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moist exposure burn therapy, and various moist wound healing products were introduced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moist exposure burn therapy, and various moist wound healing products were introduced"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9

Moist Exposure Burn Therapy in Acute Burn Wounds

Dong-Chul Kim, M.D.

Dr. Dong-Chul Kim's Aesthetic & Burn Plastic Clinic, Institute of Plastic & Burn Surgery, Kangnam e Hospital

Backgrounds: It is well known that the moist wound healing offers more proper wound condition, and more rapid epithelialization of skin than the dry wound healing. For the managements of acute burn wounds, also moist wound environments are reported for rapid repair & regeneration of skin. The moist exposure burn therapy, and various moist wound healing products were introduced. Among them, a ointment for moist exposure burn wound dressings is MEBO®, which had been developed at the Beijing Guangming Chinese Medicine Institute for burns, wounds &

ulcers, Beijing, China. It's composed of β-sitosterol 5 mg%, sesame oil 15 mg%, yellow paraffin 80 mg% etc.

Methods: I have experienced 8 cases of acute burn patient, who was managed by MEBT (moist exposure burn therapy) using MEBO®. The age range of patients were 17 to 62 year. The range of extent of burn were ranged from 1% to 45%. The types of burn injuries were following that:

5 cases of scalding burns, 2 flame burns, and 1 electrical burn. The depths of burns were 2 superficial second degree burn, 2 mid dermal burns, and 3 mid to deep dermal burns, and 1 deep dermal to 3rd degree burns.

Results: Among them, 1 case of superficial second degree & all mid dermal burns, and 1 case of mid to deep dermal burn completely healed by burn wound dressing only. As a complication, at postburn 3 days, erythema & induration of surrounding normal skin of burn wound was noticed in 1 case of superficial second degree burn. And there was high spiking fever and marked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 were developed at post burn 4th day in a case of deep dermal to 3rd degree burn, 45%. These complicated cases were managed by Silvadene with closed burn dessings. On serial burn wound cultures, there were no growth in 6 cases. There were Aeromonas salmonicicda in 1 case, MRSA wound infection in 1 case.

급성 화상 창상에 습윤노출요법

김동철 화상성형클리닉, 강남 e 병원 화상연구소

김 동 철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책임저자:김동철,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44-20, 우편번호: 135-090, 김동철 화상성형클리닉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50-12, 우편번호: 137-040, 강남 e 병원 화상연구소 Tel: 02-508-2114, Fax: 02-538-3785, Homepage: www.medicalinternet.co.kr E-mail: kimdcps@chollian.net

(2)

서 론

창상치유에서 Moist-wound healing (습윤창상치 유)이 Dry-wound healing에 비해 Epithelial repair process가 더욱 촉진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즉 창 상치유에 습윤창상치유환경(moist-wound healing envi- ronment) 이 창상치유(healing process)를 촉진하는 것이 알려졌으며, 따라서 급성 혹은 만성 창상치료 에 Calcium arginat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등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여러 습윤창상치유제제 (moist wound healing products)들이 최근 소개되고 있으며 그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 급성화상의 창상치료에도 습윤화상 창상처치 시행 후 좋은 결과가 소개되어지고 있다. 급성 화상의 창상치료에서 MEBT (Moist Exposure Burn Therapy:

화상습윤노출요법)는 고래로부터 사용되어온 방법 으로 노출요법과 습윤창상치유의 개념이 있는 치 료방법으로써 이 치료법은 화상 창상을 노출시킨 후 화상연고제 등을 사용하여 화상 부위를 습윤상 태의 적절한 생리학적인 조건(physiologic condition) 을 만들어 주면서 화상 창상의 재생(repair & rege- neration)을 최적화 하는데 있다. 이때 이를 위해 고 안된 습윤화상연고제를 사용하여 화상 창상의 습 윤 환경을 유지하면서 화상 창상의 치료를 하게된 다. 저자는 2∼3도의 급성 화상(acute burn) 환자에 서 발생된 화상 창상의 치료에 이러한 습윤화상치 유제제로 알려진 MEBO® (moist exposed burn oint- ment)를 사용한 임상을 경험하여 그 치료 결과를 조사하여 보았다.1∼5)

