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593 −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부모의 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홍미애·최미숙

1)

·한영희

2)

·현태선

2)†

진천군 보건소, 1)충청대학 간호과, 2)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Mi-Ae Hong, Mee-Sook Choi1), Young-Hee Han2), Taisun Hyun2)†

Jincheon Community Health Center, Chungbuk, Korea

1)Department of Nursing, Chung Cheong University, Cheongwon, Korea

2)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Jincheon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and six-year-old children as well as their parents. A 5-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to 104 children in five day care centers, and 107 children in three day care centers were investigated as a control group. Activity tools designed for each lesson such as puzzles, food magnets, story, songs, Pierrot costume, and balls were used.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children and dietary attitudes of paren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Mean nutrition knowledge score in the educ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after education (p < 0.001). Mean dietary habit score of three questions (three meals a day, eating at fixed time, eating breakfast) in the education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after education (p < 0.01). In addition, parents in the educ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dietary attitude sc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even though they did not receive education (p < 0.001). Ou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preschool children as well as improving dietary attitudes in their parents. ( Korean J Community Nutr 15(5) : 593~602, 2010)

KEY WORDS : preschool children·nutrition education·public health center

—————————————————————————

—————————————————————————

유아기는 영아기에 비해 성장 속도는 느리지만 신체의 성 장이 꾸준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성장 발달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공급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 시기에는 식품기호가 발

달하고 식습관 및 식태도가 형성되기 시작하므로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평생의 영양상태와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 치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 세심한 지도를 통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Choi 2008).

전통적으로 유아의 식습관은 가정에서 부모, 형제들로부 터 영향을 받아 형성되어 왔으나 점차 자녀 수가 감소하고, 여성의 취업이 증가하는 등 사회가 변화하면서 가정에서보 다는 급식을 제공하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에 서 교사나 또래 친구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되었다. 이러 한 환경적 변화로 인해 보육시설에서의 단계적이고 체계적 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93년 조사에서는 보 육교사의 92.5%, 원장의 74.1%가 영유아의 영양 및 식사 지도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고(Yang 등

접수일: 2010년 6월 10일 접수

수정일: 2010년 9월 20일 수정 채택일: 2010년 9월 27일 채택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Taisun Hy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48 Gaesin-dong, Heungduk-gu, Cheongju, Chungbuk 361-763, Korea

Tel: (043) 261-2790, Fax: (043) 267-2742 E-mail: taisun@chungbuk.ac.kr

(2)

인 반응을 보였으며(Shin 1997), 2000년에는 전국의 어린 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9.1%

가 유아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Park &

Lee 2000), 점점 많은 교사들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 었다. 이와 같이 원장과 보육교사는 유아 영양교육의 필요성 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나 영양에 대한 전문 지식 부족으로 교 육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 영양교육 프로그 램 및 교육내용에 적합한 교구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었다 (Kim 1998; Lee 등 1999; Park & Lee 2000). 또한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소나 보육정보센터 등의 외부기 관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Choi 2010).

충청북도 12개 시군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아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면, 2008년에 10개의 보 육시설 유아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횟 수는 1~2회 정도로 대부분이 일회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 었다. 교육내용으로는 ‘아침밥 먹기’에 대한 교육이 가장 많 았고 그 외에 식품구성탑, 식사예절, 골고루 먹기, 우리 몸과 영양소의 관계에 대한 교육이 있었으며, 동화구연, 인형극, 동영상 CD상영, 영양교육 패널 설명 등의 방법을 통해 교육 내용을 전달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보건소에서 유아에게 영 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교육자료나 교구의 공유가 이 루어지지 않았으며, 영양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유아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충북 진천군 보건소에서 영양교육용 교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영 양교육을 실시한 후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뿐 아니라 유 아 대상의 영양교육으로 인한 부모의 식태도 변화를 조사함 으로써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조사대상 및 시기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8개 보육시설의 만 5~6세

