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1 0 년

2 월

년 월 2010 2 석사학위논문

석 사 학 위 논

문 호남남해안 지역의 대설패턴 분석

여수지역 대설패턴 분석

- -

호 남 남 해 안 지 역 의 대 설 패 턴 분 석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대 기 과 학 과

김 경 옥

(3)
(4)

호남남해안 지역의 대설패턴 분석

여수지역 대설패턴 분석

- -

The Analysis of the Heavy Snowfall Pattern in the South Coastal Area at Honam Region

년 월 일

2010 2 25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대 기 과 학 과

(5)

호남남해안 지역의 대설패턴 분석

여수지역 대설패턴 분석

- -

지도교수 류 찬 수

이 논문을 이학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2009 10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대 기 과 학 과

김 경 옥

(6)

김경옥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전문경력

교수 정 효 상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류 찬 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겸임교수 이 종 호 인

년 월 2009 11

(7)

목 차

ABSTRACT

제 장 서론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장 자료 및 분석방법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제 절 자료1 ···3

제 절 분석방법2 ···3

제 장 광주와 전라남도 지방의 강설분포 3 · · · · · · · · · · · · · · · · · · ·

4

제 절 강설강도1 ···4

제 절 전라남도 지방의 연별 강설일수2 ···4

제 절 전라남도 지방의 월별 적설량 분석3 ···6

제 절 최심신적설 순위 분석4 ···10

제 장 사례분석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제 절 사례1 A(1994년 2월 11일) ···11

제 절 사례2 B(2006년 2월 6일) ···24

제 절 사례3 C(1996년 2월 17일) ···36

제 절 사례4 D(1992년 1월 31일) ···48

제 장 요약 및 결론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참고문헌 ···63

(8)

List of Tables

Table 1. Classification of snowfall intensity ···4 Table 2. Total heavy snowfall days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10

(9)

List of Figures

Fig. 1. The number of snow days by regions from 1991 to 2008 ···5

Fig. 2. The number of monthly snow days by regions from 1991 to 2008 ···5

Fig. 3. Snow accumulation in January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6

Fig. 4. Snow accumulation in February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7

Fig. 5. Snow accumulation in March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8

Fig. 6. Snow accumulation in November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8

Fig. 7. Snow accumulation in December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9

Fig. 8. Distribution of the snowfall by the time series on 11 Feb. 1994 ····11

Fig. 9.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00UTC 11 Feb. 1994 12 Fig. 10. Same as Fig. 9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13

Fig. 11. Same as Fig. 9 except for on 12UTC 11 Feb. 1994 ···13

Fig. 12.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00UTC 11 Feb. 1994 ···14

Fig. 13. Same as Fig. 12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15

Fig. 14. Same as Fig. 12 except for on 12UTC 11 Feb. 1994 ···15

Fig. 15. HGTprs chart at 500hPa on 00UTC 11 Feb. 1994 ···16

Fig. 16. Same as Fig. 15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17

Fig. 17. Same as Fig. 15 except for on 12UTC 11 Feb. 1994 ···17

Fig. 18. Isotach chart at 200hPa on 00UTC 11 Feb. 1994 ···18

Fig. 19. Same as Fig. 18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19

Fig. 20. Same as Fig. 18 except for on 12UTC 11 Feb. 1994 ···19

Fig. 21.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850hPa on 00UTC 11 Feb. 1994 ···20

Fig. 22. Same as Fig. 21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21

Fig. 23. Same as Fig. 21 except for on 12UTC 11 Feb. 1994 ···21

Fig. 24.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00UTC 11 Feb. 1994 ···22

(10)

Fig. 28.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18UTC 05 Feb. 2006 25

Fig. 29. Same as Fig. 28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26

Fig. 30. Same as Fig. 28 except for on 06UTC 06 Feb. 2006 ···26

Fig. 31.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18UTC 05 Feb. 2006 ···27

Fig. 32. Same as Fig. 31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28

Fig. 33. Same as Fig. 31 except for on 06UTC 06 Feb. 2006 ···28

Fig. 34. HGTprs chart at 500hPa on 18UTC 05 Feb. 2006 ···29

Fig. 35. Same as Fig. 34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30

Fig. 36. Same as Fig. 34 except for on 06UTC 06 Feb. 2006 ···30

Fig. 37. Isotach chart at 200hPa on 18UTC 05 Feb. 2006 ···31

Fig. 38. Same as Fig. 37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31

Fig. 39. Same as Fig. 37 except for on 06UTC 06 Feb. 2006 ···32

Fig. 40.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850hPa on 18UTC 05 Feb. 2006 ···32

Fig. 41. Same as Fig. 40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33

Fig. 42. Same as Fig. 40 except for on 06UTC 06 Feb. 2006 ···33

Fig. 43.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18UTC 05 Feb. 2006 ···34

Fig. 44. Same as Fig. 43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35

Fig. 45. Same as Fig. 43 except for on 06UTC 06 Feb. 2006 ···35

Fig. 46. Distribution of the snowfall by the time series on 17 Feb. 1996 ··36 Fig. 47.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12UTC 16 Feb. 1996 37 Fig. 48. Same as Fig. 47 except for on 18UTC 16 Feb. 1996 ···37

Fig. 49. Same as Fig. 47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38

Fig. 50.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12UTC 16 Feb. 1996 ···39

Fig. 51. Same as Fig. 50 except for on 18UTC 16 Feb. 1996 ···39

Fig. 52. Same as Fig. 50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40

Fig. 53. HGTprs chart at 500hPa on 12UTC 16 Feb. 1996 ···41

Fig. 54. Same as Fig. 53 except for on 18UTC 16 Feb. 1996 ···41

Fig. 55. Same as Fig. 53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42

Fig. 56. Isotach chart at 200hPa on 12UTC 16 Feb. 1996 ···42

Fig. 57. Same as Fig. 56 except for on 18UTC 16 Feb. 1996 ···43

Fig. 58. Same as Fig. 56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44

(11)

Fig. 62.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12UTC 16 Feb. 1996 ···46

Fig. 63. Same as Fig. 62 except for on 18UTC 16 Feb. 1996 ···47

Fig. 64. Same as Fig. 62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47

Fig. 65. Distribution of the snowfall by the time series on 31 Jan. 1992 ··48 Fig. 66.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06UTC 31 Jan. 1992 49 Fig. 67. Same as Fig. 66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50

Fig. 68. Same as Fig. 66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50

Fig. 69.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06UTC 31 Jan. 1992 ···51

Fig. 70. Same as Fig. 69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51

Fig. 71. Same as Fig. 69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52

Fig. 72. HGTprs chart at 500hPa on 06UTC 31 Jan. 1992 ···53

Fig. 73. Same as Fig. 72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53

Fig. 74. Same as Fig. 72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54

Fig. 75. Isotach chart at 200hPa on 06UTC 31 Jan. 1992 ···54

Fig. 76. Same as Fig. 75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55

Fig. 77. Same as Fig. 75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56

Fig. 78.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850hPa on 06UTC 31 Jan. 1992 ···57

Fig. 79. Same as Fig. 78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57

Fig. 80. Same as Fig. 78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58

Fig. 81.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06UTC 31 Jan. 1992 ···59

Fig. 82. Same as Fig. 81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59

Fig. 83. Same as Fig. 81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60

(12)

ABSTRACT

The Analysis of the Heavy Snowfall Pattern in the South Coastal Area at Honam Region

Kim, Kyoung-Ok

Advisor :Prof. Ryu, Chan-Su Ph.D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study of heavy snowfall events on the south coastal region in Honam. What has been relatively low frequency has been implemented for past 18 years from 1991 to 2008. The result of analytic of annual mean snow day was 9.9 days. It is the lowest frequency of snowfall in Honam region. The snowing day which exceed the criterion of heavy snow advisory (more than 5cm) was only has been divided by four days (11 Feb. 1994, 6 Feb. 2006, 17 Feb. 1996 and 31 Jan. 1992).

