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쿠바의 농업현황과 개발협력 추진 방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쿠바의 농업현황과 개발협력 추진 방향"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쿠바의 농업현황과 개발협력 추진 방향

김 종 선 *

1)

1. 쿠바 농업 현황

1.1.

농업 일반현황

쿠바의 농촌인구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 FAO

통계에 따르면

, 2011

년 기준 쿠바의 농촌 인구

(871

만 명

)

는 도시 인구

(265

만 명

)

보다 약

3

배가 많았으나

, 2018

년에 도시 의 인구가 오히려

264

만 명으로 감소하고 농촌의 인구가

885

만 명으로

10

만 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하지만

2011

년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98

6,000

명이었으나

2014

년에

93

9,000

명으로

5

만 명 가까이 감소하였다

<

1>.

<표 1> 쿠바의 인구 및 농업 종사 인구 변화 추이

단위: 천 명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전체인구 11,237 11,257 11,283 11,307 11,325 11,335 11,339 11,338

남성 5,587 5,596 5,608 5,620 5,628 5,632 5,633 5,631

여성 5,649 5,661 5,674 5,687 5,697 5,703 5,706 5,707

도시 2,647 2,643 2,648 2,647 2,648 2,648 2,644 2,638

농촌 8,708 8,739 8,768 8,793 8,813 8,828 8,841 8,851

농업종사 인구 986 944 915 939 - - - -

남성 821 799 773 790 - - - -

여성 164 144 142 148 - - - -

자료: FAO(http://www.fao.org/faostat/en/#data)(검색일: 2020.11.26.).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sun589@krei.re.kr).

본 고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2020/21년 KSP 쿠바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경험 교류’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2)

농지면적은

2011

640

ha

에서

2018

년에

10

ha

정도 감소하였으며

,

경작가능면적도 동기간

374

ha

에서

20

ha

가까이 감소하였다

.

그러나 관개면적은 동기간

53

6,000ha

에서

2

ha

정도 증가하였다

.

<표 2> 쿠바의 국토면적 및 농림지 면적 변화 추이

단위: 천 ha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국토면적 10,988 10,988 10,988 10,988 10,988 10,988 10,988 10,988

토지구역 10,686 10,664 10,422 10,402 10,410 10,404 10,380 10,380

농지면적 6,407 6,405 6,342 6,278 6,240 6,226 6,300 6,300

경작가능면적 3,741 3,554 3,576 3,514 3,517 3,472 3,561 3,561

산림지역 3,982 3,032 3,083 3,133 3,184 3,241 3,242 3,242

내수면면적 301 323 566 586 578 584 608 608

관개면적 536 557 560 560 560 560 560 560

자료: FAO(http://www.fao.org/faostat/en/#data)(검색일: 2020.11.26.) .

쿠바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농산물은 사탕수수이며

,

사탕수수 다음으로 콩류

(

건조

),

카사바

,

옥수수

,

,

플랜틴류1)

,

고구마

,

호박류

,

기타 채소

(

신선

),

토마토 순으로 많이 생산하 고 있다

.

사탕수수의 생산량은

2011

1,190

만 톤에서

2018

년에는

1,965

만 톤까지 증가하였 다

.

같은 기간 콩류

(

건조

)

49

만 톤에서

84

만 톤으로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

옥수수도

59

만 톤에서

69

만 톤

,

플랜틴류

31

만 톤에서

55

만 톤

,

기타 채소

(

신선

)

27

만 톤에서

39

만 톤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사탕수수의 재배면적은

2018

년에

49

ha

로 쿠바 농산물 가운데 재배면적이 가장 넓다

<

그림

1>.

1) 플랜틴(Plantain)은 인도와 카리브해가 원산지인 바나나의 종류로 다른 바나나에 비해 크고 단맛이 덜하여 요리용으로 많이 활용됨(Naver 지식백과 인용).

(3)

<그림 1> 쿠바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과 재배면적 쿠바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

단위: 톤

쿠바의 주요 농산물 재배면적

단위: ha

자료: FAO(http://www.fao.org/faostat/en/#data)(검색일: 2020.11.26.).

쿠바의 원당

(

원심분리전

)

수출액은

2011

3

7,394

만 달러에서

2018

1

8,020

만 달러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

시가

(

셔루트

)

의 수출액은

2018

년 기준

1

9,387

만 달러로 완만 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그림

2>.

