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인 위암 환자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인 위암 환자의"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7;50:292-298

접수: 2007년 8월 28일, 승인: 2007년 8월 31일

연락처: 이오영, 133-792, 서울 성동구 행당동 산 17번지 한양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Tel: (02) 2290-8343, Fax: (02) 2290-8344 E-mail: leeoy@hanyang.ac.kr

Correspondence to: Oh Young Lee, M.D.

Hanyang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Internal Medi- cine, San 17, Haengdang-dong, Seongdong-gu, Seoul 133- 792, Korea

Tel: +82-2-2290-8343, Fax: +82-2-2290-8344 E-mail: leeoy@hanyang.ac.kr

한국인 위암 환자의 p53 Codon 72 및 16-bp 중복 다형성 분석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유전학교실*, 외과학교실

김정미ㆍ이오영ㆍ이춘근*ㆍ권성준

ㆍ김경숙*ㆍ문 원

고동희ㆍ이항락ㆍ윤병철ㆍ최호순ㆍ함준수ㆍ이민호ㆍ이동후

p53 Codon 72 and 16-bp Duplication Polymorphisms of Gastric Cancer in Koreans

Jung Mi Kim, M.D., Oh Young Lee, M.D., Chun Geun Lee, M.D.*, Sung Joon Kwon, M.D., Kyung Suk Kim, M.D.*, Won Moon, M.D., Dong Hee Koh, M.D., Hang Lak Lee, M.D.,

Byoeng Chul Yoon, M.D., Ho Soon Choi, M.D., Joon Soo Hahm, M.D., Min Ho Lee, M.D., and Dong Hoo Lee, M.D.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Genetics* and General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Aims: p53 ge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 cycle control in response to DNA damage which

ma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mutations leading to carcinogenesis. The role of p53 gene polymorphisms [codon 72 (exon 4) and 16-bp duplication (intron 3)] as potential markers indicating cancer risk remains inconclusive, and the data on gastric cancer are very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ole of p53 gene poly- morphisms in the risk of gastric cancer and in the determination of genetic susceptibility to gastric cancer in Koreans. Methods: We analysed p53 genotype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 in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120 gastric cancer patients and 145 can- cer-free controls in Koreans. Results: There was no specific genotype of p53 gene polymorphism in the gastric cancer patients compared to cancer-free controls. In p53 codon 72 and 16-bp duplication polymorphisms, the fre- quency and distribution of genotype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7125 and p=0.1659).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otype by histologic subtypes, location of lesion, and age. However, the genotypic distribution in the patient subgroups with a history of heavy cigarette smoking of p53 16-bp duplication polymorphism were sig- 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ancer-free controls (p=0.0079). Conclusions: The p53 codon 72 and 16-bp du- plication polymorphism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and did not seem to con- tribute to gastric cancer susceptibility among Koreans. It is possible that p53 16-bp duplication polymorphism modulates the risk of smoking-induced gastric cancer development in Koreans. In order to clarify the associations between specific genotypes and gastric cancer risk, the evaluations of these polymorphisms in other ethnic back- grounds with larger number of patients would be needed.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292-298)

Key Words: Gastric cancer; p53; Polymorphism

(2)

김정미 외 12인. 한국인 위암 환자의 p53 Codon 72 및 16-bp 중복 다형성 분석 293

Table 1. PCR Primer Sequences

Gene polymorphisms Primer sequences References

p53 exon 4/ACC II p53 intron 3/16 bp repeat

5'-AAT GGA TGA TTT GAT GCT GTC CC-3' 5'-CGT GCA AGT CAC AGA CTT GGC-3' 5'-GCA GAG ACC TGT GGG AAG CGA-3' 5'-GAG CAG TCA GAG GAC CAG GTC-3'

