0%), 식도 열공 허니아, 미만 성 식도경련, 게실내의 식도석, 흡입성 폐렬이 각각 1예였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부 게실 19예 중 에서 식도내압검사에서 호두까기 식도증 2예(10.5%), 비특이성 식도 운동 장애 7예(36.8%), 정상 소견 10 예(52.6%)의 분포 양상을 나타내었다.

식도 게실 환자의 식도내압검사에서 비특이성 식 도 운동 장애를 보이는 경우, 식도내압검사에서 진 폭이 낮을수록 방사성 동위원소 식도 통과 시간이 지연되었다고 하며, 연동 수축파의 속도와 식도통과 시간 사이에 반비례의 관계를 보여 속도가 빠를수록 통과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출현하는 이상 수축파의 종류가 많을수록 통과 시간 지연이 관찰됨을 보고한 연구18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 용한 식도통과주사에서 방사성 계수치가 절반이 되 는 반감기(T1/2) 및 연하 30초 후에 방사성 동위원소 의 정체율(R30)을 구하여 식도 게실이 없는 대조군 10명의 식도통과주사 결과와 비교하였는데, 유동식 이의 T1/2 및 30초 정체율에서 다소 지연된 소견을 보였으나,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식도 게실에서

는 식도통과 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 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도 게실 자체가 식도 운동에 영향을 주어 이상 운동의 형태로 나타 난다기보다는, 고유의 식도 자체 운동 질환이 임상 증상 및 marshmallow 식도조영검사, 식도내압검사 와 방사성 동위원소 식도통과주사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 생각된다.

요 약

목적: 일반적으로 식도 게실은 염증성 질환에 의 해 발생되거나 식도 운동성 질환에 의해 식도 내압 의 상승으로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부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환자에서 상부소화관 내시경 검사나 식도조영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거나, 연하 곤란, 비심인성 흉통 및 이물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 는 환자군에서 발견되는 경우, 연관된 식도 운동성 질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다. 이에 저자 들은 식도 게실 환자에서 연관된 식도 운동의 이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marshmallow를 이용한 식 도조영검사, 식도내압검사 및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 용한 식도통과주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식 도 게실 환자 29명(평균 연령 51.2±12.8세, 남자 14 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marshmallow를 이용한 식도조영검사, 식도내압검사, 그리고 방사성 동위원 소를 이용한 식도통과주사를 시행하였으며, marsh- mallow 식도조영검사의 비정상 소견은 marshmallow 덩어리 진행의 지체만 있을 경우 ‘경증’, 복와위에서 만 걸림이 있을 때를 ‘중등증’, 직립위에서조차 걸림 이 있을 때를 ‘중증’으로 구분하였다. 정상 대조군 10명(평균 연령 24.2±2.1세, 남자 10명)에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식도통과주사를 시행하여 환자 군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Marshmallow 식도 조영검사에서 비정상의 경우가 15예(65.2%), 이 중 경증 4예(26.7%), 중등증 5예(33.3%) 중증 6예 (40.0%)이었고, 게실의 크기는 대형 6예(23.1%), 중 형 12예(46.1%), 소형 8예(30.8%)이었으며, 게실의 위치에 따라 상부 3예(11.5%), 중부 19예(73.1%), 하 부 4예(15.4%)이었다. 식도 게실의 크기는 marsh-

(8)

31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3, 1999

mallow 식도조영검사에서의 중증도와 연관성을 보 이지 않았다. 식도내압검사에서 비정상이 11예 (57.9%), 이 중 비특이성 식도 운동 장애 7예(63.6%), 호두까기 식도증 4예(36.4%)였고, 정상이 8예(42.1%) 였다. 식도통과주사에서 유동식이에서 T1/2은 대조군 에서 4.8±4.8초, 환자군에서 8.7±12.9초, 30초 정체 율은 대조군에서 11.3±5.2%, 환자군에서 22.6±

22.6%이며, 고형식이에서의 T1/2은 대조군에서 7.7±

10.5초, 환자군에서 4.4±3.5초, 30초 정체율은 대조 군에서 15.1±15.8%, 환자군에서 15.6±14.2%의 결 과로 유동식의 T1/2 및 30초 정체율에서 다소 지연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식도 게실이 식도 운동에 영향을 주어 이상 운동의 형태로 나타난다기보다는 고유의 식도 자체 운동 질환이 임상 증상 및 marshmallow 식도조영검 사, 식도내압검사와 방사성 동위원소 식도통과주사 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 타당 하리라 생각된다.

