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컴퓨터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컴퓨터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목 :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논문의 종류: 양적연구

저자 : 이숙희, 기독간호대학, 교수

Lee Sook Hee, Christian College of Nursing, Professor E-mail : shee4930@hanmail.net

교신저자: 채명정, 기독간호대학, 전임강사

Chae Myeong Jeong, Christian College of Nursing, Full-Time Lecturer 우편번호 : 503-711 광주 남구 양림동 67번지

67 Yangnim-Dong, Nam-gu, Gwangju, 503-711, Korea 전화번호 : 010-4627-2429, 팩스번호 : 062-675-5806 E-mail : woundcare92@hanmail.net

저자: 김금란, 기독간호대학, 겸임교수

Kim Keum Ran, Christian College of Nursing, Adjunct lecturer 김은정. 기독간호대학, 겸임교수

Kim Eun Jeoung, Christian College of Nursing, Adjunct lecturer 하숙현, 기독간호대학, 겸임교수

Ha Suk Heun, Christian College of Nursing, Adjunct lecturer 국문 주요어 : 컴퓨터 시뮬레이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 효능감, 수행능력 Key words: Computer Simul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Self-Efficacy, Competency.

(2)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3)

Abstract

Effect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eten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through Computer Simulation Program

Lee, Sook-Hee・ Chae, Myeong-Jeong・ Kim, Keum-Ran・

Kim, Eun-Jeoung・ Ha, Suk-Heun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eten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through computer simulation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 In this study, a 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6 to 27 in 2009.

Participants were 69 nursing students, 35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4 to the control group. Subjects o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PR through computer simulation(MicroSim Inhospital TM) learning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using t-test, χ2-test, and ANCOVA. Result: The Scores of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etency in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can be recommended to improve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etency in CPR.

The study to verify this computer simulation program is also effective. A computer simulation program applied to other nursing skills is needed.

Key words: Computer Simul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Self-Efficacy, Competency

(4)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순환기 질환에 의한 사망률의 변화를 보면 고혈압, 동맥경화증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하는 반면 심정지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허혈성 심장질환이 10년 전에 비해 약 50%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5대 사망원인 중 심장질환이 3위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10).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보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비 외상성 심정지 환자에서 순 환 회복율은 약 40%이며, 생존하여 퇴원한 환자는 전체 심정지 환자의 3%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최초반응자가 심정지 환자의 발생사실을 응급의료체계에 알려줌으로서 제세동 등의 전 문심장소생술이 빠른 시간 내에 시작 되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기본 심폐 소생술을 교육하여 전파 보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송종근, 오동진, 2007). 따라서 최근 정부에 서도 2008년 12월 응급의료법률 개정으로 응급의료체계 종합개선대책을 마련하고 응급의료 취약 지역에 대한 응급의료 인프라 확충, 외상환자 진료체계구축 및 응급환자 사망률을 32.6%로 감소 시키기 위한 선지응급의료체계 구축하였다(2009년 보건복지백서, 2010).

심폐소생술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보면 간호대학생이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전 심폐소생술 교육이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지식, 자신감, 수행능력에 효과가 있었다(한정석 등, 1999; 전호정, 2006; 오숙희, 선정주, 김상희, 2009). 동영상 시청이나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이 자신감 과 수행능력을 증가시켰으며(박정미, 2006), VIS (Video self-instruction) 심폐소생술 교육은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지식, 자기 효능감을 증가시겼다(안주영, 2008). 그 러나 간호대학생의 교육경험이나 지식, 태도,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결과, 중정도의 수준으로 다양 한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거나 교육해야 할 위치에 있는 간호대학생으로서는 미흡하게 나 타났다(김혜숙, 김미선, 박미화, 2009; 엄동춘, 전명희, 황지영, 최지예, 2008). 더불어 임상실습교육 은 관찰위주 실습이 이루어져 실습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박미영, 김순이, 2000), 간호학의 교과목에서 적정 수업시간, 학점 등에 대한 제안이 없어 각 대학마다 임의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등에서 현장실무 중심의 교육을 경험 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학점배정과 다양한 교육방법이 요구되고 있다(이선옥, 이주희, 엄 미란, 2007; 양진주, 2006; 이정은 등, 2003).

