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ulmonary cement embolism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Pulmonary cement embolism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81

S-275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한 기저하벽부 심실중격파열 및 다발성 좌심실류를 수술적 치료 후 재발한 환자 1예

1아주대학교 내과학교실, 2아주대학교 순환기내과학교실, 3아주대학교 흉부외과학교실

*이상석1, 최소연2, 홍유선3, 신준한2

배경: 심실중격파열은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하는 합병증 중 하나로 혈전용해제를 사용하기 전 1~2%에서 혈전용해제 및 일차적 관상동맥중재술시행 이후 0.17~0.31%로 빈도가 감소되었다. 하지만 사망률은 내과적 치료의 경우 95%, 수술적 치료는 50%정도로 20여년간 현저한 개선은 없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특히 후벽심근경색에 의한 심실중격파열은 더 열등한 예후를 보이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후벽심근경색후 심실중격파열 및 다발성 좌심실류에 의한 급성심부 전으로 수술적 치료를 하였음에도 재발되어 내과적치료 중인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병력 없던 56세 남성이 내원 일주일 전 흉통있 었으나 호전되고, 내원 30분전 재발한 흉통으로 응급실 내원하였다. 급성병색소견 보였으나 최초 활력징후는 안정적이였고 청진상 특이소견은 없었다. 심전도 결과 II, III, aVF lead ST분절 상승보여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우관상동맥 완전폐색 보여 일차적 경피적관상동맥재관류술을 시행하였다. 경과:일차적 경피적관상동맥재관류술 2일후 혈압감소, 호흡곤란보여 시행한 경흉부심초음파 결과 좌심실구축률 55%, 기저하벽에 파열을 동반한 다발성좌심실류가 발견 되어 익일 심실중격 첩포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장소견에서 심실중격박리진행 및 삼첨판륜 전엽 유두근까지 경색발생이 보였다. 수술 3일째 시행한 경흉 부심초음파에서는 첩포봉합술 부위 잔류단락 없었으나 수술 21째 경흉부심초음파에서는 좌심실첨부와 첩포의 열개로 인한 좌우단락류 관찰되었다. 하지만 호흡곤란 등 심부전 증상 없었으며 수술 4주 후 혈역학적 안정상태에서 퇴원하여 외래 통해 경과관찰 중에 있다. 고찰: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한 심실중격파열 은 빈도가 감소하였지만 사망률이 높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조기진단과 재관류 등의 내과적치료 및 조기수술적 교정이 예후에 중요하겠다.

S-276

Pulmonary cement embolism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이화의대 목동병원 1내과학교실, 2흉부외과학교실, 3영상의학교실

*김주희1, 이정은1, 박준범1, 송하응1, 김관창2, 김유경3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s a widely used procedure fo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Pulmonary cement embolism has been reported as a com- plication of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its incidence estimates vary from 2% upto 26%. Here we report a case of pulmonary cement embolism fol- lowing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 55-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chest pain on inspiration one week ago. She underwent percutaneous vertebroplasty due to compression fracture of the lumbar spine 3 weeks ago. At admission, her blood pressure was 68/42 mmHg, and heart rate was 98/min per minute. No history of underlying disease was reported. Chest x-ray revealed multiple linear high-attenuation foreign bodies in bilateral pul- monary arteries and right atrium. Transthoracic Doppler echocardiography showed normal right ventricular function and normal pulmonary arterial sys- tolic pressure, but a linear foreign body in right atrium with small amount of pericardial effusion was found. Chest computed tomography confirmed multiple linear radiopaque lesions in main pulmonary arteries and the right atrium perforated by another linear radiopaque lesion, suggesting cement pulmonary embolism after vertebroplasty (Fig. 1). Surgical foreign body removal was done and she was discharged 12 days later. Clinical physicians should be aware of possibility of cement pulmonary embolism in patients presenting with chest pain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참조

관련 문서

결핵균에 감염된 사람의 일부에서만 결핵이 발병하는데 어떤 사람에서 결핵이 발병하는지 그 자세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결핵균의 독성(virulence)이 강하거나 결핵균에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of the abdomen demonstrated multiple round nodular lesions in small bowels seems to be drug.. There are large amount

Miscellaneous indirect complications of the underlying infection include drug fever, intravenous site infection, deep venous thrombosis, pulmonary embolism, urinary

We have experienced catecholamine-induced cardiovascular crisis, with severe hypertension, tachycardia, and acute pulmonary edema, after subcutaneous infiltration

On work-up of urinary tract infection, abdomen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large mass on the upper portion of right kidney and PET/CT

Correlations between the thickness of epicardial adipose tissue (EAT) and various parameters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Injuries that could be identi fied on chest CT scan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pulmonary and tracheobronchial injury (lung contusion, pneumatocele, pneumothorax, hemo-

Another CAF arising from the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RCA) with distal aneurysmal dilatation draining into the main pulmonary artery (MPA) trunk was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