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actors related to sleep duration in Korean adul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Factors related to sleep duration in Korean adults"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8, 29

(

1)

,

153–165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시간 관련 요인

기 ᆷ숙영

1

1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ᄌ ᅥ

ᆸᄉ ᅮ 2017ᄂ ᅧ ᆫ 10ᄋ ᅯ ᆯ 11ᄋ ᅵ ᆯ, ᄉ ᅮᄌ ᅥ ᆼ 2017ᄂ ᅧ ᆫ 12ᄋ ᅯ ᆯ 6ᄋ ᅵ ᆯ, ᄀ ᅦᄌ ᅢ ᄒ ᅪ ᆨᄌ ᅥ ᆼ 2017ᄂ ᅧ ᆫ 12ᄋ ᅯ ᆯ 28ᄋ ᅵ ᆯ

요 약

ᅩ ᆫ ᄋ ᅧ ᆫᄀ ᅮᄂ ᅳ ᆫ ᄋ ᅮᄅ ᅵᄂ ᅡᄅ ᅡ ᄉ ᅥ ᆼᄋ ᅵ ᆫᄋ ᅴ ᄉ ᅮᄆ ᅧ ᆫᄉ ᅵᄀ ᅡ ᆫ ᄀ ᅪ ᆫᄅ ᅧ ᆫ ᄋ ᅭᄋ ᅵ ᆫᄋ ᅳ ᆯ ᄑ ᅡᄋ ᅡ ᆨᄒ ᅡᄀ ᅵ ᄋ ᅱᄒ ᅡᄋ ᅧ ᄀ ᅮ ᆨᄆ ᅵ ᆫᄀ ᅥ ᆫᄀ ᅡ ᆼᄋ ᅧ ᆼᄋ ᅣ ᆼᄌ ᅩᄉ ᅡ ᄌ ᅦ 6ᄀ ᅵ (2014-2015ᄂ ᅧ ᆫ) ᄌ ᅡᄅ ᅭᄅ ᅳ ᆯ ᄒ ᅪ ᆯᄋ ᅭ ᆼ ᄒ ᅡᄋ ᅧ ᆻᄃ ᅡ. ᄋ ᅧ ᆫᄀ ᅮ ᄃ ᅢᄉ ᅡ ᆼᄌ ᅡᄂ ᅳ ᆫ 19ᄉ ᅦ ᄋ ᅵᄉ ᅡ ᆼ ᄉ ᅥ ᆼᄋ ᅵ ᆫ 10,590ᄆ ᅧ ᆼᄋ ᅵᄆ ᅧ, ᄃ ᅢᄉ ᅡ ᆼᄌ ᅡᄋ ᅴ ᄍ ᅡ ᆲᄋ ᅳ ᆫ ᄉ ᅮ ᄆ

ᅧ ᆫᄀ ᅪ ᄀ ᅵ ᆫ ᄉ ᅮᄆ ᅧ ᆫᄋ ᅴ ᄋ ᅧ ᆼᄒ ᅣ ᆼᄋ ᅭᄋ ᅵ ᆫᄋ ᅳ ᆯ ᄑ ᅡᄋ ᅡ ᆨᄒ ᅡᄀ ᅵ ᄋ ᅱᄒ ᅡᄋ ᅧ ᄋ ᅵ ᆫᄀ ᅮᄒ ᅡ ᆨᄌ ᅥ ᆨ, ᄉ ᅡᄒ ᅬᄀ ᅧ ᆼᄌ ᅦᄌ ᅥ ᆨ, ᄉ ᅢ ᆼᄒ ᅪ ᆯᄉ ᅳ ᆸᄀ ᅪ ᆫ ᄀ ᅪ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ᄐ ᅳ ᆨᄉ ᅥ ᆼᄋ ᅳ ᆯ ᄌ ᅮ ᆼᄉ ᅵ ᆷ ᄋ

ᅳᄅ ᅩ ᄇ ᅩ ᆨ ᄒ ᅡ ᆸᄑ ᅭᄇ ᅩ ᆫ ᄋ ᅱᄀ ᅨᄌ ᅥ ᆨ ᄃ ᅡᄌ ᅮ ᆼᄆ ᅧ ᆼᄆ ᅩ ᆨ ᄅ ᅩᄌ ᅵᄉ ᅳᄐ ᅵ ᆨ ᄒ ᅬᄀ ᅱᄇ ᅮ ᆫᄉ ᅥ ᆨᄋ ᅳ ᆯ ᄉ ᅵᄒ ᅢ ᆼᄒ ᅡᄋ ᅧ ᆻᄃ ᅡ. ᄋ ᅧ ᆫᄀ ᅮᄀ ᅧ ᆯᄀ ᅪ ᄋ ᅮᄅ ᅵᄂ ᅡᄅ ᅡ ᄉ ᅥ ᆼᄋ ᅵ ᆫᄋ ᅴ ᄉ ᅮᄆ ᅧ ᆫᄉ ᅵ ᄀ

ᅡ ᆫᄋ ᅳ ᆫ ᄍ ᅡ ᆲᄋ ᅳ ᆫ ᄉ ᅮᄆ ᅧ ᆫᄋ ᅵ 42.4%, ᄀ ᅵ ᆫ ᄉ ᅮᄆ ᅧ ᆫᄋ ᅵ 7.2%ᄅ ᅩ ᄂ ᅡᄐ ᅡᄂ ᅡ ᆻᄃ ᅡ. ᄍ ᅡ ᆲᄋ ᅳ ᆫ ᄉ ᅮᄆ ᅧ ᆫᄋ ᅴ ᄋ ᅧ ᆼᄒ ᅣ ᆼᄋ ᅭᄋ ᅵ ᆫᄋ ᅳ ᆫ ᄋ ᅧ ᆫᄅ ᅧ ᆼ, ᄌ ᅵ ᆨᄋ ᅥ ᆸ, ᄉ ᅳᄐ ᅳᄅ ᅦᄉ ᅳ ᄋ