대상 및 방법

2000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내원한 급성 화 상(Acute burn) 8예(열탕 화상 5예, 화염화상 2예, 전기화상 1예)를 대상으로 습윤화상 창상처치 연 고제인 MEBO®를 사용한 화상습윤노출요법(MEBT) 을 시행하였다. 저자가 사용한 습윤화상 창상 연고 제는 상품명이 MEBO® (Moist Exposed Burn Oint- ment, 중국 북경 광명중의 소양창양연구소)로 β- sitosterol 5 mg% 함유된 성분으로 참기름과 황랍 등 기타 여러 제제가 부형제로 되어 있다. 화상 창상 처치 방법은 내원 당시 화상부위의 오물 등은 생 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깨끗이 한 후 MEBO®를 화 상부위에 두께 1∼2 mm로 발라주고, 화상 창상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였다. 이때 화상부위에 발생 된 물집(bullae)은 가능한 터트리지 않고, 물집이 큰 경우는 11 blade로 작은 구멍을 만든 후 삼출액 을 제거하여 물집을 보존하였으며, 큰 물집이 밀려 서 벗겨진 경우에는 가능한 이를 펴 원위치에 놓 은 후 드레싱을 시행하였다. 중환자는 화상 중환자 실의 격리실에 경한 환자는 격리 일반병실에 입원 하였으며, 이때 병실의 온도는 섭씨 32∼37도를 유 지하게끔 하였다. MEBO®의 재도포는 4∼6시간 간 격으로 시행하여 환부가 습윤된 상태로 지속적으 로 유지케 하였다. 화상이 심한 경우 수액요법과 항생제의 사용을 하였고, 입원환자의 경우 고단백 식이요법, 면역요법 및 알부민 차트(albumin chart)를 만들어서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였다. 또한 연속적 인 창상 세균검사를 시행하여 창상의 균 감염 여 Conclusions: In these series, It was noticeable markedly decreased pain of burn wound, and easy burn dressing changes. Also liquefied eschars were very easily removed day by day from 5∼

6th postburn days. the healing period of MEBT using MEBO® were ranged by 10 days to 26 days.

After follow ups of 2 weeks to 6 months, the healed burn area of MEBT using MEBO are revealed as relatively good in cosmetics & function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Moist exposure burn therapy, Acute burn, MEBO®, Burn wound dressings

(3)

부를 조사하였다. 연화된 가피(eschar)는 수상 후 5∼6일 경부터 하루에 1∼2회 소독된 압설자로 조 심스럽게 제거해 주었다. 이후 환부를 면 스폰지 (cotton sponge)로만 닦아준 후 MEBO®를 재도포하 였다. 수상 10일 후부터는 화상 창상부위의 상피화 가 이루어진 부위는 캄비손 연고를 앏게 바른 후 꺼 즈를 덮어 주었다. 환부가 완전히 상피화가 이루어 진 창상은 꺼즈와 압박붕대를 사용한 드레싱을 시 행하여 치유된 창상이 전단(shearing)에 의한 손상 또는 침연(maceration) 등을 방지하였으며, 이후 고 식적인 재활치료 및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및 증례

화상습윤노출요법을 사용한 급성 화상 환자 총 8예를 경험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2세 사이었고 남녀 비는 1:1이었다. 급성화상의 화상 범위는 1%에서 45%의 범위이었으며, 화상의 mode 로는 열탕화상 5예, 화염화상 2예, 전기화상 1예이 었다. 화상의 깊이는 표재성 2도 화상(superficial second degree burn)이 2예, 중간 2도 화상(mid der- mal burn)이 2예, 중간 2도 및 심부 2도 화상이 혼 재된 3예, 심부 2도(deep dermal burn) 및 3도 화상 이 혼재된 1예이었다. 이 중 표재성 2도 화상 1예, 모든 중간 2도, 중간 2도 및 심부 2도 화상의 5예 에서 화상습윤노출 요법의 보존적 창상치료만으로 화상 창상을 치유하였으며, 이들의 창상의 치유 기 간은 10일에서 26일 사이였다. MEBO®를 사용한 8 예 중 2예에서 이의 사용을 중간에 중단하였다. 즉 증례 3의 표재성 2도 화상에서 화상 4일째부터 발 적 및 소양감을 동반하면서 화상부의 물집이 더 심해져 환부가 깊어지는 양상을 보여 이를 중지하 였고, 화상 깊이가 심부 2도 이상과 3도의 환부를 가진 증례 4의 경우는 화상 초기부터 MEBO®을 사 용한 화상 처치를 시행하던 중 고열 및 혈액 검사 상 심한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 및 혈소판 감소 증 소견을 보이며, 창상 세균 검사에서 MRSA (Me- thicillin resistent staphylococcus Aureus)가 검출되어 이의 사용을 중지하고 실바딘(Silvadene)을 사용한 고

