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mparison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nd CT Angiography in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mparison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nd CT Angiography in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 한 밤사선 의 학회 지 1996: 35(3) : 285-291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서 자기공명혈관조영술과 CT 혈관조영술의 비교1

윤대염 · 장원호 · 김호칠 · 이정근 · 배상훈 · 이규호2 • 김형철3

목 적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 있어 자기공명혈관초영술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 A) 과 CT 혈관조영술 (CT angiography, CTA) 의 유용성 및 두 검사의 차이점을 일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파열이 있었던 4명의 환자를 포함한 11 명의 환자에서 147H 의 동맥류를 대상으로 하였 으며 전예에서 고식적 혈관조영술 (conventional angiography, CA) 을 시행하여 확진하였다. 14개의 동 맥류의 크기는 3mm에서 20mm사이로 평균 크기는 lO.5 mm 였다. MRA는 1.5T 기종을 이용하여 mag netization transfer suppression( MTS) 효과를 추가한 3D-TOF 기법을 이용하였다. CTA는 자동주입기 를 이용하여 조영제 100mL를 3mL/sec의 속도로 정맥주입한 후 나선식 CT를 이용하여 테이블 이동속 도 2mm/sec, CT 절펀두께 2mm로 초영제주입 20초후부터 30초동안 60mm를 스캔하고 MIP기법을 이 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MRA와 CTA에서 동맥류의 크기, 모앙, 방향, 경부( neck), 강도(inten - sity), 주위 구조물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 과:전예으I CTA에서 동맥류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MRA에서는 3mm 크기의 동맥류 1예를 발견 할 수 없었다. 나머지 13예중 8예에서는 MRA와 CTA7f 동맥류의 크기, 모앙, 방향, 경부 및 주위혈관과 의 관계를 평가함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5예에서는은 CTA가 MRA보다 부분적으로 좀더 유용하 였으며 3예에서늠 돔맥류벽의 석회화를, 2예에서는 주위 골구조물과의 관계를 보다 잘 확인할 수 있었 다. 동맥류의 신호강도에 있어서 CTA는 전예에서 주위동맥보다 같거나 높은 균등한 신호강도를 보였 으나 MRA에서는 내강의 크기가 큰 동맥류 3예에서는 부분적으로 신호강도가 떨어져 불균등하게 보였

q.

결 론 :MRA와 CTA는 두개내 동맥류의 진단에 유용하며 특히 CTA는 MRA에 비해 크기가 큰 동맥류 의 묘출 및 동맥류벽의 석회화와 주위 골구조물과의 관계를 평가하기에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로운 검사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미세한 병변의 발견이 가 능하게되어 두개내 동맥류의 경우에도 선별검사 (screen­

ing test) 로서의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2-5).

최근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나선식 CT(spiral CT) 는 스캔시간이 짧고 스캔간 지연(interscan delay) 이 없으며 체적정보수집 (volumetric data acquisi tion) 을 하기 때문 에 얻어진 정보를 임의간격의 단면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6-9). CT 혈관조영술 (CT angiogr aphy, 이하 CTA로 약칭)은 이러한 냐선식 CT의 장점을 이용한 것으로 조영 제를 급속정맥주입한 후 동맥강조기 (arterial dominant phase) 에 얻은 영상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여 혈관만을 선택적으로 영상화한 것이다. 현재 CTA는 두개내에서는 적용범위가 제한적이나 동맥류의 평가에는 강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동맥류에 대한 양호한 성적들이 보고되고 있 다(1 0-14).

두개내 동맥류에 있어 MRA와 CTA는 그 원리 및 장단 점이 비교적 잘 알려져 았으나 같은 환자에서 두 검사를 - 285 -

현재 두개내 동맥류{i ntracranial aneurysm) 의 수술전 평가에 있어서 가장 유용한 검사는 카테터를 이용한 고식 적 혈관조영술 (conventional angiography, 이하 CA로 약 칭)이나 CA는 침습적이므로 보다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검 사방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비침습적 검사로서 대표적인 자기공병혈관조영솔 (mag- netic resonance angiography, 이 하 MRA로 약칭 )은 비 교 적 일찍 개발되어 두개내 혈관 질환에서 유용성을 인정받 고 있으며 그 적용범위도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1-3). 특히 최근에는 해상도 (res이ution) 가 향상되고 새

1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2한립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3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5년 11월 23일 접수하여 1996 년 7월 1 일에 채택되었음

(2)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3) : 285-291

시행하여 그 소견들을 비교한 문헌은 Schwartz등(1 3) 의 보고가 유일하며 아직 국내에는 보고된 바 없다.

