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7학년 심화․보충 학습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7학년 심화․보충 학습을 중심으로-"

Copied!
14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 논문

재량활동에서 적용할 과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7학년 심화․보충 학습을 중심으로-

A treatise about Developing 'Programs for Teaching Science' which apply to Discretional Activities.

- Mainly on intensifying or complementary Science program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 리 교 육 전 공

우 윤 식

2 0 0 2

(2)

재량활동에서 적용할 과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7학년 심화․보충 학습을 중심으로-

지 도 교 수 김 창 식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12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 리 교 육 전 공

우 윤 식

(3)

우윤식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2년 12월 7일

심사위원장 김 철 성 (印)

심 사 위 원 김 창 식 (印)

심 사 위 원 윤 성 로 (印)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目 次

논문개요 표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내용---3

제3절 연구의 제한점 ---3

제4절 용어의 정의---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재량활동의 의의 ---5

가. 재량활동 신설의 의의 ---5

나. 재량활동의 성격과 내용---5

제2절 재량활동의 편성․운영---8

가. 교과 재량활동---9

1)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 ---10

2) 선택과목 학습 ---12

나. 창의적 재량활동 ---16

1) 범교과 학습 ---18

2) 자기 주도적 학습---20

제3절 재량활동 평가---22

가. 교과 재량활동의 평가---23

나. 창의적 재량활동의 평가---23

(5)

제3장 연구의 실제

---27

제1절 7학년 과학 학습 계획---27

가. 과학 수업의 실태---27

나. 재량활동의 필요성 ---28

다. 재량활동의 적용 ---28

라.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 평가 ---30

제2절 재량활동에 적용할 단원 개발 ---30

가. 7학년, 8학년 과학 단원의 구성 ---30

나. 재량활동에 적용할 과학 프로그램 개발 ---35

다. 교육 활동 계획---40

라. 단원 전개 계획---42

마. 학습 지도안 ---44

바. 심화․보충 학습지 ---63

사. 학습 자료 ---66

제3절 재량활동의 성과 및 발전 방향 ---111

제4장 결론 및 제언

---112

참고문헌

---115

부록

---117

1. 설문지---117

2. 형성평가지---119

Abstract

---129

(6)

표 목 차

<표 1> 재량활동의 영역별 내용---7

<표 2> 중학교의 재량활동 영역과 수업 시간 수 배당 방식(예시)---9

<표 3> 중학교 교과 재량활동 영역과 수업 시 수 배당 방식(예시)---9

<표 4>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10

<표 5> 편성 사례1 ---12

<표 6> 편성 사례2 ---12

<표 7> 선택 교과 ---13

<표 8> 선택 과목 모두 개설, 2과목 자유 선택(예시) ---14

<표 9> 부분 선택형(1과목 선택) ---14

<표 10> 제한 선택형(2개 과목 선택)---15

<표 11> 필수․선택 혼합형(1개 과목 선택)---15

<표 12> 완전 필수형(1개 과목 선택)---16

<표 13> 창의적 재량활동---16

<표 14> 범교과 학습형---18

<표 15> 부분 선택형(필수 1개, 선택 2개)---19

<표 16> 부분 선택형(학년별 필수 2개, 선택 1개)---19

<표 17> 필수형---20

<표 18> 필수형(학급군 단위 순환 방식) ---20

<표 19> 교과 중심형 ---21

<표 20> 주제 중심형 ---21

<표 21> 학급 중심형 ---22

<표 22> 학급 중심형의 운영 ---22

<표 23> 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입력 예시---25

<표 24> 선택과목 학습 입력 예시---26

<표 25> 창의적 재량활동 입력 예시---26

(7)

<표 26> 학년별 과학수업, 교과 재량활동 수업 시 수---27

<표 27> 7학년 교과 재량활동의 설문 조사---29

<표 28> 과학 심화․보충 학습 평가 예시---30

<표 29> 7학년 과학교과의 단원 구성---31, 32

<표 30> 8학년 과학교과의 단원 구성---33, 34

<표 31> 각 단원별 형성평가 결과 분석---36

<표 32> 7학년 재량활동 심화․보충 학습 개발 이유 ---37, 38, 39

<표 33> 7학년 교육 활동 계획 ---40

<표 34> 8학년 교육 활동 계획 ---41

<표 35> 단원 전개 계획---42, 43

(8)

논문 개요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으로 제6차 교육과정과 크게 다른 점 하나는 재량활동의 신설 및 확대에 있다.

재량활동은 아래 <표>와 같이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나누고 교과 재량활동은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과 선택과목 학습, 그리고 창의적 재량활동은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분류한다.

<표> 재량활동

본 연구는 교과 재량활동에 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10개의 기본교과(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기술․

가정, 영어) 중 과학 과목이 심화․보충 학습에 포함되고, 심화․보충 학습은 정규 수업시간에 다룰 수 없었던 것을 재량활동 시간에 깊이있게, 자세하게 다룰 수 있음으로써 교과 시간의 수업을 보완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래서 교과 재량활동에 과학 교과 심화․보충 학습은 정규 교과 시간에 배 운 내용의 학업 성취도를 검사하여 잘 이해하고 어느 기준에 도달한 학생은 좀더 심화하는 학습(심화 학습), 잘 이해를 못하고 어느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은 좀더 보충하는 학습(보충 학습)을 실시한다. 물론 정규 과학 수업은 심 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기본과정은 학급 전체가 배우는 국가 교육과 정에 제시된 기본 학습 내용을, 심화과정은 일정 기준 이상의 성취를 보인 학 생이 배우는 기본과정보다 심화된 내용, 그리고 보충과정은 일정 기준에 미달 된 학생이 배우는 기본과정보다 쉬운 내용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다.