Kawajiri et al., 199313

Birgander et al., 199514

서 론

위암은 세계적으로 전체 암 발생의 8.7%, 전체 암 사망의 10.4%를 차지하는 두 번째로 흔한 암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도 전체 암 발생의 20%로 가장 흔한 암이며 전체 암 사망의 17.4%로 폐암(20.6%)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한다.1-4 위암은 다양한 위험인자가 관여되는 복합적이고 다단계 과정을 거쳐 발생한다.5 위암의 위험인자는 고염식이, 고지 방식이, 탄 음식, 담배, 술, 그리고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 유전적인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3,6-8 사람들이 평상시 생활하는 과정에서 이런 발암원에 노출되었을 때 발 암 과정은 발암원 자체가 가진 성질과 노출 정도 등에 영향 을 받으며 각 개인이 가진 유전 감수성 차이에 의해서도 크 게 영향을 받는다.9 최근에는 p53 유전자 돌연변이와 같은 유전 변화가 암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끼쳐 위암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 되며, 개인에 따른 암 발생의 차이는 정상 인 구에서 유의한 비율로 존재하는 유전자 다형성(polymor- phism) 등 특정변이대립유전자의 분포와 관련있음이 밝혀지 고 있다.9-11

종양억제 유전자인 p53은 DNA 결합 단백질을 부호화하 여 세포주기정지와 세포자멸사에 관여하고 DNA 복구 과정 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53 유전자는 모든 암 발생의 60%에서 발현되며 위암에서는 p53 유전자 돌연변이 와 돌연변이 p53 단백 과발현이 종양조직의 76% 이상에서 발견된다.9,11,12 이러한 p53 유전자에서도 유전자 다형성이 존재하며 특히 codon 72 다형성이나 16-bp 중복(duplication) 다형성이 다양한 암에서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위암 발생에서 p53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을 입증하는 연구는 미 미하다.

이번 연구는 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의 p53 유전 자의 codon 72 다형성 및 16-bp 중복 다형성을 분석하여 특 정 유전자형의 분포 및 빈도가 한국인 위암 발생에서 유전 적인 감수성을 결정하는 인자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 한 위암 환자의 연령, 흡연 여부, 조직학적인 분류 또는 병 변 부위에 따라 특정 유전자형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 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조직학적으로 확인한 120명의 위암 환자군과 개인병력에 서 현재 또는 과거에 어떤 종양에도 이환되지 않은 145명의 정상인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개인면접을 통해 검사 승낙 과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말초혈액으로부터 DNA를 추 출하여 p53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2. p53 유전자 codon 72 다형성 및 16-bp 중복 다형 성 분석

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개인당 말초혈액 3 mL를 채취하여 헤파린 처리한 시험관에 보관하였고 이를 원심 분리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유전자 다형성 을 분석하기 위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대상 유전자 부위 및 primer 구조와 사용한 제한 효소는 Table 1과 같다.13,14 p53 유전자의 codon 72 다형성은 추출한 DNA를 primer I (5'-AAT GGA TGA TTT GAT GCT GTC CC-3')과 primer II (5'-CGT GCA AGT CAC AGA CTT GGC-3')를 이용한 반응 용액과 혼합하여 94oC/10분 후 94oC/30초, 55oC/1분, 72oC/1 분을 35회 반응시킨 후 72oC/5분간 반응시켜 p53 codon 72를 증폭시켰다. 증폭된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산물의 크기가 296 bp임을 2% argarose gel에서 전 기영동을 시행하여 확인하였으며, PCR을 통하여 증폭된 산 물을 제한효소 ACC II (Takada Shuzo Co. LTD, Japan)로 처 리하였다. 반응 후 2% ar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시행하 여 판독하였다. 3가지 유전자형(Arg/Arg, Arg/Pro, Pro/Pro)이 관찰되는데 Pro allele은 ACC II에 의해 분리되지 않아 하나 의 띠로 나타나고 Arg allele는 169 bp와 127 bp로 분열되어 2개의 띠로, Pro/Arg 이형접합체는 3개의 띠로 나타나게 된 다(Fig. 1).

p53 유전자의 16-bp 중복 다형성은 추출한 DNA를 primer I (5'-GCA GAG ACC TGT GGG AAG CGA-3')과 primer II (5'-GAG CAG TCA GAG GAC CAG GTC-3')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을 8% po-

(3)

Table 2. Distribution of Different Genotypes in the Exon 4/Acc II Polymorphism of the p53 Gene in Controls and Gastric Cancer Patients

Populations

Genotypes (%)