이 논문의 목적은 파열된 동맥류를 포함한 두개내 동맥 류에서 MRA와 CTA의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주어진 환 자에게 적절한검사의 선택 및 해석에 도움을받고자함이 며 지주막하출혈이 각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비 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및방법

1995년 3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두개내 동맥류로 진단 되었고 CTA와 MRA를 같이 시행한 11명의 환자를 대상 으로하였으며 환자의 남녀비는 4:7이었고연령은 45세에 서 74세까지로 평균 59세였다. 전예에서 CA를 같이 시행 하였고 5명은 수술로서 확진하였으나 6명은 환자상태가 불량하여 수술을시행하지 못하고 CA로진단하였다.동맥 류는 총 147~ 로 3예는 2개의 동맥류가 있었던 경우였다. 동 맥류의 크기는 3mm에서 20mm사이로 평균 1O .5mm였다.

동맥류의 위 치는 후교통동맥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6예, 추골동맥 (vertebral artery) 3예, 전교통통맥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2예, 중대 뇌동맥 (mi ddle cerebral artery) 2예 및 전맥 락총동맥 (anterior cho- roidal artery) 1 예였다. 대상환자중 4명에서는 동맥류 파 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이 CT에서 관찰되었으나 다른

7

명은 파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된 경우였다. CTA와 M- RA 사이의 간격은 0일에서 16일로 평균 4 일이었으며 M-

RA를 먼저 시행한 경우가 6예, CTA를 먼저 시행한 경우 가 5예였다.

MRA는 1.5T MR기 기 (Siemens

,

Erlangen

,

Germany) 에서 3D time-of-flight(TOF) 기법을 이용하여 두개내 혈관 및 경부 혈관을 스캔하였다. 스캔범위는 연수하단에 서 상방 64mm까지를 축상면으로 스캔하였다. Pulse se-

quence는 magnetization saturation suppression(MTS) 을 추가한 FISP(fast imaging with steady precession) 를 사용하였다 (TR/TE

=

33ms/8ms, Flip Angle

=

20。’

Matrix

=

256

x

512, Slab Thickness

=

64mm, Partition No = 64, FOV = 200-220mm). 이러한 스캔 데이타를 기 기에 내장된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 소프 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영상으로 재구성하여 경부 혈관은 좌우방향으로 15도씩 회전시킨 투사영상 (pr­

ojection image) 을 얻였으며 두개내 혈관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15도씩 회전시킨 투사영상을 얻었다.

CTA는 모든 예에서 SOMATOM PLUS-S(Siemens, Er langen, Germany) 의 spiral mode를 이용하였다. 검사 방법은 전완부 (forearm)를 미리 18-gauge canula로 천자 하여 확보한 말초정맥을 통하여 100mL의 비이온성조영제 언 Optiray 320( 68% loversol

,

Mallinckrodt

,

Canada) 를 3mL/sec의 속도로 자동주업기 (power injector) 를 사용 하여 주입하였고 테이블 이동속도 (table feed speed) 2 mm/sec, CT 절편두께 (section thickness) 2mm로 촬영 하여 1초당 1 단변을 스캔하였다. 15도의 gantry tilting후 조영제주입 20초후부터 터어키안의 하벽 (floor of sella tu- rcica) 1 cm 아래에서 상방으로 30초동안 60mm를 횡단면 으로 스캔하였다. 스캔후 1mm 간격으로 영상을 재구성하 여 60개의 횡단면영상을 얻었으며 이를 검토한 후 CTA를 얻을 단면들을 결정하였다. 횡단면으로 얻은 스캔 데이타

a b c

Fig. 1. Images 01 a 74-year-old woman with a small aneurysm 01 the left internal carotid artery not seen on MR angiogram a. Anteroposterior pr이 ection 01 CT angiogram shows a 3-mm aneurysm(arrow) 01 the I eft internal carotid artery at origin 01 the anterior choroidal artery

b. MR angiogram with the same pr이 ection as(a) lail to show it. Note that background noise in both sylvian lissure is developed by subarachnoid hemorrhage(arrows)

c. The aneurysm(arrow) is conlirmed on conventional angiogram 01 the left internal carotid artery

- 286

(3)

윤대영 외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서 자기공명혈관조영술과 CT 혈관조영술의 비교

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OI(region of in- terest) 를 정한 후에 MIP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적인 영상 을 재구성하였으며 필요한 경우는 SSD (shaded surface display) 기법을 같이 시행하였다.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 로 15도씩 회전시킨 투사영상을 얻었으며 필요한 경우는 검사자가 원하는대로 다양한 방향의 영상을 추가로 얻었 다.

