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노칼슘이 장내 칼슘 흡수 및 골교체율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나노칼슘이 장내 칼슘 흡수 및 골교체율에 미치는 영향"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나노칼슘이 장내 칼슘 흡수 및 골교체율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강지현․유병연

Effects of Nano-sized Calcium on Intestinal Absorption and Bone Turnover

Jee-Hyun Kang, Byung-Yeon Yu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Objectives: We compared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nano-sized calcium supplements (synthesized by wet-chemical method or the dry-grinding method of calcium carbonate) and one micro-sized calcium supplement (calcium carbonate) on intestinal absorption and bone turnover in 20 young women.

Materials &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hree week cross-over design. The subjects ingested one of three different calcium supplements (1 dose of 500 mg Ca++) at 8 AM, which was repeated three times weekly. Serum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calcium load using a time table (serum sampling 0, 2 hr, 4 hr, 8 hr after loading; urine sampling 0, 4 hr, 8 hr after loading).

Results: Serum ionized calcium and para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changed in response to all calcium supplements loading, the difference among calcium supplement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postload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and the N-telopeptide/creatinine rati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calcium supplement over time by repeated measured ANOVA.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effect of nano-sized calcium supplements synthesized by the wet-chemical method is superior to the other calcium supplements in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and bone turn-over.

Key Words: Nano-calcium by wet-chemical method, Nano-calcium by dry grinding method, Calcium absorption, Bone-turnover

Received: August 12, 2010 Revised: September 10, 2010 Accepted: October 3, 2010

Corresponding Author: Jee-Hyun Ka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Gasuwon-dong, Seo-gu, Daejeon, 302-718, Korea

Tel: +82-42-600-9240, Fax: +82-42-600-9240 E-mail: jeehyunkang@yahoo.co.kr

적절한 칼슘의 섭취는 골다공증과 골절 예방에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식이 칼슘 섭취의 감소는 대장암 과 고혈압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1,2

칼슘의 1일 권장섭취량은 칼슘 섭취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증 가하는 추세로, 2005년 한국영양학회의 영양섭취기

준에 의하면 20세 이상 성인에서 700 mg 이상, 50세 이상 폐경기 여성에서는 800 mg 이상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2007년 대한골대사학회에서는 성인 에서는 하루 1000 mg, 18세 미만 청소년과 50세 이 상 성인에서는 하루 1,200 mg의 칼슘을 섭취할 것을 권장한 바 있다. 그러나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 료에 의한 평균 칼슘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의 63.6%

(남자 72.0%, 여자 55.3%)로 특히 여성에서 칼슘 섭 취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우유와 유제품은 칼슘의 좋은 급원이지만 유당불

내성을 가진 한국인이 많고, 평상시 식사로는 칼슘

(2)

Fig. 1. Study design.

섭취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므로 칼슘제의 복용이 필 요한 경우가 많다. 칼슘제로는 칼슘의 함유량이 높 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탄산칼슘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실제 섭취한 칼슘량에 비해 체내 흡수율은 평균 26.4~29% 정도이며, 대부분의 다른 종류의 칼 슘염의 흡수율도 23~37%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4

나노칼슘은 나노 단위의 크기를 가진 칼슘으로 기 존의 마이크로 크기의 칼슘보다 약 1/1000 정도의 크 기를 가진다. 나노칼슘은 기존의 마이크로 크기의 칼 슘에 비해 표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쉽게 용해되어 칼슘의 체내 흡수율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나노칼슘의 제조는 굴 껍질 등을 건식 분쇄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온화되기 쉬운 칼슘이 포함된 분말과 특수 반응촉 매 용액제를 원자단위에서 화학반응시키는 습식화 학합성 방법을 통한 나노칼슘도 개발되었다.