Total (%) p*

Arg/Arg Arg/Pro Pro/Pro Control

Male Female Gastric cancer Sex Male Female Histology Intestinal type Diffuse type Mixed type Location of lesion Antrum Body Cardia Smoking History Non-smokers Light smokers Heavy smokers Age

≤50 >50

63 (43.5) 45 (45.5) 18 (39.1) 47 (39.2) 31 (38.9) 16 (40.0) 26 (37.1) 15 (42.9) 1 (50.0) 25 (33.3) 14 (56.0) 1 (25.0) 22 (41.5) 14 (43.8) 11 (31.4) 17 (46.0) 32 (36.1)

64 (44.1) 41 (41.4) 23 (50.0) 59 (49.2) 39 (48.8) 20 (50.0) 38 (54.3) 16 (45.7) 0 (0.0) 42 (56.0) 9 (36.0) 2 (50.0) 24 (45.3) 16 (50.0) 19 (54.3) 13 (35.1) 22 (55.4)

18 (12.4) 13 (13.1) 5 (10.9) 14 (16.7) 10 (12.5) 4 (10.0) 6 (8.6) 4 (11.4) 1 (50.0) 8 (10.7) 2 (8.0) 1 (25.0) 7 (13.2) 2 (6.3) 5 (14.3) 7 (18.9) 9 (8.4)

145 (100) 99 (100) 46 (100) 120 (100) 80 (100) 40 (100) 70 (100) 35 (100) 2 (100) 75 (100) 25 (100) 4 (100) 53 (100) 32 (100) 35 (100) 37 (100) 83 (100)

0.6240§ 0.7125

0.9250§ 0.3495 0.9799

0.2422 0.4882 0.6802 0.9681 0.5455 0.4279 0.4689 0.4631

* Values are obtained from the χ2 test by 2×3 contingency table comparing different genotypes with normal control.

Smoking amounts are less than 25 pack-years (1 pack-year=20 cigarettes per day in one year).

Smoking amounts are above 25 pack-years.

§Comparing between males and females.

294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50, No. 5, 2007

Fig. 1. Detection of the exon 4/ACC II polymorphism of the p53 gene in 13 subjects. PCR-amplified products (296 bp) con- taining the polymorphic region of p53 gene are digested with Acc II restriction enzyme and electrophoresed in 2% agarose gel.

Lanes 4, 7, 9 and 11 are the homozygotes of (+) restriction site (Arg/Arg); lanes 5, 6, 8 and 11 are the homozygotes of (-) re- striction site (Pro/Pro); the other lanes are the heterozygotes at this polymorphic site (Arg/Pro).

M, 123 bp ladder marker.

Fig. 2. Detection of the 16-bp duplication polymorphism of the p53 gene for 9 subjects. PCR-amplified products are electro- phoresed in 8% polyacrylamide gel and detected with silver staining. Lane 9 is the heterozygote (172/156) whereas the other lanes are the 156 bp homozygotes (156/156). 172 bp homozygote is not observed in this study.

M, 100 bp ladder marker.

(4)

Kim JM, et al. p53 Codon 72 and 16-bp Duplication Polymorphisms of Gastric Cancer in Koreans 295

Table 3. Distribution of Different Genotypes of the Intron 3/16-bp Duplication Polymorphism of the p53 Gene in Controls and Gastric Cancer Patients.

Populations

Genotypes (%) Total (%) p*

156/156 156/172 Control

Male Female Gastric cancer Sex Male Female Histology Intestinal type Diffuse type Mixed type Location of lesion Antrum Body Cardia Smoking History Non-smokers Light smokers Heavy smokers Age

≤50 >50

138 (95.2) 95 (96.0) 43 (93.5) 108 (90.0) 72 (90.0) 36 (90.0) 61 (87.1) 33 (94.3) 2 (100) 67 (89.3) 22 (88.0) 4 (100) 48 (90.6) 32 (100) 28 (80.0) 34 (91.9) 74 (89.2)