ᅵ ᆫᄌ ᅵ, ᄌ ᅮ ᄀ ᅪ ᆫᄌ ᅥ ᆨ ᄀ ᅥ ᆫᄀ ᅡ ᆼᄉ ᅡ ᆼᄐ ᅢ, ᄐ ᅩ ᆼᄌ ᅳ ᆼ/ᄇ ᅮ ᆯᄑ ᅧ ᆫᄀ ᅡ ᆷᄀ ᅪ ᄇ ᅵᄆ ᅡ ᆫᄋ ᅳᄅ ᅩ ᄂ ᅡᄐ ᅡᄂ ᅡ ᆻᄃ ᅡ. ᄀ ᅵ ᆫ ᄉ ᅮᄆ ᅧ ᆫᄋ ᅴ ᄋ ᅧ ᆼᄒ ᅣ ᆼᄋ ᅭᄋ ᅵ ᆫᄋ ᅳ ᆫ ᄋ ᅧ ᆫᄅ ᅧ ᆼ, ᄇ ᅢᄋ ᅮᄌ ᅡᄀ ᅡ ᄋ ᅥ ᆹ ᄂ

ᅳ ᆫ ᄀ ᅧ ᆼᄋ ᅮ, ᄀ ᅭᄋ ᅲ ᆨ ᄉ ᅮᄌ ᅮ ᆫ, ᄌ ᅵ ᆨᄋ ᅥ ᆸ, ᄀ ᅧ ᆼᄌ ᅦᄉ ᅮᄌ ᅮ ᆫ, ᄉ ᅳᄐ ᅳᄅ ᅦᄉ ᅳ ᄋ ᅵ ᆫᄌ ᅵ, ᄌ ᅮ ᄀ ᅪ ᆫᄌ ᅥ ᆨ ᄀ ᅥ ᆫᄀ ᅡ ᆼᄉ ᅡ ᆼᄐ ᅢ, ᄋ ᅮᄋ ᅮ ᆯ/ᄇ ᅮ ᆯ ᄋ ᅡ ᆫᄋ ᅳᄅ ᅩ ᄂ ᅡᄐ ᅡᄂ ᅡ ᆻᄃ ᅡ. ᄇ ᅩ ᆫ ᄋ ᅧ ᆫ ᄀ

ᅮᄀ ᅧ ᆯᄀ ᅪ ᄋ ᅮᄅ ᅵᄂ ᅡᄅ ᅡ ᄉ ᅥ ᆼᄋ ᅵ ᆫᄋ ᅳ ᆫ ᄍ ᅡ ᆲᄋ ᅳ ᆫ ᄉ ᅮᄆ ᅧ ᆫᄋ ᅵ ᄌ ᅳ ᆼ ᄀ ᅡᄒ ᅡᄂ ᅳ ᆫ ᄀ ᅧ ᆼᄒ ᅣ ᆼᄋ ᅳ ᆯ ᄇ ᅩᄋ ᅧ ᆻᄋ ᅳᄆ ᅧ ᄌ ᅥ ᆨᄌ ᅥ ᆼ ᄉ ᅮᄆ ᅧ ᆫᄉ ᅵᄀ ᅡ ᆫ ᄋ ᅲᄌ ᅵᄅ ᅳ ᆯ ᄋ ᅱᄒ ᅢᄂ ᅳ ᆫ ᄇ ᅩ ᆫ ᄋ ᅧ ᆫᄀ ᅮ ᄋ

ᅦᄉ ᅥ ᄍ ᅡ ᆲᄋ ᅳ ᆫ ᄉ ᅮᄆ ᅧ ᆫᄀ ᅪ ᄀ ᅵ ᆫ ᄉ ᅮᄆ ᅧ ᆫᄋ ᅴ ᄋ ᅧ ᆼᄒ ᅣ ᆼᄋ ᅭᄋ ᅵ ᆫᄋ ᅳᄅ ᅩ ᄂ ᅡᄐ ᅡᄂ ᅡ ᆫ ᄇ ᅧ ᆫᄉ ᅮᄃ ᅳ ᆯ ᄋ ᅦ ᄃ ᅢᄒ ᅡ ᆫ ᄑ ᅩ ᄀ ᅪ ᆯᄌ ᅥ ᆨᄋ ᅵ ᆫ ᄌ ᅮ ᆼ ᄌ ᅢ ᄌ ᅥ ᆨᄋ ᅭ ᆼ ᄋ ᅵ ᄑ ᅵ ᆯᄋ ᅭᄒ ᅡᄃ ᅡ.

ᅮᄋ ᅭᄋ ᅭ ᆼ ᄋ ᅥ: ᄀ ᅥ ᆫᄀ ᅡ ᆼ, ᄉ ᅢ ᆼᄒ ᅪ ᆯᄉ ᅳ ᆸᄀ ᅪ ᆫ , ᄉ ᅮᄆ ᅧ ᆫ.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ᄉ

ᅮ면은 인간 삶의 1/3을차지하고 있으며 신체적, 정신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하고 내 부

ᆫ비계와 면역체계 및 대사를 조절하며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Birchler-Pedross 등, 2009;

Park 등, 2007). 그러나 지난 수십 년간의 수면 시간 변화를 분석한 국내외 연구결과 (Gangwisch 등, 2008; Knutson 등, 2010; Lee와 Kim, 2003) 수면 시간은점점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

ᆼ분한 수면은 건강과 안위를 증진시키는 반면에 7시간 미만의 짧은 수면은 피로를 유발하고, 기억 ᄅ

ᅧᆨ과 집중력을 감소시키며, 고혈압, 당뇨 및 비만의 유병률을 증가시킨다 (Kim 등, 2009; Kim과 Jo, 2010; Park 등, 2009). Itani 등 (2017)은 짧은 수면이 질병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 ᄉ

ᆨ 연구에서 6시간 이하의 짧은수면은 7-8시간의 적정수면에 비해 고혈압 유병률은 1.17배, 당뇨병은 1.16배, 관상동맥질환은 1.26배, 비만은 1.38배 높이며 사망률도 1.12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 ᄃ

ᅡ. Cappuccio 등 (2010)은짧은수면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모든 원인으 ᄅ