최근 18주간 난소절제쥐를 대조군, 탄산칼슘 섭취 군, 이온화 칼슘 섭취군, 나노칼슘 섭취군으로 나누 어 비교한 연구에서 건식분쇄방식으로 제조된 나노 칼슘 섭취군에서 골흡수의 표지자를 가장 효과적으 로 억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5

그러나 현재까지 습식화학합성 방법을 통해 합성된 나노칼슘의 칼슘 흡수율이나 골교체율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 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습식화학 합성방법을 통해 제조된 나노칼슘과, 건식분쇄방법 을 통해 제조된 나노칼슘, 그리고 마이크로 크기의 탄산칼슘을 비교하여 성인 여성에서 칼슘흡수율과 골교체율에 미치는 영향, 부작용 등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지원자 모집 및 대상자 선정

지원자 모집공고를 통해 20~39세의 여성 지원자 를 모집하여 지원자에게 시험목적 및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참여에 동의한 지원자 중 문진, 진 찰, 신체검사를 시행하여, 특별한 증상과 질병이 없 으며, 갑상선 및 부갑상선 질환, 당뇨병 등 내분비질 환이나, 칼슘 및 골대사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간질

환, 위장관계 질환, 신장질환,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악성질환, 정신질환, 영양실조 등의 질병 기왕력이 있는 경우, 골 및 미네랄 대사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 진 약물 또는 건강식품으로 호르몬 보충요법, 골다 공증 치료제, 칼슘제제, 비타민 D제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을 현재 복용하고 있거나 과거 6개월 이내 투약 받은 경력이 있는 경우, 임신이나 수유 중인 경 우, 천식 및 기타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최근 6개월 이내 수술 병력이 있는 경우, 2회 측정한 평균 혈압이 ≥160/100 mmHg이거나 혈압약을 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 등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20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시 행 기관의 윤리위원회 승인을 거친 후 시행되었다.

2. 시험 방법

칼슘제제의 장내 흡수율 비교를 위해 피험자로 선 정된 만 20~39세의 폐경 전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습식합성 나노칼슘제제, 건식분쇄 나노칼슘제제, 일 반탄산칼슘제의 3가지 칼슘제제를 교차하여 각각 복용하는 시험을 3주간 진행하였다.

최종 선정된 대상자에게는 시험 시작 1주일 전부 터 시험이 완료될 때까지 음주나 흡연, 건강식품을 포함한 약물복용은 일절 금하도록 하였으며, 우유와 유제품, 뼈째 먹는 생선 등의 섭취를 제한한 저칼슘 식사를 하도록 교육하였다.

각 시험은 칼슘제제의 종류를 제외하고는 다음과 같이 1주 단위로 3주간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칼 슘제제의 복용 순서는 피험자마다 무작위로 결정되 었다(Fig. 1).

대상자는 시험 전날 저녁 8시부터 12시간 금식을

한 후 다음날 아침 공복 상태에서 혈액검사(칼슘 이

(3)

온, 부갑상선호르몬, 오스테오칼신) 소변검사(칼슘, 크레아티닌, N-telopeptide)를 받았다. 혈액검사와 소 변검사를 마친 후 대상자들에게 제공된 칼슘제제를 섭취하도록 하였고, 그 후 칼슘제 복용 30분 후, 2시 간, 4시간, 8시간째에 채혈하여 칼슘 복용 전과 동일 한 항목을 측정하였다. 소변검사는 칼슘복용 전과 칼슘복용 4시간째, 8시간째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에 게 칼슘 복용 8시간째 채혈 및 소변검사가 끝날 때 까지 제공된 음식과 약물 외에는 아무것도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하였으며,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 였다.

3. 혈액 및 소변 검사

혈청 칼슘 이온 농도의 측정은 Radiometer ABL- 815 Analyzer (Copenhagen, Denmark)로, 부갑상선호 르몬 농도의 측정은 화학발광면역법(chemilumine- scent immunoassay)에 의해 intact parathyroid hormone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참고값은 15.0~68.3 pg/mL였 다. 혈청 오스테오칼신과 N-telopeptide는 골대사의 생 화학적 표지자로, 혈청 오스테오칼신은 방사선면역법 에 의해, Type I collagen의 N-telopeptide는 osteomark- NTx ELISA kit를 이용하여 효소면역흡수법(ELISA, enzyme-linked immunoabsorbant assay)에 의해 측정되 었다. 혈청 오스테오칼신의 참고값은 8.8~39.4 ng/mL 이며, 소변 N-telopeptide의 참고값은 5.0~65.0 nm bone collagen equivalents/mL Creatinine였다.