The pressure of the day when heavy snow fall event two patterns in this region.

In the first case, it snows when the depression comes from the west passed over the northern yellow sea. But, in the second case, it falls heavy snow due to developing the depression centered over in the south-east yellow sea and expansion of Siberia high (cP). In case of which depression passes the southern yellow sea that come from the west, there is generally high temperature distribution (from 0℃ to -3 ) owing to the depression in the south-west sea.℃ And then it shows both rainfall and snowfall in some regions. Also, the depression is developed when snowfall shows moist snow-flake type, 5580gpm line located on 500hPa weather chart and Siberia high (cP) is weak. Heavy snow is developed on a national scale and the depression moves to northeast direction with center in the south sea area as the warm moist area of the south sea is

(13)

south-east sea affects Yeosu region as Siberia high expands and easteries inflows.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is placed in Yeonhaeju region at 500hPa weather chart, this is affected by pressure through. It generally appears low temperature distribution (from -6℃ to -9℃), dry snow-flake type, lots of snowfall in the eastern area which doesn't expand to the western area, and then the cold moves to the south area, this results that the temperature density line is placed in southern area at 850hPa.

To analysis of two patterns of Honam, the south sea is useful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of heavy snowfall and to reduce the disaster.

(14)

제 장 서론 1

겨울철에 내리는 대설은 인명피해와 산업재해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 다. 특히, 북반구 중위도 편서풍 지대에 속한 한반도는 겨울철에 대륙성 한대기단 인 시베리아 기단이 확장할 때 대기가 상대적으로 온난 다습한 서해상을 통과하면 서 변질되며, 이 변질된 기단의 영향으로 호남지방에 종종 강설이 나타나 대설로 발달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대설이 내리는 패턴을 분석하여 대설을 대비하 여 피해를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기 때문에 시베리아 확장에 따른 대설의 연구는 많은 상태이나,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이 적은 호남 동부 남해안 지역의 대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겨울철 대설현상은 국지성이 크므로 어느 정도 지역이 구분되어 나타난다. 이러 한 겨울철 대설의 특징을 연구한 논문으로는 다음이 있다.

대설현상은 강한 상승운동과 충분한 수분공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육지와 바 다가 인접한 곳이나 기단변질이 잘 일어나는 지역, 그리고 산악의 영향으로 산 경 사면을 상승하는 지역 등에서 잘 나타난다 전종갑 등( . 1994 ; 이동규, 이현아,

서은경 전종갑 육명렬 등 은 남한에서의 대설은 차고 건조

1994 ; , , 1991). (2001)

한 시베리아 기단이 확장하면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상에서 하층운이 발달하여 충청 및 호남지방, 강원도 영동지방 및 울릉도지방에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와 저 기압이 통과 할 때 전면의 따뜻하고 습윤한 기류가 강하게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경우의 2가지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고 하였다. 한반도의 강설구역은 기단의 영 향에 따라 크게 대관령을 포함한 영동지역, 호남서해안지역, 울릉도지역 등 세 구 역으로 나뉘어 진다 김성삼( , 1979; 전종갑 등, 1994). 이중 호남 서해안지방의 강 설과 관련하여 민경덕(1974)은 겨울철 황해상의 열 및 수증기 수지해석과 이들이 시베리아 기단의 변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Park and Joung(1984)은 기단 변질모델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서해안에 빈번히 발생하는 소낙눈이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변질에 의한 것임을 설명하였다.

특히 호남지방의 강설을 분석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

(15)

정구조를 보일 때 혼합에 의해 상공까지 뻗쳐, 지향류에 따라 이동하여 지형효과 를 형성하게 된다 정근영( , 1999). 호남지방의 강설현상은 크게 2가지 메커니즘으 로 나눌 수 있다. 차고 건조한 한랭한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 해상을 이류하여 하층운이 발달하여 강설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와 발달한 저기압 또는 기압골이 통과할 때 강설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나, 호남지방의 주 강 설 현상은 시베리아 기단의 변질과 지형효과가 중첩되어 나타난다 황영하( , 2005).

나충한과 김병선(1990)은 호남지방의 대설은 cP(시베리아 고기압) 영향인 경우 광 주를 비롯한 서해안지방에, 기압골에 의한 경우는 전북내륙지방에 빈도가 높고, 주로 야간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호남지방의 대설을 850hPa면상의 solenoid 와 연관 지은 연구가 있다 서정갑( , 1990). 전남 지역 중 특히 광주지역에 대설이 많이 일어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서해상을 통과하여 한반도 서해안 지역에 강설을 발생시키고 노령산맥과 차령산맥의 중앙에 위치한 광주 일대는 지형에 의한 효과로 인해 추가된 강설까지 더하여 광주 일대에 대설 을 야기하였다 신기창( , 2007).

이렇게 호남지역의 대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며, 대설 메커니즘에 대 한 연구도 활발한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호남지역으로 대설 빈도수가 많고 대설의 양도 많아 많은 피해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에 비해 대설의 발생 빈도가 낮은 전남 남해안 지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대설 발생 빈도가 낮아 전남 남해안 지역은 대 설에 대한 대비가 취약한 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남 남해안 지역의 대설 패턴을 연구하여 전남 남해안 지역의 대설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자 한다. 전남 남해안 지역 중 완도 지역은 서 쪽지역으로 위치해 있어,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 시에 대설이 내리는 경우가 발생 하나, 여수 지역은 전남지역과 다른 강설 패턴을 보이고 있어, 여수 지역의 강설 사례를 연구하여 전남 남해안 지역의 지역적인 대설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위험기상으로 판단하는 대설주의보 기준치 값인 신적 설량 5cm 이상인 날을 1991년에서 2008년의 18년 동안 여수 지역에 기록한 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최심신적설이 5cm 이상 발생한 날은 4일이며, 이 4일

(16)

제 장 자료 및 분석방법 2

제 절 자료1

이 연구에서는 광주 및 전라남도지방에 18년(1991~2008년) 동안 강설이 발생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여수지역과 전라남도 지역의 강설 패턴을 비교 분 석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는 자료의 신뢰도와 연속성을 위하여 전라남도 5개 기상 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중 진도기상대는 2002년부터 관측이 시작되어 분석 지역에서는 제외시켰다.

