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Role of Anesthesiologists and Pain Specialists in Multidisciplinary Care Team for the Management of Major Burns Patie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Role of Anesthesiologists and Pain Specialists in Multidisciplinary Care Team for the Management of Major Burns Patients"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책임저자:한태형,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94-200, 우편 번호: 150-719,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강성심병원 마취통증의학과 Tel: 02-2639-5500, Fax: 02-2631-4387, E-mail: athan@unitel.co.kr

144

The Role of Anesthesiologists and Pain Specialists in Multidisciplinary Care Team for the Management of Major Burns Patients

Tae Hyung Han, M.D., Ph.D, F.A.A.F.P.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Major burns undergo tremendous pathophysiological chang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immense tissue damage of constitutes a systemic illness. Shock after major thermal injury, is caused by severe hypovolemia, decreased cardiac output (CO), increased pulmonary vascular resis- tance and hemoconcentration. At 24 to 48 hours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from the initial injury, there is an increased CO, reduced systemic vascular resistance (SVR), a marked increase in meta- bolic rate, and a subsequent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evere hemodynamic fluctuations can caus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and perhaps response to, drugs commonly used in anesthesia practice. The extent of these changes will depend on the drug, the type and extent of burn and the time elapsed since the injury. This poses a unique clinical challenge to the medical personnel who care for the burns patients.

In major burns, the final pharmacokinetic end products are determined by the balance between increased CO and hepatic clearance vs. decreased serum protein binding and altered lung kinetics.

Pharmacodynamically, alterations in the end organs contribute to the decreased anesthetic effect of many intravenous anesthetics. These include an interaction between endogenous substances the effects of anesthetics at the receptor sites. Drug resistance to muscle relaxants, commonly encountered in major burns, is largely due to the proliferation of immature, fetal-type acetylcholine receptors, with increased mRNA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Different types of burn injury and recovery stages will determine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pain outcome and subsequently, the methods of choice for pain management.

As a member of multidisciplinary burn care team, the roles and potential contributions of anesthesiologists and pain specialists cannot be overemphasized. Their services are truly needed for

중화상 환자관리에서 다면진료팀의 일원으로서 마취통증의학과의 역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강성심병원 마취통증의학과

한 태 형

(2)

서 론

중화상 환자의 치료에서 다면진료팀의 운영은 가장 저렴하게 가장 효율적으로 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선호된다. 이러한 팀의 일원으로서 마취통증의학과의 역할은 크게 수술장 에서의 마취진료와 수술전후 화상환자의 통증관리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요약할 수 있다.

중화상 환자들에서 광범위한 조직 손상 후에 발 생하는 병태 생리학적 현상들은 표면 조직의 열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급성 병 태이다. 또한 회복기에서도 화상의 종류와 범위, 화상후 경과일수 및 급성도 등에 따라 다양한 특 성을 보이며 그에 따른 약물 반응도 일정하지 않 아 이들의 마취 및 통증관리는 일반 환자들과는 달리 유념해야 할 점들이 있다. 본 종설에서는 화 상 환자들의 일반적인 병리생태학적 특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이에 따른 마취통증진료에서의 유의할 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론

중화상에서 극심한 조직의 손상은 전신적 질환 을 유발한다. 먼저 급성기에서 열상후 쇼크는 심한 저혈류증, 심박출량의 감소, 폐혈관저항증가 및 혈 액농축 등을 일으킨다.

1)

초기손상에서 성공적으로 소생된 지 24∼48시간 경과 후에는 심박출량의 증 가, 전신적 혈관저항의 감소, 대사율의 극심한 상 승 등이 이어지며 이에 수반한 다양한 염증매개물 질들의 분비로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에 빠질 수

있다.

2)

단기간동안 환자가 겪어야 하는 이러한 극 도의 혈역학적 변화는 화상의 종류 및 범위, 수상 후 경과시간 등에 따라 다르며 마취진료를 위해 전신적으로 흔히 투여되는 여러가지 정맥주사용 최면제들 및 근이완제의 약동학적 약역학적 변화 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통증관리의 방법도 이러한 차이점들을 이해하면서 접근해야 할 것이 다.