4. 통계 분석

측정값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3가지 칼슘제제에 대하여 동일인에서 시간에 따라 5 회의 혈액검사와 3회의 소변검사를 실시하였으므로 모든 검사 항목에 대하여 반복 측정된 자료의 분산 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시행하여 각 칼 슘제제들 사이에 시간의 변화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산분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경우에는 다중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칼슘제 제별로 칼슘섭취 전후에 측정값의 유의한 변화가 있 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부 작용의 발생 빈도 비교를 위해 카이제곱분석을 시행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sion 13,

Chicago, USA)를 이용하였으며, P value가 0.05 이하 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연구 대상자는 과거력과 신체검사, 사전 혈액 검사 등을 통해 특별한 증상과 질병이 없다고 진단된 평균 24.7±3.0세의 여성 20명이었으며, 대상자 전원이 중도 탈락 없이 3주간의 연구를 모두 종료하였다.

1. 혈청 칼슘 이온 농도 변화 비교

500 mg 경구칼슘부하 후 혈청 칼슘 이온의 농도 는 습식합성 나노칼슘과 일반탄산칼슘을 복용한 경 우, 칼슘 복용 직후부터 증가하여 칼슘 복용 2~4시 간째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8시간째부터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건식분쇄 나노칼슘 복용 시에서는 칼슘제 복용 30분째는 칼슘 이온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가(paired t-test P=0.045), 복용 2시간째부 터 증가하여 4시간째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8시간 째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습식합성 나노칼 슘, 건식분쇄 나노칼슘, 일반탄산칼슘 모두 칼슘 복 용 전에 비해 복용 2시간째부터 칼슘 이온 농도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paired t-test P=0.000, P=

0.000, P=0.000 repectively),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시간에 따른 혈청 칼슘 이온 농도의 변화는 섭취한 칼슘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group, P=0.006; time, P=0.000; group * time, P=0.450) (Table 1, Fig. 2).

2.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 변화 비교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습식합성 나노칼슘과

일반탄산칼슘을 복용한 경우, 칼슘 섭취 직후부터 유

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aired t-test; P=0.000, P=0.000

respectively), 건식분쇄 나노칼슘을 복용한 경우에는

칼슘 섭취 30분까지는 유의한 변화가 없다가 2시간째

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0).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습식합성 나노칼슘군과 일반탄산칼슘

복용 시에서는 칼슘 복용 후 2시간째 최저치를 나타냈

으며, 건식분쇄 나노칼슘 복용 시에는 칼슘 복용 4시

간째 최저치를 보였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혈청 부갑

(4)

Nano-calcium by wet chemical method

Nano-calcium by dry-grinding method

Microsized calcium carbonate

P-value

(group *time) Ionized Calcium (mg/dL) 0.450

Before Ca load 4.39 (0.21) 4.42 (0.18) 4.27 (0.31)

After load 30 min 4.44 (0.26) 4.33 (0.2)* 4.36 (0.22)

2 hr 4.70 (0.26)* 4.60 (0.21)* 4.59 (0.14)*

4 hr 4.70 (0.23)* 4.69 (0.23)* 4.59 (0.19)*

8 hr 4.55 (0.17)* 4.57 (0.19)* 4.50 (0.18)*

Parathyroid hormone (pg/mL) 0.350

Before Ca load 63.9 (21.1) 56.6 (13.2) 60.2 (26.1)