여수지역과 전라남도 지역의 적설패턴의 비교 분석을 위하여 18년 동안의 눈 발 생 일수를 분석하였으며, 여기서 눈 발생 일수란 눈 현상이 관측 된 날을 말한다. 또한 월별 적설량을 분석하였으며, 이 자료에서 사용한 적설 현상 일수와 적설량 은 일 최심신적설이 관측된 날과 일 최심신적설량을 말한다.

제 절 분석방법2

신적설이 대설주의보 기준치 이상 내린 날을 위험기상으로 구분하므로, 1991년 부터 2008년 사이에 여수지역의 신적설이 대설주의보 기준치인 5cm 이상 관측 된 날을 추출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 중 여수지역에 일 최심신적설이 5cm 이상인 날은 1994년 2월 11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총 회가 발생하였다 이 날

1996 2 17 , 2006 2 6 , 1992 1 31 4 . 의 지상, 850hPa, 500hPa, 200hPa 일기도를 분석하였고, 850hPa 등풍속선과 바람 벡터 자료를 분석하였다.

참조

( ; http://nomad3.ncep.noaa.gov/ncep_data/index.html )

(17)

제 장 광주와 전라남도지방의 강설분포 3

제 절 강설강도1

강설의 강도는 Table 1과 같이 지물의 윤곽이 보이지 않게 되는 거리, 강수강 도, 내리는 상태 등으로 구분한다. 강설량은 눈으로 내린 강수량을 뜻하는 것으 로, 눈이 녹은 물의 깊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적설은 관측 노장에 눈이 1/2 쌓였 을 때 적설판에 쌓인 눈의 깊이로 나타낸다. 이중 일계를 기준으로 24시간 동안에 새로 내려 쌓인 적설을 신적설, 일계와 무관하게 관측하는 적설을 구적설이라 한 다.

Division intensity(0) intensity(1) intensity(2)

rainfall intensity

1.0mm/hr under (about snow lie thiny during 3~4

min)

1.0mm/hr above~3.0 mm/hr under (about snow lie thiny during 3~4

min)

3.0 mm/hr above (about snow lie thiny during 3~4

min)

visible 1km above 0.2km above~1km

under 0.2km under Table 1. Classification of snowfall intensity.

제 절 전라남도 지방의 연별 강설일수2

전라남도 지방의 18년(1991~2008년 동안) 5개 지점의 평균 강설일수를 분석해 보 면 광주지역이 가장 많은 26.9회의 빈도수를 나타냈으며, 여수지역이 가장 낮은 빈도인 9.3회가 발생하였다. 여수지역을 제외하고 전남지역의 평균 강설일수는 회가 발생하였으며 여수지역은 평균 눈 일수보다 낮은 발생 빈도를 나타냈

21.9 ,

(18)

Snow days

26.9

23.6

9.3

16.2

20.7

0 5 10 15 20 25 30

G wa ngiu Mokpo Y e os u W an do S un cheon

Region Days

Fig. 1. The number of snow days by regions from 1991 to 2008.

Month to month snow days

175

87

24

4 12

120

23 25

0 0 1

16 0

40 80 120 160 200

Jan Feb Mar Apr Nov Dec

Month to month Snow days

Gwangiu Mokpo Yeosu Wando Suncheon

Fig. 2. The number of monthly snow days by regions from 1991 to

(19)

제 절 전라남도 지방의 월별 적설량 분석3

월과 월의 전라남도 지역의 년 동안의 월별 평균 적설량을 분석해 보면 월

1 2 18 1

은 여수지역이 내륙지역에 비해 평균 적설량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1월 총적설량은 광주지역에 300.5cm로 가장 많았고, 여수지역은

가 내렸다 18.1cm .

January

2.37

1.75

0.91

1.25 300.5 2.02

203.5

18.1

58.8

163.8

0.00 0.50 1.00 1.50 2.00 2.50

Gwangiu Mokpo Yeosu Wando Suncheon

Region Amount of

snow cover

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Jan amount of snow coverl Jan total amount of snow cover

Fig. 3. Snow accumulation in January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월은 전라남도 지역 중 여수지역이 월 평균 적설량이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나

2 2

나 총 적설량은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특히 2월은 해안 지역에 위치한 지역에 서 적설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완도와 여수 지역은 총 적설량이 48.1cm와 45.4cm 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2월 평균 적설량이 여수 지역이 높게 나타난 것은 2월에 여수지역에 눈 현상 발생 빈도가 낮아 총 18년 동안 2월에 눈 현상이 25회 발생하 여 현상 일수가 작아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20)

February

2.98

1.87

2.16

1.34

2.33 196.8

119.6

45.4 48.1

125.6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Gwangiu Mokpo Yeosu W ando Suncheon

Region Amount of

snow cover

0.0 50.0 100.0 150.0 200.0 250.0

Feb amount of snow cover Feb total amount of snow cover

Fig. 4. Snow accumulation in February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월에는 년 동안 여수지역에 적설량이 기록되지 않았으며 월은 전라남도

3 18 , 11

지역에서 여수지역이 두 번째로 높은 평균 적설량을 기록하였다. 11월은 여수지역 과 완도지역에서 1회만 최심신적설이 기록되었으며, 이 값이 평균값으로 표출되었 기 때문에 평균적설량이 높게 나타났다. 11월이 3월에 비해 적설일수와 적설량이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광주지역은 3월과 11월의 총적설량이 42.3cm와

로 비슷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39.3cm .

(21)

March

1.92

0.91 0.97

1.37 42.3

16.4

5.8

24.6

0.00 0.50 1.00 1.50 2.00 2.50

Gwangiu Mokpo Yeosu Wando Suncheon

Region Amount of

snow cover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Mar amount of snow cover Mar total amount of snow cover

Fig. 5. Snow accumulation in March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November

3.28

1.30

1.60

0.30

1.60 39.3

5.2

1.6 0.3

8.0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Gwangiu Mokpo Yeosu Wando Suncheon

Region Amount of

snow cover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Nov amount of snow cover Nov total amount of snow cover

Fig. 6. Snow accumulation in November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s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22)

월도 월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여수지역은 월에 월 평균적설

12 1 , 12 12

량과 총적설량이 0.8cm와 10.4cm로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하였다.

December

3.93

2.81

0.80

2.23 2.50

349.8

207.9

10.4

71.3

155.3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Gwangiu Mokpo Yeosu Wando Suncheon

Region Amount of

snow cover

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Dec amount of snow cover Dec total amount of snow cover

Fig. 7. Snow accumulation in Dec. and the mean snowfall at each station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전라남도지역의 월별 적설량을 분석해 보면 3월과 11월이 전반적으로 적설이 적 게 기록되었다. 여수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1년 중 2월에 총 적설량 45.4cm로 가장 많은 적설을 기록하였으며, 두 번째로 총적설량을 많이 기록한 1월의 18.1cm 보다 두 배 이상의 적설량을 기록하여 월별 편차가 심하게 타나났다.

여수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1월과 12월에 총적설량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 며 가장 많은 적설량을 기록하였다, .