MRA와 CTA에서 동맥류의 크기, 모양, 방향, 경부 (ne­

ck), 강도 (intensity) , 주위골구조물과의 관계, 그리고 파 열된 동맥류의 경우는 주위 지주막하출혈에 의한 배경잡음 발생여부를 비교하였다.

14예의 동맥류중, 전예의 CTA 에서 모든 동맥류를 발견 할 수 있었으나 MRA에서는 3-mm 크기의 동맥류 l 예를 발견할 수 없었다 (Fig. 1). 동맥류의 위치, 모양, 방향, 경부 및 주위혈관과의 관계를 평가함에 있어 MRA와 CTA 사 이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이러한 소견은 모두 CA와 일치 하였다.

특히 CA에서는보이지 않는소견으로서 3예의 동맥류에 서 CTA에서는 동맥류벽의 석회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MRA 에서는 석회화를 시사하는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추골동맥에 생긴 동맥류 l예의 경우, CA에서는 동 맥류의 윤곽이 평탄하였으나 MRA 에서는 분엽상 융곽 Oobulating contour) 을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가 동맥류벽 의 석회화에 기인한것으로추정된다 (Fig.2). 또한동액류 내에 부분적인 혈전 (thrombus) 을 동반하고 있었던 통맥 류 2예에서 CTA에서는 개통된 잔류내강 (residual lumen)

만이 보였으나 MRA 에서는 혈전과 내강이 모두 고신호강 도로 보였다. 그러나 CTA의 재구성이전 자료화면 (source image) 을 통하여 동맥류내의 혈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 전은 2예 모두에서 MR T1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

T2 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로 보여 intracellular meth emoglobin_으-로 생각되었다 (Fig. 3). 또한 2예의 CTA 자료 화변에서는 후교통동맥의 동맥류에 의한 후상돌기 (pos terior clinoid process) 의 미란 (erosion)을 확인할 수 있 였다.

CTA 에서 동맥류의 강도는전예에서 주위동맥에 비하여 약간 높거나 비슷한 균등한 강도를 보였으나 MRA에서는 3예에서 부분적으로 강도가 떨어지는 부분이 있었고 따라 서 불균등하게 보였다 (Fig. 4). 이러한 동맥류들은 그 크기 가 13mm에서 17mm사이로 상대적으로 큰 경우였으며 10 mm 이상의 동맥류 4예중 3예에서 이러한 소견을 확인할

ζ느 。 1 ö~rl 1 λAλA"

지주막하 출혈이 있었던 4예중 파열 7일째 MRA를 시행 한 1예에서는 양측 설비우스열(sylvian fissure) 에 심한 배 경잡음이 발생하였으나 (Fig. 1), 나머지 3예의 MRA 및 전 예의 CTA 에서는 배경잡음을 발견할 수 없었다.

고 찰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방법으로 현재까지는 카테터를 이 용한 CA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있으나 검사자체가 침습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 빈도는 약 0.1-2.6%로 보고되고 있으나(1 5-16) , 지주막 하출혈을 통반한 환자들은 전신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기 때 문에 합병증의 빈도는더 높을가능성이 있다.최근현대의

a b c

Fig. 2. Images 01 a 56-year-old man with a vertebral artery aneurysm with calcilication

a. Conventional angiogram 01 the left vertebral artery(left anterior oblique pr이 ection) shows a 12-mm saccular aneurysm 01 the lelt vertebral artery(arrow)

b. CT angiogram shows the aneurysm and multiple loci 01 calcilication in the dome 01 the aneurysm(arrow)that were not depicted on the conventional angiogram

c. MR angiogram in the lateral projection lail to demonstrate calcilication. It seems that some lobulation 01 the aneurysm(arrow) is due to multiple calcilication 01 the aneurysm wall