After load 30 min 34.9 (11.5)* 58.1 (16.7) 40.1 (10.5)*

2 hr 23.1 (11.6)* 31.7 (12.5)* 28.2 (8.9)*

4 hr 31.0 (11.3)* 27.8 (7.5) 38.0 (14.0)*

8 hr 43.2 (11.5)* 44.0 (13.1) 47.2 (15.4)*

Osteocalcin (ng/mL) 0.179

Before Ca load 9.80 (2.9) 14.5 (3.4) 10.9 (2.4)

After load 30 min 9.90 (2.7) 13.9 (3.9) 10.1 (2.5)*

2 hr 9.70 (3.0) 14.4 (3.4) 9.9 (2.6)*

4 hr 10.5 (2.9)* 15.6 (3.4)* 10.4 (2.9)

8 hr 11.4 (3.1)* 16.7 (3.7)* 11.8 (2.8)

* P<0.05 by paired t-test (comparing withi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calcium loading),

comparing between the variables by repeated measured ANOVA.

Table 1. Serum ionized calcium, parathyroid hormone, and osteocalcin concentration over time before and after calcium load according to different calcium supplements; mean (SD)

Nano-calcium by wet chemical method

Nano-calcium by dry-grinding method

Microsized calcium carbonate

P-value

(group *time)

Urine N-telopeptide/Cr (nmBCE/mL/creatinine) 0.003

Before Ca load 111.4 (44.6) 56.7 (27.9) 53.5 (47.1)

After load 4 hr 88.7 (35.4) 33.3 (17.6) 100.7 (88.8)

8 hr 57.0 (21.3)* 29.2 (17.2)* 74.5 (21.3)

Urine Calcium excretion (urine calcium/creatinine) 0.003

Before Ca load 0.09 (0.05) 0.06 (0.05) 0.13 (0.11)

After load 4 hr 0.3 (0.13)* 0.16 (0.08)* 0.27 (0.13)*

8 hr 0.18 (0.09) 0.17 (0.09)* 0.14 (0.09)

* P<0.05 by paired t-test (comparing withi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calcium loading),

comparing between the variables by repeated measured ANOVA*, BCE; bone collagen equivalents.

Table 2. Urinary N-telopeptide and calium excretion over time before and after calcium loa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alcium supplements; mean (SD)

상선 호르몬 농도의 변화는 복용한 칼슘제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group, P=0.156; time, P=

0.000; group * time, P=0.350) (Table 1, Fig. 2).

3. 소변 칼슘/크레아티닌 배설률의 변화

소변 칼슘/크레아티닌 배설률은 칼슘 복용 전에

비해 복용 후 4시간째에 세군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습식합성 나노칼슘 복용 시에 일반탄산칼 슘이나 건식분쇄 나노칼슘 복용 시에 비해서 칼슘/

크레아티닌 배설률의 증가 폭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group, P=0.000; time, P=0.008; group * time,

P=0.003) (Table 2, Fig. 2).

(5)

Nano-calcium by wet chemical method

Nano-calcium by dry-grinding method

Microsized calcium

carbonate Total

Nausea 11 (55%)* 2 (10%) 2 (10%) 15 (25.0%)

Abdominal pain 7 (35%) 7 (35%) 7 (35%) 21 (35.0%)

Dizziness 1 (5%) 2 (10%) 1 (5%) 4 (6.7%)

Diarrhea 4 (20%)* 1 (5%) 0 (0%) 5 (8.3%)

Bloating 2 (10%) 1 (5%) 0 (0%) 3 (5.0%)

Arthralgia 0 (0%) 0 (0%) 1 (5%) 1 (1.7%)

Headache 1 (5%) 1 (5%) 2 (10%) 4 (6.7%)

Total 17 (85%) 11 (55%) 10 (50%) 38 (63.3%)

* P<0.05 by chi squre test (comparing between the variables).