(23)

제 절 최심신적설 순위 분석4

년부터 년까지 년 동안 대설주의보 기준치인 이상의 최심신적설

1991 2008 18 5cm

을 기록한 일수를 분석해 보면 Table 2와 같다. 광주지역은 최심신적설이 5cm 이 상인 날이 61회로 가장 많았으며, 여수지역은 4회로 가장 낮은 횟수를 기록하였 다. 전반적으로 전남남해안에 위치한 여수와 완도 지역에서 각각 4회와 9회로 다 른 지역에 비해 5cm 이상 나타난 횟수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Region Gwangiu Mokpo Yeosu Wando Suncheon Number of

days 61 26 4 9 26

Table 2. Total heavy snowfall days at each stations in Jeollanam-do region from 1991 to 2008.

위의 분석 결과를 보면 여수지역은 눈 현상이 가장 적게 나타나며 적설량도 적, 은 지역에 위치해 있다.

년 동안 최심적설량이 이상 나타난 날인 년 월 일 년 월

18 5cm 1994 2 11 , 1996 2 17

일, 2006년 2월 6일 및 1992년 1월 31일의 대설특징을 분석하여 해석하고자 하였 다.

(24)

제 장 사례 분석 4

제 절 사례1 A(1994년 2월 11일)

년 월 일은 여수 지역에 년 동안 가장 많은 적설량을 기록한 날이다

1994 2 11 18 .

이날 최심신적설이 23시 45분에 14.7cm를 기록하였으며, 아침부터 내린 적설이 12 일까지 적설을 기록하였다. 여수지역에 18년 동안 가장 많은 적설을 기록한 날이 었으나, 완도지역에서는 낮 동안 소낙성 눈이 내렸으나 전반적으로 비 형태로 강 수가 내리면서 일 강수량이 15mm를 기록하였다. 저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눈 이 내렸으며, 남부지역에서는 비와 눈 현상이 같이 나타났다. 사례 A의 시간별 3 시간 신적설량을 보면 12시 이전부터 신적설을 기록하여 12시와 15시 사이에 가장 눈이 많이 내렸다.

F e b r u a r y 1 1 t h 1 9 9 4

0 1 2 3 4 5 6 7 8

03 06 09 12 15 18 21 24

Time Snow cover

Fig. 8. Distribution of the snowfall by the time series on 11 Feb. 1994.

(25)

의 지상일기도에서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Fig. 9 ,

여수지역으로 1020hPa 선이 위치해 있다. 중국 중부지역 중 상해 부근에 중심을 둔 저기압이 위치해 있으며, 중심기압은 1008hPa 선이 위치해 있다. 또한 캼챠카 남도 남서쪽에 중심을 둔 중심기압 972hPa의 저기압이 위치해 있다. 2월 11일 9시 에는 여수지역까지 저기압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적설을 기록하지 않았다.

Fig. 9.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00UTC 11 Feb. 1994.

을 보면 저기압 전면에 여수지역이 위치해 있으며 선이 위치해

Fig. 10 , 1016hPa

있다. 1016hPa 선이 점차 위치하면서 여수지역에 강한 적설이 내렸고, 1012hPa 선 이 위치하면서 소강상태를 보였다. 캄챠카반도지역으로 저기압이 위치하고 있어 남서해상에 위치한 저기압의 이동이 느린 형태를 보였으며, Fig 11을 보면, 점차 동진하면서 등압선이 조밀한 형태를 보여 저기압이 강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시베리아고기압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저기압이 발달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 다. 여수지역은 저기압 중심이 해상에 위치할 대 저기압 전면에서 강한 적설이 내

(26)

Fig. 10. Same as Fig. 9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27)

를 보면 에 선이 위치해 있으나 점차 남쪽 저기압이 다가오 Fig. 12 850hPa -4℃

면서 기온선이 상승하여 Fig. 13에서는 0℃ 선이 위치하며 남쪽 기압골의 영향으 로 온도능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 0℃선이 위치하면서 완도지역으로는 강수가 내 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850hPa 기온선이 높게 나타나면서 습설 형태의 적설을 기 록하여, 여수지역 가장 많은 최심신적설을 기록하였다.

Fig. 12.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00UTC 11 Feb. 1994.

또한, 중국 내륙지역으로 기온선이 점차 하강하는 형태를 보여, Fig. 14에서는 선이 상해지역까지 남하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남부지역으로

-6℃ ,

위치한 온도능도 기온선이 북상하고 조밀해지고 있다.

(28)

Fig. 13. Same as in Fig. 12 except for on 06 UTC 11 Feb 1994.

(29)

에서 선이 우리나라 전라남도 지역으로 지나가고 있으며 캄

Fig. 15 5520gpm ,

챠카 반도 지역으로 절리 저기압이 위치해 있다. 이 절리저기압의 영향으로 기압 계의 이동이 느려지면서 우리나라에 위치한 등압선이 약간 남하하는 형태를 보이 면서 5520gpm 선이 남부해상에 위치해 있다.

중국 북부지역으로 기압곡이 위치해 있으나, 점차 이 기압골이 다가오면서 Fig.

에서는 산둥반도 지역으로 기압골이 형성되어 있다

17 .

Fig. 15. HGTprs chart at 500hPa on 00UTC 11 Feb. 1994.

(30)

Fig. 16. Same as Fig. 15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31)

에서는 화남지역과 남해상 일본 열도를 걸쳐 가장 바람이 강한 구역이

Fig. 18 ,

위치해 있으며, 55m/s 선이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Fig. 19의 06 에서는 선까지 북상하여 위치해 있다

UTC 38℃ .

또한 이때 60m/s 선은 전시간과 비슷하게 경상남도 해안에 위치해 있어, 60m/s 선과 55m/s 선의 넓이가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다. Fig. 20에서는 등풍속선이 점 차 남하하여 55m/s 선이 경상남도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등풍속선도 조밀한 형태 를 보이고 있다.

Fig. 18. Isotach chart at 200hPa on 00UTC 11 Feb.

1994.

(32)

Fig. 19. Same as Fig. 18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33)

일기도의 등풍속선과 바람벡터를 분석해 보면 에서 우리나라 내

850hPa Fig. 21

륙지역으로는 바람이 6㎧ 이하로 불고, 서해상으로 9~15㎧ 이상의 등풍속선이 위 치하면서, 두 바람대의 경계지역으로 수렴대가 위치해 있다. 또한, 우리나리 지역 을 경계로 서쪽과 동쪽으로 저기압성 순환이 발생하고 있어, 우리나라 동서지역으 로 수렴역이 위치해 있다.

Fig. 21.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850hPa on 00UTC 11 Feb. 1994.

와 에서 점차 저기압이 다가오면서 남서풍이 강하게 유입되고 있 Fig. 22 Fig. 23

으며, 남서 해상으로 약한 저기압성 순환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22에 서 남풍과 북풍이 만나는 지역으로 적설을 기록하였으며, 남서풍이 유입되면서 일 중 적설이 내렸다. 저기압 중심 후면에서 저기압성 회전이 발생하고 있다. 여수지 역으로 가장 강한 적설이 내린 Fig. 22에서는 남부 해상으로 약한 바람대가 위치 해 있었으며, 여수지역에 소강상태를 보이는 Fig. 23에서는 해상으로 바람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34)

Fig. 22. Same as Fig. 21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35)

등풍속선과 등풍속선은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에

850hPa 925hPa , Fig. 25

서 12~15㎧의 바람이 충청도지역가지 확장한 것을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925hPa 의 바람이 850hPa 바람에 비해 내륙지역까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925 hPa의 바람벡터는 남동풍이, 850 hPa의 바람벡터는 남풍이 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온난이류가 유입되어 저기압이 발달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Fig. 24.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00UTC 11 Feb. 1994.