7 (4.8) 4 (4.0) 9 (6.5) 12 (10.0) 8 (10.0) 4 (10.0) 9 (12.9) 2 (5.7) 0 (0.0) 8 (10.7) 3 (12.0) 0 (0.0) 5 (9.4) 0 (0.0) 7 (20.0) 3 (8.1) 9 (10.8)

145 (100) 99 (100) 46 (100) 120 (100) 80 (100) 40 (100) 70 (100) 35 (100) 2 (100) 75 (100) 25 (100) 4 (100) 53 (100) 32 (100) 35 (100) 37 (100) 83 (100)

0.5265§ 0.1659

1.0000§ 0.0680 0.0542

0.1781 0.2017 0.5321 0.3863 0.0911 0.0079 0.4555 0.1494

* Values are obtained from the χ2 test by 2x3 contingency table comparing different genotypes with normal control.

Smoking amounts are less than 25 pack-years (1 pack- year=20 cigarettes per day in one year).

Smoking amounts are above 25 pack-years.

§Comparing between males and females.

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을 시행한 후 은염색을 통하여 판독하였다. 이형접합체(172/156)은 2개의 띠, 동형접합체 (172/172, 156/156)은 하나의 띠로 나타나는데 이번 연구에서 는 172 bp 동형접합체는 나타나지 않았다(Fig. 2).

3. 통계 분석

통계 분석 방법은 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유전자 형 빈도 분포의 차이를 분석은 Chi-squire test를 사용하였으 며 통계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1. 위암 환자군의 특성

조직학적으로 확인한 120명의 위암 환자군과 145명의 정 상 대조군의 일반적인 특징은 Table 2, 3과 같다. 위암 환자 군의 남녀 비는 남성 80명, 여성이 40명이었고 나이는 50세 이하가 37명, 50세보다 많은 경우가 83명이었다. Lauren 분 류에 따른 위암의 조직형은 장형 70명, 미만형 35명, 혼합형 2명이었고, 암의 위치는 전정부 75명, 체부 25명, 분문부 4 명이었다. 흡연 여부에 따라서는 비흡연군이 53명, 흡연군 이 67명이었다.

2. p53 codon 72 다형성과 위암

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였 다(Table 2). p53 codon 72 유전자형 빈도는 위암 환자군에서 Arg/Arg, Arg/Pro, Pro/Pro의 빈도가 각각 39.2%, 49.2%, 14%

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43.5%, 44.1%, 18%의 빈도로 두 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7125). 특정 유전자 형의 분포 및 빈도에 따른 위암의 이환율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위암의 조직학적인 분류, 병변 부위, 흡연 여부 및 연 령에 따른 p53 codon 72 유전자 다형성 분포의 차이가 관찰 되지 않았다.

3. p53 16-bp 중복 다형성과 위암

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위암 환자군에서 p53 16-bp 중복 유전자형의 동형접합체(156/156), 이형접합체(156/172) 빈도는 각각 90%, 10%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95.2%, 4.8%의 빈도를 보여 두 군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1659). 위암의 조 직학적인 분류, 병변 위치, 연령에 따른 유전자형의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흡연력에서는 위암 환자의 25갑년 이하 저흡연군은 유전자형의 분포가 통계적으로 경 계값에 있었으며(p=0.0911), 25갑년 이상 고흡연군은 유전자 형의 분포 및 빈도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0079).

고 찰

p53 유전자는 위암을 비롯한 대부분의 악성종양의 발생 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53 유전자는 세포의 정해진 증식, 성장, 분화를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 할을 한다. 정상적으로는 세포 내 DNA가 손상을 입으면 정 상세포주기를 차단하는 p53 발현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비 정상적인 세포의 증식이 일어나기 전에 DNA 복구가 일어 난다. DNA 복구가 성공적이지 못하면 세포는 세포자멸사를 통해 없어지는데, p53의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DNA 손상을 받은 세포가 세포주기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비정상세 포주기를 반복하여 계속 증식하고 다른 돌연변이도 허용 되 어 정상세포에서 악성세포 전환이 일어나 암 발생을 증가시

(5)

296 대한소화기학회지: 제50권 제5호, 2007

킨다.15,16 이런 관점에서 p53 유전자의 특정부위에서 대치,

중복된 다형 변이가 암의 발생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는 관 심의 대상이며 아직까지는 확실하게 규명된 바가 없다.

