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와 관련요인 김혜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와 관련요인 김혜영"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연구의 필요성

1.

여성 성기능에 대한 연구는Kinsey, Pomeroy, Martin과 Gebhard(1953)의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 대상과 성에 대한 견해를 바탕으로 성기능장애의 빈도와 관 련요인들을 보고해 왔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국외에서 보. 고된 여성 성기능장애의 빈도는22~38.4%이며(Lutfey, Link, Rosen, Wiegel, & Mckinlay, 2009; Ponholzer, Roehlich,

여성 성기능장애가 Racz, Temml, & Ladersbacher, 2005),

로 남성 성기능장애의 보다 높게 보고되고 있다

43% 31%

국내의 경우 여성 성기능 (Laumann, Paik, & Rosen, 1999).

장애에 대한 역학조사가 미흡하나 최근 평균28.5세의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43.5%가 여성 성기능장 애를 경험하고 있으며 성기능 하부영역별 장애 유병정도는 성욕장애44.0%,성적흥분장애49.0%,질윤활액장애37.0%, 절정감장애32.0%,성만족도장애37.0%그리고 성교통증 이 34.6%로 나타났다(Song, Jeon, Kim, Paick, & Son, 또한 남성 중 와 여성 중 에서 성기능장 2008). 33.8% 54.2%

주요어: 성기능장애 여성,

Address reprint requests to: Lee, Eun Sook, Department of Nursing, Chunnam Techno College, 285 Okgwa-ri Okgwa-myun Goksong 516-911, Korea. Tel: 82-61-360-5335, Fax: 82-61-360-5331, E-mail: eslee@chunnam-c.ac.kr

투고일 2010년 월7 27 / 수정일 차1 : 2010년 월 일 차9 1 , 2 : 2010년 월9 15 / 게재확정일 2010년 월9 15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와 관련요인

김혜영

1

· 이은숙

2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전임강사1,전남과학대학 간호과 부교수2

Sexual Dysfunction and Related Factors in Married Korean Women

Kim, Hye Young1· Lee, Eun Sook2

1Full-time Lecturer, Department of Nursing, Gwangju Women's University,

2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unnam Techno Colleg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revalence of sexual dysfunction an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

ing sexual dysfunction in married wom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72 married women in age 20~59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socio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gyn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FSFI (Female Sexual Func- tion Index). Results: The mean total FSFI score was 20.6 while the proportion of women with female sexual dysfunction based on FSFI overall scores of 25.0 or less was 57.5%. Sexual dysfunctions were detected as desire problems (48.9%), arousal problems (56.9%), lubrication problems (40.1%), orgasm problems (37.9%), satisfac- tion problems (39.5%), and pain problems (37.9%). The sexual function of married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job,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 religion, monthly income, chronic disease, meno- pausal status, frequencies of delivery and pregnancy. Significant predictors influencing sexual function in married women were post-menopausal state, frequencies of delivery, chronic disease, and peri-menopausal state, and these predictors account for 29% of the variance in sexual dysfunc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high prevalence of sexual dysfunction in married women which is comparable with results reported worldwide. Nurses need to be trained and prepared to address this issue.

Key Words: Sexual dysfunction, Women

(2)

애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Yoon et al.,2001).따라서 국내 여성이 국외여성보다 성기능장애 빈도가 높으며 여성이 남, 성보다 성생활에 대체적으로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남성 성기능장애 환자를 치료하면서 배우자인 여성 의 성기능에 대한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또한 여, 성의 사회적 지위 및 권위 향상과 개방적인 서구 문화의 영 향으로 여성도 성적으로 능동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의 성기능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Kim et al.,2002),여성 성기능장애를 어떻게 평가하고 관리할 것 인지에 대한 문제는 아직 해결책이 명확하지 않아 의료인 들조차 효과적인 중재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Bae, 2004).

한편 우리나라 부부 중 반 이상이 성기능장애로 고통 받 고 있다는 통계와 이혼사유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성격 차이가 성문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관점에 근 거하여(Sohn, 2006)부부간에도 여성 성기능장애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 다(Bae, 2004).

따라서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에 대해 적절히 관리를 하 고 문제 해결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연구와 노 력이 절실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 에 대한 유병율과 관련 요인들을 밝히는 역학조사가 너무 미흡한 실정이다(Bae, 2004).

최근Bassen등(2000)은여성 성기능장애를DSM-Ⅳ에서 분류한 것과 동일하게 성욕장애 성적흥분장애 절정감장, , 애 그리고 성교통증의 가지 범주로 구분함과 동시에 정의4 의 범위를 최근에 수행되었던 연구결과와 임상 상황을 바탕 으로 확장시켰다.

