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 내 담석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적 치료 성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간 내 담석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적 치료 성적"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간 내 담석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적 치료 성적

충북대학교 병원 외과학 교실, 연변대학교 연구생부*

정 용 식 , 최 재 운 , 장 이 찬 , J i n H e w a n * , 송 영 진 , 이 진 호 The Result of Operative Treatment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rahepatic Duct Stone Patients

Department of Surgery Graduate School,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ostgraduate Department Yanbian University*

Yong-Sik Jung, Jae-Woon Choi, Lee-Chan Chang, Hewan Jin*, Young-Jin Song, Jin-Ho Lee

Abstract

The intrahepatic duct (IHD) stone shows diverse spectrum of clinical features such as recurrent cholangitis, obstructive jaundice, liver abscess, biliary cirrhosis and association with cholangiocarcino- ma. The result of operative treatment is still not satisfied in spite of many kinds of 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operative principle of IHD stone by the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The 61 patients who received operation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is 56 and the age of predilection is sixth and seventh decade. The incidence of IHD stone is higher in females, with a female-to-male ratio of 2.6:1. All of the patients experienced cholangitis more than one episode before operation. The loca- tion of IHD stone was 31 patients in left, 8 patients in right , and 21 patients in both IHD. Liver resec- tion was preferred to drainage procedure when the stones were limited to one lobe or segment.

46(75%) cases of liver resection, 11(18%) drainage procedure, 2(3%) T-tube choledocholithomy and 2(3%) open biopsy were performed. Residual stones were found 8 patients(17%) on the liver resection group, 8(61%) on the drainage procedure or T-tube choledocholithotomy group. The patients who had stones in one lobe or limited in the localized part of the liver showed residual stones in one (3%) patients after liver resection. Seven patients(44%) of both IHD stone group who received liver resec- tion, however, had residual stones. There was no postoperative mortality in the liver resection group.

IHD stone-associated cholangiocarcinoma was found in 6 patients(10% of studied patients). Three of them were diagnosed during IHD stone operation. The rest was detected after operation(1 - 5 years).

Liver resection is the treatment of choice of IHD stone considering residual stones and association with cholangiocarcinoma, especially. These data also suggest that longterm follow-up of the IHD stone patients is needed because of cholangiocarcinoma.

Key words: intrahepatic duct stone, liver resection, cholangicarcinoma Vol. 4. No. 2. 2000

(2)

서론

간 내 담석은 서구에서는 발생 빈도가 낮으나 우 리 나라를 비롯한 동남 아시아지역에서는 전체 담 석 환자의 10 - 30%를 점하며,1-9농촌, 경제 수준이 낮은 지역, 위생 상태가 불량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 람에서 많이 발생한다.1

간 내 담석은 질병 자체는 양성이지만 담석의 발 생 위치가 수술적 치료로 접근에 어려움이 있어 환 자들은 잦은 재발, 빈번한 폐쇄성 황달, 반복되는 담관염으로 고통받으며, 심한 경우는 간내 농양, 간 경화, 패혈증등으로 생명을 잃을 수 있다. 또한 최 근에는 담관암과 동반된 경우를 보고하여 담관암 원인 중의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10∼13

간 내 담석은 대부분 색소성 담석의 일종인 칼슘 빌리루비네이트석이며, 담즙의 감염과 정체가 중 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5 간 내 담 석 환자는 대부분 간 내 담관 협착을 가지고 있으며 90%의 환자에서 협착이 확인된다는 문헌도 있다.16 이러한 담관 협착은 담석 형성에 좋은 조건인 담즙 의 정체를 유발하며, 간 내 담석의 성장 및 반복적 인 담관염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담관 협착이 담석 생성에 선행하는지 아니면 담즙 간염에 의한 이차 적인 현상인지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근본적인 수술 원칙은 담석을 가능한 완전히 제거 하고 담석 형성의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담즙의 정 체 요인인 담관 협착을 교정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다. 과거에는 담관 배액술을 많이 시행하였으나 이 방법은 담관 협착을 교정하거나 제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잔류 담석, 재발 담석 및 담도 협착으로 인 한 반복되는 담관염, 간농양 등의 합병증으로 재수 술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2,3,11,16 최근 간 외과의 발 전으로 간 절제에 따른 합병증과 사망률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담석이 간의 한 구역에 국한된 경우 간 절제가 가장 좋은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간 절제는 담석의 완전한 제거와 간 내 담관 협착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간 절제의 적응증 선정에는 다소 논란이 있는 상태이다. 적극적인 외 과의는 간의 어느 부분이라도 담석이 국한되어 있 으면 간 절제를 추천하나, 간 내 협착이 없는 환자, 우엽에 담석이 있는 경우는 논란이 있다. 간 좌, 우 엽에 담석이 같이 있는 경우는 수술적 치료로 근치

