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round behaviour according to ground water locations due to tunnelling below shallow foundation by laboratory model tes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Ground behaviour according to ground water locations due to tunnelling below shallow foundation by laboratory model test"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PEN ACCES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20(3)575-592(2018)

https://doi.org/10.9711/KTAJ.2018.20.3.575

eISSN: 2287-4747 pISSN: 2233-8292

Received January 19, 2018 Revised March 19, 2018 Accepted April 2, 2018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

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 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opyright ⓒ2018,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터널굴착 시 지하수위 위치에 따른 지반거동

이현구

1

ㆍ공석민

2

ㆍ오동욱

3

ㆍ이용주

4*

1

비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석사

2

정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3

정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4

정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Ground behaviour according to ground water locations due to tunnelling below shallow foundation by laboratory model test

Hyun-Gu Lee

1

ㆍSuk-Min Kong

2

ㆍDong-Wook Oh

3

ㆍYong-Joo Lee

4*

1

Master Course,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

Doctor Course,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3

Doctor Course,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4

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Yong-Joo Lee, ucesyjl@seoultech.ac.kr

Abstract

Tunnelling is getting more important solutions for problems induced by the growth population in urban areas. Many studies on tunnelling below existing structure are carried out by many researchers. In general, however, ground water condition is ignored for most of researches using laboratory model test, so far. In case of ground behavior, error can occur if the result of effective stress related to hydraulic condition can’t be taken into considerations. In this study, therefore, laboratory model test and the close range photogrammetr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behaviour of ground and shallow foundation using newly device drainage system which is available to express the ground water condition. Also,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mpare to results from the laboratory model test, and was performed with two methods, one is plastic and the other one is fully coupled analysis. Results from those two methods were compared to that of the laboratory model test.

Keywords: Ground water, Tunnelling, Shallow foundation, Coupled analysis,

Laboratory model test

(2)

초 록

최근 도심지 지상 구조물의 포화와 함께 극심한 교통난에 대한 해결책으로 터널과 같은 지하공간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 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국내의 많은 지역에서 터널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터널 확충 정책이 건설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터널굴착에 의한 지반거동을 사전에 분석하는 것은 다양한 조건을 해석하고 고려해야 하므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기존의 구조물 하부 터널굴착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는 지하수위의 영향을 거의 고려하지 못하였다. 지하수위에 따라 발생되는 간극수압은 지반의 전단강도에 지대한 영향 을 미치므로, 지하수 고려 여부에 따라 지반의 거동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 하지 못한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나아가, 얕은 기초 아래 터널굴착 시 지하수위 위치가 지반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 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지하수위를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시험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실내모형시험과 함께 근 거리 사진계측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을 통해 소성해석과 연계해석을 수행하여 실내모형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두 가지의 수치해석 방법과 실내모형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실제 도심지 터널 굴착 모델에 적합한 모 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어: 지하수, 터널굴착, 얕은 기초, 연계 해석, 실내모형시험

1. 서 론

현재 우리나라는 국토의 발전과 지상공간의 포화로 인하여 터널과 같은 지하공간 개발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교통계획 수립과 더불어 지하공간을 이용한 신규 도로 및 철도 건설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터널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시공상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 고려하 여야 한다. 단순히 터널의 안정성만을 고려한 과거의 터널 공사와는 달리 최근 터널 공사는 터널의 안정성을 비롯 한 환경적 요인 또한 고려되고 있다. 실제로 도심지 개발로 인한 터널시공은 심도가 얕은 곳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위 저하와 같은 문제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Yoo, 2004). 실제 터널 시공의 경우, 지하수를 포 함한 지반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건조 상태인 지반에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극 히 드물다. 하지만, 기존 터널굴착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지하수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함으로써, 실제 지반조건과는 상이한 조건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를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위를 달리하여 터널굴착에 따른 지반거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및 저하를 모사하기 위한 모형토조를 제작하였으며, 간극수압계를 통해 간극수압의 변화를 계측하였다. 또한, 지표면에 설치한 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를 이용하여 지표 침하를 측정하였으며, 실내모형시험과 동시에 근거리 사진계측 및 이미지 프로세싱을 실시하여 지반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위 아래에 터널이 시공되는 경우, 터널굴착으로 인해 지하수위 지반의 응력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

