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된 골멍의 패턴 분석 정대원∙김창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된 골멍의 패턴 분석 정대원∙김창완"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4

슬관절의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슬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 여 반월상 연골과 관절 연골의 손상을 일으켜 결국 퇴행성 관 절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따라서 전방십자인대 파열 후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고자 조기에 진단하기 위하여 자기 공명영상 검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슬관절 손상 진단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전방십 자인대 파열 특히 완전 파열인 경우 약 80% 이상에서 연골하 골에 병변이 동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연골하골 병변에 따른 골음영의 변화소견은 1987년 Mink 등6)에 의하여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그 의의와 임상적 적용에 대하여 다양하 게 연구되고 있다. 연골하 골의 병변은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는 나타나지 않고 관절경 검사에서도 알 수 없으나 자기공명영 상에서 골병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골병변을

통해 손상기전을 유추할 수 있고 손상되는 구조물도 예측이 가 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원인에 따라 골멍의 분포를 분석하여 전 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된 원인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로 골멍 의 분포 양상이 사용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외상으로 인한 슬관절 동통으로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받 았으며, 신체적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 소견, 관절내시경 을 통해 전방십자인대의 파열이 확인된 87명의 환자, 87예의 슬관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및 성별 분포는 15세부터 58세까지로 평 균 연령은 31.5세였다. 남자가 62예, 여자가 25예 였다.

일상 생활 손상 즉 일상 생활은 사전적 의미로 타인의 도움 없이 매일 하는 행동으로 식사, 몸 씻기, 옷 입기, 화장실 가기, 계단 오르내리기 및 경사길 걷기와 같은 행위 중에 발생한 손 상으로 보고 분류하였으며, 스포츠 손상은 태권도, 유도, 축구, 농구, 스키, 등산과 같은 활동 중에 발생하는 손상에 대해서 분 류하였다. 외상 원인은 교통사고 손상 33예(38%), 일상 생활 손상 32예(37%), 그리고 스포츠 손상 22예(25%) 순이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된 골멍의 패턴 분석

정대원∙김창완1∙백종민1∙서승석2

부산 메리놀병원 정형외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1, 부민병원 정형외과2

목적: 슬관절 손상 원인에 따른 골멍의 위치 및 빈도를 조사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골멍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외상성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MRI 촬영 이후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진단된 환자 8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슬관절 MRI를 이용하여 동반된 구조물 손상 및 그에 따른 골멍의 위치 및 빈도 를 분석하였다. 골멍의 위치는 대퇴골과 경골에 대해 전후방 및 측방의 MRI 영상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다시 내 측, 중앙, 외측 3구역으로 분류하였다. 골멍은 Costa Paz가 제시한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일상 생활 손상은 전체 87예 중 32예(37%), 스포츠 손상은 22예(25%), 교통사고 손상은 33예(38%)로 나타났다. 일상 생활 손상의 경우 대퇴골에서는 내과의 전방 부분, 경골에서는 고평부 전방의 내측부에 골멍이 나타났다(각각 p=0.024, p=0.021, p=0.025, p=0.029). 스포츠 손상은 대퇴골에서는 외과의 중심 부분과 경골에서는 고평부 후방의 외측부에서 골멍 이 나타났다(각각 p=0.014, p=0.015, p=0.018, p=0.017). 교통사고 손상은 대퇴골과 경골에서 골멍이 전반적으로 관찰되 었다(각각 p=0.264, p=0.254, p=0.229, p=0.267).

결론: 일상 생활 손상이나 스포츠 손상의 경우 손상 기전이 교통사고 손상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골멍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골멍이 경골 외측 고평부 및 대퇴골 외과에 있는 경우에는 스포츠 손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 손상을 강력히 의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전방십자인대, 골멍, 일상 생활, 교통 사고, 스포츠 손상

통신저자: 서 승 석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만덕대로 59 부민병원 정형외과

TEL: 051) 330-3083∙FAX: 051) 330-3075 E-mail: wellknee@gmail.com

� 본 논문의 요지는 2011년도 대한정형외과 스포츠의학회 추계학술 대회에서 발표되었음.

(2)

동반 손상은 반월판 손상 34예, 후방십자인대 손상 11예, 내측 인대 손상 10예, 외측 인대 손상 5예에서 존재하였다. 모든 예 에서 1.5 Tesla unit의 자기공명영상기기(General electric, Genesis sigma, USA)를 이용하여 T1, T2, proton 시상영상 (sagittal plane), T2, proton 관상영상(coronal plane), T1 축 상영상(oblique axial)이 얻어졌으며 slice 두께는 5.0 thk/1sp 였다. 본 연구의 기준이 되는 영상은 T2 관상영상 및 축상영상 을 사용하였다. 촬영 방법은 환자를 앙와위(supine position) 으로 눕히고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슬관절용 표면코일 이 사용되었다.