p53 유전자의 codon 72 다형성은 아미노산 72 위치에서 Arginine과 Proline 두 가지 유전자형으로 해독되어 이러한 유전자형에 따라 다양한 단백을 생성한다. 이 codon 72는 Arginine 대립유전자가 Proline 대립유전자에 비해 세포자멸 사를 더 효과적으로 일으키며 이러한 차이는 p53 유전자 미 토콘드리아 내 위치에 의해 좌우된다.17 개개인의 암 발생 차이를 설명하는 데 유전 다형성을 포함한 숙주인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종족 간의 암 발생률 차이를 다 형성의 차이로 설명하기도 한다.18 암 발생의 환경 위험인자 를 조절하는 데 p53 유전 다형성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이 루어져 왔다. p53 codon 72 (exon 4)의 유전자형은 Arg/Arg, Arg/Pro, Pro/Pro 세 가지로 분류되며 이 유전자형 분포는 지 역, 인종 간 차이가 있어 암 발생빈도에 영향을 끼치며 폐, 식도, 갑상선 그리고 자궁경부의 악성종양 발생과 특정 유 전자형 분포가 관련이 있었다.18 흡연자의 폐암 발생에서는 Pro/Pro 동형접합체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19 반대로 비 흡연자의 폐암 발생에서 Arg/Arg 동형접합체의 빈도가 유의 하게 높았다.20 여성의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자 궁경부암 발생에서는 Arg/Arg 동형접합체인 경우 암 발생 위험도가 7배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21 p53 유전자의 16-bp 중복 다형성은 동형접합체와 이형접합체로 나뉜다.

p53 intron 3에서의 16-bp 중복의 동형접합체의 높은 빈도가 폐암22과 난소암23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50세 이상의 유방암 발생 위험도는 p53 16-bp 중복 다형성 의 동형접합체 및 이형접합체 모두 관련있다는 보고가 있 다.24 게다가 p53 유전자의 16-bp 중복 다형성이 유방암과 대장암, 폐암의 위험도를 알려주는 좋은 지표로 제시되기도 하였다.14,22,25,26

p53 유전자의 codon 72 다형성과 위암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으며 그 결과도 다양하고, 16-bp 중복 다형성과 위암과의 관련성은 국내외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 다. 세계적으로 특히 동아시아에서 암 사망의 주요 원인인 위암에서 p53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연구는 향후에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p53 유전자 다형성의 유전자형 분포 및 빈도가 지역, 인종 간의 차이를 보이므로 각 나라마다의 위암 발생 빈도에 차이가 이러한 유전자형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위암 환자군에서 p53 codon 72 다형성 과 16-bp 중복 다형성 유전자형 빈도 및 분포가 정상 대조 군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위암의 조 직학적인 분류 및 병변 부위, 연령도 정상 대조군과의 비교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흡연력에서는

p53 codon 72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왔으나, p53 16-bp 중복 다형성에서는 위암 환자군 중 고흡연군에서 동형접합체(156/156), 이형접합체(156/172) 의 빈도가 각각 80%, 20%였고 정상 대조군에서 95.2%, 4.8%의 빈도를 보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79). 이는 p53 16-bp 중복 다형성의 유전자형 분포 및 빈도가 흡연과 관련된 위암 발생의 유전 감수성 결정에 어 떤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추측하게 한다. 이 결과는 위암 환자의 p53 codon 72 다형성과 H. pylori 감염 여부 및 담배 와 같은 생활 습관의 영향을 분석하여 p53 유전자형 분포 및 빈도에 차이가 없었던 타이완의 Wu 등27의 보고와 차이 를 보여 주목된다. 특히 저흡연군보다 고흡연군에서 그 차 이가 심하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p53 16-bp 중복 다형성 의 이형접합체가 한국인의 흡연 관련 위암 발생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한다.

