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Miicchhaaeell LLiinnddeellll - interview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MMiicchhaaeell LLiinnddeellll - interview"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M

M ii cc hh aa ee ll LL ii nn dd ee ll ll

대담 | 황성남

Texas A&M 대학 도시계획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 취득. 전공은 환경재해 계획, 주택정책 그리고 지리정보 시스템이다.

1998년부터 도시계획학과 내에 있는 재난연구센터(Hazard Reduction & Recovery Center)에서 연구조교로 일하면서 미국립과학재

단과 텍사스 주정부 등을 위한 각종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알래스카 주정부의 주 비상통신계획서를 작성하였으며, 재난과 관련 된 병참계획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기획하였다. 최근의 연구는 지리정보 시스템(GIS)을 사용하여 허리케인과 홍수 위험지 역인 텍사스 해안지역의 위험인구 및 시설물 등을 지도화하였으며, 허리케인 발생시 예상되는 주민 대피와 교통량을 결정하고, 허 리케인으로 인한 인구 및 재산상의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GIS를 사용하여 의사결정모델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 다. 주요 논문으로는 Analysis of state emergency management agencies’ hazard analysis information on the Internet(2001), Local

government agencies’ use of hazard analysis information(2002) 등이 있다.

마이클 린델 박사는 현재 Texas A&M 대학 도시계획학과 교수이며, 또한 도시계획과 내에 소재한 재난연구센터(Hazard Reduction &

Recovery Center)의 소장이다. 그의 관심분야는 환경재해 계획으로서, 세부 관심분야는 재난대처, 재해예방 그리고 재난복구다. 그는 이 분야 에서 27년의 연구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립과학연구재단, 연방 재난관리국 그리고 워싱턴, 텍사스, 미시간 및 알래스카 등의 주정부와 민간 기관들을 대신하여 자연재해와 인공재해에 관련된 수백 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해왔다. 그는 최근 텍사스 주정부를 대신하여 허리케인과 홍수 위 험지역인 텍사스 해안지역을 지리정보 시스템(GIS)을 사용하여 지도화하였으며, 현재 진행중인 연구는 미국립과학재단을 대신하여 허리케인 발생시 주민 대피와 관련된 교통량을 결정하고, 인구 및 재산상의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GIS 등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모델을 만드는 프로 젝트다. 한편 그는 현재까지 60개에 달하는 논문을 각종 유명저널에 실었으며, 10권이 넘는 책을 집필하였다.

- interview

Michael

Lindell

(2)

황성남(이하‘황’ ):많은 재해관련 연구자들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자연재 해로 인한 인명 손실은 감소하여 왔는데, 이는 예측과 경보 그리고 위험지역에 서의 대피 등과 관련된 시스템 개선으로 인한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재난 으로 인한) 만성적인 엄청난 재산 손실은 감소하기보다는 오히려 증가하여 왔 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200억 달러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지진이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미연방 재난관 리국은 960만의 미국 가계와 3,900억 달러에 달하는 재산이 현재 연간 1%의 홍수발생 가능성을 가진 위험지역에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미연방 재난 관리국에 따르면 대서양과 멕시코만 해안선을 따라 약 3조 달러의 기반시설물 이 홍수나 허리케인으로 인한 지반침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도 최근 수십 년 동안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이 증가했습니다. 한국은 거의 매 년 태풍과 홍수를 겪고 있는데 많은 사상자와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낳고 있습 니다. 더욱이 이것은 세계적인 추세로 보입니다. 무엇이 이러한 현상을 초래했 다고 생각하십니까?

▶▶

마이클 린델(이하‘린델’ ):미국에서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손실의 증가는 주로 세 가지 원인에 의한 것입니다. 첫째, 인구의 증가로서 이는 자연재해에 더 많은 사람들이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둘째, 자연재해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지역 - 즉 범람원 지역이나, 산사태와 산불 등에 노출되는 산악지역 그리고 연안지역(대서양과 멕시코만 해안지역은 허리케인에 취약하며, 태평 양 연안은 지진에 취약한 지역임) - 으로 인구가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셋째,

Michael Lindell:

Emergency Management of the United States

마이클 린델:

미국의 재해예방과 재난복구

정리리||황황성성남남((도도시시계계획획학학 박박사사))

