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R Cholangiopancreatography: Comparison Between Single-Shot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and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MR Cholangiopancreatography: Comparison Between Single-Shot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and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담도계를 검사하는 영상기법으로 급속히 발전해 온 자기공 명담췌관조영술(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 atography; 이하 MRCP로 줄임)은 비침습적이면서도 진단정 확도가 높은 검사로 그 유용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1). 처음에는 주로 안정상태자유세차(steady-state free precession; 이하 SSFP로 줄임)에 근거한 경사에코기법 을 사용하여 시행하였으나(2), MR기기의 발달로 많은 연구자 들이 다른 펄스배열순을 사용하여 MRCP를 시행하게 되었다.

고속스핀에코기법이 SSFP에 근거한 경사에코기법에 비해 간 내담관과 췌관을 더 잘 보이게 함을 알게 되었고(3), 최근에 는 HASTE(half-Fourier acquisition single-shot turbo spin- echo) 기법과 단발포급속스핀에코기법이 움직임에 의한 인공 물의 영향을 줄이고 공간해상력을 높이며 신호대잡음비를 증 가시킨다는 장점을 보고하였다(4-6). 그러나 HASTE기법, 급

속스핀에코기법, 그리고 고속스핀에코기법에 관한 결과보고와 각각의 비교 또는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ERCP 로 줄임) 과의 비교연구는 보고된 바 있었지만(4, 7-11), 저자들이 알 기에 단일종류인 고속스핀에코기법 중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 법과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을 비교한 연구는 발표된 바가 없 었다. 이에 저자들은 동일환자들을 대상으로 단발포고속스핀에 코기법과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을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평 가하고자 하였으며 영상획득시간을 줄이기 위해 Sensitivity encoding(SENSE)기술을 이용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간내 또는 간외질환으로 MRCP를 시행한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5명, 여자 가 15명이었고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53.4세(26-90세)이었다.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단발포고속스핀에코(SS-TSE)기법과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고속스핀에코(3D-TSE)기법의 영상비교

1

윤은주・최철순・윤대영・윤영철・박상준・서영란・문증희・임경자

목적: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과 Sensitivity encoding(이하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고속 스핀에코기법의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이 하 MRCP)을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내 또는 간외질환으로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과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

고속스핀에코기법의 MRCP를 시행한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인의 방사선과 의사가 담췌관 계해부학구조물의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이어서 각 증례별로 두 기법간의 영상의 질을 직접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간내담관, 담낭관, 총담관, 췌관의 영상에서 모두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 핀에코기법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간내담관과 총담관에 대한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의 우 월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5). 두 기법 모두에서 총담관이 각각 87.5%

와 97.5%로 가장 잘 관찰되었으며, 췌관의 경우 52.5-57.5%, 담낭관의 경우 10.0-32.5%에 서 양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각 증례별로 두 영상 방식을 직접 비교하였을 때 27예 (67.5%)에서는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하고, 5예(12.5%)에서는 두 영상방식이 동등하 며 8예(20%)에서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 0.05).

결론: 담췌관계해부학구조물을 관찰하는데 있어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핀에코 기법보다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두 기법모두에서 췌관과 담낭관을 보는 데에 제한 이 있었지만 이점은 MR기기의 기술적 개선으로 더 나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다.

1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2003년 7월 23일 접수하여 2003년 9월 26일에 채택되었음.

(2)

이 환자들의 진단명은 간농양 2예, 담석증 17예, 담낭암 2예, 만성췌장염 9예, 췌두부암 3예, 담도결석 5예, 담관암 2예이었 다. 25명은 수술로, 4명은 ERCP로, 그리고 나머지 11명은 직 접담관촬영술소견, 초음파검사소견, CT소견, 그리고 임상소견 을 종합하여 진단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1.5 T 초전도형자기공명영상기기(Philips Medical Systems, Intera, The Netherlands)를 이용하였고 40 예 모두에서 상승동체코일(synergy body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전 최소 4시간 금식을 하였으며 촬영전에 전처치약물과 조 영제주입은 시행하지 않았다. 먼저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을 사용하여 호흡정지상태에서 강한 T2강조의 원천절편영상 (source image) 횡단면을 얻었다. 원천절편횡단면영상은 간내 담관말초부부터 총담관원위부까지 3-5 mm 간격으로 20개의 영상을 얻었고, 간문부를 중심으로 하여 12도 간격으로 총 9 개의 관상면영상을 얻었다. 이때 TR/TE는 9000/ 1200 msec 였고, 숙임각(flip angle)은 90°, 영상면적 (field of view, FOV) 은 250 mm, 자료획득행렬(matrix)은 256×512였으며, 절편 두께(slice thickness)는 40 mm, 신호평균화(number of sig- nal average, NSA)는 2였다. 총 영상획득시간은 평균 1분 21 초였다.