식적인 폐쇄 창상처치를 시행하였다. 모두 6예에 서 화상 창상 세균 검사에 균이 자라지 않았고, 비 교적 화상 깊이가 깊고, 넓은 범위의 화상을 입은 2예에서 Aeromonas salmonicida, MRSA의 창상 감 염이 있었다. 2주에서 6개월에 걸친 추적 경과 관 찰에 표재성 2도, 중간 2도(mid dermal burn) 및 심 부 2도 화상을 입은 환자에서 끝까지 습윤노출요 법을 시행한 6예 모두에서의 치료 결과는 모든 환 자에서 화상 창상치유된 부위에서 외양적, 기능적 으로 매우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였으며, 특히 중 간 2도 및 심부 2도 화상 환자에서는 특징적으로 환부의 동통이 적었으며, 화상 창상처치가 비교적 용이하였고, 창상치유 후 화상흉터의 비후성 반흔 의 생성도 비교적 적어 만족할 만한 외양적, 기능 적인 성적을 보였다(Table 1).

증 례 1.

31세 남자 환자로 22,000 volt에 의한 전기화상, 중간∼심부 2도(mid dermal burn), 35%, 우측 배부, 견갑부, 체간부, 우측 상하지부 및 안면부에 입어 수상 당일 본원 응급실을 경유하여 화상 중환자실 에 격리 입원 가료하였던 환자로, 내원 당시에 환 부에 비교적 크기가 큰 물집(bullae)이 군데 군데 형성되어 있고, 중증의 부종, 전기화상의 input 부 위인 우측 견갑부에 직경 10 cm 크기의 흰 밀랍색 깔의 피부 부분 괴사가 있는 소견을 보였다. 화상 치료실에서 전신 탈의한 상태에서 화상 창상부를 생리적 식염수로 깨끗이 한 후 MEBO®를 1∼2 mm 두께로 도포하였다. 전신적 치료로 Parkland'씨 수 액요법 및 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 투여를 시행 하였다. 화상 중환자실의 격리 병실로 옮긴 후, 환 부는 MEBO® 연고로 5∼6시간 간격으로 재도포하 였다. 병실온도는 섭씨 32∼37도로 다소 고온으로 유지하였다. 수상 후 4일째 배부와 전흉부, 체간부 전반에 중증의 가피(eschar)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섭씨 38.5도 이상의 고열이 있었으며, 감소된 백 혈구(WBC count: 5300) & 혈소판(Platelet Count:

178000) 검사 소견을 보였으며, 창상 세균 검사상 Aeromonas Salmonicicda 균이 자라고 있었다. 화상

(4)

후 5일째부터 가피 상층부의 연화된 소견이 있어 설압자로 조심스럽게 매일 1∼2회 이를 제거하고 MEBO®를 재도포하여 주었다. 화상 후 7일째 전흉 부 및 배부 하부의 환부에 가피가 많이 제거되어 부분적으로 얇게 남아 있게 되었으나, 전기화상의 input 부위의 가피가 아직 두껍게 남아 있었다. 고 열이 지속되었으며, 화상 창상세균검사상 균주가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 sensitive)로 바 뀌어 자랐다. 화상 후 14일째에 전흉부의 가피가 거의 제거되었고, 배부 하부의 창상은 부분적 상피 화 소견을 보였다. 전기화상의 input 부위는 가피 가 거의 제거되고 raw surface로 남아 있었다. 화상 후 21일째 전기화상의 input 부위(배부 상부)의 심 부 2도 이상의 화상 깊이를 가진 환부에서 상피섬 (epithelial island)의 소견이 보였고, 전흉부 및 배부 의 창상부위는 이미 상피화된 부위가 성숙(matura- tion)이 되는 과정을 보였다. 수상 후 26일에 모든 화상부위에서 창상치유가 이루어졌으며, 수상 후 6주 후의 경과 관찰에 비교적 화상 창상치유가 잘 진행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 수상 후 6개월의 추 적 관찰에 비교적 우수한 외양을 보였다(Fig. 1).