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잔류 담석은 수술후 담도경, 중재적 방사선 방법으로 잔류 담석을 제거 한다. 치료 성적은 보고자마다 차이가 있으나 아직 도 수술 후 잔류 담석의 존재율은 50%를 상회하고 있다.13,16

본 연구의 목적은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충북대 하교 병원 외과에서 치료받은 간 내 담석 환자의 의 무 기록을 분석하여 간 내 담석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적 치료 방법에 따른 치료성적을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6년간 충북대학 병원 외과에서 치료받은 간 내 담석(간 외 담석 동 반 포함) 환자 61예를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 분석을 하였으며 임상증상, 성별 및 연령분포, 그리고 담석의 위치분포, 간 외 담도 담석과의 동반관계, 수술 술식 및 성적, 담석제거 술식에 따른 잔류담석과의 관계, 담관암과의 연관 성을 조사하였다. 간내 담석의 규정은 Couinaud17 의 정의에 의한 간 담도 분지부 상방에 담석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환자의 진단 및 잔류 담석 진단은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 촬영, 그리고 ERCP, PTC, 수 술시 담도 조영, 수술 후 T 관을 통한 담도 조영으로 확인하였다. 저자들의 간 내 담석 수술 원칙은 간 내 담석이 존재하는 부위의 간이 절제 가능하면 절 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간 내 담석이 좌엽 이나 좌 외측 구역에 존재하는 경우는 좌엽 절제 혹 은 좌 외측 구역 절제를 시행했으며, 우엽에 존재하 는 경우는 우엽 절제 혹은 구역 절제를 시행하였다.

Fig. 1 Age and sex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3)

좌, 우엽에 같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간엽의 위축이 있거나, 간 내 담관 협착이 심한 경우는 간 절제를 시행하였다. 간 절제를 시행한 모든 예에서 잔류 담석 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T-자 관을 거취하였 다.

결과

1. 성별, 연령 분포 및 임상 증상

대상 환자 총 61예 중 남녀 비는 1 : 2.6으로 여자에 서 많이 발생하였다. 연령별 분포는 40대, 50대, 60 대에서 각각 11예(18%), 24예(39%), 20예(33%)로 대 부분을 차지하였다(Fig 1). 내원시 환자의 주된 증상 은 담관염 증상인 상복부 통증, 발열, 한축이 대부분 이었으나 이학적 소견상 뚜렷한 황달을 나타내는 경 우는 5예(8%) 였으며, 간기능 검사상 Alkaline phos- phatse 및 빌리루빈 상승을 나타내는 경우는 31예

(50%) 였다. 문진상 전 예의 환자에서는 1 회 이상 의 담관염이 의심되는 증상을 경험하였다.

2. 담석의 위치 및 간 외 담석과의 관계 담석의 위치를 수술 전 컴퓨터 단층 촬영에 의거 하여 Cantlie 선을 기준으로 우엽과 좌엽으로 구분 하였다. 간내 담석의 위치에 따른 분류는 우엽 8예 (13%), 양엽 22예(36%), 좌엽 31예(51%)로 좌엽 담 석 환자가 전체의 50% 이상이었다(Table 1). 간 내 담석과 간 외 담석의 동반 관계는 32예(52%)에서 간 외 담도 담석과 동반이 있었으며 주로 총수 담관 담석이었다(Table 2).