육군, 3개 보육시설의 유아 134명은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교육군에게는 5주 동안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아 대상으로는 교육 전후에 영양지식을 조사하였고, 유아 의 부모 대상으로는 유아의 식습관 및 부모의 식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교육 전후에 실시하였다. 조사가 끝난 후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유아와 부모의 설문지 중 하나라도 회수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한 211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2. 조사 내용 및 방법 1) 영양교육의 내용 및 방법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2005년도 진천군보건소에서 건강 증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한 것으로, ‘건강이 무엇인지 알아 보기’, ‘식품구성탑과 영양소의 역할 알아보기’, ‘아침밥 먹 기’, ‘몸에 좋은 음식 골고루 먹기’, ‘식사예절 지키기’의 5주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용별로 개발된 교구는 Table 1과 같다. Fig. 1은 주별 대표적 교구의 사진으로 퍼즐, 식품구성 탑 자석판과 식품모양 자석, 동화책과 오디오, 노래, 삐에로 옷과 모자, 공, 농구대 등이다. 3주째의 ‘아침밥 먹기’ 교육 후에는 보육교사를 통해 아침식사를 먹은 유아에게 매일 한 장씩의 스티커를 붙여주도록 하였다. 영양교육은 보건소 영 양사가 주 1회 보육시설을 방문하여 40분 동안 실시하였고, 매주 영양교육 실시 후에는 교육안내문을 가정으로 발송하 여 유아가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유아 대상 영양지식 조사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유아의 영양지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영양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총 14문항의 영 양지식 문항을 개발하였다. 질문 내용은 영양소의 역할, 식 품에 대한 지식, 아침 식사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아침 식 사로 좋은 음식, 식사예절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보기에는 그 림을 제시하여 유아들이 어려움 없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 다.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만 5~6세 유아 10명에게 예 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조사 결과 정답률 20% 이하와 80% 이상인 두 문항을 제외한 12문항을 최종 영양지식 설

Table 1.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activity tools

Lesson Subject Activity tools

1 Who is a healthy child? Puzzle

2 Food tower and the role of nutrients Magnets of food tower, food

3 Having breakfast Storybook, audio CD, sticker, song

4 Balanced diet for health Pierrot costume, ball for healthy food and unhealthy food

5 Table manners Basketball game for good habit and bad habit

(3)

문지로 사용하였다. 12문항에 대한 Cronbach's α는 0.69 이었다. 교육군 대상으로는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에 영양지식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군 대상으로는 교육을 실 시하지 않은 채 5주의 간격을 두어 영양지식을 2회 조사하 였다. 설문 조사는 훈련된 조사자가 한 문항씩 질문 내용을 읽어 주고 유아가 옳다고 생각하는 보기에 직접 표시하도록 하였다.

3) 부모 대상 설문조사

교육군과 대조군 부모를 대상으로는 유아와 같은 시기에 각각 2회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군 부모 대상의 1 차 설문조사에서는 유아와 유아 부모의 일반사항, 유아의

식습관,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식태도를 조사하였다. 유아의 일반사항은 연령, 성별, 부모의 일반사항은 연령, 교육수준,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 여부 등이었으며, 유아의 식습관은 규칙적인 식사와 아침식사 여부, 누구와 함께 먹는지 등에 대한 질문이었고, 유아에 대한 식태도는 아침식사를 먹이 려는 노력 정도, 음식을 골고루 먹이려는 노력 정도 등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5문항에 대한 Cronbach's α는 0.85이었다. 유아가 영양교육을 받은 후에 실시한 2차 설 문조사에는 교육내용에 대한 부모의 의견에 대한 문항을 추 가하였다. 대조군 부모 대상의 설문조사에서는 교육군 부 모의 1차 설문지와 같은 내용으로 5주 간격을 두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Fig. 1. Activity tools developed for nutrition education

(4)

서 실시한 신체계측 자료를 사용하였고, 비만도는 2007년 소 아·청소년 성장도표(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10% 미만 은 저체중, -10% 이상~20% 미만은 정상체중, 20% 이상 은 과체중으로 분류하였다.

3. 자료의 분석 방법

모든 자료는 SAS program(version 9.2)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모든 문항에 대해서는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였 고 명목변수의 교육 전후의 차이는 χ

2

-test로 검증하였다.

유아의 영양지식은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유아의 식 습관은 ‘항상 그렇다’ 3점, ‘가끔 그렇다’ 2점, ‘거의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식태도는 ‘매우 그렇다’

3점, ‘그렇다’ 2점,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점수화 하고 평균

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 시하였다.