증 례 2.

62세된 여자 환자로 좌측 배부를 끓는 물에 데 어 중간 2도(mid dermal burn) 화상, 5%를 입은 후 입원하였으며, 창상을 깨끗이 한후 환부를 노출시 킨 상태에서 MEBO®를 발라주어 화상 창상드레싱 을 시행하였다. 6∼8시간 간격으로 MEBO®를 재도 포하였으며, 환자는 동통을 거의 호소하지 않았다.

2∼3일 간격으로 계속된 창상세균검사에 감염균이 자라지 않았다. 수상 후 5일째부터 연화된 상층부 가피를 소독 압설자로 제거하였으며, 수상 7일째 두께가 매우 얇아진 가피의 소견을 보였다. 2주 후 화상 창상이 거의 상피화된 양상을 보였으며, 술후 1개월 경과에서 경증의 과색소 침착증이 있었으 며, 비교적 창상치유가 잘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 (Fig. 2).

증 례 3.

55세된 여자 환자로 뜨거운 물에 표재성 2도 화 상을 우측 대퇴부에 입은 후 입원하였으며, 수상일 로부터 MEBO®를 사용한 노출요법을 시행하였다.

Table 1. Summary of Patients Managed by MEBT Using MEBO®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ase age/sex Cause/%TBSA/Burn depth Results Follow up Remark

(No) /Lesion Wound cultur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31/M Electrical burn, mid to deep dermal, 35% Excellent 6 months Major burn

Rt. Face, Upper & lower limb, Trunk back Aeromonas salmonicicda, staph. A 2. 62/F Scalding burn, mid to deep dermal, 5% Good 8 weeks Minor burn

Lt. Back No growth

3. 55/F Scalding burn, superficial 2nd, Rt. Thigh - 8 Weeks Erythema No growth

4. 41/M Flame burn, deep dermal -3rd, 45% - 3 Weeks Major burn

Both lower extremities, both hand MRSA sepsis

5. 17/M Scalding burn, mid dermal, Rt. Forearm Good 4 Weeks Minor burn No growth

6. 33/F Scalding burn, mid dermal, Abdomen Good 5 Weeks Moderate burn No growth

7. 24/F Scalding burn, superficial 2nd, Rt. Wrist Good 7 Weeks Minor burn No growth

8. 48/M Flame burn, mid to deep dermal burn, 15% Excellent 3 Months Moderate burn

Face, Ant. Chest No growth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TBSA: Total body surface area, MRSA: Methicillin resistent staphylococcus aureus

(5)

Fig. 1. Case 1. A 31-year-old male patient with mid to deep dermal burn, 35% on the his right back, shoulder, frank, anterior chest, and upper & lower extremities after electrical burn (22.,000 Volt). At the day of burns, after cleansing of burn wounds with saline, MEBO® was applied in entire burn wounds in exposed state. He was isolated at burn intensive care unit, and the room temperatures were kept in 32∼37 celsius degree. (A) At the day of burn injuries. MEBO® was reapplied at 5∼6 hours interval. (B) Postburn 4 days. Thick eschars on back, frank were noticed. (C) Postburn 7 days. Liquefied eschars were gently removed with sterilized wooden tongue blade. Still thick eschars on upper back (input area of electric current) were shown. (C) Postburn 11 days. Thinning of eschars on anterior chest, frank and back were shown. (D) Postburn 2 weeks. Eschars of round input area of electric current of upper back were also mostly removed, and raw surface was shown. Partial epithelialization of anterior chest

& back area were done. (E) At postburn 3 weeks, epithelialization was nearly made in entire burned areas. Epithelial island was noticed in electrical input area. (G) At postburn 6 weeks, relatively good cosmetic results were seen.