3. 재 수술예의 분석

61예 중 17예(28%)에서 과거력상 담도 수술을 받 Table 1. Location of the IHD stones

Site of stone No.(%)

Rt IHD* 8(13)

Lt IHD 31(51)

Both IHD 22(36)

Total 61(100)

* intrahepatic duct

Table 2. Association of the extrahepatic stones Site of combind stones No.(%)

IHD* only 29(48)

IHD+CBD# 18(29)

IHD+GB+ 6(10)

ID+CBD+GB 8(13)

Total 61(100)

* intrahepatic duct

# common bile duct + gall bladder

Table 3.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operation and the stone location Stone of site Operation name No. of patients No. of residual stone

Lt. IHD Lt. lateral segmentectomy 24 0

Lt. lobectomy 2 0

Drainage procedure* 3 1

Open biopsy 2 2

Rt. IHD Rt. lobectomy 3 0

Partial hepatectomy 1 1

Drainage procedure 2 2

T-tube

choledocholithotomy 2 0

Both IHD Lt. lateral segmentectomy 13 5

Lt. lobectomy 3 2

Drainage procedure 6 5

Total 61 18

* Roux-en-Y hepaticojejunostomy

(4)

은 병력이 있었다. 수술은 12예에서 단순 담낭 절 제술을, 4예에서는 담낭 절제 및 총수 담관 절개술 을, 1예에서는 담낭 절제, T-자 관 거취, 괄약근 성 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받은 시기는 길게는 20년 전부터 가깝게는 4개월 전까지였으며, 수술 당시 간 내 담석이 확인된 예는 1 예에 불과하였다.

4. 수술 술식 및 성적

수술 술식은 간 내 담석의 위치에 의하여 주로 결 정되었다. 간 좌엽에 담석이 위치한 31예의 경우 담 도암(cholangiocarcinoma) 2예와 간 기능이 좋지 못한 3 예를 제외한 26예에서는 간 절제를 시행하였 으며 잔류 담석은 없었다. 담도암과 동반된 2예는 모두 복강 내 원격 전이가 있어 조직 진단으로 수술 을 마쳤다. 배액술을 시행한 3예는 간기능이 Child B와 C의 경우였으며 Roux-en-Y hepaticojejunosto- my를 시행하였다. 우엽 담석 8예에서는 4예 만이 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우엽 구역 절제술을 시 행한 1예에서 잔류 담석이 있었다. 배액술을 시행 한 2예에서는 모두 잔류 담석이 남았고 T-자 관을 거취한 2예에서는 잔류 담석을 모두 제거할 수 있었 다. 양엽에 담석이 있는 경우 22예에서는 16예에서 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7예에서 잔류 담석이 있

었다. 간 절제의 선택은 한 쪽 간엽이 위축이 있거 나, 담도의 협착이 있는 경우 시행하였다. 배액술 을 시행한 6예에서는 5예에서 잔류 담석이 남았다 (Table 3). 수술 술식을 간 절제술 과 배액술로 나 누어 비교하면 간 좌엽내 담석으로 담관암과 동반 되어 조직진단을 시행한 2예를 제외한 전체 59예 중 16예에서 잔류담석이 발견되었으며(17%) 이중 담 석제거 및 배액술을 시행한 13예 중 8예에서(61%) 그리고 간 절제를 시행한 46예 중 8예에서(17%) 잔 류담석이 발견되어 간 절제 예에서 잔류담석이 적 었다(Table 4).

5. 담관암과의 연관관계

총 61예 중 6예(10%)에서 담관암과 연관되어 있었 으며 수술 당시 담관암과 동반된 경우가 3예 있었 다. 3예 모두 복강내 원격 전이가 있어 담도 절개 및 T-관 삽관술 1예 그리고 조직 검사 2예만 시행하 고 수술을 마쳤다. 본원에서 간 내 담석으로 수술 후 추적 중 담관암이 발견된 예가 3예 있었다. 1 예 는 우측 간 내 담도 담석으로 우엽 절제술을 시행하 고 추적 중 1년 후에 절단면에서 종양이 발견되었으 나 절제 불가능하였다. 또 다른 1예는 우측 간 내 담 관 담석으로 우엽절제 후 3년 후 종양이 발견되었으 Table 4. Operation method and residual stone

Basic procedure Residual stone(%) Lithotomy and drainage* 8/13(61) Liver resection 8/46(17)

Total 16/59(27)