한 응력변화의 발생 결과 간극수압이 변화하게 되어 유효응력장의 변화로 인한 하중지지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3)

이러한 경우, 유효응력에 의해 주변 지반의 거동이 지배되므로 단순한 기존의 전응력 해석이 아닌 응력과 간극수 압 모두가 고려된 연계해석을 실시하여야 현실적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성해석과 연계해석 해법을 적용한 유한요소법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실내모형시험의 결과와 비교 ․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심지 지하수위를 고려 한 터널굴착 시 지하수위의 위치가 터널굴착 및 지반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효과적인 해석방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위 아래에서 터널굴착으로 발생하는 지반 내 해석의 방식은 크게 두 가지 소성해석(plastic condition)과 연계해석(Fully Coupled Flow-Deformation Analysis, FCFDA)으로 나눌 수 있다. 소성해석의 경우 압밀을 고려 하지 않는 일반적 소성해석을 의미한다. 이러한 해석의 경우 대부분의 실제 지반공학적 해석에 적합하지만, 간극 수압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해석이기 때문에 실제 지반의 거동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지하수위 저하 효과 를 고려할 수가 없다.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연계해석이 필요하다. 연계해석은 수리적 경계조건에 대한 응력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수위 저하의 영향을 검토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포화된 지반에 서의 변형 및 간극압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은 지하수위를 고려한 해석의 경우, 불포화 지반에 대 한 역학적 해석을 위한 구성모델이 필요하다. 이 중 BBM (Barcelona Basic Model)은 대표적인 구성모델이다.

BBM 모델의 수식화는 순응력과 흡인력을 사용하며, 흡인력의 증가에 의한 선행압밀하중의 변화를 정의하기 위 해 LC (loading-collapse)를 Fig. 1에서 나타낸 항복면을 사용한다(Alonso et al., 1990). Fig. 1에서 p 는 흡인력

0

의 변화를 의미하며, LC는 파괴하중, SI는 흡인력의 증가를 의미한다. 여기서, 항복함수는 다음의 식과 같다.

2

( )

3 ( )( )

( 30 )

s c

F J g p p p p

g θ

⎛ ⎞

= ⎜ ⎝ − ° ⎟ ⎠ + − (1)

Fig. 1. Yield surface of Barcelona Basic Model (Alonso et al., 1990)

(4)

여기서, J는 편향응력텐서의 제곱근을 나타낸다. ( ) g θ 는 하중각을 나타내며,

g( ) sin '/ (θ = φ cpsφ+((sin sin ') /φ φ / 3)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p는 유효응력, p 는 점착력의 증가,

s

p 는 선행압밀하중을 의미한다. 이러한 항복함

c

수 를 토대로 한 BBM 모델을 이용하여 불포화 토양 모델 해석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굴착 효과를 모사하기 위해 체적손실율( V ) 개념을 적용하였다. 체적손실율(

L

V )이란, 터

L

널굴착 직후에서부터 라이닝이 시공되기까지 터널 단면 축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Fig. 2에서 알 수 있듯이, 단면 적 V로 굴착된 터널은 V 로 축소된다. 따라서 축소된 단면적은

t

V V − 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초기 굴착 단면적

t

( V)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면 ( V V V −

t

) /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체적손실률 V 로 정의할 수 있다. Atkinson

L

and Mair (1981) 에 따르면, 연약지반에서의 터널 굴착의 경우 1~2%로 감안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연구에서 는 지하수위가 고려된 Loose sand에서의 터널굴착에 따른 지반 및 얕은 기초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18%까지 고려하였다.