(6)

수상 후 4일째 화상부 주변 정상 피부에 작은 물 집이 발견되었으며, 수상 5일째 환부를 포함하는 주변피부에 물집이 더 크게 발생되었으며, 수상 6 일째 주변 조직의 발적(erythema)이 더욱 두드러지 고 넓어지며, 소양감이 심하여 MEBO®의 사용을 중지하고 화상 외용진균제인 실바딘(Silvadene)을 바른후 통상의 폐쇄 창상드레싱(closed dressing)을 시행하였다. 이후 홍반 및 소양감이 감소되었으며, 이후 계속 실바딘(Sivadene)을 사용한 고식적인 화 상 처치를 지속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수상 후 2.5주 에 창상치유가 이루어졌다(Fig. 3).

고 찰

지난 수십여년간 화상 창상의 치료에는 많은 변 화가 있어왔으며, 이는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하 며 2차 감염을 막기 위한 외용 항균제의 사용, 패 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생제의 전신적 사용, 심부 2도 이상의 3도 화상에서 조기 가피절제술 및 식 피술시행, 고 영양 및 면역요법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사망률 감소 및 화상부위의 기능적 외 양적 향상이 이루어져왔다.6∼8) 또한 화상 창상치 유에 상피세포의 여러 성장인자 등에 대한 연구 및 새로운 창상치유재료들의 개발 및 임상사용이 Fig. 2. Case 2. A 62-year-old female suffered from the scalding burn, mid dermal burn, 5%, on her left back.

MEBT with MEBO® was applied from the day of burns. (A) At the day of burn injuries (B) MEBO® was applied on burn wounds. (C) Postburn 7 days. The removal of liquefied eschars with wooden tongue blade was performed.

After postburn 2 weeks, the entire burn wounds were completely healed. (D) Postburn 1 month. Mild hyper- pigmentation of healed burn area was noticed.

(7)

있어왔다. 또한 창상치유에서 Moist-wound healing (습윤 창상치유)이 Dry-wound healing에 비해 상피 세포의 재생 과정(eithelial repair process)가 더욱 촉 진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이는 창상치유 과정에 서 습윤한 환경(moist-wound healing environment)상 태로 유지된 창상이 창상치유(healing process)가 빨 리 진행되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지난 수 년간 급성 혹은 만성 창상치료에 Calcium Arginat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등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여러 습윤창상치유제제(moist wound healing products)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임상에서 이들의 사용 후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습윤 창상치유제제는 강한 친수성 및 흡수성을 보이며, 사용 장점으로는 삼출액이 많은 창상에 유착(ad- hesion)되지 않아 쉽게 상처에서 이를 제거하여 상 처에 마찰외상(friction trauma)을 주지 않고, 동통을 줄이면서 드레싱 교환을 할 수 있다. 또한 삼출액 을 흡수한 상태로 오래 지속되어 창상이 습윤환경 (moist-environment)에 있게 하며 상처가 drying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상피세포의 재생을 촉진하 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4,9) 더불어 최근 급성

화상 창상의 치료에도 상기한 습윤창상치료제제를 사용하여 그 좋은 결과가 소개되어지고 있다. 화상 치료에서 MEBT (화상습윤노출요법)는 고래로부터 사용되어온 치료방법으로 노출요법과 습윤창상치 유의 개념이 있는 치료방법이며, 이 치료법은 화상 창상을 노출시킨 후 화상연고제를 사용하여 습윤 상태의 적절한 생리학적인 조건(physiologic condi- tion)을 만들어 주면서, 화상 창상의 재생(repair &

regeneration)을 최적화 하는데 있다. 화상습윤노출 요법에 환부를 습윤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고안된 화상 창상연고제의 일종으로 MEBO® (Moist Ex- posed Burn Ointment, 중국 북경 광명중의 소양창 양연구소)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주성분이 β-sito- sterol 5 mg% 함유되어 있고, 참기름과 황랍 등이 부형제로 되어 있는 연고제이다. 이를 사용한 화상 창상의 치료에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사용시 합병증으로는 경미한 물집(bullae), 소양감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저자도 MEBO®를 사용하여 화상습윤노출요법을 시행한 임상경험을 하였으며, 총 8예의 증례가 있 었으며, 모두 급성 화상 환자이었다. 이 증례들의 화상 범위는 전신체표면적 1∼45%에 이르는 화상 범위를 가졌으며, 화상의 깊이는 표재성 2도 화상 (superficial second degree burn)이 2예, 중간 2도 화 상(mid dermal burn)이 2예, 중간 2도 및 심부 2도 화상이 혼재된 3예, 심부 2도(deep dermal burn) 및 3도 화상이 혼재된 1예이었다. 모든 환자는 화상초 기부터 화상창상 치료에 MEBO®를 사용한 습윤노 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표재성 2도 화상 1 예, 모든 중간 2도 및 중간 2도 및 심부 2도 화상 의 5예에서 끝까지 습윤노출요법만 시행하는 보존 적 치료로써 화상 창상을 치유하였다. 이 들의 창 상의 치유 기간은 10일에서 26일이 걸렸다. 화상 깊이가 심부 2도 이상과 3도의 환부를 가진 1예의 경우는 화상 초기부터 MEBO®을 사용한 화상 처 치를 시행하던 중 심한 고열(high spiking fever) 및 혈액 검사상 백혈구감소증(lekopenia), 혈소판감소 증(thrombocytopenia)을 동반하는 범혈구감소(pnacyto- penia) 소견이 있었으며, 창상 세균 검사에서 MRSA Fig. 3. Case 3. A 55-year-old female had superficial