일본의 Hiyama 등28은 H.pylori와 관련된 만성위염 환자의 위암 감수성에 대한 p53 codon 72 유전 다형성을 연구한 결 과 위암 환자와 만성위염 환자와의 유전자형의 분포는 비슷 하였으나, 조직학적인 분류 중 미만형의 위암 환자에서 Pro/Pro 유전자형이 발현이 증가하였다. Shen 등29이 중국인 들에서 p53 codon 72 유전 다형성과 위암의 위험도를 조사 한 보고에서는 유전 다형성은 차이가 없었고 흡연, H. pylori 감염, 위암 가족력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다만 Arginie 대립 유전자를 가지는 경우, 특히 음주 환자에서 위암의 위험도 가 약간 증가하였다. 이는 영국의 Zhang 등30의 위암 환자에 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Arg/Arg 유전자형이 유의하게 많 았던 보고와 멕시코의 Perez-Perez 등31의 원위부의 위암 환 자에서 Arg/Arg 유전자형이 관련있다는 보고와 같은 결과이 다. 국내에서는 위암 환자의 림프절 전이가 많은 군에서 Pro/Pro 유전자형 빈도가 높았고,32 분화도가 나쁜 조직의 위 암 환자에서 Arg/Arg 유전자형의 빈도가 높았다.33 이런 보 고들을 종합적으로 보면 아직 위암에서 p53 유전 다형성의 역할과 환경 위험인자들의 관련성에 대해 일치된 견해를 보 이지 않는다. 이는 위암의 발생 빈도가 높은 아시아 지역에 서도 나라마다 p53 유전 다형성의 유전자형 분포 및 빈도가 위암 발생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 다. 이런 점에서 한국인 위암환자에서의 p53 유전자 다형성 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H. pylori 감염이나 위암의 병기, 조직분화도에 따른 p53 유전자 다형성은 분석하지 못하였지만, 국내에서는 처 음으로 위암의 환경 위험인자인 흡연력을 분석하였으며 흡 연과 관련된 위암 발생에서 p53 유전 다형성의 연관성을 제 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 위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의 codon 72 다형성의 세 가지 유전자형과 p53 intron 3에서의 16-bp

(6)

김정미 외 12인. 한국인 위암 환자의 p53 Codon 72 및 16-bp 중복 다형성 분석 297

중복 다형성의 두 가지 유전자형의 분포 및 빈도가 정상 대 조군과의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p53 유전자 다형성의 특정 유전자형의 분포 및 빈도가 위암 발생의 이환율을 높이지는 않으며, 한국인 위암에서의 유전 감수성 결정과 연관성이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흡 연과 관련된 한국인 위암의 발생에 있어서는 p53 유전자 16-bp 중복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분포와 빈도와 연관이 있 을 것으로 추측한다. 앞으로 이들 유전자 다형성과 위암의 유전 감수성과의 연관 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규명하기 위해 서는 더 많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위암의 특성 및 위험인 자를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며 유전 구성이 다른 타인종에 대한 비교분석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요 약

목적: 종양억제 유전자인 p53 유전자는 DNA 결합 단백질 을 부호화하여 세포주기정지와 세포자멸사에 관여하고 DNA 복구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는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같은 유전 변화가 암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끼쳐 위암 발생의 중요한 원인임이 밝혀지 고 있다. 이번 연구는 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p53 유전자의 codon 72 (exon 4) 다형성 및 16-bp 중복(intron 3) 다형성을 분석하여 특정 유전자형 분포 및 빈도가 한국인 위암 발생에서 유전 감수성을 결정짓는 인자인지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또한 위암 환자의 연령과 흡연 여부, 조직학적 인 분류 또는 병변 부위에 따라 유전자형의 분포를 분석하 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학적으로 확인한 120명의 위암 환 자군과 145명의 정상 대조군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말 초혈액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p53 유전자 의 codon 72 다형성은 중합효소연쇄반응-제한효소단편길이 를 이용하였으며, 16-bp 중복 다형성은 중합효소연쇄반응 후 전기영동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위암 환자군과 정상 대 조군과의 p53 codon 72 다형성 유전자형의 빈도를 비교하였 을 때 위암 환자군에서 Arg/Arg, Arg/Pro, Pro/Pro의 빈도는 각각 39.2%, 49.2%, 14%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43.5%, 44.1%, 18%의 빈도를 보여 두 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며(p=0.7125), p53 16-bp 중복 다형성 유전자형의 동 형접합체(156/156), 이형접합체(156/172)의 빈도는 위암 환자 군에서 각각 90%, 10%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95.2%, 4.8%

