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 한 골 절 학 회 지 제16권, 제3호, 2003년 7월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ractures

Vol. 16, No. 3, July, 2003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이성태・이석하・오광준・나종인・전지성・유인록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건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국문 초록]

목 적: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 를 분석하고 외고정 기구의 유용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본원에서 외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치료받았고 1 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원위 요골 골절 환자 20명, 2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2례 (60%), 여자가 8례 (40%)였으며, 연령 분포는 19세부터 83세까지로 평균 53.4세였다. 골절은 AO분류를 사용하였으며 A형이 2례 (10%), B형이 2례 (10%), 완전 관절내 골절에 해당하는 C 형 중 C1 5례 (25%), C2 9례 (45%), C3 2례 (10%) 이었다. 16례에서는 외고정기만 단독으로 사용됐고, 2례에서는 외고정기와 함께 K-강선이 병행됐고, 나머지 2례에서는 관혈적 정복 및 K-강선 내고정 후 장골릉 자가 골이식술을 병행하였다.

결 과: 초기 손상 정도가 심한 AO type C2, C3 원위 요골 관절내 골절에서 외고정 기구를 단 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K-강선 및 자가 골이식술이 병행됐을 때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AO type C2에서 외고정 장치만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최종 추시상 요골 길이의 변화는 2.7 mm (4.0%), 요골 경사도의 변화는 1.4° (4.9%), 수장부 경사도 의 변화는 2.4° (6.9%)로 가장 큰 교정 손실을 보였다. 임상적으로 불량의 결과를 보인 3례 모 두 AO type C2에서 외고정 장치만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였고, K-강선을 병행한 C2 1례는 최 우수, C3 1례는 우수, 골이식이 병행된 C2, C3 2례 모두 최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원위 요골 분쇄 골절에서 외고정 기구를 사용하여 치료한다면 반드시 K-강선 또는 골 이식술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색인단어: 원위 요골, 관절내 분쇄 골절, 외고정기

407

※통신저자: 오 광 준

143-701,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1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건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전화: (02) 450-9685, Fax: (02) 457-2930

e-mail: damioh68@hotmail.com

*본 논문의 요지는 2002년도 제 28차 대한골절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2)

서 론

성인에서의 요골 원위부 골절은 과거에 비해 교통 사고 및 산업재해, 스포츠 여가 활동과 고령 인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료 과정 중 정복의 소실 및 부정유합으로 인해 손 목 관절의 관절염이나 원위 요척 관절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17), 따라서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 도수 정복 및 외고정 기구 장치술, 도수 정복 후 경피성 K-강선 고정술, 그리고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면 정복술 등 다 양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25). 그 중 요골 원위부의 불안정성 골절에서 외고정 기구의 사용은 정복의 유지 와 조기 관절 운동을 허용하는 잇점이 있으나, 핀 삽 입 주위의 합병증과 배부 내측 골편의 정복에 제한이 있고, 고가의 비용등의 문제점으로 그 적응증을 선택 함에 있어서 신중을 기해야 한다11,13).

저자들은 외고정기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요골 원위 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 및 방사선학적 평가와 함께 외고정기의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추 가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해 외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20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평가 를 실시하였다. 남자가 12례 (60%), 여자가 8례 (40%) 였고, 연령 분포는 50대 이상이 8례 (40%)로 가장 많 았고, 20대가 5례 (25%), 30대가 4례순이었다. 수상원 인으로는 교통사고가 8례 (40%)로 가장 많았고, 실족 이 6례 (30%), 낙상이 5례 (25%)순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AO분류1)를 사용했으며, A형이 2례 (10%)이고, B형이 2례 (10%)이고, 완전 관절내 골절에 해당하는 C1이 5례 (25%), C2가 9례 (45%), C3가 2례 (10%)이었다 (Table 1).

