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0세 이상 성인의 건강 관련 요인에 따른 지방섭취량 비교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50세 이상 성인의 건강 관련 요인에 따른 지방섭취량 비교 분석"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원저]

50세 이상 성인의 건강 관련 요인에 따른 지방섭취량 비교 분석

임경숙

1)

, 이태영

1)

, 강용화

1)

, 김정희

2)

, 김초일

3)

, 장경자

4)

, 김경원

2)

, 이해정

5)

, 박선주

5)

, 최혜미

5)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1),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2), 한국보건산업진흥원3),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4),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5)

- 요 약 -

연구배경 식사의 총지방, 콜레스테롤 및 포화지방은 여러 만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며, 특히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인 심혈관계 질환의 영양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요인에 따 라 식이지방 섭취형태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단면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 법 2000년도에 전국 15개 시도에서 50세 이상 중년 및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총 2540명: 남 765명, 여 1775명). 지

방섭취량 조사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타당도가 검증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로 하였으며, 식사성 동맥경화지표로 알려진 총지방, 지방급원 에너지비율,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포화지방지수(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 CSI) 및 콜레스테롤-포화지방-칼로리섭취량비(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 RISCC)를 분석하였다.

신체계측을 통하여 비만도를 산출하였으며, 건강관련요인으로는 질환, 흡연, 음주, 운동 및 스트레스 수준을 설문조사 하였다.

통계분석은 SAS(ver 8.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50-64세(중년), 65-74세(노인), 75세이상(고령노인)으로 분류하고, 일반선형 모델을 사용하여 각 건강관련요인에 따른 지방섭취량을 비교하였다.

결 과 남자는 모든 형태의 지방 섭취량이 연령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는 고령이 될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남녀 모두 심혈관계

질환에 따라 지방섭취량이 유의하게 차이나지 않았다. 남자의 지방섭취량은 비만도나 흡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는 비만자와 비흡연자의 지방섭취량이 대조군보다 더 높았다. 음주는 남녀 모두 지방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남녀 모두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에 총지방섭취량, CSI 및 RISCC 등이 높았다. 스트레스는 남자의 지방섭취수준에는 영향을 미치 지 않았으나, 여자에서는 스트레스가 적은 경우에 지방 섭취량이 높았다.

결 론 남자보다는 여자가 건강관련요인에 의해 지방섭취량이 영향을 받았다. 남자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 지방섭취량이 높았으며,

여자는 중년일수록, 금연, 운동,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에 지방섭취량이 높았다. 따라서 심혈관계질환의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은 건강행태의 개선과 더불어, 비록 건강행태가 양호한 사람에게도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포괄적인 중재 활동이 필요함

을 제시해준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25~37)

중심단어 중년, 노인, 지방섭취량,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심혈관계질환, 건강

5서 론

여러 역학 연구에 의하면 식사에서의 총지방,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심혈관계질환, 암, 대사증후군 및 비만 등 여러 만성질환 발생의 위험요인이라고 한다.

1-3)

이에 따라 건강 증진을 위한 식사지침과 각종 질환의 임상영양치료 및 예방을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grant of the Korea Health 21 R&D Projec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ublic of Korea(HMP-00-CH-17-0016).

∙교신저자 : 임 경 숙 수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주 소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와우리

∙전 화 : 031-220-2331

∙E-mail : ksyim@suwon.ac.kr

∙접 수 일 : 2004년 3월 2일 ∙채 택 일 : 2004년 3월 17일

위해 식사에서의 총 지방, 포화지방량과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줄이고, 지방의 섭취형태를 포화지방 대신에 불포화지방산이나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 섭취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4,5)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6)

에 따르면 한국인은 하루 평균

41.6g의 지방을 섭취하고, 지방급원 에너지 비율은 19.5%이

며, 또한 동물성 지방 섭취량은 20.1g으로 전체 식사 지방의

4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러한 지방 섭취 수준

은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성별, 연령

별 지방섭취량은 차이가 있어서, 남자(20.2%)의 지방급원 에

너지비율은 여자(18.8%)보다 높았으며, 초중고생은 지방에서

에너지의 23.2%를 섭취하지만 20대는 21.4%, 30-49세는

(2)

19.3%, 50-64세는 14.6%, 65세 이상의 노인계층은 13.3%로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지방섭취 제한에 대한 국가적인 식생활개선 노 력과 건강식품 개발에 힘입어 국민 1인당 지방섭취량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아직 매우 높은 상태이다.

7-9)

미 농림부의 1977-1978년도와 1994-1996년도 식품소비조사에서 나타난 결 과를 비교해보면, 식탁용 유지 사용량은 반으로 줄었고, 저지 방우유나 무지방우유 섭취량은 두배로 늘어났으며, 계란 소비 량도 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고 한다.

10)

이에 따라 지방섭취 량도 감소하여, 1977/1978년도 조사에서는 지방급원 에너지비 율이 40%수준이었으나, 1994/1996 조사에서는 지방급원 에너 지비율은 평균 33%이며, 포화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약 11%

정도라고 한다.

10)

이렇게 총지방섭취량을 줄임으로써 건강증진 을 꾀하려는 범국가적 보건정책이 시도되었으나 실제 20세 이 상 성인계층에서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이 미국 식사지침의 권 고사항인 30% 이하인 대상자가 남자는 29%, 여자는 37%정도 이며, 포화지방급원 에너지비율도 권고사항인 10%이하 수준으 로 섭취하는 사람이 남자의 34%, 여자의 43%에 불과하다.

11)

이와 함께 예전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라고는 하나 심혈관질환 과 대장암 등 지방섭취량과 관련 깊은 질환의 발생률은 세계 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아직도 미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알 려져 있다.

12)

따라서 지방섭취제한은 미국인의 식사지침에 매 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4)

, 지방섭취를 제한함으로 써 각종 질환을 줄이려는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13)

미국 등 서구 국가와 비교해보면 한국인의 지방섭취량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지만, 우리나라 사람의 지방섭취 추세 나 유병질환의 양상을 살펴보면 안심할 형편은 아니다. 즉 연도별 지방급원 에너지비는 1970년대에는 10%미만으로 매 우 낮았으나 1990년도에는 13.9%로 높아졌고, 2001년도에 19.5%가 되는 등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6)

또한 순 환기계 질환의 사망률이 주요 3대 사망원인에 속하며, 대장 암, 유방암 등 식사 지방과 관련 깊은 암의 발생율이 증가 추세에 있고, 게다가 최근 대사증후군 환자가 급증하는 등 한국인의 질병 발생 양태가 서구인과 유사하게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14)

더구나 한국인 허혈성심질환자에 대한 환자대조 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교적 지방 섭취량이 낮은 우리의 식생활환경에서도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이 1% 증가할 경우 허혈성심질환의 위험도는 8% 증가한다고 한다.

15)

따라서 비 록 현재의 지방섭취량이 서구사회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 아 니라도,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 전략 차원에서 식사에서의 지 방섭취량이나 지방섭취 형태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겠다.