여성 성기능장애는 남성과 다르게 선천적 후천적 일반- , 적 상황적 기질적 심리적 기전에 의해 유발되며 다양한- , -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Basson, 2005).기존의 연구 결과 나이 직업 결혼기간 교육수준 종교 월수입 만성, , , , , , 질병 유무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폐경상 태 임신횟수와 출산횟수가 성기능 점수에 차이 및 성기능, 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Kim, Jo, & Park, 2007; Park, Koo, & Won, 2004; Safarinejad, 2006),피임종 류와 폐경여성에서의 호르몬 투여 여부는 연구마다 상이 하게 보고되었다(Hayes et al.,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 성기능장애의 정의에 근거하 여 개발된Rosen등(2000)의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와 각 각의 성기능 하부 영역별 장애 유병정도를 확인하고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변수들이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주 는지 피임종류와 호르몬 투여 여부에 따른 성기능 점수 차, 이를 재분석해보고자 한다.

실제로 국내여성들의 상당수가 성기능장애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에 대한 국내 연 구는 소수에 불과하여 성에 대한 의료 전반의 이해가 부족 하고 나아가 성기능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 램도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간호전문가들은 여성의 건강. 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이 바로 성(sexuality)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 유병정도를 파악 하고 관련 위험 요인을 확인한다면 성기능 증진과 더불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 관련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구목적 2.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의 유병정도와 여성 성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Ÿ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의 유병정도를 파악한다.

Ÿ 기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및 부인과적 특성, 에 따른 성기능 점수 차이를 파악한다.

Ÿ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용어정의 3.

기혼여성 1)

결혼한 여성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 대전광역시 및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20대에서50 대까지의 결혼을 했고 현재 배우자와 살고 있는 여성을 말 한다.

여성 성기능장애 2)

성적 자극에 대한 여성의 성주기의 부분적 혹은 전체 적 성 반응이 손상된 것으로 하부영역에 성욕장애 성적, 흥분장애 절정감장애 그리고 성교통증이 있음을 의미하며,

(Bassen et al., 2000), 연구에서는Rosen등(2000)이 개

(3)

발하고Kim등(2002)에 의해 타당성이 검정된FSFI를 이용 하여 측정한 자가 평가 점수의 총합을Song등(2008)에 의 해 보고된 여성 성기능장애의 절단치(cut-off scores) 25.0 미만인 점수를 말한다.

연 구 방 법 연구설계

1.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

본 연구는 국내의 기혼여성을 표적 모집단으로 하고 경, 기도 고양시 일산 대전광역시와 광주광역시 소재 보건소, , 교회 우체국 및 백화점 문화센터를 방문한, 20세 이상의 기 혼여성을 근접 모집단으로 하여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 구참여를 수락한372명을 한국 여자 인구20~50대 연령비 율(1.2:1.3:1.4: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 3.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및 부인과적 특성

1)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및 부인과적 특성은, 나이 결혼기간 직업 교육 종교 월수입, , , , , , BMI,질병유무, 폐경상태 폐경나이 임신횟수 출산횟수 피임종류 호르몬, , , , , 제제 투여 여부로 조사하였다. BMI는 정상체중군(BMI<23 kg/m2), 과체중군(23 kg/m2≤BMI< 25 kg/m2), 비만군 (25 kg/m2≤BMI)로 분류하였다 폐경상태는 폐경전기 폐. , 경이행기 페경후기로 구분하였으며 폐경전기는 현재 월, , 경이 비교적 규칙적이고 지난 개월 이내에 월경을 한 경우3 , 폐경이행기는 월경주기가 불규칙하면서 최종월경이 년 이1 내인 경우 폐경후기는 최종월경이 년 이상 경과된 경우이, 1 다 양쪽 난소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는 폐경후기로 분류하. 였다.

여성 성기능장애 2)

등 이 개발한 자가 보고식 설문지인 를

Rosen (2000) FSFI

등 이 국문으로 번안하고 영어로 역 번안한 후에 Kim (2002)

한국여성 한국여성 연령별 인구조성비율에 의거 을 대상으( ) 로 타당성을 검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9문 항의 개 하부영역 즉 성적욕구 문항 성적흥분 문항 질6 2 , 4 , 윤활액 문항 절정감 문항 만족감 문항 성교통증 문항4 , 3 , 3 , 3 으로 구성된다.

도구1, 2문항은 점 척도로5 거의 또는 매우 낮다 점부1 터 항상 또는 매우 높다 점까지 구성되었고 나머지5 17문 항은 점 척도로6 성행위가 없었다 점0 , 거의 되지 않는다

점에서

1 항상되었다 점으로 측정되었다 본 도구의 하부5 . 영역 점수는 하부영역의 요인별 가중치를 곱하게 되며 각, 가지 하부영역의 점수를 합산하면 총 성기능 점수가 된다

6 .