재량활동

교과 재량활동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 선택과목 학습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

(9)

재량활동에서 과학 심화․보충 학습의 주제는 원칙적으로 담당교사가 공동으 로 선정하고 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활용하되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 습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재량활동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다양화 시대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능력과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학교나 지역사회 의 실정, 교원․학생․학부모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되, 학교의 독특한 교육 적인 문화 풍토에 알맞게 창의적인 교육활동을 다양하고 특색있게 운영함으로 써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인간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2001학년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1학년이 7학년 으로 바뀌었고, 재량활동으로 과학 심화․보충 학습을 실시하여 어느 정도의 정규 과학 수업시간을 보완하고 있다. 어떤 특별한 내용이나 교재가 없는 실 정이므로 조금은 난해하지만 학교 현장에 맞게, 학생의 수준에 맞게 적합한 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또는 과학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즐겁 고 재미있는 재량활동의 시간이 되도록 해서 과학에 흥미를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과학 교과서도 새롭게 나왔는데 내용을 파악하 면 많은 탐구 및 실험, 각 단원이 끝날 때마다 보충활동, 심화활동 그리고 읽을거리 등 활동위주로 되어 있어서 내용의 양이 적지 않다. 그리고 주당 수 업 시 수가 한 시간 줄어서 3시간 수업을 하니까 정규 과학교과 시간의 수업 이 벅차다. 그래서 재량활동에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으로 과학교과를 선 택하여 실시하게 되었는데 본 연구는 7학년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각 단원 이 끝날 때마다 학생들의 이해도, 학업 성취도를 검사하여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을 구성하였고,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을 실시함에 있어서 꼭 필요한 학 습지도안과 심화 학습지 및 보충학습지, 그리고 학습 자료의 과학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하였다.

재량활동에 과학 심화․보충 학습의 방법은 탐구수업, 실험수업, 관찰수업,

(10)

둠조 별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에게 협동심과 자신감을 갖게 하고 과학적 태 도와 사고력을 갖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 다른 학습의 방법으로 자기 주 도적인 학습, 다양하게 제시된 과제 중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과제 선택 학습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중학교 7학년 과학 교과서의 1단원, 지구의 구조에서 심 화 학습과 보충 학습. 2단원, 빛에서 심화 학습. 3단원, 지각의 물질에서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4단원,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서 보충 학습. 5단원, 분자의 운동에서 보충 학습. 6단원, 생물의 구성에서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7단원, 상태 변화와 에너지에서 보충 학습. 8단원, 소화와 순환에서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9단원, 호흡과 배설에서 심화 학습. 10단원, 힘에서 심화 학습과 보충 학 습. 11단원, 해수의 성분과 운동에서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12단원, 파동에서 보충 학습을 실시하였다. 각 단원별 1개 이상의 심화 학습 또는 보충 학습을 고르게 실시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의 각 단원별 학업성취도에 따라서 단원별 심화 학습 또는 보충 학습을 실시할 수가 있고,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부록에 설문조사와 단원별 심화 학습, 보충 학습 실시 여부에 참고가 될 형성평가 문제를 실었고, 특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동안의 재량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 앞으로 학습에 반영하여 훌륭한 재량활동 시 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재량활동은 중학교 7학년, 8학년 학생 모두에게 적용, 실시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7학년의 심화․보충 학습을 중심으로 재량활동에서 적용할 과학 프 로그램 개발로써 교육의 주체인 현장의 교사들에게 조금이나마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11)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중의 하나는 재량 활동을 확대․신설하여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설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교육과정의 편제를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에 재량 활동을 포함시키고, 수업 시간 수와 적용 범 위, 활동 내용 등을 대폭 확대하였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재량 활동’이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서 중 요한 위치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제 교육 실천 현장인 각 학교에서 신설된

‘재량 활동’의 교육과정과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편성하여, 어떻게 운영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학교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원래 재량활동 은 제6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설정된 초등학교의 학 교 재량 시간 이 재량활동 으로 그 명칭이 바뀐 것이다. 학교 재량 시 간 은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에 관한 기준의 설정과 운영을 학교에 일임한 것으로서, 학교 재량 시간 을 통하여 지역 및 학교 의 특수성과 학습자의 요구 및 필요 등에 보다 부합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촉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개선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에 비해 정규 교과 수업 시 수 가 전반적으로 감축되었다. 이는 기존의 학교 교육이 관행적으로 교과 교육의 틀 안에서만 이루어 온 관행을 깨고 교과활동 범위 외의 유의미한 학습 경험 에 대한 요구를 별도로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줄어든 수업 시 수로 인 해 요구되는 교과활동에 대한 심화나 보충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주었다.

재량활동은 또 여러 가지로 세분화되는데 본 연구는 교과 재량활동에 기본교 과의 심화․보충 학습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0개의 기본교과(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기술․가정, -1-

(12)

영어) 중 과학과목이 심화․보충 학습에 포함되고, 심화․보충 학습은 정규 수업시간에 다룰 수 없었던 것을 재량활동 시간에 깊이있게, 자세하게 다룰 수 있음으로써 교과 시간의 수업을 보완하거나 심화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신 설된 것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1)

수준별 편성이 효과적인 교과의 경우 수준별로 편성할 수는 있으나 모든 과 목을 수준별로 실시하는 것은 아니며, 정규 시간에 이루어지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과는 구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과 재량활동에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되어야 한다.

다가오는 미래 사회는 탐구심, 인내심, 그리고 끊임없이 배우려는 개방적인 자세 등의 인간 특성이 요구된다. 과거의 교육 관행이었던 교사나 학부모들에 의하여 이미 알려진 지식을 학습자에게 전수하고 이를 수동적으로 이해하고 소화시키던 주입식 교육은 점차적으로 그 가치를 잃게 된다. 미래의 중요한 교육의 목적은 탐구하는 태도와 기술을 길러 주고 스스로 새로운 정보와 자원 을 찾아 나서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교과 재량활동의 과학 심화․보충 학습 시간에 활용할 학습 지도안과 심화․보충 학습지 및 학습 자료를 알아보며, 2001학년도부터 실시 된 중학교 7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그래서 현장 교사들과 과학교육의 전공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 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1.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 특히 교과 재량활동에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 을 분석한다.

2. 재량활동의 심화․보충 학습 시간에 적용될 교육 활동 계획, 단원 전개 계획, 학습 지도안 등을 제시한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서울특별시교육청, 제7차 교육과정의 이해(2000년 동계 연수자료), 2000

(13)

3. 특히 중학교 7학년 과학 심화․보충 학습 시간에 활용할 심화․보충 학습지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수업에 참고 자료로 삼고자 한다.

4. 기타 과학 심화․보충 학습 시간에 활용할 유익한 여러 프로그램 개발에 그 목적을 둔다.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내용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관한 서적, 단행본 교과서, 연구보고서 및 연구 논문, 인터넷 사이트, 과학잡지와 신문, 과학기관 및 단체에 방문 열람 등으로 학습 자료를 수집하여 재량활동을 구성하였고, 특히 중학교 7학년 과학 교과 서에서 각 단원별 심화 학습지 또는 보충 학습지를 만들었다.