수술은 전신 마취하에서 투시 방사선상에서 원위 요 골 길이 유지, 요골측 경사각, 수장측 경사각 및 요골

관절면의 조화 등에 유의하여 인대 정복술 (ligamen- totaxis)을 이용하여 골절 정복을 시행한 후 원위부 요 골과 제 2중수골에 각각 2개씩의 2.5 mm schanz screw 를 수평면으로 삽입하고 연결봉을 부착한 후 유두골 기저부에 축의 중심을 놓고 외고정을 완성하여 골절 정복을 유지하였다. 이렇게 외고정기만 사용한 경우가 16례였고, 필요에 따라 경피적 K-강선이 병행된 경우 가 2례, 골간단부의 분쇄가 심하여 골결손이 있는 경 우 2례에서는 자가 골이식술과 K-강선이 병행됐다. 수 술 후 처치는 수술 직후부터 무지를 포함한 수부, 주 관절의 능동적 운동을 시작하였고, 술후 평균 4주 부 터는 역동적 외고정 장치의 원위 구형 관절을 풀어주 어 손목 관절의 운동을 시작하였다. 술후 6~8주에 방 사선 소견상 골유합 및 안정성이 보이면 외고정 장치 를 제거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의 분석은 먼저 술전, 술후 및 최종 추시점에서의 방사선 사진에서 정복이 얻어진 정도와 정복의 유지 정도를 평가하였다. 손목 관절의 전후면 방사선 사진상에서 요골 경사도 (Radial inclination) 및 요골 길이 (Radial length)를 계측하고, 측면 방사선 사 진에서는 수장부 경사도 (Volar tilt)을 측정하여 각각 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판정은 Gantland의 범 주9)를 이용하였고 0~2까지가 우수, 3~8까지를 양호, 9~20까지를 보통, 21 이상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Table 2).

Table 1. AO classification

AO classification Number of patients

A2 1 ( 5%)

A3 1 ( 5%)

B1 1 ( 5%)

B2 1 ( 5%)

C1 5 (25%)

C2 9 (45%)

C3 2 (10%)

Total 20 (100%)

(3)

결 과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사이에 요골 길이의 방사선 학적 변화량은 AO type C2에서 외고정 장치만 단독 으로 사용한 경우가 K-강선과 자가 골이식술이 병행 되었던 경우에 비하여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사이의 요골 길이의 변화량은 4.0% (Δ2.7 mm), 요골 경사도 의 변화량은 4.9% (Δ1.4°), 수장부 경사도의 변화량은 6.9% (Δ2.4°)로 가장 컸고, AO type C3에서는 K-강선 과 골이식을 병행하였던 경우에 수술 직후와 최종 추 시 사이의 요골 길이, 요골 경사도, 수장부 경사도의 변화량은 각각 1.2% (Δ0.8 mm), 2.0% (Δ1.4°), 2.1%

(Δ1.4°)로 K-강선만 병행한 경우보다 작았다.

임상적으로 불량의 결과를 보인 3례 모두 AO type

C2에서 외고정 장치만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였다. 외 고정 장치와 K-강선을 병행한 C2 1례는 우수, C3 1례 는 양호이었고, 골이식을 병행한 C2, C3 2례 모두 우 수의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은 총 3례에서 발생했고, 그 중 1례는 정복 유지의 실패로 요골 단축이 동반되었으며 부정유합의 결과로 이어졌다. 그외 손목 관절의 관절염 동반에 의 한 통증 2례가 있었다. 이는 모두 AO type C2에서 외 고정 장치만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였다 (Table 3).

