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 농식품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친환경 농식품은 "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EU의 친환경 농식품 현황과 미래연구 전망 *

유 찬 희

현재 친환경 농식품은 식품산업 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 중 하 나이다. 본고에서는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친환경 농식품 트렌드를 조망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의 발전 추이를 정리하였다. 또한 친환경 농식품이 경제·사회·환경 분 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와 미래의 주요 과제를 검토하였다.

1. 유럽연합 친환경 농업 현황

생산․소비 현황

1991년 유럽연합 이사회는 친환경 농업 관련 규정(Regulation (EEC) 2092/91)을 제 정하였고, 이후 유럽연합의 친환경 농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왔다. 2006년 유럽 의 친환경 농식품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10% 이상 성장하여 약 140억 유로에 이르 는 것으로 추정된다. 친환경 농산물․식품시장의 규모는 매년 빠른 속도로 성장하 고 있지만 국가 간 성장 양상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2006년 현재 구 회원국들의 전체 경지의 13%에 해당하는 680만ha 이상에서 친환경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6년 유럽연합 전역에서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영농이 이루어지는 전체 경지 면 적이 740만ha라는 점을 감안할 때, 친환경 농업은 아직 선진국 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친환경 농식품은

식품산업 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지만, 국가

간 성장 트렌드에

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2)

4,600 2,831

1,900 1,700 764

530 460 434 379 245

466

0 1,000 2,000 3,000 4,000 5,000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덴마크 스웨덴 벨기에 기타

0.1 0.1 0.1 0.2 0.2 0.30.5 0.6 0.8 1.0 1.4 1.8

2.3 3.0

3.7 4.3

5.2

5.9 6.26.4 6.9

7.4

0 2 4 6 8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그림 1 유럽 친환경 농업 경지 면적 (1985~2006)

단위: 백만ha

소비 부문에서도 국가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덴마크,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의 친환경 농식품 소비량은 전체 소비량의 4.5~5.5%에 이를 정도로 확대 되었다. 반면 신규 회원국과 가입 후보국의 친환경 농업 면적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소비량 중 친환경 농식품의 비중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림 2 유럽 친환경 농식품 시장 규모 (2006년)

단위: 백만 유로

소비 부문에서도

국가 간의 차이가

두드러져, EU 신규

회원국, 가입 후보

국 등의 소비 규모

는 매우 작다.

(3)

유럽연합 정책 전개와 친환경 농업

대부분의 유럽연합 회원국은 농촌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친환경 농업을 지원하 고 있다. EU-27과 유럽경제지역(European Economic Area, EEA)1)에서는 면적기준 직 불제(Area Payments)를 통해 친환경 농업을 지속시키고 친환경 농업으로의 전용 확 대를 유도하고 있다. 신규 회원국인 불가리아와 루마니아도 지원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지원 단가, 준수 조건, 요구 사항 등은 국가에 따라 상당한 차이 를 보인다. 한 예로 2003년 친환경 농가에 지급하는 면적기준 직불금은 36유로/ha (영국)에서 404유로/ha(그리스)까지 매우 다양했다(EU-15 평균은 185유로/ha).

유럽연합 이사회는 친환경 농업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하여 2007년 새로운 규정 (Regulation (EC) 834/2007)을 도입하였다. 이 규정은 친환경 농산물 생산과 라벨링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09년에 발효될 예정이다.

유럽연합은 2000년 리스본 전략(Risbon Strategy)에서 2010년까지 유럽연합을 가장 경쟁력 있고 활력 있는 지식 기반 경제권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2005년에는 새로운 목표로 성장 증대와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추었다. 친 환경 농식품 시스템은 이러한 리스본 전략의 목표 달성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분야이다. 빠른 경제성장 외에도 농산물 생산, 가공, 무역, 검역, 인증, 연구, 컨설 팅, 훈련 그리고 환경 관광(Eco-tourism) 등에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최근 유럽의 몇몇 대학은 친환경 식품 체인관리 학위 과정을 개설하였는데, 이는 이 부 문의 수요가 앞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였기 때문이다.