Seong-Nam Hwang(‘Hwang’): Many hazard-related researchers showed that the

loss of life from natural disasters has been falling in the United States due to improved systems for forecasting, warning, and evacuation in hazard-prone areas. However, both catastrophic and chronic property losses have been rising than falling. A recent research claims that a $20-billion earthquake, for instance, is likely to happen in California.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estimates that 9.6 million U. S. households and property valued at $390 billion are currently at risk from a 1% annual chance of flooding. The FEMA also says that along the Atlantic and Gulf coasts, about $3 trillion in infrastructure is vulnerable to erosion resulting from floods and hurricanes. As far as my country, Korea is concerned, the nation has also had dramatic increase in losses resulting from natural disasters for recent decades. The nation goes through typhoons and floods almost every year, winding up with many deaths and enormous economic losses. Furthermore, this case seems to be a worldwide trend. Here is my question, Dr. Lindell. What do you think has mainly contributed to this phenomenon?

▶▶Michael Lindell(‘Lindell’): In the United States, the increased economic losses

due to natural hazards have been attributed to three major factors. Firs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population resulting in more people exposed to natural hazards. Second,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living in more hazard-prone areas such as flood plains, mountains (exposure to landslides and wildfires), and coasts

황성남 Michael Lindell

(3)

Michael Lindell:

Emergency Management of the United States

Seong-Nam Hwang(‘Hwang’): Many hazard-related researchers showed that the

loss of life from natural disasters has been falling in the United States due to improved systems for forecasting, warning, and evacuation in hazard-prone areas. However, both catastrophic and chronic property losses have been rising than falling. A recent research claims that a $20-billion earthquake, for instance, is likely to happen in California.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estimates that 9.6 million U. S. households and property valued at $390 billion are currently at risk from a 1% annual chance of flooding. The FEMA also says that along the Atlantic and Gulf coasts, about $3 trillion in infrastructure is vulnerable to erosion resulting from floods and hurricanes. As far as my country, Korea is concerned, the nation has also had dramatic increase in losses resulting from natural disasters for recent decades. The nation goes through typhoons and floods almost every year, winding up with many deaths and enormous economic losses. Furthermore, this case seems to be a worldwide trend. Here is my question, Dr. Lindell. What do you think has mainly contributed to this phenomenon?

▶▶Michael Lindell(‘Lindell’): In the United States, the increased economic losses

due to natural hazards have been attributed to three major factors. Firs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population resulting in more people exposed to natural hazards. Second,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living in more hazard-prone areas such as flood plains, mountains (exposure to landslides and wildfires), and coasts

Michael Lindell

(4)

이러한 위험지역으로 이동한 사람들은 미국 전체의 부(

)에서 커다란 몫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입니 다. 미국에서 자연재해로 인한 연간 사망자수는 감소해 왔는데, 이러한 추세는 뒤바뀔 가능성이 있습 니다. 특히, 연안지역에서의 인구밀도 증가는 허리케인 발생시 대피하는 사람들이 사용하게 될 고속도 로의 수용 한계를 점진적으로 초과하고 있습니다.

황:미국의 재난관리 시스템은 계속적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즉, 최근 수십 년 동안 지방, 주, 연방 정부에서 구축한 네 가지 단계(재난준비, 재난대처, 재난복구, 그리고 재난예방)의 재난관리 시스템이 한결 나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재난관리 시스템의 가장 효과적인 부분과 취약한 부분을 간략 하게 설명해 주십시오.

▶▶린델:미국의 재난관리 중 가장 잘 되어 있는 부분이 바로 재난준비와 대응에 있다는 것에 대해선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재난관리 계획서와 절차서, 재난관리 요원, 그리고 재난교육의 질 이 과거 20년간 상당히 개선되었는데, 이는 바로 Three Mile Island(역자 주: 펜실베이니아, 헤리스버 그 근처에 있는 작은 섬)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인도의 Bhopal에 있는 한 유독성 화학물질공장 의 누출사고에서 연유한 것입니다. 재해복구는 매우 미진한 분야입니다. 그 이유는 재해복구 계획의 경우 재난 서비스와 토지이용 계획에 있어서 유관기관 사이의 협조를 필요로 하는데, 평상시 기관들은 서로 연락을 거의 취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재해예방 또한 취약한 분야입니다. 재해예방 활동은 종종 사람들이 환경위험을 등한시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토지이용 관행을 제한하거나 건축기준을 강 화하여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황:지금부터는 재난관리 시스템의 현재 상태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우선, 재난 준비 단계에 관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재난준비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난대처를 위한 관리 시 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행해지는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도시들의 재난준비 는 상당히 개선되었습니다. 이를테면, 대부분의 지방정부들은 종합 재난관리계획, 재난관리센터, 잘 갖추어진 경보 및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그리고 잘 교육받은 직원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들 중에서 재 난계획서는 도시의 재난준비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로서 재난이 발생할 때 사용되어야 합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어떤 정부도 종합 재난계획서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한국의 중앙정부가 금년 말까지 미 국의 재난관리국과 같은 재난관리국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데, 재난관리국이 들어선 직후에는 대부분 의 시/군/도 정부에서 재난계획서를 만들려고 할 것입니다. 그 계획서들이 반드시 갖춰야만 하는 중요 사항에 대해 생각나는 점을 말씀해 주십시오.