Fig. 2. Settlement profile due to tunneling in greenfield condition

2. 실내모형시험

2.1 실내모형시험

지하수위 위치 및 저하, 얕은 기초 아래 위치한 터널굴착에 따른 지반의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실제 모델의 1/100 축소된 scale effect를 적용하여 실내모형시험을 실시하였다. 토조는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Fig. 3(a) 와 같이 직사각형 모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규격은 1500 × 100 × 1000 mm이며, LVDT 장비는 지표면 중앙에 위치한 얕은 기초로부터 100 mm 간격으로 총 5개가 Fig. 3(b)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모형 터널은 Fig.

3(c) 와 같은 모형 터널 본체와 멤브레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멤브레인은 터널 본체 외부에 설치된다. 멤브레인

(5)

과 결합한 모형터널은 Fig. 3(c)와 같다. 수압 펌프를 통해 모형 터널의 Volume loss를 5%, 10%, 18%로 증가시키 며 연구를 수행하였다(Fig. 3(d)).

(a) Soil container (b) LVDT for ground settlement

(c) Model tunnel device (d) Hydraulic pump

Fig. 3. Model test equipments

또한 지하수위 강하를 모사하기 위해 급 ․ 배수 장치를 직접 고안하여 토조 하단에 설치하였다. Fig. 4(a)와 같은 다공판을 토조 하단에 설치하여 물의 급 ․ 배수 시 모래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물의 급 ․ 배수 시, Fig.

4(b) 와 같이 하단의 수도꼭지를 통해 모사된 지하수위가 배출되도록 설치하였다.

(a) Perforated sheet (b) Nozzle for water out

Fig. 4. Water drainage system

(6)

지표면에 위치하는 얕은 기초의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직사각형 기초로 구성하였으며, 규격은 200 × 100 × 20 mm 로 설계하였다. 기초의 규격의 경우, 구조물기초와 지반의 강성도비 K (relative stiffness)를 구하여 강성기초 의 거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기초의 형상대로 지반이 변형되고 침하는 균등하게 발생하는 강성기초를 모델로 실내 모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Table 1. Determination of stiffness in shallow foundation (Lee, 2008)

K Evaluation

K = 0 Ductile foundation and stiff foundation

K = ∞ Stiff foundation or soft foundation

0 < K < ∞ Normal elastic foundation

얕은 기초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의 크기는 LCM 방법(load control method)을 이용하여 Fig. 5과 같이 얕은 기 초에 작용하는 하중과 침하에 대한 Curve를 작성한 후 결정하였다(Kwon, 2011).

Vertical load (kN)

Fig. 5. P-S curve by LCM (load control method)

모래지반 조성의 경우에는 시험에 사용되는 사질토(주문진 표준사)의 상대밀도를 측정하였다. 모형시험 간 사 용되는 사질토의 상대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형토조 안에 200 mm 간격으로 4개의 함수비 캔을 설치하여, 식 (2) 에서의 건조단위중량( γ )를 측정하여 도출하였다 (Fig. 6).

d

max min

max min

100(%)

d d d

r

d d d

D γ γ γ

γ γ γ

= × − ×

− (2)

(7)

Depth (mm )

Fig. 6. Illustrated measurement of relative density

식 (2)에서 γ

dmax

와 γ

dmin

은 Kim et al. (2012)의 연구 결과를 이용하였다 (Table 2).

상대밀도 계산결과 모든 깊이에서 약 30%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Lambe and Whitman (1979) (Table 3)의 연 구결과에 따라 느슨한 사질토 지반으로 가정되었다.

Table 2. Various relative density (Kim et al., 2012)

Relative density (

) Max. 80% 70% 60% 50% 40% 30% Min.