유럽연합의 토지, 산림, 해양 관리 원칙은 생물학적 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2001년 고텐부르그 정상회담(Gothenburg Summit)2)에서 유럽 연합 이사회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전략을 채택하였고, 리스본 전략에서 제시 한 고용, 경제개혁, 사회 통합이라는 환경 측면을 추가하였다. 이어 2002년에는

‘제6차 중장기 환경 계획(Sixth Environmental Action Programme)’을 수립하고 기후변 화 대책, 자연과 생물다양성 보전, 환경과 건강보호, 자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및 폐기물 관리를 4대 중점 분야로 제시하였다. 이 계획 수립에 따라 토양 관리, 제 초제 사용 관리,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침 등이 농업 부문에 영향을 주게 되었 다. 2006년 1월에는 ‘동물보호 및 복지 계획 2006~2010(Action Plan for the Protection and Welfare of Animals 2006~2010)’을 채택하였다. 이 5개년 계획은 유럽연합 전 부 문에 걸쳐 동물복지 원칙을 제시하였고, 5대 주요 과제 중 동물보호 및 복지 관련

1)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유럽공동체(EC), 유럽연합 회원국 간의 협약에 따라 1994년 1월 1일 출범하였다. 이에 따라 유럽자유무역연합 회원국들은 유럽연합에 가입하지 않고도 단일시장에 참

대부분의 유럽연합

회원국은 농촌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친환경 농업을 지

원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농업 확산

을 위한 정책 도입

도 점진적으로 이

루어지고 있다.

(4)

응용연구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었다.3) 이러한 정책의 전개는 유럽연합의 친환경 농식품 부문에 영향을 줌과 동시에 해당 부문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계기가 되 어왔다.

한편 유럽연합은 2004년 ‘친환경 농식품 계획(European Action Plan for Organic Food and Farming)’을 수립하여 친환경 농식품 공급체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였 다.4) 이 계획은 친환경 농식품이 환경 외에 공중 보건, 사회 및 농촌개발, 동물복지 에 주는 편익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원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 중 세부 이행과제 7번에 ‘친환경 농업 및 생산 방식 연구 강화’를 포함시켰다.

2004년 6월 집행위원회 보고서(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에서는 신기술, 정보 교환 향상, 적합한 기술의 현장 전파 등을 강조하였다. 과학․응용연구․자문 기관과 생산자 간의 수직통합과 회원국 간의 수평적 연계를 통한 상승 효과 창출 도 효율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유럽연합의 친환경 농식품 연구 동향

1980년대까지 유럽에서 친환경 농업 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민간기관들 이 수행하였다. 1982년에 들어 대학에서 최초로 친환경 농업을 학과 과정에 포함 시켰다. 1990년대에 유럽연합 차원에서 지원하는 최초의 프로젝트가 시행되어 연 구자들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Framework Programme 하에서 여 러 친환경 농업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국가별로 친환경 농업 연구를 위한 특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2002년 연방 친환경농업 계획(Federal Organic Farming Scheme)을 수 립하였고, 덴마크는 1996년부터 덴마크 친환경농업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2004년에는 3백만 유로 이상 규모의 ‘유럽 친환경 농식품 기술연계 조율 프로젝 트(2004~2007년)’을 수립하였고 11개국이 참여하였다. 해당 11개국의 2005년 친환 경 농식품 부문 관련 기금은 6천만 달러로 증액되었다.

3) 5대 과제는 1) 동물보호 및 복지의 최저기준 상향 조정, 2)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연구와 동물 실험 시 3R 원칙(실험동물의 대체, 사용 축소, 실험 방식 개선)의 적용, 3) 표준화된 동물복지 지표 개발, 4) 동물복지 이슈에 대한 인지도 제고, 5) 국제적인 동물복지 인식 확대와 관심 제고 를 위한 정책 지원이다.