ᅩ 인한 사망률의 예측인자라고 보고하였다. 9시간 이상의 긴 수면이 질병 유병률에 미치는영향에 대 ᄒ

ᅡᆫ 체계적 문헌고찰을시행한 연구에서도 긴 수면은 심혈관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며 (Cappuccio 등, 2011)뇌졸중 (Li 등, 2016), 당뇨병 (Shan 등, 2015)의 유병률을 증가시키고 사망률과도관련이 있는 거

ᆺ으로 (Cappuccio 등, 2010) 연구되었다. 이처럼 적절한 수면시간 보다 길거나 짧은부적절한 수면은 ᄀ

ᅥᆫ강상태와는 역 상관관계를나타내고 있으며 사망률과도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적절한 수

1

(11160) ᄀ ᅧ ᆼᄀ ᅵᄃ ᅩ ᄑ ᅩᄎ ᅥ ᆫᄉ ᅵ ᄒ ᅢᄅ ᅭ ᆼ ᄅ ᅩ 120. ᄎ ᅡᄋ ᅴᄀ ᅪᄒ ᅡ ᆨᄃ ᅢᄒ ᅡ ᆨᄀ ᅭ ᄀ ᅡ ᆫᄒ ᅩᄃ ᅢᄒ ᅡ ᆨ, ᄀ ᅭᄉ ᅮ. E-mail: kimsy@cha.ac.kr

(2)

ᅧᆫ시간의 유지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연구 (Jike 등, 2017; Park 등, 2007)에 따르면 적절한 수면시간 ᄋ

ᅳᆫ 7-8시간으로 보고되었고 적절한 수면시간 보다 짧거나 긴 수면에 영향을미치는요인들을규명하는 거

ᆺ은대상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위해 매우 중요하다.

ᅮ면시간 관련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Krueger 등 (2009)의 연구에서는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음주 회

ᆺ수가 증가할수록, 현재 흡연을하는대상자가, 만성질환자, 저체중,활동제한이 긴 수면 또는짧은수 ᄆ

ᅧᆫ의 위험비를 높이며 긴 수면 또는짧은수면의관련요인이라고 하였다. Gangwisch 등 (2008)은우울 ᄋ

ᅵ 짧은수면과 긴 수면의관련 요인이라고 제시하였고 Magee 등 (2011)은짧은수면의관련 요인으로 ᄌ

ᅮ관적 건강상태를 제시하였다.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관절질환은 통증을유발하고 수면 패 ᄐ

ᅥᆫ에 영향을주며 짧은수면의관련 요인이다 (Jeon, 2015; Lima 등, 2012). 이처럼 수면시간이 건강에 여

ᆼ향을주며 만성질환유병률을 높이고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의 영향요인임이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 ᄋ

ᅳ나 이러한 수면에 영향을미치는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는 임의지역을편의표출하여 대상자들의 수면 ᄉ

ᅵ간 관련 요인을 분석한 연구 (Gangwisch 등, 2008; Jang과 Kim, 2016; Lima 등, 2012; Magee 등, 2011)가 다수이며 6시간 이하의 짧은수면 영향요인 연구에 집중되었다. 짧은수면이나 긴 수면을나타 ᄂ

ᅢ는대상자들이 적정 수면을보이는대상자들과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생활습관및 신체건강과 정신건 ᄀ

ᅡᆼ관련 특성을고려하여 어떤 차이를보이는지확인하고 수면 시간관련요인을규명하기 위해 전국단 ᄋ

ᅱ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활용하여 분석한 연구는부족한 실정이다.

ᅡ라서 본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의 수면시간관련 요인을 인구학 ᄌ

ᆨ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생활습관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대상자들의 적정 수면 으

ᆯ유지하기 위한 중재 전략과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본 ᄋ

ᅧᆫ구를시도하였다.

1.2. 연구의 목적 ᄇ

ᅩᆫ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중에서 수면시간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진 제 6기 2-3차년도 (2014년- 2015년) 자료를활용하여 성인의 수면 시간관련 요인을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다음과 같 ᄃ

ᅡ.

처

ᆺ째,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생활습관,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짧은수면, 적정 수면과 긴 수면의 차 ᄋ

ᅵ를확인한다.

ᄃ ᅮ

ᆯ째, 짧은수면과 긴 수면에 영향을주는요인을확인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보

ᆫ연구는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수면관련 요인을파악하기 위해 시도된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2.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보

ᆫ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014년-2015년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국민건 ᄀ

ᅡᆼ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목표 설정 및 평가,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등 보건정책 수립 미

ᆾ 평가의 근거를제공하는 전국규모의 건강 및 영양조사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하고 있다. 제 6기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시 · 도, 동 · 읍면, 주택유형 (일반주택, 아파트)을 기준으로 추출 트

ᆯ을 층화하고, 주거면적 비율, 가구주 학력 비율 등을 내재적 층화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제 6기 조

(3)

ᅡ구는 연간 192개 표본 조사구를 3년간 576개 추출하였다. 표본 조사구 내에서 양로원, 군대, 교도 ᄉ

ᅩ 등의 시설 및 외국인 가구 등을 제외한 적절가구 중 계통추출법을 이용하여 20개 표본가구를 선정 ᄒ

ᅡ였다. 표본가구 내에서는 적정가구원 요건을 만족하는 만 1세 이상의 모든 가구원을 조사대상자로 ᄉ

ᅥᆫ정하였다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조사는 질병관리본부 연 ᄀ

ᅮ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시행한 것으로 IRB 승인번호는 2013-12EXP-03-5C이다. 본연구에 ᄉ

ᅥ는 2014년-2015년에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4,930명 가운데 19세 이상 대상자이면서 하루 평 규

ᆫ 수면 시간에 응답한 총 10,590명을 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 (https://knhanes.cdc.go.kr)에서 소정의 승인 절차를거친 후 원시자료를다운로드 받아 분석한 것 ᄋ

ᅳ로 대상자에 대한 개인정보가 식별이 불가능한 고유번호로 수집되어 대상자의 익명성 및 기밀성이 보 ᄌ

ᅡᆼ되었다.