일반적으로 식생활은 인류문화적인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 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16)

따라서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영양증진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의 식생활과 영양섭취 특성을 토대로 제시되어야 효율성이 높으므로

17)

, 외 국의 자료보다는 한국인 대상의 식생활 양상의 연구가 필요 하다. 이에 지역사회 집단이나 심혈관계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조사 결과가 일부 발표되고 있으나

15,18,19)

, 만성질환 에 대한 유병률이 급증하게 되는 중년 이후 노인의 지방섭취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형 편이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심혈관계 질환의 건강증진 전략이 금연, 절주, 운동 등의 건강행태와 미국 자료를 토대 로 한 영양중재에 치중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0세 이상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질병, 비만,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의 건강관련 요인에 따라 식사의 총지방, 포화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등 심혈관계 질환 의 영양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영양소의 섭취량이 어떠한 영향 을 받는지 살펴봄으로써, 중년 및 노인의 영양증진사업의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전국 15개 지역(서울특별시, 광역시 6지역: 부산, 대구, 울산, 광주, 대전, 인천; 소도시 8지역: 천안, 전주, 진주, 청주, 춘천, 안양, 성남, 수원)에서 50세 이상 중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2660명(남 847명, 여 1813명)이 조 사에 참여하였다. 조사는 지역 보건소, 노인대학 또는 경노당 에서 수행되었으며, 조사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았다. 참여자는 질환유무에 상관없이 50세 이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 지방섭취량 평가

영양섭취량 조사는 이해정 등

20)

이 개발하여 타당도가 검증 된 50세 이상 성인의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는 98항목의 식품 및 음식에 대하여 기준 량, 3단계의 섭취량 및 9단계의 섭취빈도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섭취한 분량을 정확하게 추정하도록 돕기 위 해 실물크기 음식사진, 계량컵, 스푼, 두께자를 활용하였다.

또한 계절식품에 대해서는 특정 계절의 평균적인 섭취량과 빈도를 조사하여 1년 동안의 평균치로 환산하였다.

각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량은 농촌생활연구소에서 발행한

식품성분표

21)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콜레스테롤과 포화지

방산(SFA : saturated fatty acid) 함량은 식품성분표 제Ⅱ편

22)

(3)

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국내자료에 부족한 데이터는 일본식 품표준성분표

23)

와 USDA 성분표

24)

를 이용하였으며, 한국인 영양권장량

25)

을 기준으로 섭취비율(%RDA)를 구하였다.

지방섭취상태는 총지방량, 지방급원 에너지비율(percentage of energy from fat), 포화지방산양, 콜레스테롤량 및 식품의 심혈관계질환 위험성을 수치화한 콜레스테롤-포화지방산 지 수(Cholesterol-Saturated fatty acid Index:CSI)

26,27)

와 콜레스테 롤-포화지방-칼로리섭취량비(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 RISCC)를 계산하였다.

28)

% Energy from fat = [지방 섭취량(g)×9 / {(탄수화물 섭취량(g)×4

+ 단백질 섭취량(g)×4 +지방 섭취량(g)×9)}]×100 CSI=(1.01×g 포화지방산 섭취량) + (0.05×mg 콜레스테롤 섭취량)

RISCC = (1.01 × 포화지방산 섭취량(g)) + (0.05 ×콜레스테롤 섭취량(mg)) / 칼로리 섭취량(kcal/1000)

3. 건강 관련 요인 조사

대상자에게 직접 신체계측을 통하여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 였고,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여 비만여부를 판정하였다. 비만 기 준은 아시아-태평양지역 비만치료지침에 따라 구분하였다.

29)

건강관련 요인에 대해서는 1998국민건강․영양조사

30)

의 보건 의식행태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조적 면접조사표를 활용하 였고, 모든 조사는 훈련된 영양조사원에 의해 일대일 면접으로 진행하였다. 질병 보유 여부는 의사의 진단을 받았거나 투약을 하는 경우로 평가하였으며,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및 당뇨병을 심혈관계질환으로 분류하였다. 흡연과 음주상태 평가는 현재 흡연자, 또는 현재 음주를 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흡연경험자나 음주경험자는 각각 비흡연자, 비 음주자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운동상태는 지난 1개월 이내 규칙적으로 운동하였는지 여부로 구분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은 평상시 생활중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는다(1), 조금 느끼는 편이다(2), 많이 느끼는 편이다(3), 대단히 많이 느낀다(4)의 단 일 문항으로 조사하였으며, (3) 또는 (4) 항목에 표시하였을 경 우,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4.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

남녀와 연령별로 영양권장량이 다르므로, 지방섭취량 결과 에 대한 통계분석은 남녀별로 나누고, 연령에 따라 중년(50-64 세), 노인(65-74세: old), 고령노인(75세 이상: Old-old)으로 분류 하여 층화한 후 시행하였다. 질환유무는 지방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어 층화 변수로 사용하지 않았다.

통계 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ver 8.02)을 이용하였으며, 연속변수는 일반선형모델(General Linear Model)로 분석하고, 비연속변수는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 다. 3집단간의 비교는 Duncan's multiple test로 하였다. 각 건강요인별 지방섭취량의 유의성 검증은 연령군에 의한 유의 차를 보정한 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대상자의 평균 연령(±표준편차)은 남자 69.9(±8.3)세, 여자 69.0(±7.5)세였으며, 연령별 분포는 남자대상자의 경우 50~

64세의 중년층이 21.2%, 65~74세의 노인이 50.3%, 75세 이상 고령노인은 28.5%이었고, 여자대상자는 50~64세 22.8%, 65~

74세 54.9%, 75세 이상 22.3%이었다. 남녀 모두 65~74세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중년 및 고령노인의 비율은 비슷하였다(Table 1). 대상자의 학력수준은 남자는 고졸 이상 이 40.1%이었으며, 여자는 고졸 이상이 10.8%이었다. 혼자 거 주하는 비율은 남자는 8.6%, 여자는 26.3%이었으며, 생활비 자립도는 남자의 41.2%, 여자의 24.6%이었고, 정보 보조를 받 는 대상자는 남자의 9.4%, 여자의 13.9%이었다. 전체적으로 남자대상자가 여자대상자보다 학력이 높고 가족과 함께 거주 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생활비 자립도가 높았다.

Table 1.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Male Female P

Age

50~64 162 (21.2) 405 (22.8) 0.003

65~74 385 (50.3) 975 (54.9)

75~ 218 (28.5) 395 (22.3)

Education

No 92 (12.0) 660 (37.2) <0.001

Primary school 229 (29.9) 721 (40.6) Middle school 137 (17.9) 203 (11.4) Over high school 307 40.1) 191 (10.8) Living arrangements

Living alone 66 ( 8.6) 467 (26.3) <0.001 Living with family 699 (91.4) 1308 (73.7) Living expenses

By oneself 315 (41.2) 436 (24.6) <0.001 Children support 378 (49.4) 1092 (61.5) Government support 72 ( 9.4) 247 (13.9) Number(%), Statistical analysis by chi-square test.