1. 약동학적 요소들에 의한 영향

중화상 환자들에서 정맥마취제에 대한 약동학은 심박출량, 간에서의 청소율, 혈장내에서 약제에 의 한 단백질 결합 및 폐에서의 약동학적 변화 등등 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3)

1) 심박출량: 대부분 중화상 환자들은 급성기 보 다는 어느 정도 소생이 진행된 아급성기(subacute) 에 조기가피제거술, 피부이식 등을 목적으로 수술 장에 들어오게 되므로 과대사증후군에 빠져 있으 며 쇼크를 치료하기 위한 수액의 공급 등으로 심 박출량이 증가해 있는 경우가 많으며

4)

이는 마취 의 유도시에 영향을 미친다. 심박출량의 증가는 혈 중 약물농도를 감소시키므로 정맥마취제가 궁극적 으로 작용하는 부위인 뇌에서의 농도도 감소하게 된다.

5,6)

2) 혈중 단백질의 변화: 화상 수상후 혈중 단백 질은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일부는 혈관외부로 빠 져나가면서 저단백질(알부민)혈증, 빈혈, 저지질단 백질혈증 등을 일으킨다.

7,8)

이와 반면에 α-1-acid glycoprotein은 급성기 염증반응물질 중의 하나로서 오히려 증가하게 된다. 약물의 약동학에 관여하는 혈중 단백질들로서는 크게 알부민과 α-1-acid gly- the whole period of recovery from early surgical treatment to rehabilitation. Safety of the burned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utmost important and essential.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Burns, Anesthesia, Pain

(3)

coprotein 등이 있는데 약제가 주로 어느 단백질에 결합하는가에 따라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유리기의 비율(free fraction)이 결정된다.

9)

예를 들어 프로포 폴과 같은 정맥마취제는 주로 알부민에 결합하므 로 저알부민혈증인 경우 혈중농도가 증가하여 심 박출량의 증가에 의한 영향을 어느 정도 감소시킨 다. 이와 반면에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마취제는 주 로 α-1-acid glycoprotein에 결합하므로 그 영향력이 줄어들게 된다.

3) 간 혈류: 환자가 급성화상쇼크에서 소생술을 거쳐 회복기에 이르는 동안 간혈류는 저관류(hypo- perfusion)에서 과관류(hyperperfusion)의 과정을 거 치게 되며 간은 허혈/재관류 손상(ischemia/ reper- fusion injury)을 입게 된다.

10,11)

따라서 약제의 청소 를 주로 간에 의존하는 약제들의 약동학은 회복기 의 단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9)

추가적으로 염증매개물들에 의한 간의 급성염증 반응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대개 독성물질들을 처리할 수 있는 간의 능력은 상당히 커서 크게 영 향을 받지 않는다.

12)

4) 뇌 혈류량: 중화상에서 심박출량의 증가는 뇌 혈류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마취의 심도를 심화할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신마취제들 은 그 자체가 혈압을 감소시키므로 뇌혈류를 50%

정도 저하시키며 따라서 스스로 자신의 uptake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전신마취제는 또한 뇌손상 이 없는 경우 뇌혈압의 자동조절기능(autoregula- tion)을 보존 유지하여 뇌관류압이 변한다 하더라 도 뇌혈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도와 준다.

13)

그러나 뇌혈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혈 중 이산화탄소 농도이므로 정상적인 호흡을 유지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며 나머지 요소들에 의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5) 폐의 대사기능: 일부 정맥마취제들은 상당 부 분(20∼30%)이 폐에서 대사된다. 따라서 흡입손상 여부는 약동학을 이해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요소 가 된다.

14)

화상에 따른 흡입손상은 폐혈류 및 약 제의 대사를 감소시키므로 그 혈중 및 뇌내 농도 를 증가시킬 수 있다.

2. 약역학적 요소

정맥마취제의 약효가 감소하는 약역학적 원인중 하나로 말단기관(end organ)의 감수성 변화를 생각 할 수 있다. 화상쇼크는 처음 36시간 동안 엔돌핀 과 같은 내인성 물질들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이들 은 이후 정상으로 회복된다.