측정된 점수의 범위는 최저 점에서 최고2 36점까지의 점수 분포를 보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상자가 지각하는 성기능 이 높음을 의미한다 성기능장애는. Song등(2008)이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보고한25.0점을 절단치로 삼아25.0이 하의 점수를 가진 여성은 성기능장애군으로 정의하였으 며 성기능장애의 하부영역인 성적욕구장애는, 3.6 ,점 성적 흥분장애는 3.9 ,점 질윤활액장애는 5.4 ,점 절정감장애는

점 성만족도장애는 점 그리고 성교통증장애는

4.0 , 4.0 4.8

점을 절단치의 기준으로 삼아 절단치 이하의 점수를 가진 여성은 성기능의 하부영역별 장애가 있는 것으로 정의하 였다.

이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당시Rosen등(2000)의 연구에 서 Cronbach's ⍺=.97이었고, Kim 등(2002)의 연구에서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었다

.99 , .98 .

자료수집 4.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2008년 월3 20일부터 월 일9 5 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연구자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 , 대전광역시와 광주광역시 소재 보건소 교회 우체국 책임, , 자 및 백화점 문화센터의 강사에게 각각 연구의 취지와 자 료수집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연구자와 훈련된 연 구보조자 인이 설문을 시행하였다1 . 402명의 여성들이 설 문에 응하였으며 이들 중 사별한 경우와 응답이 미흡한 설 문지30부를 제외한372 (92.5%)명 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 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참여로 인. , 한 유익성과 중단가능성 자료작성방법 및 소요시간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연구에 참여할 것에 대해 자율적으 로 서면 동의를 받은 후에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5.

수집된 자료는 SPSS/WIN1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개별적인 변수들의 정규성 검. 정을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확인한 결과 정규분포를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정을 위한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p<.05수준에서 채택하였다.

Ÿ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부인과적 특성 및 성, , 기능장애의 유병실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Ÿ 대상자의 성기능 점수는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 , , 값을 구하였다.

Ÿ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및 부인과적 특성에 따른 성기, 능 점수 차이는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으로Duncan test를 하였다.

Ÿ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 구 결 과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및 부인과적 특성

1. ,

기혼여성의 평균 연령은39.7세이며, 30대가26.9%, 40 대가28.5%이었다 약. 53%가 직업이 있었고 결혼기간은5 년 미만이26.3%, 20~29년이26.9%였다 대상자의. 46%가 고졸이었으며 약, 71%는 무교였다 월수입은. 300~399만원 이38.2%로 가장 높았고 약, 9%는 고혈압 당뇨 및 관절질환, 등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약. 73%가 정상체중에 속하 였으며 폐경전 여성이, 71%,폐경여성이22.3%이었고 폐경 나이는 46~50세가 61.4%이었다 임신 횟수는. 2~3회가 출산 횟수도 회가 로 가장 높았다 피임종

42.4%, 2~3 58.6% .

류는 콘돔과 자연피임이 각각25%이었으며 폐경여성을 대, 상으로 실시한 호르몬 투여의 경우83.1%가 호르몬 제제를 투여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Table 1).

기혼여성의 성기능 및 하부영역별 점수 2.

본 연구에서 기혼여성의 성기능 평균점수는 20.64점으 로Song등(2008)이 보고한 여성 성기능장애 절단치인25.0 점보다 낮았다 성기능 하부영역별 평균점수는 성적욕구. 점 성적흥분 점 질윤활액 점 절정감 점 3.14 , 3.13 , 3.76 , 3.37 , 성만족도3.31점 그리고 성교통증3.95점으로 성적흥분 영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N =372)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Age (year) <30

30~39 40~49

≥50

85 100 106 81

(22.8) (26.9) (28.5) (21.8)

Job Have

Have not 198

174(53.2) (46.8) Duration of marriage

(year) <5

5~9 10~19 20~29

≥30

98 45 97 100 32

(26.3) (12.1) (26.1) (26.9) (8.6)

Education Under middle

High College

60 171 141

(16.1) (46.0) (37.9)

Religion Yes

No 109

263(29.3) (70.7) Monthly income

(10,000 won)