—————————————————————————

—————————————————————————

1. 일반사항

유아의 일반사항은 Table 2와 같다. 조사대상자 중 남아 는 52.1%, 여아는 47.9%으로 교육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적 인 차이는 없었다. 연령분포에 있어서는 교육군에는 5세가 32.7%, 6세가 67.3%이었으나 대조군에는 5세가 48.6%, 6세가 51.4%로 교육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6세인 아동이 더 많았다(p < 0.05). 비만도 분포를 살펴보면 교육군은 정 상체중이 66.4%, 저체중이 22.1%, 과체중이 11.5%를 나 타냈고, 대조군은 정상체중이 68.2%, 저체중이 15.9%, 과 체중이 15.9%로 나타났으며, 교육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적 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의 일반사항은 Table 3과 같다. 설문 응답자는 대부 분이 자녀의 어머니(95.3%)였고, 연령대는 31~40세가 비만도 (%) = 실측체중(kg) - 신장별 표준체중(kg) × 100

신장별 표준체중(kg)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Variable Education group

(n = 104)

Control group (n = 107)

Total

(N = 211) χ

2

-value

Sex Boy 61 (58.7)

1)

49 (45.8) 110 (52.1)

3.495

Girl 43 (41.3) 58 (54.2) 101 (47.9)

Age 5 34 (32.7) 52 (48.6) 86 (40.8)

5.526*

6 70 (67.3) 55 (51.4) 125 (59.2)

Obesity index

Underweight 23 (22.1) 17 (15.9) 40 (19.0)

1.833

Normal 69 (66.4) 73 (68.2) 142 (67.3)

Overweight 12 (11.5) 17 (15.9) 29 (13.7)

1) N (%)

*: p < 0.05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Variable Education group

(n = 104)

Control group (n = 107)

Total

(N = 211) χ

2

-value

Relationship with children Mother 99 (95.2)

1)

102 (95.3) 201 (95.3)

0.002

Father 5 (84.8) 5 (84.7) 10 (84.7)

Age

21 − 30 21 (20.2) 21 (19.6) 42 (19.9)

0.595

31 − 40 70 (67.3) 76 (71.1) 146 (69.2)

≥ 41 13 (12.5) 10 (89.3) 23 (10.9)

Education level

≤ Middle school graduate 3 (82.9) 2 (81.8) 5 (82.3)

5.383

High school graduate 73 (70.9) 63 (58.9) 136 (64.8)

≥ College graduate 27 (26.2) 42 (39.3) 69 (32.9)

Experience of receiving nutrition education

Yes 20 (19.2) 17 (15.9) 37 (17.5)

0.408

No 84 (80.8) 90 (84.1) 174 (82.5)

1) N (%)

(5)

69.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군과 대조군 간에 유 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부모의 교육수준은 고졸이 64.8%, 대졸 이상이 32.9%로 교육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 는 없었다. 부모의 82.5%는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영양교육 전후의 영양지식의 차이

영양교육 전과 후의 영양지식 평가에 사용된 설문은 총 12 문항으로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을 주어 점수화하였으며, 교육군과 대조군 간에 각각 영양교육 전과 후의 점수를 비교 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교육군의 영양교육 전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문항에 서 영양교육 전보다 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 양교육을 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도 ‘이를 썩게 하고 뚱 뚱하게 하는 식품끼리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p < 0.01), ‘우 리 몸을 예쁘고 날씬하게 만들어 주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p < 0.05)의 두 문항에서는 2차 조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12문항의 총점도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 를 나타냈다(p < 0.05). 그러나 사전 점수를 보정하여 공분 산분석을 한 결과 교육군은 10.7점, 대조군은 8.5점으로 교 육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F = 122.07, p < 0.001)

유아의 연령 분포가 교육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 를 나타냈기 때문에 교육군과 대조군의 영양지식 평균 점수 의 변화를 5세와 6세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Fig. 2과 같다. 두 연령군대 모두에서 교육군의 경우 교육 후 점수가 교육 전 점수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01).

대조군의 경우 5세에서는 2차 조사에서 1차 조사 결과와 유 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6세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 0.05). 사전점수를 보정하였을 때 5세의 경우 교육군과 대조군이 각각 10.3점, 7.5점이었고, 6세의 경우

Table 4.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the education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5-week program

Question

Education group (n = 104)

Control group (n = 107)

Before After t-value

1)

Before After t-value

Q1. Who has bad habits? 0.61 ± 0.49

2)

80.98 ± 0.14 87.56*** 0.80 ± 0.40 0.88 ± 0.33 − 1.81 Q2. What makes up our body, muscle, and hair? 0.13 ± 0.34 80.57 ± 0.50 86.95*** 0.11 ± 0.32 0.14 ± 0.35 − 0.69 Q3. What will happen to our body when we drink milk or

eat anchovy everyday? 0.83 ± 0.38 80.96 ± 0.19 83.27** 0.79 ± 0.41 0.78 ± 0.42 −0.17 Q4. Which food promotes tooth decay and obesity? 0.39 ± 0.49 80.85 ± 0.36 88.30*** 0.62 ± 0.49 0.79 ± 0.41 − 3.22**