호흡유발 상태에서 SENSE기술을 이용한 3차원고속스핀에 코기법을 시행하기위해 먼저 환자의 복부에 호흡감지장치를 부 착한 후 호흡운동에 의한 복부움직임이 최소가 되는 일정한 호 흡주기에만 자료획득을 제한하고 호흡수에 따라 TR이 조절되 도록 하여, 고속스핀에코펄스로 T2 강조(TR/TE=1800/ 700 msec)에서 총 64개의 관상면영상을 얻었다. 호흡운동에 의한 인공음영발생을 보상하기 위해 2회의 신호 평균화를 하였다.

숙임각은 90°, 영상면적은 260 mm, 자료획득행렬은 256×

512, 절편두께는 1 mm, TSE 인자는 110이고, startup echo

는 47, Water fat shift(WFS)는 0.517였다. 지방억제방법으로 Spectra Presaturation with Inversion Recovery(SPIR)를 실 행했고, SENSE인자를 2로 하였을 때 영상획득시간은 1분 57 초이었다. 이렇게 얻은 강한 T2강조영상을 최대강도투사 프로 그램을 이용해 삼차원으로 재구성하여 12도 간격으로 총 9개 의 영상을 만들어 분석하였다.

영상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첫번째 단 계로,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과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으로 시행한 MRCP에 있어서 담췌관계해부학구조물의 관찰정도를 비교하였다. 두 기법에 의해 얻어진 각각의 영상을, 임상소견 과 사용한 기법을 모르게 한 다음 무작위로 증례를 선택하여 세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담췌관계해부학구조물을 관찰하고 영 상의 질을 점수화한 후 3명의 점수를 평균하였다. 영상의 질 은, 0:전혀 보이지 않음, 1: 보이나 불량함, 2: 잘 보이나 인공 음영의 영향을 받음, 3: 매우 잘 보이고 인공음영도 없음의 네 단계로 분류하였다. 이 때 각 판독자의 평가는 서로 상의 없이 독립적으로 시행하였다. 부위별 점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간내 담관, 담낭관, 총담관, 췌관 등 각 부위에 대한 점수를 따로 평

A B

Fig. 1. Patient with cholangiocarcinoma. MRCP images of the SSTSE sequence (A) and the 3D TSE sequence with SENSE tech- nique (B) show the obstruction of left main intrahepatic duct. The 3D T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provides better image qualities than the SSTSE sequence for the visualization of intrahepatic bile duct, common bile duct, cystic duct, and pancreatic duct.

Table 1. Comparison of Image Qualities by the Scores Using the Both Sequences

SSTSE 3D TSE-SENSE P-value*

Intrahepatic bile duct 1.53±0.83 1.77±0.92 0.047**

Cystic duct 0.94±0.89 1.18±1.08 0.07

Common bile duct 2.18±0.76 2.50±0.71 0.00083**

Pancreatic duct 1.51±0.91 1.61±1.09 0.44 Numbers: Average values±standard deviation.

SSTSE: single-shot turbo spin-echo, 3D TSE-SENSE: 3-dimension- al turbo spin-echo with SENSE technique

*P-value: paired t-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3)

가하였다. 세 사람의 평가에 의해 평균 1.50점 이상일 때 적절 한 영상을 얻었다고 간주하였다. 1.50점을 기준으로 삼은 이유 는 이 점수는 적어도 두 판독자 이상이 해부학구조물이 잘 보 인다고 평가할 때 얻어질 수 있는 점수이기 때문이다(8).