최근 효과적인 임상실습 방법으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대두되고 있으며, 한국간호평가원에서 도 임상실습에 시뮬레이션 실습방법이 현실성 있는 대안으로 언급되고 있다(간호신문, 2010). 특히 시뮬레이션 교육은 강의로 배운 이론을 임상수행능력으로 발휘시키는데 효율적이며, 환자에게 해 가 없는 안전한 상황에서 임상현장의 복제가 가능하고 실무에서 필요한 기술을 표준화시켜 반복 연습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교수학습 방법 으로 나타났다(백지윤, 2006; 양진주, 2008).

(5)

이와 같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한 연구를 보면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해 실시한 연구(Davis-Gomeza, Daviesa, Bullocka, Lockeya & Perkinsa, 2008; Steinmann et al., 2008; Lee, Bang & Sakong, 2007), 간호학에서는 중환자간호교육에 적용한 논문(김윤희, 김윤 민, 강서영, 2010)에 불과하여 국내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를 검증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능력을 증진시켜주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효율적인 실습방법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자는 심폐소생술에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적 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 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2. 연구목적과 연구가설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하 실험군)과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대조군(이하 대조군)에 대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의 전후평균차이가 더 클 것이다.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 효능감의 전후평균차이가 더 클 것이다.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행능력의 전후평균차이가 더 클 것이다.

3. 용어의 정의

1)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MicroSim Inhospital TM(Laerdal, Norway)의 학습 프로그램에 따라 동영상을 통하여 스스로 학습함을 의미하며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2)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심정지 환자의 의식 확인, 응급의료체계에 신고, 기도유지, 호흡확인 및 인공호흡, 맥박확인 및 흉부압박, 그리고 순환재평가에 관한 인지적 이해를 말하며, 박정미(2006)의 도구와 “심폐소생 술과 응급심장처치 지침(AHA, 2006)" 을 참고로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3)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 효능감

(6)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심폐소생술 방법에 대해 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의 지 각정도를 말하며, 박정미(2006)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 심폐소생술에 대한 수행능력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심폐소생술 실기평가(심정지 환자의 의식 확인, 응급 의료체계에 신고, 기도유지, 호흡확인, 인공호흡, 맥박확인, 흉부압박, 흉부압박률 및 순환재평가)에 따른 수행능력을 비디오 촬영평가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 연구설계로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실험 전과 후에 측정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해 1시간 강의와 2시간 실습교육을 받았다. 그리 고 실험군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3번 심폐소생술을 연습한 군을 말한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G시에 위치한 C대학 간호대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강의실에서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사 전에 심폐소생술 실기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대상자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11월 16일에서 11월 27일까지였다. 대상자에 대한 단순 무작위 배정법은 동전던지기를 통해 배정하였 다. 대상자는 실험군에 38명, 대조군에 39명으로 배정하였으나 평가 자료의 오류와 평가 시 불참 으로 인해 실험군 3명과 대조군 5명이 탈락되어 최종 실험군 35명과 대조군 34명이 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수는 실험전 PASS(Power Analysis and Sample Size Software for Windows, Version 2000)로 분석한 결과 effect size를 기준으로 하여 N1=29명, N2=28명, Mean1=6.55, Mean2=7.71, SD1=1.62, SD2=1.42, 유의수준=.05, beta=.80으로 나타나 Power를 발생시킬 확률이 0.20으로 본 연구에서 포함된 대상자수는 실험군 35명, 대조군 34명으로 t-test를 하기에 충분하였 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자가 속한 기관의 허락을 구하였다.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대상자에 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목적, 대상자의 익명성, 비밀보장 및 연구철회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고 이에 대해 연구자가 직접 설명하였다.

3. 연구도구

Figure 1. Research design

(7)

1) 심폐소생술 프로그램

① 기본 심폐소생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성인 기본 인명구조술 3시간으로서 내용은 강의 1시간, 실습 2시 간으로 구성되며 강의 내용과 실습은 “심폐소생술과 응급심장처치 지침(AHA, 2006)"에 따라 교육 하였다. 이 교육은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공통으로 실시하였다.

