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Literature Review on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 of Oral Cance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Literature Review on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 of Oral Cancer"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Received: September 27, 2012, Revised: October 15, 2012, Accepted: October 15, 2012 ISSN 1598-4478 (Print) / ISSN 2233-7679 (Online)

Correspondence to: Ji-Hyoung Ha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Science College, 288, Seja-ro, Jeongnam-myeon, Hwaseong 445-742, Korea Tel: +82-31-350-2418, Fax: +82-31-350-2075, E-mail: najochi-1@hanmail.net

Copyright © 2012 by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구강암의 발생현황과 원인

한지형ㆍ김응권ㆍ임순환ㆍ김창희1

수원과학대학교 치위생과, 1충청대학교 치위생과

Literature Review on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 of Oral Cancer

Ji-Hyoung Han

, Eung-Kwon Kim, Soon-Hwan Lim and Chang-Hee Kim

1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Science College, Hwaseong 445-742, 1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hung Cheong University, Cheongwon 363-792,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vasive trends in oral cancer in different countries in an effort to discuss what to do to prevent cancer and drop a death rate. The material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among articles of oral cancer by searching risk factor and epidemiology at a website (www.oraloncology.co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ected literature, it's found that in our country, the percentage of oral cancer in total cancer dropped but the number of oral cancer patients was on the rise every year. In foreign countries, the number of oral cancer patients was on the increase as well, whereas the lethality dropped.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was higher among men than women overall.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was larger among older people. The major causes of oral cancer were smoking and drinking. To reduce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every possible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and legal measure should be taken to ensure of anti-smoking policies, and publicity of moderation in and abstinence from drinking should be reinforced. The additional causes of oral cancer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country and region. The incidence of oral cancer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at was affected when the level of personal economy and education was low. Therefore it's important to redress social imbalance within a country and among countries to remove socioeconomic divide. As the oral cancer patients has increased every year, the incidence rate of it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arly diagnosis, public oral health education and preventive policies are all required to decrease the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Key Words: Incidence, Oral cancer, Rick factor

서 론

아직까지 인류는 극복하지 못한 많은 질환을 갖고 있으 며, 원인을 알 수 없는 희귀질환을 비롯하여 변종되는 바이 러스 등에 끊임없이 노출되고 있다. 암 역시 우리에게 가장 위협적인 질환으로 그 발생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암 발생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 다

1)

.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에 암 사망자가 총 43,785명으 로 전체 사망자의 32.0%였으며, 폐암(24.9%), 간암(19.4%), 위암(15.3%), 대장암(8.8%)의 순으로 보고되었다

2)

.

그 중에서도 구강암은 19세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빈발하

고 있으며, WHO에서는 앞으로 수년 동안 그 수가 증가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건강문제의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3,4)

. 구강은 신체부위 중 가장 뚜렷한 노출부위이기 때

문에 암 발생 시 야기되는 안모의 외관파괴, 저작과 발음 등

의 기능손상은 발전된 성형기술 및 보철기술로도 원상회복

이 어려워 개개인의 사회적, 정서적 장애로 인한 사회로의

정상복귀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막대한 치료비 부담

으로 인해 환자와 그 가족들의 일상적 생활여건마저 심각한

처지에 놓이게 한다

1)

. 구강암은 입안의 혀, 혀밑바닥, 볼점

(2)

막, 잇몸, 입천장, 후구치 삼각, 입술, 턱뼈 등에 발생하는 암 을 총칭하며 90% 이상이 입 안의 점막을 구성하는 편평상 피세포에서 발생하는 편평상피세포암으로 발병한다. 이외 에 구강점막의 작은 침샘에서 발생하는 타액선암, 턱뼈나 안면부의 근육 등의 연조직에서 발생하는 육종, 구강점막의 입천장, 볼점막, 잇몸 등에서 발생하며 검은 반점을 형성하 는 악성흑색종, 드물게 림프종 등이 발생한다

2,4)

.