<200 200~299 300~399

≥400

44 153 142 33

(11.8) (41.1) (38.2) (8.9) BMI (kg/m2) Normal weight

Over weight Obesity

271 57 44

(73.0) (15.3) (11.7) Chronic disease Yes

No 32

340(8.6) (91.4) Menopausal state Pre-menopausal

Peri-menopausal Post-menopausal

264 25 83

(71.0) (6.7) (22.3) Onset age of

menopausal(year) <40 40~45 46~50

≥51

3 10 51 19

(3.6) (12.0) (61.4) (22.9) Frequencies of

pregnancy (times) 0~1 2~3

≥4 No answer

42 157 133 40

(11.3) (42.2) (35.8) (10.8) Frequencies of

delivery (times) 0~1 2~3

≥4 No answer

67 218 36 51

(18.0) (58.6) (9.7) (13.7) Types of

contraception Loop Condom

Natural contraception Oral pill

Menopausal No answer

62 93 93 22 83 19

(16.7) (25.0) (25.0) (5.9) (22.3) (5.1) Hormonal therapy Yes

No 14

69(16.9) (83.1)

Sample size=83.

(5)

역의 점수가 가장 낮았고 성교통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 게 나타났다(Table 2).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 유병정도 3.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는214 (57.5%) 절단치명 ( <25.0) 으로 나타났다 성기능 하부영역별 장애 빈도를 보면 성적. 욕구182 (48.9%) 절단치명 ( <3.6),성적흥분212 (56.9%)명

절단치

( <3.9),질윤활액149 (40.1%) 절단치명 ( <5.4), 절 정감141 (37.9%) 절단치명 ( <4.0),성만족도147 (39.5%)명

절단치

( <4.0) 그리고 성교통증 141 (37.9%) 절단치명 (

<4.8)으로 성적흥분장애가56.9%로 가장 높았고 절정감장 애와 성교통증이37.9%로 가장 낮게 보고되었다(Figure 1).

연령별 성기능장애 유병상태의 경우20대는31 (36.5%),명

대는 명 대는 명 그리고 대는

30 45 (45%), 40 70 (66.0%) 50 60 명(74.1%)으로 나타나 나이가 많은 여성이 성기능장애 빈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및 부인과적 특성

4. ,

에 따른 여성 성기능

기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및 부인과적 특성, 에 따른 성기능 점수는 나이(F=36.17, p<.001), 직업(t=

4.65, p<.001), 결혼기간(F=23.95, p<.001), 교육수준 (F=42.39,p<.001),종교(t=2.54,p=.012),월수입(F=5.04, p = .002), BMI (F=36.17, p<.001),만성 질병유무(t=3.96,

Table 2. Sexual Function Scores of Married Women (N=372)

Variables Range Weight Min Max M±SD

Female Sexual Function 2.00 36.00 20.64±9.67

Desire 1~5 0.6 1.20 6.00 3.14±1.35

Arousal 0~5 0.3 0.00 6.00 3.13±1.73

Lubrication 0~5 0.3 0.00 6.00 3.76±1.91

Orgasm 0~5 0.4 0.00 6.00 3.37±1.81

Satisfaction 0 (or 1)~5 0.4 0.80 6.00 3.31±1.79

Pain 0~5 0.4 0.00 6.00 3.95±2.05

Figure 1. Prevalence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0.0%

10.0%

20.0%

30.0%

40.0%

50.0%

60.0%

Desire Arousal Lubrication Orgasm Satisfaction Pain 48.9%

56.9%

40.1%

37.9% 39.5% 37.9%

(6)

Table 3. Mean Difference of Female Sexual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N=372)

Characteristics Categories Female sexual function

M±SD t or F (

p

) Duncan's test

Age (year) <30

30~39 40~49

≥50

25.34±6.92 23.14±8.72 20.58±8.42 12.20±9.79

36.17

(<.001) a

a b c

Job Have

Have not

22.75±9.04 18.09±9.83

4.65 (<.001) Duration of marriage (year) <5

5~9 10~19 20~29

≥30

25.39±7.18 22.23±9.32 22.45±7.40 16.19±10.20 11.29±9.98

23.95

(<.001) a

a a b c

Education Under middle

High College

11.45±8.89 20.99±8.64 24.04±8.71

42.39

(<.001) a

b c

Religion Yes

No

22.69±8.29 19.83±10.07

2.54 (.012) Monthly income (10,000 won) <200

200~299 300~399

≥400

19.88±11.53 18.72±10.11 21.32±9.35 24.97±5.72

5.04 (.002)

a a a b

BMI (kg/m2) Normal weight

Over weight Obesity

23.08±6.32 18.21±5.26 13.95±11.32

40.42

(<.001) a

b c

Chronic disease Yes

No

21.24±9.43 13.97±10.02

3.96 (<.001)

Menopausal state Pre-menopausal

Peri-menopausal Post-menopausal

23.64±7.80 18.35±10.89 11.51±9.01

63.94

(<.001) a

b c Frequencies of pregnancy (times) 0~1

2~3

≥4 No answer

23.10±8.82 22.24±8.25 15.87±10.52

18.91

(<.001) a

a b

Frequencies of delivery (times) 0~1 2~3

≥4 No answer

22.05±8.69 20.46±9.52 9.84±7.60

22.51

(<.001) a

a b

Types of contraception Loop Condom

Natural contraception Oral pill

23.07±6.85 23.79±7.20 22.41±10.07 24.69±6.99

0.68 (.566)

Hormonal therapy Yes

No

14.42±9.10 10.86±8.93

1.35 (.182)

Sample size after listwise deletion analysis.

