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좌제목: 옛이야기의 세계 담당교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강좌제목: 옛이야기의 세계 담당교수"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강좌연도: 2012년도 1학기

수강대상: 광주교육대학교 1학년

강의구성: 옛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 및 옛이야기의 특 징을 파악함으로써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되어 있 는 옛이야기를 적합하게 교육할 수 있는 자질을 함 양할 수 있도록 구성함

강의방법: 교수 강의+ 퀴즈

강의교재: 프린트물

(2)

강의내용:

한국민담론-유형과 화소, 분류, 법칙, 구조, 민중의식, 전승 등에 대한 이해

강의목표:

1. 민담의 개념, 법칙, 구조 등을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민담에 나타난 민중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

(3)

1. 민담의 유형과 화소

유형: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전승적인 이야기.

화소: 이야기를 이루는 독립적인 요소.

화소는

물건일 수도, 행위자일 수도, 행위일 수도,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일 수도 있다.

(4)

<뱀신랑=구렁덩덩신선비>의 유형과 화소

유형type

AT425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

모티프motif

① 뱀아들

② 사람과 뱀의 혼인

③ 아버지가 뱀과 혼인하게 하다

④ 셋째가 결혼하고, 언니들은 시기하게 되었다.

⑤ 뱀 허물을 벗었다.

⑥ 뱀 허물을 보존하지 못했다.

⑦ 언니들이 비밀을 알았다.

⑧ 뱀 허물을 잃어 남편을 잃었다.

⑨ 남편을 찾아가다.

⑩ 바위 속의 세계로 들어가다.

⑪ 잃은 아내와 만나다.

⑫ 남편에게는 딴 아내가 있었다.

⑬ 시험에서 이기면 진짜 아내로 삼겠다.

(5)

2. 민담의 분류 (1) 동물담

동물유래담

본격동물담: 동물에게 모든 인간적 속성을 부여하여 의인화

동물우화: 직관적 관찰에 의해 동물에게 일정한 유형을 부여하고, 인간적 행동을 동물 행동으로 바꾸어 그 속에 교훈적,도덕적 내용을 담는다.

(2)본격담: 배경, 등장인물, 초자연적 유무에 따라 현실담과 공상담으로 분 류.

(3)소화: 과장담, 모방담, 치우담, 사기담, 경쟁담

(6)

3. 민담의 서사법칙(올릭이 1909년에 제시한 법칙)

①서두와 결말의 법칙:

시작할 때는 ‘옛날 옛적에’라고 하거나 ‘옛날 옛적 갓날 갓적 호랑이 담배 피울 시절에’라고 한다. 끝날 때에는 ‘이런 이야기란다’라고 하 거나 ‘그래 가지고 그 사람이 죽었는데, 어제가 바로 제삿날이었다.’

라고 한다. 이러한 서두와 결말은 다음과 같은 구실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서두와 결말의 법칙이 갖는 기능>

(1)일상적인 말과는 구별되는 작품 세계의 독자적인 소우주를 확립 할 수 있게 해 준다. (2)이야기가 서사적 과거시제로 전개됨을 명백 히 하고, 끝나고 나서는 이야기하고 있는 현재로 되돌아오게 해준다.

(3)이야기가 허구라는 것을 나타내고, 결말에서는 허구적인 그럴듯

함을 강조한다. (4)흥미를 돋우어 준다.

(7)

②반복의 법칙:

화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거듭 이야기한다. 그러므로 똑같은 인물 이나 적어도 유사한 성격을 가진 인물이 거듭 등장하여 똑같은 행위 를 반복하며, 때로는 똑같은 어구를 반복하여 강조하기도 한다. 반 복의 법칙과 관련하여 설화 진행의 형식 중 누적적 형식(<새끼 서 발>), 연쇄적 형식(<심보 사나운 호랑이와 할머니>), 회귀적 형식 (<두더지 사위>) 등이 있다.

<바보 사위의 실수담>, <심보 사나운 호랑이와 할머니>, <새끼 서 발> 같 은 일련의 형식담은 말할 것도 없고, 보통 민담에서도 반복은 흔히 사용된 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서 “할멈 할멈 떡 한 개 주면 안 잡아먹지” 하 는 호랑이의 말이 세 번 반복되고, <금강산 포수와 호랑이>에서 영웅이 같 은 수법으로 호랑이를 퇴치한다. 선·악의 대립과 결부된 반복은 두 번으로 이루어진다. 혹 뗀 영감을 흉내 내다 혹 붙이고 온 영감, 흥부를 흉내 내다 망한 놀부의 경우이다. 이때의 반복은 사실은 꼭 같은 것이 아니나 어리석 은 악인은 꼭 같다고 착각하는 것이고 파멸의 요소를 내포한 것이다.