대부분 유럽 국가들은 1950년대에서 1980년 후반까지 구강 및 인후암으로 인한 발생율과 사망률이 모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비율이 낮았던 여성도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다. 구강암의 병인론적 원인 역시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 고 있는 가운데 현재 음주와 담배가 구강 및 인후암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분류되고 있다

5-7)

.

본 연구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의 구강암과 인후암의 국가별 동향과 유형을 살펴보고, 또한 암의 예방 과 사망률 절감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여 논의하고자 한 다. 이로써 구강암 생존과 관련된 여러 요인을 파악하고 효 과적인 구강암 예방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구강암의 정의

1. 암의 정의 및 특성

종양의 일종인 암은 신생물(Neoplasia)이란 어원에서 파 생되었다. 신생물은 new growth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는 상처치유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의미하 기도 하고, 또는 정상적이 것을 벗어나 모양이 바뀌고 비정 삭적으로 증식하여 정상과 조화를 깨드리는 것도 포함된다

8)

. 흔히 의학계는 신생물을 종양이라 부르며 종양은 크게 양성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과 악성은 육안소견이 나 현미경 소견, 분자병리로 규칙적인 차이를 보인다. 암이 라 칭하는 악성종양의 경우 육안으로 보면 주위와 경계가 불분명하며 침윤성 성장을 보인다. 또한 주위조직에 고정되 어 유동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현미경 소견으로 세포의 핵과 세포질의 비율이 증가하며, 핵의 모양이 불규칙적으로 변화가 심하다. 분화도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유사분열이 많 이 일어난다. 분자병리학적으로 DNA가 증가하거나 비정상 적으로 나타난다

7)

.

2. 구강암의 정의

WHO의 정의에 따르면 구강암은 구강 및 인두부에 발생 하는 악성종양 전부를 통칭하는 것으로 입술, 대타액선, 혀, 상하악 치은, 주위 치주점막조직, 구강저, 연구개, 경구개,

협점막, 치은전정부, 구후, 삼각부, 편도, 구강인두, 비인두, 하인두, 타액선, 구개수, 기타 표시 안 된 구강인두부에 발생 하는 악성종양을 말한다

7,9-13)

.

3. 악성종양의 발생 원인

구강암은 인체에 발생하는 전체 암의 4∼5%를 차지하 며, 이중 편평 세포암종이 95%를 차지한다. 서두에 언급하 였듯이 암과 마찬가지로 구강암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 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구강암의 위험요인으로는 음주와 흡연이 대표적이다. 또한 이외에도 화학적 및 물리적 요인, 감염 등에 의한 생물학적 요인, 내분비적 요인 및 유전적 감 수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식습관과 영양결핍 등이 거론되 어지고 있다

2,9,11)

.

4. 악성 종양의 분류

구강암의 분류는 기본적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에 의한 다. 대부분이 구강암종이며, 육종 및 비상피성 악성종양으 로 분류하며, 육종과 암종은 기원, 호발 연령, 전이, 성장속 도 및 궤양 여부 등으로 감별이 가능하다

9)

.

구강에 생기는 암 중에서 편평상피암이 가장 흔한 암이 며, 이외에 소타액선에서 발생하는 선양낭성암, 점액표피양 암, 선암 등이 생길 수 있다. 편평상피암은 초기에 발적을 보 이거나 점막의 변화를 보이고 진행하면서 침윤성 또는 외장 선 병변이 된다

11,14)

.

5. 구강암의 치료

구강암 치료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환자의 병력 청취와 철저한 임상적 평가가 시행되어야 한다. 시진, 촉진, 방사선 학적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핵의학적 검사, 혈관조영술, 조직학적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해야 하고, 악성종양의 병기에 따라 치료법의 선택과 생존율 등 을 설정하여야 한다. 구강암의 치료는 외과적으로 종양을 절제하거나 방사선 조사로 감소시키는 방사선 요법과 항암 화학요법 등이 있다. 위의 방법 중 한 가지를 이용하는 단독 요법이나, 위의 치료법 모두를 이용하는 복합요법이 있다.