4) 이 계획은 1) 소비자 인지도 제고와 홍보 활동 강화를 통한 정보 주도형 친환경 농산물․식품 시 장 구축, 2) 국가별 특성을 반영한 계획 수립으로 친환경 농업에 대한 지원 효율성 제고, 3) 유 럽연합 친환경 농업 영농 기준, 수입 및 검역 기준 강화 및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 여 21개 세부 이행과제(친환경 농산물․식품 시장 관련 3개, 공공정책 부문 4개, 생산 기준 및 검 역 관련 14개)를 마련하였다(http://ec.europa.eu/agriculture/organic/eu-policy/action-plan_en 참조).

1980년대까지는 민

간 부문에서 친환

경 농업 연구를 주

로 수행하였으나,

1990년대부터 EU

차원의 연구가 강

화되기 시작하였다.

(5)

단계 시행 기간 전체 예산

(억 유로) 농업․농촌․식품 관련 분야

4차 1994~1998 132 바이오에너지, 공동농업정책 개혁, 동물복지, 식품공학 및 생물학 분야 등

5차 1998~2002 150

삶의 질과 생활 자원 관리(식품․영양, 질병 관리, 지속가능 한 농림수산업, 농촌지역 통합 개발 등)

에너지, 환경, 지속가능한 개발(수질 관리, 기후변화와 생 문다양성, 재생가능 에너지와 청정에너지 등)

6차 2002~2006 175 식품안전성, 지속가능한 개발 7차 2007~2013 505 식품․농어업․생물공학, 기후변화 등

표 1 유럽연합의 Framework Programme 연혁

주: 1) 5차, 6차 예산에서 참여국 분담분은 포함되지 않음.

2) 친환경 농업 관련 연구는 7차 Framework Programme에도 포함.

자료: 각 Framework Programme 사이트에서 재구성.

과학적 연구를 통해 친환경 농식품의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 는데 관련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농식품 생산 비용 절감, 단수 증대, 외연적․내재 적 품질 향상, 식품안전성 강화, 환경 및 사회적 비용 감축 등이다. 이러한 연구의 기본적인 목표는 통합형 농업이나 토양 보전형 무경운 농법 등의 분야에도 동일하 게 적용된다.

이러한 연구의 요구조건과 기준이 매우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 된 기술․과정․대안 역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연구 결과를 농식품 부문에 일반 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지만, 친환경 농업은 현장의 요구 반영이 상대적으로 미흡 한 편이어서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연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유럽 국가들은 지난 20년 간 일정 수준 이상의 연구 활동을 지속해 왔고,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스위스 등은 많은 투자를 해 왔다. 그 결과 식품 시장 규모는 2006년에 140억 유로까지 성장했으며 1백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유지할 수 있었다.

2. 농식품 부문의 미래 과제 전망

농식품 공급 부문의 미래 과제와 트렌드는 세계적․지역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에 소개하는 연구 결과 또는 보고서가 연구 비전 개발과 특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각 연구 결과 또는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 음과 같다.

친환경 농업은 현

장의 요구 반영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어서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연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6)

“발전과 지속가능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새로운 우선순위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려면 농업 지식․과학․기술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농업의 다원적 기능 을 인지하고 더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며, 다양한 사회․생태적 맥락 안에서 농업 시스템의 복잡성 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와 기관을 새롭게 정비하여 농업 지식․과학․기술 의 발전과 전파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마련하여야 한다. 더불어 생산자와 생태계 관리자로 서의 농업 조직(Farming Communities), 농가, 농업인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를 이루려면 가 치 사슬 내의 참여자들에게 부여하는 인센티브 시스템을 변화시켜 외부효과를 가능한 한 내부화 Iinternalize)시켜야 한다.”

「식품․농촌․농업 미래 예측」 5)

「식품․농촌․농업 미래 예측」에서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도입하여 미래 여 건을 전망하였다. ‘기후 충격(Climate Shock)’과 ‘에너지 위기(Energy Crisis)’ 시나리오 전망 결과, 유럽의 농업은 자원의 불충분한 이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대외 의존도가 높아지고 취약성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 가 나타날 경우 기존의 관행농업 시스템은 상당 부분 제약받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식품 위기(Food Crisis)’ 시나리오에 따르면 사회적 수요를 반영하고 환경 부담을 줄 일 수 있는 제품․공정․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국민지향적 연구(Citizen-oriented Research)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자연과의 조화(coorperation with nature)’ 시나리오 는 과학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모든 수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구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상황을 전망하였다.