(4)

2. 성별, 연령별 지방섭취량 비교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로 조사된 대상자의 지방섭취량 분석 결과는 Table 2에 있다. 남자의 총지방섭취량은 50-64세 의 중년이 41.2g, 65-74세의 노인이 42.1g, 75세 이상 고령노 인이 38.8g이었으며,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20.3-20.9%이었

다. 중년, 노인 및 고령노인의 포화지방 섭취량은 연령별로 각각 15.4g, 15.6g, 14.3g이었으며,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각각 230.4mg, 246.7mg, 236.7mg이었다. 또한 식사에서의 동맥경 화위험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제시된 콜레스테롤-포화지방지 수(Cholesterol-Saturated fatty acid Index: CSI)는 중년, 노인 및 고령노인에서 각각 27.1, 28.1, 26.3이었으며, 에너지섭취량

Table 2.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Male Female

Age(yr)

P Age(yr)

50~64 65~74 75~ 50~64 65~74 75~ P

Number 162 385 218 405 975 395

Total energy(㎉) 1854.8 ± 481.7a 1820.3 ± 490.8a 1669.2 ± 498.8b <0.001 1630.1 ± 482.1a 1509.0 ± 475.0b 1331.7 ± 467.9c <0.001 Energy % RDA * 80.6 ± 20.9b 91.0 ± 25.5a 92.7 ± 27.7a <0.001 85.8 ± 25.4ab 88.8 ± 27.9a 83.2 ± 29.2b 0.003 Total fat (g) 41.2 ± 18.1 42.1 ± 19.1 38.8 ± 20.9 0.129 35.4 ± 17.0 31.7 ± 16.5 27.0 ± 15.7 <0.001

% Energy from fat 20.3 ± 5.6 20.9 ± 5.9 20.8 ± 6.9 0.586 18.7 ± 5.4a 18.1 ± 5.4ab 17.5 ± 5.8b 0.007 Saturated fatty acid (g) 15.4 ± 7.8 15.6 ± 8.1 14.3 ± 9.2 0.517 13.3 ± 6.9a 11.8 ± 7.0b 10.1 ± 6.7c <0.001 Cholesterol (mg) 230.4 ± 149.3 246.7 ± 159.8 236.7 ± 173.9 0.172 196.8 ± 131.5a 174.8 ± 130.1b 154.6 ± 122.9c <0.001 CSI 27.1 ± 14.1 28.1 ± 14.4 26.3 ± 16.0 0.344 23.3 ± 12.6a 20.7 ± 12.4b 18.0 ± 11.7c <0.001 RISCC 14.2 ± 5.3 15.0 ± 5.7 15.2 ± 6.8 0.239 13.7 ± 5.1 13.1 ± 5.3 12.8 ± 5.5 0.057 Mean ±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a, b, c)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α=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RDA: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CSI(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1.01×g saturated fatty acid)+(0.05×mg cholesterol)

‡RISCC(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CSI/(energy(㎉)/1,000(㎉))

Table 3.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cardiovascular disease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50 ~ 64 years 65 ~ 74 years 75 ~ years

CVD Non-CVD CVD Non-CVD CVD Non-CVD P

Male

Number 51 111 122 263 49 169

Total energy(㎉) 1853.1 ± 519.0 1855.6 ± 466.0 1843.5 ± 467.5 1809.5 ± 501.7 1692.0 ± 495.9 1662.6 ± 501.0 0.530 Total fat(g) 37.2 ± 15.8 43.0 ± 18.9 42.5 ± 16.5 41.9 ± 20.2 39.5 ± 19.6 38.5 ± 21.3 0.638 Energy from fat(%) 18.7 ± 4.7 21.1 ± 5.9 21.3 ± 5.4 20.7 ± 6.1 21.2 ± 7.2 20.7 ± 6.8 0.811 Cholesterol(mg) 201.1 ± 130.7 243.8 ± 155.8 254.6 ± 145.5 243.0 ± 166.2 234.5 ± 186.4 237.3 ± 170.7 0.756 Saturated fatty acid(g) 13.6 ± 6.1 16.3 ± 8.4 15.4 ± 6.8 15.7 ± 8.6 13.8 ± 7.1 14.5 ± 9.7 0.173 CSI * 23.8 ± 11.8 28.7 ± 14.9 28.3 ± 12.3 28.0 ± 15.3 25.6 ± 15.2 26.5 ± 16.3 0.346 RISCC 12.5 ± 4.3 15.0 ± 5.6 15.2 ± 5.3 14.9 ± 5.9 14.9 ± 7.6 15.3 ± 6.6 0.299 Female

Number 109 296 306 669 119 276

Total energy(㎉) 1640.2 ± 484.0 1626.4 ± 482.2 1542.5 ± 479.6 1493.7 ± 472.4 1340.7 ± 468.7 1327.9 ± 468.4 0.176 Total fat(g) 35.7 ± 16.1 35.2 ± 17.4 32.7 ± 17.2 31.3 ± 16.2 26.5 ± 15.6 27.2 ± 15.7 0.385 Energy from fat(%) 18.8 ± 5.3 18.7 ± 5.5 18.3 ± 5.5 18.1 ± 5.4 16.9 ± 5.6 17.8 ± 5.8 0.848 Cholesterol(mg) 195.0 ± 133.0 197.4 ± 131.2 186.5 ± 139.3 169.4 ± 125.4 152.1 ± 123.7 155.7 ± 122.7 0.215 Saturated fatty acid(g) 13.5 ± 6.3 13.2 ± 7.1 12.1 ± 7.3 11.7 ± 6.9 9.9 ± 6.5 10.3 ± 6.8 0.515 CSI * 23.5 ± 12.2 23.2 ± 12.8 21.6 ± 13.0 20.3 ± 12.1 17.6 ± 11.7 18.2 ± 11.7 0.309 RISCC 13.8 ± 5.4 13.6 ± 5.0 13.4 ± 5.6 13.0 ± 5.1 12.5 ± 5.4 12.9 ± 5.5 0.581 Mean ±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P values were adjusted on age.