(8)

○ 누적적 형식 : <새끼 서 발>

새끼 서 발을 꼬고 아버지에게 쫓겨난 게으른 아들이 새끼 서 발을 동이와 바꾸고, 동이를 떡과 바꾸고, 떡을 죽은 색시와 바꾸고, 죽은 색시를 산 색시와 바꾸고, 상인과 수수께끼를 내기를 하여 돈을 차 지하여 집으로 돌아온다.

○ 연쇄적 형식 : <심보 사나운 호랑이와 할머니>

호랑이가 할머니를 잡아먹으러 오는데, 바늘이 눈을 찌르고, 게가 물고, 절구통이 때리고, 멍석이 말아버리고, 지게가 져다 강물에다 버렸다.

○ 회귀적 형식 : <두더지 사위>

(9)

③숫자 3의 법칙:

반복의 방법은 흔히 숫자 3과 결합되어 세 번 반복되는데, 이에 의하 여 사건의 강도는 점점 강해진다. 설화의 등장인물이나 행위, 사건 등이 3과 관련 있음은 누구나 잘 아는 사실이다(세 가지 소원, 세 가 지 시련, 세 가지 과업, 세 가지 보물, 삼 형제 등).

단, 인도처럼 종교적 이유로 4와 같은 숫자가 의미를 갖는 지역도

있다. 그리고 민간전승에는 7이나 8, 12, 40, 99, 100, 999, 3000

등의 숫자도 등장하나 이들은 모두 추상적 숫자일 뿐, 결국은 하나

로 통합될 수 있는 것들이다.

(10)

④이물과 고물의 법칙:

사람이나 사물의 차례 중 순서상으로 우선되는 것은 제일 앞의 것이

지만, 서사적 전개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우선되는 것은 최후의 것이

다. 주인공의 적대자나 원조자들이 3으로 되어 있는 것은 최초는 가

장 어리고, 가장 작고, 가장 약한 자가 오고, 최후에는 가장 나이가

많고, 가장 크며, 가장 강한 자가 온다. 반면 주인공 자신은 3형제

중 가장 젊고, 가장 작고, 가장 약하다. 예컨대, <삼형제> 설화담에

서 부친으로부터 가장 많은 유산을 받는 것은 장남이지만, 최후에

가장 행복하게 되는 것은 막내이다. 그러나 이 법칙은 전적으로 서

사시적인 것으로 종교적 사태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삼위일체의 신

의 체계에서는 제1의 신이 역시 가장 유력한 경우가 보편적인 것이

다.

(11)

⑤한 장면에 둘의 법칙:

한 장면에는 두 인물밖에 등장하지 않는다. 그 이상의 인물이 등장

하더라도 동시에 행동하고 있는 것은 두 사람뿐이다. 여기서 인물이

라고 함은 독자적 생각과 행위에 있어서 독자적 기능을 가진 모든

존재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설화에서 영웅이 괴물과 싸울 때, 괴물

에게 납치됐던 인물은 침묵을 지켰다가, 괴물이 죽은 후에야 다시

행위에 가담하게 된다.

(12)

⑥대립의 법칙:

설화의 인물은 늘 노인과 젊은이, 대와 소, 부자와 빈자, 거인과 인 간, 선과 악, 현명함과 어리석음 따위가 대립되어 나타난다. 이 법칙 은 교훈적 이원성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대립의 법칙은 인물이나 상황을 창조할 때 흔히 사용된다.

․인물의 대립으로는 선과 악의 대립이 가장 흔하다. <혹부리 영감>, <흥부와 놀부>

등 일련의 이야기가 그 좋은 예인데, 인물의 성격은 악하거나 선하며, 그 중간은 없다.

처음에는 선이 궁지에 몰리다가 마침내 승리를 거둔다. 선은 평민으로 악은 양반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우렁색시> 이야기가 그 대표다. 선이 인간으로 악은 비인 간인 괴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니, 그 대표적인 예가 <지하국 대적 퇴치地下國大 賊退治>이다. 힘과 꾀의 대립(<호랑이와 토끼>), 미와 추醜의 대립(<콩쥐와 팥쥐>) 도 있으나, 미·악의 대립과 무관하지 않다.