대상 환자들은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전방십자인대의 연속 성 소실 유무, 신호 강도와 모양, 외형 융기 유무 등을 중심으로 일인의 근골격계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하였으며, 전방전 위 검사, Lachman 검사 및 축 이동검사를 포함한 신체적 검사 에서 양성을 보였고 관절경 시야에서 전방십자인대의 파열을 확인하였다.

MRI 상 골멍의 분류는 Costa Paz 등7)의 분류를 이용하였다.

관절 연골에 인접하지 않고 떨어진 부위에서 광범위한 신호 강 도의 변화가 있는 경우는 제 1형, 관절 연골에 인접해서 국소적 신호 강도의 변화가 있는 경우는 제 2형 그리고 제 2형의 소견 에 관절 연골의 손상이나 함몰이 동반된 경우는 제 3형으로 분 류하였다.

MRI 상 골멍의 위치는 경골과 대퇴골 각각을 시상영상 및 관상영상으로 나누어 그 각각의 이미지를 시상영상에서는 전 방, 중심, 후방 및 관상영상에서는 내측, 중심, 외측으로 나누고 골멍이 해당하는 빈도를 각각의 영역에 숫자로 표기하였다 (Fig. 1). 이에 해당하는 기준선은 시상영상 및 관상영상에서 경골과 대퇴골의 관절면에서 가장 긴 길이를 3등분 하여 영역 의 기준으로 삼고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87예의 전방십자인대의 완전 파열 및 부분파열 이 확인된 사례를 가지고 연구를 했으며, 이중 다발성 손상은 60예(77%)를 차지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SAS ver. 9.1을 이용하여 수상 원인 별 골 멍의 분포에 대해 Fisher’s exact test 실시하였다. 경골과 대

퇴골에서 각 위치의 빈도를 숫자로 표기하였으며, 위에서 분류 한 각 영역에 대하여 이것의 다양성 및 재현성에 대해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CORR procedure을 통해 결과를 얻었으 며, P-value는 0.05 이하인 경우 손상 원인에 따른 골멍의 분 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1. 일상 생활 손상

일상 생활 손상은 전체 87예 중 32예(37%)로 나타났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대퇴골의 관상영상에서는 내측부에서 27 예, 중심부에서 4예, 외측부에서 2예로 나타났으며, 시상영상 에서는 전방에서 25예, 중심부에서 3예, 후방에서 2예로 나타 났다. 대퇴골에서는 내과의 전방 부분에 골멍의 81%가 위치하 고 있으며 p-value는 각각 0.024, 0.021 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의 경골의 관상영상에서는 내측부에서 23 예, 중심부에서 3예, 외측부에서 3예로 나타났으며, 시상영상 에서는 전방에서 22예, 중심부에서 4예, 후방에서 2예로 나타 났다. 경골에서는 고평부(plateau) 전방의 내측부에 골멍의 82%가 위치하고 있으며 p-value는 각각 0.025, 0.029 였다 (Fig. 2).

2. 스포츠 손상

스포츠 손상은 전체 87예 중 22예(25%)를 차지하고 있으 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대퇴골의 관상영상에서는 내측부에서 2예, 중심부에서 3예, 외측부에서 21예로 나타났으며, 시상영 상에서는 전방에서 3예, 중심부에서 22예, 후방에서 2예로 나 타났다. 대퇴골에서는 외과의 중심 부분에 골멍의 83%가 위치 하고 있으며 p-value는 각각 0.014, 0.015 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의 경골의 관상영상에서는 내측부에서 2 예, 중심부에서 3예, 외측부에서 19예로 나타났으며, 시상영상 에서는 전방에서 1예, 중심부에서 4예, 후방에서 18예로 나타

Fig. 1. Location of right femoral and tibial bone bruise. (A) Femur - In coronal and sagittal image, definite locational line is 3 divi- sion of most longest line in each plane. (B) Tibia - same as above.

A B

(3)

났다. 경골에서는 고평부 후방의 외측부에 골멍의 80%가 위치 하고 있으며 p-value는 각각 0.018, 0.017 였다(Fig. 3).