15)

또한 GABA

A

의 수 용체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들의 변화는 정맥마취 제와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 다.

16)

중화상 환자들에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은 종종 관찰되며 이중 근육이완제에 대한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중화상은 신경근접합에서 미숙한 형 태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분화를 촉진시키며 따 라서 비탈분극성 근이완제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 나게 된다.

17)

3. 중화상 환자들에서 마취심도의 측정법으로 bispectral index (BIS)

최근 들어 마취의 심도를 측정하는 한 방법으로 서 뇌전도에서 도출한 bispectral index를 종종 수술 중에 사용한다. 이 BIS는 상당히 민감한 도구로서 수술 도중에 다양한 여러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크게 생리적 및 비생리적 요소로서 대별할 수 있는데 전자에는 근육의 활동성, 발한, 기계적 환기, 수술중 잦은 체위의 변화 등등이 있 다.

18)

특히 화상 환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근육 이완제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근육의 활동성 때문 에 근전도의 활동성을 대신 잡아낼 수 있어 실제 보다 높은 값을 제시할 수 있다.

19,20)

4. 중화상 환자들의 통증관리

화상 환자들의 통증은 크게 급성 및 만성 통증 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총체적 화상관리의 한 측 면으로서 환자에게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필수적 인 치료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통증치 료가 부적절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은 아래 와 같다.

상기한 이유들에 추가하여 화상에서 통증관리가

(4)

필요한 이유들로서는 통증관리가 잘 이루어질 때 의료진과 환자들간 상호신뢰와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통증관리가 되지 않을 때에는 화상 환자들의 과대사현상이 더욱 증가할 수 있으며 또한 급성 및 아급성 시기에 통증으로 인한 각종 적응장애, 정신착란, 우울증 및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등 정신과적 문제의 발생이 흔한 것이다.

화상 환자들의 통증관리는 그 치유의 단계에 따 른 차이를 이해하여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급성기에는 화상으로 인한 직접적인 통증이 있으 며 아급성기에는 반복적인 수술로 인한 통증이 대 표적이며 이후 상처의 치유 단계에서는 소양증 및 구축에 따른 통증 등이 있을 수 있다.

급성기의 화상통증관리는 다른 환자군과는 달리 몇 가지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심혈관 계 및 호흡계의 불안정성 및 대사 장애에 기인한 다. 초기에는 화상쇼크(Burn Shock)가 생기며 24∼

48시간 후에는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에 빠지기 쉽다. 따라서 진통제의 적절한 투여 및 사용이 어 려우며 다른 동반된 손상에 대해 고려해야 하며 신경차단법, 경막외강 및 척수강내 진통법 등 침습 적 통증관리기법의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혈액응 고장애 및 궤양의 가능성 때문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가 제한된다는 점이다.

수술적 통증은 크게 지속적 및 간헐적 통증으로 대별할 수 있다. 간헐적 통증은 반복되는 수술과

드레싱 교환 때문에 주로 발생하며 지속적 통증은 수술 후에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통증자극에 의한 다. 통증치료의 원칙은 통증을 먼저 잡을 만큼 충 분한 양의 진통제를 사용하며 또한 환자의 각 통 증호소에 맞는 약제를 적절히 적용하는 데 있다.

지속적 통증은 아편 유사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 는 방법을 사용하며 통증자극이 짧은 드레싱 교환 등과 같은 간헐적 통증에는 아편유사제, 정맥마취 제 및 벤조디아제핀 제재를 같이 투여한다. 아편 유사제를 투여할 때에는 내성의 발생에 대비한다.

상처치유단계의 통증에는 크게 화상 상처의 치 유로 인한 통증과 구축에 의한 통증으로 나눌 수 있다. 상처가 치유되면서 발생하는 통증의 대표적 인 예로서 전기화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감각부 전(Dysesthesia)이 있는데 항히스타민 제재, 벤조디 아제핀 제재, 항전간제, 항우울제 등이 적응이 되 며 소양증인 경우에는 항히스타민 제재를 전신적 및 국소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축으로 인한 통 증에는 아편유사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을 투여할 수 있다.