설탕

(

정제

)

의 수출액은

2011

25

만 달러에서

2017

년에

2,632

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

한편

,

쿠바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는 농식품은 닭고기이

,

수입액은

2011

1

7,217

만 달러에서

2018

3

488

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

(4)

쌀의 수입액은

2011

2

9,265

만 달러에서

2018

2

7,324

만 달러로

10%

가까이 감소 하였으나 여전히 주요 수입품목 중의 하나이다

.

<그림 2> 쿠바의 주요 농산물 수출과 수입액 쿠바의 주요 농산물 수출액

단위: 천 달러

쿠바의 주요 농산물 수입액

단위: 천 달러

자료: FAO(http://www.fao.org/faostat/en/#data)(검색일: 2020.11.26.).

1.2.

쿠바 농업기계화 현황

쿠바 농업부

(MINAG)

2018

년에 쿠바의 농기계 보유와 이용현황 등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

그 결과를 토대로

<

3>

에서 지역별 농기계

(

트랙터와 콤바인

)

보유 현황을 제시2)하였다

. 2018

년 기준

,

쿠바는 총

6

3,779

대의 트랙터와 콤바인을 보유하고

(5)

있다

.

이 중 트랙터는

6

1,859

대이며

,

콤바인은

1,920

대이다

.

재배면적

(ha)

당 농기계는

0.023

대이다

.

지역별로는

16

개 주

(Province)

중에서 마야비퀘

(Mayabeque)

지역이 가장 많은 농기계를 보유

(

전체의

10.27%)

하고 있다

.

<표 3> 쿠바 지역별 농기계(트랙터와 콤바인) 보유 대수(2018년 기준)

지역 트랙터와 콤바인

보유 대수

재배면적 당 농기계수

재배면적

(ha)

농기계수

/ha

Pinar del Río 3,520 195,637 0,018

Artemisa 5,070 128,675 0,039

La Habana 1,825 18,225 0,100

Mayabeque 6,457 143,159 0,045

Matanzas 5,497 220,032 0,025

Villa Clara 5,606 278,647 0,020

Cienfuegos 3,477 141,689 0,025

Sancti Spíritus 4,802 191,359 0,025

Ciego de Ávila 4,599 180,071 0,026

Camagüey 6,199 267,127 0,023

Las Tunas 3,314 176,045 0,019

Holguín 4,130 237,898 0,017

Granma 4,682 250,437 0,019

Santiago de Cuba 2,629 206,002 0,013

Guantánamo 1,463 119,378 0,012

Isla de la Juventud 509 108,230 0,005

Total 63,779 2,765,213 0,023

자료: Otto(2021).

쿠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트랙터의 브랜드는

YUMZ(2

8,673

), MTZ(1

4,094

))

이며

,

콤바인의 브랜드는

KTP(1,134

)

이다

.

그러나 대부분의 농기계가 노후화되었으며

,

부품 조달뿐만 아니라 유지

/

보수가 어려운 상황이다

.

쿠바의 농업기술연구소

(Agricultur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Iagric)

에서 제공한 자료에 의하면

,

트랙터와 콤바인

(

자가동 력

) 6

3,433

대 중에서

12.7%

에 달하는

8,046

대가 고장으로 인해 작동되지 않고 있는

2) 쿠바의 농기계 현황은 쿠바 농업 전문가인 Dr. Otto Manuel(쿠바 열대농업기초조사연구소 소속)에게 의뢰한 영문 원고 내용 중 일부분을 요약한 것임.

(6)

것으로 나타났다

(IAgric. 2021a).

또한 쿠바 아르테미사

(Artemisa)

(province)

의 알퀴자르

(Alquizar)

지역

(municipality)

에는

770

대의 트랙터가 농업에 활용되고 있다

(

트랙터

1

대당 재배면적은

134ha).

그러나

50%

이상의 농기계의 사용기간이

40

년을 초과하여 농기계의 교체와 수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IAgric. 2021b).

1.3.

쿠바의 농업관개 현황

농업용수가 쿠바의 전체 수자원 소비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2013

년 기준 쿠바의 전체 수자원 중에서 농업용수

65%,

생활용수

24%,

산업용수

11%

로 각각 소비되고 있다

.