두 번째 단계에서는, 2주간격으로 두 검사 간의 상대적인 비 교를 위하여 각 증례별로 두 기법에 의한 MRCP영상을 직접 비교하였다. 임상소견과 사용한 기법을 모르게 한 다음 담췌관 계해부학구조물을 관찰하고 서로 비교하여 영상의 질이 두 기 법 중 어느 것이 우수한 지 평가한 다음 3인 일치의 합의를 하 였다. 이 결과에서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한 경우, 단 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한 경우, 두 방식이 대등한 경우 로 나누어 두 방법 간의 차이가 있는 지를 평가하였다.

통계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각의 담췌관계해부학구조 물에 대하여 평가한 영상질의 점수에 대하여 paired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두 영상을 비교한 결과에 대하여 chi-square (x2)test를 사용하였다.

간내담관, 담낭관, 총담관, 췌관의 영상에서 모두 3차원고속 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보다 높은 점수를 보 였으나, 간내담관과 총담관에 대한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의 우월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1) (Fig.

1).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과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 모두 간 내담관과 총담관에서는 평균 1.50점 이상으로 양질의 영상을 보였으나, 췌관에서는 1.50점 근처의 점수를 보였고(Fig. 2) 담낭관에서는 1.50점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여 MRCP가 담낭 관과 췌관을 영상화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Fig. 3).

담낭관을 제외한 적절한 해부학구조물영상이 관찰된 정도는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57.5-97.5%, 단발포고속스핀에코

기법이 35.0-87.5%였다. 두 기법 모두에서 총담관이 각각 97.5%와 87.5%로 가장 잘 관찰되었으며, 3차원고속스핀에코 기법에서는 잘 관찰되는 정도가 총담관, 간내담관, 췌관 순이 었고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에서는 총담관, 췌관, 간내담관 순 으로 잘 관찰되었다. 담낭관의 경우 각각 32.5%와 10.0%에서 만 양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두 검사방법 간에 해부학구 조를 관찰하는 비교에 있어서는 간내담관과 담낭관의 경우만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p< 0.05) (Table 2).

모든 증례에 대하여 두 영상 방식을 직접 비교하였을 때, 27 예(67.5%)에서는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하고, 5예 (12.5%)에서는 두 영상방식이 동등하며 8예(20%)에서 단발 포고속스핀에코기법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으며 3차원고속스 핀에코기법이 우수한 경우과 나머지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5) (Table 3).

MRCP는 강한 T2강조영상기법에 의해 담관계의 정체된 담 즙을 고신호 강도로 영상화하고, 주변조직으로부터의 신호는 억제하여 직접담도조영술과 같은 효과를 보이는 영상기법이다 (1, 2). 이 연구에서 사용된 고속스핀에코기법은 처음에

A B

Fig. 2. Patient with choledocholithiasis. MRCP image of the SSTSE sequence (A) shows multiple stones in the distal common bile duct and gallbladder, but on the 3D T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B), non visualization of filling defects in the common bile duct and gallbladder. Pancreatic duct is clearly visualized only in the SSTSE sequence.

Table 2. Number of Cases for Optimal Image Quality Using the Both Sequences (n=40)

SSTSE (%) 3D TSE-SENSE (%) Intrahepatic bile duct 14/40 (35.0%) 29/40 (72.5%) Cystic duct 04/40 (10.0%) 13/40 (32.5%) Common bile duct 35/40 (87.5%) 39/40 (97.5%) Pancreatic duct 21/40 (52.5%) 23/40 (57.5%) SSTSE: single-shot turbo spin-echo, 3D TSE-SENSE: 3-dimension- al turbo spin-echo with SENSE technique

(4)