▶▶린델:연방정부 기관, 즉 연방 재난관리국, 원자력규제위원회, 그리고 환경보호청에 의해 제공되

(5)

(the Atlantic and Gulf coasts are exposed to hurricanes, whereas the Pacific coast is exposed to earthquakes). Third, those who move to these areas have an increasing share of the country’s wealth. In the United States, the annual death toll from natural disasters has been decreasing, but this trend is likely to reverse-especially for hurricanes-as increases in coastal population density increasingly exceed the capacity of highways to evacuate households fleeing hurricanes.

Hwang: The status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has continually been developed.

Namely, it is said that governments at the local, state, federal level have gotten better at the four phases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emergency preparedness,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and hazard mitigation) in recent decades. Would you briefly explain the most and least effective parts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your nation?

▶▶Lindell: I don’t think there is any doubt that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is the strongest part of the

American system of emergency management. The quality of emergency operations plans, procedures, staffing, and training has improved substantially over the past 20 years due to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t Three Mile Island, and the toxic chemical plant accident in Bhopal, India. Disaster recovery is much weaker because disaster recovery planning requires cooperation among agencies, such as emergency services and land use planning, that have little or no contact between disasters. Hazard mitigation is weak because it requires making difficult choices about restricting land use practices or increasing building construction standards (and, thus, housing costs) at times when few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 risks.

Hwang: Now I would like you to explain the current status of each phase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more detail. First I want to start with a question regarding the phase of emergency preparedness. Emergency preparedness can be defined as actions directed toward developing operational system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disaster response. In general, local emergency preparedness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dramatically improved.

For example,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their own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plan, emergency operation center, well-equipped warn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well-trained emergency staff.

Among these things, written emergency plans are an essential component to community emergency preparedness and should be used when disasters happen. Currently, no governments in Korea have had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plan. As Korean central government plans to establish an agency to deal with emergency management just like the FEMA by the end of this year, it is expected that most governments at all levels will start

(6)

는 계획지침서는 수십 개의 계획기준과 수백 개의 계획요소들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난계획 서의 필수적 요소는 훈련 받은 재난대처 요원들이 다섯 가지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장비, 시설, 그리고 물자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 다섯 가지 기능은 재난평가, 지역보호, 재산보 호, 인구보호, 그리고 사고관리를 말합니다. 첫째, 재난평가는 재난 관리자들 스스로 환경을 평가하고, 지역 주민들이 현재 상황과 미래의 개발을 예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도록 하는 데 그 의의가 있습니 다. 둘째, 지역을 재해에서 보호하기 위해선 가능한 한 그 지역이 가지고 있는 환경 위험요소에 개입해 야 하는데, 예를 들면 손상된 연료 탱크로부터 화학물질의 누출을 차단하는 것과 강을 따라 설치된 제 방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셋째, 환경재해로부터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선 개별적인 구조물들 에 끼치는 재해의 영향력을 줄이거나 방지해야 하는 것입니다. 모래주머니를 주택 주위에 쌓는 것과 같은 신속한 홍수방재 행위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넷째, 재해에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활동들이 있는데, 즉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 사람들을 주택 안 또는 밖으로 대피시키는 활동과, 재 해발생 후의 인명구조와 의료행위를 제공하는 활동들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사고관리는 여러 가지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활동들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활동의 예를 들자면 재난관리기관 을 활성화시키고, 재난기관 내의 여러 팀들 사이의 내부 협조, 그리고 대중에게 재난관리 정보를 제공 하는 것들을 말합니다.