* Roux-en-Y hepaticojejunostomy T-tube choledocholithotomy

Table 6. Postoperative complications

Liver resection Lithotomy and (N=46) drainage (N=13) Biliary fistula 2 0

Wound Cx. 6 2

Respiratory Cx. 0 1

Urinary Cx. 1 0

Cholangitis 3 1

Operative mortality 0 0

Table 5. Analysis of IHD stone patients associated with cholangiocarcinoma

Age/sex Lo. of stone Operation Time of Dx Lo. of tumor 64/M Rt. IHD, CBD Chol, T-tube Op. Rt. lobe

74/F Lt. IHD Open Bx Op. Lt. lobe

66/F Lt. IHD Open Bx Op. CHD

51/F Rt. IHD, CBD, GB Rt. lobectomy 1 years Op. site

47/F Rt. IHD Rt. lobectomy 3 years CHD

57/F Rt. IHD Hepaticojejuno 5 years CHD

(5)

나 역시 절제 가능성이 없었다. 또 다른 1예는 우엽 간 내 담도 담석 환자로서 배액술 시행 후 5년 뒤에 Klatskin tumor가 발견되었다(Table 5).

6. 수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은 없었으며, 간 절제군에서 2예의 담즙 누출이 있었다. 1 예는 보존적인 치료로 완치되었으 나, 1예는 잔류 담도 절제를 다시 시행하였다. 수술 후 잔류 담석으로 인한 담관염 3예를 경험하였으며 모두 항생제 등 보존적인 치료로 해결하였다. 그외 창상 감염, 상기도 감염, 요도 감염의 합병증을 경 험하였으나 경미하였다 (Table 6).

고찰

간 내 담석은 우리 나라의 경우 전체 담석 환자들 중 10 - 22 %를 차지한다.1∼6 본 연구에서도 동기간 에 입원한 전체 담석 환자들 중 간 내 담석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5% 정도였다. 간 내 담석은 담낭 담석과는 달리 남녀의 발생 빈도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나,1 본 연구에서는 여자에서 2.6배나 더 많이 발생하여, 남녀의 발생 빈도 차이 가 뚜렷하였다. 지역적인 특성의 차이에서 오는 것 인지는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분석해 보아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간 내 담석은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 지만 과거에는 담즙의 정체와 간내 염증이 주원인 이고 좌우 간 내 담관의 이상 합류가 그 유발인자일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현재는 담관의 협착을 간 내 담석 발생의 주원인으로 생각하며, 따라서 간 내 담 석증 환자의 치료 원칙은 간 내 담석 제거와 협착된 담관의 제거에 두고 있다.18 간 내 담석증의 원인을 병리학적 측면에서 보면 염증에 의한 담도 상피의 탈락 이후 담관벽의 증식과 담관벽 주위의 섬유화 와 담관 내외의 선 조직 만성증식에 의해 중성, 산 성의 점액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담관벽의 증대, 담 관 주위의 부속선 등이 증식되는 악순환이 생기며, 이때 담즙 내 미소 담석을 형성하면서 다발성 간 내 담석을 발생시킨다고 한다. 한편 담즙의 감염면에 서 간 내 담석의 형성기전을 살펴보면 세균 내 β- glucuronidase에 의해 포합 빌리루빈이 비포합 빌 리루빈으로 분리되고, 비포합 빌리루빈은 담즙 내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칼슘 빌리루비네이트 담석

을 형성한다.19 간 내 담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도의 협착은 연구자에 따라 90% 까지 보고 되고 있다.16본 연구에서 수술 소견 및 방사선 소견 으로 확인된 담관 협착은 32예로 전체의 50%로 다 른 보고보다는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 간 절제로 치료를 하였으며, 절제된 간 내부의 담관 협착 소견이 의무 기록에서 누락된 예가 있었기 때 문에 다소 낮게 발견된 것으로 생각한다.