Takehara 등(12)과 Guibaud 등(13)에 의해 호흡정지2차원고 속스핀에코방식으로 MRCP의 해상력을 향상시켜 간내담관과 췌관을 볼 수 있게 해주었지만 44초 또는 1분이상동안 호흡을 정지하기 때문에 촬영하기 전에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주 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고, 2차원방식은 절편두께가 증가되어 비등방해상력(anisotropic resolution)을 가져 최대강 도투사영상의 질이 심각하게 낮아진다는 제한이 있었다. 이후 Barish 등(14)은 호흡주기 중 움직임이 최소인 호기말과 같이 일정 시간에만 자료획득을 제한하는 호흡유발법과 3차원자료 획득방식을 병행하여 신호대잡음비를 의미있게 개선시켰고 절 편두께를 얇게 하여 단발포고속스핀에코방식에서 보였던 부분 용적효과를 없애주었을 뿐 아니라 최대강도투사방식을 사용하 여 췌관의 다면재구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 기술은 영상획득시간이 10분이상으로 길어 협조가 안되거나 호흡이 불규칙한 환자에서 영상의 질이 나빠진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15). 이 연구에서는 3차원방식의 고속스핀에코기법을 사용하 였는데 영상획득시간이 길다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시간을 단 축시키는 SENSE기술을 도입하여 영상획득시간을 최소 1분 57초까지로 줄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된 단발포고속스핀 에코방식은 초단(ultrashort) 고속스핀에코의 일종으로 TSE인 자를 256까지 높여 매우 빠른 단발포영상을 얻게 하며 짧은 T2로 인한 조직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start-up echo가 도 입되어 짧은 에코시간(echo time, TE)은 정보획득에 이용되 지 않고 만들어진 에코총합은 start up echo와 TSE인자의 합 계로 나타난다. 이 방식으로는 매우 빠른 영상을 얻을 수 있어 강한 T2강조에서 문제가 되는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유리하 며 매우 긴 에코시간(2000 msec이상)은 액체의 신호를 증강 시켜 다른 조직으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11).

이 연구의 결과에서 영상의 질은 간내담관과 총담관의 경우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보다 통계 적으로 유의한 우월성을 보이고 있으며 담췌관계해부학구조물 이 적절히 관찰되었다고 평가된 환자의 수는 두 검사에서 총 담관은 88-98%, 간내담관은 35-73%, 췌관은 53-58%, 그 리고 담낭관은 10-33% 정도였다. 이는 담낭관과 췌관은 전 반적으로 간내담관과 총담관에 비해 묘사율이 좋지 않다는 것 을 의미한다. 담낭관과 췌관을 보는데 있어서는 아직 3차원고 속스핀에코기법이나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 모두 아직 개선 되어져야 할 여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두 검사 영상을 직접 비교하였을 때는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보다 우월한 평가를 받은 경우가 유의 하게 많았다. 따라서 고속스피에코방식에서는 단발포고속스핀 에코기법에 비해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의 영상의 질이 유의 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총담관의 묘사율(depiction rates)은 문헌마다 달라 여러가 지 기술을 사용해도 97-100% 정도이나(5, 16, 17) 췌관의 묘사율은 아주 낮아 54-96%이다. Yamashita 등 (18)은 HASTE 호흡정지기법의 2차원투사기법과 다절편기법을 비교 하였는데, 투사기법의 HASTE를 사용시 췌관과 총담관의 묘 사율은 각각 54%와 100%였고 다절편HASTE에 의해 얻어진 최대강도투사방식을 이용시 35%와 98%이었다. Reuther 등

Table 3. Conspicuity of the Anatomic Structure in the Hepato- pancreatic Biliary System Using the Both Sequences (n=40)

Conspicuity Number (%)

3D TSE-SENSE > SSTSE 27/40 (67.5%)

3D TSE-SENSE = SSTSE 05/40 (12.5%)

3D TSE-SENSE < SSTSE 08/40 (20.0%) 3D TSE-SENSE: 3-dimensional turbo spin-echo with SENSE tech- nique, SSTSE: single-shot turbo spin-echo

A B

Fig. 3. Patient with chronic pancreatitis. MRCP images of the SSTSE sequence (A) and the 3D T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B) show beaded appearance with dilatation of pancreatic duct. For visualization of the cystic duct, the both sequences provide poor image quality.

(5)

(17)은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을 이용시 70%와 98%였고, Soto 등(19)은 호흡유발 3차원 급속스핀에코기법을 이용시 췌 관의 묘사율이 69%였다. 이 연구에서는 SENSE기술을 이용 한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으로 췌관과 총담관의 묘사율은 57.5%와 97.5%였으며 이는 Yamashita(18)의 연구와 비슷하 였다.