Sample size=83.

(7)

p<.001),폐경상태(F=36.94,p<.001),임신횟수(F=18.91, p<.001),출산횟수(F=22.51,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임종류와 호르몬 투여 여부에 따른 성기능 점수. 는 차이가 없었다.

사후검정 결과20대와30대 여성이40대 여성에 비해40 대 여성은50대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성기능 점수가 높았 다 결혼기간이 년 미만인 여성의 성기능 점수가 가장 높았. 5 고 그 다음으로10~19년이었으며30년 이상 여성이 가장 낮 았다 교육수준은 중졸 고졸 그리고 대졸 순으로 성기능 점. , 수가 높았으며 월수입의 경우, 400만원 이상인 여성이 성기 능 점수가 가장 높았다 폐경전 여성이 이행기 여성보다 이. 행기 여성은 폐경후 여성보다 성기능 점수가 높았고 임신횟 수와 출산횟수는0~1회와2~3회 여성이 회 이상인 여성보4 다 성기능 점수가 높았다(Table 3).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 해 기혼여성의 성기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나이, 직업 결혼기간 교육수준 종교 월수입, , , , , BMI,만성 질병유 무 폐경상태 임신횟수와 출산횟수를 투입하여 단계적 다, , 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가정을 검정한 결과 독립. 변수들의 공차 한계는0.72~0.95로0.1이상이었고 분산확, 대인자(VIF)도1.05~1.38로10보다 작아 다중공선성의 문 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통계량은1.819 로 에 가까워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였다2 .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폐경후 상태(β=-.39,p<.001), 분만 횟수(β=-.18,p=.001),만성질병 유무(β=-.13,p=.012), 폐경이행기(β=-.11,p=.038)가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기혼여성, 의 성기능을29%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폐경후 여. 성이 폐경전 여성에 비해 성기능이 떨어지고 분만횟수가, 4 회 이상인 여성은 분만횟수 회 이하인 여성에 비해 성기능1 이 떨어지며 질병이 있는 여성은 질병이 없는 여성에 비해, 성기능이 저하되었다 또한 폐경이행기 여성이 폐경전 여. 성에 비해 성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논 의

전통적으로 여성 성기능장애는 성적욕구 성적흥분 절, , 정감 그리고 성교통증 장애라고 정의하고 있다 남성 성기. 능장애에 대한 역학조사는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는 반면 여성 성기능장애의 경우 높은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국내 여 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학조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성기능장애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임상과 연구에 적용하도록 개발되어진 FSFI (Rosen et al., 를 이용하여 기혼여성의 성기능 정도를 파악하고 한

2000) ,

국여성의 성기능장애 절단치 점수를 기준으로(Song et al., 여성 성기능장애와 성기능 하부영역별 장애의 유병정 2008)

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 요인을 확인해봄으로써 기혼여성의 성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여성 성기능장애 유병정도를 파악해 본 결과 본 연, 구대상자인 기혼여성 평균연령( 39.7 )세 의 성기능 점수는 점 만점에서 평균 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등

36 20.6 . Rosen

이 를 개발한 후 성기능장애를 가진 여성과 그렇 (2002) FSFI

지 않은 여성의 절단치로 발표한26.6 (Wiegel, Menston,점

과 등 이 평균연령 세의 한

& Rosen, 2005) Song (2008) 28.5 국여성을 대상으로 발표한 절단치인25.0점에 훨씬 못 미치 는 점수였다 즉 본 연구대상. , 372명 중 214 (57.5%)명 이 등 에 의해 보고된 절단치 점 이하의 점수에 Song (2008) 25.0

해당되므로 기혼여성의 절반 이상이 성기능장애를 경험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연령별 성기능. 장애 유병상태를 보면 20대는31 (36.5%), 30명 대는 45명

대는 명 그리고 대는 명 로

(45%), 40 70 (66.0%) 50 60 (74.1%) 나타나 나이가 많을수록 성기능장애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와 동일한 도구인FSFI를 사용하여 성기능장애 유 병정도를 파악한 국외연구의 경우, Lutfey등(2009)은30~