화상환자들의 통증관리에 쓰이는 약제들은 크게 아편유사제, 비아편유사제 및 부가적 진통제로 구 분하는데 아편양 제재는 의료진에 의한 간헐적으 로 정맥주사나 혹은 통증자가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통증자가조절 장치의 적응증으로는 성인이나 소 아의 수술후 통증, 화상 및 각종 외상, 급성통증을 수반한 내과적 질환, 급성 암성통증, 산과의 통증 등등이 있다. 금기증에는 연령 3 내지 4세 미만, 자 각기능의 장애, 펌프 작동에 대한 신체적 문제가 있는 경우, 알레르기 등 약제의 부작용에 대한 기 왕력, 환자 및 보호자가 거부하는 경우 등이다. 제 한적이기는 하지만 주의해서 사용이 가능한 경우 는 심한 천식, 상기도 폐쇄, 신부전, 수면 무호흡 증, 약물 남용의 과거력, 척수강 혹은 경막외강 진 통법을 병용하는 경우 등이다.

1) 아편양 제제: 모르핀은 대표적 아편양 작동제 로서 지방용해도가 적으며 통증 완화에 임상적으 로 우수하고 간에서 대사되어 신장으로 배설된다.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호흡기계 저산소증과 폐감염

심혈관계 심근 허혈

신체의 국소 혈류 변화 심부 정맥의 혈전

위장관계와 위장관 운동 감소,

비뇨생식기계 뇨 저류

신경내분비계와 스트레스 반응

대사작용 혈액 응고성 증가

면역 저항력 감소 고혈당증

심리적 영향 불안, 공포, 불면증

근골격계 강직, 운동불능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5)

대사산물로는 M-3-G와 활성적 대사산물인 M-6-G 가 있으며 신장 기능저하 환자에서 효과가 연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구용 혹은 좌약 제재는 만 성이나 암성 통증의 치료에 유용하다. 부작용으로 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다.

메페리딘(페치딘)은 경구투여시 생물학적 이용 율 감소하며 아트로핀과 유사한 임상적 효과가 있 어 구강건조, 빈맥, 동공축소, 국소마취작용 등이 나타난다. MAO 억제제와 같이 투여시 고열을 수 반한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이 생길 수 있 다. 간에서 대사, 신장으로 배설되며 대사산물인 노메페리딘은 일일 1,000 mg 이상 투여시 신경계 독성(발작)이 있다. 수술후 떨림증을 치료하기도 한다.

펜타닐은 지방용해도가 높으며 히스타민 분비가 없고 발현 및 지속시간이 짧아 수술중 진통에 사 용한다. 펜타닐 첩포가 개발되어 있으며 소아용 구 강점막제재로도 투여가 가능하다.

아편유사제의 투여는 필요조건에 따라 환자의 연령 및 체중에 따른 용량범위를 결정하고 투여경 로에 따른 적절한 투여간격을 설정하여 통증점수, 진정점수, 호흡수, 다른 부작용의 유무 등을 감시 하면서 시행한다. 환자의 편안함이 가장 큰 목표이 며 진정점수가 2미만, 호흡수 분당 8 회 이상을 기 준으로 한다.

2) 비아편양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 제는 진통작용에 천장효과가 있다. 내성이나 신체 적 의존성은 없으며 해열작용이 있다. 아편유사제 의 투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절감효과가 있으며 광범위한 적응증이 있다. 대표적으로 케토롤락을 들 수 있는데 자극없이 주사투여가 가능하며 진통 및 해열작용이 우수하다.

미다졸람과 같이 작용시간이 짧은 벤조디아제핀 은 종종 아편 유사제와 함께 투여하며 불안증상의 해소, 기억의 차단, 척수손상이나 수술 후 근육경 직의 이완을 목적으로 한다. 아편유사제와 마찬가 지로 호흡억제의 가능성이 있으며 진통효과는 없다.