Density (kN/m

3

) 16.16 15.48 15.17 14.87 14.58 14.30 14.03 13.28

Void ratio 0.608 0.677 0.712 0.747 0.782 0.816 0.851 0.955

Table 3. Density description

Relative density (%) Descriptive term

0 - 15 Very loose

15 - 35 Loose

35 - 65 Medium

65 - 85 Dense

85 - 100 Very dense

본 시험은 초기 지하수위 조건에 따라 총 세 가지 Case로 구분하였으며, 지하수위가 강하된 위치에 따라 Case

별 세부 조건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각 시험 조건에 따른 Case는 Fig. 7와 같다. Case의 B의 경우 지표까지 지하

수위가 위치해 있는 상태이며 250 mm, 400 mm, 550 mm로 각각 강하된 케이스로 분류하였다. Case C의 경우 지

표에서 150 mm 하부까지 지하수위가 위치해 있는 상태이며, 각각 100 mm, 250 mm, 400 mm 강하된 케이스로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Fig. 8과 같이 각 Case의 지하수위 저하 위치 예상 지점에 간극수압계를 설치하여

(8)

Contour 를 작성하여 지하수위 강하에 따른 간극수압을 분석하였으며, 지표면에 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를 설치하여 지표침하를 측정하였다.

(a) Case A

1500

850

Tunnel

Sand Shallow

Foundation

100 200

20 (Df = 10)

400

Unit: (mm)

1500

850

Tunnel

Sand Shallow

Foundation

100 200

20 (Df = 10)

550

Unit: (mm)

(b) Case B-1 (c) Case B-2 (d) Case B-3

1500

850

Tunnel

Sand Shallow

Foundation

100 200

20 (Df = 10)

100

150 Unit: (mm)

1500

850

Tunnel

Sand Shallow

Foundation

100 200

20 (Df = 10)

250

150 Unit: (mm)

1500

850

Tunnel

Sand Shallow

Foundation

100 200

20 (Df = 10)

400

150 Unit: (mm)

(e) Case C-1 (f) Case C-2 (g) Case C-3

Fig. 7. 3 Cases according to ground water locations

(a) Piezometer (b) Locations of piezometer

Fig. 8. Piezometer system

(9)

2.2 실내모형시험 결과 분석

Dry condition 조건의 Case A를 제외한 나머지 전 Case에서는 간극수압계를 이용하여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간극수압 칼리브레이션을 실시한 후, 얕은 기초 및 지표 침하를 측정하였다. 얕은 기초 및 지표침하의 계측값은 Volume loss 가 증가함에 따라 더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얕은 기초의 침하량이 지표침하에 비 해 크게 발생하는 것을 Fig. 9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Case B-1의 경우, Volume loss 5%, 10%, 18%일 때의 기초 침하는 각각 1.240 mm, 2.985 mm, 6.015 mm로 나타났다. Case B-2의 경우 또한 각각 2.337 mm, 4.401 mm, 6.843 mm 로 나타났으며, Case B-3은 3.505 mm, 6.534 mm, 11.108 mm로 나타났다. Case C 또한 지하수위가 강하하는 Case C-1, C-2, C-3으로 구분하여 측정을 하였다. Case C-1의 경우 Volume loss 5%일 때에는 기초침 하가 최대 1.113 mm 발생하였으며, 10%와 18%일 때에는 각각 2.284 mm, 4.104 mm로 나타났다. Case C-2의 경우 각각 2.103 mm, 4.004 mm, 6.104 mm로 나타났다. 또한, Case C-3의 경우 각각 3.322 mm, 5.814 mm, 8.901 mm 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ttlement (mm) Settlement (mm) Settlement (mm)

(a) Case B-1 (b) Case B-2 (c) Case B-3

Settlement (mm) Settlement (mm) Settlement (mm)

(d) Case C-1 (e) Case C-2 (f) Case C-3

Fig. 9. Ground surface settlements

(10)

3. 근거리 사진 계측 및 이미지프로세싱

근거리 사진계측과 이미지 프로세싱은 실내모형시험에서 촬영된 지반변형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디지털화하 여 지반의 변형을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계측을 통해 얻은 값들을 토대로 지반의 변위벡터를 분석할 수 있다.