증례 보고

1. 증례 1

45세 남자 환자로 교통사고에 의한 AO type C2의 관절내 분쇄 골절을 보였다 (Fig. 1-A). 동반 손상으로 Table 2. Radiologic and clinical assessment

AO type No. of cases Method Loss (%) Clinical result (No.) RI* 1.0 (3.2%) Excellent (3) RL 2.3 mm (2.1%) Good (6) A, B, C1 9 EF only

VT 2.2 (2.4%)

RI 1.4 (4.9%) Excellent (2) RL 2.7 mm (4.0%) Good (2)

7 EF only

VT 2.4 (6.9%) Poor (3) RI 0.7 (2.0%)

RL 1.4 mm (2.0%) Excellent (1) 1 K-wire combined

VT 0.8 (2.1%) RI 0.8 (2.1%)

RL 0.6 mm (1.2%) Excellent (1) C2

1 K-wire and BG combined

VT 0.8 (2.0%) RI 1.1 (2.5%)

RL 1.2 mm (1.9%) Good (1) 1 K-wire combined

VT 1.2 (2.5%) RI 1.4 (2.0%)

RL 0.8 mm (1.2%) Excellent (1) C3

1 K-wire and BG combined

VT 1.4 (2.1%)

*RI: Radial inclination, RL: Radial length, VT: Volar tilt

(4)

좌측 슬개골 개방성 골절이 있었다. 도수 정복 후 외 고정기와 K-강선을 병행 사용했다. 수술 직후 요측 경사는 20°, 수장측 경사는 3°, 요골 길이는 10 mm로 호전된 소견을 보였다 (Fig. 1-B). 18개월 추시상 임상 적 평가에서 2점으로 우수의 결과를 얻었고, 방사선학 적 평가에서 수술 직후보다 요골 길이의 변화는 1.4 mm (2.0%), 요골 경사각과 수장측 경사각의 변화는 각 각 0.7° (2.0%), 0.8° (2.1%)이었다 (Fig. 1-C).

2. 증례 2

63세의 여자 환자로 실족에 의한 AO type C2의 골 절양상을 보였다 (Fig. 2-A). 도수 정복 후 외고정술만 을 시행하여 수술 직후 요측 경사는 10°, 수장측 경사 는 2°로, 요골 길이는 8 mm로 호전된 소견을 보였다 (Fig. 2-B). 경과 관찰 중 정복 유지의 소실과 요골 단 축이 동반됐다. 13개월 추시상 임상적 평가에서 21점 으로 불량의 결과를 보였고,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수 술 직후보다 요골 길이의 변화는 5.0 mm (6.2%), 요골 경사각과 수장측 경사각의 변화는 각각 3.3° (6.4%), 3.2° (7.2%)이었다 (Fig. 2-C).

3. 증례 3

55세의 남자 환자로 교통사고에 의한 관절면은 단 순 골절을 보이면서 골간단은 분쇄상을 띠는 AO type C2의 골절양상을 보였다 (Fig. 3-A). 치료는 도수 정복 후 외고정술과 K-강선, 골이식을 병행했다 (Fig. 3-B).

1년 추시상 임상적 평가에서 2점으로 최우수한 결과 를 얻었고,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수술 직후보다 요골 길이의 변화는 0.6 mm (1.2%), 요골 경사각과 수장측

경사각의 변화는 각각 0.8° (2.1%), 0.8° (2.0%)이었다 (Fig. 3-C).

Table 3. Complications No of

cases

AO

classification Method Arthritis

Radiocarpal 1 C2 EF*

Radioulnar arthritis 1 C2 EF

Malunion 1 C2 EF

Total 3

*EF = External fixator only

Fig. 1A. Preoperative radiographs show a AO type C2 fracture on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views.

1B. Postoperative radiographs show a good reduc- tion with 20° radial inclination, 3° palmar tilt, 10 mm radial length.

1C. Good anatomic results are seen 18 months after removal. Only minimal loss of reduction can be seen.

(5)

고 찰

최근 사고 노출 기회의 증가 등으로 인해 원위 요골

골절의 빈도가 증가하고 골절의 양상도 심한 불안정 분쇄상 관절내 골절이 증가하고 있어서 도수 정복과 Fig. 2A. Preoperative radiographs show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2B. Postoperative radiographs after dynamic external fixator, showing a good reduction with 10° radial inclination, 2° palmar tilt, 8 mm radial length.