3) 부가적 진통제사용: 조기에 화상으로 인한 신 경병증성 통증을 놓치지 않고 정확히 진단하는 것

이 가장 중요하다. 일단 이를 확진하면 치료는 약 물 및 비약물요법을 포함한 모든 가능한 방법을 동원하여 총체적이고도 다원칙적 접근법으로 신속 히 진행한다. 약물사용은 임상적 증상과 기전에 근 거하여 각기 다른 기전의 약제들을 소량으로 서서 히 시작 처방하며 통증과 연관된 혹은 연관되지 않은 다른 증상들에 대해서도 같이 조사하여 치료 하도록 노력한다. 즉 모든 증상을 하나의 질환으로 간주하여 대증요법의 원칙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 요하다고 하겠다.

(1) 항우울제; 작용기전은 하향성 세로토닌계 및 노르에피네프린계를 포함하는 중추성 통증 조정과 신경전달 물질들의 활성화를 통해 통증의 역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substance P, neurotensin, acetylcholine, GABA 등도 같이 작용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대개 날카로운 간헐적 통증 보다는 지속적인 이상감각에 효과적이다.

화상 이외의 다른 적응증은 당뇨성 신경증, 대상 포진 후 신경통, 긴장성 두통, 혈관성 및 심인성 두 통, 만성 요통 등이다. 금기증은 심부정맥, 전립선 비대증, 협각 녹내장, 약물 알레르기 등이다.

(2)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진통제로서 의 역할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으며 대 개는 삼환계 항우울제에 의한 부작용시 이차적 약 물로서 고려되고 있다. Fluoxetine과 paroxetine이 효 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 로 인한 불면증 때문에 저녁시간보다는 주로 오전 중에 복용하게 된다.

(3) 항경련제; 기전은 선택적으로 탈분극된 신경 에 작용하여 voltage 및 frequency 의존성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여 정상적인 감각 및 운동신경계에 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비정상적인 신경의 방 전을 억제한다. 또한 중추성 세로토닌계 통증 조정 계에도 작용한다.

적응증은 지속적보다는 간헐적이면서 날카롭게

찌르는 듯한 통증에 주로 적응이 된다. 삼차 신경

통, 설인후 신경통, Tabes dorsalis, 대상포진 후 신

경통, 시상통증증후군, 교감신경절제술 후 통증,

당뇨성 신경증이나 Fabry 질환 등이 있다.

(6)

임상에서는 대부분 1세대 약제들이 아직 국내에 서 쓰이고 있으나 해외에서는 이미 제 2세대 약제 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신경병증 성 통증뿐만 아니라 편두통, 각종 운동장애, 정동 장애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① Dilantin: 치료적 혈중 농도는 10∼20 mcg/ml 이며 대개 일일 300 mg으로 경구 투여한다. 주된 부작용으로는 피부 발적, 스티븐-존슨 증후군, 백 혈구 감소증, 복시, 구음장애, 운동 실조 등이 있으 며 장기간 사용시 감각 장애, 영구적 소뇌손상 등 이 있다.

② Tegretol: 소량 일일 100 mg으로 시작하며 서 서히 증량 하며 일일 300 mg 투여시 혈중농도를 추적해야 한다. 부작용으로 위장관 장애, 피부 발 적, 혈액억제, 복시, 운동실조 등이 있다. CBC, 간 기능 및 전해질 검사를 일정 간격으로 시행한다.

③ Valporic acid: 지속적인 만성 두통과 진통제 의 금단 증상의 관리에 유용하다. 부작용으로는 체 중증가, 탈모, 간 및 혈액의 이상 등이 있다.

④ Clonazepam: 날카롭게 찌르는 듯한 통증에 효과적이며 특히 오심, 초조, 불면증 등이 연관된 신경병증성 통증에 유용하다. 약물 남용에 유의한 다.

⑤ 가바펜틴: 항전간제이다. 정확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비특이적 신경병증성 통증, 당 뇨성 신경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등에 효과적이 다. Tegretol에 연관된 심각한 부작용은 없으나 오 심 및 구토, 어지럼증 등이 자주 발생한다.

⑥ 기타: Zonisamide, oxycarbazepine, lamotrigine, pregabalin 등이 있다.