하여 치료하는 것이며, 복합요법은 위의 치료법을 모두 이 용한다. 비교적 초기에는 수술 및 방사선 요법이 이용되고 진행된 구강암에서는 복합요법을 이용한다

9)

.

구강암의 발생 현황

1. 우리나라의 구강암 발생 현황

2009년에 발표된 한국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3)

Fig. 1. The occurrence people of oral cancer. Fig. 2.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2007년에 우리나라에서는 연 평균 161,920건의 암이 발생 되었는데, 그 중 구강암은 남녀를 합쳐서 연 평균 1,256건으 로 전체 암 발생의 0.8%를 차지하였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 생률은 206건이다. 남녀 성비는 1:0.5로 남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남녀 발생건수는 남자가 연 평균 812건, 여 자가 연 평균 444건이었다. 남녀를 합쳐서 본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4.9%로 가장 많고, 50대가 21.9%, 70대가 18.0%

의 순이다

15)

.

Fig. 1과 2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 암에 대한 구강암 발생 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발생자수는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5)

. 이밖에도 우리나라 구강암에 대한 이와 한

16)

의 연구에 의하면 1979년부터 1985까지 고신의료원을 방문 한 환자 중 7세에서 88세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40∼

60대가 79.9%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성별로는 남자가 80.3%, 여자가 19.7%를 보였으며, 발생부위는 인두부가 21.4%고 혀가 19.7%를 나타냈다고 보고하고 있다.

2. 외국의 구강암 발생 현황

1) 미국

Mores 등

17)

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혀, 입, 인후 그 리고 기타 구강암 등 1998년에 30,300건이 발생되었고 8,000명이 사망하였다. 구강과 인후암의 발생 경향은 다양 하며, 동부와 중앙유럽이 증가하고 있다. 1935년부터 1994 년까지 입술은 2,378명, 구강은 9,183명, 인후는 4,691명으 로 전체 16,252명이 암 진단을 받았다. 남자의 경우는 소폭 씩 하락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1985년까지 꾸준히 상승하 다가 그 이후부터 약간의 감소추세를 보였다. Maria와 Susan

11)

은 1998년까지는 인구 10만 명당 8.3명이 걸렸다.

95% 이상이 40세 이상에서 발생하였으며, 1975∼1998년

까지 구강암과 인후암의 발생빈도는 남자에게서 많았으며, 흑인이 더 높았다. Canto와 Devesa

10)

는 2001년 미국의 구 강ㆍ인후암은 30,100명이 새로 발생되었으며, 7,800명이 사망하였다고 발표했다. 1998년 Mores 등

17)

의 연구와 비교 하여 약간 낮은 발생과 사망건수를 보이고 있으나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조직학적 측면에서는 squamous cell carcionma가 다른 조직보다 6배 높았으며, 해부학적인 면에 서는 혀와 입술부위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고 있 다. 현재 National Cancer Institute에 의하면 미국은 2010기 준, 발생자 36,540명 사망자 7,880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조 발생률은 남자가 15.4명, 여자가 6.1명이며, 사망률은 남자 는 10만 명당 3.9명, 여자는 1.4명이다

18)

. 이는 약 10년 전 통 계수치와 비교할 때 발생자수는 6,000명 이상 늘어났으나 사망자수는 증가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점점 치사율이 낮아 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2) 브라질

Antunes 등

19)

의 연구에 의하면 브라질의 경우 1998년 구

강암 사망률은 여자가 10만 명당 0.79, 남자가 3.60으로 나

타났다. 1980∼1998년 사이 구강암 발생빈도는 혀암이

49.5%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 구강부위가 16.3%, 타액선이

9.0%, 구강저가 8.7%, 구개가 8.0% 순을 보였다. 치은과 입

술 등은 2.0∼3.0% 정도를 기록하고 있다. Victor

20)

는 브라

질의 Belem (1989∼1991) 지역과 Fortaleza (1978∼1982)