Table 3. Adverse events after calcium loading; number (%)

4.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의 변화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는 습식합성 나노칼슘과 건식분쇄 나노칼슘 복용 시에 칼슘 복용 2시간째까 지는 유의한 변화가 없다가 칼슘 복용 4시간 후부터 칼슘 복용 전에 비해 유의한 농도 증가가 관찰되었 다(4시간째 각각 P=0.049, P=0.003; 8시간째 각각 P=

0.000, P=0.000). 반면 일반탄산칼슘 복용군에서는 칼슘복용 후 2시간까지 칼슘농도의 유의한 감소를 보이다가(P=0.008) 칼슘 복용 후 8시간째에는 칼슘 복용 전보다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가 증가되었으 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137). 시간에 따른 혈중 오스테오칼신의 농도 변화는 각 군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group, P=0.000; time, P=0.000; group * time, P=0.179) (Table 2, Fig. 2).

5. 소변 내 N-telopeptide (NTx)/Cr 농도비의 변화

소변 내 NTx/Cr 농도비는 칼슘 복용 전에 비해 습 식합성 나노칼슘과 건식분쇄 나노칼슘 복용 시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인 반면(칼슘 복용 8시간째 각각 P=0.000, P=0.001), 일반탄산칼슘 복용 시에서는 오 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시간에 따른 NTx/Cr 농도비의 변화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 며(group, P=0.000; time, P=0.008; group * time, P=

0.003), 습식합성 나노칼슘 복용군에서 건식분쇄 나 노칼슘이나 일반탄산칼슘 복용군에 비해 감소폭이 컸다(Table 2, Fig. 2).

6. 부작용

3종의 칼슘제 복용 후 발생된 부작용으로는 복통 이 2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오심(15건), 설사 (5건), 어지러움(4건), 두통(4건), 더부룩함(3건), 관절 통(1건) 등의 순서로 부작용이 발생되었다. 3가지 칼 슘제제 중 습식합성 나노칼슘 복용 시에 부작용을 호소한 대상자가 17명(85%)으로 부작용의 발생 빈도 가 가장 높았다. 습식합성 나노칼슘 복용 후 부작용 의 종류로는 오심(55%)이 가장 많았고, 그 외 복통 (35%), 설사(20%), 더부룩함(10%) 어지러움(5%), 두 통(5%) 등이 보고되었으며, 이 중 다른 칼슘제제에 비해 유의하게 발생 빈도가 높았던 부작용은 오심과 설사였다(P<0.01). 건식분쇄 나노칼슘의 경우 부작 용 발생 건수는 14건, 대상자는 11명(55%)이었으며, 일반탄산칼슘의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는 13건, 부 작용을 보고한 대상자수가 10명(50%)으로 건식분쇄 나노칼슘과 일반탄산칼슘 복용 시에 부작용 발생 빈 도와 종류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고 찰

한국인의 1일 칼슘섭취량은 권장량에 비해 많이

부족하므로 특히 폐경 후 여성에서 칼슘제제의 복용

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평균 24.7±3.0세

의 젊고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습식합성 나노칼슘과

건식분쇄 나노칼슘, 일반탄산칼슘 복용 후 칼슘 흡

수의 효율성과 골교체율을 비교하였다. 칼슘 흡수의

효율성은 칼슘 500 mg 1회 복용 후 혈청 칼슘 농도,

(6)

Fig. 2.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3 different calcium supplements on serum and urine variables over time before and after calcium load.

혈청 부갑상선호르몬 농도,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량 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혈청 칼슘 농도는 부갑상

선호르몬, 비타민 D, 칼시토닌, 에스트로겐 등의 호

르몬에 의해 장내 흡수, 골흡수, 신장의 세뇨관 재흡

(7)

수를 조절함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6

혈청 칼슘은 전체 칼슘의 약 50% 가량이 이온화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5

본 연구에서 칼슘 이온 농도는 칼슘 의 종류와 관계없이 500 mg 칼슘 1회 복용 후 2시간 째부터 유의한 상승을 보이다가 2~4시간째 최고치 에 도달한 뒤 8시간째부터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 며, 시간에 따른 칼슘 이온 농도의 변화는 세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갑상선호르몬은 8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호르몬으로 칼슘대사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호르 몬이다. 부갑상선호르몬은 칼슘 이온의 혈중농도가 낮을 때 부갑상선에서 분비가 증가되어, 뼈에서 골 흡수를 증가시키고, 신장 세뇨관에서 칼슘의 재흡수 를 촉진하여 칼슘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활성화 비타민 D

