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2)

2015년 2월 석사학위 논문

신생아 정맥영양에서 SMOFlipid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3)

신생아 정맥영양에서 SMOFlipid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linical efficacy of SMOFlipid

in parenteral nutrition of newborns

2015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 학 과

박 미 선

(4)

신생아 정맥영양에서 SMOFlipid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지도교수 박 상 기

이 논문을 의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10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5)

박미선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문경래 印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노영일 印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박상기 印

2014년 11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차

ABSTRACT ⅱ

I. 서론 1

II. 대상 및 방법 3

III. 결과 6

IV. 고찰 10

V. 결론 15

참고문헌 16

(7)

A study of clinical efficacy of

parenteral nutrition with lipid containing fish oil in newborns

Park Mi Seon

Advisor : Prof. Park Sang Ki M.D., 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Objectives: To reduce clinical complications of parenteral nutrition(PN) by choosing the best lipid emuls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6 newborns received PN with either fish oil group(SMOFlipid) or olive oil group(ClinOleic) for at least 7 days in NICU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July 2014, except for those who received lipid emulsion from 5 days after birth.

Clinical complications and serum biochemistry after PN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by medical records.

Results: 6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study group was supplied fish oil-containing lipid emuls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In control group vs study group, the number of prematurity was 38(90.5%) vs 20(83.3%), and an average of birth weight was 1.60 kg vs 1.68 kg.

Diret bilirubin(DB) was uncomparable, because of the minority. Total

(8)

bilirubin(TB) was decreased after PN in ClinOleic group, but increased in SMOFlipid group. ALP and TG was increased and GGT was decreased in both groups.

The rate of cholestasis in ClinOleic group was higher(9.5%) than study group(4.2%), but ROP, sepsis, and NEC were more frequent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ata in the effect of each lipid emulsions. But considering the efficacy of ω-3 fatty acid, we need to try another lipid emulsion which contains more higher content of fish oil. Then a further study with a larger group is needed which might be conducted prospectively, and we should check necessary laboratory findings regularly which are needed for the diagnosis of complications after long period of PN.

Key words : fish oil, olive oil, parenteral nutrition

(9)

I. 서론

신생아에서 호흡이 곤란하여 오랜 기간 동안 기계 환기를 하거나, 재태연령이 낮 아 경장영양이 어려운 미숙아, 괴사성 장염이나 단장증후군 등 수술을 요하여 장 기간 금식을 하는 경우 정맥영양을 하게 된다. 장기간의 정맥영양은 담즙정체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체중이 작은 조산아일수록 담즙 분비 기능과 위장관 기능이 미 성숙하여 수유 진행이 느릴 수 있으며, 장기간의 기계 환기로 인해 장기간의 정맥 영양이 불가피할 수 있어, 담즙정체증이 발생 확률이 더 높다.

과거에는 대두유를 기초로 한 지방제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올리브유 제제가 어유와 대등한 항산화 작용이 있으며 대두유제제에 비해 지방증이나 담즙정체의 발생을 줄여준다는 연구가 있어 장기간의 정맥 영양시에 권장되었고,1) 이후로 최 근에는 오메가-3:오메가-6의 비율이 높은 어유가 포함된 지방제제의 사용이 확산 되고 있다. 올리브유를 기초로 하는 ClinOleic과 어유를 기초로 한 SMOFlipid의 성분을 비교하면, 포장단위나 지방의 함유량, 칼로리 등은 차이가 없으나 어유를 기초로 한 SMOFlipid에는 오메가-3 지방산의 함유량이 높아 임상적인 여러 이점 을 기대할 수 있다.(표1)

오메가-3 지방산은 담즙정체증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항염증, 항산 화 작용이 있어 패혈증의 발생 및 총 재원일수를 감소시키며, 병리학적으로 망막 혈관 신생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이와 같은 임상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한 지 방제제는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개발되어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최근에서야 활발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도 조산아 또는 신생아,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 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3)

이에 저자는 국내 신생아에게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어유를 기초로 한 지방제제가 기존의 대두유나 올리브유를 기초로 한 지방제제에 비해 임상적으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