․대립은 자세한 묘사를 하지 않고도 현실의 문제를 선명하게 반영하는 방식이며, 또한 선이 승리하고 악이 패배해야 한다는 신념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이기에 형식적인 것 만은 아니다.

(13)

⑦쌍둥이 법칙:

두 사람이 똑같은 역할을 나타낼 경우 그 두 사람은 작고 약한 존재 이다. 이 때 두 사람은 쌍둥이인 경우가 많다. 두 사람이 힘을 얻게 되면 두 사람은 적대적 관계로 변한다.

⑧단선화:

줄거리는 늘 단순하며 직선적이다. 둘 혹은 그 이상의 줄거리가 복 합되어 나타난다면 이는 고차적인 문학작품의 증거이다.

⑨형식화:

똑같은 종류의 상황은 될 수 있는 한 거의 똑같이 묘사되고 변화를

생기게 하는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사한 언어와

반복 사용도 이런 법칙으로부터 설명될 수 있다. 우리가 어떤 설화

를 첫 부분만 듣고도 그 스토리가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를 미리 알

수 있는 것도 이 설화의 형식성에 기인한다.

(14)

⑩플롯의 일관성:

<천냥점> 설화에서 주인공이 세 가지 예언을 받았다면 이야기의 줄 거리는 끝까지 예언의 설화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죽을 운명의 주인 공에 대해서는 끝까지 그가 어떻게 그 운명을 벗어나는가에 대해 이 야기한다.

예) <천냥점>: 사업에 실패한 장사꾼이 마지막 남은 3천냥을 주고,

“남이 질러가거든 돌아가라, 남이 밉다 하거든 귀엽다고 해라, 곱거

든 기어라”라는 세 마디 교훈을 샀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고

개를 만나 길을 돌아갔으므로 도둑을 피해 목숨을 구했고, 강가에

이르러 주술에 걸려 괴물이 된 용왕의 아들을 귀엽다고 하여 여의주

를 얻고, 드디어 집에 이르러 아내가 곱게 단장하고 기다리고 있기

에 기었더니 마루 밑에 간부姦夫가 숨어 있었다. 장사꾼은 간부를

죽이고, 불행을 면했다.

(15)

4. 민담의 구조

1)민담의 발생 원천[경험(희극적, 사실적 민담), 꿈(환상적 민담) ]과 구조 경험과 꿈은 애초에는 산만하고 사적 경향이 짙다. 그러나 이야기 전승과정

에서 보편성이 획득된다. 사람들의 입을 거치면서 보다 쉽게 각인될 수 있는, 누구에게나 재미와 교훈을 전달할 수 있는 이야기의 구조화가 성 취된다. 따라서 설화 자체 내에 존재하는 작품 내적 구성요소를 추출하 여 분석 체계화 할 수 있다.

2) 프로프의 직선적 구조 또는 순차적 구조

○ 기능: 변화하지 않는 등장인물들의 행위, 곧 이야기의 진행에 있어서 의 미의 관점으로부터 본 등장인물들의 행위(31개를 추출).

○ 민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등장인물은 주인공과 악한이며, 이 31개의 기본 기능이 주인공의 모험적 여정 중에 악한과의 싸움을 주축으로 하여 대칭관계에서 직선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민담의 기본 모델로 봄.

(16)

① 가족의 성원 가운데 한 사람이 부재중이다. (부재)

② 주인공에게 금지의 말이 부과된다. (금지)

③ 금지는 위반된다. (위반)

④ 악한은 정찰을 시도한다. (정찰)

⑤ 악한이 그의 희생자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다. (정보전달)

⑥ 악한은 희생자나 그의 재산을 점유하기 위해 그를 속이려 든다. (책략)

⑦ 희생자는 속임수를 당해 무심결에 그의 적을 돕게 된다. (연루)

⑧ 악한이 가족 중의 한 사람에게 해를 끼치거나 상처를 입힌다. (가해)

⑨ 불운이나 결여가 알려지게 된다; 주인공에게 요청이나 명령이 주어지게 된다; 그는 가도록 허락되거나 급히 보내진다. (중재 연결된 사건)

⑩ 탐색자는 대항행동에 동의하거나 그것을 결정한다. (대항행동 개시)

⑪ 주인공이 집을 떠난다. (출발)