그래서 2001학년도 중학교 7학년 학생들에게 이를 적용하여 재량활동에 과학 심화․보충 학습을 실시하였다.

1. 재량활동의 의의, 중요성, 운영, 평가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2. 재량활동에 적용할 과학 프로그램으로 학습 지도안, 심화 학습지, 보충 학 습지 및 학습 자료를 제시한다.

3. 재량활동의 과학 심화․보충 학습 실시에 따른 성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 등을 제시한다.

제3절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는 재량활동 중 교과 재량활동에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만을 다루고 기본교과는 과학교과에 국한한다

2. 재량활동에서 사용될 과학 프로그램은 학습지도안, 심화․보충 학습지 및 학습 자료로 하고 이것은 연구자의 개발에 한가지 일 뿐이다.

3.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특별시 소재 수유중학교에 재학 중인 7학년의 학생 으로 하였다.

(14)

4.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내용은 표준화 된 것이 아니고 연구자의 주관 에 의해 작성되었으므로 타당성과 객관성의 한계를 가진다.

5.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과학 교과서는 7종이 있는데 이 중에서 임의의 교 과서를 채택하였고, 그래서 각 단원별 심화․보충 학습의 내용이 다소 차이 가 있을 수 있다.

제4절 용어의 정의

1. 재량활동 : 초등학교의 학교 재량 시간 이라는 용어가 재량활동 이 라는 용어로 바뀌었고, 재량활동은 학교, 교사, 학생들이 자유롭게 전개하는 활동을 위한 시간이며, 약간의 제한 사항 외에는 지역과 학교의 여건과 필 요를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2. 심화 학습 : 기본 과정의 교육 목표를 달성한 학생들, 대체로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이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과정이고, 기본 과정보다 좀 심화된 내용으로 구성하여 학습한다.

3. 보충 학습 : 기본 과정의 교육 목표를 도달하지 못한 학생들, 대체로 학업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이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과정이고, 기본 과정보 다 좀 쉬운 내용으로 구성하여 학습한다.

4. 자기 주도적 학습 : 한가지의 학습 과제를 이수함에 있어서 학습자가 그 과제의 선택으로부터 학습 계획의 수립과 시행 및 그 과정과 결과의 평가에 이르기까지 주도적인 입장에 서서 교사나 다른 자원 인사들의 도움을 구하 면서 학습 활동을 수행해 나가는 학습 활동을 의미한다.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2) 교육인적자원부,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2001, p.35

(15)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재량활동의 의의 가. 재량활동 신설의 의의

재량활동은 학교, 교사, 학생들이 자유롭게 전개하는 활동을 위한 시간이 며, 약간의 제한 사항 외에는 지역과 학교의 여건과 필요를 고려하여 자율 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 의의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볼 수 있다.

1) 학교와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이다.

2) 교육 내용에 대한 학생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3) 심화․보충이 필요한 교과에 추가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데 있다.

4) 하나의 개별 교과를 통해 달성하기 어려운 범교과적 학습 주제를 공부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5) 정보화 시대, 지식 폭발의 시대에 필요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 과 다양한 요구․흥미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나. 재량활동의 성격과 내용 1) 재량활동의 성격

재량활동은 교육과정 운영의 분권화, 자율화, 지역화, 내용의 적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고 있다.

가) 재량활동은 교과 및 특별활동과 상호 보완적 기능을 갖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은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세 영역으로 편제되어 있어 서 학교에서의 의도된 교육은 이 세 영역을 통해 주로 이루어진다. 교과 활동은 주로 개념이나 원리 또는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인지적 학습이 중심 을 이루고 있는데 반하여, 특별활동은 이를 자율적이고 구체적으로 적용 해 보는 태도와 기능의 학습을 강조한다. 그러나 재량활동은 직접적인 체 험 학습은 물론, 국민 공통 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을 통해 인지적

(16)

학습, 태도 및 기능 학습 모두를 강조하고 있다.

나) 재량활동은 지역사회와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필요, 학생의 요구에 따 른 교육을 전개하기 위한 자율적 교육활동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은 단위 학교가 나름대로 창의적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한 편제로 설정하고 있으며, 지역 및 학교의 여 건,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과 요구에 따라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프로그램 을 편성하고 운영하는데 그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다) 재량활동에서는 범교과 학습 및 자기 주도적 학습과 같은 창의적 재량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재량활동은 21세기에 본격적으로 전개될 지식 정보화 사회 및 열린 학습 사회에 대응하는 대비 교육 으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그에 따라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화되어 학생들의 평생 학습력과 수 행 능력을 신장시켜 주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2) 재량활동의 내용3)

재량활동은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나뉘고, 교과 재량활 동은 다시 선택과목 학습과 국민공통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으로, 창 의적 재량활동은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나뉜다. 참고로 초 등 학교의 경우에는 선택과목 학습이 없고,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선택과 목 학습을 위해서는 선택중심 교육과정(고 2, 3)의 선택 과목 중에서 선택 하여 학습하게 되어 있다.

교과 재량활동 중 국민공통기본교과의 심화․보충에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기술․가정, 외국어(영어) 등 10개 기본교과 에 필요한 심화․보충 학습을 실시할 수 있다. 교과 재량활동 중 선택과 목 학습에는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서울특별시교육청, 제7차 교육과정의 이해, 2000, p.77

(17)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다. 그 외 개 설이 필요한 교과는 서울시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서울특별시 교육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배당된 창의적 재량활동의 하위 영역인 범교과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는 민주 시민 교육, 인성 교육, 환경 교육, 경제 교육, 에너지 교육, 근로 정신 함양 교육, 보건 교육, 안전 교육, 성교육, 소비자 교육, 진로 교육, 통일 교육, 한국 문화 정체성 교육, 국제 이해 교육, 해양 교육, 정보화 및 정보 윤리 교육 등을 열거하고 있으며, 그밖에 학교 재량으로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다. 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1> 재량활동의 영역별 내용

-7- 영역 하위 영역

교과목 혹은 활동 주제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 고 1

교과 재량 활동

선택과목 학습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외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 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기타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선택과목 학 습(실업계는 전문교과 대체 가능)