간 내 담석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좌엽에 국한되는 경우가 40 - 50%20∼21로 높은데 본 연구에서도 좌엽 에 국한된 경우가 51%였으며 36%에서 양측엽에 모 두 발생하였다. 주로 좌측에 호발하는 원인으로 Hickene등은 좌측 간 담관이 우측보다 길이가 길고 꾸불꾸불하며 총수담관과의 결합부가 더 예각을 이 루고 있고 선천적인 협착 내지 확장이 더 많아 담즙 의 정체가 빈발하여 간 내 담석이 더 많이 생긴다고 한다.22

본 연구에서 간 내 담석환자의 병력을 보면 환자 전 예에서 반복되는 담관염을 경험하였거나, 내원 당시 담관염의 증상이 있었으나 간 외 담석증과 다 른 특이한 증상이 없으므로 초음파, 컴퓨터 단층촬 영, 내시경적 역행적 담관 췌장 조영술, 경피적 담 도 조영술등의 영상 진단 방법으로 간 내 담석을 확 인하였다. 초음파는 가장 쉽게 진단에 이용되며 간 내 담석의 존재 유무 및 위치 파악에 유용하지만, 간 내 담관 협착 또는 확장여부를 아는 것이 술식 결정에 중요하므로 수술 전에 담도 조영술을 실시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원에 내원한 환자의 17예(28%)에서 과거에 담 도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었으나, 수술 당시 간 내 담석의 존재를 확인한 것은 1예에 불과하였다. 이 것은 재발성 담관염시 간내 담석증의 가능성이 높 은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간 내 담석이 담낭 담석과 동반된 경우는 본 연구 에서는 14예(23%)였으며 간 외 담관에도 동반되므 로 담낭 담석 환자의 진단시 초음파로 간 내부를 세 심히 관찰하여야하며, 간 기능 검사 등에서 비정상 적인 소견이 있을 시는 더욱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간 내 담석은 양성 질환이나, 난치성 질환으로 과 거에는 악성 종양에 버금가는 예후를 보였다.. 최

(6)

근 급속한 간 외과의 발전 및 담도 내시경, EHL, 중 재적 방사선과학의 발전으로 간 내 담석의 치료에 많은 진전이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담석이 양측 간을 침범하고 담관의 협착이 많은 환자는 완전한 치료가 어렵다. 간 내 담석의 치료는 원칙적으로 간 내 담석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재발 의 방지를 위해서는 간 내 담도 협착을 교정하거나 제거하여야한다. 간 내 담석의 제거는 과거에는 총 수 담관을 열고 총수 담관을 통한 담석 제거와 잔류 담석의 배출을 위해 배액술을 같이 시도하기도 하 였으나, 수술 후 잔류 담석에 의한 담관염 및 잔류 담석에 의한 합병증으로 환자의 예후가 좋지 못하 였다. 최근 간 외과의 발전으로 간 절제술의 사망 률 및 합병증이 낮아 안전하게 간 절제가 시행되므 로 간 내 담석의 경우도 간 기능이 허용하고, 간 내 담석이 일부에 국한 된 경우는 간 절제가 가장 좋은 방법으로 추천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경우 간 내 담 석이 좌엽에 국한된 경우는 담관암과 동반된 2예를 제외한 29예에서 26예(89%)는 간 절제를 시행하였 으며 잔류 담석이 없었다. 배액술을 시행한 3예는 간 기능이 child 분류 B, 혹은 C였으며 1예에서 잔 류 담석이 있었다. 우엽에 국한된 경우는 우엽 전 절제술을 하는 경우가 많지 않으나, 본 연구 결과는 8예 중 우엽 전절제술을 시행한 3예에서는 잔류 담 석이 없었으나 그 외의 방법으로 수술한 6예 중 3예 에서 잔류 담석이 있었다. 우엽의 경우도 간 내 담 관 협착이 심하거나, 담관 지엽에 담석이 있는 경우 는 우엽 전절제만이 완전한 치료가 될 수 있음을 보 여 주었다. 좌, 우엽에 같이 담석이 있는 경우는 간 의 부분 절제로 담석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우나, 이 경우에도 대부분의 담석이 좌엽에 있는 예가 많 아 좌측 외구역 절제 혹은 좌엽 절제를 시행하였다.