세인 명의 미국여성을 대상으로 성기능을 조사한 75 3,205

연구에서38.4%가 성기능장애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Safa- rinejad(2006)은20~60세의2,626명의 이란 여성 중759명 Table 4. Factors Influencing of Sexual Functions in Married

Women (N = 372)

Variable B β t

p

Constant 23.03 39.01 <.001

Post-menopausal state -8.94 -.39 -6.83 <.001 Frequencies of delivery -5.50 -.18 -3.22 .001 Chronic disease -4.50 -.13 -2.54 .012 Peri-menopausal state -4.85 -.11 -2.08 .038 Adj. R2=.28; F=29.86;

p

<.001

Sample size after listwise deletion analysis.

Dummy variables (menopausal state: pre=0, peri=1, post=2, frequen- cies of delivery: 0~1=0, 2~3=1,≥4=2, chronic disease: no=0, yes=1).

(8)

이 성기능장애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31.5%) . Ponholzer

등(2005)은20~80세 호주여성703명을 대상으로 성기능장 애 유병정도를 파악한 결과 여성의22~39%가 하나 이상의 성기능장애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렇듯 국외에서 보고된. 성기능장애 유병정도와 비교하여 국내 기혼여성의 성기능 장애 유병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여성의 경우. 서양 여성과 다르게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유교사상 때문에 성을 드러내어 나타내는 것을 꺼려하는 사회 및 문화적인 영향이 성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본다(Kim, So, Chae, & Kim, 2008).

또한FSFI를 사용하여 성기능을 평가한 국내 연구(Song 와 비교해 볼 때 평균 세인 한국여성 명 et al., 2008) 28.5 504 을 대상으로 성기능장애 유병정도를 평가한 결과 성기능 점 수는 평균25.4 ,점 성기능장애 유병정도는43.5%로 본 연구 결과보다 높은 성기능 점수와 낮은 성기능장애 유병정도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연령대별 성기능장애 유병정도는. 50대 를 제외한다면20대는44.3%, 30대는41.2%그리고40대는 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등

64.8% . Song

의 연구대상자는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2008)

하여 인터넷의 접근성이 용이한20대가50.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연구대상으로50대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 에 성기능 점수가 본 연구결과보다 높고 성기능장애 유병 률이 낮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의 또 다른 연구. (Bae, 에서는 세인 여성을 대상으로 성기능을 조사한 2004) 20~50

결과 성기능 점수가19.97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Bae(2004)의 연구대상자의 나이 범 위는 본 연구대상자와 유사하나 Bae(2004)의 연구에서는 대가 를 차지하고 본 연구에서는 대가 를

40 52.6% 40 28.5%

차지하였기 때문에 성기능 점수가 다소 낮았던 것으로 생 각된다.

이상의 논의에서 연령층에 따라 여성의 성기능장애 유병 정도가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나이는 여성 성기능. , 장애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수인 것이다(Hayes & Den- 따라서 성기능 nerstein, 2005; Nappi & Lachowsky, 2009).

장애 유병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자의 연령층 별 성기능장애 유병정도를 파악하여 연구결과 간 비교분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경우 성기능 하부영역별 장애 빈도를 보면 성 적욕구장애 48.9%, 성적흥분 장애 56.9%, 질윤활액장애

절정감장애 성만족도장애 그리고 성

40.1%, 37.9%, 39.5%,

교통증37.9%로 성적흥분장애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고

절정감장애와 성교통증이 가장 낮은 빈도를 보였다 이는. 등 의 연구에서 성적욕구장애 성적흥분 Song (2008) 44.0%,

장애49.0%,질윤활액장애37.1%,절정감장애32.0%,성만 족도장애37.0%그리고 성교통증34.6%로 보고하여 성적 흥분장애가 가장 높은 유병정도를 나타내고 절정감장애 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앞에서 논의된 연령층을 고, 려한다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Park, Koo 와 Won(2004)은 여성의 성기능을SFQ (Sexual Function Questionnaire)로 측정한 결과 성 상대자로부터의 자극적 인 접촉이나 애무에 대한 성기능 문항이 다른 성기능 문항 보다 점수가 높게 보고되어 여성의 성반응과 성욕영역에서 배우자의 전희가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Lee(1989)는 여성 의 성생활 불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배우자의 전희 부족을 들면서 여성의 성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희, 가 중요하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성적흥분 문제가 가장. 높은 유병정도를 나타내어 여성은 남편의 자극적인 접촉이 나 애무를 원하지만 남편의 전희부족으로 인해 성적흥분영 역에서 장애 유병정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기혼여성의 성기능은 인구사회 학적인 요소와 건강 관련 특성 부인과적 특성에 따라 유의, 한 차이가 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젊을수록 직업이 있. , , 는 여성이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 , , 교가 있는 여성 월수입이 많을수록, , BMI가 낮을수록 만성, 질병이 없는 여성 폐경전 여성 임신횟수와 출산횟수가 적, , 을수록 성기능 점수가 높게 보고되었고 폐경 상태 분만 횟, 수 만성질병 유무 폐경이행기가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 ,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기 혼여성의 성기능장애를29%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나이가 적을수록 자녀가 적을수, 록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이 있는 여성 월수입이 많을수록, , ,