2.3. 연구도구 서

ᆼ인의 수면시간관련 요인을확인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에서 인구학적 변수, 사회경 ᄌ

ᅦ적 변수, 생활습관 변수, 건강관련 변수를포함하였다.

2.3.1. 수면시간 ᄒ

ᅡ루 평균수면시간은 대상자에게 ‘하루에 보통 몇 시간 주무십니까?’로 질문하여 0-24시간 사이에 ᄉ

ᅵ간단위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대상자가 자가보고한 수면 시간을 바탕으로 수면시간을 ‘6시간 이하’,

‘7시간-8시간’, ‘9시간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적정 수면을 7-8시간으로 정의하고 수면부 ᄌ

ᆨ을 6시간 이하로 정의한 기준에근거하여 6시간 이하를짧은수면시간, 7-8시간을적정 수면시간, 9시 ᄀ

ᅡᆫ 이상을긴 수면 시간으로 구분하였다 (Jike 등, 2017; Park 등, 2007).

2.3.2. 인구학적 특성 ᄋ

ᅵᆫ구학적 특성으로는연령, 성별, 결혼상태를 포함하였다. 연령은만 나이를 기준으로 19-44세, 45- 64세, 65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성별은남자, 여자로 구성되어 있는 원자료의 변수를사용하였다. 결 ᄒ

ᅩᆫ상태는배우자 유, 배우자 무 (미혼,이혼,사별, 별거 포함)로 구분하였다.

2.3.3. 사회경제적 특성 ᄉ

ᅡ회경제적 특성은교육수준, 직업, 경제상태를포함하였다. 교육수준은초등학교 졸업 이하, 중학교, ᄀ

ᅩ등학교, 대학교 졸업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직업은 직업 유, 직업 무로 구분하였으며 경제상태는소득 4분위수 (가구) 하, 중하, 중상, 상으로 분류된원시자료를 중하와 중상을 통합하여 하, 중, 상으로 분류 ᄒ

ᅡ였다.

2.3.4. 생활습관 특성 새

ᆼ활습관 특성은 운동, 흡연, 음주, 스트레스를포함하였다. 수면시간관련 요인으로 운동상태를 분 ᄉ

ᅥᆨ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 조사 중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을연구 변수로 하였고 ‘일주일에 중강도 신 ᄎ

ᅦ활동을 2시간 30분이상 또는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서

ᆩ어서 (고강도 1분은 중강도 2분)각활동에 상당하는시간을 실천’을유산소 신체활동 실천함으로 분 ᄅ

ᅲ하였고 그렇지 않은대상은유산소 신체활동 실천하지 않음으로 분류하였다. 흡연은 ‘현재 담배를피 ᄋ

ᅮ십니까?’의 질문에 매일 피움이나 가끔피움은 ‘현재 흡연’으로, 과거에는피웠으나 현재 피우지 않음

(4)

ᅪ 피운적 없음은 ‘현재 흡연하지 않음’으로 하여 두 단계로 분류하였다. 음주는 음주횟수를기준으로 ᄉ

ᅦ 그룹으로 분류하여 ‘1달에 1회 미만’, ‘1달에 1-4회’, ‘1주일에 2회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스트레스 ᄋ

ᅧ부는 ‘평소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어느 정도 느끼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많이 느낌, 대단히 많 ᄋ

ᅵ 느낌은 많이 느낌으로 분류하고, 조금느낌, 거의 느끼지 않음은거의 느끼지 않음으로 통합하여 세 ᄃ

ᅡᆫ계로 분류하였다.

2.3.5. 건강관련 특성 ᄀ

ᅥᆫ강관련 특성은 질병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통증/불편감, 우울/불안, 비만을포함하였다. 질병 유 ᄆ

ᅮ는만성질환이환여부로 측정하였는데 고혈압, 이상지질혈증,뇌졸중, 심혈관질환,관절염, 당뇨, 암 ᄀ

ᅪ 기타 만성질환을포함한 만성질환에 대한 의사 진단여부를 확인하여 이 중한가지라도 있음으로 응 ᄃ

ᆸ한 경우 만성질환있음으로 구분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소 ○○○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 ᄒ

ᅡ십니까?’ 라는주관적 건강에 대한 응답에 따라 ‘좋음 (매우 좋음포함)’, ‘보통’, ‘나쁨 (매우 나쁨포 ᄒ

ᅡᆷ)’으로 구분하고, 통증/불편감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 그대로 없음,다소 통증/불편감이 있음,매 ᄋ

ᅮ 심하게 통증/불편감이 있음으로 구분하였다. 불안/우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 그대로 불안하 ᄀ

ᅥ나 우울하지 않음, 다소 불안하거나 우울함, 매우 심하게 불안하거나 우울함으로 구분하였다. 비만유 ᄆ

ᅮ는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를기준으로 신체계측결과에 의거하여 체중/신장(m2)으로 ᄀ

ᅨ산하였고 계산 결과 18.5 미만은저체중, 18.5이상 25 미만은정상, 25 이상은비만으로 분류하였다.

2.4. 자료분석 방법 ᄀ

ᅮᆨ민건강영양조사 자료는 복합표본설계 방법으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복합표본 분석 지침에 따라 집 ᄅ

ᆨ변수, 층화변수와 가중치를적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시행하였다 (Park과 Choi, 2014). 자료는 IBM SPSS v.23을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생활습관 특성,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적정 수면군과 짧은수면 구

ᆫ, 긴 수면군간의 차이는 복합표본 Rao-Scott χ2 - test로 분석하였다.

2) 짧은수면과 긴 수면의 영향요인을확인하기 위해 복합표본위계적 다중명목로지스틱 회귀분석 ᄋ

ᅳ로 통계적 검정을시행하였다.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 생활습관 특성과 건강관련 ᄐ

ᅳᆨ성이 수면에 미치는영향에서 각 특성의 기여도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특성을 순서대 ᄅ

ᅩ 투입하는 복합표본 위계적 다중명목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위계별 유의성은 ᄏ

ᅡ이제곱 통계량과 자유도의 증가분을이용하여 검정하였다.