3

(1,25(OH)

2

Vitamin D

3

)의 생성을 증가시켜 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7-9

반대로 칼슘 이온의 농도가 높아 지게 되면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는데, 500~1000 mg의 경구 칼슘제 복용 후 부갑상선호르 몬 농도의 감소 정도 는 칼슘 흡수의 효율성과 비례 관계를 가지므로 복용한 칼슘의 생체 이용률을 나타 내는 지표로 흔히 이용된다.

4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1000 mg의 칼슘 복용 후 8~10시간 후면 기 저치로 회복된다.

10

본 연구에서 혈청 부갑상선호르 몬 농도는 칼슘제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칼슘 이온 농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통계적 인 차이는 없으나 습식합성 나노칼슘섭취 시에 다른 칼슘제에 비해 복용 후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 의 감소폭이 더 컸다.

다른 동물과는 달리 인간은 소변을 통해 많은 양 의 칼슘을 배설하며, 인체의 칼슘대사가 항상성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때 장내 칼슘 흡수의 증가는 소 변에서의 칼슘 배설량의 증가로 측정할 수 있다.

11

500 mg 경구 칼슘 부하 후 소변 내 칼슘 배설량의 증가는 흔히 칼슘 흡수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소변 내 칼슘 배설량은 경구 칼슘 부하 후 3~4시간째 소변 칼슘/크레아티닌 배설률로 측정하 는 것이 일반적이다.

4

경구 칼슘 부하 후 소변 칼슘/

크레아니틴 배설률은 시간에 따라 세 군 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으며, 칼슘 섭취 4시간째 소변 칼슘/

크레아티닌 배설률의 증가 폭은 습식합성 나노칼슘 을 복용했을 때 가장 컸으므로, 다른 칼슘 제제에 비 해 습식합성 나노칼슘 복용 시 칼슘 흡수의 효율성 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혈청 오스테오칼신과 소변 내 NTx/Cr 농도비는 골교체율을 나타내는 표지자로 혈청 오스테오칼신 은 주로 성숙한 골아세포에서 생성되는 골형성 표지 자이며, 소변 NTx는 Type-1 collagen의 N-telopeptide cross-linking domain으로 흔히 골흡수의 표지자로 사 용된다.

12

이전 연구에서도 경구 칼슘 부하가 골흡수 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특 히 공복 시에 더 크다고 알려져 있다.

13

이전 연구에 서 소변 NTX의 Intrasubject short-term variability는 0% to 54%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소변 NTX가 혈청 NTX에 비해 변동성이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14

본 연구에서 NTX baseline intrasubject variability가 크게 나타난 것은 생리주기에 따른 변화나 대상자의 수가 적어 우연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을 가능성 등을 생 각해볼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나노칼슘제제들은 500 mg 칼슘 1회 복용 시에도 골교체율을 반영하는 표지자가 유의하 게 변화되었으며, 특히 습식합성 나노칼슘은 다른 두 가지 칼슘제에 비해 시간에 따른 골흡수 억제 효과 가 칼슘 복용 8시간까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습식합성 나노칼슘은 다른 2종의 칼슘 제에 비해 오심과 설사 등 부작용의 빈도가 높았으 므로 1회 복용량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시작 전 대상자의 평

균 25(OH)Vitamin D

3

농도가 15.3±6.1 ng/mL로 비타

민 D 결핍 대상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생리주기

에 대한 고려가 없었던 점도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생

각된다. 또한 연구대상자가 20대의 젊은 여성만을 대

상으로 했기 때문에 일반화의 문제가 있으므로 대상

자의 연령과 성별, 대상자수 등을 다양화한 추가연구

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

료를 위해서는 칼슘제의 장기적인 복용이 필요하므

로, 나노칼슘제제의 장기 복용 시 골밀도 변화, 골절의

빈도, 부작용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8)

참 고 문 헌

1. NIH Consensus Conference. Optimal calcium intake: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ptimal calcium intake. JAMA 1994;272:1942-8.

