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Atopic Dermatitis: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Atopic Dermatitis: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어, 유병률이 20%에 달한다는 보고가 있다.1) 2012년 질병 소분류별 약국 처방 조 제 다빈도 상병 급여 현황에서 아토피 피부염이 53위로 조사되었 고,2)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을 야기하고 있어, 아토피 피부염 치 료를 위한 조기 중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담배는 다양한 유해물질

을 함유하여, 다양한 질병 발생과 연관되어 있으며,3) 담배가 포함한 유해물질이 필라그린과 같은 피부 구조단백질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4) 이러한 담배의 위해성이 입증되었기에 금 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한 대안으로 전자담배 의 흡연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5) 연구 자료 부족으로 전자담배가 인 체에 끼치는 유해성은 아직 명확히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propylene glycol, glycerol, nicotine 등의 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염, 호흡기계, 소화

Original Article

한국 청소년에서 전자담배와 아토피 피부염의 연관성:

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하여

김우태, 박진아*, 김성겸, 정지영, 유은혜, 이승주

한일병원 가정의학과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Atopic Dermatitis: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U-Tae Kim, Jin-Ah Park*, Sung-Kyum Kim, Ji-Young Jung, Eun-Hye Yu, Seung-Ju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Seoul, Korea

Background: Global morbidity due to atopic dermatitis in adolescents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electronic cigarette use as an alternative means of smoking has also increased.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on 72,060 subjects 12 to 18 years old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 2014. Sex, residential status, locatio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drug abuse, educational level of father and mother, stress level, economic status, and the diagnosis of atopic dermatitis were investigated by an anonymous online surve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odds ratios for these factors.

Results: In a comparis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ers and non-smokers, the use of electronic cigarettes was not clearly correlated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was also not increased with age, varying linearly from 12 to 18 years.

In contrast, female sex, location, drinking, higher education of father and mother, severe stress, and a low economic status were estimated to increase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Conclusio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does not appear to be a risk factor for atopic dermatiti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any quantitative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onic cigarettes and atopic dermatitis.

Keywords: Atopic Dermatitis; Prevalence;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https://doi.org/10.21215/kjfp.2016.6.6.553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6;6(6):553-559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Received April 14, 2016 Revised June 19, 2016 Accepted July 7, 2016 Corresponding author Jin-Ah Park

Tel: +82-2-901-3114, Fax: +82-2-901-3174 E-mail: parkjina@paran.com

Copyright © 2016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U-Tae Kim, et al.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기계 기능 장애 유발에 관여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6) 아토피 피부 염의 발병기전 또한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유전적, 환경적, 면 역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7) 흡연 또한 아 토피 피부염의 유병률 증가에 관여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8) 전자담 배의 경우는 유해물질 함유량이 일반 담배에 비해 적은 것으로 알려 져 있고,9)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 증가에 있어 전자담배의 위해성 판단을 위한 구체적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일부 전자담배 흡연자의 소변 코티닌 농도 검사 결과가 일반담배와 비교해 유사할 정도로 높게 측정되었고, 전자담배 흡연으로 발생한 유해물질 또한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것으로 연구된 바,6) 일반 담배 흡연과 유사하 게 전자담배 흡연 또한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Lee 등10)이 실시한 국내 한 단면 연구에서 전자담배 흡 연 외에도 성별, 연령 등의 인구통계학 요인이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기에, 본 연구에서도 상기 요 소들을 동시 고려하고자 하였다.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 사를 활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 증가 요인으로서 전자담배 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하였다.11) 청 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9조를 근거로 실시 하는 정부 승인통계조사로 질병관리본부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 를 받았으며, 조사 수행주체는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로 2005년부터 매년 이루어지고 있다.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 사의 경우 조사기간이 2014년 6월 2일부터 같은 해 6월 30일까지로 학생단위 참여율은 97.2%였다. 12세에서 18세의 전국 중·고등학교 800개교, 총 72,060명의 학생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표본추 출은 3단계에 걸쳐 시행되었다. 첫 번째 모집단 층화단계에서는 지역 군 43개와 중학교, 일반계고, 특성화계고로 학교급을 나누어 층화변 수로 사용하여, 모집단을 129개의 층으로 분리하였다. 43개 지역군 은 16개 시·도내의 시·군·구를 대도시, 중소도시와 군지역으로 분 류한 후, 지리적 접근성, 학교수 및 인구수, 생활환경, 흡연율, 음주율 등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표본 할당 단계로 첫 번 째 단계에서 층화한 대상자 수에 비례한 400개의 중학교와 400개의 고등학교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본 배분 단계에서는 표본 크기를 중학교 400개교, 고등학교 400개교로 한 후, 16개 시·도별로 중·고등학교 각각 5개씩 우선 배분하였다. 층화변수별 모집단 구성 비와 표본 구성비가 일치하도록 비례배분법을 적용하여 시·도, 도