모형토조 프레임에 Fig. 10(a)와 같은 reference point를 Fig. 10(b)와 같이 부착하였으며, 토조 내부 조성된 지반 사이 직경 5 mm의 알루미늄 봉을 삽입하여 흙입자로 가정하였다. 알루미늄 봉 전면에는 직경 3 mm의 target point 반사점이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되어 있는 reference point 기준으로 지반 거동과 동시에 움직이는 target point를 이미지로 얻는다. 각 Volume loss 5%의 4장의 사진(정면, 정면에서 90회전, 좌측, 우측)을 Fig. 11(a)와 같이 얻음 으로써 사진계측을 마무리한다. 근거리 사진계측으로 얻어진 데이터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측정된 각각의 이미지 파일들은 VMS Program (Fig. 11(b))을 이용하여 정면 Taret point는 좌표점을 부여받게 되며 EngVis Program을 통해 삼각망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삼각망 요소를 통해 epoch 0 (초기조건)과 epoch n ( 터널 Volume loss 증가로 인한 지반이 변형된 상태)의 차로 지반의 수직 및 수평 변형을 계산할 수 있다.

(a) Side (b) Front

Fig. 10. Aluminium rod used for target point

(a) Measurement of deformation (b) Mesh geometry by VMS program

Fig. 11. Image processing

(11)

근거리 사진계측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수평 및 수직 변위분포도와 변위벡터를 분석할 수 있었다. Fig. 12 는 지하수위 강하에 따른 근거리 사진계측과 이미지 프로세싱의 해석결과를 보여준다. 체적손실율 5%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터널 중심부로 벡터가 집중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Case B-1 (b) Case B-2 (c) Case B-3

(d) Case C-1 (e) Case C-2 (f) Case C-3

Fig. 12. Displacement vectors

4. 수치해석과 실내 모형 시험 비교

정확한 수치해석을 위해 실내 모형 시험과 동일한 크기 및 조건으로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모델의 규격은 1500 ×

1000 mm 로 하였으며, 얕은 기초는 200 × 20 mm로 설계하였다. 각 case는 건조한 상태, 지하수위가 지표면에 위

(12)

치한 경우, 지표면으로부터 150 mm 아래 위치한 경우로 크게 3가지 case로 나누어지며, 건조한 상태를 제외한 지 하수위를 고려한 두 case는 지하수위가 지표면으로부터 250 mm, 400 mm, 550 mm 하강한 경우를 고려하여 총 7 가지 case를 가지고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일반 소성 해석 모델(Plasitc analysis model)과 응력-간극수압 연계해석(Coupled analysis model)을 각각 해석하여 차이점을 비교하였다(PLAXIS, 2016). 수치해석의 경우, 지 반조건과 기초에 대한 모델링이 완료된 후에 지하수위 조건을 초기조건으로 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 후, 각 case 에 따른 지하수위가 저하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표 침하와 간극수압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지반의 거동을 분석하여 아래에 결과로 나타내었다.

지하수위 아래에서 터널굴착으로 발생하는 지반 내 응력변화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응력-간극수압 연계해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계해석은 부정류 해석(transient analysis)을 필요로 한다. PLAXIS 2D의 Fully Coupled Flow-Deformation Analysis (FCFDA) 의 경우 수리적 경계 조건에 대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포화된 지반에서의 변형 및 간극수압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수치해석은 실내모형시험 과정과 동 일하게 ①지반형성→②기초설치→③하중재하→④터널 굴착 및 지하수위 강하순으로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 사용된 물성치를 Table 4에 정리하였으며, 강성계수 및 강도정수는 Das (2009)가 제안한 loose sand의 값을 적용 하였으며, 상대밀도를 표현하기 위해 초기간극비(void ratio, e )를 Table 2에서 상대밀도(

init

D ) 30%일 때의 값

r

을 적용하였다. 투수계수는 일반적인 사질토의 투수계수를 사용하였다.