이 연구는 몇가지 제한점이 있다. 먼저, 최대강도투사에 의 한 영상의 재구성에 있어서의 제한점으로, 상복부의 복수나 액 체저류가 고신호강도로 보여 담췌관의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잘 안보이게 할 수 있는데 이는 배경신호강도의 충분한 억제로 해 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번째로 ERCP는 조영제를 사 용하기 때문에 담관의 직경이 다소 과대측정되는 것에 비해 MRCP는 있는 그대로의 직경이 반영되는 장점이 있지만 오히 려 최대강도투사영상에서 좁아진 부위를 과소측정할 위험이 있 다. 이는 원천절편영상의 충분한 검토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 이다. 세번째로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은 단발포고속스핀에코 기법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려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 이 많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SENSE기술 을 이용하여 3차원고속스핀에코기법을 사용시 걸리는 영상획 득시간을 많이 감소시켜 큰 문제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담췌관계해부학구조물을 관찰하는데 있어 3차원 고속스핀에코기법이 단발포고속스핀에코기법을 이용한 MRCP 보다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췌관과 특히 담낭관을 보는 데에는 약간의 제한이 있었지만 앞으로 MR기기의 기술 적 개선으로 더 나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Coakley F, Schwartz L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 atography. J Magn Reson Imaging 1999;9:157-162

2. Morimoto K, Shimoi M, Shirakawa T, et al. Biliary obstruction:

evaluation with three-dimensional MR cholangiography. Radiology 1992;183:578-580

3. Reinhold C, Bret PM. Current status of MR cholangiopancreatog- raphy. AJR Am J Roentgenol 1996;166:1285-1295

4. Ichikawa T, Nitatori T, Hachiya J, Mizutani Y. Breath-held MR cholangiopancreatography with half-averaged single shot hybrid rapid acquisition with relaxation enhancement sequence: compari- son of fast GRE and SE sequences. J Comput Assist Tomogr 1996;20:798-802

5. Miyazaki T, Yamashita Y, Tsuchigame T, Yamamoto H, Urata J, Takahashi M. MR cholangiopancreatography using HASTE (half-

Fourier acquisition single-shot turbo spin-echo) sequences. AJR Am J Roentgenol 1996;166:1297-1303

6. 박성원, 백승연, 강병철, 이정식. 담석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 담관 조영술의 정확도 및 관찰자간의 일치도에 대한 평가. 대한방사선의 학회지 2001;44:577-582

7. Papanikolaou N, Karantanas AH, Heracleous E, Costa JC, Gourtsoyiannis N.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comparison between respiratory-triggered turbo spin echo and breath hold single-shot turbo spin echo sequences. Magn Reson Imaging 1999;9:1255-1260

8. 김명진, 홍혜숙, 정재준 등.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호흡정지 급속 스핀에코 기법과 호흡유발 급속스핀에코 기법의 비교. 대한방사선 의학회지 1997;37:1081-1086

9. Lee MG, Lee HJ, Kim MH, et al. Extrahepatic biliary diseases: 3D MR cholangiopancreatography compared with endoscopic retro- 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Radiology 1997;202:663-669 10. Kim TK, Han JK, Kim SJ, Bae SH, Choi BI. MR cholangiopancre-

atography: comparison between half-Fourier acquisition single- shot turbo spin-echo and two-dimensional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s. Abdom Imaging 1998;23:398-403

11. Arslan A, Geitung JT, Viktil E, Abdelnoor M, Osnes M.

Pancreaticobiliary diseases. Comparison of 2D single-shot turbo spin-echo MR cholangiopancreatography with endoscopic retro- 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cta Radiol 2000;41:621-626 12. Takehara Y, Ichijo K, Tooyama N, et al. Breath-hold MR cholan-

giopancreatography with a long-echo-train fast spin-echo sequence and a surface coil in chronic pancreatitis. Radiology 1994;192:73-78 13. Guibaud L, Bret PM, Reinhold C, Atri M, Barkun AN. Diagnosis of choledocholithiasis: value of MR cholangi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94;163:847-850

14. Barish MA, Yucel EK, Soto JA, Chuttani R, Ferrucci JT. MR cholangiopancreatography: efficacy of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technique. AJR Am J Roentgenol 1995;165:295-300 15. Soto JA, Barish MA, Yucel EK, Ferrucci JT. MR cholangiopancre-

atography: findings on 3D fast spin-echo imaging. AJR Am J Roentgenol 1995;165:1397-1401

16. Regan F, Fradin J, Khazan R, Bohlman, M. Magnuson T.

Choledocholithiasis: evaluation with MR cholangi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96;167:1441-1445