농업 관개면적은

2017

년 기준 농업재배 면적의

18%

를 차지하며

,

품목별로는 쌀 재배 면적의

66.3%,

담배 재배면적의

63.58%,

채소류 재배면적의

33.56%,

사탕수수 재배면적의

7.91%

를 차지하고 있다

<

4>.

<표 4> 쿠바 작목별 관개면적과 비율(2017년 기준)

작목 재배면적

(ha)

관개면적

(ha)

관개 비율

(%)

근채류 221,688.87 29,116.11 13.13

218,307.62 44,762.99 66.31

콩류(bean) 72,973.16 19,881.92 27.25

대두(soya) 6,907.03 262.81 3.80

옥수수 142,356.80 2,7881.41 19.59

기타 곡물 30,159.49 6,674.47 22.13

담배 42,516.42 270,033.06 63.58

사탕수수 972,556.36 76,955.37 7.91

감귤류(citric) 22,929.01 13,098.51 57.13

인조 잔디 120,714.65 1,326.99 1.10

사료 123,931.27 2,703.70 2.18

채소 63,409.27 21,282.35 33.56

바나나 99,496.77 15,506.70 15.59

합계 2,137,946.76 386,486.39 18.08

자료: Otto(20213)).

3) 원자료는 쿠바 농업부(MINAG), (2017). Evalúan gestión de Ingeniería Agropecuaria en Cuba durante 2017.

(7)

2010

년 기준

,

관개면적의

75%

는 자연관개

(gravity irrigation)

이며

(

펌프

41%,

펌프없는 시설

34%),

스프링클링 관개

(sprinkling irrigation)

19%

이다

(Otto, 2021).

자연관개는 초기 설치비용이 적기 때문에 쿠바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이지만

,

관개 효율은 매우 낮다

.

쿠바는 향후 심각한 가뭄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이용 가능한 수자원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

수자원 이용 효율이 높은 농업용수 관리와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담당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

쿠바 정부는

‘2016-2021

경제사회개혁안 가이드라인

24’

를 통해 관개 시스템의 개선

,

관개기술 도입 등과 관련한 투자를 확대하여 수자원 확보에 우선을 둔다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으며

, ‘2016-2021

경제사회개혁안 가이드라인

161’

을 통해 관개와 배수

,

수력기반 시설의 개발

,

시설의 유지 및 보수 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1.4.

쿠바 농업의 당면과제

쿠바 정부는

2020

7

월 각료회의를 통해 수정된 중장기 경제사회개발계획을 확정하였다

.

국가경제사회개발계획

2030’

은 계획경제 체제를 유지하되 국가의 생산력 강화

,

수입 축소 및 수입대체 산업화 추진

,

내수시장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자율성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제사회개발계획은 총

16

개의 중점 산업분야를 제시하고 있다

.

제시된

16

개 분야 중 농업 과 관련된 분야는 식품생산

,

설탕생산

,

에너지

,

물류

,

제조

,

대외무역 등이 있다

.

쿠바 정부는 국가 경제사회개발계획을 바탕으로 식료품의 수입 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농산물 생산증대 와 수출품의 다변화를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

기본개념

16

개 중점 산업분야

계획경제체제 유지

국가 생산력 강화, 수입 축소 및 수입대체 산업화 비공식 부문에 대한 규제 강화

내수시장 활성화, 민간부문의 자율성 강화

민간부문 관련 세부규정 설립 및 공공부문과의 관계 재정립 과 경제주체 간 상호보완성 강화

사회 전반의 경쟁력 강화, 업무 수행을 위한 동기 강화, 자원 의 효율적 사용 확대 등

사회질서와 맞는 환경정책 수립

1. 식품생산 2. 설탕생산 3. 관광 4. 전문인력 파견 5. 보건

6. 제약 및 생명공학 7. 통신

8. 건설

9. 에너지 10. 물류 11. 상하시설 12. 제조 13. 내수경제 14. 대외무역 15. 금융 16. 사회안전망

<표 5> ‘국가경제사회개발계획 2030’의 주요 내용

자료: KOTRA 쿠바 아바나 무역관(https://www.kotra.or.kr/kbc/KTMIUI110M.html). 해외시장뉴스(2020.9.22.).