표 1. ClinOleic과 SMOFlipid의 성분 비교

기본 지방 ClinOleic SMOFlipid

포장단위 (mL) 100 100

지방 함유 (g) 20 20

칼로리 (Calorie/mL) 2 2

총 칼로리 (Cal) 200 200

지방의 성분 (%) 올리브유, 80 대두유, 30

대두유, 20 코코넛유, 30 올리브유, 25

어유, 15

오메가-6:오메가-3 9:1 2.5:1

(11)

II.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011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지방을 포 함한 정맥영양을 한 신생아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지방의 투여 기간 이 7일 미만인 68명과 생후 5일 이상에서 정맥영양을 시작한 15명을 제외하고,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ClinOleic을 투여한 42명의 신생아(올리브유군) 와, 2013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SMOFlipid를 투여한 24명의 신생아(어유군) 총 6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2. 연구방법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대상 환자의 자료(성별, 재태연령, 출생체 중, 1분/5분 아프가 점수)와 산모 자료(출산 시 연령, 조기파막 유무, 임신중독증 유무), 지방제제 공급 방법(오메가-3 지방산의 함유 여부, 투여 기간), 혈청 검사 결과(지방제제 투여 전과 1주/2주/4주/8주 후의 결과) 및 임상적 결과(담즙정체 증, 미숙아망막병증, 패혈증, 괴사성 장염,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재원기간)를 조사하였다.

1) 지방제제 공급 방법

투여된 지방제제의 종류를 조사하였고, 처음 처방된 날과 마지막 처방된 날을 포함하여 투여기간으로 정의하였다.

2) 혈청 검사

혈청검사는 C-반응 단백(C-reactive protein, CRP), 알부민(Albumin), 아스파르

(12)

테이트 아미노전이요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 아미노전이요 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amma glutamyl transferase,GGT),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TB), 직접 빌리루빈(Direct bilirubin, DB),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혈청 포도 당(glucose), 혈액 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크레아티닌(Creatine, Cr), 콜레스테롤(Cholesterol), 중성 지방(Triglyceride, TG) 값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 지방제제를 투여하기 전에 시행한 결과와, 투여 후 각 1주(3~10일), 2 주(11~20일), 4주(21~42일), 8주(43~70일)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3) 임상적 결과

담즙정체증의 발생은 지방제제를 투여하고 최소 1주일 후에 총 빌리루빈이 5 mg/dL 미만이면서 직접 빌리루빈이 1.0 mg/dL 이상인 경우, 또는 총빌리루빈이 5 mg/dL 이상이면서 직접 빌리루빈/총 빌리루빈 비율이 20%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 고, 기저질환으로 담도폐쇄증, 총담관낭종, 감염성 간염, 대사성 간염 등이 있는 경우는 배제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 발생 유무의 판단은 연구대상에 포함된 미숙아 59명 중에서 미숙 아망막병증 분류 위원회의 국제 분류와 cryotherapy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연구의 기준에 따라 1단계 이상의 징후가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

다.5),6) 패혈증의 발생은 지방제제를 한 번이라도 투여한 후 시행한 혈액 배양결과

에서 균이 동정된 경우로 정의하여 그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동정된 균이 S.

epidermidis이면서 임상양상과 맞지 않거나, 다른 균일지라도 채혈 과정의 오염으

(13)

3. 분석방법

자료의 분석은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심의 하에 시행되었다(IRB no.2014-10-013).

(14)

III. 결과

1. 연구대상의 특징

대상 환자와 산모의 임상적 특징은 표 2와 같다.

총 66명 중 남자는 45명(68.2%)이었고, 재태연령이 37주 미만인 미숙아가 59명 (87.9%) 이었으며, 평균 재태연령은 30.9±3.6주, 출생체중은 평균 1.63±0.82 kg, 평균 1분 아프가 점수는 6.85±2.39점, 평균 5분 아프가 점수는 8.17±1.57점 이었다. 각 결과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모의 출산 시 평균 연령은 올리브유군에서 30.6±5.0세, 어유군에서 33.3±3.9 세로 어유군에서 약 3세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23). 조기파 막이 있었던 경우는 13명(19.7%), 임신중독증이 있었던 경우는 1명(1.5%)이었고, 두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 군에서 각 지방 제제를 투여한 기간은 표3와 같았고, 총 투여 기간이 1주 이 상 2주 미만인 경우가 28명(42.4%), 2주 이상 4주 미만인 경우가 25명(37.9%), 투 여 기간이 4주 이상인 경우는 12명(18.2%)이었으며, 그 중 8주 이상을 투여한 환 자는 1명(1.5%)이었다.