/

(4)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3) : 285-291

학의 추세는 비침습적인 방법의 진단과 치료를 선호하고 있으며 진단방사선과영역에서도

CT

및 MR이라는 첨단 장비가 출현한 이래로 이러한 추세는 더욱 빠르게 진행되 고 있다. 혈관조영술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대표적 인 침습 적 인 겸 사방법 이 나 중재 적 시 술(i nterventional procedu re) 을 전제로 하지 않는 진단적 혈관조영술 (diagnos tic angiography) 은 점차적으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체되 고 있다. MRA와 CTA는 비침습적으로 혈관의 해부학적 인구조를 3차원적으로영상화할수있으며 현재는미흡하 지만 일부의 환자에서 CA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 다고생각된다.

두개내 동맥류에 있어 MRA와 CTA는 CA 에 비해 해상 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동맥류를 다양한 각도로 돌

려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상하방향의 투사영상 은 CA에서 얻을 수 없는 영상으로 윌리스 동맥환 (circle of

Willis) 부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크기가 큰

동맥류의 경우, CA 에서 통맥류내의 조영제에 가려서 동맥 류의 경부 및 동맥류와 주위혈관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평 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다른 각도로 여러 번 혈관조영술을 시행할 펼요가 있다. 그러나 MRA와 CTA는 한번 영상을 얻은후 검사자가 원하는 적절한 각도 로돌려서 볼수있다는장점이 있기 때문에 동맥류의 경부 및 주위혈관과의 관계를평가하는데 유리하다.

현재 파열되지 않은 동맥류의 평가에 있어 MRA와

C

TA의 해상력은 비슷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일반적으 로

3mm

미만의 작은 동맥류의 묘출은 어렵다 (12-13). 또

a b c

d e f

Fig. 3. Images 01 a 71-year-old man with a partially thrombosed aneurysm 01 the left internal carotid artery

a. Axial T1-weighted MR image shows a small amount 01 subacute thrombus containing methemoglobin(arrowheads) extrinsic to the patent lumen(arrow)

b. MR angiogram with inlerior pr이 ection shows a 20-mm saccular aneurysm with posterior projection 01 the left internal carotid artery at origin 01 the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Note more strong signal in the anterior portion representing the patent lu- men 01 the aneurysm(arrow) and less strong signal in the posterior portion representing thrombus(arrowheads)

c. d. CT angiogram with inlerior pr이 ection using MIP(c) and SSD(d) allows only the patent lumen 01 the aneurysm(arrow) e. Axial source image 01 CTA. however. depicts the patent lumen(arrow) and a subacute thrombus(arrowheads)

1. Axial source image more caudal to(e) shows erosion 01 the posterior clinoid process(arrowhead) by thrombosed aneurysm(ar- row).

@

(5)

윤대영 외 ,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서 자기공명혈관조영술과 CT 혈관조염술의 비교

a b

한 파열된 동맥류의 경우, MRA는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 며 TOF 기법을 이용한 MRA 에서는 methemoglobin과 같 은 paramagnetic substance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지주막 하출혈이 있던 4예에서 판독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심한 잡음을 유발한 경우는 1 예밖에 없었다.3예의 환자가 동맥 류 파열후 3일 이상이 경과한 상태에서 MRA를 시행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1 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출혈의 양 및 methemoglobin의 생성정도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CTA에서 지 주막하출혈은 CT 수 (number) 가 60이 하인 반면, 조영제주업후 동맥강조기의 동맥류 및 동맥은 CT 수 150 이상이므로 적절하게 창 (window) 을 조절하면 지주막하출혈에 의한 영상의 질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CTA는 검사시간이 1 분 이내이고 기관내관 (endotr acheal tube) 을 삽입한 상태에서도 시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맥 류의 경우는 MRA에 비해 적용범위가넓은편이라고하겠 다.