3. 연구결과 ᄃ

ᅢ상자의 수면시간을 분석한 결과(빈도 및 가중 %)짧은수면은 4,633명 (42.4%)이었고 적정수면은 5,160명 (50.4%)이었으며 긴 수면은 797명 (7.2%)으로 나타났다.

ᅵᆫ구학적 특성에 따른수면시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짧은수면의 유병률이 증 ᄀ

ᅡ하는경향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42.8%가 짧은수면을 취했고 6.1%는긴 수면을보였다.

ᅡᆫ면 여성의 42.0%는짧은수면, 8.3%는긴 수면을보였다. 현재 배우자가 없는대상자중 40.9%는짧 ᄋ

ᆫ수면, 10.5%는긴 수면을보였다. 반면 배우자가 있는대상자는 43.1%가 짧은수면, 5.6%는긴 수면 으

ᆯ보였다. 인구학적 특성인 연령, 성별, 결혼상태에 따른수면시간 차이는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ᄋ

ᅵ가 있었다 (Table 3.1).

(5)

ᅡ회경제적 특성에 따른수면시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긴 수면이 줄어들 ᄀ

ᅩ 적정 수면이 증가했다. 직업이 있는 대상자는짧은수면이 44.1%, 긴 수면이 5.5%이었으며 직업이 어

ᆹ는대상자는짧은수면 39.6%, 긴 수면 10.6%이었다. 경제수준이 ‘하’인 대상자가 짧은수면 45.9%, 기

ᆫ 수면 12.6%를나타냈다. 사회경제적 특성인 교육수준, 직업, 경제수준에 따른수면시간 차이는모두 ᄐ

ᆼ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나타냈다 (Table 3.1).

새

ᆼ활습관 변수에 따른수면시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재 흡연과 비흡연자의 수면시간에는차이가 어

ᆹ는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빈도는 1회미만/월인 대상자는짧은수면이 41.8%였으며 2회이상/주인 대 ᄉ

ᅡᆼ자는 43.8%로 나타났다. 유산소운동을규칙적으로 시행하는 대상자는적정 수면이 50.6%였으나 유 ᄉ

ᅡᆫ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시행하지 않는대상자는 적정 수면이 49.9%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인지는 많 ᄋ

ᅵ 하는대상자가 짧은수면이 49.0%를나타냈고 스트레스를느끼지 않는대상자는짧은수면이 38.9%, ᄌ

ᆨ정 수면이 51.3%이었다. 생활습관변수에서는 음주빈도, 유산소운동, 스트레스 인지에 따른수면시 ᄀ

ᅡᆫ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ᅥᆫ강관련 변수에 따른수면시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질병이 있는대상자는짧은수면 44.7%, 적정 ᄉ

ᅮ면 47.8%였으며 질병이 없는대상자는짧은수면 40.4%, 적정 수면 52.7%였다. 주관적인 건강 상태 ᄀ

ᅡ 좋지 않다고 생각한 대상자는 짧은 수면 49.2%, 긴 수면 9.9%로 나타났다. 통증이나 불편감이 많 ᄋ

ᆫ대상자가 짧은수면 49.3%, 적정 수면 36.9%, 긴 수면 13.8%를 나타냈고 통증이나 불편감이 없는 ᄃ

ᅢ상자는적정 수면이 52.1%를나타냈다. 우울이나 불안이 심한 대상자가 짧은수면 55.2%, 적정수면 34.0%, 긴 수면 10.7%이었고 우울이나 불안이 없는대상자가 적정 수면이 51.5%이었다. 비만한 대상 ᄌ

ᅡ는 짧은수면이 47.2%이었고 정상인 대상자의 짧은수면은 40.9%이었다. 건강관련 특성중 질병 유 ᄆ

ᅮ, 주관적 건강상태, 통증/불편감, 우울/불안, 비만유병에 따른수면시간의 차이는모두 통계적으로 유 ᄋ

ᅴ한 차이를보였다.

ᅵᆫ구학적 특성, 사회 경제적 특성, 생활습관과 건강관련 특성이 수면에 미치는영향을확인하기 위해 ᄇ

ᆨ합표본위계적 다중명목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2와 같다.

ᅵᆫ구학적 특성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 1의 분석 결과 연령에서 45-64세는 19-44세 보 ᄃ

ᅡ 적정 수면군보다 짧은 수면군이될 오즈는 1.30배 (95% CI: 1.17-1.46) 높았으며, 65세 이상은 19- 44세 보다 짧은 수면군이될오즈는 1.74배 (95% CI: 1.56-1.93) 높았다. 인구학적 특성 중적정 수면 구

ᆫ에 비해 긴 수면군의 결과에서 45-64세는 19-44세 보다 적정 수면군보다 긴 수면군이될오즈는 1.54 (1/0.65=1.54)배 (95% CI: .52-.81) 낮았으며, 65세 이상은 1.58배 (95% CI: 1.27-1,96) 높았다. 성별 ᄋ

ᆫ여자가 남자보다 1.35배 (95% CI: 1.12-1.62), 결혼상태는무 배우자가 1.76배 (95% CI: 1.46-2.12) 기

ᆫ 수면군이될오즈가 높게 나타났다.

ᅵᆫ구학적 특성에서 사회 경제적 특성이 추가된2단계 모형은 인구학적 특성 모형과 유의한 차이가 있 ᄂ

ᅳᆫ것으로 나타나 (∆χ2 = 101.54, p < .001), 사회 경제적 특성은 수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교 ᄋ

ᅲᆨ정도에서는 대졸보다는초졸이하가 짧은수면군이 될오즈는 1.24배 (95% CI: 1.04-1.47) 높았으며, 지

ᆨ업이 없는 사람이 1.24배 (95% CI: .73-.90) 낮았다. 적정 수면군에 비하여 긴 수면군이될 오즈는 ᄎ

ᅩ졸이하가 대졸보다 2.33배 (95% CI: 1.66-3.27), 중졸은 2.53배(95% CI: 1.74-3.67), 고졸은 1.63배 (95% CI: 1.27-2.11) 높았으며, 직업이 없는사람은 1.51배 (95% CI: 1.23-1.85), 경제수준은하가 상보 ᄃ

ᅡ 2.00배 (95% CI: 1.45-2.76) 높았다.