(15)

표 2. 환자와 산모의 임상적 특징

(n=66)전체 올리브유군

(n=42) 어유군

(n=24) P 값 환자

남자, (명(%)) 45(68.2%) 29(69.0%) 16(66.7%) 0.842 여자, (명(%)) 21(31.8%) 13(31.0%) 8(33.3%) 0.842 미숙아 (명(%)) 59(87.9%) 38(90.5%) 20(83.3%) 0.374 재태연령 (주) 30.9±3.6 30.4±3.1 31.4±4.3 0.363 출생체중 (kg) 1.63±0.82 1.60±0.76 1.68±0.93 0.718 1분 아프가 점수 (점) 6.85±2.39 6.95±1.92 6.68±3.04 0.691 5분 아프가 점수 (점) 8.23±1.68 8.17±1.57 8.32±1.89 0.738 산모

출산 시 연령 (세) 31.6±4.8 30.6±5.0 33.3±3.9 0.023 조기파막 (명(%)) 13 (19.7%) 9 (21.4%) 4 (16.7%) 0.640 임신중독증 (명(%)) 1 (1.5%) 1 (2.4%) 0 (0.0%) 0.446

표 3. 각 지방제제의 투여기간

올리브유군 (명) 어유군 (명) 합계

투여기간

1주 이상 2주 미만 14 (33.3%) 14 (58.3%) 28 (42.4%) 2주 이상 4주 미만 16 (38.1%) 9 (37.5%) 25 (37.9%) 4주 이상 8주 미만 11 (26.2%) 1 (4.2%) 12 (18.2%) 8주 이상 1 (2.4%) 0 (0.0%) 1 (1.5%) 합계 42 (100.0%) 24 (100.0%) 66 (100.0%)

(16)

혈청 검사 올리브유군 (n=42)

N 어유군 (n=24)

투여 전 투여 종료 P 값 투여 전 투여 종료 P 값 N CRP (mg/dL) 0.47±1.12 0.93±2.72 0.309 40 0.32±0.58 1.64±3.50 0.085 23 albumin (g/dL) 3.10±0.44 3.58±0.46 0.000 41 2.98±0.41 3.31±0.40 0.006 23 AST (U/L) 43±24 24±11 0.000 41 33±20 35±26 0.845 23

ALT (U/L) 7±4 10±7 0.015 42 5±4 13±12 0.002 23

GGT (U/L) 203±112 154±88 0.016 32 234±204 194±203 0.074 18 Total bilirubin

(mg/dL) 5.83±2.46 3.61±2.81 0.000 42 2.70±2.79 3.86±3.29 0.169 24 ALP (U/L) 170±54 260±111 0.000 32 169±67 206±84 0.095 19 glucose (mg/dL) 112±56 96±32 0.100 41 81±40 134±72 0.009 23 BUN (mg/dL) 22.1±25.8 23.0±18.1 0.822 42 10.3±5.4 24.4±14.5 0.000 22 creatine (mg/dL) 0.89±0.35 0.65±0.34 0.001 41 0.65±0.26 0.63±0.30 0.817 24 cholesterol

(mg/dL) 96±30 129±32 0.000 33 98±28 133±43 0.000 20 2. 혈청 검사 결과

대부분의 검사가 기본검사에 속하나, DB의 경우에는 필요시 추가로 시행한 검사 인 관계로 결측치가 많았고, 초기 평가는 66명 중 3명에서 이루어졌으나, 3명 모 두 추적관찰이 되지 않았다. 초기 평가를 시행하지 않았지만 정맥영양을 시작한 뒤 체크한 DB가 한 번이라도 1 mg/dL을 넘거나, TB>5 mg/dL이면서 DB가 TB의 의 20% 이상인 경우는 총 5명으로, 어유군에서는 1명이었고, 올리브유군 4명 중 3명 이 4주 이상 정맥영양을 하였다.

각 검사는 지방을 투여하기 전과 투여 종료 후 최종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 과는 표4와 같았다.