3. 교통사고 손상

교통사고 손상은 전체 87예 중 33예(38%)로 가장 많은 손 상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대퇴골의 관상영 상에서는 내측부에서 18예, 중심부에서 17예, 외측부에서 19 예로 나타났으며, 시상영상에서는 전방에서 17예, 중심부에서 20예, 후방에서 18예로 나타났다. 대퇴골에서는 외과의 중심 부분에 골멍의 51%가 위치하고 있으며 p-value는 각각 0.264, 0.254 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의 경골의 관상영상에서는 내측부에서 14 예, 중심부에서 17예, 외측부에서 16예로 나타났으며, 시상영 상에서는 전방에서 18예, 중심부에서 17예, 후방에서 14예로 나타났다. 경골에서는 고평부 전방의 중심부에 골멍의 49%가 위치하고 있으며 p-value는 각각 0.229, 0.267 였다(Table 1) (Fig. 4).

최근 스포츠 손상이 증가함에 따라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증 가하고 있고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슬관절의 생역학적인 기능 및 관절 운동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초기에는 통증, 불안정

Fig. 2. Case of active daily living injury (MR image). (A) In T2WI coronal image, femur bone bruise is observed medial condyle and tibia bone bruise located with medial aspect. (B) In T2WI sagittal image femur bone bruise is observed anterior aspect and tibia bone bruise located with anterior aspect.

A B

Fig. 3. Case of sports injury (MR image). (A) In T2WI coronal image, femur bone bruise is observed lateral condyle and tibia bone bruise located with lateral aspect. (B) In T2WI sagittal image femur bone bruise is observed intercondylar area and tibia bone bruise located with posterior aspect.

A B

(4)

성이 없는 환자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환자가 의도하는 활동 수준에는 상당한 제한을 받게 되고,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따른 슬관절의 불안정성은 추후 반월상 연골과 관절 연골의 손상을 가중시켜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초래한다는 점에서8-12)관심 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파열 시 관찰되는 골멍은 연골하 골에 출혈, 부종 그리고 미세골절로 인해서 자기공명영상에서 T1 강조영상에서는 저신호강도를 나타내고 T2 강조영상에서는

고신호 강도를 나타내게 되면서13)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간접 적인 증거로서 사용되고 있다. 류 등13)의 동물실험에 의하면 돼 지의 경골 근위부 골간단부의 골멍은 완전한 치유가 가능하지 만 수상 후 8주까지는 골수내 부종이 남아있다고 알려져 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그 기전에 의해 골 손상을 동반하게 되며, 전방십자인대 손상 기전은 크게 접촉성 손상과 비 접촉 성 손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과신전 손상의 경우 접촉성 손상

Table 1. Results of bone bruise pattern.

Cause of injury

Femur Tibia

P-value

(Case No.) Femur Tibia

Active Coronal cut

Med. Center Lat. Med. Center Lat.

0.024 0.025

Daily 27 04 02 23 03 03

Living

Sagittal cut

Ant. Center Post. Ant. Center Post.

0.021 0.029 (32)

25 03 02 22 04 02

Coronal cut

Med. Center Lat. Med. Center Lat.

0.014 0.018

Sports 02 03 21 02 03 19

(22)

Sagittal cut

Ant. Center Post. Ant. Center Post.

0.015 0.017

03 22 02 01 04 18

Traffic Coronal cut

Med. Center Lat. Med. Center Lat.

0.264 0.229 Accident

18 17 19 14 17 16

(33) Sagittal cut

Ant. Center Post. Ant. Center Post.

0.254 0.267

17 20 18 18 17 14

Fig. 4. Case of traffic accident injury (MR image). (A) In T2WI coronal image, femur bone bruise is observated lateral condyle and medial condyle and tibia bone bruise located with plateau diffusely. (B) In T2WI sagittal image femur bone bruise is observed anterior and central aspect and tibia bone bruise located with plateau diffusely.

A B

(5)