새

ᆼ활습관이 추가된 3단계 모형은 2단계 모형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χ2 = 134.11, p < .001).

ᅳ트레스를많이 인지하는사람이 스트레스를느끼지 않는사람보다 적정 수면군보다 짧은수면군이될 ᄋ

ᅩ즈는 1.75배 (95% CI: 1.50-2.05) 높았다. 유산소 운동을규칙적으로 시행하지 않는 사람은 운동을 ᄀ

ᅲ칙적으로 하는사람보다 긴 수면군이될오즈는 1.26배 (95% CI: .65-.98), 스트레스를조금 인지하는 ᄉ

ᅡ람은스트레스를 인지하지 못하는사람보다 1.38배 (95% CI: .56-.94) 긴 수면군이될오즈가 낮았다.

(6)

Table 3.1 Difference test on demographic, socioeconomic, lifestyle and health related factors

Variables Categories sleep duration Rao- p

≤6hr 7-8hr ≥9hr Scott

n(%) n(%) n(%) χ

2

Demographic Age(yr) 19-44 1477 (37.9) 2086 (53.5) 332 (8.6) 166.42 <.001 45-64 1811 (45.3) 1971 (50.3) 194 (4.3)

≥65 1345 (49.5) 1103 (40.6) 271 (10.0)

Gender Male 1964 (42.8) 2235 (51.1) 305 (6.1) 17.66 .001 Female 2669 (42.0) 2925 (49.7) 492 (8.3)

Marital status Currently married 3226 (43.1) 3724 (51.3) 470 (5.6) 85.36 <.001 Currently unmarried 1403 (40.9) 1434 (48.6) 327 (10.5)

Socio- Education ≤Elementary school 1177 (49.3) 911 (41.3) 232 (9.3) 103.16 <.001

economic Middle school 479 (44.7) 516 (47.1) 85 (8.2)

High school 1368 (40.4) 1697 (51.1) 259 (8.4)

≥College 1319 (40.9) 1717 (54.0) 168 (5.1)

Job Yes 2578 (44.1) 2893 (50.5) 337 (5.5) 92.84 <.001 No 1757 (39.6) 1941 (49.9) 408 (10.6)

Economic Low 969 (45.9) 805 (41.5) 235 (12.6) 121.57 <.001 status Middle 2354 (40.9) 2803 (52.1) 409 (7.0)

High 1285 (43.2) 1533 (51.7) 148 (5.0)

Lifestyle Smoking Current smoking 867 (43.4) 947 (50.0) 139 (6.6) 2.29 .481 No smoking 3763 (42.1) 4211 (50.5) 657 (7.4)

Alcohol <1/month 2159 (41.8) 2379 (49.5) 440 (8.7) 28.18 .001 1-4/month 1459 (42.1) 1695 (51.3) 214 (6.6)

≥2/week 1015 (43.8) 1086 (50.6) 143 (5.6)

Aerobic No 2160 (41.8) 2378 (49.9) 410 (8.2) 10.78 .023 exercise Yes 2165 (42.8) 2453 (50.6) 329 (6.5)

Stress Much 1365 (49.0) 1152 (43.5) 200 (7.5) 101.11 <.001 A little 2485 (40.1) 3084 (53.5) 407 (6.4)

Little 780 (38.9) 922 (51.3) 188 (9.8)

Health Chronic illness No 2043 (40.4) 2608 (52.7) 355 (7.0) 25.61 <.001

related Yes 2590 (44.7) 2552 (47.8) 442 (7.5)

Subjective Good 1205 (40.1) 1535 (53.2) 192 (6.7) 78.94 <.001 health Fair 2201 (41.6) 2533 (51.5) 375 (6.9)

Poor 965 (49.2) 790 (40.9) 185 (9.9)

Pain or No 3140 (40.6) 3828 (52.1) 552 (7.2) 62.70 <.001 discomfort A little 1093 (48.7) 940 (44.0) 165 (7.3)

Severe 123 (49.3) 84 (36.9) 31 (13.8)

Depression No 3741 (41.5) 4413 (51.5) 638 (7.0) 56.88 <.001 or anxiety A little 560 (49.2) 405 (40.3) 100 (10.5)

Severe 55 (55.2) 33 (34.0) 10 (10.7)

BMI Under weight 153 (31.7) 232 (55.0) 54 (13.3) 79.77 <.001 Normal 2812 (40.9) 3312 (52.0) 488 (7.0)

Obesity 1654 (47.2) 1573 (46.4) 238 (6.4)

* Data are weighted percents

ᅥᆫ강관련 특성이 추가된 4단계 모형은 3단계 모형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χ2 = 129.79, p <

.001). 적정 수면군과 짧은수면군의 분석에서 연령대는 19-44세 보다 45-64세는 1.21배 (95% CI: 1.06- 1.37), 65세 이상은 1.70배 (95% CI: 1.44-2.02) 짧은수면군의 오즈가 높았으며, 직업이 없는사람이 있 느

ᆫ사람보다 1.23배 (95% CI: .73-.91) 낮았으며 스트레스를많이 인지하는사람은스트레스를 인지하 ᄌ

ᅵ 못하는 사람보다 1.60배 (95% CI: 1.35-1.88) 높았다.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 ᄈ

ᆫ사람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사람보다 1.19배 (95% CI: 1.01-1.40), 통증/불편감을조금느끼는 ᄉ

ᅡ람은없는사람보다 1.19배 (95% CI: 1.04-1.36), 비만유병은비만군은정상군보다 1.24배 (95% CI:

(7)