색인단어: 식도 게실, 식도 운동 질환

참 고 문 헌

1. 문병수, 박효진, 김충배, 이천균, 강진경, 박인서. 식도 운동장애를 동반한 횡격막 상부 식도 게실증 3예. 대 한소화기학회지 1997;29:687-693.

2. Duda M, Sery Z, Vojacek K, Rocek V, Rehulka M Etiopatho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esophageal diverticula. Int Surg 1985;70:291-295.

3. Debas HT, Payne WS, Cameron AJ, Calson HC Physiopathology of lower esophageal diverticulum and its implications for treatment. Surg Gyneco Obstet 1980;151:593-600.

4. Belsey R. Functional disease of the esophagus. J Thorac Cardiovasc Surg 1966;52:164-168.

5. Dodds WJ, Stef JJ, Hogan WJ, Hoke SE, Stewar ET, Arndorfer RC. Distribution of esophageal peris taltic pressure in normal subject and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um. Gastroenterology 1975;69:

584-587.

6. Orringer MB. Epiphrenic diverticula, fact and fable

Ann Thorac Surg 1993;55:1067-1069.

7. Evander A, Little AG, Ferguson MK, Skinner DB Diverticula of the mid-and lower esophagus: path ogenesis and surgical management. World J Surg 1986;10:820-828.

8. 서정건, 박효진, 김경철 등. Marshmallow를 이용한 식도 조영술의 의의. 대한소화기학회지 1996;28:382- 390.

9. Kelly JE. The marshmallow as an aid to radiologi examination of the esophagus. N Engl J Med 1961;265:1306-1307.

10. Davies HA, Evans KT, Butler F, Mckirdy H Willams GT, Rhodes J. Diagnostic value of bread barium swallow in patients with esophageal symp toms. Dig Dis Sci 1983;28:1094-1100.

11. Christensen J, Freeman BW, Miller JK. Som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in the opossum. Gastroenterology 1973;64:

1119-1125.

12. Christensen J, Conklin JL, Freeman BW. Physio logic specialization at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in the three species. Am J Physiol 1973;225:1265 1269.

13. Christensen J. Pharmacological identification of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J Clin Invest 1970;49 681-685.

14. 김충배, 김도일, 민진식. 거대 횡격막 상부 식도게실의 치료 원칙. 외과학회지 1993;46:268-271.

15. Kraugh J. Tuberculosis diverticula of the oesopha gus. Acta Otolaryngol 1922;4:49-62.

16. Kaye MD. Oesophageal motor dysfunction in pa tients with diverticula of the mid-thoracic oeso phagus. Thorax 1974;29:666-672.

17. Rivkin L, Bremner CG. Pathophysiology of mid- esophageal and epiphrenic diverticula of the esopha gus. S Afr Med J 1986;66:127-129.

18. 오정진, 송치욱, 현진해. 식도 운동 질환에 있어서 동 위원소 식도통과검사와 식도내압검사의 비교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1994;47:618-628.

19. 장 준, 정재복, 전재윤, 이상인, 문영명, 최흥재. 횡격 막상부 식도게실의 임상. 대한내과학회지 1985;29 (suppl):13.

수치

Fig. 1. Marshmallow esophagograms in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 diverti-cula. Of the 23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15 patients showed abnormal findings in marshmallow esophagogram as mild, moderate, severe patterns.
Table 1. Parameters on Esophageal Scan in Control and Patients with Esophageal Diverticula

참조

관련 문서

▫ Mechanical causes or motility disorders affecting the body of the esophagus,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or cardia... Robin Smithuis

 횡격막 개구부(식도 열공, esophageal hiatus)를 거쳐 위로 연결  위의 분문(cardiac sphincter) 를 통해 위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Method We obtained blood samples from 49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ncer (ESCC) We performed ctDNA analysis with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ports participation tim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the competition and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leep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The findings

Changes in functional physical fitness,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in the group of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 changes in physical fitness, the physical fitness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