⑫ 주인공은 시험되고, 심문받고, 공격받는데, 그로해서 주인공에게 작용물 이나 조수자를 얻는 방법을 준비시킨다. (증여자의 첫 기능)

⑬ 주인공이 미래의 증여자의 행동에 반응한다. (주인공의 반응)

⑭ 주인공이 주술적 작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주술적 작용물의 준비 나 수령)

(17)

⑮ 주인공은 탐색의 대상이 있는 곳으로 옮겨지거나 인도된다. (두 왕국 사이 로의 공간 이동이나 안내)

⑯ 주인공과 악한이 직접 싸운다. (투쟁)

⑰ 주인공은 표식을 받는다. (표식)

⑱ 악한이 퇴치된다. (승리)

⑲ 최초의 불행이나 결여가 해소된다. (해소)

⑳ 주인공이 귀환한다. (귀환)

㉑ 주인공이 추적당한다. (추적)

㉒ 주인공이 추적으로부터 구출된다. (구조)

㉓ 주인공이 아무도 모르게 집이나 다른 나라에 도착한다. (몰래 도착)

㉔ 가짜 주인공이 근거 없는 요구를 한다. (근거 없는 요구)

㉕ 주인공에게 어려운 과제가 제안된다. (어려운 과제)

㉖ 과제가 해결된다. (해결)

㉗ 주인공이 인지된다. (인지)

㉘ 가짜 주인공 혹은 악한의 정체가 폭로된다. (폭로)

㉙ 주인공에게 새로운 모습이 주어진다. (변신)

㉚ 악한이 처벌된다. (처벌)

㉛ 주인공은 결혼하고 왕좌에 오른다. (결혼)

(18)

3) 레비-스트로스의 대립적 구조 또는 병렬적 구조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신화가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인간의 의식 구조에 공통되는 논리적 구조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의식구조는 상반되는 두 개의 개념으로 이루어졌다. 신화는 이들을 연결시키는 것임.

트릭스터의 양면성: 선과 악, 남성과 여성, 야만적인 면과 문명에 의해 세 련된 면 등으로 분석될 수 있다.

표면적으로 불합리하게 보이는 신화 뒤에 숨은 구조를 분석하여 인간의 사고구조를 구명하려 함.

(1) 신화를 신화소로 나누어 그 내용에 따라 분류 (2) 유사한 내용을 가진 신화소끼리 배열

(3) 그 패턴의 상호관계 연구

(19)

4) 순차적 구조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 민담의 구조 분석

<동삼童蔘과 이시미>

① 어느 가난한 나무꾼이 한겨울에 나무를 하러 갔다.

② 많은 동삼을 발견했다.

③ 가파른 벼랑 밑에 있어서 동삼을 캘 수 없었다.

④ 이웃 사람이 도와주어서 같이 캐게 되었다.

⑤ 이웃 사람의 악의로 벼랑 위에 올라갈 수 없게 되고 이시미를 만났다.

⑥ 이시미의 도움으로 구출되어 복수를 하고 부자가 되었다.

① 고난

② 의외의 행운 ①의 부정

③ 고난 ②의 부정 ①의 부정의 부정

④ 의외의 행운 ③의 부정 ②의 부정의 부정

⑤ 고난 ④의 부정 ①·③의 부정의 부정

⑥ 의외의 행운 ⑤의 부정 ②·④의 부정의 부정

○ 구조분석: <동삼과 이시미>의 구조는 ‘고난’과 ‘의외의 행운’이라는 두 가지 단락 소의 연속적인 대립·부정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20)

<꿩과 이시미>

① 어떤 부인이 꿩을 구해 먹고 아들을 낳았다.

② 그것은 이시미가 잡아 놓은 꿩이었다.

③ 아들이 장가갔다.

④ 이시미가 잡아먹겠다고 했다.

⑤ 신부가 구하려고 나섰다.

⑥ 이시미가 살려 주기를 거절했다.

⑦ 신부가 슬기로 이시미를 죽였다.