시규모(대도시, 중소도시, 군지역), 지역군, 중학교는 남/여/남녀공학, 고등학교는 남/여/남녀공학, 일반계고/특성화계고에 따라 대상학교 들을 나누어 배치하였다. 층화집락추출법을 사용하여 표본을 정하 였으며, 첫 선정단위는 학교, 두 번째 선정단위는 학급으로 설정하였 다. 표본학급으로 선정된 학급의 학생을 모두 조사하였으며 결석, 특수아동 및 문자해독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은 표본에서 제외하 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특성과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 증 감 요인 분석을 위해 조사에서 사용한 지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흡연 경험의 경우는 “지금까지 담배를 한 두 모금이라도 피워본 적이 있습니까?”는 설문에 없다 혹은 있다 중 있다라고 응답한 빈도를 측 정하였으며, 전자담배 흡연 경험의 경우는 “지금까지 전자담배를 피 워본 적이 있습니까?” 질문에 없다 혹은 있다 중 있다고 응답한 빈도 를 측정하였다. 음주 경험의 경우 “지금까지 1잔 이상 의 술을 마셔본 적이 있습니까?”는 설문에 없다 혹은 있다 중 있다고 응답한 빈도를 측정하였다. 약물남용 경험의 경우 “지금까지 습관적으로, 또는 일부 러 약물을 먹거나 부탄가스, 본드 등을 마신 적이 있습니까?”라는 물음에 없다 혹은 있다 중 있다고 응답한 경우의 빈도를 측정하였 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의 경우 중학교 졸업 이하, 고등학교 졸 업, 대학교 졸업 이상의 선지를 제시하고 각각에 응답한 경우에 대해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와 아버지 혹은 어머 니가 가족구성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조사에서 제외하였다. 경 제상태의 경우 “가정의 경제적 상태는 어떻습니까?”는 물음에 상, 중 상, 중, 중하, 하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제시된 선지에 각각에 응답한 경우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정도의 경우 “평상시 스트레스 를 얼마나 느끼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전혀 느끼지 않는다, 별로 느끼지 않는다, 조금 느낀다, 많이 느낀다, 대단히 많이 느낀다는 다 섯 단계로 나누어 각각에 응답한 경우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거주형 태의 경우 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 친척과 함께 살고 있다, 하숙·자 취·기숙사, 보육시설 네 개의 선지로 대별하여 설문하였으며, 넷 중 하나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측정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아토피 피부염이라고 의사에게 진단받은 적이 있었습니 까?”는 설문에 있다고 응답한 경우를 산정하였다.

2. 통계적 방법

조사대상자들을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과 비경험군으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에 대해 비교하였으며, 자료의 분석결과는 대상자의 수 와 퍼센트, 평균값, 교차비와 신뢰구간으로 표시하였다. 통계적 검정 법으로는 연령 증가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의 증감 경향을 파 악하기 위해 선형 대 선형 결합법(linear by linear association)을 시행 하였고,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지표 중

(3)

김우태 외. 한국 청소년에서 전자담배와 아토피 피부염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에서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는 지표들을 선정하여,9)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증감과의 독립성을 평가하고자 카 이제곱 검정을(pearson’s 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별 지표 들이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다 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 였다. 분석에 활용한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trial ver. 23.0; IBM Co., Armonk, NY, USA)이며, 유의수준은 0.05 미만 으로 하였다.

결 과

1. 전자담배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는 72,060명으로 전자담배 흡연경험이 있는 6,162명과 전자담배 흡연경험이 없는 65,898명으로 나누어 특성을 비교하였다.