Table 4. Material properties

Soil Symbol Unit Value

Unit weight (unsaturated soil) 



kN/m

3

16

Unit weight (saturated soil) 



kN/m

3

19.30

Void ratio 



- 0.851

Young’s modulus E kN/m

2

10,000

Poisson ratio  - 0.3

Cohesion kN/m

2

0.1

Shear resistance angle deg 27

Interface 



- 0.7

Coefficient of permeability 

m/s 0.0002

Foundation

Unit weight kN/m

3

27

Young’s modulus E kN/m

2

70E6

Poisson ration - 0.3

(13)

4.1 수치해석 결과분석 및 비교

Fig. 13 은 수치해석 결과 중 변위 벡터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인 벡터는 터널 천단부로 집중되며, Case B의 경우 Case B-3이 다른 Case에 비해 벡터의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준다. Case C의 경우 또한 Case B 와 같은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a) Case B-1 (b) Case B-2 (c) Case B-3

(d) Case C-1 (e) Case C-2 (f) Case C-3

Fig. 13. Total displacement vectors (volume loss of 5%)

전단변형률의 경우 Fig. 14와 같이 지하수위가 저하됨에 따라 터널 천단부와 측벽부에서 크게 발생하며, 지표 면까지 전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a) Case B-1 (b) Case B-2 (c) Case B-3

(d) Case C-1 (e) Case C-2 (f) Case C-3

Fig. 14. Contour of shear strain ( V =

L

5% )

(14)

간극수압의 경우, Dry condition인 Case A를 제외한, Case B와 Case C에서 지하수위 강하에 따른 수압 분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실내 모형 시험에서 지하수위 강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간극수압계를 설치 하여 측정된 간극수압의 변화를 Sufer (Golden software, ver. 9)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지하수위를 저하시켜 목표 지점의 간극수압이 0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내 모형 시험과 수치해석에서 측정된 간극수압의 변화양상은 Fig. 15, 16에 나타냈으며, 지하수위가 저하함에 따라 간극수압도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간극수압의 경우 시험에서 확인된 간극수압과, 수치해석에서의 간극수압의 경향이 다소 차이가 발생하 였는데, 이는 수치해석에서는 터널굴착면에서 배수를 모사하였지만, 실내모형시험에서는 모형터널장치의 한계 로 인해 토조 바닥면에서 배수를 수행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easured by piezometer 2D FEA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300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300

(a) Case B-1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300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300

(b) Case B-2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300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300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c) Case B-3

Fig. 15. Comparison of pore water pressure contours (Case B, V =

L

5% )

(15)

Measured by piezometer 2D FEA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300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600 550 500 450 400 35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300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a) Case C-1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350

300 400 450 500 550

600 kN/m2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350 300 400 450 500 550

600 kN/m2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b) Case C-2

kN/m2 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350 300 400 450 500 550

600 kN/m20.00

-0.40 -0.80 -1.20 -1.60 -2.00 -2.40 -2.80 -3.20 -3.60 -4.00 -4.40 -4.80 -5.20 -5.60 -6.00 -6.40 -6.80 -7.20 -7.60 -8.00

(c) Case C-3

Fig. 16. Comparison of pore water pressure contours (Case C, V =

L

5% )

Fig. 17 에서는 실내 모형 시험의 결과와 연계해석을 이용한 수치해석의 침하량 결과를 비교하였다. Case B의

결과는 Fig. 17(a)와 같다. Volume loss 5%일 때의 얕은 기초 침하는 실내 모형 시험과 연계해석의 비교 결과,

Case B-1 에서는 97.9%, Case B-2에서는 95.0%, Case B-3에서는 94.4%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Fig. 17(b) 는 Case C의 비교 결과를 보여준다. Case C-1에서는 98.8%, Case C-2에서는 95.3%, Case C-3에서는

97.0% 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6)

