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급냉 전기로 산화슬래그와 저탄소시멘트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급냉 전기로 산화슬래그와 저탄소시멘트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건식 바텀애시 굵은골재를 사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 164 -

급냉 전기로 산화슬래그와 저탄소시멘트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the Concrete with Low Carbon Cement and Rapidly Cooled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선 정 수*1) 최 선 미* 성 종 현** 복 영 재** 최 덕 진*** 김 진 만****

Sun, Joung-Soo Choi, Sun-Mi Sung, Jong-Hyun Bok, Young-Jae Choi, Duck-jin Kim, jin-Man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rete being used the CaMg based low carbon cement(LCC) as a binder and the rapidly cooled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EAF slag) as a fine aggregate. When using the sand as a fine aggregat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using LCC, as a binder, was reduced 9% comparing with that of OPC concrete. However, when using the EAF slag as a fine aggregate,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by 9%.

We found that combination LCC and EAF slag contribute to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키 워 드 : 백운석, 급냉 전기로 산화 슬래그, 저탄소시멘트

Keywords : dolomite, rapidly dooled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low carbon cement

1. 서 론

본 연구는 철강 산업에서 발생하는 제강슬래그를 급냉하여 제조한 급냉 전기로 산화슬래그(이하 EAF Slag)와 백운석을 약 600~80 0℃에서 탈탄산 반응을 거쳐 제조된 활성마그네시아를 포함한 저탄소시멘트(이하 LCC)를 결합재로 사용할 경우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 여 압축강도를 비교 평가한 것이다.

2. 실험계획 및 방법

본 연구의 실험계획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재 및 잔골재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을 검토한 것으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 의 특성 검토를 위하여 공기량 5.0±1.5%, 슬럼프 및 경시변화와 응결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압축강도와 내구성 검토를 위한 염소이온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다.

Factors Levels Test items

Binder OPC, LCC1) - Slump, Air content, Setting time

- Compressive strength, Chloride ion penetration Fine Aggregate Sand, ES2)

#1 LCC : Low carbon cement

#2 ES : Rapidly cooled electru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EAF slag)

표 1. Plan of experiment

표 2는 실험 배합으로 W/C는 47%, S/A는 48.7%로 하였으며, OPC와 LCC에 잔골재로 표준 입도 곡선에 만족하는 모래와 급냉 제강 슬래그를 100% 치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3. 실험결과

콘크리트 실험 배합을 진행한 결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타났다. 특히 슬럼프의 경우 결합재 종류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교신저자(jssun@kongju.ac.kr)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 공주대학교 친환경콘크리트연구소 연구원, 공학박사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2)

2013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제13권 2호, 통권 제25집)

- 165 -

ID W/C

(%) S/A (%)

Unit weight(㎏/㎥) Fresh concrete

Slump(㎜) Air content(%) Setting time W C LCC S ES G Initial 30min 60min Initial 30min 60min Initial Final Plain

47 48.7

152 325 865 921 155 80 60 4.5 4.4 3.6 7:55 11:25

ES100 152 325 1,185 921 195 180 170 4.0 4.3 4.5 11:25 13:50

LCC100 152 325 865 921 160 120 110 4.6 4.5 4.0 5:25 11:55

ESLCC100 152 325 1,185 921 200 190 180 5.5 5.4 5.0 11;05 14:15

표 2. Mixing design & experiment results of fresh concrte

그림 1. Compressive strength & Total charge passed according to types of batching

에 상관없이 EAF slag를 사용한 ES100 및 ESLCC100이 각각 195, 200㎜으로 일반 모래를 사용한 배합과 비교하여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AF slag 잔골재의 경우 구형율 0.8 이상, 밀도 3.6g/㎤이상으로 모래와 비교하여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으로 판단되어진다.

또한 7, 14, 28일 재령에서 압축강도 시험 결과 그림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잔골재로 EAF slag를 적용한 ES100 및 ESLCC100이 동일 W/C비 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의 내구성 측정을 위하여 콘크리트 염소이온 침 투 저항성 측정 결과 EAF slag를 사용한 배합의 경우 일반 모래를 사용한 배합과 비교하여 50%이상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전위차를 작용시켜 염소이온이 콘크리트를 강제로 통 과하도록 하여 그 통과 전하량으로 콘크리트의 침투 저항 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슬래그의 FeO 산화물에 의한 영향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결합재로서 CaMg계 저탄소 시멘트를 사용하고 잔골재로서 EAF slag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성상 및 굳은 성상에 대한 특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LCC(저탄소 시멘트)를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 잔골재 종류에 따라 약 ±10%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계배합 강도 27

㎫는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EAF slag를 잔골재로 사용한 배합의 경우 일반 모래를 잔골재로 사용한 배합과 비교한 결과 유동성 증진 및 강도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측정 결과 EAF slag의 경우 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내구성 측정을 위한 투수 및 기체 투과 시험 등 추가적인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광역경제권연계협력(과제번호 : R0000621) 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참 고 문 헌 1. 지식경제부, 석회석 자원등을 활용한 저탄소산업 육성사업에 관한 보고서, 2011.

2. 이원영, 급냉 제강슬래그 잔골재의 입형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제10권 제2호, 2010 3. 한국표준협회 KS F 2711 전기전도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 방법, 2002

참조

관련 문서

또한 제조된 PP-g-MA-St을 PP/클레이 나노 복합재료의 상용화제 로 사용한 결과 스티렌의 투입량을 높일수록 제조된 복합재 료의 기계적인 물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압력, 용액의 농도 및 용매의 변화에 따른 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조사하였고 SEM, XRD 및 HPLC를

이 연구의 단기적인 목적은 실험실에서 사용한 기기 및 배관에 남아 있는 폐소듐을 처리함에 있고, 장기적으로는 대형 실험시설과 원자로 등에서 사용한 폐소 듐을 처리하고,

하지 만 수용상 점도증진제 Na + MMT를 사용한 경우에는 농도 증가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약간 증가하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Figure 3의 점도비 1을 기준으로 점도비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고분자 알지네이트(high molecular weight sodium alginate, M w : 446400)는 Junsei사의 제품을 사용하 였으며 저분자화시키는데 사용한 과산화수소(hydrogen

공업분석에서는 극성용매를 사용한 시료가 비극성용매를 사용한 시료보다 Ash 함량이 높았고, BET분석을 통해 희석침전방식을 사용한 시료가 감압증류를 사용하여 건조한 시료보다

Thermal conductivity of PP/MWCNT and PP/MWCNT-d composites with the variation of MWCNT contents.. DSC cooling thermograms of PP/MWCNT composites according

발전용 연료전지는 시스템 효율 등을 고려하여 수백 kW 이상의 규모로 개발되고 있으며, 발전핵심부는 연료전지 단위전지가 적층된 스택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연료전지는 발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