표 4. 정맥영양 전, 후의 혈청 검사 결과 비교

(17)

(P=0.0.002)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나 정상범위 내의 변화였다. 혈청 포 도당 농도는 어유군에서 약 50 mg/dL 상승하였고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P=0.009).

올리브유군의 GGT는 약 50 U/L 하강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P=0.016), 어유군에서도 약 40 U/L가 하강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다(P=0.074). TB는 정맥영양 전에 비해 종료 후에 올리브유군에서 약 2.2 mg/dL 감소하였으나(P=0.000), 어유군에서는 오히려 약 1.2 mg/dL 증가하였다(P=0.169).

ALP의 상승은 올리브유군에서 약 90 U/L(P=0.000), 어유군에서 약 40 U/L(P=0.095)였고, TG는 올리브유군에서 약 80 mg/dL(P=0.058), 어유군에서 약 15 mg/dL(P=0.079) 상승이 있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어유군에서 혈액 요소질소가 약 10 mg/dL 증가하였고(P=0.000), 크레아티닌이 올 리브유군에서 약 0.2 mg/dL 감소하였다(P=0.001).

투여 기간에 따라서, PN을 1주 이상 동안 시행한 올리브유군 42명, 어유군 14명 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표5). 두 군에서 알부민이 의미있게 상승하였고, AST, ALT는 모두 정상범위 내의 변화를 보였으며, 두 군에서 GGT가 상승하였으나 어유 군에서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057). TB는 올리브유군에서 오히려 감소하였고, 어유군에서 증가하였으나, 투여 전 값이 올리브유군에서 약 6 mg/dL, 어유군에서 는 약 3 mg/dL로 올리브유군에서 훨씬 높았으며, 최종 값은 약 5 mg/dL으로 비슷 하였다. ALP, BUN, cholesterol, TG는 모두 상승하였고, 어유군의 creatine은 거 의 변화가 없었으나, 올리브유군에서 경한 하강을 보였다.

2주 이상 PN을 시행한 올리브유군 28명, 어유군 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을 때 (표6), 알부민과 CRP, ALP, BUN, cholesterol, TG의 상승이 있었고, AST, ALT는 정상범위 내에서 변화를 보였다. TB는 두 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의의 는 없었고, creatine도 두 군에서 감소하였으나 올리브유군에서만 의의가 있었다 (P=0.026).

8주 이상으로 정맥영양을 한 경우는 올리브유군에서 1명뿐이었고, 이 환자는 8주 째 담즙정체증이 발생하였고, 직접 빌리루빈이 2.35 mg/dL까지 상승하였다.

(18)

표 5. 각 군의 정맥영양 전과 1주(3~10일) 후 혈청 검사 변화

혈청 검사 올리브유군 (n=42)

N 어유군 (n=24)

투여 전 투여 종료 P 값 투여 전 투여 종료 P 값 N CRP (mg/dL) 0.47±1.12 0.56±1.49 0.720 40 0.32±0.58 0.72±1.69 0.316 23 albumin (g/dL) 3.09±0.45 3.65±0.41 0.000 40 2.98±0.41 3.41±0.43 0.002 23 AST (U/L) 43±24 30±34 0.050 41 33±20 41±32 0.338 23

ALT (U/L) 7±4 11±17 0.126 41 5±4 11±8 0.002 23

GGT (U/L) 204±112 138±87 0.000 34 234±204 200±189 0.057 18 Total bilirubin

(mg/dL) 5.65±2.32 4.91±2.32 0.149 40 2.70±2.79 4.53±3.54 0.025 24 ALP (U/L) 170±53 207±97 0.012 33 169±67 207±92 0.073 19 glucose (mg/dL) 112±56 109±50 0.775 41 81±40 153±84 0.001 23 BUN (mg/dL) 22.3±26.1 29.3±23.9 0.006 41 10.0±5.5 27.8±18.5 0.000 23 creatine (mg/dL) 0.89±0.36 0.77±0.33 0.007 41 0.65±0.27 0.65±0.29 0.939 23 cholesterol