「새천년 생태계 평가」 6)

UN 기구, 국제부흥개발은행(세계은행), 시민운동기구 그리고 개인․공공 기부자 들이 제안한「새천년 생태계 평가」는 ‘식량, 신선한 물, 목재, 섬유, 연료에 대한 수요 증가’가 ‘지구 생태계 다양성의 실질적이고 비가역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 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즉, 현재와 같은 발전 방식은 ‘미래 세대가 생태계에서 얻 을 수 있는 편익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정책, 제도, 영 농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와서 ‘각종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생태계 소모를 반전시켜야 함’을 강조하였다.

「발전을 위한 농업 지식․과학․기술 국제 평가」 7)

이 보고서는 농업 지식․과학․기술이 지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5) FFRAF report: foresighting food, rural and agri-futures, 2007.2.

6) Millennium Ecosystems Assessment, 자세한 내용은 http://www.millenniumassessment.org 참조.

7)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자세한 내용은 http://www.agassessment.org/ 참조.

농업과 식품 공급 부문의 미래 과제 와 트렌드는 세계 적·지역적 차원에 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관점

은 연구 비전과도

관계가 있다.

(7)

3. 세계적 식품 트렌드 변화와 친환경 농식품의 과제

‘새천년 생태계 평가’에서는 경제적 가치를 가진 생태계 서비스(특히 식량, 목재, 섬유)를 증가시키면 시장가치로 나타내기는 어렵지만 마찬가지로 중요한 서비스가 감소된다고 주장했다. 전자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서비스 의 60%가 소모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영농 방식을 변화시켜 생태계 서비스의 소 모를 중지시키거나 회복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효과

환경과 생태계 측면에 편익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친환경 농업의 강점이고 소비자 가 친환경 농산물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농업․환경 정책이 친환경 농업을 지지하는 것도 환경적 편익의 중요성에 근거하고 있다. OECD와 EU 국가들은 친환 경적인 방식으로 관리되는 토지 비율을 그 국가가 얼마나 ‘환경친화적’인지 판단 하는 지표로 활용한다. 지금까지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 온 덕분에 현재는 서로 다른 영농 체계가 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할 수 있다.

오염 저감

친환경 영농 방식으로 경작하는 농지의 질소 침전율(Nitrogen Leaching Rates)은 관 행 영농 방식에 비해 35~65%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토양 표면과 내부, 그리고 표 층수에서 잔류 제초제․살충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친환경 농업을 도입 하면서 이러한 투입재 사용을 완전히 금지하였기 때문이다.

스위스에서 30여 년간 실시한 현장 연구에 따르면, 친환경 영농 방식으로 경작한 농지의 분사형 제초제 성분 활성분(Active Matter)은 통합적 영농8)이나 관행적 영농 방식으로 동일한 작물을 재배하였을 경우와 비교할 때 1/10 수준으로 줄어든다.

토양의 생물학적․물리학적 속성 개선

여러 국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관리한 경지는 유기물질 함량, 바이오매스, 효소 함량 등이 많고 안정성이 높으며 투수성이 좋고 바람과 물 에 의해 침식되는 정도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땅을 얕 게 갈고(Shallow Ploughing) 친환경 농업을 실시하면 무경운을 실시한 것만큼의 토양 손실 방지 및 구조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수평적․수직적 통합을 통해 생산 체계를 집약화하고 환경 부담을 경감하고자 하는 방식을 의미한 다. 수평적 통합은 자원, 경종작물, 축산, 임업, 수산업 등 생산 체계 요소 간의 관리 효율화를

영농 방식을 변화

시켜 생태계 서비

스의 소모를 중지

시키거나 회복시키

는 것, 즉 지속가

능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

이다.