(36)

Fig. 25. Same as Fig. 24 except for on 06UTC 11 Feb.

1994.

(37)

제 절 사례2 B(2006년 2월 6일)

년 월 일은 최심신적설은 를 기록하였으며 이 날은 년 동안 세

2006 2 6 6.8cm , 18

번째로 신적설이 많이 내린 날이다. 2월 6일 시간별 3시간 최심신적설 값을 분석 해 보면, 3시와 6시경에 가장 많은 눈이 내렸으며, 11시 56분에 최심신적설 값을 기록하였다.

F e b r u a r y 0 6 t h 2 0 0 6

0 0.5 1 1.5 2 2.5 3 3.5 4

03 06 09 12 15 18 21 24

Time Snow cover

Fig. 27. Distribution of the snowfall by the time series on 05 Feb. 2006

지상 일기도를 분석해 보면 사례 A와 비슷하게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뚜렷 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우리나라까지 확장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해 지역에 위치한 저기압이 우리나라 쪽으로 이동해와 남쪽 저기압의 영향으로 눈이 내린 날이었다.

을 보면 진도 지역으로 등압선이 위치해 있으며 동해상으로 중

Fig. 28 1024hPa ,

심기압 1028hPa의 고기압이 위치해 있고, 캄챠카반도 지역으로 저기압이 위치해 있다. 진도지역으로 1024hPa이 위치해 있으나, 이 시간 전부터 적설이 내리기 시

(38)

에서 중국 대륙지역에 위치한 기압골이 에서는 중심기압

Fig. 28 Fig. 29 1020hPa

의 저기압으로 발달 하였다. 남서해상에 위치한 저기압을 따라 1020hPa이 남부해 상에 위치해 있으나 저기압이 동진 하면서 Fig. 30에서는 1020hPa 선이 중부지역 까지 위치해 있다. 발해만 지역으로 저기압이 발달하는 Fig. 29에서부터 여수지역 으로 적설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Fig. 28.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18UTC 05 Feb. 2006.

(39)

Fig. 29. Same as Fig. 28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Fig. 30. Same as Fig. 28 except for on 06UTC 06 Feb.

(40)

사례 B는 사례 A에 비해 저기압의 세력이 약하며, 또한, 동해상에 고기압이 위 치하고, 발해만 지역으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남쪽에 위치한 저기압이 북동진하 지 못하면서 사례 보다 적은 최심신적설을 기록하였다A .

을 보면 여수지역 및 남부 해안지역으로 선이 위치해 있으며 약한

Fig. 31 -6℃ ,

온도능의 영향을 받고 있고, 중국 상해 지역으로 온도골이 위치해 있다. Fig. 32 에서는 -6℃ 선이 남해상까지 남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ig. 33에서는 -3℃ 선 이 남부 해안지역으로 위치해 있다.

남해상에는 온도능이 상해지역으로는 온도골이 위치해 있으며, 남쪽 저기압이 우리나라 지역으로 다가오면서 발해만 지역에 위치한 -9℃ 선이 산둥반도 지역까 지 남하면서 온도선이 조밀해지는 형태를 보였다.

Fig. 31.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18UTC 05 Feb. 2006.

(41)

Fig. 32. Same as Fig. 31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42)

에서는 선이 전라남북도 경계지역으로 위치해 있으며 점차 남

Fig. 34 5520gpm ,

하하여, Fig. 35에서는 남해상에 5520gpm 선이 위치하다 Fig. 35에서 다시 북상하 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캄챠카 반도 지역으로 중심기압 4800gpm의 저기압이 위치 해 있으며, 캄챠카 반도 지역에 위치한 저기압이 정체하는 형태를 보이면서 몽골 남부지역에 위치한 기압골이 발달하면서 Fig. 36에서는 5400gpm 선이 산둥반도 지 역까지 남하하여 점차 등고선이 조밀해지는 형태를 나타냈다.

Fig. 34. HGTprs chart at 500hPa on 18UTC 05 Feb. 2006.

(43)

Fig. 35. Same as Fig. 34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Fig. 36. Same as Fig. 34 except for on 06UTC 06 Feb.

(44)

을 보면 제트축은 일본 동쪽해상으로 위치해 있으며 선은 대마도

Fig. 37 , 80㎧

북쪽지역으로 위치해 있다. Fig. 38에서는 80㎧ 등풍속선이 남부 해안선에 위치해 있으며, Fig. 37에서 백두산 지역에 위치해 있던 50㎧ 등풍속이 남하하여 평양지 역까지 위치해 있다 우리나라 남부 지역으로 등풍속선이 조밀해지는 형태를 보였다. .

Fig. 37. Isotach chart at 200hPa on 18UTC 05 Feb. 2006.

(45)

Fig. 39. Same as Fig. 37 except for on 06UTC 06 Feb. 2006.

등풍속선과 바람 벡터를 분석해 보면 에서 동해상으로 이이

850hPa Fig. 40 4㎧

하의 중심이 위치해 있으며, 전라남도 지역을 경계로 수렴역이 형성되어 있다. 남 부 지역으로 강풍 축이 지나가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수렴역 전면에서 남서풍 이 강하게 유입되고 있을 때 여수지역으로 가장 많은 적설을 기록하였다.

(46)

에서는 수렴역이 남부 해상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계선을

Fig. 41 ,

따라 남서풍이 유입되고 있다. 우리나라 내륙지역으로 6 ㎧ 이하의 바람이 나타나 고 있으며, Fig. 42에서는 수렴역이 제주도 남부 해상까지 남하하였다.

Fig. 41. Same as Fig. 40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47)

등풍속선을 보면 등풍속선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925hPa 850hPa ,

일기도에서 저기압 중심의 바람이 의 중심보다 약하게 나타나고 있

925hPa 850hPa

다.

을 보면 에 비해 바람의 수렴역 경계지역이 남부 해상에 위치해 Fig. 43 Fig. 40

있으며, 여수지역으로 남동풍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바람의 상하층이 반전이 일 어나 저기압은 발달하나, Fig. 45 이후부터는 상하층에 순전하는 바람 형태가 나 타났다.

Fig. 43.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18UTC 05 Feb. 2006.

(48)

Fig. 44. Same as Fig. 43 except for on 00UTC 06 Feb.

2006.

(49)

제 절 사례3 C(1996년 2월 17일)

이날은 여수 지역에 두 번째로 많은 적설이 내린 날로, 적설량은 8.8cm를 기록 하였다. 시간별 3시간 최심신적설 값을 분석해 보면 0시와 3시 사이에 가장 많은 신적설량을 기록하였으며 일 최심신적설 값은, 8시 45분에 나타났다.