Q5. Which food makes our body beautiful and slim? 0.68 ± 0.47 80.95 ± 0.21 85.42*** 0.65 ± 0.48 0.74 ± 0.44 − 1.99*

Q6. Which food has the same role as fish? 0.64 ± 0.48 80.81 ± 0.40 82.67** 0.63 ± 0.49 0.64 ± 0.48 − 0.15 Q7. What will happen to our body when we do not eat

breakfast? 0.68 ± 0.47 80.92 ± 0.27 85.43*** 0.86 ± 0.35 0.88 ± 0.33 − 0.45 Q8. Which food is good for breakfast? 0.82 ± 0.39 80.95 ± 0.21 83.71*** 0.79 ± 0.41 0.82 ± 0.38 − 0.78 Q9. What will happen to our body when we often eat

hamburger, pizza, chicken? 0.72 ± 0.45 80.90 ± 0.30 84.52*** 0.71 ± 0.46 0.76 ± 0.43 − 1.00 Q10. What do we have to do first when we prepare

meals? 0.77 ± 0.42 80.93 ± 0.25 83.44*** 0.82 ± 0.38 0.89 ± 0.32 − 1.41

Q11. Who follows the table manners the best? 0.75 ± 0.44 81.00 ± 0.00 85.86*** 0.89 ± 0.32 0.84 ± 0.37 −1.22 Q12. What do we call it when one eats only what he/she

wants? 0.41 ± 0.49 80.75 ± 0.44 85.43*** 0.43 ± 0.50 0.45 ± 0.50 − 0.30

Total 7.44 ± 2.40 10.58 ± 1.14 15.16*** 8.09 ± 2.37 8.59 ± 2.08 − 2.45*

1) Paired t-test

2) Mean ± SD (1 = correct answer, 0 = incorrect answer)

*: p < 0.05, **: p < 0.01, ***: p < 0.001

Fig 2.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the education and control groups at age 5 and 6 before and after 5-week program

*: p < 0.05, ***: p < 0.001 : significatly different by paired t-test

(6)

3. 영양교육 전후의 식습관의 차이

유아의 식습관 평가에 사용된 문항 중 점수화 할 수 있는 3개의 문항(‘세끼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가’, ‘식사시간 이 일정한가’, ‘아침식사를 매일 먹습니까’)에 대해 항상 그 렇다 3점, 가끔 그렇다 2점, 거의 그렇지 않다 1점을 주어 평 균 점수화하고 교육 전후 변화된 점수를 교육군과 대조군 간 에 비교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사전 점수를 보정하여 교 육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교육군은 8.14점, 대조군은 7.80점으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p < 0.01).

변화를 5세와 6세로 나누어 비교해 본 결과(Table 5) 교육 군에서는 두 연령층 모두 교육 전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 며, 대조군의 경우 5세에서는 2차 조사에서 1차 조사 결과 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6세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점 수를 나타냈다(p < 0.01). 사전점수를 보정하였을 때 6세의 경우 교육군이 8.21점, 대조군이 7.86점으로 교육군이 대조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 0.05).

교육군과 대조군의 그 외의 식습관을 영양교육 전후에 비 교한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나 있다. 함께 식사하는 가족으 로는 교육 전에는 ‘모든 가족과 함께’가 교육군 68.3%, 대

Table 5. Dietary habit score of the educ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5-week program

Education group Control group ANCOVA

N Before After t-value

1)

N Before After t-value F value

Total 104 7.94 ± 1.62

2)

8.13 ± 1.35 1.67 107 7.96 ± 1.49 7.80 ± 1.49 −1.78

8.14

3)

7.80 7.11**

Age 5 834 8.12 ± 1.12 8.24 ± 1.23 0.54 852 7.63 ± 1.66 7.58 ± 1.63 −0.37

8.03 7.71 1.79

Age 6 70 7.86 ± 1.82 8.09 ± 1.41 1.69 855 8.27 ± 1.25 8.02 ± 1.34 −2.70**

8.21 7.86 5.48*

1) Paired t-test, 2) Mean ± SD (Maximum score = 9), 3) Adjusted score

*: p < 0.05, **: p < 0.01

Table 6. Dietary habits of the education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5-week program

Dietary habit Education group (n = 104) Control group (n = 107)

Before After χ

2

-value Before After χ

2

-value

With whom does your kid eat?