의사로부터 아토피 피부염 진단을 받은 조사대상자의 수는 전자담 배 흡연 경험군에서 1,316명(21.4%), 전자담배 흡연 비경험군에서 15,916명(24.2%)으로 전자담배흡연 비경험군 내에서 비중이 상대적 으로 높았다. 연령의 경우 전자담배 흡연경험군의 평균연령이 15.91±1.46세, 비경험군의 평균연령이 14.85±1.75세로 경험군의 평균 연령이 높게 계산되었다. 도시규모 비교결과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 의 경우 특별시, 광역시에 거주하는 학생수가 2,738명(44.5%), 그 외의 시에 거주하는 학생수가 2,916명(47.3%) 및 군지역 혹은 그 이하규모 의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수가 508명(8.2%)으로 산출되었다. 전자담 배흡연 비경험군의 경우도 특별시, 광역시에 거주하는 경우가 29,254 명(44.4%), 그 외의 시에 거주하는 31,274명(47.5%) 및 군지역 혹은 그 이하 규모의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가 5,370명(8.1%)를 차지하며, 전자 담배 흡연군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 에서 남학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002명(81.2%)으로 여학생과 비교 해 높게 산정되었으며, 전자담배 흡연 비경험군에서는 남학생이 31,468명(47.8%)으로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과 달리 비교적 균등한 성 별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아버지의 교육수준의 경우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에서 대학교 졸업 혹은 그 이상의 경우가 2,422명(50.1%)를 차 지하여 높은 빈도로 조사되었고, 고등학교 졸업의 경우가 2,136명 (44.1%)을 차지하였으며, 중학교 졸업 혹은 그 이하의 경우가 281명 (5.8%)의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자담배 비경험군의 경우는 대학 교 졸업 혹은 그 이상의 경우가 31,372명(59.7%)으로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하여,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과 분포 순위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에서 일반담배 흡연 경험이 있는 대상자 의 수는 5,266명(85.5%)으로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의 대부분을 차지 하였고, 전자담배 흡연 비경험군에서 일반담배 흡연 경험자의 수는

8,701명(13.2%)으로,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과 비교하여, 일반담배 흡 연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약물 남용 경험의 경우는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에서 358명(5.8%), 비경험 군에서 359명(0.5%)으로 보여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에서의 약물 남 용 경험자의 비중이 비경험군 내에서 약물 남용 경험군 비중과 비교 해 높게 산출되었다. 스트레스 정도의 경우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에 서 전혀 느끼지 않는다가 253명(4.1%), 별로 느끼지 않는다 903명 (14.7%), 조금 느낀다 2,318명(37.6%), 많이 느낀다 1,761명(28.6%), 대단 히 많이 느낀다는 927명(15.0%)으로 분포하여,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 내에서 많이 느낀다 혹은 대단히 많이 느낀다라고 응답한 조사자의 수가 2,688명(43.6%)에 달하였다. 전자담배 흡연 비경험군의 경우, 전 혀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2,297명(3.5%), 별로 느끼지 않는다고 응 답한 10,922명(16.6%), 조금 느낀다는 28,663명(43.5%), 많이 느낀다 17,861명(27.1%), 대단히 많이 느낀다 6,155명(9.3%)으로 분포하였다. 전 자담배흡연 경험군과 비교해 많이 느낀다 및 대단히 많이 느낀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수가 24,016명(36.4%)으로 합산되어, 전자담배 흡연 군에 비해 분류군 내 해당자의 비중이 적게 관찰되었다. 경제적 상태 의 경우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의 경우 상 504명(8.2%), 중상 1,291명 (21.0%), 중 2,761명(44.8%), 중하 1,123명(18.2%), 하 483명(7.8%)으로 조 사되어 중에 응답한 경우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하의 경우 빈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경험군의 경우도 중에 해당하는 경 우의 빈도가 32,279명(49.0%)으로 가장 높았고, 하의 경우 2,239명 (3.3%)으로 빈도가 낮게 산정되었다. 거주형태의 경우 흡연경험군에 서 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고 응답한 5,677명(92.1%)이 절대 다수를 차 지하고 있었으며, 뒤를 이어 하숙·자취·기숙사의 경우가 231명 (3.8%), 친척과 함께 살고 있다. 132명(2.1%) 보육시설 122명(2.0%) 순이 었다. 비경험군에서의 결과는 가족과 거주하는 경우가 63,167명 (95.8%), 하숙∙자취∙기숙사의 경우가 1,988명(3.0%), 친척과 함께 살고 있다. 511명(0.8%), 보육시설 232명(0.4%)으로 경험군과 서열에는 차이 가 없었지만, 보육시설 내 거주 비중이 전자담배 흡연경험군과 비교 해 상대적으로 적게 산정되었다(Table 1).