Se ttle m ent ( m m ) Se ttle m ent ( m m )

(a) Comparison between Case A and B (b) Comparison between Case B and C Fig. 17. Comparison ground settlement between model test and FCFDA ( V =

L

5% )

Fig. 18 은 Fig. 14의 실내 모형 시험의 침하량과 연계해석의 침하량 비교를 소성해석과 함께 비교 및 분석하였 다. 이 경우, 연계해석의 결과값이 소성해석의 결과값보다 실내 모형 시험에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18(a) 는 Case B의 결과값 비교를 보여준다. Case B-1의 경우, 실내 모형 시험의 기초 침하량이 1.240 mm 발생하였는 데, 소성해석에서는 1.07 mm, 연계해석에서는 1.214 mm가 발생하였다. Case B-2에서는 실내 모형 시험의 기초 침하량은 2.337 mm가 발생하였으며, 소성해석의 경우 1.945 mm, 연계해석의 경우 2.220 mm가 발생하였다.

Case B-3 에서는 실내 모형 시험의 경우 3.505 mm가 침하하였는데, 소성해석과 연계해석에서는 각각 3.078 mm, 3.309 mm 가 침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Case B의 경우 모든 Case에서 실내 모형 시험의 결과는 연계 해석의 결과 와 더 가까운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계해석의 경우 침하량은 각각 124%, 227%, 338% 증가하였다.

Fig. 18(b) 는 Case C의 결과값 비교를 보여준다. Case C-1의 경우, 실내 모형 시험의 기초 침하량이 1.113 mm 발생하였는데, 소성해석에서는 0.894 mm, 연계해석에서는 1.126 mm가 발생하였다. Case C-2에서는 실내 모형 시험의 기초 침하량은 2.103 mm가 발생하였으며, 소성해석의 경우 1.907 mm, 연계해석의 경우 2.206 mm 발생 하였다. Case C-3에서는 실내 모형 시험의 경우 3.322 mm가 침하하였는데, 소성해석과 연계해석에서는 각각 3.073 mm, 3.422 mm 가 침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Case C의 경우 모든 Case에서 실내 모형 시험의 결과는 연계 해석의 결과와 더 가까운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계해석의 경우 침하량은 각각 115%, 227%, 352% 증가하였다.

즉, 지하수위 저하를 고려한 연계해석이 일반적인 소성해석에 비해 실내모형시험에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하수의 유입이 이와 같은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지하수의 유입으로 인해 지반의 유효응력이 감소하여 전단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터널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소성해석과 연계해석의 경우 차

이는 지하수위가 저하된 부분에서 소성해석의 경우 dry condition으로 고려를 하지만 연계해석에서는 불포화지

반으로 고려되는 것이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17)

Se ttle m ent ( m m ) Se ttle m ent ( m m )

(a) Case B (b) Case C

Fig. 18. Comparison ground settlement between FCFDA, plastic analysis and model test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과 실내모형시험의 경우, 경향의 유사성에 비하여 정량적인 값은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실내모형시험에서 실제 형성된 지반의 투수계수, 불포화특성 등의 차이로 판단되며, 추후 형성 된 지반의 투수시험, SWCC곡선 정의 등을 통해 보다 정확한 실내모형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5. 요약 및 결론

1. 실내 모형 시험 결과, 지하수위가 저하할수록 기초 및 지표침하 발생이 증가하였다. 일반적인 사질토 지반에 서의 터널굴착으로 인한 최대 체적 손실인 Volume loss 5%에서 Case B의 경우 Case B-1과의 얕은 기초 침하 량과의 비교 결과 Case B-2는 188.5%가 증가한 2.337 mm가 발생하였으며, Case B-3은 282.6%가 증가한 3.505 mm 가 발생하였다. Case C의 경우 Case C-1과의 얕은 기초 침하량과의 비교 결과 Case C-2는 188.9%

가 증가한 2.103 mm가 발생하였으며, Case C-3은 298.5%가 증가한 3.322 mm가 발생하였다.