With all the family members 71 (68.3)

1)

77 (74.0)

4.443

65 (60.8) 65 (60.8)

0.916 With brothers/sisters 18 (17.3) 18 (17.3) 23 (21.5) 27 (25.3)

With mother 10 (89.6) 6 (85.8) 10 ( 9.4) 7 (86.5)

By himself/herself 3 (82.9) 0 (80.0) 1 ( 0.9) 1 (80.9)

Others 2 (81.9) 3 (82.9) 8 ( 7.4) 7 (86.5)

What does your kid usually do when

he/she eats?

Chat with family members 37 (35.6) 55 (52.9)

8.529*

50 (46.7) 45 (42.1) 3.561

Watch TV 46 (44.2) 35 (33.7) 31 (29.0) 36 (33.6)

Wander around 14 (13.5) 5 (84.8) 13 (12.1) 7 (86.5)

Others 7 (86.7) 9 (88.6) 13 (12.2) 19 (17.8)

Does your kid eat only what he/she wants?

Yes 69 (66.4) 69 (64.5)

0.081 59 (56.7) 69 (64.5) 1.329

No 35 (33.6) 38 (35.5) 45 (43.3) 38 (35.5)

If your kid is picky, which food does he/she dislike?

(multiple answer)

Vegetables 50 (48.1)

2)

35 (33.7)

2)

1.323

43 (40.2)

3)

38 (35.5)

3)

0.486

Seaweeds 20 (19.2) 15 (14.4) 19 (17.8) 18 (16.8)

Fish 10 (89.6) 8 (87.7) 9 ( 8.4) 8 (87.5)

Fruits 8 (87.7) 7 (86.7) 7 ( 6.5) 9 (88.4)

Meats 5 (84.8) 6 (85.8) 14 (13.1) 13 (12.1)

Rice, bread etc. 4 (83.8) 5 (84.8) 10 ( 9.3) 9 (88.4)

Snack frequency

≤ Once/day 33 (31.8) 34 (32.7)

4.098

21 (19.6) 26 (24.3) 0.871

Twice/day 46 (44.2) 56 (53.9) 70 (65.4) 68 (63.6)

≥ Three times/day 25 (24.0) 14 (13.4) 16 (15.0) 13 (12.1)

1) N (%), 2) Percentage of total subjects (104), 3) Percentage of total subjects (107) *: p < 0.05

(7)

조군 60.8%이었으며, 다음으로 ‘형제와 함께’, ‘어머니와 둘 이서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후에는 ‘모든 가족과 함께’

라고 응답한 비율이 교육군에서만 약간 증가하였다. 식사할 때 주로 하는 일로 교육 전 교육군은 ‘TV를 본다’가 44.2%

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가족과 이야기 한다’가 35.6%, ‘돌 아다닌다’가 13.5%를 나타냈으며, 교육 후에는 ‘가족과 이 야기 한다’가 52.9%로 높아진 경향을 보였으며, 교육 전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5).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편식 여부에 대한 질문에 교육군은 66.4%, 대조군은 56.7%가 ‘편식을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육 전후에 두 군 모두 유의적 차이는 볼 수 없었다. 편식하 는 식품에 대해서는 채소류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 후 채소 류라고 응답한 비율이 낮아진 경향이 있었다. 간식 횟수 또 한 교육 전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4.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식태도 차이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식태도 조사에 사용된 설문은 총 15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태도 점수는 매우 그렇다 3점, 그렇다 2점, 그렇지 않다 1점을 주어 총 45점 만점으로 평 균 점수화하여 제시하였고, 사전 점수와 교육 후 변화된 점 수를 교육군과 대조군간에 비교한 결과는 Fig. 3와 같다.

교육군의 평균 점수는 32.32점에서 교육 후 34.40점으로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p < 0.001), 대조군은 33.84점에 서 32.95점으로 2차 조사에서는 점수가 오히려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 < 0.05). 사전 점수를 보정하였을 때 교육군의 교육 후 점수는 34.91점, 대조군의 점수는 32.46점으로 교 육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F = 21.31, p < 0.001). 이 결 과 교육군의 부모가 대조군의 부모보다 자녀에 대한 식태도 점수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교육군의 부모에게 교육 안내문을 제공한 것으로 부모들이 관심을 갖게 됨으로 써 식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5. 영양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교육내용에 대한 부모 의견

영양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교육내용에 대한 부모 의견은 Table 7과 같다. 가정으로 발송된 교육안내문을 104명 중 102명(98.1%)이 확인하였으며, 안내문을 확인한 경우, 가 장 관심 있는 교육 내용으로 ‘몸에 좋은 음식을 골고루 먹어 요’가 5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유아가 교육 후 가정에 교육내용을 전달한 경우는 87.5%로 대부분의 유아 가 잘 전달하였으며, 교육내용이 전달된 경우 유아가 가장 흥 미를 갖는 교육내용으로는 51.7%가 ‘몸에 좋은 음식을 골 고루 먹어요’였고, 19.8%가 ‘아침밥을 먹어요’로 나타났다.