second degree burn on her right thigh by scalding burn.

At postburn 4 days, small bullae and erythema of burned area including surrounding unburned area were shown. These bullae were developed more bigger on next day. This figure shows postburn 6 days, more severe erythema and itching occurred in her right thigh, and use of MEBO® was stopped, and the closed burn dressings with Silvadene was done.

(8)

가 검출되어 습윤노출요법을 중지하고 실바딘(Sil- vadene)을 사용한 고식적인 창상처치를 시행하였 다. 또한 표재성 2도 화상을 입은 1예에서 수상 후 4일째부터 화상부위와 주변 피부에 발적을 동반 하는 물집이 점차 심하게 될생되어 수상 후 7일 째부터 MEBO®의 사용을 중지하고 역시 실바딘 (Sivadene) 화학진균제 사용 후 폐쇄드레싱을 시행 하여 창상치유시켰다. 총 6예에서 화상 창상 세균 검사에 균이 자라지 않았고, 비교적 화상 깊이가 깊고, 넓은 범위의 화상을 입은 2예(증례 1, 2)에서 Aeromonas salmonicida, MRSA의 창상 감염이 있었 다. 치료기간중 수치료(hydrotherphy)를 시행하지 않았으며, 다만 연화된 가피를 소독 설압자로 제거 하는 간편한 창상 처치로 창상처치 시간을 최소한 으로 줄일 수 있었다.

2주에서 6개월에 걸친 추적 경과 관찰에 표재성 2도, 중간 2도(mid dermal burn) 및 심부 2도 화상 을 입은 환자에서 끝까지 습윤노출요법을 시행한 6예의 치료 결과는 모든 환자에서 화상 창상이 비 교적 빨리 상피화가 이루어져 이 드레싱의 장점을 알게하여 주었다. 또한 치유된 부위에서 외양적,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였으며, 모 든 환자에서는 특징적으로 환부의 동통이 적었으 며, 화상 창상처치가 비교적 용이하였고, 창상치유 후 화상흉터의 비후성 반흔의 생성도 비교적 적고, 구축성 반흔도 없어 만족할 만한 외양적, 기능적인 성적을 보였다.

따라서 MEBO®를 사용한 습윤노출요법은 중간 크기의 중간 2도 및 심부 2도 화상의 화상 창상에 서 비교적 빨리 상피화가 일어나며, 화상 반흔도 거의 남지 않아 괄목할 만 하였으며, 환자에게 드 레싱 교환시 동통이 적어 창상치료에 대한 공포심 을 최소화 할 수 있었으며, 화상드레싱을 비교적 간편하고 빨리 시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 며, 빠른 치료로 입원기간의 단축 등 결과적으로 치료비용 감소라는 장점이 지적되었다. 8명 중 2예 에서 창상세균검사상 자라는 균주가 확인되었으 며, 따라서 규칙적인 세균검사를 하여 화상 창상에 자라는 균주에 적절한 항생제의 투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신체표면적 25% 이상의 광 범위한 화상을 입은 환자에서의 치료시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증의 소견을 보여, 치료기간 중 정기적 인 혈액화학검사를 시행하여 환자의 전신상태를 모니터 해야함이 요구된다. 중화상 환자의 치료는 화상 그 자체로 인한 영양, 면역체계 등 비정상을 동반하는 전신적인 생리학적 이상에 대한 처치 뿐 만이 아니라 개방된 상처, 많은 양의 가피에 의하 여 발생되는 이차감염 등 여러 심각한 화상 합병 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조기에 괴사된 피 부를 즉각 대치해야하는 현재의 치료 원칙을 간과 해서는 안될 것으로 생각하며, 화상습윤노출요법 은 특히 3도 이상의 화상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 발생되어 있을 시에는 이러한 방법의 적용에 매우 신중하여야 하며, 앞으로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광범위 중화상(ex- tensive major burn)에서도 역시 상기한 중화상 환자 의 치료원칙에 따른 면밀한 검토와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진 후에야 적용되어야 할 것 으로 생각된다.10)