(8)

그러나 쿠바는

2019

9

월 미국의 베네수엘라 원유 수출 제재에 따른 원유 수급 악화로 인해 농업생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쿠바의 대표 수출품인 설탕을 생산하는 공장 중

2

곳이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가동이 중단되고 있으며

,

일부 농장의 경우 황소 또는 쟁기 등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확하고 있다

(KOTRA

아바나 무역관

, 2020a).

쿠바 정부는 농업생산량 확대를 위해 농업기술 개발

,

노후한 농기계 교체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

여전히 낙후된 농업기술과 농기계 부족으로 농업생산성 제고에는 한계가 있다

.

쿠바 국내에는 농기계 제조업체

(Azutecnia)

가 있으나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장비는 생산할 수 없어서 대부분의 농기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KOTRA

아바나 무역관

, 2020b).

또한 쿠바는 강우량이 풍부한 일부 동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

쿠바 정부는

2012

년부터

물 정책

(National Water Policy)’

을 수립하여 농업 등 산업별로 물 소비지수 도입

,

물 재사용 및 빗물 저장시설 확대

,

농작물 관리에 점적관개 시스템

(Drip system)

도입 확대 등의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KOTRA

아바나 무역관

, 2020b).

그러나 쿠바 농지의 관개면적은

2018

년 기준

56

ha

로 전체 농경지 면적

(356

ha)

15.7%

에 그치고 있어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관개수로 개선과 확대

,

물관리 기술개발 등이 필요하다

.

2. 국제협력사업의 추진 현황

2.1.

국제사회의 對 쿠바 개발협력 현황

쿠바의

1

인당

GDP

규모는

2018

년 기준

8,747

달러로 고중소득국

(UMIC)

으로 분류된다

.

국제사회의 對 쿠바

ODA

전체 지원 규모는

2015

년부터

2018

년까지

37

800

만 달러이며

,

농업분야에 대한 지원규모는 전체의 약

1.9%

규모인

7,200

만 달러이다

<

6>.

같은 기간 농업분야 중에서 축산에 대한 지원이 가장 많으며

(

3,000

만 달러

),

농업개발

(1,600

만 달러

),

식량생산

(1,300

만 달러

),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분야

(

500

만 달러

)

순으로 지원이 이루어졌다

.

그러나

,

농업 수자원 관리

,

농업연구

,

농업기술 보급

,

농업교육 및 훈련 등의 분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은 거의 미미한 수준이다

.

(9)

<표 6> 국제사회의 대 쿠바 ODA 지원 현황(2015~2018년)

단위: 100만 달러

분야

2015 2016 2017 2018

총합

전체 ODA 273.145 2,581.695 500.757 352.966 3,708.562

300: III. 생산부문 5.638 8.796 55.081 12.548 82.063

310: III.1. 농업·임업·어업 전체 4.534 6.946 51.827 10.286 73.594

311: III.1.a. 농업 전체 4.432 6.902 50.821 10.272 72.427

31110: 농업 정책 및 행정관리 0.693 2.308 1.354 0.429 4.785

31120: 농업개발 2.012 2.469 6.350 5.616 16.446

31130: 농지 관리 - - 0.334 - 0.334

31140: 농업 수자원 관리 - - - - -

31150: 농업 투입재 - 0.293 0.056 - 0.349

31161: 식량생산 0.101 0.237 10.992 1.770 13.101

31162: 경제작물/수출작물 - - - -

31163: 축산 0.564 0.188 30.122 - 30.874

31165: 농업개발 0.003 - 0.239 0.221 0.463

31166: 농업 기술보급 - - - -

31181: 농업교육 및 훈련 - - 0.032 - 0.032

31182: 농업연구 0.691 0.360 0.466 0.210 1.728

31191: 농업서비스 - - 0.282 0.456 -

31192: 병충해 구제 - - 0.019 - 0.019

31194: 농업협동조합 0.368 1.046 0.574 1.571 3.558

312: III.1.b. 임업 전체 0.101 0.013 0.691 0.014 0.820

31210: 임업정책 및 행정관리 - - 0.000 - -

31220: 임업개발 0.012 0.012 0.691 0.014 0.730

31281: 임업교육 및 훈련 0.087 - - - 0.087

31282: 임업 연구 - 0.001 - - 0.001

31291: 임업서비스 0.001 - - - 0.001

43040: 다부문(농촌개발) 0.710 0.346 2.664 0.461 4.182

주 1) 약정액 기준

2) 2018년 실질가격 기준

자료: OECD STAT(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crs1)(검색일: 2020.11.29.).