* CSI(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1.01×g saturated fatty acid)+(0.05×mg cholesterol)

†RISCC(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CSI/(energy(㎉)/1,000(㎉))

(5)

Table 4.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50 ~ 64 years 65 ~ 74 years 75 ~ years

BMI < 25 BMI ≥ 25 BMI < 25 BMI ≥ 25 BMI < 25 BMI ≥ 25 P Male

Number 97 65 263 122 168 50

Total energy(㎉) 1859.5 ± 457.7 1847.9 ± 519.0 1812.4 ± 495.7 1837.2 ± 481.7 1680.9 ± 508.1 1629.8 ± 469.2 0.955 Total fat(g) 41.5 ± 18.0 40.6 ± 18.3 42.1 ± 20.0 42.0 ± 17.1 39.3 ± 22.1 36.8 ± 16.5 0.566 Energy from fat(%) 20.5 ± 5.4 20.1 ± 5.9 21.0 ± 6.0 20.8 ± 5.5 20.8 ± 7.1 20.9 ± 6.0 0.693 Cholesterol(mg) 237.0 ± 153.7 220.4 ± 143.1 248.2 ± 167.6 243.5 ± 142.2 235.0 ± 178.8 242.2 ± 157.9 0.711 Saturated fatty acid(g) 15.7 ± 8.4 15.1 ± 6.9 15.7 ± 8.6 15.4 ± 6.9 14.7 ± 9.7 13.1 ± 7.0 0.292 CSI * 27.7 ± 14.6 26.3 ± 13.5 28.3± 15.2 27.7 ± 12.6 26.6 ± 16.9 25.4 ± 12.8 0.423 RISCC 14.5 ± 5.5 13.9 ± 5.0 15.2 ± 5.8 14.8 ± 5.5 15.1 ± 7.0 15.5 ± 6.2 0.565 Female

Number 202 203 454 521 248 147

Total energy(㎉) 1631.9 ± 473.6 1628.3 ± 491.6 1462.2 ± 480.7 1549.8 ± 466.5 1297.3 ± 470.4 1389.9 ± 459.5 0.003 Total fat(g) 35.3 ± 16.9 35.4 ± 17.2 30.4 ± 15.8 32.8 ± 17.1 25.9 ± 14.4 28.8 ± 17.5 0.011 Energy from fat(%) 18.7 ± 5.6 18.8 ± 5.2 18.1 ± 5.4 18.2 ± 5.5 17.4 ± 5.5 17.6 ± 6.2 0.578 Cholesterol(mg) 198.3 ± 139.2 195.3 ± 123.8 168.9 ± 128.1 179.9 ± 131.7 148.5 ± 114.4 164.9 ± 135.9 0.148 Saturated fatty acid(g) 13.0 ± 6.6 13.6 ± 7.2 11.4 ± 6.8 12.2 ± 7.1 9.5 ± 5.7 11.2 ± 7.9 0.005 CSI * 23.1 ± 12.8 23.5 ± 12.5 20.0 ± 12.1 21.3 ± 12.6 17.0 ± 10.5 19.6 ± 13.4 0.018 RISCC 13.5 ± 5.4 13.9 ± 4.8 13.1 ± 5.3 13.1 ± 5.3 12.6 ± 5.2 13.2 ± 5.8 0.391 Mean ±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P values were adjusted on age.

* CSI(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1.01×g saturated fatty acid)+(0.05×mg cholesterol)

†RISCC(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CSI/(energy(㎉)/1,000(㎉))

을 보정한 포화지방-콜레스테롤 칼로리비(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 RISCC)는 각각 14.2, 15.0, 15.2로서 연령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여자의 총지방섭취량은 중년 35.4g, 노인 31.7g, 고령노인 이 27.0g이었으며(p<0.001),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각각 18.7%, 18.1%, 17.5%로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p<0.01). 중년, 노인 및 고령노인의 포화지방섭취량은 각 각 13.3g, 11.8g, 10.1g이었으며(p<0.001),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196.8mg, 174.8mg, 154.6mg으로 고령으로 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여자 대상자의 CSI는 중년, 노인 및 고 령노인에서 각각 23.3, 20.7, 18.0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01),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RISCC는 각각 13.7, 13.1, 12.8로서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3.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 여부에 따른 지방섭취량 비교 분석

심혈관계 질환 유무에 따른 지방섭취량을 비교 분석한 결 과는 Table 3에 있다. 질환의 판정은 대상자의 응답을 기준으 로 하였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았거나 약물을 복용중인 고혈 압,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및 당뇨병을 심혈관계 질환으 로 분류하였고, 관절염, 위장병 등 기타 질환은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심혈관계 질환은 남녀 중년 및 노인 대상자의 총지방섭취량이나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CSI 및 RISCC등의 지방 섭취패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시아-태평양지역 비만치료지침

29)

에 따라 체질량지수 25

㎏/㎡을 기준으로 비만 판정을 하여 지방섭취량을 비교 분 석하였다(Table 4). 남자는 비만 여부에 따라 지방섭취량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는 총지방섭취량, 포화지방 및 CSI가 비만일수록 높았으나, 에너지를 보정한 지표인 RISCC 는 비만 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흡연, 음주, 운동 및 스트레스에 따른 지방섭취량 비교 분석

현재 흡연자를 기준으로 흡연 여부를 판정하여 지방섭취량 을 비교한 결과, 남자는 흡연 여부에 무관하게 총지방섭취량 이나 지방급원 에너지비율과 포화지방섭취량이 비슷하였으나, 여자는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총지방섭취량, 포화지방산, 콜 레스테롤 및 CSI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에너지 섭취량을 보 정한 식사의 동맥경화지표인 RISCC도 낮았다(Table 5).

음주 여부에 따른 지방섭취량 분석 결과는 Table 6에 있 다. 남녀 모두 음주는 식사의 총지방섭취량이나 포화지방 섭 취량, CSI 및 RISCC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중년과 노인 및 고령노인의 운동여부에 따른 지방섭취량

(6)

Table 5.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smoking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50 ~ 64 years 65 ~ 74 years 75 ~ years

Current smoker Non-smoker P

or ex-smoker Current smoker Non-smoker

or ex-smoker Current smoker Non-smoker or ex-smoker Male

Number 71 91 138 247 77 141

Total energy(㎉) 1928.0 ± 505.3 1797.7 ± 457.2 1808.1 ± 491.6 1827.1 ± 491.2 1666.5 ± 489.1 1670.7 ± 505.8 0.615 Total fat(g) 44.3 ± 18.9 38.8 ± 17.2 41.3 ± 18.7 42.5 ± 19.3 37.6 ± 20.3 39.4 ± 21.3 0.917 Energy from fat(%) 21.3 ± 5.4 19.6 ± 5.7 20.9 ± 5.7 20.9 ± 6.0 20.6 ± 7.0 20.9 ± 6.8 0.516 Cholesterol(mg) 236.8 ± 141.2 225.4 ± 155.9 237.4 ± 177.7 251.8 ± 149.1 243.3 ± 209.2 233.0 ± 152.0 0.886 Saturated fatty acid(g) 16.7 ± 8.9 14.5 ± 6.8 15.3 ± 8.0 15.8 ± 8.1 14.3 ± 9.0 14.3 ± 9.3 0.668 CSI * 28.7 ± 14.9 25.9 ± 13.5 27.4 ± 15.1 28.5 ± 14.1 26.6 ± 17.5 26.2 ± 15.3 0.868 RISCC 14.5 ± 5.0 14.0 ± 5.5 14.6 ± 5.5 15.3 ± 5.8 15.3 ± 7.8 15.2 ± 6.3 0.666 Female