을 보면 중심기압이 인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여 점차 우리나 Fig. 47 1052hPa

라 지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마라도 지역으로 약한 남쪽 기압골이 형 성되어 있고, 우리나라 중부 지역으로 1024hPa 선이 위치해 있다. Fig. 48에서는 시베리아 고기압 중심이 1056hPa로 점차 고기압이 강해지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 며, 1024hPa 선도 경상도 경계지역까지 남하한 형태를 보였고, Fig. 49에서는

선이 경상남도 지역까지 남하하였다

1024hPa .

여수지역에 신적설이 가장 많은 시간대인 Fig. 48의 1024hPa 선이 Fig. 47의 F e b r u a r y 1 7 t h 1 9 9 6

0 1 2 3 4 5 6 7

24 03 06 09 12 15 18 21

Time Snow cover

Fig. 46. Distribution of the snowfall by the time series on 17 Feb. 1996

(50)

Fig. 47.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12UTC 16 Feb. 1996.

(51)

Fig. 49. Same as Fig. 47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을 보면 전반적으로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고 있어 등온선이 조

Fig. 50 ,

밀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 중부 지역으로 -12℃의 온도골이 위치해 있고, 여수지역으로 -6 ℃ 선의 온도능이 위치해 있다.

적설이 내리는 동안 여수지역에 위치한 -6℃ 선의 기온선의 변화는 없으나, 에서는 기온선이 점차 하강하여 선이 남부 해상에 위치해 있다

Fig. 52 -6℃ .

(52)

Fig. 50.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12UTC 16 Feb. 1996.

(53)

Fig. 52. Same as Fig. 50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을 보면 연해주 지역에 중심을 둔 저기압이 위치해 있으며 남부 해안지

Fig. 53 ,

역으로 5580gpm선이 위치해 있다. Fig. 53에서는 중국 중부지역으로 약한 기압골 이 위치해 있었으나, 점차 등고선은 평행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5580gpm 선이 여수지역 및 남부해안 지역으로 위치해 있고, 캄챠카 반도 지역의 절리 저기압은 정체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어, 등압선의 변화는 작다.

에서는 선이 남하하여 남부해상에 위치해 있다

Fig. 55 5580gpm .

(54)

Fig. 53. HGTprs chart at 500hPa on 12UTC 16 Feb. 1996 .

(55)

Fig. 55. Same as Fig. 53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Fig. 56. Isotach chart at 200hPa on 12UTC 16 Feb.

(56)

을 보면 등풍속선이 우리나라 경기도 지역까지 위치해 있으며 남

Fig. 56 , 70㎧ ,

부해상으로 강한 풍속대가 위치해 있다.

에서는 등풍속선이 점차 조밀해지는 형태를 보이며 등풍속선 이 전

Fig. 57 , 70㎧

라남도 경계지역까지 위치해 있다.

에서는 등풍속선이 남부해안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등풍속선이 가

Fig. 58 70㎧ ,

장 조밀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에는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북쪽 내륙지역에 상대적으로 바람이 강하게 Fig. 59 ,

나타나는 가운데 동해상을 중심으로 3㎧ 이하의 약한 바람이 불고 있으며, 서해안 지역으로 수렴역이 위치해 있다. 신적설이 가장 많이 내린 Fig. 60을 보면 서해상 에 불던 바람도 약해지면서 6㎧ 이하의 약한 바람역이 서해상까지 확장해 있으며, 수렴역이 약한 형태를 보였다. Fig. 61에서는 다시 6㎧ 이하의 약한 바람역이 경 상도 지역까지 수축되어 있으며, 서해상으로 북풍이 강하게 불면서 수렴역이 내륙 지역까지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내륙지역으로 바람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남부 연안지역으 로도 바람이 약하게 불면서 뚜렷한 주풍이 나타나지 않았다.

(57)

Fig. 58. Same as Fig. 56 except for on 00UTC 17 Feb.

1996.

Fig. 59.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850hPa on

(58)

Fig. 60. Same as Fig. 59 except for on 18UTC 16 Feb.

1996.

(59)

을 보면 와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에서 바람이 더

Fig. 62 Fig. 59 , Fig.62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서해상에 위치한 수렴대가 전라도 동쪽까지 위치해 있 다.

또한, 850hPa 바람벡터 자료와는 달리 Fig. 63에서도 서해상으로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북풍계열의 바람이 부는 가운데 Fig. 63에서 상층보다 하층의 바람이 강하게 불었다.

Fig. 62.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12UTC 16 Feb. 1996.

(60)

Fig. 63. Same as Fig. 62 except for on 18UTC 16 Feb.

1996.

(61)

제 절 사례4 D(1992년 1월 31일)

년 월 일은 여수지역에 번째로 많은 최심신적설 값을 기록하였으며

1992 1 31 4 , 1

월 31일 24시에 최심신적설이 5.5cm를 기록하였다. 1월 31일 시간대별 3시간 최심 신적설 값을 분석해 보면 18시 이후에 이후에 눈이 시작되어 2월 1일 새벽까지 눈 이 내렸다. 21시와 24시에 가장 눈이 많이 내렸으며, 신적설 값은 5cm를 기록하였 다.

을 보면 몽골 남동지역에 중심을 둔 중심기압 의 시베리아 고기

Fig. 66 , 1032hPa

압이 확장하여 우리나라 쪽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일본 남동해상에 중심 을 둔 중심기압 1004hPa의 저기압이 위치해 있다. 이 저기압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남동지역으로 기압골이 형성되어 있어 저기압의 영향을 받고 있다. 남동해상에 위 치한 저기압은 북동진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Fig. 68에서는 중심기압이 992hPa까지

J a n u a r y 3 1 t h 1 9 9 2

0 1 2 3 4 5 6

0 6 0 9 1 2 1 5 1 8 2 1 2 4 0 3

T im e Sno w co ver

Fig. 65. Distribution of the snowfall by the time series on 31 Jan. 1992

(62)

아 고기압의 세력이 강하게 내려오지 못하고 정체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여수 지역에 눈이 끝나가는 시점인 Fig. 68에서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남하하면 서 여수지역으로 1016hPa 선이 위치해 있다.

를 보면 경상남도 남해안 지역으로 선이 위치해 있으며 경상도 지

Fig. 69 -6℃ ,

역으로 온도능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여수지역은 온도골 전면에 위치해 있다. 점 차 기온선이 하강하는 형태를 보이면서 여수지역에 가장 눈이 많이 온 Fig. 70에 서 보면 -9℃ 선이 여수지역을 지나가고 있으나 점차 -9℃ 선이 북상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Fig. 71을 보면 경상도 지역에 위치한 온도능이 여수지역까지 확장 하여 전라남도 동부지역까지 온도능의 영향을 받고 있다.

에서 산둥반도 지역으로 위치한 온도골이 가장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으 Fig. 70

며, -15℃ 선이 상해지역까지 남하하였다.

에서는 온도골이 약해지면서 선이 상해지역에 위치해 있다

Fig. 71 -12℃ .

Fig. 66. Synoptic weather analysis chart for surface on 06UTC 31 Jan. 1992.

(63)

Fig. 67. Same as Fig. 66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Fig. 68. Same as Fig. 66 except for on 18UTC 31 Jan.

(64)

Fig. 69. Isothermal line chart at 850hPa on 06UTC 31 Jan. 1992.