황:재난대처는 재난발생으로부터 상황이 안정되는 시기까지 재난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 시되는 활동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한 지역(또는 도시)이 성공적으로 재난을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요소를 말씀해 주십시오.

▶▶린델:효과적인 재난대처는 재난발생 전의 계획과 재난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의 임기응변에 달려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재난 기간동안 임기응변에 능한 사람들은 재난발생 전에 가장 효과적으로 훈련 된 자들입니다. 적절한 훈련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미리 수립된) 계획과 절차를 실수 없이 수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수한 재해교육은 사람들에게 사전에 마련된 계획과 절차를 벗어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일반적 원칙들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황:재난복구는 재난발생 후 재난지역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실시되는 모든 활동들을 포 함합니다. 즉, 재난복구는 재건, 파괴물의 청소, 임시 주택공급, 재난융자 및 무상증여와 같은 활동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난할수록 자신의 집을 재건축하거나 새로운 집을 찾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말합니다. 주택복구와 관련된 정부의 융자와 기타 사항에 대해 말씀해 주십 시오.

(7)

developing their disaster management plans right after the new agency comes in. What do you think are critical components that disaster plans must possess?

▶▶Lindell: The planning guidance provided by federal agencies such as the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an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lists dozens of planning standards and hundreds of planning elements, but the essential requirement of an emergency operations plan is provide the equipment, facilities, and materials that trained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need to perform five critical functions. These are emergency assessment, community protection, property protection, population protection, and incident management. Emergency assessment requires emergency managers to monitor the environment and the community population to ensure that they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anticipate future developments. Community protection aims to interven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ource of the hazard by, for example, terminating chemical releases from damaged tanks or increasing the height of levees along rivers.

Property protection is directed toward reducing or avoiding impacts on individual structures. Expedient floodproofing, such as sandbagging around homes, is a good example here. Population protection comprises activities to remove people from danger by sheltering them in place, evacuating them before an incident occurs, or rescuing them and providing medical treatment after disaster impact. Finally, incident management consists of the activities needed to ensure that the other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is includes activating the emergency organization, maintaining internal coordination among its teams,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public.

Hwang: Disaster response is related to activities conducted to reduce disaster impacts during an emergency

period from the occurrence of the event until the stabilization of the situation. What do you think are sever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community response to disasters?

▶▶Lindell: An effective emergency response depends upon planning before an incident occurs and improvisation

during the incident. As it turns out, those who are best at improvising during an emergency are those who trained most effectively for it before it occurred. Adequate training teaches people how to follow the plan and procedures without error. Superior training teaches people general principles that they can use to adapt to situations that are not covered in predetermined plans and procedures.

Hwang: Disaster recovery includes all activities that are conducted to restore a disaster community to its original condition after disaster. Namely, this phase of activities involves reconstruction, debris clearance, temporary housing supply, providing disaster loans and grants. Apparently one major component of community is

(8)

▶▶린델:(재해를 입은) 한 지역이 일상적인 사회적/경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되돌려 놓 기 위해서, 정부는 재해복구와 관련된 난제들을 예측할 수 있어야만 하며,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절차들을 개발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정부는 재해 전 복구계획서를 수립할 필요가 있는데, 이 계 획서는 어느 지역에 임시 주택이 설치되어야 하고, 누가 재정원조를 받아야 하며, 어느 기간동안 그들 이 임시 주택에 머물러야 하는지와 같은 문제들을 다뤄야 합니다. 정부는 또한 복구에 필요한 자금이 어떻게 마련되어야 하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적자금에 의한 재난원조는 그 복구비용을 모든 세금 납부자가 부담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재해보험은 위험지역을 점유한 자가 재해복구 비용을 선지 불하는 방식입니다. 재해 보험료가 위험노출 정도에 따라 결정되면, 가장 큰 위험지역에 사는 자가 가 장 비싼 보험료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재해보험의 역할은 위험지역의 비경제적인 토지이용을 잠재우는 이른바 시장원칙을 따르도록 하며, 세금 납부자가 부담하고 환경위험지역에 거 주하는 사람들에게 지원되던 국가 보조금을 없애고, 재해복구시 시기 적절하게 복구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황:일부 재난 연구자들이 주목한 바에 따르면 한 지역이 홍수나 지진 등과 같은 환경재해 위험에 노 출된 것은 세 가지 요소의 혼합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 즉 이들 세 가지 요소는 물리적인 자연환 경, 인간환경, 그리고 자연 및 인공재해의 영향력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한 재해예방 대책을 말합니 다. 교수님의 정의에 따르면 재해예방이란 위험지역의 점유를 줄이고, 구조물을 강화시키는 따위의 활 동을 의미하며, 이 활동들은 재난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재난발생 가능성을 줄이거나, 또는 재난이 발 생하면 그 영향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입니다. 재난예방은 두 가지 주요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구조적인 예방과 비구조적인 예방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의 장단점을 비교함으로써 구조적인 예방과 비구조적인 예방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십시오.