Number 12 393 52 923 49 346

Total energy(㎉) 1575.6 ± 473.2 1631.7 ± 482.9 1427.2 ± 529.5 1513.6 ± 471.6 1164.8 ± 376.0 1355.4 ± 475.2 0.007 Total fat(g) 29.6 ± 17.6 35.5 ± 17.0 29.4 ± 17.2 31.8 ± 16.5 22.4 ± 10.2 27.6 ± 16.2 0.014 Energy from fat(%) 16.0 ± 6.6 18.8 ± 5.4 17.7 ± 4.7 18.2 ± 5.5 17.4 ± 5.8 17.5 ± 5.8 0.314 Cholesterol(mg) 176.4 ± 134.1 197.4 ± 131.6 139.3 ± 103.1 176.8 ± 131.2 125.0 ± 85.5 158.8 ± 126.8 0.007 Saturated fatty acid(g) 12.4 ± 8.9 13.3 ± 6.8 10.7 ± 6.8 11.9 ± 7.0 8.4 ± 4.4 10.4 ± 6.9 0.030 CSI * 21.4 ± 14.2 23.3 ± 12.6 17.8 ± 11.4 20.9 ± 12.5 14.8 ± 7.8 18.5 ± 12.1 0.008 RISCC 12.5 ± 6.7 13.7 ± 5.1 11.8 ± 4.2 13.2 ± 5.3 12.3 ± 5.1 12.9 ± 5.5 0.043 Mean ±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 CSI (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1.01×g saturated fatty acid)+(0.05×mg cholesterol)

†RISCC (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CSI/(energy(㎉)/1,000(㎉))

Table 6.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alcohol drinking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50 ~ 64 years 65 ~ 74 years 75 ~ years

Current drinker Non-drinker P

or ex-drinker Current drinker Non-drinker

or ex-drinker Current drinker Non-drinker or ex-drinker Male

Number 104 58 183 202 98 120

Total energy(㎉) 1938.9 ± 824.0 1704.1 ± 446.8 1850.5 ± 497.0 1792.9 ± 484.7 1724.8 ± 474.5 1623.8 ± 515.4 0.003 Total fat(g) 43.6 ± 18.5 36.8 ± 16.6 40.7 ± 18.4 43.4 ± 19.7 39.8 ± 22.3 37.9 ± 19.8 0.704 Energy from fat(%) 21.2 ± 5.6 18.8 ± 5.4 20.8 ± 5.8 21.0 ± 5.9 21.5 ± 7.4 20.3 ± 6.4 0.105 Cholesterol(mg) 242.0 ± 153.5 209.5 ± 140.3 235.3 ± 162.7 257.0 ± 156.9 246.7 ± 196.2 228.4 ± 153.8 0.955 Saturated fatty acid(g) 16.6 ± 8.1 13.4 ± 6.9 15.4 ± 7.8 15.8 ± 8.3 15.4 ± 10.8 13.5 ± 7.6 0.107 CSI * 28.9 ± 14.5 24.1 ± 13.0 27.4 ± 14.3 28.8 ± 14.6 27.9 ± 18.2 25.1 ± 14.0 0.345 RISCC 14.6 ± 5.3 13.6 ± 5.3 14.5 ± 5.9 15.5 ± 5.5 15.5 ± 7.6 15.0 ± 6.1 0.675 Female

Number 77 328 163 812 70 325

Total energy(㎉) 1676.0 ± 526.0 1619.3 ± 471.5 1548.5 ± 516.5 1501.1 ± 466.1 1356.9 ± 446.2 1326.3 ± 473.0 0.122 Total fat(g) 37.2 ± 18.2 34.9 ± 16.7 32.4 ± 17.2 31.6 ± 16.4 24.7 ± 13.1 27.5 ± 16.2 0.703 Energy from fat(%) 19.4 ± 5.6 18.6 ± 5.4 18.3 ± 5.1 18.1 ± 5.5 16.4 ± 5.4 17.7 ± 5.8 0.963 Cholesterol(mg) 206.8 ± 134.9 194.4 ± 130.9 172.7 ± 115.7 175.2 ± 132.8 137.7 ± 116.1 158.3 ± 124.2 0.712 Saturated fatty acid(g) 14.4 ± 7.4 13.0 ± 6.7 12.2 ± 7.2 11.8 ± 7.0 9.0 ± 4.8 10.4 ± 7.0 0.605 CSI * 24.9 ± 13.1 22.9 ± 12.5 20.9 ± 12.3 20.7 ± 12.5 16.0 ± 10.0 18.4 ± 12.0 0.920 RISCC 14.2 ± 5.2 13.6 ± 5.1 12.9 ± 4.5 13.2 ± 5.4 11.3 ± 5.0 13.1 ± 5.5 0.209 Mean ±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P values were adjusted on age.

* CSI(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1.01×g saturated fatty acid)+(0.05×mg cholesterol)

†RISCC(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CSI/(energy(㎉)/1,000(㎉))

(7)

Table 7.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regular exercise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50 ~ 64 years 65 ~ 74 years 75 ~ years

Yes No Yes No Yes No P

Male

Number 77 85 234 151 93 125

Total energy(㎉) 1928.5 ± 493.3 1788.1 ± 463.8 1883.4 ± 470.1 1722.6 ± 507.5 1733.3 ± 497.7 1621.5 ± 496.3 <0.001 Total fat(g) 42.6 ± 16.5 39.8 ± 19.4 44.0 ± 18.7 39.1 ± 19.4 42.0 ± 23.6 36.4 ± 18.4 0.001 Energy from fat(%) 20.6 ± 5.3 20.1 ± 5.9 21.2 ± 5.7 20.5 ± 6.2 21.6 ± 7.9 20.3 ± 6.0 0.074 Cholesterol(mg) 240.5 ± 151.2 221.2 ± 147.8 263.5 ± 171.4 220.6 ± 136.5 243.7 ± 177.0 231.4 ± 172.1 0.014 Saturated fatty acid(g) 15.7 ± 6.9 15.2 ± 8.6 16.3 ± 8.0 14.5 ± 8.1 15.6 ± 10.8 13.4 ± 7.7 0.006 CSI * 27.9 ± 13.2 26.4 ± 15.0 29.7 ± 14.7 25.7 ± 13.7 28.0 ± 17.8 25.1 ± 14.5 0.004 RISCC 14.4 ± 5.3 14.1 ± 5.3 15.4 ± 5.8 14.5 ± 5.6 15.6 ± 7.7 15.0 ± 6.1 0.118 Female