저자들이 사용한 TOF 기법은 PC (phase contrast) 기 법 에 비 해 신호대 잡음비 (signal to noise ratio) 가 높고 비 교적 짧은 시간에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나 속 도가 느린 혈류에 민감하지 못하며, 또한 아급성기 혈종과 같은 T1 이 짧은 조직에 의한 배경잡음 (background noise) 이 나타나는단점이 있다 (4-5). 따라서 TOF MRA는동 맥류의 크기가 큰 경우, 동맥류내의 느린 혈류는 영상체적

(imaging volume) 내에 오래 머물러 있어 포화효과에 의하

여 신호강도가 떨어지므로 잘 보이지 않게 된다 (17-20). 또한 뇌동맥류가 파열된 경우에 지주막하 출혈에 의한 고 신호강도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배경잡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해상력이 떨어져 동맥류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수있다고알려져 있다.그러나저자들의 예에서는지 주막하출혈 7일째에 MRA를 시행한 1 예를 제외하고는 이 러한 배경잡음을 관찰할 수 없였다. 기존문헌에서도 원인 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지주막하출혈에서 고신호 강도를 보이는 methemoglobin의 생성은 두개내혈종 (in-

Fig. 4. Images of a 47-year-old woman with a large fusiform vertebral artery an- eurysm better seen on CTA than MRA.

a. CT angiogram with inferior projection well demonstrates a 14-mm fusiform ane- urysm of the right vertebral artery(arrow) b. The aneurysm is also seen on MR an- giogram. However, it is thought that slow flow through the fusiform aneurysm re- sults in a faint intensity in the medial side of the aneurysm(arrow) when compared with that on the CT angiogram.

tracranial hematoma) 보다 느려 1주일 정도가 걸린다고 알려져 있다 (21-22). 그러나 출혈 10일째에 MRA를 시행 한 l예에서는 이러한 배경잡음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출혈의 양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 된다.

3D TOF와 PC 기법을 이용하여 두개내 동맥류를 평가 한 Houston의 보고 (20) 에 의하면 크기가 3-15mm 사이 의 동맥류는 양기법 모두에서 비슷한 정도로 보였으나 15 mm 이상의 통맥류의 경우 PC 기법이 더 우수하였다. 이 는 PC 기법의 경우 veloci ty encoding을 적절하게 변화시 켜 움직이는 proton을 모두 나타낼 수 있으므로 느린 혈류 의 병변도효과적으로묘출할수있는것에 기인한것이다.

실제로 저자들의 증례에서도 lOmm 보다 큰 4예중 3예에 서 동맥류의 신호강도가주위혈관보다 약하게 보였으며 느 린 혈류를 가진 동맥류로 생각되었다.

아급성기 혈전이 동반된 동맥류의 경우 PC 기법의 M RA에서는 CA 및 CTA와 같이 실제로 혈류가 있는 내강만 이 묘출되는데 비해 TOF 기법의 MRA 에서는 혈류와 T1 이 짧은 methemoglobin을 가지는 혈전이 모두 고신호강 도로 나타나는 차이가 었다.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이러한 증례가 2예 있었으며 CTA 및 CA에서는 혈류가 있는 내강 만이 보였으나 MRA에서는 혈전과 혈류가 있는 내강이 함 께 보였다.

최근에 TOF 기법의 경우, 조영증강 MRA(contrast- enhanced MRA) 에서 동맥류가 더 잘 보인다는 보고들이 있다 (23-24). 보통 1.0mmol/kg정도의 조영제를 주입한 후 MRA를 얻게 되며 조영증강된 혈액의 T1 이 선택적으 로 감소되는 것을 이용하여 유속이 느린 혈류의 포화를 감 소시킴으로써 느린 혈류를 가진 동맥류의 평가에서 유용성 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국내외에서 두개내 혈관의 평가 에 있어 3D TOF MRA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저자들도 PC 기법의 MRA 및 조영증강 MRA와 같은 다 른 방법을 시도하지 않았으며 이는 저자들의 연구에서 아 쉬운 점으로서 더 발전된 연구결과가 기대된다.

- 289 -

(6)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6; 35(3) : 285-291

최근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 있어 CTA는 매우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0-14). Schmid 등 (25) 은 동맥류 의 경우 비나선식 CT를 이용한 고해상 횡단면 스캔에서 직접 진단할 수 있는 경우가 97.4%라고 보고한 바 있다. 나 선식 CT는 통맥강조기만을 선택적으로 스캔할 수 있으므 로횡단영상에서 거의 대부분의 동맥류및 동정맥기형등의 병변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1mm 간 격으로 얻어진 횡단영상을 세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무엿보 다중요하며 실제로저자들의 증례들중대부분은횡단영상 만으로진단을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 있어서 MRA에 비해 CTA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MRA에서는 동맥류 내부에 느 린 혈류나 와류가 있는 경우, 신호강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현상은혈류의 상태에 대한정보를얻을수있다는 점에서는 장점일 수도 있으나 동맥류의 실제 크기를 평가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울 수 있다. 그러나 CTA에서는 혈 류에 관계없이 동맥류의 내강이 열려있으면 모두 조영증강 이 되므로 느린 혈류를 가진 통맥류도 쉽게 진단할 수 있 다. 둘째, MRA에서는 동맥류내의 혈전이 T1이 짧은 me- themoglobin일 경 우 실제 CA보다 동맥 류의 크기 가 과장 되어 보일 수 있으나 CTA는동맥류내의 혈전을구분할수 있다. 셋째, 지주막하 출혈이 있는 환자들에서도 배경잡음