104명의 유아 중 78.8%가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려

Fig. 3. Parents' dietary attitude score of the educ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5-week program.

*: p < 0.05,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by paired t-test.

Table 7. Parents’ opinion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Question N (%)

Did you check the information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Yes 102 (898.1)

No 2 (881.9)

Total 104 (100.0)

Program which you were most interested in

Balanced diet for health 54 (852.9)

Food tower and the role of nutrients 14 (813.7)

Having breakfast 14 (813.7)

Who is a healthy child? 13 (812.8)

Good table manners 7 (886.9)

Total 102 (100.0)

Did your kid tell you about what he/she learned

Yes 91 (887.5)

No 13 (812.5)

Total 104 (100.0)

Program which your kid was most interested in

Balanced diet for health 47 (851.7)

Having breakfast 18 (819.8)

Food tower and the role of nutrients 10 (811.0)

Good table manners 9 (889.9)

Who is a healthy child? 7 (887.6)

Total 91 (100.0)

Does your kid try to do as what they learned from the education program?

Agree strongly 15 (814.4)

Agree 67 (864.4)

Disagree 21 (820.2)

Disagree strongly 1 (881.0)

Total 104 (100.0)

Program which you think was most effective for your kid

Balanced diet for health 63 (860.6)

Having breakfast 16 (815.4)

Who is a healthy child? 12 (811.5)

Good table manners 10 (889.6)

Food tower and the role of nutrients 3 (882.9)

Total 104 (100.0)

(8)

먹어요’였고, ‘아침밥을 먹어요’가 15.4%, ‘건강이 무엇인 지 알아요’가 11.5%로 나타났다. 이 결과 유아가 가장 흥미 있어 하는 교육내용과 가장 효과적인 교육내용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유아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시한다면 교육의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 로 생각된다.

—————————————————————————

—————————————————————————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유아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5, 6세 유아를 대상으로 5주 동안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전후의 영양지식, 식습관 뿐 아니라 부모의 자녀에 대 한 식태도를 조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국내에서 지금까지 유아 대상으로 개발되어 보고된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살펴보면 편식, 올바른 영양관리, 식 품과 음식에 대한 지식, 음식과 신체의 관계, 음식의 소중함, 음식과 위생, 음식과 환경, 우리나라 전통음식, 바람직한 식 사예절 등이 있으며, 개발된 매체로는 식품카드, 식품스티 커, 그림책자, 음식신호등, 요리안내문 그림, 사진과 같은 시 각적 매체와 음악녹음테잎, 영양교육 비디오, 게임 등이 있 었다(Yang 등 1993b; Yang 등 1995; Kang 등 2000;

Kim & Lee 2003; Shin & Lee 2006). 본 연구에서 개 발된 프로그램의 주제는 건강, 식품구성탑의 식품군 익히기, 아침밥먹기, 골고루 먹기, 식사예절 등으로 내용면에서는 이 전에 개발된 프로그램과 비슷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구는 어린이집에서 여러 명이 함께 활용하기에 적합한 퍼 즐, 삐에로, 농구놀이 등이었다.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동질 적 대조군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로 교육효과를 분석하여, 교육군의 경우 교육 후 영양지식 점 수가 향상된다 하더라도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반복 조사 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교육프로 그램을 실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지식 점수가 2차 조사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Table 4), 연령별로 보면 6세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Fig. 2). 반면 식습관 점수 에서는 6세 대조군의 경우 2차 조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 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Table 5),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식 태도 점수도 대조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Fig. 3).

Kang 등(2000)의 연구에서도 대조군에서 10주 후 같은 조 사를 실시하였을 때 일부의 식태도 점수는 오히려 감소한 것

남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교육효과를 평 가하기 위해서는 교육군의 사전 사후 검사 만으로는 명확한 결과를 얻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대조군과 함께 비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와 같이 비동질적 통제집단 설계로 유아 대상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Kang 등 (2000), Shin & Lee(2006)는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고, Shin & Lee(2006) 는 식행동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영양지식 점 수와 식습관 점수 뿐 아니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식태도 점 수가 유의적으로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연 구에서 교육군에게 실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와 부 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부모들은 직접 적으로 영양교육을 받지는 않았으나 유아들에게 교육을 시 키는 것을 간접적으로 듣고 태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원에서 영양교육을 할 떄 부모님께도 교육에 대한 안내 문을 발송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바람직한 식 행동 향상을 위해 더욱 지속적인 교육과 부모에 대한 영양교 육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여러 연구자들이 유아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프 로그램 또는 학습도구, 매체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효과 를 평가한 것을 알 수 있는데(Yang 등 1993b; Yang 등 1995; Kang 등 2000; Kim & Lee 2003; Kim 2006;