지역, Goiania (1990∼1993) 지역과 Sao Paulo (1993),

Porto Alegre (1990∼1992) 지역의 암 발생률을 비교하였

다. 그 결과 전체 암중 구강암 발생률이 남자의 경우 4, 5, 6,

7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여자는 5, 6, 7위 등을 기록하고 있

다. 구강암의 발생비율을 보면 Belem 지역의 경우 10만 명

당 3.0, Goiania 지역은 4.0, Sao Paulo 지역은 5.2, Porto

(4)

Alegre 지역은 7.0을 보였으며, 사망률은 1980년부터 1995 년까지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남자가 2.5∼2.7 여자가 0.6∼0.7이라고 보고하고 있어

20)

, 여러 연구결과 남자가 여 자보다 구강암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영국

영국의 구강암 발생률과 사망률에 관한 연구를 보면 다음 과 같다. Hindle 등

21)

의 연구에 의하면 발생률은 1962년부 터 1966년까지 3.61에서 1982년부터 1986년까지 5.52로 증가하였고. 1971년부터 1997년 사이 55∼64세의 구강 및 인후암 발생 증가율이 40%이며, 같은 연령대의 여성은 25%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Robinson과 Macfarlane

7)

는 성별에 따른 영국의 구강암 발생률이 1966년부터 1989년 동안 인구 10만 명당 남자는 9.5에서 11.5, 여자는 3.8에서 4.8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35∼64세는 인구 10만 명당 남자가 18.0에서 23.6으로, 여자는 7.3에서 8.5명으로 증가하였다. 영국의 구강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Hindle 등

21)

의 연구에서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1.67 이었으나 1986부터 1990년까지는 2.91로 증가하였다고 하 였으며, Robinson과 Macfarlane

7)

의 연구에서는 1989년부 터 1997년 동안 인구 10만 명당 남자는 4.2에서 4.3으로, 여 자는 1.4에서 1.6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35∼

64세는 남자가 10만 명당 7.7에서 8.1로 여자는 2.3으로 같 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영국은 한 해 약 4,500회 정도 구강암에 대한 진단을 한다. 2009년 현재 남자는 인구 10만 명당 7.9에서 10.3명이, 여자는 3.4에서 4.7 정도의 분포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망률은 1981에서 1983년까지 남자가 인구 10만 명당 4.7이었으나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3.6 으로 줄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5,16,22,23)

.

4) 인도

Sherin 등

24)

의 연구에서 구강암은 일반적으로 나이와 관 련이 있으며, 점점 연령층이 낮아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 다. 2002년에서 2007년 동안 평균 발생률이 7.5%였으며, 성별로는 40세 이상인 그룹에서 남자가 54%, 여자가 46%

였으며, 40세 미만인 그룹에서는 남자가 78%, 여자가 22%

로 나이가 어릴수록 남자에서 많이 발생되었다. 발생부위는 나이가 많은 그룹은 협점막에서 다발하였으며, 나이가 어린 그룹에서는 혀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구강암의 발생률이 높은데 인구 10만 명당 남자가 12.8명이며, 여자는 7.5명으로 보고하고 있다

25)

.

5) 네덜란드

Braakhuis 등

26)

의 연구에서 1989년부터 2006년까지 네 덜란드의 구강암 발생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1.7배 높았으나 여자가 조금씩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특히 75세 이상인 집단에서는 혀암과 치은암이 높은 발생률을 보 였다. Visscher 등

27)

의 연구에서 1989년부터 1994년까지 입술암이 인구 10만 명당 남자가 2.2명, 여자가 0.3명으로 남자가 발생률이 높았고, 사망률은 남자가 0.05%, 여자가 0.07%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6) 기타 지역

스페인의 경우 Moreno-Lopez

28)

의 연구에 제시된 구강암 통계를 보면 인구 10만 명당 5.7∼12.9명 발생하고 있으며, 1995년 사망률은 5.6을 보였다고 한다.

스웨덴은 1960년부터 1989년까지 10년 단위로 30년 동 안을 조사한 경과 17,158명에게서 구강암이 발생되었으며 구내 0.7%, 입술 0.6%, 인후 0.5%의 발생률을 보이고 있었 다. 특히 스웨덴에서는 입술암의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그 중에서도 아랫입술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혀나 인후도 높 은 발생률을 보였다

28)

.