2C. Radial shortening and malunion are seen 13 mon- ths after removal of the external fixator.

Fig. 3A. Preoperative radiographs shows AO type C2 di- stal radius fracture.

3B. Postoperative radiographs after dynamic external fixator. K-wires and bone graft combined, sho- wing a good reduction with 22° radial inclina- tion, 5° palmar tilt, 10 mm radial length.

3C. Intraarticular depression in lateral view is seen 1 years after removal of the external fixator.

(6)

고정만으로는 좋은 결과를 얻기에 문제가 있어 불안정 복합 골절에 대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추세이다4,23).

Frykman8)은 요수근 관절, 요척 관절 및 척골 경상 돌기를 다 침범한 VIII형에 가까울수록 후유증이 많 이 남게 되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Melone21)은 배부 및 수장부 내측 골편의 전위 상태를 기초로 하여 4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각각의 치료법을 제시하고 요골 내측면 골편을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고정하여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얻으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침범 정도에 따라 크게 3군으로 나누고 다시 각 군을 3개씩 소군으로 나누어 분류한 AO-ASIF group1) 방법을 적용하여 분류를 했는데 이 방법은 예후 판단에 영향을 주는 초기 손상 정도와 복 합성을 반영하는 장점이 있다.

수술 방법에는 Rush nail을 이용한 내고정,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 외고정술, 경피적 K-강선을 이 용한 내고정술, Tension band wiring 등2,3,12,18~20,22)이 있 는데 Cooney5)는 원위 요골의 불안정 골절 치료에서 원위 요골 관절면 선열의 정복, 요골 길이의 회복, 그 리고 원위 요골 수장부 피질골의 해부학적 정복을 치 료의 목표로 하였다.

Zargorski26)는 불안정 관절내 골절에서 관절면의 해 부학적 정복을 얻기가 힘들어 부가적으로 K-강선 또 는 금속판 및 나사 고정을 권하였다. 장 등14)은 술전 에 관절면의 해부학적 정복 및 그 정복을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고정이 필요하고 골손실부에 대해서도 골 이식술을 통한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최근에는 골절 정복 후 그 유지가 치료의 중요한 관 건으로 인식됨에 따라 외고정 기구의 중요성이 많이 부각되었다. 외고정술은 골절 정복에 있어 기계적 안 정성을 제공하여 골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상 요 골 길이의 유지에 있어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핀 삽입 주위의 합병증과 배부 내측 골편의 정복에 제한이 있 고, 고가의 비용등의 문제점 등으로 그 적응증을 잘 선택해 주어야 한다11,13,15).

Horesh 등12)이 발표한 외고정술의 적응증으로는 1) 젊고 활동적 연령의 원위 요골 관절내 골절, 2) 개방성 골절, 3) 다발성 외상 환자, 4) 보존적 치료로 실패한 환자 등을 들었고, Cooney5,6)는 1) Frykman 분류 5, 6, 7, 8형의 골절로 배측 굴곡이 25° 이상, 요골 단축이

10 mm 이상이면서 관절내 골절편이 있는 경우, 2) 비 관혈적 정복 및 석고 치료 후 배측 굴곡이 10° 이상, 요골 단축이 5 mm 이상 보인 경우, 3) 양측성 Colles 씨 골절인 경우를 들었다.

저자들은 4례에서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 및 외 고정이 병행되었고, 이중에서 내고정, 자가 골이식 및 외고정이 동반된 경우가 2례 있었다.

저자들은 치료한 대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기 때 문에 AO 분류상 A형 2례, B형 2례 환자에서도 외고정 기를 사용한 경우가 포함이 됐는데, 이는 각각 개방성 골절 2례, 다발성 외상이 동반된 환자 2례에 해당되 었다.