17. Reuther G, Kiefer B, Tuchmann A, Pesendorfer FX. Imaging find- ings of pancreaticobiliary duct diseases with single-shot MR cholangiopancreat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97;168:453-459 18. Yamashita Y, Abe Y, Tang Y, Urata J, Sumi S, Takahashi M. In Vitro and clinical studies of image acquisition in breath-hold MR cholangiopancreatography: single shot projection technique versus multislice technique. AJR Am J Roentgenol 1997;168:1449-1454 19. Soto JA, Barish MA, Yucel EK, et al. Pancreatic duct: MR cholan-

giopancreatography with a three-dimensional fast spin-echo tech- nique. Radiology 1995;196:459-464

(6)

J Korean Radiol Soc 2003;49:483-488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Chul Soon Choi, M.D., Department of Radiology, Hallym Universit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445 Gil-dong, Kangdong-gu, Seoul 134-701, Korea.

Tel. 82-2-2224-2505 Fax. 82-2-488-7370 E-mail: chulsoon@hallym.or.kr

MR Cholangiopancreatography: Comparison Between Single-Shot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and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Pul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1

Eun Joo Yun, M.D., Chul Soon Choi, M.D., Dae Young Yoon, M.D, Young Cheol Yoon, M.D., Sang Joon Park, M.D., Young Lan Seo, M.D., Jeung Hee Moon, M.D., Kyoung Ja Lim, M.D.

1Department of Radiology, Han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rpose:To evaluate the relative image qualities obtained at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turbo spin-echo (SSTSE) sequence and the three-dimensional turbo spin-echo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itivity encoding (SENSE)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Forty patients with suspected hepatic and extrahepatic diseases underwent MRCP us- ing the SSTSE sequence and the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E technique. Three radiologists scored and compared the quality of images of anatomic structures in the hepatopancreatic biliary system, and then direct- ly compared the quality of the images obtained using the two sequences in each set of cases.

Results:For visualization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 the cystic duct, the common bile duct, and the pancre- atic duct, MRCP images obtained using the 3D TSE sequence with the SENSE technique were better than those obtained using the SSTSE sequence, though for the intrahepatic bile duct and common bile duct only, were these differen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Quality was best for images of the common bile duct (87.5% for SSTSE and 97.5 % for 3D TSE with the SENSE technique). For the pancreatic and cystic duct, how- ever, 52.5% and 10% of SSTSE images, respectively, and 57.5% and 32.5% of 3D TSE images, respectively, provided optimal image quality. In direct comparison, 3D TSE images obtained using the SENSE technique were better in 27 cases (67.5%), both images were equivocal in five cases (12.5%), and SSTSE images were bet- ter in eight cases (20%).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For the visualization of anatomic structures in the hepatopancreatic biliary system, the 3D TSE se- quence with the SENSE technique was better than the SSTSE sequence. For evaluation of the pancreatic and cystic duct, however, both techniques have their limitations and require further development.

Index words :Bile ducts

Magnetic resonance (MR)

수치

Table 1. Comparison of Image Qualities by the Scores Using the Both Sequences
Table 2. Number of Cases for Optimal Image Quality Using the Both Sequences (n=40)
Fig. 3. Patient with chronic pancreatitis. MRCP images of the SSTSE sequence (A) and the 3D TSE sequence with SENSE technique (B) show beaded appearance with dilatation of pancreatic duct

참조

관련 문서

Usefulness of co-treatment with immunomodulator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ed with scheduled infliximab maintenance therapy.. Oussalah A, Chevaux JB, Fay

Inclusion and Inclusiveness: Shared Vision of Youth for Local, National, and Global Village Inclusion at large stands for embracing populations with disabilities and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voltage across a capacitor by a finite amount in zero time, for this requires an infinite current through the capacitor.. (A capacitor resists

Precut(needle knife) papillotomy for impacted common bile duct stone at the ampulla. Endoscopic treatment of biliary colic resulting from hemobilia after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SigmaNEST 펀칭 파워팩 제품 관리, 자동 다이나믹™ 배 열 및 펀칭 툴 관리를 갖춘 터렛 펀칭 프로그래밍을 위한 가장 완벽하고 최적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