(background noise) 을 유발하지 않는다. 넷째, 인공심장박

출기를 가지고 있거나 폐쇄공포증이 있어서 또는 환자의 의식상태가 불량하여 MRA를 시행하기에 부적합한 환자 에서 시행이 가능하다.다섯째, CTA는동맥류벽의 석회화 를 잘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석회화는 크기가 큰 경우에 는 투시방향에 따라 동맥류의 내강을 가릴 수도 있으나 통 맥류의 경부에 석회화가 있는 경우는 clip으로 잡기가 어렵 기 때문에 중요한 수술전 정보가 될 수 있다(1 3). 마지막으 로가격이 저렴하고검사시간이 짧다.

MRA에 비해 CTA의 단점으로는 첫째, 조영제를 사용 하고 방사선을 조사한다는 점이 선별검사 (screening test) 로 이용함에 있어 제약이 될 수 있으며 둘째, 스캔에 포함 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측뇌실 Oateral ventri cle) 의 상부에 있는 병변은 발견할 수 없다. 셋째, 기술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스캔지연시간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가 있 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동맥과 정맥이 겹쳐 보이므로 판독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넷째, 해면동 분절 (ca­

vernous segment) 의 내경동맥에 생긴 작은 동맥류는 주위

골구조물 및 해면정맥동 (cavernous sinus) 에 가려 발견하 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조영제의 양과 스캔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극복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CTA는 3차원적인 재구성이전에 10-157B 의 횡단면영상에서 전상돌기 (anterior clinoid process) 와 후 상돌기 (posterior clinoid process) 를 포함한 두개기저부

(skull base) 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두개기

저부의 골구조물을 제거하지 않는 것이 동맥류와 주위 골 구조물의 관계를 보기가 더 좋다고 주장한 문헌도 있으나

290

(11), MIP 에서 투사방향에 따라서 혈관을 가릴 수 있으므 로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저자들의 경 우, 숙달된 방사선과 의사가 기본횡단면영상을 검토한 후 주위 골구조물을 삭제하는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 3차원적 으로 영상화하기까지는 30분정도가 소요되었다.

결론적으로 MRA와 CTA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비침습적검사로서 두개내 동맥류에서 선별검사및 보조검 사로서의 가치가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좀더 유용 한 검사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j;:~

C그 τr C그

1 배상훈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과 한계성 대 한방사선의학회지 1992; 28 : 565.574

2 최대섭장기현, 정혀|원한문희 경부 및 두개내 혈관질환에서 자기 공명혈관조영술과 고식적혈관조영술과의 비교 대한방사선의학회 1995; 32 : 209-214

3. Edelman RR, Mattle HP, Atkinson DJ, Hoogewoud HM. MR angiography. AJR 1990; 154: 937-946

4. Edelman RR. MR angiography: present and luture. AJR 1933

;161: 1-11

5. Atlas S

w.

MR angiography in neurologic disease. Radiology 1994 ; 193 : 1-1 6

6. Heiken JP, Brink JA, Vannier MW. Spiral( helica l) CT. Radi- o/ogy 1993; 189: 647-656

7. Napel S, Marks MP, Rubin GD, et al. CT angiography with spiral CT and maximum i ntensity projection. Radiology 1992; 185: 607-61 0

8. Kalender WA, Polacin A. Physical perlormance characteri- stics 01 spiral CT scanning. Med Phys 1991 ;18:910-915 9. Polacin A, Kalender WA, Marchal G. Evaluation 01 section

sensitivity proliles and image noise in spiral CT. Radiology 1992; 185 : 29-35

10. Schwartz RB. Neuroradiological applications 01 spiral CT Semin UJtrasound CT MR 1992; 13: 246-255

11. Aoki S, Sasaki Y, Machida T, Ohkubo T, Minami M, Sasaki Y Cerebral aneurysms: detection and delineation using 3-D CT angiography. AJNR 1992;13:1115-1120