(4) Baclofen; 기전은 척수의 후각에서 흥분성 신 경전달 물질의 효과를 길항 하는 GABA 직동제이 다. 삼차신경의 핵에서 부분적 억제를 강화시켜 흥 분성 신경전달을 억제한다.

적응증은 삼차 및 설인 후 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과 연관된 간헐적 통각과민에 효과적이며 일일 삼회 5∼10 mg으로 시작하여 이틀마다 10 mg씩 증량하고 대개 일일 50∼60 mg을 분복한다.

반감기가 짧아 매 3∼4시간마다 투여한다.

부작용으로는 어지럼증, 위장관 장애 등이 있다.

급성 독성 작용으로는 혼돈, 의식장애, 발작, 호흡 억제, 근력상실, 전신적 반사기능장애가 있으며 만 성 독성으로는 기억상실, 급성 조증, 환각 등이 나 타날 수 있다. 신기능 장애 환자에서 유의해야 하 며 약물 중단시에는 일일 5∼10 mg씩 서서히 감량 한다.

(5) 경구용 국소마취제; Mexiletine, Tocainide, Flecanide 등이 있으며 중추 및 말초에서 비정상적 인 신경의 방전을 차단하여 지속적이며 날카로운 통증 모두에 효과적이다. 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 는 신경병증성 통증, 통증이 있는 당뇨성 신경증, 삼차신경통, 악성 종양의 신경침윤에 의한 통증 등 에 적응이 된다. 부작용으로는 오심 및 구토, 진전, 어지럼증, 드물게 간 손상, 혈액 기능장애 등이 있 다. Mexiletine이 주로 쓰이며 일일 300 mg 삼회까 지 증량한다.

(6) 스테로이드; 소염 작용, 부종 감소, 세포막 안정화 등이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다. 교감신경성 통증, 암성 통증,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 등에 적 응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작용에 유의한다.

(7) 국소 도포요법; Capsaicin, 아스피린, 비스테 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와 국소마취제의 혼합제제 등이 있다. 말초 및 중추의 통증전달 체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당뇨성 신경증이나 대 상포진 후 신경통, 군발성 두통 등에 효과가 있다 고 한다. 실제 사용시 capsaicin은 심한 작열통을 유발할 수 있다.

(8) 벤조디아제핀계; Clonazepam은 날카로운 비 특이성 신경병증성 통증에 효과적이며 남용의 가 능성에 대해 유의한다. Alprazolam은 통증과 연관 된 불안, 초조 등에, diazepam은 골격근의 이완 효 과가 있어 근근막 통증증후군에 사용할 수 있다.

결 론

이상의 논의에서 중화상 환자들의 마취 및 통증

관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과 치료방법들에 대해

부족하게나마 간략히 알아보았다. 상세한 내용의

(7)

교육을 위해서는 좀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며 전문적인 수련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강조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중 화상 환자들에서 성공적으로 마취 및 통증관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각 개인 환자에서 병리생태학적 진행상황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반화된 표준 진료지침을 무 작정 따라한다면 불필요한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환자에게 치명적인 해를 끼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대로 교육된 마취통증의학과 전문 인력 들의 역할은 필수적이며 단순히 수술장에서 뿐만 아니라 화상환자의 전체적인 회복기 동안에 시행 될 외과적 치료시 환자 안정성 확보 및 재활기간 중에 통증관리라는 측면에서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다면화된 중화상환자 관리팀의 일원으로서 마취 및 통증관리에 전문적 으로 수련된 의료진의 중요성과 역할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Youn Y, LaLonde C, Demling R: The role of mediators in the response to thermal injury. World J Surgery 16: 30-36, 1992

2) MacLennan N, Heimbach DM, Cullen BF: Anes- thesia for major thermal injury. Anesthesiology 89:

749-770, 1998

3) Schnider TW, Minto CF, Gambus PL, et al: The influence of method of administration and covariates on the pharmacokinetics of propofol in adult volunteers. Anesthesiology 88: 1170-1182, 1998 4) Ludbrook GL, Upton RN: A physiological model of

induction of anaesthesia with propofol in sheep. 2.