으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1659). 특정 유전자형의 분포 및 빈도가 위암의 이환율을 높이지는 않았다. 위암 환 자군의 연령, 조직학적인 구분, 병변 부위에 따라 유전자형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흡연력에서는 p53 codon 72 다형성 유전자형의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53 16-bp 중복 다형성 유전자형의 분포에서는 25갑년 이상의

고흡연군은 유전자형의 분포 및 빈도가 정상 대조군과 비교 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79). 결론: p53 유전자 codon 72 다형성과 16-bp 중복 다형성은 한국인 위암 발생의 유전 감수성과 연관 관계가 없거나 아주 낮을 것으로 생각된 다. 다만 p53 유전자 16-bp 중복 다형성은 한국인에서 흡연 과 관련된 위암 발생의 감수성에 영향을 끼쳐 앞으로 보다 명확한 연관관계 규명을 위해 타인종 및 더 많은 수의 환자 군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색인단어: 위암, p53, 다형성

참고문헌

1. Parkin DM. Global cancer statistics in the year 2000. Lancet Oncol 2001;2:533-543.

2. Pisani P, Parkin DM, Bray F, Ferlay J. Estimates of the worldwide mortality from 25 cancers in 1990. Int J Cancer 1999;83:18-29.

3. Stadtlander CT, Waterbor JW. Molecular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prevention of gastric cancer. Carcinogenesis 1999;20:2195-2208.

4. 유종선. 한국인 위암 검진대상의 연령. 제1회 위암 표준검 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2002

5. Tahara E. Molecular mechanism of stomach carcinogenesis. J Cancer Res Clin Oncol 1993;119:25-272.

6. Kell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7. Chen MJ, Chiou YY, Wu DC, Wu SL. Lifestyle habits and gastric cancer in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in Taiwan.

Am J Gastroenterol 2000;95:3242-3249.

8. Hohenberger P, Gretschel S. Gastric cancer. Lancet 2003;

362:305-315.

9. Nebert DW. Role of genetics and drug metabolism in human cancer risk. Mutat Res 1991;247:267-281.

10. Perera FP, Weinstein IB. Molecular epidemiology: recent ad- vances and future directions. Carcinogenesis 2000;21:517-524.

11. Hollstein M, Sidransky D, Vogelstein B, Harris CC. p53 mu- tations in human cancers. Science 1991;253:49-53.

12. Gabber HE, Muller W, Schneiders A, Meier S, Hommel G.

The relationship of p53 expression to the prognosis of 418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ma. Cancer 1995;76:720-726.

13. Kawajiri K, Jakachi K, Imai K, Watanabe J, Hayashi S.

Germ line polymorphisms of p53 and CYP1A1 genes in- volved in human lung cancer. Carcinogenesis 1993;14:1085- 1089.

14. Sjalander A, Birgander R, Hallmans G, et al. p53 poly- morphisms and haplotypes in breast cancer. Carcinogenesis

(7)

29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50, No. 5, 2007

1996;17:1313-1316.

15. Marx J. How p53 suppresses cell growth. Science 2003;

262:1644-1645.

16. Thomas M, Kalita A, Labrecque S, Pim D, Banks L, Matlashewshki G. Two polymorphic variants of wild-type p53 differ biochemically and biologically. Mol Cell Biol 1999;

19:1092-1100.

17. Dumont P, Leu JI, Della Pietra AC 3rd, George DL, Murphy M. The codon 72 polymorphic variants of p53 have markedly different apoptotic potential. Nat Genet 2003;33:357-365.

18. Shepherd T, Tolbert D, Bnenedetti J, et al. Alterations in exon 4 of the p53 gene in gastric carcinoma. Gastroenterol- ogy 2000;118:1039-1044.

19. Jin X, Wu X, Roth JA, et al. Higher lung cancer risk for younger African-Americans with the Pro-Pro p53 genotype.

Carcinogenesis 1995;16:2205-2208.