(8)

생물학적 다양성 유지

생물학적 다양성은 친환경 농업이 원래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이다. 영농 과 정에서의 다양성은 다양한 영농 활동, 다양한 목초류, 지역 특성에 맞는 윤작 체계, 경종 체계와 어울리는 축산업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잘 어우러지면 그 지역의 동식물군을 다양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생태계 기능을 안정화시킨다. 친 환경 농업을 실시하면 비료, 기계를 이용한 제초, 질병 및 병충해 관리 등을 줄여 서 생물학적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친환경 농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토양 질 관리(충분한 퇴비 공급 등), 경운 방식(무경운 등), 윤작, 간작 등으로 병충해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농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여 저투입 농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방안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로 이루어지지 는 않았다. 전문가들은 유전적 다양성이 적응의 기본 요소라고 보고 있고, 이런 점 에서 안정적인 식품 공급을 위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은 다양한 유전자가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기에 상황에 맞는 보전 방식과 농 가 단위의 종자 관리가 유전자 재조합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친환경 농업 육종가 들이 매우 작은 규모의 개량 계획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흩어져 있어 효과가 높지 않아 정치적․과학적․경제적 지원이 시급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력 증진

얕게 갈기, 가축분뇨 재활용, 퇴비화 기술, 녹비․간작작물 등 활용, 식림업 등을 활성화함으로써 토양 유실을 상당 수준 줄이고, 부식토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 러한 방식을 통해 연간 40~2,000kg/ha의 탄소를 흡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석연료에서 발생하는 질소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콩과 식물과 유기질 질 소를 이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곡물, 초종(grass-clover), 우유 같은 품목의 경우 유기농업을 도입함으로써 단위 생산량당 온실가스 배출량 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감자 등 상대적으로 단위수확이 낮은 품목을 유기농업으 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단위 생산량당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아직 많 은 편이다.

수자원 부족 완화

친환경 농업을 도입하면 비의 토양 흡수가 개선되고 수자원 보유율(Retention Rate)이 높아져서 보다 지속적인 수자원 사용이 가능해진다. 펜실베니아주의 Rodale 지역에서 실시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후가 건조할 때 친환경 농업 방식으로 재 배한 옥수수와 콩의 단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에티오피아 Tigray 지방의 대규모

농업 부문이 영향

을 주고 받는 환경

및 생태계 요소 중

생물학적 다양성,

기후 변화, 수자원

문제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9)

경지에서 수천 농가가 참여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에서도 퇴비와 친환경 농업 방식 을 도입할 경우 단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석연료 사용 경감

미국 농업 부문은 사용하는 에너지의 36%를 무기질 비료와 제초제 제조에 투입 하고 있다. 친환경 농업 부문은 이러한 투입재를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사용량이 일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식물성 유기질을 발효시켜 만드는 농업 부산물 디젤 (agro-disel)을 기계류 및 수송용 유류 대신 사용하면 추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 다. 이런 점에서 친환경 농업은 순 에너지 생산자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사회․경제적 효과

농가 경제에 기여

친환경 농업에서 얻을 수 있는 평균 소득은 표준적인 관행 농업으로 얻을 수 있 는 기대소득의 80~120% 수준이다. 다양한 품목을 함께 재배하는 경우 가장 높은 수익을 얻기 쉬운 반면, 친환경 양돈이나 집약적 축산을 하는 경우는 수익성이 오 히려 낮은 편이다. 축산 부문의 수익성이 낮아지는 이유는 사료 비용이 더 많이 들 고 축사 구조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친환경 농업의 수익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관행 농법의 요소와 비슷하다. 단수 차이, 생산자 수취 가격, 직불금 수령액, 노동 및 가변 비용 등이 친환경 농업과 관 행 농업의 수익성 차이를 결정짓는 요인들이다.

사회적 편익 증진

친환경 농업은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친환경 농가는 농가당 고용 인 력 규모가 더 큰 편이다. 이러한 경향은 화훼 등 부가가치가 높은 품목 농가와 소 매․가공을 병행하는 농가에서 종종 나타난다. 이론의 여지가 있지만 친환경 농업 이 생산자와 종사자의 직업 만족도와 행복도를 높여준다는 증거도 있다. 또한 화 학물질에 상대적으로 적게 노출되어 건강에 이로울 수도 있으나, 노동량이 많아 이러한 이점이 상쇄될 수도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친환경 농업인들은 보다 젊 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보다 다양한 기술 및 지식 이전 활동(교육 등)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농식품 부문은 여성의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야이 기도 하다.