Table 3.2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on sleep duration

Variables Categories Model 1 Model 2

≤6 vs 7-8 ≥9 vs 7-8 ≤6 vs 7-8 ≥9 vs 7-8 OR 95%CI OR 95%CI OR 95%CI OR 95%CI

Demographic Age (yr) 19-44 ref

45-64 1.30 1.17-1.46 .65 .52-.81 1.21 1.07-1.37 .42 .32-.55

≥65 1.74 1.56-1.93 1.58 1.27-1.96 1.58 1.35-1.86 .59 .42-.83

Gender Male ref

Female .99 .91-1.09 1.35 1.12-1.62 1.00 .91-1.10 1.17 .96-1.43 Marital status Currently married ref

Currently unmarried 1.08 .97-1.20 1.76 1.46-2.12 1.05 .94-1.18 1.43 1.18-1.74 Socio- Education ≤ Elementary school 1.24 1.04-1.47 2.33 1.66-3.27

economic Middle school 1.09 .92-1.30 2.53 1.74-3.67

High school 1.04 .92-1.17 1.63 1.27-2.11

≥College ref

Job Yes ref

No .81 .73-.90 1.51 1.23-1.85

Economic Low 1.09 .92-1.29 2.00 1.45-2.76

status Middle .91 .81-1.02 1.13 .89-1.44

High ref

Health Smoking Current smoking

habit No smoking ref

Alcohol <1/month ref 1-4/month

≥2/week

Aerobic No

exercise Yes ref

Stress Much

A little

Little ref

Health Chronic No

related illness Yes ref

Subjective Good ref

health Fair

Poor

Pain or No ref

discomfort A little Severe

Depression No ref

or anxiety A little Severe

BMI Under weight

Normal ref

Obesity

1.11-1.39) 높았으며, 저체중군은정상군보다 1.37배 (95% CI: .56-.94) 낮게 나타났다.

ᄌ ᅥ

ᆨ정 수면군과 긴 수면군의 분석에서 연령은 45-64세는 19-44세 보다 2.36배 (95% CI: .33-.55), 65세 ᄋ

ᅵ상은 1.83배 (95% CI: .39-.77) 긴 수면군이될오즈가 낮았다. 배우자가 없는사람은 1.45배 (95%

CI: 1.19-1.78),교육수준은대졸보다 초졸이하는 2.05배 (95% CI: 1.44-2.93), 중졸은 2.44배 (95% CI:

1.67-3.57),고졸은 1.62배 (95% CI: 1.26-2.10) 높았으며, 직업이 없는사람은 1.42배 (95% CI: 1.15- 1.76), 경제수준은하가 상보다 1.84배 (95% CI: 1.32-2.56) 긴 수면군이될오즈가 높았다. 스트레스를 ᄌ

ᅩ금 인지하는사람은스트레스를 인지하지 않는사람보다 1.48배 (95% CI: .52-.88)긴 수면군의 오즈

(8)

Variables Categories Model 3 Model 4

≤6 vs 7-8 ≥9 vs 7-8 ≤6 vs 7-8 ≥9 vs 7-8 OR 95%CI OR 95%CI OR 95%CI OR 95%CI

Demographic Age (yr) 19-44 ref

45-64 1.27 1.12-1.45 .41 .32-.54 1.21 1.06-1.37 .42 .33-.55

≥65 1.82 1.54-2.15 .53 .38-.75 1.70 1.44-2.02 .55 .39-.77

Gender Male ref

Female 1.02 .91-1.14 1.12 .90-1.40 1.04 .93-1.16 1.05 .84-1.32 Marital status Currently married ref

Currently unmarried 1.03 .92-1.15 1.44 1.18-1.75 1.04 .92-1.16 1.45 1.19-1.78 Socio- Education ≤ Elementary school 1.26 1.06-1.50 2.16 1.53-3.05 1.17 .98-1.39 2.05 1.44-2.93 economic Middle school 1.12 .94-1.34 2.52 1.73-3.68 1.08 .91-1.29 2.44 1.67-3.57 High school 1.05 .93-1.19 1.65 1.28-2.13 1.04 .92-1.17 1.62 1.26-2.10

≥College ref

Job Yes ref

No .83 .74-.92 1.50 1.22-1.85 .81 .73-.91 1.42 1.15-1.76 Economic Low 1.04 .88-1.24 1.93 1.39-2.67 .99 .84-1.18 1.84 1.32-2.56 status Middle .91 .81-1.21 1.12 .88-1.43 .89 .79-1.00 1.13 .88-1.44

High ref

Health Smoking Current smoking 1.03 .89-1.19 1.04 .78-1.39 1.02 .88-1.18 1.02 .76-1.37

habit No smoking ref

Alcohol <1/month ref

1-4/month 1.04 .93-1.17 .83 .66-1.06 1.03 .92-1.16 .82 .64-1.04

≥2/week 1.09 .95-1.25 .84 .63-1.11 1.08 .94-1.24 .84 .63-1.11 Aerobic No 1.11 1.00-1.23 .79 .65-.98 1.10 1.00-1.22 82 .67-1.02

exercise Yes ref

Stress Much 1.75 1.50-2.05 .97 .72-1.30 1.60 1.35-1.88 .84 .62-1.16 A little .73 .96-1.26 .73 .56-.94 1.06 .92-1.23 .68 .52-.88

Little ref

Health Chronic No 1.02 .92-1.13 .99 .80-1.21

related illness Yes ref

Subjective Good ref

health Fair .97 .86-1.09 1.04 .81-1.33

Poor 1.19 1.01-1.40 1.43 1.03-1.98

Pain or No ref

discomfort A little 1.19 1.04-1.36 .91 70-1.19

Severe .97 .68-1.40 1.11 .63-1.94

Depression No ref

or anxiety A little 1.14 .96-1.36 1.45 1.08-1.94

Severe 1.21 .68-2.14 .85 .34-2.14

BMI Under weight .73 .56-.94 1.30 .89-1.92

Normal ref

Obesity 1.24 1.11-1.39 .92 .75-1.14

ᅡ 낮았다. 주관적 건강상태는보통군이 좋은 군보다 1.43배 (95% CI: 1.03-1.98) 높았으며, 우울/불안 으

ᆯ조금느끼는사람은우울/불안이 없는사람 보다 긴 수면군이될오즈가 1.45배 (95% CI: 1.08-1.94) 노

ᇁ게 나타났다.