(mg/dL) 95±30 132±35 0.000 35 98±28 134±42 0.000 20

triglyceride

(mg/dL) 29±25 83±89 0.001 39 39±25 70±82 0.118 20

표 6. 각 군의 정맥영양 전과 2주(11~20일) 후 혈청 검사 변화

혈청 검사 올리브유군 (n=28)

N 어유군 (n=10)

투여 전 투여 종료 P 값 투여 전 투여 종료 P 값 N CRP (mg/dL) 0.29±0.56 0.59±1.21 0.125 27 0.26±0.34 0.91±2.04 0.382 9 albumin (g/dL) 3.21±0.29 3.48±0.30 0.800 28 3.10±0.39 3.34±0.42 0.210 10

AST (U/L) 42±19 22±8 0.901 28 30±17 23±10 0.308 10

ALT (U/L) 7±3 9±5 0.886 28 6±5 11±6 0.004 10

rGTP (U/L) 182±114 121±81 0.108 25 153±67 122±117 0.413 9 Total bilirubin

(mg/dL) 5.06±1.97 3.06±2.15 0.872 28 3.28±4.11 2.34±2.00 0.444 10 ALP (U/L) 159±52 228±94 0.002 25 179±61 212±63 0.320 9 glucose (mg/dL) 114±61 103±36 0.270 27 89±54 119±72 0.349 10

(19)

3. 임상적 결과

담즙정체증은 올리브유군에서 4명(9.5%), 어유군에서 1명(4.2%)에서 발생하였고 (P=0.429),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은 어유군에서만 1명(4.2%)으로 조사되었다 (P=0.183). 패혈증(P=0.227)과 괴사성 장염(P=0.264)은 올리브유군에서 각 3명 (7.1%), 1명(2.4%)이었으며, 어유군에서 각 4명(16.7%), 2명(8.3%)으로 어유군에 서 더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 7,8,9)

표 7. 각 군의 임상적 결과

임상적 결과 올리브유군 어유군 P 값

담증정체증 (명(%)) 4 (9.5%) 1 (4.2%) 0.429 미숙아망막병증 (명(%)) 0 (0.0%) 1 (4.2%) 0.183

패혈증 (명) 3 (7.1%) 4 (16.7%) 0.227

괴사성 장염 (명) 1 (2.4%) 2 (8.3%) 0.264 총 투여 기간(일) 23.6±23.8 15.4±8.9 0.108 총 재원 일수(일) 58.1±38.4 45.0±28.7 0.152 표 8. 각 군의 1주(3~10일) 투여한 후 임상적 합병증 발생 비교

임상적 결과 올리브유군 어유군 P 값

담증정체증 (명(%)) 1 (7.1%) 0 (0.0%) 0.309 미숙아망막병증 (명(%)) 0 (0.0%) 0 (0.0%)

패혈증 (명) 0 (0.0%) 1 (7.1%) 0.309

괴사성 장염 (명) 0 (0.0%) 2 (14.3%) 0.142

총 투여 기간(일) 9.0±1.8 9.4±2.1 0.636

총 재원 일수(일) 37.4±14.58 32.6±21.9 0.503 표 9. 각 군의 2주(11~20일) 투여한 후 임상적 합병증 발생 비교

임상적 결과 올리브유군 어유군 P 값

담증정체증 (명(%)) 0 (0.0%) 1 (11.1%) 0.174 미숙아망막병증 (명(%)) 0 (0.0%) 1 (11.1%) 0.174

패혈증 (명) 1 (6.3%) 2 (22.2%) 0.238

괴사성 장염 (명) 0 (0.0%) 0 (0.0%)

총 투여 기간(일) 21.1±4.2 21.8±4.6 0.722

총 재원 일수(일) 50.9±25.6 60.2±29.7 0.419

(20)

V. 고찰

오메가-3 지방산은 태아의 뇌와 눈의 발달에 필수적이며, 신생아, 영아, 소아는 물론 성인에서도 항산화, 항염증, 항혈소판 작용이 혈액순환 개선 효과와 더불어 면역력 강화에 이점이 있어 최근 지방간을 예방하고 담즙정체증을 개선하며 시각 발달 및 인지기능 개선의 효능까지 대두되고 있다.2)7)