3예에서는 Counaud segment V번이 좌측 간 내 담 관로 배액되며, 컴퓨터 단층 찰영시 우엽에 보인 담석은 좌측 간내 담관로 배액되고 있는 담관 내의 담석이었다. 양엽 간 내 담석 환자 22예 중 간 절 제가 동반된 16예에서는 잔류 담석이 7예(44%)에 서 잔류 담석이 남았으며 배액술을 시행한 6예에서 는 5예(83%)에서 잔류 담석이 남았다. 따라서 양엽 에 담석이 존재할 경우에도 적극적인 간 절제를 동 반하는 것이 보다 나은 성적을 보였다. 수술 후 잔

류 담석을 T-관을 통한 제거는 환자들 대부분이 경 제적 사정 등의 이유로 거절하는 경우가 다 수 있어 잔류 담석의 비율이 높아졌다.

담관암의 원인 중 하나로 간 내 담석을 보고하는 문헌이 있다. 간 내 담석과 연관된 간 내 담관암의 발생에 대한 발암자극은 결석자체에 의한 자극 뿐 만 아니라 담즙성분의 변화, 담즙정체, 담관염 등이 고 이러한 자극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기술되는 증식성 담관염이 생기고 여기서 암 전구 병변이라 고 볼 수 있는 이형성(dysplasia) 점막이 발생하여 암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3절제 된 간에서 간 내 담관의 조직학적 소견을 보면 비특 이적인 만성염증이 있는 경우로부터 암의 전구 병 변으로 추측되는 증식성 병변이 자주 발견되고 이 형성, 나아가 비침습성(noninvasive) 선암이 발견되 기도 한다.10-13 간 내 담석으로 간 절제를 한 변연에 서 결석도 없는데 수 년 후에 담관암이 발생한다든 지, 간 내 결석이 있는 부위와 다른 부위에도 드물 지 않게 담관암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는 것은 결 석에 의해 암 전구 병변이 잠복해 있다가 수 년 후 암 전환을 일으키거나 담석자체가 아니고 동반된 담즙성분의 변화, 담즙 정체 또는 감염 등이 발암작 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 서는 6예(10%)를 경험하였으며, 3예는 개복 당시 원격 전이가 있었다. 3예에서는 수술 후 추적 검사 중 담관암이 발견되었는데 1예는 수술 절제면에서 발견되었으나 2예는 담석위치와 다른 총 간 담관에 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간 내 담석 환자의 수술시 반드시 절제 단면, 협착 부위를 냉동 생검하여 종양 의 존재 여부나, 비정상적인 세포의 존재 유무를 확 인하여야 하며 간 내 결석의 재발, 간 경변증으로 진행의 합병증뿐만 아니라 간 담관암의 발생 가능 성 때문에 이점에 유의하여 결석환자들은 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을 포함하여 상당기간 추적을 필 요로 하며 간 내 담석의 치료로서 간 절제술이 필요 한 또 다른 이유라고 하겠다.

결론

1992년부터 1998년까지 6년간 충북대학병원에서 치료받은 간 내 담석 환자 61예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61예 중 46예(75%)에서 간

(7)

절제를 시행하였으며 잔류 담석은 8예(17%)에서 잔 류 담석이 있었다. 좌엽에 국한된 경우 31예 중 간 절제를 시행한 26예에서는 잔류 담석이 없었으며, 우엽 8예중 간절제를 시행한 4예 중 1예에서 잔류 담석이 있었으며 배액술을 시행한 전 예에서는 잔 류 담석이 있었다. 좌,우엽에 같이 있는 경우는 간 절제를 시행한 16예 중에서는 7예에서 배액술을 시 행한 6예 중 5예에서 잔류 담석이 있었다. 담관암 과 동반 및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예가 6예

(10%)였다.

결론적으로 간 내 담석의 수술적 치료로서 담석이 좌엽에 국한된 경우는 좌엽 혹은 좌외측 구역절제 술이 추천되며, 좌, 우엽에 같이 있는 경우도 부분 간 절제를 시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또한 간 내 담 석 환자의 수술 시 간 절제면의 담관을 냉동 생검하 여 악성 종양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 며, 수술로서 간내 담석이 완전히 제거된 경우에도 담관암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관찰이 필

참고문헌

1. 김선회, 박용현, 최재운. 10년간 경험한 담석환 자 1719예의 역학적 및 임상적 특징 분석. 대한 소화기병학회지, 24:353-61, 1992

2. 정연학, 이정균, 채권문 : 간내담석증의 치료.