2.2.

우리나라의 對 쿠바 개발협력 현황

쿠바는 우리나라의

ODA

지원 중점협력국가에 포함되지 않으나

,

지난

10

년간

(2010~2020)

35

개 사업에 대해

1,500

만 달러의

ODA

무상원조가 이루어졌다

<

7>. ODA

지원 기관

(10)

중에서 한국국제개발협력단

(KOICA)

17

개 사업에 대해 약

1,000

만 달러의 무상원조를 지원하였으며

,

기획재정부에서

9

개 사업에 대해

190

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 KOICA

에서는 쿠바의 공업

,

문화

,

식량원조

,

환경정책 등의 분야에 대해 지원을 하였으며

,

기획재정부는 쿠바의 비즈니스

,

무역

,

통상 등의 분야에 대한 정책컨설팅사업

(KSP)

을 지원하였다

.

그 외 외교부에서는 세계식량계획

(WFP),

세계보건기구

(WHO)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다자 성양자사업

5

개 사업에 대해 약

200

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

반면

,

지난

10

년간 쿠바의 농업분야에 대한 지원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

농업분야에 대한 지원 규모는 전체

ODA

지원액의 약

6.1%

530

만 달러에 지나지 않았다

<

8>. KOICA

에서

WFP

와의 다자성양자사업을 통해 쿠바 동부지역의 식량공급 시스템을 강화하는 사업 을

2020

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

기획재정부에서

KOTRA

를 통해 쿠바의 지속가능농업을 위한

KSP(Knowledge Sharing Program)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쿠바의 농업과 농식품 분야는

국가경제사회개발계획

2030’

의 첫 번째 중점분야이며

,

쿠바 경제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

쿠바 농업에 대한 우리나라의 개발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

<표 7> 우리나라의 對 쿠바 ODA 지원 현황(2010~2020)

기관명 사업개수 총사업비

(1,000

달러

)

한국국제협력단(KOICA) 17 10,875

기획재정부 9 1,878

외교부 5 2,100

문화체육관광부 2 57.6

방송통신위원회 1 13.1

해양수산부 1 28.9

35 14,952.6

자료: ODA코리아(ODA통합정보포털; www.kodapotal.go.kr)(검색일: 2021.9.1.).

(11)

<표 8> 우리나라의 對 쿠바 농업분야 ODA 지원 현황(2010~2020)

기관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분야 사업비

(1,000

달러

)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쿠바 자연재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 한 동부지역 식량공급시스템 강화 사 (WFP)

’20-’24 농업개발 5,000

기획재정부 (20/21 KSP 정책자문) 쿠바 지속 가능

한 농업발전 경험 교류(KOTRA) ’20-’21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306

5,306

자료: ODA코리아(ODA통합정보포털; www.kodapotal.go.kr)(검색일: 2021.9.1.).

3. 개발협력 추진 방향

앞서 쿠바 농업분야의 당면과제에서 살펴보았듯이 쿠바는 경제악화로 인한 유류 수급의 문제

,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물 부족과 농업용수 관리의 문제

,

농기계의 노후화 와 장비 부족 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농식품 생산 확대와 생산성 제고는 쿠바 농업의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정책 목표이다

.

쿠바의 지속적인 농업발전과 농업생산 성 제고를 위해서는 농업가치사슬 단계별 농업기술 개발

,

농업용수 개발 및 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개발협력이 필요하다

.

그러나 본 원고에서는 다양한 개발협력 분야 중에서도 쿠바 농업 여건에서 절실히 필요한 농업기계화 촉진을 위한 개발협력 방향을 간략히 제시하고자 한다

.

먼저 쿠바의 농업기계화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

쿠바의 농업기계화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농업기계화의 중장기 목표

,

농기계

R&D

와 농기계 산업 육성을 위한 세부적인 추진계획

,

농기계 이용

(

구입 또는 임대

)

지원계획

,

농기계 교육과 인력양성 계획

,

농기계화를 위한 정부 예산 확보 방안 등을 포함하는 농업기계화 기본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이러한 부분은 한국의 농기계화 정책경험을 바탕으로 쿠바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12)

<그림 3> 쿠바의 농업기계화 촉진을 위한 정책 방향

자료: 저자 작성.