Shin & Lee 2006; Park 2007), 대부분 일회성에 그쳐 공 유가 어려운 형편이다. 보육시설에서 유아를 직접 돌보고 있 는 보육교사들은 영양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 으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나 도구들을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나 효과를 평가한 매체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빌 려 볼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미국 North Carolina주에서 2001년 개발된 ‘Color Me Healthy’는 4~5세 유아들에게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을 하 는 것은 재미있는 것이라는 것을 가르치기 위해 유아의 모든 감각 즉, 촉각, 후각, 시각, 청각, 미각을 자극하도록 고안되 었다(Dunn 등 2004; Dunn 2006). ‘Color Me Healthy’

kit는 보육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지침서, 그림카드

4세트, 교실 포스터 3장, 노래 7곡이 들어있는 CD, 손도장

과 부모에게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부모용

소식지 14장, 부모용 포스터 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orth

Carolina주의 보육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받

(9)

음으로써 전문가가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한 프로그램을 유 아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들이 영양교육을 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웹사이트에서 이 프로 그램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http://www.

colormehealthy.com/).

또 다른 프로그램으로 ‘The Food Friends: Making New Foods Fun For Kids’는 유아들에게 새로운 식품을 소개하고 새로운 식품을 먹어 보려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고 안된 프로그램이다(Young 등 2003). 12주 동안의 프로그 램이며, 1주에 하나의 활동과 하나의 동화책, 2개의 새로운 식품을 먹는 시도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000년도에 개 발된 이후 2003년까지 약 50개의 어린이집에서 이 프로그 램을 적용하고 교사, 유아 등의 피드백을 통해 수정하였으 며, 2004년에는 저소득층의 부모에게도 같은 메시지를 전 할 수 있도록 ‘Family Fun with New Foods’라는 프로그 램으로 확대하여 집에서도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도록 하였 다(Bellows 등 2006). 2004년 한 해동안 Colorado주의 약 225개 이상의 어린이집 약 4600여명의 유아와 부모에 게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현재 웹사이트에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http://www. foodfriends.org/)

이와 같이 미국의 경우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제 어린이집에서 활용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유아들을 위한 영양교육 프 로그램, 학습도구 등이 많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연구자 들은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개발된 프로그램이나 교구들이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지 속적으로 뒷받침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 발되어 평가된 영양교육 프로그램과 교구들은 진천군 내의 어린이집에서 빌려서 활용되고 있으나, 많은 어린이집에서 활용할 수 있으려면 정보를 공유하고 검증된 교구를 대량으 로 제작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만 5~6세 유아 104명을 대상으로 보건소 에서 개발한 영양교육용 교구를 활용한 총 5회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한 후 교육 전후에 영양지식을 조사 하였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조군 107명을 대상으로 5주 간격을 두어 영양지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육군과 대 조군 모든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는 유아의 식습관 및 부모 의 식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유아대상의 교육 전후에 실시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군의 영양교육 전후 영양지식 점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영양교육 전보다 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교육을 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도 ‘이를 썩게 하고 뚱뚱하게 하는 식품끼리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p < 0.01), ‘우리 몸을 예쁘고 날씬하게 만들어 주는 음식 은 무엇일까요’ (p < 0.05)의 두 문항에서는 2차 조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12문항의 총점도 유의 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 0.05). 그러나 사전 점수 를 보정하여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교육군은 10.7점, 대조 군은 8.5점으로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 를 얻었다(p < 0.001).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5세의 경우 교육군과 대조군이 각각 10.3점, 7.5점이었고, 6세의 경우 11.0점, 9.3점으로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 0.001).