로 측정한 여성 성기능 점수가 높았다는 연구

SFQ (Park,

와 만성질환이 있고 다출산력을 지닌 Koo, & Won, 2004) ,

여성 폐경후 여성이, FSFI로 측정한 성기능장애와 유의한 부 적상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Safarinejad, 2006)등과 일치 하였다 비만과 여성 성기능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본 연구. , 결과 정상체중 여성이 비만 여성보다 성기능 점수가 높았는 데 이는 비만 및 복부 비만 여성이 정상 체중군에 비해 성기, 능 만족도가 낮았고 성교의 빈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비만 및 복부 비만이 여성 성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 고한 연구결과(Kim, Jo, & Park, 2007)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비추어 보았을 때 연구마다 일치하는 결과

(9)

로 연령 직업 유무 결혼기간 교육수준 종교유무 월수입, , , , , , 만성질환 유무, BMI,폐경유무 임신횟수 출산횟수는 여성, , 성기능과 관련된 요인들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기혼여성의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요 인들이 성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숙지해야 할 것 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피임종류와 호르몬 사용 여부에 따른 성기능 점수는 차이가 없었다. Bae(2004)의 연구에서 호르 몬 사용여부에 따른 성기능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나 피임을 하지 않은 여성이 콘돔 구강, , 피임 또는 루프를 사용한 여성에 비해 성기능 점수가 낮아 본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Bae(2004)의 연구의 경우 피임을 하지 않는 대상자 중 폐경여성이 포함 되었고 폐경전 여성에서 자연피임을 고려하지 않은 점이 있 으므로 피임방법에 대한 성기능 점수 차이는 추후 반복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Hayes등(2008)은 폐경 후 호르몬치료를 받은 여성의 경우 성적흥분 점수가 높다고 하여 본 연구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폐경 후 에스트로겐 제. 제라든지 약한 안드로겐 기능이 있는 약제는 성욕 상승효과 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호르몬 대체요법을 하. 고 있는 여성들이 정확히 어떤 약제를 복용하는지 조사되지 않았다 또한 폐경 후 한 달 동안 성생활을 하지 않았다고 보. 고한50대 여성이 많아 호르몬 대체요법의 유무와 상관없이 성교 횟수가 감소하는 것과50대에서74%의 성기능장애 유 병 정도를 나타내는 것에는 배우자 요인 배우자 친밀감 배( , 우자의 성기능 등 과 대상자의 심리적 요인 우울 신체상) ( , 등 도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추후 배우자 특성과 심리) 적 요인을 함께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sexuality)은 인간의 삶의 질의 중요한 부분이므로 기 혼여성의 성기능 증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 리라 본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여성의 성기능장애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성기능장애로 고통 받고 있는 대상자들로 하여금 만족스러운 성생활을 영위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 관련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전문적 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 정도와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여성 성기능장애 연구에 대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설계는 상관성 조사.

연구이고2008년 월3 20일부터 월 일까지 구조화된 설문9 5 지를 이용하여 자가 보고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372개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57.5%가 성기능장애를 보였으 며 성기능 하부영역별 장애 정도는 성적흥분, (56.9%),성적 욕구(48.9%),질윤활액(40.1%),성적만족도(39.5%),절정 감(37.9%),그리고 성교통증(37.9%)순으로 나타났다 또. 한 나이가 젊을수록 직업이 있는 여성이 결혼기간이 짧을, , 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여성 월수입이 많, , , 을수록 만성 질병이 없는 여성, , BMI가 낮을수록 폐경전 여, 성 임신횟수와 출산횟수가 적을수록 성기능 점수가 높게, 보고되었고 폐경후 상태 분만 횟수 만성질병 유무 폐경, , , 이행기가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기혼여성의 성기능장애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9% .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여성성기능장애의 역학, 조사를 확대하여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 인을 확인하여 성기능 증진과 더불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 관련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셋째 심리사회적인 요인들이 기혼여성의 성기능에 영향, 을 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심리사회적 변수와 배우자 관련 변수를 고려하여 기혼여성 성기능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REFERENCES

Bae, J. (2004). A study on female sexual dysfunction, marital accommodation, depression and crisis in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4), 467-475.