두 번째로

,

쿠바는 대부분의 농기계를 중국

,

브라질

,

독일

,

이탈리아 등에서 수입하고 있으므로

,

쿠바의 농업환경

(

기후

,

토양 등

)

에 적합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농기계를 직접 개발 및 생산하도록 지원하는 개발협력이 필요하다

.

이를 위해서는 쿠바의 농기계 관련 연구소와 대학이 직접 참여하고 관련 업체와 연계된

농기계

R&D

센터

를 중앙정부의 농업부

(MINAG)

내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

쿠바의 농업 여건에 맞는 농기계를 개발하여 생산할 뿐만 아니라

,

농기계 기술 교육 및 훈련 등을 통해 농기계 기술자를 양성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세 번째로는 농기계의 이용과 유지 및 보수 등을 위한 지원체계가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의 시군단위 농업기술센터와 농기계임대사업소와 같은 형태의

농업기 계화센터

를 주

(province)

단위와 군

(municipality)

단위에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

농업기계 화센터

는 농기계 관리

,

농기계 임대

,

농기계 수리 및 이용 교육

,

농기계 이용자

(

예를 들면

,

집단농장

(UBPC),

협동조합

(CPA, CCS),

개별 농가 등

)

조직화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

계획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쿠바의 대내외적 여건으로 인해 민간부문의 농기계산업 육성은 한계가 있을 수 있어 우선적으로는 정부의 주도하에 농기계 정책을 수립 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개발협력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참고문헌

KOTRA(

아바나 무역관

). 2018. ‘

쿠바

,

다목적 수로사업으로 물 부족 극복한다

’.

해외시장뉴스

(2018.2.23.).

KOTRA(

아바나 무역관

). 2020a. ‘

쿠바

,

에너지난 지속에 따른 주요 산업분야 타격

’.

해외시장뉴스

(2020.3.25.).

KOTRA(

아바나 무역관

). 2020b. ‘

쿠바

,

중장기 경제사회 개발계획 발표

’.

해외시장뉴스

(2020.

9.22.).

Otto Manuel Andérez Ramos. 2021. Agricultural situation in Cuba.

미발간 원고

.

쿠바 농업기술연구소

(IAgric). 2021a. Politics for the maechanization, irrigation, the

agricultural drainage and the supply of water to the animals; Executive summary.

미발간 요약 원고

.

쿠바 농업기술연구소

(IAgric). 2021b. Characterization of the Municipality of Alquizar.

미발간 원고

.

참고사이트

FAO STAT(http://www.fao.org/faostat/en/#dat).

KOTRA

아바나 무역관

(https://www.kotra.or.kr/kbc/KTMIUI110M.html) ODA

코리아

(ODA

통합정보포털

;www.kodapotal.go.kr)

OECD STAT(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crs1)

Naver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607339&cid=40942&categoryId=40028)

참조

관련 문서

글로벌 해커톤 서울을 통해서 전 세계에 의미있는 솔루션을 개발하 고자 하며, 서울특별시와 WFUNA(유엔협회세계연맹)와의

[r]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국제개발협력학회(KAIDEC)는 개발협력 분야에 처음 진입 하는 아카데미 파트너를 대상으로 역량강화 교육을 수행하고, 아카데미 파트너의 전문성

FDA에서는 Thalidomide를 임산부에 투여 시 심각한 최기형성을 유발할 수 있는 약제인 점을 고려하여 특별한 관리 프로그램 (Thalomid REMS)을 통해서만 처방 또는 조제가

[r]

회사 및 채용에 관한 소개는 당사 홈페이지(career.kyobo.co.kr)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금 차 채용에 관련한 문의는 상기 채용담당자에게 연락

University of Washington 에서는 Space Pen 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Sketch 를 가상공간에서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2D Sketch 를 3D 환경으로 투영시키는 과정에서의

창조경제 건설을 위해서는 많은 유관 부처간 정책 공조가 요구되 며, 미래창조과학부는 정책 콘트롤 타워 기능 및 과학기술과 ICT 진흥이라는 양날개 전략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