결 론

저자는 2000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화상의 깊이가 표재성 2도 화상에서 3도에 이르며, 화상의 범위는 1∼45%에 이르는 급성 화상 8예를 대상으 로 MEBO®를 사용한 화상습윤노출요법(moist ex- posure burn theraphy)을 시행한 경험을 하였다. 이 방법의 사용은 특히 중간 2도 화상(mid dermal burn) 및 심부 2도 화상에서 창상치료시 동통을 최 소한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수상 후 5∼6일째부터 가피의 연화가 시작되어 가피(eschar)의 조기 제거 가 용이하였다. 또한 화상 창상치유가 비교적 빨리 진행되었으며, 창상치유한 부위의 경과 관찰에서 외양적, 기능적으로 비교적 우수한 치료결과를 보 였다. 따라서 MEBO®를 사용한 화상습윤노출요법 은 화상의 범위가 중간 화상(moderate burn)이며, 중간 2도 및 심부 2도에 이르는 화상 깊이(burn depth)를 보이는 부위의 급성 화상 창상을 치유하

(9)

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화상의 창상치료 후 경과 관 찰에서도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었다.

참 고 문 헌

1) Madden MR, Finkelstein JL, Hefton JM, Yurt RW:

Comparison of an occlusive and a semi-occlusive dressing and the effect of wound exudate upon kera- tinocyte proliferation. J Trauma 29: 924, 1989 2) Field C, Kerstein M: Overview of wound healing in

a moist environment. Amer J Surg 167(1A) Suppl: 2S, 1994

3) Hanna JR, Giacopelli JA: A review of wound healing and wound healing products. J Foot Ankle Surg 98:

2, 1997

4) 김동철: 급성 화상 창상치료에 Moist Wound Healing 의 역할. 대한화상학회지 3: 131-139, 2000

5) Xu R: On the principle of treatment of burn wound.

Chinese J Burns, Wounds, & Surface Ulcers 2: 1-22, 1993

6) Allen HS: Treatment of the burned area, closed dress- ing principle. In symposium on burns, National Acad- emy of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 ington DC., 1951, pp.112-115

7) Fox CL: Silver sulphadiazine: A new topical therapy for Psedomonas in burns. Arch Surg 96: 184, 1968 8) Rangabashyan N: Managements of burns. Burns 4: 52,

1977

9) Chen WYJ, Rogers AA, Lydon MJ: Characterization of biologic properties of wound fluid collected during early stages of wound healing. J Invest Dermatol 99:

559, 1992

10) 대한성형외과학회: 표준성형외과학. 대한성형외과학 회. 1999, 287-311

수치

Table  1.  Summary  of  Patients  Managed  by  MEBT  Using  MEBO ®
Fig.  1.  Case  1.  A  31-year-old  male  patient  with  mid  to  deep  dermal  burn,  35%  on  the  his  right  back,  shoulder,  frank,  anterior  chest,  and  upper  &  lower  extremities  after  electrical  burn  (22.,000  Volt)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fulcrum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research on Southeast at the University of Malaya comprised the Departments of History and Geography which also introduced

Micro- and nano-sized pore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loy using PEO and anodization methods, and the pore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Zr

Anoxic

The surface of untreated Ti, SLA treated Ti, and AA plasma polymerized SLA/Ti were also examined for thei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public water surface covers very wide area and produces a variety of goods and services and also generates the problem of common resources related

They also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with respect to negative control in the scratch - wound healing assay using confluent monolayers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and surface morphologies of porous silicon were investigated by controlling of etching times and applied current den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