2. WHO.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 sultation.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2003;

916:1-49.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4th one year, Korea (2007).

4. Gueguen L, Oiubtukkart A. The bioavailability of dietary calcium. J Am Coll Nutr 2000;19:119S- 136S.

5. Park HS, Ahn J, Kwak HS. Effect of nano- calcium-enriched milk on calcium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J Med Food 2008;11(3):454-9.

6. Boden SD, Kaplan FS. Calcium homeostasis. Orthop Clin North Am 1990;21:31-42.

7. Herfarth K, Drechsler S, Imhoff W, Schlander M, Engelbach M, Maier A, Schmidt-Gayk H. Calcium regulating hormones after oral and intravenous calcium administration. Eur J Clin Chem Clin Biochem 1992;30:815-22.

8. Kärkkäinen MUM, Wiersma JW, Lamberg-Allardt CJE. Postprandial parathyroid hormone response to four calcium-rich foodstuffs. Am J Clin Nutr 1997;

65:1726-30.

9. Akerström G, Hellman P, Hessman O, Segersten U, Westin G. Parathyroid glands in calcium regulation and human disease. Ann N Y Acad Sci 2005;1040:

53-8.

10. Bluhmsohn A, Herrington K, Hannon AR, Shao P, Eyre DR, Eastell R. The effect of calcium supple- mentation on the circadian rhythm of bone resorp- tion. J Clin Endocrinol Metab 1994;79:730-5.

11. Charles P. Calcium absorption and calcium availa- bility. J Intern Med 1992;231(2):161-8.

12. Heaney RP, Recker RR, Stegman MR, Moy AJ.

Calcium absorption in women: relationships to calcium intake, estrogen status, and age. J Bone Miner Res 1989;4(4):469-75.

13. Eyre DR. Bone biomarkers as tools in osteoporosis management. Spine 1997;22(Suppl 24):17S-24S.

14. Eastell R, Mallinak N, Weiss S, Ettinger M, Pettinger M, Cain D, Fressland K, Chesnut C 3rd.

Biological variability of serum and urinary N-

telopeptides of type I collagen in postmenopausal

women. Bone Miner Res 2000;15(3):594-8.

수치

Fig.  1.  Study  design.섭취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므로 칼슘제의 복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칼슘제로는  칼슘의  함유량이  높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탄산칼슘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실제  섭취한  칼슘량에  비해  체내  흡수율은 평균 26.4~29%  정도이며,  대부분의 다른 종류의 칼슘염의 흡수율도 23~37%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4    나노칼슘은 나노 단위의 크기를 가진 칼슘으로 기존의 마이크로 크기의 칼슘보다
Table  2.  Urinary  N-telopeptide  and  calium  excretion  over  time  before  and  after  calcium  loa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alcium  supplements;  mean  (SD)
Table  3.  Adverse  events  after  calcium  loading;  number  (%)
Fig.  2.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3  different  calcium  supplements  on  serum  and  urine  variables  over  time  before  and  after  calcium  load.

참조

관련 문서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ole in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 of two representative endoplasmic reticulum (ER) proteins, STIM1

Currently, the method of radioactive strontium( 90 Sr) analysis uses the nitric acid method and resin method.. The act of nitric acid method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determined following an oral administration of nateglinide (30 mg/kg) to rabbit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alcium channel blockers

In this paper, we extend approximation method of conic section by Bezier curve to sphere case by polynomial surfaces and we analyze the Hausdorff

Calcium metaphosphate(CMP) Bioactive glasses.. 1 Bioactive spectra for various bioceramic implants.. Solubility of calcium phosphate

The study on the doping of nitride semiconductor by mixed-source HVPE method..

ƒ Flux lime silica manganese oxide calcium fluoride.. ƒ Flux - lime, silica, manganese

With the slope and point where xD meets the diagonal, the lower operating line can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