쿠웨이트의 경우 Morris 등

29)

의 연구에서 1979년부터 1988년까지 10,539의 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며, 21.7%는 사 망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McCartan 등

30)

은 아일랜드의 경우 Northern Ireland (1993

∼1997)와 Repulic of Ireland (1994∼1997)에서 구강암, 인후암, 입술암, 타액선암 순으로 높았으며 10%를 상회하 는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본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구강암으로 인한 사망률 이 낮은 편이지만 1983년에서 1987년까지 3.5%의 사망률 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31)

.

구강암 발생원인

구강암 발생은 연령이 높아지면서 증가한다. 암에 대한

정확한 병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담배나 알코올 소비가 중

요한 요인임은 많은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28)

. 특히 산업

화된 나라는 담배와 술의 소비가 많으며, 이는 암의 중요한

원인 인자가 된다

6)

. 흡연의 경우 구강암이나 호흡기암의 발생

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암협

회의 조사에 의하면,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하여 구강

암에 걸릴 위험성이 2배 이상 된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구강

암 발생자 중 75% 이상이 흡연과 알코올 소비자였다고 보고

하고 있으며, 음주의 경우는 음주습관 자체가 구강암과 관련

(5)

Risk factor India

3)

Spain

28)

USA

10,11,34-36)

Japan

34)

Brazil

20,33)

Turkey

32)

Korea

1,4,18)

Italy

5)

UK

37-40)

Nether- lands

27)

Tobacco ● ● ● ● ● ● ● ● ● ●

Alcohol ● ● ● ● ● ● ● ● ●

Diet ● ● ● ● ● ● ●

Nutrients (iron, Vitamin C etc.)

● ● ● ●

Dental status ● ●

Edentulism ●

The level of dental hygiene

● ● ● ● ●

Chronic irritation ● ●

Lifestyle ● ●

Socio-economic level ● ● ● ● ● ● ●

Dentition ●

Coffee ●

The sun ● ● ●

Betel nut ● ●

Slaked lime ●

Spices ●

Immunosuppression ●

Genetic influences ● ● ●

Viruses ● ● ●

Age ●

Host-related factor ●

Table 1. Rick Factor of Oral Cancer

이 있는지는 아직 밝혀진 것이 없지만 흡연과 음주를 동시 에 시행할 경우 상승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1,10)

. 각 국의 구강암 발생원인에 대한 연구결과는 Table 1과 같 다. Moreno-Lopez 등

28)

은 현재 담배를 피고 있는 사람이 담 배를 한 번도 피지 않은 사람보다 5.03배 위험률이 높았으 며, 음주의 경우 일일 50 g을 마신 사람은 하나도 마시지 않 은 사람보다 1.55배 높았고, 50 g 이상 마신 음주자의 경우 는 6.76배 높았다고 보고하고 있어 담배와 음주가 구강암 발 생에 위험요인 인자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흡연이나 음주의 경험이 없는 사람 중에도 사회 경제적으로 낮은 집단과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 연명할 정도 의 경제적 수준을 갖은 사람에게서 높게 발생되며, 이들은 그로 인해 비타민과 단백질 결핍을 보이고, 구강환경도 매 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 결핍으로 인해 빈혈이 있거나 HIV 환자에게서 구강암이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 다

12)

. Guneri 등

32)

은 또한 사회경제적 요소 중 남자, 교육을 못 받은 사람, 농사일을 할수록 구강암에 노출되었고, 과도 한 알코올 섭취는 구강암의 가장 주요 위험요인이라 인용하

며, 특히 레드와인이나 맥주보다 위스키와 같이 도수가 높 은 술이 더 위험하다고 하고 있다. 또한 가공하지 않은 야채 섭취는 구강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진술하였다. 야채의 섭 취는 비타민 섭취이다. 비타민 결핍과 암 발생 사이에 상관 관계는 동물실험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사람에서도 비타민이나 철의 결핍, 아연, 구리 등의 식이 인 자(dietary factor)의 부족도 구강암 발병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베타카로틴, 비타민 C, 비타민 E가 함유되어 있는 신선한 과일과 야채는 구강암을 감소시 킨다고 한다