기본교과 심화․보충

10개 기본교과(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기 술․가정, 영어)의 심화․보충

창의 적 재량 활동

범교과 학습

민주 시민 교육, 인성 교육, 환경 교육, 경제 교육, 에너지 교육, 근 로 정신 함양 교육, 보건 교육, 안전 교육, 성 교육, 소비자 교육, 진로 교육, 통일 교육, 한국 문화 정체성 교육, 국제 이해 교육, 해 양 교육, 정보화 및 정보 윤리 교육, 기타 프로그램

자기주도적

학습 ※ 아래 참조

(18)

※ 자기 주도적 학습 예시 : 교육과정에 제시된 예시는 없으나 다음과 같은 활동이 가능함.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주제 탐구활동-교과와 연계한 탐구 주제, 생활과 연계된 주제 ․프로젝트 학습

․자유연구

․소집단 공동 연구 ․체험학습

․학교행사 관련 활동 ․학교 특수시책 구현 활동 ․특정 영역학습

․지역 행사 관련 활동

․학교장, 교사, 학생이 만든 특별교육 프로그램 등 ․기타 자율적 교육 활동

제2절 재량활동의 편성․운영

교과 재량 활동은 선택 과목의 학습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 습에 역점을 두고, 창의적 재량 활동은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필요, 학생의 요 구 등에 따른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초점을 두어 운영하여야 한 다.

중학교의 재량 활동은 전 학년 연간 136시간 배당되어 있으며, 교과의 심 화․보충 학습이나 선택 교과 학습이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촉진시 키기 위한 창의적 재량 활동보다 3배나 많은 연간 102시간이 배당되어 있다.

이는 초등학교에서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보다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 력을 촉진시키기 위한 창의적 재량 활동이 더 강조되고 있는 것과는 상황이 매우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재량 활동을 운영함에 있어서는

(19)

주제 탐구, 소집단 공동 연구,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등 자기 주도적 학습과 통합적인 범교과 학습 영역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학교와 교사, 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편성하여 운영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표 2> 중학교의 재량활동 영역과 수업 시간 수 배당 방식(예시)

시간 배당 안

내 용 1안 2안 3안 4안

교과 재량 활동 (102 시간 )

선택 과목 학습 102 68 34 주 단위 운영 방식의 탈피 (예: 80시간은 기본 교과, 22시간은 선택)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0 34 68

창의적 재량 활동 (34시간)

범교과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 34 34 34 범교과 중심 자기 주도적 중심

가. 교과 재량활동

교과 재량활동을 편성․운영할 때에는 학생 중심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 릴 수 있도록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식으로 편성․운 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 중학교 교과 재량활동 영역과 수업 시 수 배당 방식(예시)

1안의 경우는 전적으로 선택 과목만 다루는 것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7차 교육과정 개정에서 교과의 수를 줄이고 학습 부담을 감축하려는 의도를 살 리기 어렵다.

현실적으로는 2안과 같이 선택 과목을 중심으로 하거나 3안과 같이 국민 공통 기본교과를 중심으로 할 가능성이 많으며 이와 같은 시간 배당 안은 학년별로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9- 시간 배당 안

내 용 1안 2안 3안 4안

교과 재량활동 (102시간 이상)

선택 과목학습 102 68 34 주단위 운영 방식의 탈피 (예, 80시간은 기본교과,

22시간은 선택) 기본교과의

심화․보충학습 0 34 68

(20)

4안은 좀 더 자유롭고 다양한 시 수 배정에 의한 운영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 단위만 운영하도록 되어 있지 않고 좀더 자유롭게 시간을 운영 하도록 되어 있다.

국민 공통 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에 있어서는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교과를 포함한 10개의 기본교과 가운데서 선택하여 심화․보충할 수 있도 록 되어 있으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교과에 편중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중학교의 선택 과목은 가능하면 2개 이상의 과목을 개설하고 학생이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선택 과목의 수와 심화․보충하는 기본 교과 의 수는 학급의 크기나 편성․운영의 모습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중학교의 교과 재량 활동 시간 배당 방식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재량 활동의 하위 영역과 시간 배당, 활동 주제, 활동 집단 편 성 등 변인들의 조합 방식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재량 활동 시간 운영이 다양하게 구상될 수 있다.

1)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은 학생의 선택권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나 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표 4> 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개설

교과의 수 학생 선택 필수 여부 비고

10개 교과 전부 개설

완전 선택 비필수 필수 지정은 없으며, 선택 범위 최대 부분 선택 부분 필수 부분 필수이며, 그 외 교과에서의 선택 범위는 넓은 편임

일부 개설

제한된 범위에서

의 완전 선택 비필수 필수로 지정하지는 않으나, 선택 범위는 다 소 제한됨

제한된 범위에서

의 부분 선택 부분 필수 부분 필수이며, 선택 범위도 제한 비선택 완전 필수 완전 필수이며, 선택 여지가 없음

(21)

교과 재량 활동에서는 우선 시간 배당에서부터 학생의 선택권이 발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로 선택 교과의 수업 시간 수를 34시간으로 하는가, 68 시간으로 하는가에 따라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시간은 68시간 또는 34시간으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철저하게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정신을 살린 다면, 학생에 따라 34시간, 혹은 68시간으로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주 단위 수업의 틀에서 벗어나면 이보다 더 다양한 선택이 가능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선택 교과 17시간에 기본 교과 보충․심화 학습 85시간으로 구 성하거나 기본 교과 보충․심화 학습 17시간에 선택 교과 85시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가) 국민공통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은 교과와 시간 배당을 국가 수준 에서 결정하는 중앙집권적 결정 구조의 결점을 보완하여 지역과 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장의 판단 하에 교육과정상의 부족된 교 과를 보충․심화하는 시간을 제공하고자 설정된 하위 영역이다.4)

나) 과목 개설에 있어서는 학생의 요구와 교사의 수업 시 수 등을 고려하여 10개의 기본교과 중에서 선정하여 개설하되,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교과(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에 편중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 한 교과의 심화․보충 총 이수 시간이 학생이 3개 학년을 이수하는 동 안 34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라) 보충/심화 집단의 편성은 학생의 학업 성취도나 학교의 학급 편성 여건 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각각 나름대 로의 어려움이 있다.