2. 카이제곱 검정과 선형 대 선형 결합 분석을 통한 조사 지표와 아토피 피부염의 연관성 분석

72,060명의 조사대상자 가운데 아토피 피부염의 병력이 있는 대상 자 수는 17,232명(23.9%)이었다. 12세에서 18세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선형 대 선 형 결합법 시행 결과 12세에서 18세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은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지 않았으며,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85). 개별 지표들과 아토피 피

(4)

U-Tae Kim, et al.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부염 유병률의 독립성을 파악하고자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한 결과, 도시규모와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 관성이 발견되었으며(P<0.001), 또한 성별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유병 률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01). 부모님의 교육 수준, 일반담배 흡연 경험, 스트레스 정도, 경제적 상태, 전자담배 흡 연 경험은 모두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과 의미 있는 연관성을 보인 반 면, 평생 음주경험, 습관적 약물 남용 경험, 거주 형태의 경우는 지표 차이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에 차이가 없었다(Table 2).

3.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증가의 위험요인 분석

조사대상자 중 연령이 18세인 경우 12세에 비해 위험도가 약 0.8배 낮았다. 군 이하 규모의 지역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 군을 기준으로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 군이 약 1.09배의 위험도에 노출 되었고, 특별시, 광역시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 군이 1.12배의 위험 도에 노출되었다. 음주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 1.08배 위험도가 높았으며, 스트레스 정도를 물었을 때 전혀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 조금 느낀다, 많이 느낀다, 대단히 많이 느낀다고 응답한 군들이 각각 약 1.23배, 1.37배와 1.33배의 위험도를 보였다. 경제상태의 경우는 상으로 응답한 경우를 기준으로 중상으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 according to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Characteristic Electronic cigarette ever-smoker (n=6,162)

Electronic cigarette non-smoker (n=65,898)

All subjects

(n=72,060) P-value

Age (y) 15.91±1.46 14.85±1.75 14.94±1.75 <0.001

City type <0.001

Small city 508 (8.2) 5,370 (8.1) 5,878

Mid-sized city 2,916 (47.3) 31,274 (47.5) 34,190

Metropolitan city 2,738 (44.5) 29,254 (44.4) 31,992

Male 5,002 (81.2) 31,468 (47.8) 36,470 <0.001

Educational level of father <0.001

Middle school or lower 281 (5.8) 1,837 (3.5) 2,118

High school 2,136 (44.1) 19,347 (36.8) 21,483

University or higher 2,422 (50.1) 31,372 (59.7) 33,794

Educational level of mother <0.001

Middle school or lower 212 (4.4) 1,633 (2.5) 1,845

High school 2,591 (53.7) 24,800 (37.6) 27,391

University or higher 2,022 (41.9) 26,646 (40.4) 28,668

Ever-smoke 5,266 (85.5) 8,701 (13.2) 13,967 <0.001

Alcohol consumption 5,367 (87.1) 25,199 (38.2) 30,566 <0.001

Drug abuse 358 (5.8) 359 (0.5) 717 <0.001

Stress <0.001

None 253 (4.1) 2,297 (3.5) 2,550

Low 903 (14.7) 10,922 (16.6) 11,895 *

Moderate 2,318 (37.6) 28,663 (43.5) 30,981

High 1,761 (28.6) 17,861 (27.1) 19,622

Very high 927 (15.0) 6,155 (9.3) 7,082

Economic status <0.001

Very high 504 (8.2) 5,108 (7.8) 5,612

High 1,291 (21.0) 17042 (25.9) 18,333

Moderate 2,761 (44.8) 32,279 (49.0) 35,040

Low 1,123 (18.2) 9,230 (14.0) 10,353

Very low 483 (7.8) 2,239 (3.3) 2,722

Residential status <0.001

With family 5,677 (92.1) 63,167 (95.8) 68,844

With relatives 132 (2.1) 511 (0.8) 643

In dormitory 231 (3.8) 1,988 (3.0) 2,219

In nursery 122 (2.0) 232 (0.4) 354

Atopic dermatitis 1,316 (21.4) 15,916 (24.2) 17,232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number (frequency %), or number only.