▶▶린델:‘구조적인’그리고‘비구조적인’이라는 용어는 전문가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되고 있습니 다. 구조적인 예방이 종종 의미하는 것은 좀 전에 제가 말씀드린 지역보호와 재산보호를 설명하기 위 해 사용된 내용들을 말합니다. 홍수위험을 예로 들면, 구조적 예방은 댐과 제방(지역보호)을 쌓는 것과 개별 구조물들을 재해의 영향에서 보다 잘 견디도록 하는 건축 관행들(재산보호)을 의미합니다. 비구 조적인 예방은 일반적으로 토지이용 관행을 의미하는데, 이는 재해위험지역에서의 개발을 중단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일컫습니다. 지역보호를 위한 구조적 예방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긴 하지만 단기 적으로 볼 때 재난손실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구조적 예방이 갖는 하나의 문제점은 (사람들을 안심시켜서) 재해위험지역에서의 개발이 유도될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구조적 예방은)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재난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9)

housing reconstruction. Generally speaking, the poorer they are, the longer time they spend on rebuilding their housing or finding their new residence simply because of very limited financial sources. Could you mention roles of governments in financing and some other issues in relation to housing recovery?

▶▶Lindell: To return a community rapidly to its normal patterns of social and economic functioning, government

must anticipate the impediments to recovery and develop procedures for overcoming these impediments. Thus, government needs to develop pre-impact disaster recovery plans that resolve questions such as where temporary housing will be placed, who will be eligible for assistance, and how long they can stay. Government also needs to determine how reconstruction will be paid for. Disaster assistance from the public treasury distributes the cost of reconstruction over all taxpayers, but hazard insurance is a way of having those who occupy hazard-prone areas pre-pay the costs of disaster recovery. If hazard insurance premiums are determined by hazard exposure, then those who take the greatest risks will pay the greatest premiums. In this case, hazard insurance will provide a market signal that discourages uneconomical uses of hazard-prone areas, avoids taxpayer subsidies to those who are taking unnecessary risks, and provides timely financing for disaster recovery.

Hwang: Some disaster researchers noted that the vulnerability of a community to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flooding and earthquake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of three components: 1) the physical natural environment;

2) the human environment; and 3) the hazard mitigation measures conducted to reduce or prevent the impact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disasters. If I borrow your definition of hazard mitigation, it is referred as actions such as reducing the occupancy of vulnerable areas or strengthening structures are directed toward eliminating the causes of a disaster, reducing the likelihood of its occurrence, or limiting the magnitude of its impact if it does occur. There are two main types of mitigation activitie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itigation. Could you explain what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itigation are by comparing pros and cons of these two distinctive actions?

▶▶Lindell: The term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ar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by different professions.

Structural mitigation is often interpreted to mean what I referred to earlier as community protection and property protection. In the case of flood hazard, structural protection includes dams and levees,(community protection) and building construction practices that make individual structures more resistant to hazard impact (property protection). Nonstructural protection generally refers to land use practices that avoid or restrict development in hazard-prone areas. Community protection works are typically very expensive but very effective in reducing losses in the short run. The problem is that they tend to induce development in hazard-prone areas and, thus, increase exposure to events that exceed their design criteria. For example, a levee built to withstand a 100-year flood cannot

(10)

100년에 한 번 발생하는 홍수에 대처하기 위해 지어진 제방은 이를 능가하는 홍수에 대한 보호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역자 주: 예를 들면 500년에 한 번 발생하는 홍수로 인한 피해지역은 100년 홍 수로 인한 피해지역보다 몇 배 넓음). 만약 그 제방이 사람들을 보호해 줄 수 있다고 과대평가하게 되 면, 제방설치는 소규모의 홍수로 인한 작은 손실은 방지할 수 있지만 대규모 홍수로 인한 엄청난 손실 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것입니다.