첫째. 보충/심화를 위한 새로운 반을 편성하는 방법

둘째. 2-5개의 학급을 묶어 학급군을 설정하고 이동(식) 수업을 하는 방법 셋째. 학급 내 보충/심화 분단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방법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 서울특별시성북교육청, 실천중심장학자료, 2000 -11-

(22)

<표 5> 편성 사례 1

<표 6> 편성 사례 2

2) 선택과목 학습

우선 국가 수준의 지침에서 재량 활동의 수업 시간 수를 선택 과목에 우선 배당하도록 되어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 과목에 배당된 시간은 연간 34시간 또는 68시간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철저하게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추구한다면, 학생에 따라 선택 과목을 이수하는 시간이 34시간 혹은 68시간으로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선택 과목 학습에서도 학습자의 선 택권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교과 재량 활동 102시간 이상을 사용할 때, 선택 과목에 먼저 배정하라는 국가 수준 과정의 지침이 있으므로, 선택 과목 학습에 배당되는 시간은 Ⅰ형 (34시간), Ⅱ형(68시간), 그리고 Ⅲ형(102시간)이 가능하다. 이것을 다시 학생 의 선택권을 중심으로 ‘완전 선택형’, ‘제한 선택형’, ‘제한된 범위의 완전 선 택’, ‘제한된 범위의 부분 선택’, 그리고 ‘필수형’의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역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에 선택 과목을 개설할 경우,

배정

시간 과목 개설 형태 학생 선택 집단 편성 시간 운영 교사

배정 비 고

주당 2시간

모든 교과를 개설 교과군1 :국,도,사,음,미 교과군2 :수,과,기,체,영

한 교과군 에 1과목씩 2과목 선택

선택 학습반

정일제 ( 교 과 군 별 로 월, 목요 일)

교과 교사

전 교과 교 사의 협조 가 필요

배정 시간

과목개설

형태 학생 선택 집단

편성 시간 운영

교사

배정 비 고 주당

2시간

수학,국어, 영어,과학 을 개설

수학(1)은 필수 학급 정시제 교과 교사

수학은 교과 시간에 정시 운영하 고, 국어, 영어, 과학은 특정 요일 의 특정 시간에 고정하여 운영함 국어(1), 영어(1),

과학(1) 중 택 1 이동 수업정일제

(23)

학교는 2개 이상의 과목을 동시에 개설해야 한다는 규정을 두어 학생의 선택 권을 보장하기에 필수형은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5)

<표 7> 선택교과

개설 과목의 수 학생의 선택 필수 여부 비고

4개 과목 전부 개설

자유 선택형(34/68) 비필수 필수로 지정하지 않으며, 선택 범 위가 최대(1-2개 선택)

부분 선택형(68) 부분 필수 그 외 교과에서 선택

1개 필수이며, 3개 과목 가운데 1 개 선택(선택 범위가 넓은 편임)

2개 혹은 3개 과목 개설

제한 선택형(34/68) 비필수 2-3개 가운데서 1-2개 선택 제한 선택형(68) 부분 필수 1개

그 외 교과에서 선택

필수 지정 과목 1개

나머지 1-2개 가운데서 1개 선택 1개 혹은 2개

과목 개설 필수형(34/68) 완전 필수 선택 여지가 전혀 없음

*( ) 속의 숫자는 수업 시 수임.

가) 자유 선택형

자유 선택형은 선택 과목 학습에 배당된 시간이 Ⅰ형(34시간)이든, Ⅱ형(68 시간)이든, Ⅲ형(102시간)이든 상관없이 4개의 선택 과목을 모두 개설하고 학 생들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인 점에서 가장 학 습자 중심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현실적인 면에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 다. 교사 수급 문제와 교실 사정 등의 교육 여건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으 며, 외부 강사에 의존할 경우 보수와 관련된 예산 문제와 교원 문제가 따른다.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5)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의 개요, 2001

6)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재량활동 실천사례 개발, 교 육정책 연구논문, 2000

(24)

<표 8> 선택 과목 모두 개설, 2과목 자유 선택(예시)

유형 과목 개설 형태 학생 선택 편성

형식

시간

운영 교 재 지도 교사

Ⅱ (68)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 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기 타 등 선택 과목 모두 개설

학 생 들 의 자 유 로 운 선택(2과목 선택)

학년

통합 격주제

학교 자체 제작

교과 교사

나) 부분 선택형

68시간으로 할 경우 34시간은 4과목 가운데 필수로 한 과목을 이수하게 하 고, 나머지 34시간에는 필수로 지정된 과목을 제외한 3개 과목 가운데 학생 들이 선택하게 된다. 부분 필수이기는 하나, 선택 범위가 넓다는 점에서 학생 의 선택권을 중시하는 모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표 9> 부분 선택형(1과목 선택)

유형 과목 개설 형태 학생 선택 편성

형식

시간

운영 교 재 지도 교사

Ⅱ (68)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 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 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 어, 아랍어), 기타 등 선택 과 목 모두 개설

개설 과목 내에 서 학생들의 자 유로운 선택(1 개 과목)

학년

통합 격주제

학교 자체 제작

교과 교사

다) 제한 선택형

교사 수급, 학생 수요 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4개 가운데 일부(2-3개)만 개설 하고, 그 범위 내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유롭게 1개를 선택하게 하는 제한 된 범위내의 자유 선택형이다.

(25)

<표 10> 제한 선택형(2개 과목 선택) 유

형 과목 개설 형태 학생 선택 편성

형식

시간

운영 교 재 지도 교사

Ⅱ (68)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 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선택 과목 일부 개설

2개 교과목을 자유롭게 선택

학년

통합 격주제 학교 자체 제작

교과 교사

라) 필수․선택 혼합형7)

교사 수급, 학생의 요구 등 현실적인 문제로 일부(2-3개)만 개설하고, 1개를 필수로, 나머지는 학생이 선택하는 식의 제한된 범위에서의 선택이다.