과 비 접촉성 손상이 모두 가능하며, 접촉성 손상의 경우 발이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경골 전방에 직접적인 타격에 의해 발생하며, 비 접촉성 손상의 경우 세게 공을 차는 운동 시 슬관절이 과신전 되면서 간접적인 힘에 의해 전방십자인대가 손상된다. 또한 다른 손상기전으로는 대표적인 스키 손상인 유 령발 기전(phantom foot mechanism)을 들 수 있다. 이 때는 스키어가 중심을 잃고 뒤로 주저 앉으면서 과굴곡된 슬관절에 갑작스런 내회전이 가해지면서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일어나게 된다14). 경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대퇴골의 외회전 이 있거나, 대퇴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골의 내회전이 있을 때 전방십자인대는 손상 받게 되며 이를 소위 pivot shift라 부 른다. 만약 이 pivot shift 현상이 충분한 힘에 의해 이루어질 때 대퇴골 외과의 중앙부와 경골 후외측 고평부가 서로 부딪치면 서 전형적인 양상의 골멍을 동반하게 되며, 이를 소위 kissing contusion 이라 한다15). Murphy 등15)은 전방십자인대 완전파 열 시 94%에서 경골 후외측 고평부, 91%에서 퇴대골 외과에 골병변을 확인하였다고 하였으며, Mink와 Deutsch16)는 전방 십자인대 손상 시에 72%에서 대퇴골 외과와 경골 외측 고평부 에 골 손상이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Kaplan 등17)은 경골 외측 고평부의 골손상이 더 많이 일어난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스포츠 손상의 경우 대퇴골에서는 외과의 중심 부 분에 골멍이 집중되었고, 경골에서는 고평부 후방의 외측부에 서 집중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스포츠 손상의 경우 pivot shift 손상의 기전으로 골멍이 흔히 일어난다는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 McCauley 등18)은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간접소견으로 경골 후외측 고평부의 골멍,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방전위, 105도 이하의 후방십자인대 각 형성을 보고하면서 이 소견들 은 높은 특이성과 중등도의 민감도를 가지며 자기공명영상이 확실하지 않은 소견을 보일 때 전방십자인대 손상을 시사해 줄 수 있다고 하였으며, 특히 Murphy 등15)은 전방십자인대가 자 기공명영상에서 잘 보이지 않거나 부분파열인지 완전파열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때 경골 후외측 고평부와 대퇴골의 외과 골 병변 소견은 전방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 생활 손상에서도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 었는데 대퇴골에서는 내과의 전방 부분에 골멍이 집중되어 있 는 것과 경골에서는 고평부 전방의 내측부에 골멍이 대부분 위 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교통사고 손상의 경우에서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교통 사고의 경우 다른 손상에 비해 충격이 크기 때문에 골멍의 양 상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경골과 대퇴골 모두에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양상의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방십자인대 손상환자들의 대상 선택에 있어 관절내시경으로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확진 된 환 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손상이 심한 환자들이 많아 환자군 선택에 있어 편견(bias)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동반 손상이 골멍 또

는 골의 음영이 증가를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것 역시 전형 적인 골멍의 패턴을 교란시키는 요소로서 작용했을 것으로 생 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파열이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 여 분석을 시행하였지만, 전방십자인대의 완전 파열과, 부분 파열 역시 골멍의 패턴 분석뿐 아니라 파열의 차이는 곧 손상 에너지의 차이로 이어지므로 이러한 부분 역시 추가 연구가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상으로 인한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 있어서, 자기 공명영상 검사에서 일상 생활 손상 및 스포츠 손상에서는 골멍 의 형태가 각각 대퇴골에서는 내과의 전방 부분과 경골에서는 고평부 전방의 내측부에 있는 경우, 그리고 대퇴골에서는 외과 의 중심 부분과 경골에서는 고평부 후방의 외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원인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하지만 교통사고 손상의 경우에는 골멍의 패턴이 산발 적으로 발생하여 서로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멍 이 경골 외측 고평부 및 대퇴골 외과에 있는 경우에는 스포츠 손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 손상을 강력히 의심할 수 있는 근거 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01. Faber KJ, Dill JR, Amendola A, Thain L, Spouge A and Fowler PJ:Occult osteochondral lesions after ACL rupture. Six year MRI follow up study. Am J Sports Med, 27:489-494, 1999.

02. Mankin HJ: Current consepts review: The response of articular cartilage to mechanical injury. J Bone Joint Surg, 64-A:460-466, 1982.

03. Rosen MA, Jackson DW and Berger PE: Occult osseous lesions document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ssoci- 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s. Arthroscopy, 7:45-51, 1991.

04. Speer Kp, Spritzer CE, Bassett FH III, et al.: Osseous injury associated with acute tea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m J Sports Med, 20:382-389, 1992.

05. Vellet AD, Marks PH, Fowler PJ, et al.: Occult post- traumatic osteochonral lesions of the knee: Prevalence, classification and short term sequelae evaluated with MR imaging. Radiology, 178:271-276, 1991.

06. Mink JH, Reicher MA, Crues JV: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knee. New York, Raven press, 3-27, 1987.

07. Costa Paz M, Muscolo DL, Ayerza M, Makino A and Aponte Tiano 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 up study of bone bruis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

(6)

ament ruptures. Arthroscopy, 17:445-449, 2001.

08. De Haven KE: Diagnosis od acute knee injuries with hemarthrosis. AM J Sports Med, 8:9-14, 1980.

09. Indelicato PA and Bittar ES: A perspective of lesions associated with ACL insufficiency of the knee. A review of 100 cases. Clin Orthop, 198:77-80, 1985.