*Mid-sized city means cities other than metropolitan city, and small city means unit of area below the county.

(5)

김우태 외. 한국 청소년에서 전자담배와 아토피 피부염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로 응답한 경우가 약 1.09배, 중으로 응답한 경우가 약 1.14배, 중하로 응답한 경우가 약 1.23배, 하로 응답한 경우가 약 1.19배로 위험도가 높았다. 평생 전자담배 흡연 경험이 있는 조사대상자 군의 상대위험 도는 95% 신뢰구간이 1을 포함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각 지표들의 다중공선성 진단 결과 variance inflation factor 값이 모두 10 이하로 다른 독립변수들과 다중공선성이 존재하지 않았다(Table 3).

고 찰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 전자 담배의 사용과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 증감의 명확한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아토피 피부염 발병에 복합적으 로 관여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7) 제시한 연구자료를 통해 아토피 Table 3. Risk factors for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Factor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VIF P-value

Age (y) 1.163

12 Reference <0.001

13 0.993 (0.908–1.085) 0.891

14 1.006 (0.921–1.099) 0.026

15 1.021 (0.934–1.115) 0.004

16 0.979 (0.896–1.070) 0.015

17 0.888 (0.812–0.971) 0.780

18 0.796 (0.714–0.887) 0.034

City type 1.030

Small city Reference <0.001

Mid-sized city 1.091 (1.007–1.183) 0.034

Large city 1.123 (1.035–1.218) 0.005

Female 1.394 (1.337–1.454) 1.113 <0.001

Educational level of father 1.501

Middle school or lower Reference <0.001

High school 1.056 (0.934–1.193) 0.386

University or higher 1.135 (1.001–1.287) 0.048

Educational level of mother 1.497

Middle school or lower Reference <0.001

High school 1.031 (0.906–1.173) 0.645

University or higher 1.101 (0.963–1.259) 0.160

Ever-smoke 0.938 (0.880–1.000) 1.536 0.051

Alcohol consumption 1.075 (1.028–1.124) 1.267 0.002

Drug abuse 0.961 (0.752–1.228) 1.012 0.750

Stress 1.069

None Reference <0.001

Low 1.026 (0.902–1.167) 0.698

Moderate 1.230 (1.089–1.390) 0.001

High 1.370 (1.209–1.552) <0.001

Very high 1.327 (1.160–1.519) <0.001

Economic status 1.134

Very high Reference <0.001

High 1.092 (1.007–1.184) 0.033

Moderate 1.139 (1.053–1.232) 0.001

Low 1.232 (1.123–1.352) <0.001

Very low 1.188 (1.029–1.371) 0.019

Residential status 1.027

With family Reference <0.001

With relatives 1.101 (0.834–1.453) 0.497

In dormitory 1.095 (0.981–1.223) 0.107

In nursery 0.870 (0.459–1.651) 0.670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0.954 (0.873–1.042) 1.394 0.298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Table 2. Univariate comparison between atopic dermatitis group and non-atopic dermatitis group (n=72,060)

Factor

Non-atopic dermatitis (n=54,828)

Atopic dermatitis (n=17,232)

P-value

Age (y) 14.94±1.76 14.93±1.72 0.385*

City type <0.001

Small city 4,610 (8.4) 1,268 (7.4)

Mid-sized city 26,093 (47.6) 8,097 (47.0)

Large city 24,125 (44.0) 7,867 (43.6)

Female 25,776 (47.0) 9,814 (57.0) <0.001

Educational level of father <0.001

Middle school or lower 1,641 (3.8) 477 (3.4) High school 16,363 (37.9) 5,120 (36.0) University or higher 25,158 (58.3) 8,638 (60.7)

Educational level of mother <0.001

Middle school or lower 1,413 (3.2) 432 (3.0) High school 20,773 (47.7) 6,618 (45.9) University or higher 21,304 (49.1) 7,364 (51.1) Ever-smoke 10,885 (19.9) 3,082 (17.9) <0.001 Alcohol consumption 23,165 (42.3) 7,401 (42.9) 0.105