<표 11> 필수․선택 혼합형(1개 과목 선택)

유형 과목 개설 형태 학생 선택 편성

형식

시간

운영 교 재 지도 교사

Ⅱ (68)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 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선 택 과목 일부 개설

개설 과목 내에서 학생들의 자유로운 선택(1개 과목)

학년 통합

격주 제

학교 자체 제작

교과 교사

마) 필수형

전적으로 학교가 선택 과목을 지정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필수로 이수하게 하는 방안이다. 학교로서는 가장 손쉬운 방식이지만, 학생들의 필요와 요구에 따른 자율적인 선택을 전적으로 배제한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물론 국가 수 준의 교육과정에서는 2개 이상의 과목을 동시에 개설하여 학습자의 선택권을 보장해 주도록 되어 있으나, 소규모 학교이거나 학교 여건이 어려운 상황에 서는 불가피한 방안이다. 이 경우 수업 시간 수는 34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7)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재량활동 실천사례 개발, 교육정책연구 논문, 2000

(26)

<표 12> 완전 필수형(1개 과목 선택)

유형 과목 개설 형태 학생 선택 편성

형식

시간

운영 교 재 지도 교사

Ⅰ (34)

․한문(1), 컴퓨터(1) 2과목 필수

학교가 선택(1개 과목)

학년 통합

격주 제

학교 자체 제작

교과 교사

나. 창의적 재량활동

제 7차 교육과정 지침에 의하면 창의적 재량 활동은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 도적 학습을 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 편성․운영에 있어서는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분리하여 운영할 수도 있고, 통합하여 운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창의적 재량 활동에서는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 학습 외에도 학교가 자율 적으로 실시하고자 하는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할 수 있다. 그러나 범교과 학 습과 자기 주도 학습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면, 시간 배당 방식은 1 : 1식의 균분형과 비균분형으로서, 범교과 중심형과 자기 주도 학습 중심형으로 나누 어 볼 수 있으며, 양자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통합형도 있을 수 있다.

<표 13> 창의적 재량활동

영 역 유 형 특 성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중심형 학생의 희망에 따른 범교과 학습 프로그램 개설 자기 주도 학습 중심형 학생의 희망을 고려하여 주제 탐구반 개설 범교과ㆍ자기 주도적 학습

통합형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합하여 34-68시간으로 운영

창의적 재량 활동은 초등학교의 경우 68시간, 중학교의 경우 34시간, 고등학 교는 2단위(34시간)를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활동의 선택, 시간의 배정과 운 영 형태, 활동 집단의 편성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운영 방안이 있을 수 있

(27)

다. 교과 재량 활동에 비해 배당된 단위 수는 적으나, 활동의 주제가 많고 다 양해서 운영의 형태는 교과 재량 활동보다 더 다양할 것으로 예상된다. 창의 적 재량활동을 다양하게 편성․운영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구 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내용 선택과 관련하여 창의적 재량 활동은 범교과 학습 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하거나 자기 주도적 학습 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두 프로그램을 균형 있게 운영할 수도 있으며, 상호 통합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둘째, 주제 설정과 관련하여 창의적 재량 활동은 연간 계획 속에 여러 개의 학습 영역이나 주제를 다루는 경우도 있고, 한두 개의 학습 영역이나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셋째, 시간 운영과 관련하여 창의적 재량 활동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운 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일제, 전일제, 격주제, 집중제 등의 운영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이들 형태를 조합한 새로운 형태도 가능하다. 정일제는 매주 같은 요일에 실시하는 것을 말하며, 전일제는 특정한 시기에 온 종일 실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집중제는 동계나 하계, 또는 학년초나 학년말 등 특 정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운영하는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여름철에 ‘해양 교육’을 실시하거나, 학년말에 ‘진로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넷째, 학습 집단 편성과 관련하여 창의적 재량 활동은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학급 단위로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하는 형태, 학급 내에 구성된 소집 단이 활동의 단위가 되도록 하는 형태, 학년 전체 학생을 활동의 단위가 되 도록 하는 형태 등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섯째, 교과 및 특별 활동 교육과정과의 연계와 관련하여 범교과 학습 및 자 기 주도적 학습은 교과 및 특별 활동 교육과정과 다루는 내용이나 방법에 있 어서 연계될 수밖에 없으며, 학교에 따라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주제를 교과 별로 제시하는 등 긴밀하게 연계시켜 창의적 재량 활동을 운영할 수도 있다.

(28)

1) 범교과 학습

범교과 학습은 교과간의 범위를 넘어선 통합 교육 과정으로서 교과 학습 외 에 재량활동, 특별 활동을 포함하여 학교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교육 활동을 의미한다. 범교과 학습에는 인성 교육, 경제 교육, 통일 교육, 환경 교육, 성 교육, 진로 교육 등 다양한 영역들이 있는데, 이러한 영역들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요구하기 때문에 특정한 교과에서 독점 내용으로 구성할 수 없으며, 학교 교육 전반에 걸쳐 다루어져야 한다.8)

<표 14> 범교과 학습형 학교의 범교과

학습 프로그램 개설 정도

학생의 선택

(개설 범위내에서의) 필수 여부 비 고 기초 조사에 의

거, 학교가 결정 하여 일부 개설

자유 선택형 비필수 선택 범위가 최대

부분 선택형 부분 필수 필수로 지정한 나머지 프로그램 가운데서 선택

필수형 완전 필수 선택 여지가 전혀 없음

가) 자유 선택형

범교과 학습의 주제는 학교에서 필요하고 가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자유롭 게 개설할 수 있으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자유 선택형이라고 하기 어렵다.

나) 부분 선택형

가능한 모든 범교과 학습 주제 중에서 교사 수급, 학생 수요 등을 고려하여 <표 15>, <표 16>과 같이 일정한 수의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개설하고, 이 상 태에서 학생들의 자유로운 선택을 보장하는 방안이다. 부분적으로 필수이기 는 하나, 선택이 허용된다는 점에서 학생의 선택권이 중시된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7차 교육과정 정착을 위한 초․중학교 교육과정 실천 방안 연구, 2001

-18-

(29)

<표 15> 부분 선택형(필수 1개, 선택 2개)9) 배당

시간

주제 개설 형태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교사 비 고

필수 선택(택 2)

21 성교육 (7)

민주 시민 교육(7), 인성 교육 (7), 환경 교육(7), 안전 교육(7), 소비자 교육(7), 통일 교육(7)

학년

통합 정시제 유관 교과 담당 교사

주제지정 2개 선택

<표 16> 부분 선택형(학년별 필수 2개, 선택 1개)

배당 시간

주제 개설 형태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구 분 1∼3반 4∼6반 7∼9반 10∼12반 교사

24

1학년 인성 교육(6) 진로 교육(6) 보건 교육(6) 경제 교육(6)

학년별 정시제 유관 교과 담당 교사 2학년 성교육(6) 통일 교육(6) 안전 교육(6) 에너지 교육(6)

3학년 소비자 교육(6)민주 시민 교육

(6) 환경 교육(6) 근로 정신 함양 교육(6)