대한외과학회지 36:766-771, 1989

3. 전승호, 이한일, 김곤홍: 간부분절제를 실시한 간내담석의 성적. 대한외과학회지 48:816-822, 1995

4. 민병철. 한국인 담석 질환에 관하여. 대한외과 학회지 10:637-42, 1974

5. 최승훈, 이희대, 김병로, 김춘규. 간내담석증의 외과적 처치에 관한 고찰. 대한외과학회지 24:576-65, 1982

6. 배성동, 김수태. 간내담석증의 임상적 고찰. 대 한외과학회지 22:11-8, 1980

7. Wen CC, Han HC. Intrahepatic stones. A clin- ical study. Ann Surg 175:116-21, 1971 8. Ong GB. A study of recurrent cholangitis.

Arch Surg 84:199-203, 1962

9. Cook J, Hou PC, Ho HC, McFadgean AJS.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Arch Surg 42:184-190, 1954

10. Koga A, Ichimiya H, Yzmzguchi K, Miyazaki K, Nakayama F. Hepatolithiasis associated with cholangiocarcinoma, possible etiologic significance. Cancer 55:2826-29, 1985

11. Ohta T,Nagakawa T, Ueda N, Miyazaki I, Mucosal Dysplasia of the liver and the intra- ductal variant of peripheral cholanfilcarcinl- ma in hepatolithiasis. Cancer 68:2217- 23, 1991

12. Chijiiwa K, Ichimiya H, Kuroki s, Koga A.

Late development of cholanfilcarcinoma after the treatment of hepatplithiasis. Surg Gyneco Obstet 177:279-82, 1993

13. 김선회, 박용현. 간내결석 치료의 변화양상과 치료원칙 Korean Journal of HBP Surgery 1:25-31, 1997

14. 서경석, 박용현, 권석운. 자동화학 분석기를 이용한 위치별 담석의 정량적 성분 분석. 대한 소화기병학회지. 22:487-451, 1990

15. Maki T. Pathogenesis of calcium bilirubinate gallstones; Role of E.coli, beta-glu- curonidase and cagulation by inorganic ions, polypeptide and agitation. Ann Surg 164:90- 97, 1966

16. 최재운, 김수진, 서경석, 박용현. 간내 담석증 치료로서의 간부분 절제. 대한소화기병학회지 22:924-929, 1990

17. Couinaud C. La lithiase des voies biliare intrahepatiques. Ann Chir 17:1247-51, 1963 18. Nakayama F, Soloway RO: Hepatolithiasis in

East Asia Retrospectdive study. Dig DS Sci

(8)

31:21-5, 1986

19. Uchino J, MManebe K: Hepatolithiasis:

Etiology and coinicopathology.

Gastroenterol Surg 13: 419-24, 1990 20. Choi TK, Wong J, Ong GB. The surgical

management of primary intrahepatic stones.

Br J Surg 69:86-90, 1982

21. Nakayama F, Furusawa T, Nakama T.

Hepatolithiasis in Japan;Present status. Am J Surg 139:216-20

22. Hicken NF, McAllister AJ, Call DW: The problem of hepatolithiasis. Am J Surg 19:

695, 1953

수치

Fig. 1 Age and sex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Table 2. Association of the extrahepatic stones Site of combind stones No.(%)
Table 5. Analysis of IHD stone patients associated with cholangiocarcinoma

참조

관련 문서

(Method) Among 102 patients with metastatic liver carcinoma due to colorectal cancer who were treated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ones original scheme had a pedimented portico, a feature often found in Palladio’s architecture.. -However, there was no need to provide an entrance

The AST levels in the male KRG administration group at 4 and 8 mo decreased sig- 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 the research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stone tools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Jeju stones, and synthesized

The associations of hepatic steatosis and fibrosis using fatty liver index and BARD score with cardiovascular outcomes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new‑onset type 2

This study’s TCHP group lost both muscle and fat, whereas the AC-T group had no signif- icant change in muscle but gained fat, which suggests that the type of chemotherapy

In the subgroup of patients who reached ASDAS-ID 1 year after TNFi treatment ( n = 327), ASDAS-ID was observed in 66.1% of the subsequent intervals, and only the

In the control group, lifestyle-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blood glucose (p <.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