②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심정지 환자에게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 하여 각 학습자가 1주일 안에 3회씩 매 20분간 MicroSim Inhospital TM(Laerdal, Norway)의 컴퓨 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동영상을 통하여 스스로 학습함을 의미한다. 이는 다중매체 컴퓨 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미국 심장협회의 전문심장소생술 훈련과 피드백을 체계적으로 제공 하는 프로그램이며, 5가지 전문심장소생술 교육 영역(심정지 예방, 심장리듬 인지, 심폐소생술, 구 조 처치 알고리즘, 구조 후 간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심혈관계 응급상황인 심정지를 인지하 고 처치하는 능력을 점검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실제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1차 및 2차 ABCD(airway, breathing, circulation, defibrillate) 평가, 적절한 심혈관계 보조조치 제공, 심정지 알고리즘 이행과 효과적인 CPR 실시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2)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미국심장협회가 발간한 세계소생술위원회의 “심폐소생술과 응급심장처치 지침(AHA, 2006)"과 박정미(2006)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20개 문항으로 측정한 값이며, 각 문항에 대한 정답은 1점 으로 평가하여 최고 점수가 2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이 높다는 것을 말한다. 본 도구의 신 뢰도는 Chronbach α=.67이었다.

3)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 효능감

자기 효능감이란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박정미(2006)의 도구 총 12개 문항으로 측정한 값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 자기 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 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 α=.93이었다.

4)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은 술기 점검표에 의한 관찰 술기점수와 평가용 마네킹에 의한 술기통과 점수를 말한다.

술기 점검표: 심폐소생술 수행평가 도구인 술기점검표는 “심폐소생술과 응급심장처치 지침 (AHA, 2006)"과 박정미(2006)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총 20개 항목으로 구성하

(8)

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 α=.68이었다. 비디오 촬영을 통해 대상자의 술기평가를 촬영한 뒤 연구자가 아닌 두 명의 관찰자가 평가한 것으로 각 관찰 항목에 대한 수행 시에는 1점,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0점으로 평가하였고, 두 명의 관찰자에 의한 관찰자간 신뢰도는 k=.97이었다.

4. 연구 절차

1) 연구자 훈련

연구자는 기본간호학 겸임교수로서 대한 심폐소생협회의 심폐소생술 유자격자(AHA, BLS provider) 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정 한 후 프로그램 진행과 관련하여 역할 에 대한 사전 교육과, 사전 사후 평가에 대한 방법 즉, 마네킹에 대한 작동 비디오 촬영방법, 진행 절차에 대해 토론하였다.

술기평가방법은 평가용 마네킹 1개당 비디오카메라 1개, 그리고 연구자 2명씩 2개조로 나누었 다. 각 팀당 1명은 안내를 맡고, 다른 한명은 술기평가의 진행을 맡았다. 평가를 맡은 연구자는 모 든 대상자의 심폐소생술 술기를 비디오로 촬영하였고, 다른 연구자는 대상자의 출입과정을 안내하 고, 학생들이 서로 정보 교환을 하지 못하도록 평가가 끝나면 바로 출구를 통해 나가도록 하였다.

2) 사전조사

사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2009년 11월 16일에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강의 실에서 일반적 특성,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자기 효능감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 시간은 30분 정도 소요 되었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수행능력 조사는 대상자의 설문지 조사가 끝난 순서대로 실습실로 이동하여 평가전 지시사항을 읽도록 한 후 마네킹에 직접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도록 하였고, 모든 과정은 비 디오로 촬영하였다. 사전조사에서는 학생들의 술기 정확도 평가 소요시간이 1분 이내에 종료되었 다.

심폐소생술 술기 수행점검표에 의거한 연구자 채점은 녹화한 비디오를 통해 술기점검표에 의거 하여 채점 하도록 하였다. 술기 점검표에 대한 관찰자간 신뢰도는 k=.97였다.

3) 실험처치

실험군에게 2009년 11월 18일에서 25일에 걸쳐 컴퓨터 심폐소생술 프로그램을 학생 1인 당 3회 자율적으로 실습을 유도하였다. 실습 담당교수 감독 하에 1일 2시간에 걸쳐 실습실 사용이 가능하 도록 하였고, 동영상 시청 후 평가용 실습마네킹으로 실습하도록 하여 개인당 실습시간은 약 20분 정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9)

4) 사후조사

사후조사는 2009년 11월 27일 프로그램이 끝난 직후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전 검사와 동일한 내용과 방법으로 심폐소생술의 지식, 자기 효능감, 그리고 수행능력정도를 조사하였다. 심 폐소생술 수행정도는 술기 점검표에 의거하여 녹화한 비디오를 통해 사전조사 시에 평가를 했던 연구자 2명이 사후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채점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연구대상이 일 개 대학의 간호대학생들에 국한된 중재연구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6. 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자가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kappa 계수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 정도에 대한 동질성 검증 은 χ2-test, t-test 을 구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구하였다.