최근 성인부터 신생아까지 다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오메가-3 지방산 투여에 대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Premkumar 등8)의 연구에서 기존의 100% 대두유 제제 투여 중에 발생한 담즙정체증에서 지방제제를 Omegaven(어유 100%)으로 변경만 하여도 담즙정체증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α)를 억제 또는 염증 전 반응을 유 발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들의 분비를 줄임으로써 염증반응을 조절하고 담즙 분비를 촉진하거나 킬로미크론 중성지방(chylomicron triglyceride)의 청소율을 촉진하기 때문에 담즙정체증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10)11) 또한 과도한 오메가-6 다중불포화지방산(PUFAs)의 공급을 막아 염증작용을 줄이고, 델타 토코페롤(δ -tocopherol)의 비율이 증가하여 항산화 작용이 증가할 수 있어 오메가-3 지방산 의 면역 증대 효과까지 기대되어 진다.3)

최근 오메가-3 지방산을 최대로 공급할 수 있는 100% 어유 제제인 Omegaven을 대상으로 한 몇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Gura 등12)의 연구에서는 담즙정체증이 있는 단장증후군 환자(출생체중 2,000g 내외)에서 Omegaven을 투여하여(n=18) 담 즙정체증 호전에 걸리는 시간이 9.4주 vs 44.1주(대두를 기반으로 한 지방유제)로 4.8배 단축된 결과를 얻었다. 또, Puder 등13)이 출생체중 0.7~2.8kg의 신생아

(21)

모유성분에 가까운 이상적인 범위로 항염증효과를 일으킨다. 성인과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SMOFlipid와 100% 대두유 제제를 투여한 군을 비교했을 때, SMOFlipid가 AST, ALT, TB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아이코사펜타엔산 (eicosapentaenoic acid, EPA)과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오 메가-3:오메가-6 지방산의 비율을 증가시키며 혈중 δ-tocopherol 농도를 유의하 게 높여 항산화 작용 및 담즙정체증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14)15) 또 한, Tomsits 등16)의 연구에서는 극소저체중아(n=60)를 대상으로 SMOFlipid를 투 여했을 때, 투여 종결 시점에서 100% 대두유 제제 투여시에 GGT가 증가하는 것에 반해, 투여 종결 시점에서 GGT가 유의하게 낮은 결과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올리브유를 기초로 한 ClinOleic과 어유를 기초로 한 SMOFlipid 를 투여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담즙정체증의 발생이 ClinOleic

에서 더 높았으며, ALP는 ClinOleic에서 약 2배 증가하였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은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아이코사노이드(eocosanoids)의 합성을 조절하고, 핵수용체(nuclear receptor), 핵 전사 인자(nuclear transcription factor)의 활성을 조절하며, 염증 완화 물질인 resolvin을 생산하 여 이미 진행 중인 염증 상황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병원 및 중환자실 총 재원기 간을 단축시키는데,17) Mohamed 등18)이 조기 패혈증 환자(n=75)를 두 군으로 나눠 고용량의 오메가-3 지방산과 저용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투여한 연구에서는, 고 용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투여받은 환자 군에서 저용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투 여한 환자 군에 비해 지방 투여 7일 후의 CRP, interlukin-6 (IL6), procalcitonin (PCT)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9)20)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SMOFlipid를 투여한 군에서 패혈증의 발병이 약 2배 이상이었으며, CRP 상승폭도 더 컸다.

또 DHA의 결핍이 미숙아망막병증의 유발 인자로 작용할 수 있어 오메가-3 지방산 투여가 미숙아망막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으며,7)21) 최근 발표된 Pawlik 등22)의 임상 연구에서 극소저출생체중아(Extremely low birth weight, ELBW)에게 총 투여기간 동안 2~4g DHA를 공급했을 때 stage 4~5 이상의 중증 미숙 아망막병증 발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명에서 미숙아망막병증

(22)

이 발생하였고, 환자는 SMOFlipid를 투여받았다.

본 연구는 후향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혈액검사가 적절하게 시행 되지 않았는데, 특히 DB의 경우에는 TB의 상승이 없는 경우에는 초기 평가가 이루 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TB가 높았더라도 감소 추세이거나 생리적 황달로 간주된 경우에는 DB를 체크하지 않아 각 군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더불어 재태연령이나 출생체중 등 환자의 임상적 특징이 변인통제 되지 않았으 며, 올리브유군에서 사용된 Clinoleic이 올리브유의 항산화 작용과 담즙정체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어유군에서 사용된 SMOFlipid의 어유 함량은 15%로 100% 어유인 Omegaven 등에 비해 낮은 점도 오메가-3 지방산의 유용성을 부각시키지 못했던 요인으로 생각된다.