2) 유아의 식습관 평가에 사용된 문항 중 3개의 문항(‘세 끼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가’, ‘식사시간이 일정한가’, ‘아 침식사를 매일 먹습니까’)에 대하여 점수화한 후 사전점수 를 보정하여 비교한 결과, 교육군은 8.14점, 대조군은 7.80 점으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p < 0.01). 연령별로 분석 한 결과 5세의 경우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6세의 경우 교 육군이 8.21점, 대조군이 7.86점으로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 0.05). 그 외의 식습 관 문항중 교육 전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 문항은 ‘식사할 때 무엇을 하는가’ 하는 문항으로 교육 전에는 ‘가족과 이야 기한다’ 가 35.6%이었으나, 교육 후에는 52.9%로, ‘TV를 본다’는 44.2%에서 33.7%로 차이를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가 일 정한 시간에 식사를 하고, 아침식사를 매일 할 수 있도록 하 며, 식사시 가족과 함께 이야기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 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3)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식태도 조사 결과 사전 점수를 보 정하였을 때 교육군의 교육 후 점수는 34.91점, 대조군의 점 수는 32.46점으로 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01).

4) 가정으로 발송된 교육안내문을 부모의 98.1%가 확인 하였으며, 안내문을 확인한 경우, 가장 관심 있는 교육 내용 으로 ‘몸에 좋은 음식을 골고루 먹어요’가 52.9%로 가장 높 은 비율을 나타냈다. 유아가 교육 후 가정에 교육내용을 전 달한 경우는 87.5%로 대부분의 유아가 전달하였으며, 교육 내용이 전달된 경우 유아가 가장 흥미를 갖는 교육내용으로 는 51.7%가 ‘몸에 좋은 음식을 골고루 먹어요’였고, 78.8%

가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유아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육내용으로는 60.6%가 ‘몸에 좋은 음식을 골고루 먹어요’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5주 동안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10)

양교육 실시 후 가정으로 발송된 교육안내문을 통해 이루어 진 부모 교육이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식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꾸준한 유아 대상의 영양 교육과 영양정보지의 발송이 이루어진다면 올바른 식습관 형 성에 지속적으로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 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진천군 보건소에서 개발한 교구를 여러 보육시설에 대여 하여 유아들에게 지속적으로 반복교육 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자나 보건소에서 개발한 다양한 교재, 교구의 활용과 확산을 위해 타 기관과의 영양교육 정 보 및 매체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지속적이고 체계적 인 영양관리와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에 영양 사를 상근인력으로 배치하여 급식관리 및 영양교육을 실시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

참 고 문 헌

—————————————————————————

Bellows L, Cole K, Anderson J (2006): Family fun with new foods:

A parent component to the food friends social marketing campaign. J Nutr Educ Behav 38(2): 123-124

Choi KS (2010):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among child-care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5(1): 137-148

Choi YS (2008): Nutrition and health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 current status and issues. Proceedings of 2008 Fall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pp.15-32

Dunn C, Thomas C, Pegram L, Ward D, Schmal S (2004): Color me healthy, preschoolers moving and eating healthfully. J Nutr Educ Behav 36(6): 327-328

Dunn C, Thomas C, Ward D, Pegram L, Webber K, Cullitan C (2006):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curriculum for child care settings. Prev Chronic Dis 3(2): A58

Kang HJ, Kim KM, Kim KJ, Ryu ES (2000): The development and

Kim IO (1998): A study on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of kindergartens for preschooler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4(2): 255-264

Kim IO, Lee JH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measurement of it`s effects. Korean J Nutr 9(1): 46-56

Kim KH (2006): The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Gyu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11(5): 598-607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cited 2010 May 1]

Lee YM, Chung MR, Kim JH (1999): Evaluation of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7(7): 69-81

Park GA, Lee JH (2000): Child car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nutrition for infants, toddlers & young children.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hood Education 5(3): 51-65

Park YM (2007):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grou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day-care center children.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hin DJ (1997): Preschool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ttitude to nutri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nutrition knowledge - centered on the Kyongnam area.

Korean J Food Nutr 10(2): 219-227

Shin EK, Lee Y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4): 488-501

Yang IS, Kwak TK, Han KS, Kim EK (1993a):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providers. Korean J Nutr 26(5): 639-650

Yang IS, Kim EK, Bai YH, Lee SJ, Ahn HJ (1993b):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 Korean J Diet Culture 8(2): 125-137

Yang IS, Kim EK, Chai IS (1995): The development and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Korean J Nutr 28(1): 61-70

Young L, Anderson J, Beckstrom L, Bellows L, Johnson SL (2003):

Making new foods fun for kids. J Nutr Educ Behav 35(6): 337-

338

수치

Table 1.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activity tools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Fig 2.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the education and control groups at age 5 and 6 before and after 5-week program
Table 6. Dietary habits of the education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5-week program
+2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Season, sex, age, and education as modifiers of the effects of outdoor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Shanghai, China: The Public Health and Air Pollution in Asia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osteo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