⋅대상자의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은 사전, 사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심폐소생술 프로그램 효과는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의 <Table 1>과 같다. 성별, 나이, 타 교육과정 이수, 성격, 기본간 호학 실습만족도, 기본간호학 수업만족도, CPR 교육 이수영역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35명 대조군 34명이었고, 성별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여성이 약 82%, 남성이 17%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나이의 경우 실험군 20.3세 대조군 20.0세로 두 군간에 동질하였다. 타 교육과정 이수는 과정을 이수하지 않는 경우가 실험군 88.6% 대조군 73.5%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격은 내성적이면서 긍정적이라고 응답 한 경우가 실험군 40.0% 대조군 52.9%, 외향적이면서 긍정적인 경우는 실험군 37.1%, 대조군 32.4%로 두 군간에 동질하였다. 기본간호학 실습만족도는 만족하는 경우가 실험군 74.3% 대조군

(10)

85.3%,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실험군 25.7%, 대조군 11.8%로 두 군간에 동질하였다. 기본 간 호학 수업만족도는 만족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실험군 60.0% 대조군 70.6%, 보통이다라고 한 경우 는 실험군 22.9% 대조군 17.6%로 두 군간에 동질하였다. CPR 교육 이수경험은 이론을 받은 경우 가 실험군 91.4% 대조군 75.8%로 두 군간에 동질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수행능력점수는 동질하였다. 심폐소생 술 수행능력에 대한 하부영역인 의식상태, 기도유지, 호흡, 흉부 압박, 압박률, 재평가에서 동질하 였고 환기와 맥박확인 점수는 동질하지 않아서 ANCOVA로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3>.

2. 가설 검증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의 전후평균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가설 1은 다음과 같이 지지되었 다<Table 2>.

실험군의 지식 점수는 사전 12.60±3.01점에서 사후 15.14±1.94점으로 증가하여 지식 전후 점수 차이는 2.54±3.01점 이었다. 대조군의 지식 점수는 사전 13.03±2.69점에서 사후 13.85±1.81점으로 지식 전후 점수 차이는 0.82±3.06점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어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지식점수가 증가하였다(t=2.35,

p

=.01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 효능감의 전후평균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가설 2는 다음과 같이 지 지되었다. 실험군의 자기 효능감 점수는 사전 65.80±17.09점에서 사후 98.80±13.01점으로 증가하였 다. 대조군의 자기 효능감 점수는 사전 72.32±16.72점에서 사후 91.47±14.08점으로 증가하였다. 실 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기 효능감 점수가 증가하였다(t=3.52,

p

=.00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행능력의 전후평균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가설 3은 다음과 같이 지지 되었다. 실험군의 수행능력 점수는 사전 3.43±2.53점에서 사후 15.26±3.43점으로 증가하여 수행능 력 전후 차이는 11.83±3.31점이었다. 대조군의 수행능력점수는 사전 3.66±2.49점에서 사후 13.94±2.41점으로 수행능력 전후 점수 차이는 10.28±2.61점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수행능력 점수가 증가하였다 (t=2.16,

p

=.018).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한 하부 영역 중에서 환기와 맥박 확인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점수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어 이를 ANCOVA로 분석한 결과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F=0.47,

p

=.516; F=1.51,

p

=.223). 실험군의 흉부압박은 사전 0.54±0.68점에서 사후 3.34±0.84점 으로 증가하여 흉부압박 전후 차이는 2.80±0.88점이었다. 대조군의 흉부압박은 사전 0.69±0.73점에 서 사후 2.87±0.95점으로 흉부압박 전후 점수 차이는 2.18±1.22점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흉부압박 점수가 더 높았다 (t=2.43

p

=.018). 재평가항목의 경우 실험군 사전 0.06±0.24점에서 사후 1.10±0.76점으로 증가하여

(11)

재평가 전후 차이는 1.04±0.76점이었다. 대조군의 재평가는 사전 0.00±0.00점에서 사후 0.57±0.64점 으로 재평가 전후 점수 차이는 0.57±0.64점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재평가 점수가 더 높았다(t=2.77

p

=.007)<Table 3>.