※ 주제는 학교 실정에 맞게 설정 개설

다) 필수형

범교과 학습 영역을 학교에서 지정하여 필수로 이수하게 하는 방안이다. 이 것은 <표 17>과 같이 가장 단순한 방식이지만, 학생들의 필요와 요구에 따른 자율적인 선택을 전적으로 배제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물론 보기 에 따라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 학교와 지역 사회의 현실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였다는 점에서 그것은 어느 정도 선택적으로 이루어진 것으 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소규모 중학교이거나 학교의 여건이 불리한 상황에서는 불가피한 방안이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9) 교육인적자원부,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2001, P.33 -19-

(30)

<표 17> 필수형 배당

시간 학년

주제 개설 형태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교사 1학기 필수 2학기 필수

16

1 통일 교육(8) 성교육(8)

학년별 정시제 유관 교과 담당 교사 2 인성 교육(8) 경제 교육(8)

3 국제 이해 교육(8) 진로 교육(8)

<표 18> 필수형(학급군 단위 순환 방식)

배당 시간

주제 개설 형태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구 분 1∼3반 4∼6반 7∼9반 10∼12반 교사

24

1학년 인성 교육(6) 진로 교육(6) 보건 교육(6) 경제 교육(6)

학년별 정시제 유관 교과 담당 교사 2학년 성교육(6) 통일 교육(6) 안전 교육(6) 에너지 교육(6)

3학년 소비자 교육(6)민주 시민 교육

(6) 환경 교육(6) 근로 정신 함양 교육(6)

※ 주제는 학교 실정에 맞게 설정 개설

2) 자기 주도적 학습

창의적 재량 활동 중 자기 주도적 학습은 국가 수준에서 예시한 주제가 없 으므로 주제 탐구 학습, 소집단 공동 연구, 자연 혹은 현장 체험 학습 등 다 양한 프로그램을 학교와 교사, 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운영한다.

자기 주도 학습 시간은 어떤 주제를 어떻게 다루는가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편성할 수 있으며, 성격상 학생에게 주제 선택권을 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러나 학년, 학급 혹은 편성 집단별로 큰 주제는 지정하여 주고 그 안에서 작고 구체적인 주제를 학생 스스로 설정하도록 하는 방안도 있을 것이다.

(31)

가) 교과 중심 편성형

활동 집단을 학생의 희망에 따라 교과별로 재편성하고, 관련 교과의 교사들 이 담당하여 진행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교사의 전문성을 살리는 동시에 학 생의 희망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희망 하는 교과가 없을 수도 있을 것이며, 학생들의 선택이 편중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교사들의 업무 부담의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표 19> 교과 중심형 배당

시간 주 제 개 설 형 태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교사 18

국어반(3개), 수학반(2개), 영어반(2개), 과학반(2 개), 사회반(1개), 음악반(1개), 컴퓨터반(1개), 예 절반(1개) 등에서 학생의 희망에 의거하여 편성

학년별 정시제 교과 교사

나) 주제 중심형

수요 조사를 통해 활동 반을 편성하고 학생 집단을 재편성하는 방법이다.

활동 주제가 교과에 얽매이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형태이다. <표 20>

은 활동 주제가 교과의 범위에 국한되지 않아서 교과 수업에서 다루기 어려 운 학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학생 집단 편성 은 특별 활동의 계발 활동을 위한 집단 편성 방식과 유사하게 요구 조사를 통하여 활동 계획안을 편성한다.

<표 20> 주제 중심형 배당

시간 주제 개설 방식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교사

34 탐구 주제별 수요 조사→ 탐구반 개 설→탐구반별 지도 교사 배치

학년별

학년 통합 정시제 담당 교사 다) 학급 중심형

기존의 학급을 활동 집단으로 하는 형태로서, 활동의 주체가 굳이 집단 재

(32)

편성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학교 실정, 교사 수급 여건을 감안하여 이미 편 성된 학급을 중심으로 활동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지도 교사는 담임 교사나 학급별로 확보한 외부 강사(지역 사회 인사, 학부모 등)일 수도 있지 만, 주제와 관련이 있는 교과의 교사가 반을 순환하며 지도할 수도 있다.

<표 21> 학급 중심형 배당

시간

범교과 학습 주제 개설 형태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구 분 범교과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교사

34

1∼3반 인성 교육 주제 탐구 소집단

공동 연구독서 방법현장 체험 학습

학년 단위

정 시 제

유관 주제 담당 교사, 담임 교사, 지역 인사 4∼6반 성교육 현장 체험

학습 주제 탐구 소집단

공동 연구독서 방법 7∼9반 소비자

교육 독서 방법 현장 체험

학습 주제 탐구 소집단 공동 연구 10∼12

반 경제 교육 소집단

공동 연구 독서 방법 현장

체험 학습주제 탐구 주제 담당 교사가 분기별로 학급을 순회하면서 운영

<표 22> 학급 중심형의 운영 배당

시간 주 제 개 설 형 태 편성

형식 시간 운영

지도 교사

34

토요일 1교시를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지정하 고, 학급별로 소집단 구성 후 학급별로 주제를 선택. 소집단별로 활동을 진행하고 담임 교사가 점검ㆍ지도

학급

단위 정시제

담임 교사, 유관 주제 담당 교사

제3절 재량활동의 평가

재량 활동은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는 영역이다.

재량 활동에서 평가는 자칫 재량 활동 원래의 취지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없 지 않기 때문에 평가의 기본 원리와 관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33)

재량 활동의 평가는 재량 활동이 추구하고 있는 기본 취지를 살리기 위한 평 가 도구와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재량 활동의 평가는 성적 산출을 위한 서열 평가가 아니라 활동 상황을 평가하여 제시함으로써 개별 학생들이 자신 의 성취 수준을 가늠해 보고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보충하는 데 주안점을 두 어야 하므로, 성적 산출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재량 활동 평가에 관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에는 ‘재량 활동에 대한 평가는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의 특성과 학생의 특성을 감안하여 평가의 주안점을 학교에서 작성, 활용한다.

가. 교과 재량활동의 평가 1. 선택과목 학습

1) 국민공통기본교과 평가 기준에 준하여 점수화하여 평가한다.

2) 두 개 이상의 과목이 동시에 개설된 경우에는 과목 간 균형 있는 평 가가 되게 한다.

3) 기타 과목의 경우 평가는 이수 내용과 특기 사항을 기록하고 성취도는 기록하지 않는다.