10. Noyes FR, Bassett RW, Grood ES and Buttler DL:

Arthroscopy in acute traumatic hemarthrosis of the knee.

Incidence of anterior cruciate tears and other injuries. J Bone Joint Surg, 62-A:687-695, 1980.

11. Noyes FR, Mooar DL, Matthews DS and Buttler DL:

The symptomatic anterior cruciate deficient knee. Part I:

the long term functional disability in athletically active individuals. J Bone Joint Surg, 65-A:154-162, 1983.

12. Thompson RC Jr, Oegema TR Jr, Lewis JL, et al:

Osteoarthrotic changes after acute transarticular load. An animal model. J Bone Joint Surg, 73-A:990-1001, 1991.

13. Ryu KN, Jin W, Ko YT, et al.: Bone bruise: MR charac- teristics and histological correlation in the young pig. J Clin Imaging, 24:371-380, 2000.

14. ST-Onge N, Chevalier Y, H Agemeister N, Van De Putte M, De guise J: Effect of ski binding parameters on knee biomechanics: a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study. Med Sci Sports Excerx. 36:1218-1225, 2004.

15. Murphy BJ, Smith Rl, Uribe JW: Bone signal abnor- malities in the posterolateral tibia and lateral femoral condyle in complete tea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 specific sign? Radiology, 182:221-224, 1992.

16. Mink JH, Deutsch AL: Occult cartilage and bone bruise of the knee: Dete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with MR imaging. Radiology, 170:823-829, 1989.

17. Kaplan PA, Walker CW, Kilcoyne RF: Occult fracture patterns of the kne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 ment tears: assessment with MR imaging. Radiology, 183:835-838, 1992.

18. Mc Cauley TR, Moses M, Kier R, Lynch JK, Barton JW, Jokl P: MR diagnosis of tear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Importance of ancillary findings.

AJR, 162:115-119, 1994.

(7)

Analysis of bone bruis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Dae-Won Jung, M.D., Chang-Wan Kim, M.D., Ph.D.1, Jong-Min Baik, M.D.1, Seung-Suk Seo, M.D., Ph.D.2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Maryknoll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1,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min Hospital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cute anterior cruciate liga- ment (ACL) injury and bone bruise using the survey for location and incidence of bone brui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6 to Feb. 2010, 87 knees from who had complaint a traumatic knee pain were diagnosed as acute ACL tear using MRI evaluation. Associated injury, location and incidence of bone bruise were analyzed using MRI. The location of bone bruise on the MRI was clas- sified as medial, central and lateral area on anteroposterior and lateral view of femur and tibia. The bone bruise was classified with Costa Paz classification.

Results: Bone bruise of injury during daily living activity were located at medial area on coronary view and anterior area on sagittal view of distal femur, at medial area on coronary view and anterior area on sagittal view of proximal tibia (p=0.024, p=0.021, p=0.025 and p=0.029, respectively). Bone bruise of injury during sports activity were located at lateral area on coronary view and central area on sagittal view of distal femur, at lateral area on coronary view and posterior area on sagittal view of proximal tibia (p=0.014, p=0.015, p=0.018 and p=0.017, respectively). Bone bruise patterns due to traffic accident were inconclusive (p=0.264, p=0.254, p=0.229 and p=0.267, respectively).

Conclusion: Injury mechanism of acute ACL injury from activities of daily living or sports activities compared to that of traffic accident showed a more consistent bone bruise patterns. Special attention to acute ACL tear must be paid in case of bone bruise at lateral tibial plateau and lateral femoral condyle.

Key Words: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Bone bruise, Active daily living (ADL), Traffic accident, Sports injur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ung-suk Seo, M.D., Ph.D.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Bumin Hospital, 59 Mandeokdae-ro, Buk-gu, Busan 616-819, Korea

TEL: 82-51-330-3083, FAX: 82-51-330-3075, E-mail: wellknee@gmail.com

= ABSTRACT =

수치

Fig. 1. Location of right femoral and tibial bone bruise. (A) Femur - In coronal and sagittal image, definite locational line is 3 divi- divi-sion of most longest line in each plane
Fig. 3. Case of sports injury (MR image). (A) In T2WI coronal image, femur bone bruise is observed lateral condyle and tibia bone bruise located with lateral aspect
Table 1. Results of bone bruise pattern.

참조

관련 문서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Histopathologic findings of control group at 4 weeks show little bone- implant contact (BIC) around the implant (asterisks) and new-bone formation in the defect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Higher power view of the box area of the left figure showed poor new-bone formation around the implant (asterisk) and low BIC. Villanueva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