Ⅳ. 논의

본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에 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심 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심폐소생 술에 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학습한 간호대학생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점수는 실험군이 총 20점 중 15.14점으로 박정미(2006)의 간호대학생들 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지식 점수 16.18 보다는 낮았다. 김혜숙 등(2009)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실시한 연구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이나 수행능력이 중간정도의 점수영역을 보였고, 박정 미와 서순림(2005)의 연구에서도 반복교육을 통하여 지식점수가 증가하였다. Davis-Gomeza 등 (2008)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학습(MicroSimTM)을 통한 연구에서도 전문심폐소생술과 일반심폐소 생술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였으며 선수학습을 이용하도록 권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와 동일한 컴 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한 김윤희 등(2010)의 연구에서도 학업성취도가 향상된 결과는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학습이 심폐소생술에 대한 반복적인 학습과 평가 를 통해 지식의 향상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 효능감 점수는 총 120점 중 98.80점으로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한 박정미(2006)의 95.44점, 박정미와 서순림(2005)의 90.09점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Wadas (1999)는 시뮬레이션 심정지 교육 후 간호사들의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 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이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향상시키는 이주 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2009)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또 한 Steinmann 등(2008)의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응급의학 교육 중 대상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실무 연습을 격려할 수 있다고 한 연구 결과가 뒷받침하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의 결과 자기 효능감이 증가한 것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정을 학습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미 친 것으로 사료된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수행능력은 총 20점 중 15.26점으로 박정미(2006)의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 로 실시한 연구에서의 19.14점 보다 낮게 나타났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학습(MicroSimTM)은 자가 학습을 통해 프로그램에 내재된 시나리오를 학생들이 수행하고 그 결과를 즉각적으로 평가 받을 수 있으며, 평가는 70% 목표를 달성하여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수행 결과 학생들은 수행과 평가를 통해 자신의 정확성과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가장 중요한 요소 인 즉각적인 디브리핑을 강조하였으며(Issenberg, Mcgaghie, Petrusa, Gordon, & Scalese, 2005),

(12)

학습자가 자신의 수행능력을 컴퓨터상으로 확인하면서 평가하는 과정에서 수행능력의 통합성을 향상시킨다는 것과 일치하였다(백지윤, 2006). 그러나 Perkins 등(2010)의 연구에서는 의사와 간호 사를 대상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학습(MicroSimTM)을 통한 심폐소생술 술기 영역에서 통계적으 로 차이가 없다고 한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결과 실제 모형 에 반복 연습을 시행하지 않은 결과이며 향후 심폐소생술 마네킹을 통한 모형술기를 통합한 반복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심폐소생술에 대한 수행능력 중 하부영역인 흉부압박의 정확도가 실험군이 평균 3.34점인 데 비해 대조군은 2.87점으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컴퓨터 시뮬레이 션 학습을 통해 흉부압박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심폐소생술 술기에 대한 반복 실습결과 긍정적 교 정이 이루어졌다고 보고한 박정미(2006)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정확도 점수는 향상되었으 나 실제적인 흉부압박이 정확한 압력으로 수행되었는지 과학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웠으므로 심폐 소생술의 정확한 압박 깊이와 불충분한 이완과 속도 측정에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이 고 정확하게 측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학습(MicroSimTM)을 통해 병원 환경과 같은 동영상을 구사해 주므로써 현실감 있는 상황의 재현이 가능하며 자기 주도적인 반복학습이 가능하였다고 보여진다.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이 증가되었고, 간호대학생들에게 선수학습이나 반복실습을 병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인 것을 확인하였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방법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 연구이 다.

연구기간은 2009년 11월 16일에서 11월 27일까지였으며, G시에 소재한 한 개의 간호대학 1학년 학생 6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심폐소생술 및 응급심장처치 지침(AHA guideline, 2006)과 박정미(2006)을 토대로 수정 보완한 지식 측정도구, 박정미(2006)의 자기 효능감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MicroSim Inhospital TM(Laerdal, Norway)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동영상을 통하여 학습 후 심폐소생술과 응급심장처치 지침 (AHA guideline, 2006)과 박정미(2006) 평가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수행능력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PSA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χ2-test, t-test로 지식, 자 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평가를 t-test 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13)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의 전후평균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p

=.01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 효능감의 전후평균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p

=.00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행능력의 전후평균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p

=.018).