Drug abuse 560 (1.0) 157 (0.9) 0.204

Stress <0.001

None 2,099 (3.8) 451 (2.6)

Low 9,393 (17.1) 2,432 (14.1)

Moderate 23,648 (43.2) 7,333 (42.5)

High 14,426 (26.3) 5,196 (30.2)

Very high 5,262 (9.6) 1,820 (10.6)

Economic status <0.001

Very high 4,451 (8.1) 1,161 (6.7)

High 13,942 (25.4) 4,391 (25.5)

Moderate 26,638 (48.6) 8,402 (48.7)

Low 7,707 (14.1) 2,646 (15.4)

Very low 2,090 (3.8) 632 (3.7)

Residential status 0.074

With family 52,374 (95.6) 16,470 (95.6)

With relatives 494 (0.9) 149 (0.9)

In dormitory 1,671 (3.0) 548 (3.2)

In nursery 289 (0.5) 65 (0.3)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4,846 (8.8) 1,316 (7.6)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frequency %).

*Linear by linear associ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trend according to the ages of study subjects.

(6)

U-Tae Kim, et al.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피부염 유병률 증가에 있어서 전자담배의 영향력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청소년기에 발생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보완적으로 설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 한 약물 남용이나 흡연 경험 등 윤리적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활동 여부를 설문함에 있어 자가응답 방식을 취하여 응답자가 정확한 응 답을 회피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설문조사 결과의 완결성을 담 보하지 못한다는 점 또한 본 연구가 불분명한 분석 결과를 보인 이 유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과 비교해 위험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기존의 연구에서 아토피 피부염 환자 의 성 호르몬 분포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인 것에 착안하여,12) 연령과 성별에 따른 호르몬 농도 및 이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에 대 해 추가 연구를 시행하면, 성별에 따른 위험도 차이를 좀 더 생물학 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음주의 경험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아토피 피부염 유병 위 험에 노출되었다. 알코올은 Th1 림프구손상을 야기할 뿐 아니라 보 상적으로 Th2 림프구 면역반응의 증가를 불러오는 것으로 알려져,13)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14) 경제상태와 부모님 학력수준 분석 결과는 위생가설 을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높은 경제수준과 학력을 바탕으로 서구화된 위생환경에서 자란 소아청소년의 경우, 예방접종 등 의료 서비스 노출기회가 많아지면서, Th2 림프세포 매개 면역반응이 우 세해져 알레르기 질환 발생이 늘어난다는 것이다.15) 거주형태의 경 우는 가족과 거주하는 경우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통계적으로 아 토피 피부염 유병률에 있어 거주형태의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종합건대, 아토피 피부염의 위험 요인으로서 전자담배의 유해성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명료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 한 연구성과가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며 음주, 스트레스와 같 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 위험요인의 회피가 아토피 피 부염 환자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제시한 연 구자료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증가에 있어서 전자담배의 영 향력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청소년기에 발생한 아토피 피 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보완적으로 설계해 볼 수 있 을 것으로 생각한다.

요 약

연구배경:

청소년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을 야기하고 있으며, 2014년 질 병 소분류별 약국 처방조제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에서 53위로 조사 되었기에, 비용 감소를 위한 조기중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 단면

연구에서 흡연과 아토피 피부염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기도 하 였으나, 전자담배의 경우는 국내자료를 바탕으로 한 대규모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생각한다. 전자담배는 일반적으로 유해물질 함유량 이 일반담배에 비해 적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토피 피부염의 이환 에 있어 전자담배의 유해성 여부를 가리기 위한 근거자료가 아직 부 족한 실정이다. 이에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하여 전자 담배와 아토피 피부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전자담배의 유해 성 판단을 위한 근거로 삼고자 한다.

방법:

72,06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였다. 익명의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성별, 거주 상태, 도 시 유형, 흡연, 음주, 약물 남용,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 수준, 스트레 스 수준, 경제 상태 및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 였다. 통계적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제시된 지 표별로 아토피 피부염의 상대위험도를 구하였다.