12. Napel S, Marks MP, Rubin GD, et al. CT angiography with spiral CT and maximum intensity pr이 ection. Radiology 1992; 185 :607-610

13. SChwartz, RB. Tice HM, Hooten SM, Hsu L, Stieg PE. Evalu- ation 01 cerebral aneurysms with helical CTcorrelation with conventional angiography and MR angiography. Radiology 1994 ; 1 92 : 717 -722

14 김규선윤대영김호철 등 나선식 CT를 이용한 두개내 CT혈관조 영술 예비보고 대한방사선으|학회지 1995; 33(2) : 183-188 15. Caplan LR, Pessin MS. Symptomatic carotid artery disease

and carotid endarterectomy. Ann Rev Med 1988; 39: 273-299 16. Earnest F, Forbes G, San dok BA, et al. Compl ications 01 cer-

ebral angiography: prospective assessment 01 risk. AJR 1984

;142:247- 253

17. Marchal G, Bosmans H, Van Iraeyenhoven L, et al. Intra- cranial vascular lesions: optimiz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01 three dimensional time-ol-Ilight MR angiography. Radi- ology 1990; 175: 443-448

18. Keller PJ. Time-ol-flight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Neuroimag Clin N Am 1992; 2: 639-656

19. Ross JS, Masaryk TJ, Modic MT, Ruggieri PM, Haacke EM,

(7)

윤대영 외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서 자기공염혈관조영술과 CT 혈관조영술의 비교

Selman WR. Intracranial aneurysms: evaluation by MR angio- Radio/1986; 369(suppl): 56-58

graphy. AJNR 1990;11 :449-456 23. Lin W, Haacke EM, Smith AS, Clampitt ME. Gadolinium- 20. Huston J, Rufenacht DA, Ehman RL, Wiebers 00. Intracranial enhanced high-resolution MR angiography with adaptive ve aneurysms and malformations: comparison of time-of flight ssel tracking: preliminary results in the intracranial circu and phase-contrast MR angiography. Radiology 1991; 181 : lation. J Magn Reson Imaging 1992; 2: 277-284

721-730 24. Chung W, Listerud J, Atlas S. Contrast material-enhanced MR 21. Bradley WG, Schmidt PG. Effect of methemoglobin formation angiography for intracranial aneurysm with 3D time-of -flight

。n the MR appearance of subarachnoid hemorrhage. Radi- and 3D phase-contrast techniques. Radiology 1992; 185(p)

ology 1985; 156 : 99-1 03 121

22. Grossman RI, Kemp SS, Yu IC, et al. The importance of oxy- 25. Schmid UD, Steiger HJ, Huber P. Accuracy of high resolution genation in the appe?rance of acute subarachnoid hemo- computed tomography in direct diagnosis of cerebral aneur- rrhage on the high-fiel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cta ysms. Neuroradiology 1987; 29: 152-159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6; 35(3) : 285- 291

Comparison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nd CT Angiography in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Dae Young Yoon, M.D., Won Ho Jang, M.D., Ho Chul Kim, M.D., Jeong Geun Yi, M.D., Sang Hoon Bae, M.D., Kyu Ho Lee, M.D.2

, Hyung Chul Kim, M.D.3

1 Department of Radi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Department of Neurosurgery ,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Department of Neur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ve diagnostic capability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MRA) and CT angiography(CTA) in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Materials and Methods: MRA and CTA were performed in 14 intracranial aneurysms (Including four which were ruptured) confirmed in the 11 patients involved by conventional angiography(CA). The size(in largest di mension) of the aneurysms ranged between 3 mm and 20 mm and the mean was 10.5 mm. For MRA, the 3D TOF method, with magnetization transfer suppression, was used at 1.5T. For CTA, twenty seconds after beginning the i 미 ection of contrast media(1 00 mL with use of a power i 미 ector at the rate of 3 m L!sec), CT scanning(30- second exposure and 60-mm length) was performed with a table speed of 2 mm/sec and a section thickness of 2 mm. The resulting data were reformatted by MIP. MRA and CTA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detection of aneurysms and their neck, size, shape, direction, intensity and relationship to adjacent bony structures or vessels