① 행운

② 의외의 고난 ①의 부정

③ 행운 ②의 부정 ①의 부정의 부정

④ 의외의 고난 ③의 부정 ②의 부정의 부정

⑤ 행운 ④의 부정 ①·③의 부정의 부정

⑥ 의외의 고난 ⑤의 부정 ②·④의 부정의 부정

⑦ 행운 ⑥의 부정 ①·③·⑤의 부정의 부정

○ 구조분석 : <꿩과 이시미>의 구조는 ‘행운’과 ‘의외의 고난’이라는 두 가지 단락소 의 연속적인 대립·부정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21)

<동삼童蔘과 이시미>와 <꿩과 이시미>의 구조분석 대비

○ <동삼과 이시미>와 <꿩과 이시미>는 서로 비슷한 이야기 같으면서도 구 조상 극히 대조적이다. 전자는 고난을 초인적인 존재가 가져다주는 의외 의 행운으로 극복하자는 운명론을 나타내고 있다면, 후자는 의외의 고난 을 인간적인 노력에서 있는 행운으로 극복하자는 반운명론의 차이라 할 수 있다.

(22)

5) 조동일의 구조주의-영웅의 일생 7개 단락

(A)고귀한 혈통을 지닌 인물이다.

(B)잉태나 출생이 비정상적이다.

(C)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난다.

(D)어려서 기아가 되어 죽을 고비에 이른다.

(E)구출, 양육자를 만나 죽을 고비에서 벗어난다.

(F)자라서 다시 위기를 맞는다.

(G)위기를 투쟁적으로 극복하고 승리자가 된다.

A (고귀한 혈통) 행복

B (비정상적 출생) 고난. A의 부정

C (탁월한 능력) 행복. B의 부정. A의 부정의 부정.

D (기아와 죽음) 고난. C의 부정. B의 부정의 부정.

E (죽음의 극복) 행복. D의 부정. A,C의 부정의 부정.

F (자라서의 위기) 고난. E의 부정. B,D의 부정의 부정.

G (투쟁에서 승리) 행복. F의 부정. A,C,E의 부정의 부정.

(23)

6) 로드 라글란의 구조주의-영웅서사의 구성 모티프 [The Hero]

① The hero’s mother is a royal virgin;

② His father is a king, and

③ The circumstances of his conception are unusual, and

④ He is also reputed to be the son of a god.

⑤ At birth an attempt is made, usually by his father or his maternal Grandfather, to kill him, but

⑥ He is spirited away, and

⑦ Reared by foster parents in a far country.

⑧ We are told nothing of his childhood, but

⑨ On reaching manhood he returns or goes to his future kingdom

⑩ After a victory over the king and /or a giant, dragon, or wild beast,

⑪ He marries a princess, often the daughter of his predecessor, and

⑫ Becomes king.

⑬ For a time he reigns uneventfully, and

⑭ Prescribes laws, but

⑮ Later he loses favor with the gods and/or his subjects, and

⑯ Is driven from the throne and city, after which

⑰ He meets with a mysterious death,

⑱ Often at the top of a hill

⑲ His children, if any, do not succeed him.

⑳ His body is not buried, but nevertheless

㉑ He has one or more holy sepulchers

(24)

7) 크리스토퍼 보글러 : 영웅에 관한 서사구조를 영화 시나리오 창작에 적용.

① 영웅은 일상세계에서 소개되어, 그곳에서

② 영웅은 모험에의 소명을 받는다.

③ 영웅은 처음에 결단 내리지 못한 채 주저하거나 소명을 거부한다. 그러나

④ 정신적 스승의 격려와 도움을 받아

⑤ 첫 관문을 통과하고 특별한 세계로 진입한다. 그곳에서

⑥ 영웅은 시험에 들고, 협력자와 적대자를 만나게 된다.

⑦ 영웅은 동굴 가장 깊은 곳으로 접근하여, 두 번째 관문을 건너게 되는데

⑧ 그곳에서 영웅은 시련을 이겨낸다.

⑨ 영웅은 이의 대가로 보상을 받게 되고

⑩ 일상 세계로의 귀환의 길에 오른다.

⑪ 영웅은 세 번째 관문을 건너며, 부활을 경험하고, 그 체험한 바에 의해 인 격적으로 변모한다.

⑫ 영웅은 일상 세계에 널리 이로움을 줄 은혜로운 혜택과 보물인, 영약을 가지고 귀환한다.

(25)

5. 민담에 나타난 민중의식 예) <지하국대적퇴치설화>

장수: 좌절과 패배를 모른다.