Model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dose require- ments. Br J Anaesth 79: 505-513, 1997

5) Kurita T, Morita K, Kazama T, Sato S: Influence of cardiac output on plasma propofol concentrations during constant infusion in swine. Anesthesiology 96: 1498-1503, 2002

6) Upton RN, Ludbrook GL, Grant C, Martinez AM:

Cardiac output is a determinant of the initial con- centrationsof propofol after short-infusion administra-

tion. Anesth Analg 89: 545-552, 1999

7) Zamacona MK, Suarez E, Aguilera L, Rodriguez- Sasiain, Aguirre C, Calvo R: Serum protein binding of propofol in critically ill patients. Acta Anaesth Scand 41: 1267-1272, 1997

8) Suarez E, Rosario C, Zamacona MK, Lukas J:

Binding of propofol to blood components. Br J Clin Pharmacol 49: 379-382, 2000

9) Costela JL, Jimenez R, Calvo R, Suarez E, Carlos R: Serum protein binding of propofol in patients with renal failure or hepatic cirrhosis. Acta Anaesth Scand 40: 741-745, 1996

10) Tadros T, Traber DL, Herndon DN: Hepatic blood flow and oxygen consumption after burn and sepsis.

J Trauma 49: 101-108, 2000

11) Jaehde U, Srgel F: Clinical pharmacokinetics in pa- tients with burns. Clin Pharmacokinetics 29: 15-28, 1995

12) Myburgh JA, Upton RN, Grant C, Martinez A: Epi- nephrine, norepinephrine and dopamine infusions decrease propofol concentrations during continuous propofol infusion in an ovine model. Intensive Care Medicine 27: 276-82, 2001

13) Harrison JM, Girling KJ, Mahajan RP: Effects of target-controlled infusion of propofol on the transient hyperaemic response and carbon dioxide reactivity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Br J Anaesth 83: 839- 844, 1999

14) Kuipers JA, Boer F, Olieman W, Burm AG, Bovill JG: First-pass lung uptake and pulmonary clearance of propofol: assessment with a recirculatory indocya- nine green pharmacokinetic model. Anesthesiology 91: 1780-1787, 1999

15) Deitch EA, Xu D, Bridges RM: Opioids modulate human neutrophil and lymphocyte function: thermal injury alters plasma beta-endorphin levels. Surgery 104: 41-48, 1998

16) De Paepe P, Belpaire FM, Rosseel MT, Van Hoey G, Boon PA, Buylaert WA: Influence of hypovo- lemia on the pharmacokinetics and the electroen- cephalographic effect of propofol on the rat. Anes- thesiology 93:1482-1490, 2000

17) Ibebunjo C, Martyn JAJ: Disparate dysfunction of

skeletal muscles located near and distant from burn

site in the rat. Muscle & Nerve 24: 1283-1294, 2001

18) Nasraway SA Jr, Wu EC, Kelleher RM, Yasuda

(8)

CM, Donnelly AM: How reliable is the bispectral index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prospective, com- parative, single-blinded observer study. Crit Care Med 30: 1483-1487, 2002

19) Riker RR, Fraser GL, Simmons LE, Wilkins ML:

Validating the sedation-agitation scale with the bispectral index and visual analog scale in adult

ICU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Med 27: 853-858, 2001

20) Renna M, Wigmore T, Mofeez A, Gillbe C: Biasing

effect of the electromyogram on BIS: a controlled

study during high-dose fentanyl induction. J Clin

Monit Comput 17: 377-381, 2002

참조

관련 문서

Severe disease activity and cy- tomegalovirus colitis are predictive of a nonresponse to infliximab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igure 1.4 shows an example of one of the IDEFO diagrams that the research team developed and relates to the major functions involved in pre-project planning. Underlying

The thickness of crose-sectional is decreased, the roughness of top surface is decreased as a function of the oxygen gas flow rate was increased.. The structure and

omeprazole major good increased TAC exposure esomeprazole major good increased TAC exposure dexlansoprazole moderate fair increased TAC concentration celecoxib major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affect intensity, an important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upon affect formation

Musical essence of typical trot is the Japanese pentatonic minor scale that exclude the fourth and seven notes, but major trot is done in pentatonic major scale..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 - management of dance major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