(23)

VI. 결론

오메가-3 지방산의 항염증, 항산화, 담즙 분비 촉진 등의 효과를 고려할 때, 오 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어유를 기초로 한 지방제제가 장기간의 정맥영양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따르면 올리브유를 기초로 한 ClinOleic과 어유를 기초로 한 SMOFlipid를 투여했을 때 담즙정체증 등의 임상적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메가-3의 임상적 이점을 고려하면, 어유의 함유량이 더 높은 지방제제를 유입 하여, 더 큰 표본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오메가-3 지방산의 임상적 유용성을 재평가해볼 필요가 있다.

(24)

참고 문헌

1) Thomas-Gibson S, Jawhari A, Atlan P, Brun AL, Farthing M, Forbes A. Safe and efficacious prolonged use of an olive oil-based lipid emulsion (ClinOleic) in chronic intestinal failure. Clin Nutr 2004;23:697-703.

2) Connor KM, SanGiovanni JP, Lofqvist C, Aderman CM, Chen J, Higuchi A, et al. Increased dietary intake of omega-3-polyunsaturated fatty acids reduces pathological retinal angiogenesis. Nat Med 2007;13(7):868-73.

3) 김문진, 배혜정, 조윤숙, 김귀숙, 김향숙, 이혜숙 등.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SMOFlipid의 투여가 미숙아 질환 예방에 미치는 영향: Cholestasis 예방 중심으 로.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2013;5(2):67-75.

4)Pawlik D, Lauterbach R, Turyk E. Fish-oil fat emulsion supplementation may reduce the risk of severe retinopathy in VLBW infants. Pediatrics 2011;127(2):223-8.

5)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Classification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evisited. Arch Ophthalmol 2005;123(7):991-9.

6)Palmer EA, Flynn JT, Hardy RJ, Phelps DL, Phillips CL, Schaffer DB, et al.

Incidence and early cours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The Cryotherapy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Cooperative Group. Ophthalmology 1991;98:1628-40.

7)Carlson SE, Werkman SH, Rhodes PG, Tolley EA. Visualacuity development in

(25)

Comparison of 5 intravenous lipid emulsions and their effects on hepatic steatosis in a murine model. J Pediatr Surg 2011;46(4):666-73.

10)Park Y, Harris WS.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accelerates chylomicron triglyceride clearance. J Lipid Res 2003; 44(3):455-63.

11) Fallon EM, Le HD, Puder M. Prevention of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liver disease: role of omega-3 fish oil. Curr Opin Organ Transplant 2010;15(3):334-40.

12)Gura KM, Lee S, Valim C, Zhou J, Kim S, Modi BP,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a fish-oil-based fat emulsion in the treatment of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liver disease. Pediatrics 2008;121(3):e678-86.

13) Puder M, Valim C, Meisel JA, Le HD, de Meijer VE, Robinson EM, et al.

Parenteral fish oil improves outcomes in patients with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liver injury. Ann Surg 2009;250(3):395-402.

14)Klek S, Chambrier C, Singer P, Rubin M, Bowling T, Staun M, et al.

Four-week parenteral nutrition using a third generation lipid emulsion (SMOFlipid)--a double-blind, randomised, multicentre study in adults. Clin Nutr 2013;32(2):224-31.

15) Goulet O, Antéebi H, Wolf C, Talbotec C, Alcindor LG, Corriol O, et al.

A new intravenous fat emulsion containing soybean oil, medium-chain triglycerides, olive oil, and fish oil: a single-center,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on efficacy and safety in pediatric patients receiving home parenteral nutrition.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2010;34(5):485-95.

16)Tomsits E, Pataki M, Töolgyesi A, Fekete G, Rischak K, Szolláar L. Safety and efficacy of a lipid emulsion containing a mixture of soybean oil, medium-chain triglycerides, olive oil, and fish oil: a randomis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in premature infants requiring parenteral nutri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0;51(4):514-21.