11)

. Belem

33)

은 10만 명당 2.9명, Sao Paulo는 10만 명 당 7.6명으로 환경적인 요인 즉 지역적인 요인이 구 강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라고 보고하였으며 더불 어 브라질의 경우 과일과 쥬스, 조리하지 않은 야채 등이 암 을 예방할 수 있으며, 쌀, 콩, 육류의 소비가 암과 관련이 있 다고 보고하고 있다. 돼지고기, 치즈, 베이컨, 튀김요리 등을 즐겨하는 상파울루 같은 경우는 암발생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외에도 자외선 노출로 인해 입술암이 발생될 수 있으

(6)

며, 특히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은 염색체 변이를 유발할 수 있어 구강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Hu- manpapilloma, Epstein-Barr와 같은 바이러스도 구강암의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2,10,11)

.

또한 잘 맞지 않는 보철물이나 경사된 치아 등에 의한 구 강점막의 기계적이고 만성적인 자극, 구강 내 위생불량, 무 치악 환자 등도 구강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2,11,28)

, Moreno-Lopez 등

28)

은 구강관리 환경에 따라 주기적으로 치과 검진을 하는 사람은 하지 않는 사람 보다 구강암에 걸릴 위험이 0.63배였으며, 매일 칫솔질은 하 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구강암에 걸릴 확률이 0.314배로 주기적으로 검진을 받고, 매일 칫솔질을 하면 구 강암에 걸릴 확률이 낮아졌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밖에도 여러 연구가 구강암의 발생요인에 관해 공통적 인 요인을 뒷받침 해주고 있는데 Morris 등

29)

은 담배, 비타 민과 철 결핍 등의 식이습관, 유전요인, 환경요인, herpes나 Epstein-Barr 바이러스, 치료에 대한 부작용, 불량한 구강위 생, 음주, 보철물로 인한 만성자극 등이 구강암 발생의 원인 이라고 하였으며, Maria와 Susan

11)

은 주요 위험요인이 담 배와 과음이며, 그 밖에도 유두종과 같은 바이러스에 영향 을 받는다고 하였다. 또한 영양소에 있어서는 채소나 과일 을 섭취함으로써 이러한 암들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고 보고 하였다.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는 후추나 수산화칼슘, 향신료 등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34)

.

요 약

기존 문헌의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암에 대한 구강암 발생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발생자수는 해마다 증가 하고 있었다. 외국의 경우도 발생자수는 증가하고 있고, 반 면 치사율은 낮아지고 있었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구강암 발생률이 높았으며, 특 히 연령이 낮을수록 남자와 여자의 발생 비율의 차이가 현 저히 남자가 높았다. 구강암은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발생 률이 증가하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협점막에서, 연령이 낮 을수록 혀에서 다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전반적으로 구내암이 가장 많이 빈발하였다.

구강암의 원인을 살펴본 많은 연구에서 담배와 음주를 구 강암 발생의 원인으로 꼽았다. 특히 담배와 흡연은 구강암 뿐만 아니라 기타 여러 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강암 을 비롯한 여러 암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도적, 행정적, 법적으로 적극적인 금연정책이 필요하며 더불어 절주 또는 금주에 대한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구강암의 위험요

인은 국가 및 지역별,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다. 즉 태양으로 부터 노출된 자외선의 양이 많을수록 입술 암이 발생하는 것과 낮은 경제적 수준과 교육수준, 힘겹게 연명하는 정도 의 삶의 수준은 구강암을 발생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외에 도 비타민 및 단백질 결핍과 같은 영양결핍, 구강위생정도 및 인식과 습관 등도 구강암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회경 제적 수준에 따른 격차가 생기지 않도록 국가 내에서, 또한 국가간의 사회적 불균형의 해소가 중요하다.