Number 155 250 459 516 107 288

Total energy(㎉) 1650.6 ± 465.3 1617.4 ± 492.8 1603.2 ± 482.0 1425.2 ± 452.8 1467.5 ± 457.8 1281.3 ± 462.3 <0.001 Total fat(g) 36.8 ± 16.8 34.4 ± 17.2 34.7 ± 17.2 29.1 ± 15.5 32.1 ± 14.8 25.1 ± 15.6 <0.001 Energy from fat(%) 19.4 ± 5.2 18.3 ± 5.6 18.7 ± 5.4 17.6 ± 5.4 19.2 ± 5.4 16.9 ± 5.8 <0.001 Cholesterol(mg) 213.3 ± 140.3 186.6 ± 125.0 197.0 ± 132.3 155.0 ± 124.9 181.8 ± 128.6 144.5 ± 119.4 <0.001 Saturated fatty acid(g) 14.0 ± 7.1 12.9 ± 6.7 13.0 ± 7.3 10.8 ± 6.5 12.0 ± 6.2 9.5 ± 6.7 <0.001 CSI * 24.8 ± 13.2 22.3 ± 12.2 23.0 ± 12.9 18.7 ± 11.6 21.3 ± 11.0 16.8 ± 11.8 <0.001 RISCC 14.5 ± 5.5 13.2 ± 4.8 13.8 ± 5.3 12.5 ± 5.2 14.1 ± 5.2 12.3 ± 5.5 <0.001 Mean ±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P values were adjusted on age.

* CSI(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1.01×g saturated fatty acid)+(0.05×mg cholesterol)

†RISCC(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CSI/(energy(㎉)/1,000(㎉))

분석 결과는 Table 7에 있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남자는 운동을 하지 않은 남자보다 총지방섭취량, 포화지방산, 콜레 스테롤 및 CSI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 한 RISCC는 통계적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운동하는 경우에 높았다. 여자 대상자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 연령 에 무관하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대상자가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보다 각종 지방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중년과 노인의 연령군별 스트레스에 따른 지방섭취량 분석 결과는 Table 8에 있다. 남자는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지방섭 취량과 섭취패턴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자의 경우 스트 레스가 낮은 사람이 총지방섭취량도 높았고, 지방급원 에너 지비율 및 포화지방섭취량도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따라 스 트레스가 낮은 대상자가 식사의 동맥경화지표인 CSI 및 RISCC도 유의하게 높았다.

고 찰

식사로부터의 총지방,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는 식사성 동맥경화유발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섭취 제한은 혈중 지단백질을 개선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서 알려져 있다.

31)

50세 이상의 중년과 노인

을 대상으로 지방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식사에서의 지방섭 취량과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남자는 연령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여자는 연령이 높아질 수록 유의하게 낮아졌다. 총지방섭취량이나 포화지방, 콜레스 테롤, CSI 및 RISCC는 대상자의 심혈관계 질환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건강행태에 의한 지방 섭취량 변동 을 살펴본 결과, 남자는 운동을 하는 대상자가 지방섭취량이 높았으며, 흡연, 음주 및 스트레스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자는 비만자, 금연자, 운동을 하는 경우, 또 스트레스가 낮 은 경우에 오히려 지방 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음주 여부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대상자의 지방 섭취량은 남자 38.8-41.2g, 여자

27.0-35.4g이며, 지방에너지비율은 남자는 20.3-20.9%, 여자는

17.5-18.7%로 조사되었다. 이는 원주지역에서 3일간 식사기록

법으로 조사된 40-50대 대상자의 지방 섭취량 평균 48.0g이

나, 지방급원 에너지비율 22.5%과 비교하면 조금 낮은 수치

이다.

18)

반면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6)

에 비하면 조

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따르면 1일 지방 섭취량이

50-64세는 30.5g, 65세 이상은 23.4g이었으며, 지방급원 에너

지비율은 50-64세가 14.6%, 65세 이상이 13.3%로 보고하고 있

다. 이렇게 본 연구대상자의 지방섭취량이 선행 연구 결과와

다르게 나타난 것은 조사 방법에 의한 오차일 가능성이 있다.

(8)

Table 8. Comparisons of dietary fat and fatty acid intake according to stress level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50 ~ 64 years 65 ~ 74 years 75 ~ years

High Low High Low High Low P

Male

Number 37 125 44 341 17 201

Total energy(㎉) 1912.8 ± 474.2 1837.7 ± 484.5 1599.5 ± 447.8 1848.8 ± 489.5 1655.0 ± 530.2 1670.4 ± 497.5 0.081 Total fat(g) 43.2 ± 17.5 40.6 ± 18.3 36.5 ± 15.4 42.8 ± 19.4 41.7 ± 33.8 38.5 ± 19.6 0.489 Energy from fat(%) 20.9 ± 5.5 20.2 ± 5.7 21.2 ± 5.6 20.9 ± 5.9 22.4 ± 10.8 20.7 ± 6.5 0.275 Cholesterol(mg) 267.8 ± 188.2 219.3 ± 134.6 225.3 ± 174.3 249.4 ± 158.0 245.0 ± 162.1 236.0 ± 175.2 0.690 Saturated fatty acid(g) 15.5 ± 6.0 15.4 ± 8.3 13.6 ± 6.6 15.9 ± 8.2 16.4 ± 17.5 14.1 ± 8.2 0.489 CSI * 29.1 ± 14.1 26.6 ± 14.2 25.0 ± 13.9 28.5 ± 14.5 28.9 ± 23.4 26.1 ± 15.3 0.859 RISCC 14.9 ± 5.6 14.0 ± 5.2 15.1 ± 5.4 15.0 ± 5.8 16.4 ± 8.9 15.1 ± 6.7 0.405 Female

Number 89 316 194 781 92 303

Total energy(㎉) 1509.3 ± 484.3 1664.1 ± 476.8 1487.6 ± 473.9 1514.3 ± 475.4 1265.7 ± 446.5 1351.8 ± 473.1 0.010 Total fat(g) 29.0 ± 14.6 37.1 ± 17.2 31.2 ± 17.6 31.8 ± 16.3 24.3 ± 15.5 27.8 ± 15.7 <0.001 Energy from fat(%) 16.6 ± 5.6 19.3 ± 5.3 18.2 ± 6.1 18.1 ± 5.3 16.6 ± 5.4 17.8 ± 5.9 0.006 Cholesterol(mg) 155.3 ± 103.9 208.5 ± 136.2 174.9 ± 130.0 174.7 ± 130.2 137.0 ± 98.5 160.0 ± 129.1 0.016 Saturated fatty acid(g) 10.7 ± 6.0 14.0 ± 6.9 11.7 ± 7.4 11.9 ± 6.9 9.4 ± 7.5 10.4 ± 6.4 0.005 CSI * 18.6 ± 10.5 24.6 ± 12.9 20.5 ± 12.8 20.8 ± 12.3 16.3 ± 11.4 18.5 ± 11.8 0.004 RISCC 11.6 ± 4.5 14.2 ± 5.1 13.3 ± 5.8 13.1 ± 5.1 12.3 ± 5.3 12.9 ± 5.5 0.035 Mean ±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P values were adjusted on age.

* CSI(Cholesterol-Saturated Fat Index)=(1.01×g saturated fatty acid)+(0.05×mg cholesterol).

†RISCC(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CSI/(energy(㎉)/1,000(㎉)).