Bassen, R., Berman, J., Burnett, A., Derogatis, L., Ferguson, D., Fourcroy, J., et al. (2000).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n- 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female sexual dys- function: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Journal of Urology, 163, 888-93.

Hayes, R. D., Dennerstein, L., Bennett, C. M., Sidat, M., Gurrin, L. C., & Fairley, C. K. (2008). Risk factors for female sexual dysfunc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Exploring factors associated with low sexual function and sexual distress.

Journal of Sexual Medicine, 5, 1681-1693.

Hayes, R., & Dennerstein, L. (2005). The impact of aging on sexual function and sexual dysfunction in women: A

(10)

review of population based studies. Journal of Sexual Medicine, 2, 317-330.

Kim, H. E., Jo, Y. R., & Park, H. S. (2007).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sexual dysfunction among Korean women.Korean Journal of Obesity, 16(4), 170- 176.

Kim, H. Y., So, H. S., Chae, M. J., & Kim, K. M. (2008). Com- parisons of quality of lif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sexually active or inactive groups of women with mastectom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e, 8(2), 77-85.

Kim, H. Y., So, H. S., Park, K. S., Jeong, S. J., Lee, J. Y., & Ryu, S. B. (2002). Development of the Korean-version of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Korean Journal of Andro- logy, 20(1), 50-56.

Kinsey, A. C., Pomeroy, W. B., Martin, C. E., & Gebhard, P. H.

(1953).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Estimated population of women. Retrieved July 8, 2008, from http://kosis.kr/

nsportal/wnsearch/totalSearch.jsp

Laumann, E. O., Paik, A., & Rosen, R. C. (1999). Sexual dys- function in the United State: Prevalence and predicto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537-544.

Lee, Y. S.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factors and sexual dissatisfaction of Korean urban w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of Korea, Seoul.

Lutfey, K. E., Link, C. L., Rosen, R. C., Wiegel, M., & McKinlay, J. B. (2009).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exual activity and function in women: Results from the Boston area community health (BACH) survey.Archives of Sexual Behavior, 38(4), 514-527.

Nappi, R. E., & Lachowsky, M. (2009). Menopause and sexu- ality: Prevalence of symptoms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Maturitas, 63(2), 138-141.

Park, H. S., Koo, Y. H., & Won, H. S. (2004). Sexual func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women and their predi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4), 505-513.

Ponholzer, A., Roehlich, M., Racz, U., Temml, C., & Laders- bacher, S. (2005). Female sexual dysfunction in a health Austrian cohort: Prevalence and risk factors. European Urology, 47(3), 366-374.

Rosen, R., Brown, C., Heiman, S., Leiblum, S., Meston, C., Shab- sigh, R., et al. (2000).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 multidimensional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asse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6, 191-208.

Safarinejad, M. R. (2006). Female sexual dysfunction in a popula- tion-based study in Iran: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ternationals Journal of Impotence Research, 18(4), 382-395.

Sohn, I. S. (2006). Female sexual dysfunction.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9(10), 2043-2054.

Song, A. H., Jeon, H., Kim, S. W., Paick, J. S., & Son, H. (2008).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female sexual dysfunc- tion in young Korean women: An internet-based survey.

Journal of Sexual Medicine,5, 1694-1701.

Wigel, H., Meston, C., & Rosen, R. (2005).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Cross-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clinical cutoff scores.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31(1), 1-20.

Yoon, H. N., Chung, W. S., Hong, J. Y., Park, Y. Y., You, E. H.,

& Kim, J. H. (2001). Questionnaires based evaluation of sexual activity and sexual dysfunction in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Urology, 42, 102-114.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N =372)
Table 2. Sexual Function Scores of Married Women (N=372)
Table 3. Mean Difference of Female Sexual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N=372) †

참조

관련 문서

Sex,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mother were investigated as demographical variables to determine if there were

In conclusion, Pilates chair exercise is a positive factor in improving skeletal muscle mass among menopausal women's body composition and lower muscles EMG

of functions of stocks (and state variables). Population Net Birth Rate.

 Solution of LTI State Equations.  Solution of Discrete-time

Secondly, when the competitive-state anxiety level of the sailors with different sailing classes were compared, the cognitive, physical anxieties

The effects of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state autonomy, institutional level, and policy network are crucial in accounting for the developmental pathway influencing

To attain the goal, problems in financial function of the state, especially in regard of budget system, will be inspected, problems and solution proposals for the sharing

Peng-Robinson equation of state model with Twu’s alpha function was utilized built-in PRO/II with PROVISION V10.2 for the modeling of refrigeration cycle and c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