2. 연계해석과 소성해석에서의 침하량을 실내 모형 시험의 침하량과 비교한 결과, Case B는 연계해석과 각각 97.6%, 95.0%, 94.4% 의 유사한 결과값을 보였으며 소성해석과는 각각 86.4%, 83.2%, 87.8% 유사한 결과값 을 보였다. Case C는 연계해석과 각각 98.8%, 95.3%, 97.0% 유사한 결과값을 보였지만 소성해석과는 각각 80.0%, 90.7%, 92.5% 의 유사성을 보였다. Case C 또한 연계해석과 각각 98.8%, 95.3%, 97.0% 유사한 결과 값을 보였지만 소성해석과는 각각 80.0%, 90.7%, 92.5%의 유사성을 보였다.

3.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위를 고려한 경우 기존의 소성해석보다 연계해석을 이용한 수치해석이 더 적합한 해

석 방법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지하수를 고려한 지반거동의 해석에서는 연계해석을 사용하는 것이 지반

과 터널의 안정성 분석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18)

4. 추후 기초폭에 따른 지반거동 분석 및 지하수위 저하 속도가 기초 및 지표 침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NRF-2016R1A2B4013220)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 립니다.

References

1. Alonso, E.E., Gens, A., Josa, A. (1990), “A constitutive model for partially saturated soils”, Geotechnique, Vol. 40, No. 3, pp. 405-430.

2. Atkinson, J.H., Mair, R. J. (1981), “Soil mechanics aspects of soft ground tunneling”, Ground Engineering, July, Vol. 14, No. 5, pp. 20-26.

3. Das, B.M. (2009),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7th edition)”, Cengage learning, Boston, pp. 43.

4. Kim, S.M. (2011), “Hydraulic and hydrological study on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during tunnel construction”,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3, No. 2, pp.

97-114.

5. Kim, Y.S., Ko, H.W., Kim, J.H., Lee, J.G. (2012),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Joomunjin Standard sand using cyclic triaxial tes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8, No. 12, pp.

53-64.

6. Kwon, H. J. (2014), “Foundation engineering”, Goomibook, Seoul, pp. 69-74.

7. Lambe, T.W., Whitman, R.V. (1979), “Soil mechanics”, John Willey & Sons, Hoboken, pp. 29-39.

8. Lee, S. D. (2011), “Foundation engineering”, Saeron Books, Seoul, pp. 65-67.

9. PLAXIS (2016), “2D reference manual”, PLAXIS, pp. 195-198.

10. Yoo, C. (2004), “Investigation on tunnelling and groundwater interaction using a 3D stress-pore pressure

coupled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0, No. 3, pp. 33-46.

수치

Fig. 1. Yield surface of Barcelona Basic Model (Alonso et al., 1990)
Fig. 2. Settlement profile due to tunneling in greenfield condition
Fig. 4. Water drainage system
Table 1. Determination of stiffness in shallow foundation (Lee, 2008)
+7

참조

관련 문서

But, in this case, it cause damage the near by houses, factories, railroads due to the soil disturbance due to soft ground improvement and also cause

By analyzing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formula according to the simulation of the LOADEST model, the trends according to flow rate, season, and time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Near Nong Khai, on a terrace of the Mae Nam Khong, adequate water from shallow dug wells, 30 to 50 feet deep in alluvial sand and gravel, supply municipal

¡ 실제 금융시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Geometric Brownian Motion을 이용하여 파생상품 가격을 미분방정식 형태로 표현하고 실제 파생 상품 가격 Pricing을 위해 Excel

(1) Differences: Ground/ Height/ Elevation/ Terrain (p.7, Li et al, 2005) - Ground: the solid surface of the earth, a solid base or foundation, a.. surface of the earth, bottom

¾ Q s and r are used to “steal” some base current away from Q 1 when the output is accidentally shorted to ground, preventing when the output is accidentally sh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