결과:

전자담배 흡연 경험이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을 뚜렷하게 증가 시키지 않았다.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은 12세에서 18세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여학생, 큰 도시규모, 음주 경험, 어머니와 아버 지의 높은 학력 수준, 심한 스트레스와 낮은 경제수준은 아토피 피 부염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한국 청소년에서 전자담배 흡연경험이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 률을 뚜렷하게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여학생, 높은 스트레스 정도, 큰 도시규모의 경우 위험요인으로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증가에 기여하였다. 아토 피 피부염의 발병에 관한 구체적인 생물학 기전 연구와 이를 바탕으 로 전자담배의 유해물질로 인한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과 중증도에 대한 양적 반응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중심단어: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 전자담배 흡연;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REFERENCES

1. Nutten S. Atopic dermatitis: global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Ann Nutr Metab 2015; 66 Suppl 1: 8-16.

2. KOSIS: pharmacy payroll status according to the disease classification [In- ternet]. Seoul: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2012-2012 [cited 2014 Dec 1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

do?orgId=350&tblId=DT_35001_A8051&conn_path=I2.

3. Fowles J, Dybing E. Application of toxicological risk assessment principles to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cigarette smoke. Tob Control 2003; 12: 424- 30.

4. Renò F, Rocchetti V, Migliario M, Rizzi M, Cannas M. Chronic exposure to

(7)

김우태 외. 한국 청소년에서 전자담배와 아토피 피부염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cigarette smoke increases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Filaggrin mRNA expression in oral keratinocytes: role of nicotine stimulation. Oral Oncol 2011; 47: 827-30.

5. Hahn J, Monakhova YB, Hengen J, Kohl-Himmelseher M, Schüssler J, Hahn H, et al. Electronic cigarettes: overview of chemical composition and expo- sure estimation. Tob Induc Dis 2014; 12: 23.

6. Callahan-Lyon P. Electronic cigarettes: human health effects. Tob Control 2014; 23 Suppl 2: ii36-40.

7. Tollefson MM, Bruckner AL; Section On Dermatology. Atopic dermatitis:

skin-directed management. Pediatrics 2014; 134: e1735-44.

8. Graif Y, German L, Ifrah A, Livne I, Shohat T. Dose-response association be- tween smoking and atopic eczema: results from a large cross-sectional study in adolescents. Dermatology 2013; 226: 195-9.

9. Farsalinos KE, Polosa R. Safety evaluation and risk assessment of electronic cigarettes as tobacco cigarette substitutes: a systematic review. Ther Adv Drug Saf 2014; 5: 67-86.

10. Lee KS, Rha YH, Oh IH, Choi YS, Choi SH. Socioeconomic and sociode-

mographic factors related to allergic disease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sev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cross-sec- tional study. BMC Pediatr 2016; 16: 19.

11.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 survey statistics. Cheongju: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12. Ebata T, Itamura R, Aizawa H, Niimura M. Serum sex hormone levels in adul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Dermatol 1996; 23: 603-5.

13. Starkenburg S, Munroe ME, Waltenbaugh C. Early alteration in leukocyte populations and Th1/Th2 function in ethanol-consuming mice. Alcohol Clin Exp Res 2001; 25: 1221-30.

14. Linneberg A, Berg ND, Gonzalez-Quintela A, Vidal C, Elberling J. Preva- lence of self-reported hypersensitivity symptoms following intake of alco- holic drinks. Clin Exp Allergy 2008; 38: 145-51.

15. Farfel A, Tirosh A, Derazne E, Garty BZ, Afek A. Association between socio- economic status and the prevalence of asthma. Ann Allergy Asthma Immu- nol 2010; 104: 490-5.

수치

Table 2. Univariate comparison between atopic dermatitis group and  non-atopic dermatitis group (n=72,060)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mokers in term of structure of household, socioeconomic status and smoking behavior and investigated whether

We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including interaction with marriage, occupation level, and Year.. Methods : We used the Korea National

Skin transcriptomes analysis from atopic dermatitis group showed 14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related genes, 10 negative regulation of peptidase related

JST일자리지원본부 취업과 창업 업무를 통합해 원스톱 일자리 서 비스를 지원한다. JST일자리종합센터 인천의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취업 지원 서 비스를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Web-based network of career counseling includes the CareerNet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Worknet of the Work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