Dowling과 Sawyer7), Green10), 김 등16)은 해부학적 정복으로 좋은 기능적 결과가 나타난다고 하였으나 Smail24)은 오랜 추시 결과 해부학적 결과가 저조하여 도 기능적 결과가 좋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에서도 K-강선과 자가 해면골이식술이 병행된 AO type C2에서 수장측 경사각의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기능적 결과에서는 우수의 결과 를 얻을 수 있었던 1례가 있었다.

총 20례의 임상적 평가에서 17례 (85%)에서 보통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으나, 이 17례 중 AO type A, B, C1에 해당하는 9례를 제외한 관절내 분쇄 골절에 해 당하는 C2, C3 11례만의 경우를 분석하였을 때 외고정 기 뿐만아니라 K-강선과 자가 골이식술을 병행한 보 다 적극적인 치료가 추가됐을 때 임상적 평가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증례가 작아서 통계적 분석에는 제한이 있었고 향후 더 많은 증례를 통한 장기 추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결 론

초기 손상 정도가 심한 원위 요골 관절내 골절인 AO type C2와 C3형의 치료에 있어서 외고정기를 사 용한다면 필요에 따라 K-강선 또는 자가 해면골이식 술을 병행해야만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더 우 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외고정기의 유용성을 확 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7)

REFERENCES

1) Allgöwer M, Müller ME, Schneider R and Wille- negger H: Manual of internal fixation: Technique recommended by AO-ASIF group. 3rd ed New York Springer-Verlag: 134-135, 1990.

2) Axerlod TS and McMuntry 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J Hand Surg, 15-A: 1-11, 1990.

3) Colles JM and Obletz BE: Comminuted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treated by skeletal trans- fixation in plaster cast. J Bone Joint Surg, 48-A: 931- 945, 1996.

4) Colles A: On the fracture of the carpal extremity of the radius. Edinb Med Surg J, vol.10: 181-184, 1814.

5) Cooney WP: External fixation of distal radial frac- tures. Clin Orthop, 180: 44-49, 1983.

6) Cooney WP III, Linscheid RL and Dobyns JH:

Complications of Colles' fractures. J Bone Joint Surg, 62-A: 613-619, 1980.

7) Dowling JJ and Sawyer B Jr: Comminuted Colles' fractures: Evaluation of a method of treatment. J Bone Joint Surg, 43-A: 657-668, 1961.

8) Frykman G: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including sequelae of Shoulder-hand-finger syndrome, distur- bance in the distal radioulnar joint and impairment of nerve function; A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Acta Orthop Scand, 108(suppl): 1-155, 1967.

9) Gartland JJ and Werely CW: Evaluation of healed Colles' fracture. J Bone Joint Surg, 33-A: 895-907, 1951.

10) Green DP: Pins and plaster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end of the radius. J Bone Joint Surg, 57-A: 304-310, 1975.

11) Henrik G and Josefsson P: Pin-tract complications in external fixation of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Acta Orthop Scand, 70(2): 116-118, 1999.

12) Horesh Z, Volpin G and Hoerer D: The surgical treatment of severe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with the small AO external fixation device. Clin Orthop, 263: 147-153, 1991.

13) Hutchinson DT, Strenz GO and Cautilli RA: Pins and plaster VS external fixation in the treatment of unstable distal fractures. J Hand Surg, 20B: 365-372, 1995.

14) Jang IY, Jung YK, Cho WH and Yoo YH: A clinical study of anatomic position change on the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J Korean Orthop Assoc, vol.23: 499-507, 1988.

15) Jenkins NH, Jones DG, Johnson SR and Minto- wtczyz WJ: External fixation of Colles' fracture: An anatomical study. J Bone Joint Surg, 69-B: 207-211, 1987.

16) Kim KW, Lee KH, Yoon KS and Park JY: Colles' fracture in patients over 50 years of age-Correlation between anatomical and functional results. J Korean Orthop Assoc, vol.27: 220-226, 1992.

17) Knapp ME: Treatment of some complications of Colles' fracture. J Bone Joint Surg, 148: 825-827, 1952.