친환경 농업의 수

익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관행 농법

과 비슷하다. 그러

나 사회적 효과 측

면에서 양자는 차

이를 보인다.

(10)

- 친환경 농산물은 제초제나 질산비료와 같이 가치를 감모시키는 성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다.

- 병원성 미생물(곰팡이, 대장균 등) 문제에 있어 친환경 농식품은 관행 농산물․식품만큼 안전하 다.

- 친환경 농식품은 비타민 C 함량이 더욱 많은 편이다.

- 친환경 농식품은 대체로 맛이 더 좋다.

- 친환경 농식품은 대체로 단백질 함량이 낮다.

업은 수입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용 창출 효과가 크기 때문에 농촌 지역 경제 활성 화에 기여하는 바가 많다. 더욱이 직판, 가공 및 농촌 관광 등 부가가치를 높이는 활동과도 연계할 수 있다.

친환경 농업 관련 정책은 농촌 지역 혁신에 촉매 작용을 할 수 있다. 친환경 농 업이 농촌 지역 내 삶의 질 향상과 다각화, 지역 특성 강화, 경관 및 문화유산 등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가 다수 있으며, 농촌 관광과의 연계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식품 품질과 안전성 제고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친환경 농산물․식품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 다(건강, 맛있음, 고유함, 지역성, 다양성, 신선함, 적은 가공, 제초제 사용 안 함 등). 친환경 농식품의 이러한 속성은 생산 과정과 밀접한 과정을 가지며 동물 복지 등의 개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동안 수행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친환경 농식 품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지니고 있다.

참고자료

발전을 위한 농업 지식·과학·기술 국제 평가 홈페이지(http://www.agassessment.org/) 세계도시라이브러리 홈페이지 (http://www.makehopecity.com)

세계유기농운동연맹(IFOAM) 홈페이지 (http://www.ifoam.org) 새천년 생태계 평가 홈페이지 (http://www.millenniumassessment.org) 에너지관리공단 홈페이지 (http://www.kemco.or.kr/)

유럽연합집행위원회, FP7 in Brief, 2007.

FFRAF report: foresighting food, rural and agri-futures, 2007.2.

FiBL and IFOAM EU Group, Organic Action Plans- Development, implementationa and evaluation, 2005.

GlobalGAP 홈페이지 (http://www.globalgap.eu)

IFOAM EU Group and ISOFAR, Vision for an Organic Food and Farming Research Agenda to 2025, 2008.7.

Meier-Ploeger A., Quality of organic Food: Pereption and Criteria. Elm Farm Research Centre, Bulletin No. 60, 14 pp, 2002.

친환경 농업 관련 정책은 농촌 지역 혁신에 있어 촉매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도 긍정적인 인식

을 심어주고 있다.

참조

관련 문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막형성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알로에추출물 등으로 대체하고, 상온유화제와 고분자 물질들로 구성된 친환경 저자극 매니큐어를

이를 위해 파이썬의 가장 쉬운 일부 기능만을 다루면서 다양한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주는 예제와 실습으로 구성되어

반도 체 등 IT부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친환경 분야에 대한 투자 역시 상승흐름이 이어지면서 설비투자는 9.0%의 높은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한편 높은 진동수에서 스프링상질량에 대한 진동절연을 위해서 는 낮은 감쇠비 필요, 한편 높은 진동수에서 양호한 접지성을 위 해서는 높은 감쇠비

녹색기술[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관련 융합기술을 포함한다) 등 사회·경제 활동의 전 과정에

한편 소득이 높을수록 신뢰가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개인에 대한 신뢰는 낮지만 기관에 대한 신뢰는 높은 성향을 보이 며 남성은 신뢰도가 낮은

또한 카데킨 성분이 담배의 발암물질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밝혀지 고 있다. 급격한 혈당치

발전원가의 경우, British Gas/Lurgi 가스화기에 저온정제를 적용한 경우가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경우는 역시 transport 가스화기, air-blown인 경우로 나타났다.. 한편, 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