암은 점점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현대 질병 의 사망원인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이 환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구강암은 기타 암 발생비율에 비해 낮아지는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발생자수가 증가하고 있어 구강암 발생 동향을 파악하고 인구학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구강암과 관련된 조직학적 연구나 현재 동향의 정보는 구강암 생존과 관련된 여러 요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구강암에 관한 계속 적인 연구는 효과적인 구강건강프로그램을 개선시키고 구 강보건교육과 구강암 검사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자료로 제 공될 수 있다.

이제 암의 재발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난 만큼 암 은 정복 되어야 할 질병으로 구강암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는 조기진단과 공중구강보건교육 및 예방정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된 단체 및 3차 진료기관 등과 협력하여 치과계 직종 종사자들은 책임감을 갖고 국민의 구강건강상 태를 향상시키고 구강암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Kwon HK, et al.: Risk factors for oral cancer; a case-control study. J Kor Oral Maxillofac Surg 28: 395-400, 2004.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http://www.cancer.go.kr/

cms/cancer/cancer_is/01/1190424_1221.html.

3. Syjha S, et al.: Cost effectiveness of oral cancer screening:

results from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India Bull World Health Organ 82: 200-206, 2009.

4. Kim HD, et al.: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bout early signs and causes of oral cancer in Korean elders. J Korean Acad Dent Health 28: 570-582, 2004.

5. Carlo LV, et al.: Trends in oral cancer morality in Europe.

Oral Oncol 40: 433-439, 2004.

6. Ostman J, et al.: Malignant oral tumours in Sweden 1960-

1989-an epidemiological study. Oral Oncol, Eur J Cancer,

(7)

31B: 106-112, 1995.

7. Robinson KL, Macfarlane GJ: Oropharyngeal cancer inci- dence and mortality in Scotland: are rates still increasing?

Oral Oncol 39: 31-6, 2003.

8. Kumar V, Cotran RS, Robbins SL: Robbins basic pathology.

7th. Saunders, Philadelphia, pp.165-177, 2003.

9. Kwon KH, et al.: Oral & maxillofacial surgery. 2nd.

Daehannarae, Seoul, pp.195-201, 2008.

10. Canto MT, Devesa SS: Oral cavity and pharynx cancer incidence rates in the United States, 1975-1998. Oral Oncol 38: 610-617, 2002.

11. Maria TC, Susan SD: Oral cavity and pharynx cancer incidence rates in the United States 1995-1998. Oral Oncol 38: 610-617, 2002.

12. Chima O, Chukwuneke FN: Oral cancer in Enugu, Nigeria, 1998-2003. Br J Oral Maxillofac Surg 45: 298-301, 2007.

13. Naganuma T, et al.: Coffee consumption and the risk of oral, pharyngeal, and esophageal cancers in Japa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8:1425-1432, 2008.

14. http://www.cancer.go.kr/ncic/cics_a/01/012/index.html.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09, 2011. http://e-welfare.go.kr/wp/

data/sta/viewSta04Info.laf?content_id=212450&path=/wfisc /wp/inf/sta/04/html&rn=3.

16. Lee JY, Han YS: Clinical analysis of intra-oral carcinomas -473 cases-. J Korean Soc Plast Reconstr Surg 15: 469-479, 1988.

17. Mores DE, et al.: Trends in the incidence of lip, oral, and pharyngeal cancer: connecticut, 1935-94. Oral Oncol 35: 1-8, 1999.

18. http://www.cancer.gov/.

19. Antunes JLF, et al.: Trend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ral cancer mortality in Sao Paulo, Brazil, 1980-1998. Oral Oncol 37: 345-350, 2001.

20. Victor WF: The epidemiology of oral and pharynx cancer in Brazil. Oral Oncol 38: 737-746, 2002.

21. Hindle I, Downer MC, Speight PM: The epidemiology of oral cancer. Br J Oral Maxillofac Surg 34: 471-476, 1996.

22. Rehman K, Monaghan A: Epidemiology of oral cancer in the West Midlands, UK. Oral Oncol 3: 56-122, 2009.

23. W-Z S, et al.: Trends in site-specific mortality from oral and pharyngeal cancer among Japanese males, 1950-94. Oral Oncol 35: 9-16, 1999.