토지이용 관행은 두 가지의 재난손실, 즉 빈번히 발생하는 작은 손실과 드물게 발생하는 재앙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지만, 범람원지대에서의 개발을 포기해야 합니다. 만약 범람원지대가 이미 개발되 었다면, 정부가 개인 토지소유권자로부터 토지를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이 관행은 매우 많은 비용이 듭니다. 각각의 재난예방 방법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난손실을 줄이기 위해 보편적으로 선 호되는 방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최상의 방책은 재난시스템의 모든 기능들을 조합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즉, 토지이용 계획을 사용하여, 재해취약지역에서의 개발강도를 제한하고, 건축물 규 제법을 사용하여 일정 정도의 위험을 가진 지역에 건축되는 구조물들이 적절한 위험예방 대책을 갖도 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재난준비와 대처방법들을 동원하여 지역보호를 위한 계획의 토대를 초과하는 재난에 대비하여 손쉬운 재산보호 방법과 최상의 인구 보호책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끝으로 또 하나 의 최상책은 복구준비와 홍수보험을 통하여, (재난을 당한) 지역사회의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하 는 것입니다.

Michael Lindell의 주요저서 및 논문

Kartez, J.D. & Lindell, M.K. (1987). Planning for uncertainty: The case of local disaster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53, 487-498

Lindell, M.K. & Mejer, M.J. (1994). Effectiveness of community planning for toxic chemical emergenci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0, 222-234

Lindell, M.K. & Perry, R.W. (1996). Addressing gaps in environmental emergency planning: Hazardous materials releases during earthquakes.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39, 531-545

Lindell, M.K. & Perry, R.W. (2000). Household adjustment to earthquake hazard: A review of research. Environment & Behavior, 32, 590-630

Whitney, D.J. & Lindell, M.K. (2000). Member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in Local Emergency Planning Committees. Policy Studies Journal, 28, 467-484

Lindell, M.K. & Whitney, D.J. (2001). Accounting for common method variance in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114-121

Tierney, K.J., Lindell, M.K. & Perry, R.W. (2001). Facing the Unexpected: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Joseph Henry Press

Lindell, M.K. & Perry, R.W. (1992). Behavioral Foundations of Community Emergency Planning. Washington DC: Hemisphere Press Kartez, J.D. & Lindell, M.K. (1990). Adaptive planning for community disaster response. In R.T. Silves and W.L. Waugh, Jr. (Eds.)

Cities and Disaster: North American Studies in Emergency Management.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Publishers

(11)

protect against a more extreme event. If people overestimate the levees’ ability to protect them (and most people do), then installing levees will eliminate the small losses from minor floods but increase the catastrophic losses from major floods.

Land use practices avoid both types of disaster losses, frequent small losses and (infrequent) catastrophic losses, but require giving up development in the flood plain. This is extremely expensive if the flood plain has already been developed and government must purchase the property from private landowners. Because each type of hazard mitigation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re is no universally preferred way to reduce hazard losses.

Probably the best solution will be a combination of emergency management functions. This would include land use practices to limit the intensity of development in the most hazard-prone areas and building codes to ensure that the structures that are built in moderately hazardous areas have adequate hazard resistance. It also would include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provide expedient property protection and a high degree of population protection for those events that exceed the planning basis for community protection. Finally, the best solution would include recovery preparedness and hazard insurance to make it possible for communities to recover rapidly.

참조

관련 문서

In turning down the party’s application to overturn the national state of disaster and its provi- sions, the court said it was clear there was no need for a state of emergency

[r]

NON-EXECUTIVE: When we look at the mean, it appears that all the respondents have said that interpersonal group & managerial effectiveness group is required for

• 대부분의 치료법은 환자의 이명 청력 및 소리의 편안함에 대한 보 고를 토대로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Appro- priate use of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trans- port of trauma patients: guidelines from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Subcommittee, Committee on

Due to the unique structure of the silole, which have four π-electrons and constitute a cyclic conjugated sys- tem involving the 3p orbital at the silicon, therefore it

정부는 긴급 가축 질병 대책 협약(EADRA, Emergency Animal Disease Response Agreement)과 긴급 식물 병충해 대책 조치(EPPRD, Emergency Plant Pest Response Deed)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