17)Waitzberg DL, Torrinhas RS. Fish oil lipid emulsions and immune response:

(26)

what clinicians need to know. Nutr Clin Pract 2009;24(4):487-99.

18)Hosnya M, Nahasa R, Alic S, Elshafeib SA, Khaleda H. Impact of oral omega-3 fatty acids supplementation in early sepsis on clinical outcome and immunomodulation. The Egypti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13;1:119-126

19)Goulet O, Joly F, Corriol O, Colomb-Jung V. Some new insights in intestinal failure associated liver disease. Curr Opin Organ Transplant 2009; 14:256-261

20)Goulet O, Antebi H, Wolf C, Talbotec C, Alcindor L-A, Corriol O et al. A new Intravenous fat emulsion containing soybean oil, medium chain triglycerides, olive oil and fish oil: a single center double blind randomized study on efficacy and safety in pediatric patients receiving home parenteral nutrition. JPEN 2010; 34:485-495

21)Birch EE, Birch DG, Hoffman DR, Uauy R. Dietary essential fatty acid supply and visual acuity development.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2;33(14):3242-53.

22)Pawlik D, Lauterbach R, Turyk E. Fish-oil fat emulsion supplementation may reduce the risk of severe retinopathy in VLBW infants. Pediatrics 2011;127(2):223-8.

(27)

저작물 이용 허락서

학 과 의 학 과 학 번 20137273 과 정 석 사 성 명 한 글: 박 미 선 한 문: 朴 美 善 영 문: Park Mi Seon 주 소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 663번 안길 106동 401호

(진월동 금광하늘연가 아파트) 연락처 E-MAIL : neogum@naver.com

논문제목

한글: 신생아의 정맥영양에서 SMOFlipid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영어: A study of clinical efficacy of SMOFlipid in parenteral nutrition in newborns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아래 조선대학교가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동의합니다.

- 다 음 -

1. 저작물의 DB구축 및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망에의 공개를 위한 저작물의 복제, 기억장치에의 저장, 전송 등을 허락함

2. 위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의 편집ㆍ형식상의 변경을 허락함. 다만, 저작물의 내용변경은 금지함.

3. 배포ㆍ전송된 저작물의 영리적 목적을 위한 복제, 저장, 전송 등은 금지함.

4. 저작물에 대한 이용기간은 5년으로 하고, 기간종료 3개월 이내에 별도의 의사 표시가 없을 경우에는 저작물의 이용기간을 계속 연장함.

5.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또는 출판을 허락을 하였을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대학에 이를 통보함.

6. 조선대학교는 저작물의 이용허락 이후 해당 저작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타인에 의한 권리 침해에 대하여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

7. 소속대학의 협정기관에 저작물의 제공 및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저작물의 전송ㆍ출력을 허락함.

동의여부 : 동의( O ) 반대( ) 2014 년 12 월 10 일

저작자: 박 미 선 (서명 또는 인)

조선대학교 총장 귀하

참조

관련 문서

Transmittance values of toluene/heptane solutions containing heavy oil with/without PS, PSMA copolymer, PSMLi, PSMNa and PSMCs ionomers as a function of revolution time.. Page

As for the research method, RBL-2H3 cells, a mast cell line, were trea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ed Chamaecyparis obtusa oil (C oil), German chamomile oil (G

• Pyrolysis process has been shown to be able to produce high yields of liquid products which can be easily shipped and stored and then utilised in small and medium size

This study makes use of statistical method in estimating the spread of oil supply disruption, which will be the starting point of analysis on oil

Conclusion: Aromatherapy with neroli essential oil had a difference in brain wave and brain utiliz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MBTI personality type

 Pump Room, Oil Fuel Bunker 또는 Water Ballast Tank는 Cofferdam 대신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Cofferdam은 Cargo Oil Tanker와 편의 공간 사이, Cargo Oil Tanker와

 Pump Room, Oil Fuel Bunker 또는 Water Ballast Tank는 Cofferdam 대신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Cofferdam은 Cargo Oil Tanker와 편의 공간 사이, Cargo Oil Tanker와

This study attempts to quantify the economic effects of increases in international oil prices on Korea’s energy and biodiesel industry by using a small open compu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