4. 논의 보

ᆫ연구는짧은수면과 긴 수면 영향요인을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생활습관 특성, 건강관 ᄅ

ᅧᆫ 특성 측면에서 파악하여 적정 수면을유지할 수 있도록대책을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수

(9)

ᄒ ᅢᆼ하였다.

ᅮᆨ민건강영양조사의 2014-2015년 자료를 통합하여 만 19세이상 성인의 수면시간을 분석한 결과 짧은 ᄉ

ᅮ면이 42.6%, 적정수면 50.4%, 긴 수면이 7.2%로 나타났다.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부

ᆫ석한 연구 (Lee 등, 2015)에서는한국성인의 수면시간은짧은수면 41.9%, 적정 수면 50.7%, 긴 수 ᄆ

ᅧᆫ 7.5%로 보고하여 본연구결과가 2010-2012년에 비해 짧은수면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 ᄋ

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Kruegere 등, 2009)에서는짧은수면 28.3%, 적정수면 63.3%, 긴 수면 8.5%로 보고하여 미국성인의 수면시간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시간이 짧은 거

ᆺ을 나타낸다. 사회가 점차 발달하고 현대화 되어감에 따라 인간의활동시간이 길어지고 수면시간 단 ᄎ

ᆨ이 일어났으며 (Gangwisch 등, 2008) 이러한 짧은수면은 심혈관질환,고혈압, 당뇨 (Itani 등, 2017;

Kim 등, 2009), 사망 (Cappuccio 등, 2010)의 위험을 높이므로 짧은수면이 건강에 미치는영향을 고 ᄅ

ᅧ할 때 우리나라 성인의 적정 수면 유지를위한 보건 의료적관심을 높이고 적정 수면 유지의 중요성에 ᄃ

ᅢ한 교육을강화할 필요가 있다.

ᅩᆫ 연구에서 수면 영향요인에 대한 복합표본위계적 다중명목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델 1, 모델 2,모델 3, 모델 4는다른모델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수가 포함된모델 4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ᄒ

ᅡᆫ다.

ᅵᆫ구학적 특성중 짧거나 긴 수면과 관련된 변수는 연령, 결혼 상태였다. 짧은 수면에 대한 오즈는 45세 이상인 사람이 유의하게 높았다, 긴 수면에 대한 오즈는 45세 이상인 사람, 배우자가 없는사람이 ᄋ

ᅲ의하게 높았다. 본연구에서 수면시간과 연령과의 연관성은나이가 많을수록짧은수면의 오즈가 높 ᄀ

ᅩ 긴 수면의 오즈는낮은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 (Krueger 등, 2009)와 유사한 결과를보였다. Patel ᄃ

ᅳᆼ (2006)은배우자가 없는사람이 긴 수면 발생이 높다고 하여 본연구와 유사한 결과를나타냈다.

ᅩᆫ연구결과 중년기 이후 특히 노년기에 짧은수면의 오즈비가 증가하는만큼수면 시간에 대한 의료 ᄌ

ᆨ관심과 적정 수면시간 유지를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ᄍ ᅡ

ᆲ거나 긴 수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사회 경제적 특성은교육수준, 직업, 경제수준이었다.

ᄍ ᅡ

ᆲ은수면에 대한 오즈는 직업이 없는사람이 유의하게 낮았다. 긴 수면에 대한 오즈는교육수준이 낮은 ᄉ

ᅡ람, 직업이 없는사람, 경제수준이 하인 대상자가 유의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Krueger 등 (2009)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직업이 없고 경제상태가 하인 대상자들은 일상생활 중 활 ᄃ

ᆼ량이 적을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과도한 수면을초래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들에게 수면 시간 문제 ᄀ

ᅡ 발생할 수 있음을고려할 필요가 있다.

새

ᆼ활습관 특성중짧은수면과 긴 수면의 영향요인은스트레스 인지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많이 인 ᄌ

ᅵ하는사람이 짧은수면의 오즈가 높았다. 스트레스를조금 인지하는 사람은스트레스를느끼지 않는 ᄉ

ᅡ람 보다 긴 수면의 오즈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스트레스 인지가 짧은수면의 영향요인으로 보고한 ᄉ

ᅥᆫ행연구 (Charles 등, 2011)와 유사한 결과였다. 스트레스는 심박동수, 혈압을상승시키고 부교감신경 으

ᆯ억제하여 수면장애를초래하거나 수면의 질을감소시킨다 (El-Sheikh 등, 2007). 스트레스는 인간의 ᄉ

ᆱ에 있어서 피할 수 없는 심리사회적 문제이며 (Charles 등, 2011)그 동안 스트레스 인지가 높을수록 ᄉ

ᅮ면시간의 감소와관련이 있다는연구가 소수 진행된상황에서 본연구는전국단위의 조사 자료를 분석 ᄒ

ᅡ여 스트레스를많이 느끼는경우 수면 시간 부족을초래할 수 있다는근거를제시했다는점에서 의의 ᄀ

ᅡ 있다. 추후에 스트레스를감소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적용이 수면과 건강에 미치는영향을규명하는 ᄋ

ᅧᆫ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ᅥᆫ강관련 특성과 수면 시간의 연관성에서는,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쁜경우, 통증/불편감이 있는경 ᄋ

ᅮ, 비만한 경우 짧은수면의 오즈가 높았다. Kessler 등 (2006)은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경우 수면장 ᄋ

ᅢ와 짧은수면시간 발생이 더 많다고 하여 본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신체적, 정신 ᄌ

ᅥᆨ, 사회적 측면을포함하는개인의 전반적 건강상태나 삶의 질을나타내는지표이며 사망률과 만성질환

수치

Table 3.1 Difference test on demographic, socioeconomic, lifestyle and health related factors
Table 3.2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on sleep duration

참조

관련 문서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 To develop new mesh-type reference Korean phantoms (MRKPs) for adult male and female to address limitations of current voxel-type reference Korean adult phantoms...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