20. Murata M, Tagawa M, Kimura M, Kimura H, Watanabe S, Saisho H. Analysis of a germ line polymorphism of the p53 gene in lung cancer patients: discrete results with smoking history. Carcinogenesis 1996;17:261-264.

21. Storay A, Thomas M, Kalita A, et al. Role of p53 polyp- morphism in the development of human papilomavirus- asso- ciated cancer. Nature 1998;393:229-234.

22. Wu X, Zhao H, Amos CI, et al. p53 genotypes and hap- lotypes associated with lung cancer susceptibility and ethni- city. J Natl Cancer Inst 2002;94:681-690.

23. Wang-Gohrke S, Weikel W, Risch H, et al. Intron variants of the p53 gene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ovarian cancer but not in carriers of BRCA1 or BRCA2 germline mutations. Br J Cancer 1999;81:179-183.

24. Wang-Gohrke S, Becher H, Kreienberg R, Runnebaum IB, Chang-Claude J. Intron 3 16 bp duplication polypmorphism

of p53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breast cancer by the age of 50 years. Pharmacogenetics 2002;12:269-272.

25. Weston A, Wolff MS, Morabia A. True extended haplotypes of p53: indicators of breast cancer risk. Cancer Genet Cytogenet 1998;102:153-154.

26. Sjalander A, Birgander R, Athlin L, et al. p53 germ line hap- lotype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colorectal cancer.

Carcinogenesis 1995;16:1461-1464.

27. Wu MT, Chen MC, Wu DC. Influences of lifestyle habits and p53 codon 72 and p21 codon 31 polymorphisms on gas- tric cancer risk in Taiwan. Cancer Lett 2004;205:61-68.

28. Hiyama T, Tanaka S, Kitadai Y, et al. p53 Codon 72 poly- morphism in gastric cancer susceptibility in patients with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chronic gastritis. Int J Cancer 2002;100:304-308.

29. Shen H, Solari A, Wang X, et al. p53 codon 72 poly- morphism and risk of gastric cancer in a Chinese population.

Oncol Rep 2004;11:1115-1120.

30. Zhang ZW, Newcomb P, Hollowood A, et al. Age-associated increase of codon 72 arginine p53 frequency in gastric cardia and non-cardia adnocarcinoma. Clin Cancer Res 2003;9:

2151-2156.

31. Perez-Perez GI, Bosques-Padilla FJ, Crosatti ML, Tijerina- Menchaca R, Garaz-gonzalez E. Role of p53 codon 72 poly- morphism in the risk of development of distal gastric cancer.

Scand J Gastroenterol 2005;40:56-60.

32. Heo JY, Cho HM, Chin HM, Kim W, Jeon HM. Gastric can- cer susceptibility in the p53 codon 72 polymorphism. J Korean Surg Soc 2005;69:24-30.

33. Chung WC, Lee KM, Lee BI, et al. p53 genetic poly- morphism of gastric cancer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2006;21:28-32.

수치

Table  1.  PCR  Primer  Sequences
Table  2.  Distribution  of  Different  Genotypes  in  the  Exon  4/Acc  II  Polymorphism  of  the  p53  Gene  in  Controls  and  Gastric  Cancer  Patients
Table  3.  Distribution  of  Different  Genotypes  of  the  Intron  3/16-bp  Duplication  Polymorphism  of  the  p53  Gene  in  Controls  and  Gastric  Cancer  Patients.

참조

관련 문서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 there be educational programs for developing personality on the part of juveniles in order to prevent an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of accident restoration and maintenance by minimizing the expression error of the high-strength facial

Therefore, in order to find out more effective polic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suppor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elding residual stress and deformation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jig free in-situ control technique of welding induced out

In the past year, it is obvious that this cooperation development has also promoted in Vietnam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Korean studies training

With the opening of the Songdo Bridge 4, IFEZ is looking forward to less congestion in traffic that connects from Songdo International City locations, including Incheon New

Conclusion : The results reveal that it is not unusual that pedestrians are injured by automobiles in daily life. Awareness of risk factors would be useful in

In order to evaluate an organization from the safety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rganizational factors in a systematic fashion.. In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