(65)

Fig. 71. Same as Fig. 69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를 보면 선이 남부 해안 지역으로 지나가고 있으며 연해주 지역

Fig. 72 5340gpm ,

에 중심을 둔 중심기압 5160gpm의 저기압이 위치해 있다. 이 저기압을 따라 우리 나라는 기압골의 영향을 받고 있다. Fig. 73을 보면 이 저기압은 점차 기압골의 형태로 변화하며, Fig. 74를 보면 기압골은 점차 동쪽으로 빠져나가고 있으며, 기 압골이 비활성화 되고 있다.

(66)

Fig. 72. HGTprs chart at 500hPa on 06UTC 31 Jan. 1992.

(67)

Fig. 74. Same as Fig. 72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Fig. 75. Isotach chart at 200hPa on 06UTC 31 Jan.

(68)

의 등풍속선을 분석해 보면 여수지역으로는 등풍속선이 위

Fig. 75 200hPa 35㎧

치해 있으며, 일본 동쪽 해상으로 70㎧ 이상의 바람역이 위치해 있다. 또한, 서해 상으로 등풍속선이 조밀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등풍속선이 사행하는 형태를 보 이고 있다.

에서는 여수지역으로 의 등풍속선이 위치해 있고 에서는

Fig. 76 30㎧ , Fig. 77

의 등풍속선이 위치해 있어 점차 풍속이 약화되고 있다

25~30㎧ .

Fig. 76. Same as Fig. 75 except for on 12UTC 31 Jan.

1992.

(69)

Fig. 77. Same as Fig. 75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의 등풍속선과 바람벡터를 분석해 보면 우리나라 내륙지역으로

Fig. 78 850hPa ,

이하의 풍속이 위치해 있으며 중국 동해상으로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

6㎧ , 14㎧

고 있어 서해상으로 바람의 수렴역이 위치해 있다. Fig. 79에서는 서해상에 위치 한 풍속은 약해져 12~15㎧ 의 바람이 위치해 있으며, 동해상으로는 바람이 강하게 나타나 9㎧ 이상의 풍속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동서지역으로 수렴역이 위치 해 있으며, 내륙지역으로 8㎧ 이하의 바람이 나타나고 있다. Fig. 80에서는 동해 상으로는 중심이 18㎧ 이상의 바람이 나타나고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8㎧ 이상의 바람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수렴역이 약해지는 형태를 보이며, 내륙지 역으로 북동기류가 유입되는 것을 볼 수 있다.

(70)

Fig. 78.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850hPa on 06UTC 31 Jan. 1992.

(71)

Fig. 80. Same as Fig. 78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등풍속선도는 등풍속선과 비슷한 패턴이 나타났으며 에

925hPa 850hPa , Fig. 81

서 보면 중국 동해안 지역으로 Fig. 78에 비해 풍속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 며, 중심으로는 20㎧ 이상의 바람이 위치해 있다. Fig. 82에서도 Fig. 81에 비해 내륙 지역으로 바람이 더 강하게 나타나, 10㎧ 이상의 등풍속역이 위치해 있다. 또한, 이때 남부서해안 지역으로 북풍 위치해 있으나, Fig. 83에서 보면 북동풍이 유입되고 있다.

사례 D에서도 850hPa에 비해 925hPa 등풍속선 값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북동풍이 강하게 불었다.

(72)

Fig. 81. Isotach and wind vector chart at 925hPa on 06UTC 31 Jan. 1992.

(73)

Fig. 83. Same as Fig. 81 except for on 18UTC 31 Jan.

1992.

(74)

제 장 요약 및 결론 5

호남 남동해안 지역에 위치한 여수지역의 대설 패턴을 분석하여 호남 남동 해안 지역의 대설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위험기상의 기준이라고 판단하 는 대설주의보 기준치인 최심신적설 값이 5cm 이상 나타난 날을 추출하여 분석하 였으며, 1991년부터 2008년의 18년 동안의 최심신적설 값이 5cm 이상 나타난 날은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 년 월 일로 총 회가

1994 2 11 , 1996 2 17 , 2006 2 6 , 1992 1 31 4 발생하였다.

가지 대설이 내린 날을 분석한 결과 사례 와 사례 사례 와 사례 로 가

4 A B, C D 2

지 패턴으로 나눌 수 있었다.

사례 A와 사례 B의 공통점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우리나라 지역까지 확장 하지 못한 가운데 상해지역에 중심을 둔 저기압이 다가오면서 여수지역으로 대설 이 내리는 형태를 보였다. 북쪽에 한기가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남해상에 따뜻한 습윤역이 유입되어 전국적으로 대설이 내리는 곳이 많았다. 높은 기온 분포(0~- 를 보이면서 여수지역으로 습설 형태의 적설이 내렸고 완도 등 일부지역에서

3℃) ,

는 강수와 함께 적설이 내리는 형태를 보였다. 500hPa 일기도에서 5520gpm 선이 위치해 있으며, cP(시베리아 고기압 의 세력이 약한 상태에서 저기압이 발달하는) 형태를 보였다. 또한, 200hPa 등풍속선에서는 일본 남부해상으로 강풍축이 형성되 어 있으며, 50㎧ 선이 중부지역까지 위치해 있었다. 바람축이 점차 하강하면서 눈 이 소강상태를 보였다. 850hPa과 925hPa 등풍속선과 바람벡터를 분석해 보면, 수 렴역 전면에서 3시간 최심신적설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하층에 반전형태의 바 람이 불면서 저기압이 발달하는 형태를 보였다. 사례 A가 사례 B보다 최심신적설 값이 2배정도 많이 기록되었는데 두 사례의 차이점으로는 사례 A는 중심기압이 로 사례 의 중심기압 보다 더 발달한 형태를 보였고 사례 에

1004 hPa B 1016 hPa , A

서는 캄챠카 반도 지역으로 중심기압 972 hPa의 강한 저기압이 위치하면서 기압계 의 이동이 사례 B에서보단 정체되는 현상을 보였다. 사례 A에서는 남부해상에 위

(75)

에 비해 눈이 작게 내렸다

A .

사례 C와 사례 D에서도 비슷한 패턴을 보였는데 이 두 패턴에서의 공통점은 시 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우리나라까지 확장하여 영향을 미치는 상태에서 동해상에 위치한 남쪽 기압골이 발달하면서 내륙지역까지 이동해와 여수지역에 대설이 내리 는 패턴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일기도에서 에서 선의 기온 분포를 보이면서 건설 형태의 적설 850hPa -6℃ -9℃

분포를 보였고, 한기가 남하하면서 850hPa 일기도에 온도 조밀선이 남부 지역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보였다. 또한 200hPa 등풍속선을 분석한 결과 등풍속선은 조밀한 형태를 보였다. 사례 C와 D 모두에서 가장 신적설 값이 높게 나타난 시각의

와 등풍속선과 바람벡터를 분석해 보면 내륙지역으로 이하의

850hPa , 925 hPa 6㎧

바람 분포를 보였으며, 눈이 그친 후 바람이 6m/s 이상으로 강하게 부는 형태를 보였다. 두 사례의 차이점으로는, 사례 D에서는 일본 남부 지역으로 저기압이 위 치해 있으면서 이 저기압의 중심 기압이 낮아지면서 발달하는 형태를 보였고, 상 층 500 hPa 일기도에서도 연해주에 중심을 둔 기압골이 위치하는 형태를 보였다. 사례 C에서는 동해상으로 약한 남쪽 골이 위치해 있으며, 상층 500hPa 일기도에서 는 등압선이 평행한 상태를 보였다. 또한 925hPa의 등풍속선 값이 850hPa 등풍속 선 값보다 높게 나타나 하층에 바람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사례 C가 사례 D에 비 해 최심신적설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례 C에서는 남쪽 기압골이 사례 D에 비해 내륙지역까지 확장하지 못하고 남부 해안지역으로 경계선이 위치하는 형태를 보였 다.