Results: AII aneurysms were clearly visualized with CTA. In one case with a 3-mm aneurysm, however, this was not defined on MRA. Of the 13 aneurysms demonstrated by both MRA and CTA, eight were seen equally well with both modalities. CTA was considered to be superior to MRA in five cases, either because calcification in the aneurysm wall was seen only on CTA(n = 3) or because the relationship with adjacent bony structures were seen better with CTA(n = 2). With CTA, the intensities of the aneurysm were homogeneous in all cases;

with MRA, however, the intensities of three large aneurysms were different

Conclusion: MRA and CTA may be useful in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

CTA has specific advantages over MRA in the evaluation of large aneurysms, calcification of aneurysm wall and relationship with adjacent bony structu re

Index Words: Magnetic resonance(MR), vascular studies Aneurysm, cerebral

Cerebral blood vessels. CT Cerebral angiograph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Dae Young Yoon, M.D., Department of Radi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 445, Gil-dong, Kangdong-gu, Seoul134-701 Korea.

Tel. 82-2-224-2312 Fax.82-2-488-0114

291

(8)

가. 일 시 : 1996년 10월 17 일(목) - 19 일(토) 나.장 소 : 호텔롯데월드 3층크리스탈볼룸

(서울시 송파구 잠실 소재 옆

02-419-7000)

다.평 점 :10평점

라. 등 록 : 전 문 의 50,000원 년 회 비 30,000원 평 생 회 원 50,000원 전 공 의 20,000원

。|<=

시 : 1996년 10월 20일 소 . 인촌강당(고려대학교내) 제 . 복부 질환의 영상진단

^

-,

등 록 비 : 10,000원

시 간

09: 00-09: 40 09 : 40 -10 : 10 10 : 10 -10 : 40 10 : 40 - 11 : 00 11 : 00 - 11 : 30 11 : 30-12 : 00 12 : 00 -12 : 30 12 : 30 - 13 : 30 13: 30 -14: 00 14 : 00 -14 : 30 14: 30 -15: 00 15 : 00 -15 : 20 15 : 20 - 15 : 50 15: 50 -16: 20 16: 20 -16: 50

연 제 국소간질환의감별진단 폐쇄성 황달 환자의 영상진단 답낭질환의 영상진단 휴 식

훼장염의 영상진단 훼장암의 영상진단

기타훼장종양의 영상진단 점 섬

복막/후복막강 질환의 영상진단 부신질환의 영상진단

비장질환의 영상진단 휴 식

위장 질환의 영상진단 대장질환의 영상진단 단순복부 X 선진단

연 사 최병인 (서 울의 대) 이문규(울산의 대) 이동호(경 회 의 대)

변재영 (가톨릭의대) 강형근(전남의 대)

。1 원재 (삼성의료원)

박철민 (고려 의 대) 백승연 (이 화의 대) 조온구(한 양의 대)

조준식 (충남의 대) 김기황(연세의대) 한준구(서 울의 대)

4 m

수치

Fig.  1. Images 01  a  74-year-old  woman  with  a  small  aneurysm  01  the  left  internal  carotid  artery  not  seen  on  MR  angiogram  a
Fig.  2.  Images  01  a  56-year-old  man  with  a  vertebra l artery  aneurysm  with  calcilication
Fig.  3.  Images 01  a  71-year-old  man  with  a  partially thrombosed  aneurysm  01  the  left internal  carotid  artery
Fig.  4 .  Images  of  a  47-year-old  woman  with  a  large  fus iform  vertebral  artery   an-eurysm  better seen  on  CTA  than  MR A

참조

관련 문서

Cerebral Cerebral Cerebral angiography Cerebral angiography angiography angiography shows shows shows shows feeding feeding feeding artery feeding artery

In addition, Wallace and Froum 20) reported that the bone formation rate was superior in the cases using a barrier membrane in comparison with the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mpound exercise of spinning and Zumba for 8 weeks, the change in α-amyl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lt;.01), and

Consequently, Zr-Cu binary alloy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biomaterials with nullifying magnetic propertie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agnosis and

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될 경우, 위와 같은

Utility of T1-and T2-weighted high-resolution vessel wall imaging for the diagnosis and follow up of isolated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dissection with

The average position of the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the wall thickness of the lateral wall, and the average volume of the maxillary sinus will

At the end of the study, a reevaluation of each study case was performed with the same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there has been a meaningful result in th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