24. Sherin N, et al.: Changing trend in oral cancer. Indian J Cancer 45: 93-96, 2008.

25. Kuruvilla J: Utilizing dental colleges for the eradication of oral cancer in India. Indian J Dent Res, 19: 349-353, 2008.

26. Braakhuis JM, Visser O, ReneLeemans C: Oral and oropharyngeal cancer in The Netherlands between 1989 and 2006: increasing incidence, but not in young adults. Oral Oncol 45: 85-89, 2009.

27. Visscher JGAM, et al.: Epidemiology of cancer of the lop in the Netherlands. Oral Oncol 34: 421-426, 1998.

28. Moreno-Lopez LA, et al.: Risk of oral cancer associated with tobacco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oral hygiene: a case-control study in Madrd, Spain. Oral Oncol 36: 170-174, 2000.

29. Morris RE, et al.: The epidemiology of lip, oral cavity and pharyngeal cancers in Kuwait 1979-1988. Br J Oral Maxillofac Surg 38: 316-319, 2000.

30. McCartan BE, Cowan CG, Healy CM: Regional variations in oral cancer incidence in Ireland. Oral Oncol 41: 677-686, 2005.

31. Oji C, Chukwuneke FN: Oral cancer in Enugu, Nigeria, 1998-2003. Br J Oral Maxillofac Surg 45: 298-301, 2007.

32. Guneri P, et al.: Primary oral cancer in a Turkish Population sample: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features, smok- ing, alcohol, diet and dentition. Oral Oncol 41: 1005-1012, 2005.

33. Toledo ALA, et al.: Dietary patterns and risk of oral and pharyngeal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Rid de Janeiro, Brazil. (Cad.) Saude Publica, Rio de Janeiro 26: 135-142, 2010.

34. Maria B: Etiology of oral cancer in the young patient: is tongue cancer becoming the other cancer in women? Oral Maxillofacial Surg Clin N Am 19: 163-171, 2007.

35. Bunnell A, et al.: Analysis of primary risk factors for oral cancer from select US states with increasing rates. Tob Induc Dis 8: 5, 2010.

36. Anthony P: Trends in incidence rates of tobacco-related cancer, selected areas, SEER program, United States, 1992- 2004. Prev Chronic Dis 6: A16, 2009.

37. Rodriguez T, et al.: Risk factors for oral and pharyngeal cancer in young adults. Oral Oncol 40: 207-213, 2004.

38. Eadie D,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arly

detection intervention for mouth cancer using a mass media

(8)

approach. Br J Cancer 101: 573-579, 2009.

39. Bagan JV, Scully C: Recent advances in Oral Oncology 2007:

epidemiology, aetiopathogenesis, diagnosis and prognostica- tion. Oral Oncol 44: 103-108, 2008.

40. Ross OC, et al.: A library-based ecological study to investi-

gate the contribution of ethnicity to the incidence of oral

cancer within health authorities in England and Wales. Br J

Oral Maxillofac Surg 49: 42-46, 2010.

수치

Fig.  1.  The  occurrence  people  of  oral  cancer. Fig.  2.  Incidence  rate  of  oral  cancer
Table  1.  Rick  Factor  of  Oral  Cancer

참조

관련 문서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liferation effect of human oral cancer KB cell treated with pulsatilla koreana extract..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is

Effects of Tetrapanax papyriferum Extracts on the KB Human Oral

The biomedicalisation of smoking cessation: a mixed methods study of lay perspectives on nicotine addiction.. Norway's tobacco

According to above, liquid based cytology is considered to be adequate for routine oral examination or diagnostic tool for oral dysplasia and carcinoma

Oral Health Educational Diagnosis of Dental Hygienist

The Oral health status (such as subjective oral heal th status, toothache) and oral health behaviors (such as tooth brush, or al health examination) wer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ral admidstrated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and im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und-finding strategies based on phonological awareness on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