18) Lee KS, Chae IJ and Baek HC: Percutaneous pinn- ing of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J Korean Orthop Assoc, vol.27: 1854-1861, 1992.

19) Leung KS, Shen WY, Tsang HK, Chiu KH, Leung PC and Hung LK: An effective treatment of com- minuted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J Hand Surg, 15-A: 11-17, 1990.

20) Lucas GL and Sachtjen KM: An analysis of hand function in patient with Colles' fracture by rush rod fixation. Clin Orthop, 156: 172-179, 1984.

21) Melone C: Atrticular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Orthop Clin North Am, 15: 217-236, 1984.

22) Sarmiento A, Pratt GW, Berry IVC and Sinclair WF: Colles' fracture. Functional bracing in supination.

J Bone Joint Surg, 57-A: 311-317, 1975.

23) Scheck M: Long term follow up of treatment of com- minuted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by cast. J Bone Joint Surg, 44-A: 337-340, 1962.

24) Smail GB: Long term follow up of Colles' fracture. J

(8)

Bone Joint Surg, 47-B: 80-85, 1973.

25) Thomas ET, Randall WC, Douglas PH, William BG and Richard AB: Intraarticular fracture of the distal aspect of the radiu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

vol.48: 465-480, 1999.

26) Zargorski JB: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radiu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vol.39: 225-263, 1990.

(9)

Treatment of Fractures of Distal Radius using External Fixator

Sung Tae Lee, M.D., Seok Ha Lee, M.D., Kwang Jun Oh, M.D., Jong In Na, M.D., Ji Sung Jun, M.D., In Rok Yu,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nkuk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from the treatment of the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by using the external fixator and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external fixator from this study.

Materials & Methods: We selected 20 cases of the distal radius fractur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external fixator, among the patients from March, 1998 to March, 2001 and they could be followed for 1 year. There were 12 males and 8 females with a mean age of 53.4.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there were 2 cases for type A (10%), 2 cases for type B (10%), 5 cases for type C1 (25%), 9 cases for type C2 (45%), and 2 cases for type C3 (10%). In the 16 cases, the external fixator was used alone and in the other 2 cases, the external fixator was used with K-wires fixation.

In the last 2 cases, K-wires fixation and autogenous iliac bone graft were combined.

Results: In more severe form of distal radius fracture such as complete intraarticular fracture (type C2, C3 of AO classification), the better outcome in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was showed when additional K-wires fixation and/or autogenous iliac bone graft were combined rather than using the external fixator only. Particularly, in the cases of type C2, the poorest outcomes of radial length loss 2.7 mm (4.0%), radial inclination loss 1.4 (4.9%), volar tilting loss 2.4 (6.9%) were showed when the external fixator was used alone. The three worst results were from the cases of using external fixator alone in type C2. In the two cases of combination with K-wire fixation, the result of type C2 was excellent and that of type C3 was good. The results of the last two cases (type C2, C3) of combination with K-wire fixation and autogenous iliac bone graft were all excellent.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better result could be achieved when the treatment were performed with combination with K-wire and/or autogenous iliac bone graft rather than using the external fixator alone.

Key Words: Distal radius,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External fixato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wang Jun Oh

1 Hwayang Dong, Kwang Jin Gu, Seoul, Korea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Minjoong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aedics Tel : 02-450-9685, Fax : 02-457-2930

E-mail : damioh68@hotmail.com Abstract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ccuracy of cardiac rhythm analysis with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during ambulance transfer using human body models

 to create a conceptual schema and external schemas in the data model of the selected DBMS.

High complication rate in locking plate fixation of lower periprosthetic dist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ies.. Management and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이하선의 실질 속에서 하악경의 후내측에서 나와 하악지의 내측면을 따라 앞으로 간다. (귀밑샘 부위에서 갈라져 나와

• Internal flows are dominated by the influence of friction of the fluid throughout the flow field.. • In external flows, friction effects are limited to the bound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