이상의 연구결과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과 자기 효능감, 수행능력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2. 제언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한 효과를 측정 하는데 기술적인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 및 인공호흡, 정확도를 높 이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컴퓨터 시뮬레이션 학습을 통한 심폐소생술에 대한 장기적 효과에 대한 추적이 필요하다.

Reference

통계청(2010).

사망원인통계 2009: 전국편.

대전: 통계청.

간호신문(2010, Aug, 24). '시뮬레이션' 활용 간호학생 실습교육 수준 높인다. Retrieved Sep, 28, 2010,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3&articleKey=33.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2010). MicroSim®을 병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16

(1), 24-32.

김혜숙, 김미선, 박미화(2009).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에 관한 연 구.

기본간호학회지, 16

(4), 430-437.

박미영, 김순이(2000). 전문대 간호학생들의 첫 임상실습 체험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6

(1), 23-35.

박정미(2006). 자기주도적 학습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및 유지에 미치는 효과

.

경북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정미, 서순림(2005). 간호대학생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속효과.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9

(2), 169-181.

백지윤(2006).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2010, 10월).

2009년 보건복지백서

. 서울: 보건복지부. 문영사.

송근정, 오동진(2007). 심폐소생술의 국내현황.

대한내과학회지, 73

(1), 4-10.

(14)

안주영(2008). VIS(Video self- instruction) 심폐소생술과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비교.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진주(2006). 웹기반 인공호흡기 실무 멀티미디어 컨텐츠 학습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 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8

(2), 231-239.

양진주(2008).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0

(4), 548-560.

엄동춘, 전명희, 황지영, 최지예(2008).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일 광 역시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

(1), 138-146.

오숙희, 선정주, 김상희(2009). 심폐소생술 실습교육이 간호 학생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

(2), 153-161.

이선옥, 이주희, 엄미란(2007).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13

(1), 90-94.

이정은, 고봉연, 이인모, 최근명, 박신일, 안홍기(2003). 대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평가 - 간 호과와 비간호과를 대상으로 - .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7

(1), 43-54.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2009).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15

(2), 183-193.

전호정(2006).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교육의 효과.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정석, 고일선, 강규숙, 송인자, 문성미, 김선희(1999). 간호학생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 효 과.

기본간호학회지

,

6

(3), 492-5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6). Highlights of the 2006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e cardiovascular care.

Currents in Emergence cardiovascular Care, 16

(4), 1-28.

Davis-Gomeza, N., Daviesa, R. P., Bullocka, I., Lockeya, A. S., & Perkinsa, G. D. (2008).

Microsim—A useful adjunct to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Resuscitation 77

(1), S57-S58.

Issenberg, S. B., Mcgaghie, W. C., Petrusa, E. R., Gordon, D. L., & Scalese, R. J. (2005).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

27

(1), 10-28.

Lee, S. B., Bang, J. B., & Sakong, J. (2007). Introduction of medical simulation and the experience of computerized simulation program used by MicroSim®.

Yeungnam University of Medicine, 24

(2), 148-153.

Perkins, G. D., Fullerton, J. N., Davis-Gomez, N., Davies, R. P., Baldock, C., Stevens, H., et al. (2010). The effect of pre-course e-learning prior to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Resuscitation, 81

(7), 877-81.

(15)

Steinmann, D., Goebel, U., Schwer, C. I., Freising, C., Bross, T., Strosing, K. M., et al. (2008).

Teaching emergency medicine at the University Medical Center Freiburg: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concept.

Anaesthesist, 57

(12), 1193-200.

Wadas, T. M. (1999). Role rehearsal : A mock coed program.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18

(6), 36-39.

참조

관련 문서

To sum up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maturing institutionalized youth's career consciousness and improving the

To summarize above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could have positive transformation in definitive aspect in the children, enhance

플립드 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 학업성취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Second, is there any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reducing low ranks of aggressiveness such as negative characteristics, excitability,

이 프로그램은 성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강한 청소년들이 직면하기 쉬운 성적 갈등상 황에 처해 있을 때 자신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가치명료화 과정을 통하여 알아내고

행동적으로는 철회와 적대감이 분노를 일으키는데.. 는다는 이론적 근거에서 출발한다..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지도, 임파워먼트 및 병 원감염관리에 대한 실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병원감염관리 실천에 영향을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수준별 이동수업에 따른 각 수준별 수업의 반 학습자 들의 정의적 태도를 바탕으로 보다 더 효율적인 수준별 이동수업을 찾아내기 위해서 수준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