즉 국민건강․영양조사는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방법은 짧은 시간 내에 조사가 가능하여 대상자의 호응도 가 높은 반면, 조사 대상자의 기억에 의존하므로 섭취량이 과소 평가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제시되고 있다.

32)

또 원주 지역 연구에서 사용된 식사기록법은 누락되는 식품이 적은 반면,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식생활이 변화될 우려가 있 다.

32)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법 은 식품 목록이 한정되므로 상용식품 이외의 식품섭취량은 반영하기 어렵지만, 장기간에 걸친 평소의 영양소섭취패턴을 파악하고 특히 대규모의 역학조사에서 만성질환과의 관련성 연구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32)

고지혈증 등 심혈관계 질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지방, 저 콜레스테롤 식사가 권고되고 있으며, 이 때 식사를 계획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콜레스테롤-포화지방지수(Cholesterol Saturated Fat Index: CSI) 및 포화지방-콜레스테롤 섭취량의 에너지 비 (Ratio of Ingest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to Calories:

RISCC)등의 지표가 활용된다. CSI는 음식에 있어서 심혈관계 질환인자를 수치화 한 것으로서, 혈액의 콜레스테롤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며

26,27)

, 식사의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식사계획에 활용하도록 개발되었다.

33)

한편 칼로리에 따른 보정을 위하여 개발된 RISCC는 식사 지

방의 평가 및 영양표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28)

50세 이상 남자의 CSI 섭취량은 26.3-28.1이며, 여자는 18.0-23.3이었고, 칼로리섭취량을 보정한 RISCC는 남자 14.2-15.2, 여자 12.8-13.7이었다.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에 활용 하는 step I 식사는 지방급원 에너지비율 30% 미만, 포화지 방급원 에너지비율 10% 미만, 콜레스테롤 300mg를 제안하며, step II 식사는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30%미만, 포화지방급 원 에너지비율 7% 미만, 콜레스테롤 200mg을 권장하고 있 다.

34)

따라서 75세 미만 남자 중년 및 노인 대상자와 비슷하 게 1800kcal를 섭취하는 경우, step I 식사의 CSI는 35.2이고, RISCC가 19.5이며, step II식사의 경우 CSI는 24.1이고, RISCC는 13.3이며, 여자 중년 대상자처럼 1600kcal 섭취에서 는 step I 식사 기준의 CSI는 32.8이고, RISCC가 20.5, step II 식사 기준의 경우 CSI는 21.3이고, RISCC는 13.3이다. 이 수 치를 본 연구대상자의 CSI나 RISCC 수치와 비교하면, 우리 나라 중년 및 노인 식사의 동맥경화성 지수는 step II 식사 수준으로 사료된다.

한편 미국의 NCEP의 step I, 또는 II 식사를 우리 나라에

서 적용하고자 할 때의 문제점은 이러한 식사지침이 지방급

원에너지비율을 30% 미만으로 권장함으로써, 한국인의 평균

지방급원 에너지비율 20%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어 그대로

(9)

따르면 오히려 지방섭취량을 늘려도 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 점이다.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는 저지방 식사가 효과적임 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으므로

34)

, 현재 우리의 지방섭취량을 기준으로 한 식사지침이 필요하다. 우리의 지방섭취비율과 비슷하게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을 20% 미만 권장하는 고지혈 증 치료용 저지방 식사로는 Connor의 New American Diet가 있는데, 이 식사지침은 포화지방급원 에너지비율 5%, 콜레스 테롤 100mg을 권장하고 있다.

35)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계산 하면 1800kcal 식사의 CSI는 15.1, RISCC는 8.3, 1600kcal 식 사의 CSI는 14.0, RISCC는 8.7 정도이므로, 본 연구 대상자의 포화지방이나 콜레스테롤섭취량은 Connor의 저지방식사 기 준보다는 높은 편이다. Step I이나 II 식사보다 지방급원 에너 지비율을 20% 미만 권장하는 저지방식사가 혈중 지질 개선 에 효과적이었다고 하므로

36)

, 우리의 식생활이 비교적 저지방 식사형태이더라도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좀 더 줄 이면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이 많이 감소되리라 예측된다.

본 연구 결과,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및 당뇨병 등 심혈관계질환이 있는 대상자의 총지방섭취량이나 포화지 방 및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이러한 질환이 없는 대상자와 유 사하였다. 이는 환자군이 지방섭취를 제한하지 않았거나, 혹 은 질병 발생 이전에 대조군보다 지방섭취율이 높아서 발병 이후에 지방섭취를 제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조군보다 낮 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심혈관계 질 환자의 지방섭취량을 줄이는 방안이 제시되어야겠다. 한편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평균 60세의 허혈성심질환자에 대 한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도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하였을 때, 총 지방섭취량이 남자 환자군 35.8g, 대조군 38.1g, 여자 환자군 17.3g, 대조군 19.2g으로 질환에 의해 지방섭취량은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37)

이렇게 환자군의 섭 취량이 대조군과 비슷하게 나타난 것은 질병 발생 이후에 지 방 섭취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연 구 시점에 새로이 진단 받은 50세 이상의 허혈성 심질환 환 자를 대상으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로 조사된 환자대 조군 연구에서는 환자군과 대조군의 지방섭취량은 각각 60.4g, 50.2g이었으며,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각각 22.4%, 19.7%라고 하여, 발병 이전의 환자군은 지방섭취 의존도가 높았다고 한다.

17)

적정한 체중, 금연, 적당한 음주와 운동, 그리고 스트레스 가 적은 생활습관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데 매우 중요하다.

38)

50세 이상 중년 및 노인에 대한 조사 결과, 비만 이나 흡연은 남자의 지방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 자는 비만인 경우 총지방섭취량과 포화지방량이 많았으며, 또한 비흡연자가 흡연자에 비해 총지방섭취량, 콜레스테롤

섭취량과 식사의 동맥경화 지표로 쓰이는 CSI가 높았고, 또 한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RISCC도 유의하게 높았다. 체지 방이 과다하면 혈중 지질대사가 원활하지 않고 인슐린저항성 이 증가하는 등 심혈관계질환을 악화시키므로

39)

, 비만자의 심 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에서 체중감량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여자 비만자는 비만하면서 지방섭취량 이 높으므로 심혈관계 질환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 다. 한편 비흡연자의 지방섭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이들의 에너지 섭취량이 흡연자에 비해 높기 때문으로 보이지만, 한 편 에너지 섭취량 1000kcal의 CSI지수인 RISCC를 살펴보면 실제 비흡연자가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심층분석 결과에 서도 남자는 흡연에 의해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가 없었으며, 여자의 경우 비흡연자의 영양섭취량이 전반적으로 높았다고 한다.

40)

중년 및 노인계층의 음주여부는 지방섭취량 및 식사의 동 맥경화지표인 CSI, RISCC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여러 역학 연구 및 전향적 연구에서는 하루 1-2잔의 적당한 양의 알코올 섭취는 심혈관계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이 라고 하며

41,42)

, 1995년 미국 식사지침에는 적절한 음주를 권 장하고 있다.