여수지역에 대설이 내리는 패턴을 분석한 결과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확장 하지 못하는 경우 남부 해상으로 저기압이 지나가면서 대설이 내렸으며,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강하여 우리나라 지역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 남동해상으로 남 쪽 기압골이 발달하여 여수 지역으로 대설이 내렸다. 남쪽 기압골이 발달하는 경 우 상층보다 하층의 바람이 강하게 불 때, 서해상으로 수렴역이 위치해 있을 경우 여수지역으로 대설이 내렸다.

향후 연구에서는 여수지역에 적설을 기록한 날을 모두 추출하여 여수지역의 적

(76)

참고문헌

김성삼, 1979 : 남한의 10cm 이상의 강설의 기상 조건. 한국기상학회지, 15(1) pp.1-11.

김학송, 2006 : cP 확장시 대기파동에 의한 충청지방의 대설연구. 한국기상학회 지, pp.116-117 .

나충환ㆍ김병선, 1990 : “1991년 1월 하순 전국대설 현상”, 예보기술 3 ,월 기상청, pp.1-8.

류찬수, 권태영, 최효, 이규태, 이재규, 정일웅, 김병곤, 2006 : 국지기상예측기 술개발 강원지방 폭설예측기술개발 기상청 연구개발보고서/ . , ,

류찬수, 손건태, 정영근, 이정형, 이순환, 2006 : 국지기상예측기술개발 호남지방/ 국지호우 대설예측기술개발 기상청 연구개발보고서. . , , 388pp.

민경덕, 1974 : 동계 황해상의 열 및 수증기 수지해석과 이들이 시베리아 기단의 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상학회지, 10(1), pp.1-10.

서정갑, 1990 : cP 확장 시 Solenoid와 호남지방의 강설과의 관계에 대하여. 광주 방기상청, 호남지방고을 기상집, pp.31-34.

신기창, 2007 : 겨울철 cp 확장 시 발생하는 Cloud Streets의 레이더 영상 분석 년 월 일 서해안 대설사례연구

2003 1 3~5 . 한국지구과학회지, p.3

이원구, 2002 : 겨울철 대설 예보기법 서울- ㆍ경기도 지방. 기상청, 2002예보기술 발표회자료 모음집, pp.56-73.

원효성, 정관영, 이강휴, 류찬수, 2006 : 겨울철 대륙고기압 확장 시 호남지방 대 설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pp.44-45.

육명렬ㆍ하창환 유승아ㆍ , 2001 : 2000년 겨울 강설 고찰. 기상학회, 대기 제 11권 호

1 , pp.136-138.

전종갑, 이동규, 이현아, 1994 :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 상학회지, 30(1), pp.90-117.

정상부, 2003 : cP 확장 시 호남지방 신적설 예측기법 개발 분석. 기상청, 2003 예보기술 발표회 자료 모음집, pp.125-130.

(77)

Park, S. U., & Joung, C, H., 1984 : Air modification over the Yellow Sea during cold-air outbreaks in winter.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0(2), pp35-50.

(78)

감사의 글

년간의 대학원의 생활과 졸업 후에 년을 보내면서 지난하게 끌어왔던 논문이

2 1 ,

드디어 결실을 맺어 한 권의 책으로 나오게 되어 진심으로 기쁩니다. 일생을 보냄 에 있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좋은 경험을 많이 하였고, 많은 분들의 따뜻한 관심 과 애정 어린 질책 속에 또 다시 한층 성숙해질 수 있었습니다. 진정한 이 시대의 지식인으로서 소양과 자세를 일깨워준 모든 분들께 한 분씩 찾아뵙지 못하고 이렇 게 지면으로나마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연구와 강의로 바쁘신 가운데도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자상하게 인도해 주 시고 연구방향에 대하여 넓은 안목으로 키워주시며 지도해주신 류찬수 지도교수님 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항상 바쁘신 중에도 세세하게 신경써주시고 논문지도를 해 주신 정효상, 이종호 두 분의 교수님께 진심으로 깊은 고마움을 표하고 싶습니다. 논문에 대한 유익한 말씀과 충고가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부족한 제가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박경우서기관님, 박철홍사무관님, 박균명사무관님, 최종업주무관님, 최경숙 주무관님, 한경석주무관님과 일과 학업을 병행하도록 배려해주신 진도기상대, 여 수기상대 직원 분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논문을 쓰는 과정 중 수많 은 자료와 조언을 아끼지 않고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신 박수정주무관님께 깊은 고마움을 느낍니다.

끝으로, 지금까지 변함없는 믿음과 사랑으로 저를 응원 해주신 사랑하는 우리 부모님과 할머니, 하늘에 계신 할아버지, 동생, 사촌형님내외 가족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외에 제가 미처 언급하지 못한 고마운 분들이 너무나 많습니 다. 그 분들의 이름 하나 하나를 되새기지 못함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이제는 그 동안 받은 것들을 미력이나마 갚기 위해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서 저의 역 할에 충실하고자 합니다. 가깝게는 사랑하는 가족에게, 넓게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구성원으로서 행복과 웃음을 선사할 수 있는 사람이 되 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79)

저작물 이용 허락서

학 과 대기과학과 학 번 20077195 과 정 석 사

성 명 한글 : 김경옥 한문 : 金炅鈺 영문 : Kim Kyoung Ok 주 소 목포시 옥암동 영신그린빌 202 동 502 호

연락처 E-MAIL : kkoprr@korea.kr

논문제목

한글 : 호남남해안지역의 대설패턴분석

영어 : The Analysis of the Heavy Snowfall Pattern in the

South Coastal Area at Honam Region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경향을 보이고 있다.. Fresh snow cover at each station by the time series on 28 Dec. Surface weather chart on 00UTC 28 Dec.. Surface weather chart on 09UTC 28 Dec. Wind rose

3 Mean percentages of bone implant contact ratio i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at 6 and 12 weeks after placement of the

As the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has been implemented at all surface synoptic stations from 1 January 2000, the station index at some stations has been changed7.

As the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has been implemented at all surface synoptic stations from 1 January 2000, the station index at some stations has been changed5. The

As the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has been implemented at all surface synoptic stations from 1 January 2000, the station index at some stations has been changed..

As the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has been implemented at all surface synoptic stations from 1 January 2000, the station index at some stations has been changed5. The

As the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has been implemented at all surface synoptic stations from 1 January 2000, the station index at some stations has been changed5.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