2. 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기본교과 심화․보충 학습은 별도로 평가하지 않고 이수 내용과 특기 사 항만 기록한다.

나. 창의적 재량활동의 평가

창의적 재량활동의 평가 방법의 결정도 학교에 위임되어 있다. 그러므로 학교는 학교 교육목적과 교육 방법에 적합한 평가 방안을 개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교과 재량활동의 평가가 일반적인 교과 학습에 대한 평가 방법 에 준하더라도, 창의적 재량활동 평가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즐거움을 가질 수 있도록 평가에 대한 부담으로부터 자유롭게 해 주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 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자칫 이완된 형태의 평가로 인하여 재량활동의 의미를 상실해서는 안 될 것이다.

(34)

창의적 재량활동은 특별활동의 계발활동 평가 방법을 준용하여 평가하면 무리가 없다. 학교에서의 적용을 돕기 위해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평가의 담당은 주제에 따라 담당 교사 또는 담임 교사가 한다.

2) 관련 교사들의 협의를 거쳐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누가 기록한다.

3) 누가 기록의 결과를 담임 교사가 종합하여 문장으로 기록한다.

4) 활동의 성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실시한다 5) 창의적 재량활동의 평가 시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한다.

가) 평가의 기준과 관찰 방법 등을 학교에서 정하되 참여도, 적극성, 협동 성, 효과성, 적성 발휘 정도, 흥미도 등을 근거로 한다.

나) 학생들의 능력 차를 서열화 시키는 것보다는 서로 다른 개인차를 발 견하여 각자의 개성을 살리기 위한 평가를 한다.

다) 평소 활동의 누가 기록, 발표, 자기 표현 등의 요소가 종합적으로 반 영되도록 한다.

라) 학생이 제출한 활동 보고서, 포트폴리오, 활동 누가 기록표, 출석 상황 등 평가 자료를 다양하게 확보하여 평가에 활용한다.

마) 교사의 평가 외에 자기 평가, 학생 상호간의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수렴한다.

바) 학교의 교육과정에 의해 가르치고 활동한 내용과 기능을 평가하도록 한다. 특히 개인적으로 학교 밖의 교육 수단을 통해 익힌 내용과 기능 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

※ 학교생활기록부 전산 입력

2000년 8월 7일 교육부 훈령 제 602호에 ‘학교생활기록부 전산 처리 및 관리 지침’이 개정 고시되었다. 교육부 훈령 내용 중 재량 활동 관련 부분 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35)

제13조 (재량 활동)

① 재량 활동은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구분하여 실시한 다.

② 재량 활동의 편성․운영 및 영역․내용․평가 등은 학교장이 교육 과 정의 기준과 학교의 실정에 따라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한다.

③ 교과 재량 활동은 과목명, 연간 이수 시간과 평가 결과, 특기 사항을 문장으로 입력한다. 다만, 중․고등학교의 선택 과목과 실업계 고등학 교에서 교과 재량 활동은 전문 교과로 이수할 경우의 평가는 별지 제6 호 ‘교과 학습 발달 상황 평가 및 관리’에 의거 시행하고, ‘교과 학습 발달 상황’ 난에 과목명, 단위 수, 성취도, 석차를 입력한다.

④ 창의적 재량 활동은 활동명, 연간 이수 시간과 평가 결과 특기 사항을 문장으로 입력한다.

위 훈령에 의거하면 중학교의 선택 과목은 교과 학습 발달 상황란 에 기록하며 그 방법도 기본교과의 기록 방법과 아무런 차이가 없다.

그러나 기본교과 심화․보충과 창의적 재량활동은 모두 재량활동 상황란에 구분 없이 입력하며, 과목(활동)명, 연간 이수 시간, 평가 결과 특기 사항의 세 부분으로 기록․입력하게 되어 있다. 그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 <표 23>

과 같다.

<표 23> 기본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입력 예시

학년 교과 또는 활동명 이수

시간 특기 사항

1

국어 보충 학습

(1학기) 소집단 공동연구 (2학기) 과학 심화 학습(주제 탐구 활동)

34시간 17시간 17시간

국어 독해력이 뛰어남

백제문화의 이해 연구에 열심히 참여함.

대기의 운동을 이해하고 일기도를 해석하 여, 날씨의 변화를 예측하는 일에 능함.

2 3

(36)

<표 24> 선택과목 학습 입력 예시10)

교과구분 교과 1학년 2학년 3학년

성취도 석차/재적수 성취도 석차/재적수 성취도 석차/재적수

재량 한문 수 2(․)/45

<입력 예시>

․ 수학 보충학습(34시간), 수학적 논리력이 크게 향상됨.

․ 국어 심화학습(34시간), 국어 독해력이 뛰어남.

․ 외국어(영어) 보충학습(68시간), 영어 회화 능력이 향상됨.

<표 25> 창의적 재량활동 입력 예시

학년 교과 또는 활동명 이수시간 특기사항

1

(1학기)

소집단 공동연구 (2학기)

과학 심화학습(주제 탐구활동)

17시간

17시간

백제문화의 이해 연구에 열심히 참여함

대기의 운동을 이해하고 일기도를 해석하여, 날 씨의 변화를 예측하는 일에 능함

2 3

<입력 예시>11)

․민주시민 교육(34시간), 질서를 잘 지킴.

․한국문화정체성 교육(17시간), 전통음악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함.

․주제탐구활동(10시간), 식물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을 탐구하여 잘 발표함.

․소집단 공동연구(12시간), 백제문화의 이해와 탐사에 적극 참여함.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0) 서울특별시성북교육청, 실천중심장학자료, 2000 11) 서울특별시교육청, 제7차 교육과정의 이해, 2000

참조

관련 문서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practices of special classes at middle school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with a variety of

Learning Korean is essential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live in Korea with fewer obstacles. Fortunately, there are many institutions in Korea offering Korean language

Mathematics classes applied with storytelling will help students have a positive attitude with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mathematics and motivate

This is because compared with the free-year English classes, the general semester English classes consisted of teacher oriented grammar class and reading

ITEM 7 : Declare destructors virtual in polymorphic base classes ITEM 7 : Declare destructors virtual in polymorphic base classes. „ Non-virtual v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find out the actual situation and

Metalloids(준금속) : the elements that are difficult to classify exclusively as metals or nonmetals and have properties between those of elements in the two

This study sought to apply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art classes with the aim of recognizing oneself as valuable and positive, whil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