장수와 아귀의 대결: 인간과 비인간의 싸움

장수와 부하들의 대결: 선과 악의 싸움 [선인 대 악인]

장수와 공주의 결혼

(26)

6. 민담의 전승과 재창조

1) 전승과 변화

2) 변화의 두 가지 방향: 적극적 화자, 소극적 화자

예) <이야기 주머니>: 이야기를 좋아하는 아이가 재미있게 들은 이야기마다 큰 자루에 집어 넣어 주둥아리를 묶어 놓았다. 그가 자라서 장가를 가는데, 어른이 된 그는 이제 ‘이야기 주머니’에 관심이 없다. 자루 속에 갇혀 대청 대들보에 매달려 있던 이야 기들은 독수毒水가 되고 독과毒果가 되고, 그리고 독사毒蛇가 되어 장가드는 주인을 죽이려 한다. 신랑의 하인이 이야기들의 모의를 듣고 주인의 목숨을 살려주어서 이야기들의 복수는 실 패로 끝나게 된다.

*‘이야기는 계속해서 전승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달하고 있음.

(27)

강등학 외,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박태상․신연우․이강엽 공저, 『국문학개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3.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한글개정판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V. 프로프, 『민담형태론』, 유영대 역, 새문사, 1985.

V. 프로프, 『민담의 역사적 기원』, 최애리 역, 문학과지성사, 1990.

크리스토퍼 보글러,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함춘성 옮김, 무우수, 2005.

Alex Olrik, Principles for Oral Narrative Research, Trans. by Kirsten Wolf & Joody Jense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Raglan, Lord, The Hero: A Study in Tradition, Myth and Drama, The United State of America, 1979.

(28)

<내용정리>

1. 유형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전승적인 이야기’를, 화소는 ‘이야기를 이루는 독립된 요소’를 말한 다. 한 설화유형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화소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화소는 특이하고 인상 적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쉽게 기억된다. 때문에 같은 화소가 다른 설화유형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화소가 독립적 생명을 지닌 이야기의 요소임을 말해준다.

2. 올릭은 민담의 서사법칙으로 다음을 제시하였다; ①서두와 결말의 법칙, ②반복의 법칙, ③숫자 3 의 법칙, ④이물과 고물의 법칙, ⑤한 장면에 둘의 법칙, ⑥대립의 법칙, ⑦쌍둥이 법칙, ⑧단선 화, ⑨형식화, ⑩플롯의 일관성

3. 프로프는 그의 저서 『민담의 형태학』에서 민담의 구조로 ‘직선적 구조 또는 순차적 구조’를 제 시하였다. 또한 민담에는 ‘변화하지 않는 등장인물들의 행위, 곧 이야기의 진행에 있어 의미의 관점으로부터 본 등장인물들의 행위’가 있는데, 프롭은 이를 ‘기능’이라고 명명하였다(러시아 요 정담을 대상으로 하여 31개를 추출함). 이후 미국의 알란 던데스가 미국 원주민의 설화를 분석하 면서 프롭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퀴즈>

1. 유형과 화소를 설명해 보라.

2. 민담의 구조에 대한 논의 중 대립적 구조에 초점을 둔 연구자는 누구인가?

3. 올릭이 제시한 민담의 법칙 중 ‘서두의 법칙’에 대해 설명해 보라.

참조

관련 문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현재의 의식 내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감정을 반영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상담자는 전적으로 내담자의

I 논증 A가 타당하다는 것은 바로 A의 전제들이 모두 참이라면 A의 결론 역시 참이라는 것이 논리적으로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I 논증 A가 건전하다는 것은 바로

두음은 존재하는 것이 자연스럽고(무표적이고) 말음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무표적이다).. 즉, 음절은 두음으로 시작해

(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공이 아니라 투쟁이듯이 올림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승리가 아니라 참가하는 것이 다.. 손기정 선수가 우승기념으로 받은 그리스의

그 당시에는 수입자동차 세금이 지금보다 훨씬 많았었기에 상당한 돈이 소요되었 다. 왜 내가 우울증에 걸렸을까? 더 이상 갖고 싶은 것이 없어졌던 것이다.. 중요한 것은,

 우성상염색체로 유전되지만 발현되는 것은 다양하기 때문에 가족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  악성고열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하지

그 느른 중국땅에 숭년이 들으 믁을 긋이 읎으지게 되니게 중국 땅 에 살든 쥐가 말입니다.. 수수윽만 마리으 쥐가 믁을 긋을 찾으스

그러나 이 시가 목표하는 것은 현대 문명에 대한 야유나 비 판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고 , 물질 문명 시대에 자연의 소중함과 사랑ㆍ평화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