4)

실험 연구에서 알코올은 혈중 HDL-콜레스테 롤 수치를 높히며, LDL-콜레스테롤 산화와 혈소판 응고를 저 하시키는 등 심혈관계질환에 좋은 효과가 제시되고 있지만

43)

, 이를 대중적으로 권고할 것인가는 다시 생각해볼 여지가 있 다. 왜냐하면 과도한 음주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질병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44)

따라서 과다한 음주에 의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 및 건강 손상을 고려하면, 비음주자에게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음주를 권할 필요는 없는 것 으로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50세 이상 중년 및 노인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지방이나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많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사의 동맥경화성향을 나타내는 지표 로 알려진 CSI도 운동을 하는 경우에 높았으며, 또한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RISCC도 운동을 하는 경우에 높아서, 운동 을 하는 사람은 양 뿐만아니라 질적으로 포화지방이나 콜레 스테롤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식생활 및 운동 량 부족은 심혈관계 질환 위험성을 2배 이상 높히는 위험요 인으로 알려져 있다.

45)

특히 규칙적인 운동은 혈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높히며 인슐 린 내당능을 개선하는 등 심혈관계 위험율을 낮춘다고 하여, 일주일에 3회 이상 1회에 30-60분 정도의 유산소운동이 권장 되고 있다.

46)

중년 이후의 남자는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지방섭취량이

(10)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자는 스트레스가 적은 사람이 많은 사람보다 지방섭취량이 낮았다. 스트레스나 우울증, 사회적 고립 등 사회심리적 요인은 혈압을 높히고 심근경색을 유발 하는 등 심혈관계 질환의 간접적인 위험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또한 식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생리활성을 저하 시킨다.

45)

이상의 건강행태와 지방섭취량의 관계를 정리해보면, 금연 자,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 스트레스가 적은 사람의 지방 섭취량 및 CSI, RISCC가 흡연자나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보다 높았다. 즉 심혈관계질환을 위협 하는 건강 행태를 적게 가지고 있는 사람이 오히려 지방 섭 취량이 높았으며, 건강지향적인 식사에 대한 관심이 적음을 예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총지방섭취량이 낮은 식생 활환경에서도 포화지방이나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줄일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이 낮아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15)

, 바람 직한 건강 행태를 지닌 대상자에게도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하여 저지방 식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면적 연구로 진행되어 지방섭취량과 건강행태 와의 관련성을 도출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조사가 전국적으로 15개 지역에서 수행됨으로써 비교적 다양한 지역 의 표본이며, 또한 본 연구 대상자와 1998 국민건강․영양조 사

30)

의 50세 이상 성인이 비만율, 흡연, 음주, 운동 등 건강행 태가 서로 유사하였으므로, 본 연구 결과로서 한국 중년 및 노 인의 지방섭취 특성을 유추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으리라 본다.

결론적으로 50세 이상의 중년 및 노인의 지방섭취량은 서 구 국가에 비해 낮았지만,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섭취량은 낮은 수준은 아니었다. 또한 금연, 운동, 스트레스 등 건강행 태가 바람직한 경우 총지방섭취량 뿐만아니라, 포화지방, 콜 레스테롤 섭취량 등 심혈관계 질환의 영양위험이 높은 경향 을 보여, 건강 행태 관련 위험요인을 적게 가지고 있는 사람 이 건강행태가 불량한 사람보다 오히려 건강지향적인 식사에 대한 관심이 적음을 예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심혈 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은 흡연, 운동 등 건강 행태에 대한 중재와 함께 건강행태가 양호한 대상자에게도 저지방 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포괄적인 사업이 필요하리 라 사료된다.

참고문헌

1. Kuller LH. Dietary Fat and Chronic Diseases. Epidemiologic Overview. J Am Diet Assoc. 1997;97(suppl):S9-S15.

2. Wahrburg U. What are the health effects of fat? Eur J

Nutr. 2004;43(Suppl 1):6-11.

3. McGee DL, Reed DM, Yano K, Kagan A, Tillotson J.

Ten-year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Honolulu Heart Program. Relationship to nutrient intake.

Am J Epid 1984;119(5):667-76.

4. Nutrition and your health: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5th ed. Washington DC. : US Depts of Agriculture and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Home and Garden Bulletin No 232.

5. The report of the expert panel on population strategies for blood cholesterol reduction. Washington DC. : US Depts of Agriculture and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1990, NIH Publication No 90-3046.

6.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 I-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원;2002.

7. Variyam JN. Factors affecting the macronutrient intake of U.S. adults. US Depts of Agriculture. Technicl Bulletin No 1901, 2003.

8. Krebs-Smith SM. Progress in improving diet to reduce cancer risk. Cancer 1998;83(7) :1425-32.

9. Chanmugam P, Guthrie JF, Cecilio S, Morton JF, Basiotis PP, Anand R. Did fat intake in the United States really decline between 1989-1991 and 1994-1996? J Am Diet Assoc 2003;103(7):867-72.

10. Enns CW, Goldman JD, Cook A. Trend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by adults: NFCS 1977-78, CSFII 1989-91, and CSFII 1994-95. Family Economics and Nutrition Review. 1997;10:2-15.

11. Food and Nutrient Intakes by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by Sex and Age. 1994-96. Washington DC. : US Depts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e; 1998.

NFS Report No 96-2.

12. American Heart Association. Heart and Stroke Facts.

Dalls: American Heart Association. 1997.

13. Chait A, Brunzell JD, Denke MA, Eisenberg D, Ernst ND, Franklin FA Jr, Ginsberg H, Kotchen TA, Kuller L, Mullis RM, Nichaman MA, Nicolosi RJ, Schaefer EJ. Stone JF, Weidman WH. Rationale of the diet-heart statement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Report of the Nutrition Committee. Circulation. 1993;88(6):3008-29.

14. 한국인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3.

수치

Table 1.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Table  3.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cardiovascular  disease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Table 4.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Table  6.  Comparisons  of  dietary  fat  intake  according  to  alcohol  drinking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3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wimming program for 12 weeks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growth hormone i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of pretreatment food ingredients was all agreed above average regardless of age, work experience, number

We suggest that it will be helpful for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dverse drug reaction through known causative drug and clinical

Therefore, the paper would propose amendment of Immigration Control Act, strengthening of foreigner management, disclosure of foreigners information, crime

Purpose: The Lee Jong-Wook Seoul Project, which began in 2011, is a training program that aims to educate faculty members of Lao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in medical

Therefore, this study would illuminate that it is a criticism for chronological tim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time included in nihilistic diversity,

Stavins, Benefit-Cost Analysis in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Regulation,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The Annapolis Center, and Resources for the

Therefore, as a recovery method during exercise, it is more effective for recovery of exercise fatigue and prevention of body acidification due to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