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베체트병 환자에서 발생한 심근염 1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베체트병 환자에서 발생한 심근염 1예 "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45

S-607

베체트병 환자에서 발생한 심근염 1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나리, 은정수, 강종완, 김지훈, 양동헌, 배기범, 임철현, 남언정, 강영모

서론: 베체트병은 만성적이며 재발하는 전신 염증성 질환으로 피부 점막 조직 증상이 대표적이며 전신 장기에 다양한 크기의 혈관을 침범하 는 혈관염 소견을 보인다. 베체트병 환자의 7~46% 에서 심혈관 침범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심장막 침범 및 관상 동맥 이상이다. 저자들은 베체트병으로 인한 대동맥류, 상대정맥 혈전증, 대동맥염이 있었던 환자에서 심근염 1예를 경험하였 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47 세 남자 환자로 3 일간 지속된 고열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31 세에 베체트병 진단 후 38세에 상행 대동맥류 발견되어 상행 대동맥 절제 및 치환술 시행하였다. 이후 상행 대동맥의 가성 동맥류로 인한 상대정맥 증후군이 발생하여 상행 대동 맥 패치 폐쇄 및 상대 정맥 혈전 제거술 시행하였고 이후 warfarin 및 aspirin 복용하였다. 44 세에 대동맥염으로 대동맥 및 폐 실질의 소통이 생겨 발생한 객혈로 상행 대동맥의 가성 동맥류 절제 및 폐 쐐기 절제술 시행하였고 우측 중간 대뇌 동맥 경색으로 좌측 상지 마비가 발생하 였다. 이후 infliximab 및 cyclophosphamide 치료로 질병활성도가 조절되고 있었으나 내원 약 한 달 전부터 불규칙한 투약 및 음주 후 전신 쇠약감 및 고열이 발생하였다. 내원 당시 혈액검사 상 CK-MB 5.2 ng/mL, cTnI 5.2 ng/mL, CRP 8.6 mg/dL이었다. 심전도 상 ST 분절의 상승 과 T파의 역전이 있었다. 심초음파에서 심실중격과 우심실벽이 두꺼워져 있으며 운동이 저하되었다. 심장 MRI에서 심실중격에 지연된 조영 증강 소견 및 심근의 부종 소견이 보였다. 관상동맥 조영술 시행 후 허혈심장질환 배제되었으며, 심내막 근육 조직검사상 근육세포의 괴사 및 변성을 보이며 림프구와 중성구의 침윤이 심했다. 심근 침범이 가능한 바이러스 혈청검사결과는 모두 음성이었다. 베체트병의 진행에 의 한 심장 침범으로 진단하고, 면역글로불린과 함께 cyclophosphamide 및 고용량 경구 스테로이드로 치료하였다. 추적 검사한 심장 MRI에서 심근의 부종이 호전되고 심전도에서 ST 분절이 정상화되었으며 심초음파에서 심실 수축력이 회복되었다.

S-608

뇌전이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erlotinib을 사용한 치료의 1예

부산성모병원 내과학 교실

*박종화, 이경우

서론: 비소세포 폐암이 뇌전이 된 경우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 임상에서 환자를 볼 때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저자는 뇌전이가 동반된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뇌의 병변이 erlotinib에 반응을 보였고, 폐의 병변은 악화후 호전된 증례가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55세 남자 주소: 두통 및 호흡곤란 현병력: 상기 환자는 30갑년의 흡연자로 내원 2년전 폐의 우중엽과 우하엽을 침범하고, 뇌전이를 동반한 비소세 포성 폐암(선암)을 진단받고, erlotinib을 제외한 약제로 수차례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경과 호전 없어, 본원으로 전원 되었다. 영상소견:

내원 2년전 뇌 MRI 상 다발성 뇌 전이 소견 보였고(Fig. 1A), 흉부 CT에서는 우중엽의 결절성 폐암 및 양 폐의 혈행성 파종 소견이 보였다 (Fig. 1B). 임상경과: 입원후erlotinib 150mg를 하루 1회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개월 뒤 환자의 활동능력이 호전되었다. 뇌 MRI (Fig.

2A), 흉부 CT (Fig. 2B) 상, 뇌의 병변은 호전 되었지만, 우폐하 전엽의 새로운 병변의 크기가 증가되었다. 이후에도 erlotinib을 계속 투여하였 고, 2개월 뒤 뇌 MRI (Fig. 3A), 흉부 CT (Fig. 3B)를 시하였고, 뇌의 병변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흉부 CT에서도 병변의 호전을 보였 다. 고찰 Popat 등은 뇌전이를 동반한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erlotinib을 사용하여 뇌전이는 호전되었으나 이외의 병변은 악화된 증례를 보 고하였다. 상기의 증례도 그 사례와 유사한 점이 많으나, 폐 병변도 일부 호전 소견을 보였으며, 흡연자, 남성이라는 점이 차이가 있었다.

상기 예를 통해 뇌전이가 있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뇌전이에 의한 합병증 개선을 위해 Erlotinib을 사용되는 것을 고려 할 수 있겠지만, 유사한 증례 보고가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로, 더 많은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

관련 문서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바렛식도에 대한 치료 및 추적관찰에 대한 확립된 가이드라 인이 없고 장분절 바렛식도가 단분절 바렛식도에 비하여 선 암 발생 확률이 높다는 것만 알고 있을 뿐 본

따라서, 본 증례에서 알레르기 피부단자시험에서 다양한 진균류에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CAP system에서 Alternaria 에서만 강양성을 보였고, Alternaria 항원을 이용한

Spontaneous rupture of the renal pelvis or ureteropelvic juction area with extravasation of urine into the perinephric space is an uncommon pathologic condition (1). We report

이는 여러 임상시험 및 시 판 후 조사에서 Prezista/Ritonavir 병용 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약물에 의한 간독성이 보고 되고 있어 이를 반영한 것으로 Prezista/Ritonavir 치료를

악성 종양에서 막사구체신염이 동반되는 병태생리에 대하 여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가능한 기전으로는 종양에 대한 항체, 바이러스 항체 및 자가 면역 항체에 대한 숙주

기관거대증은 기관 및 기관지의 연골과 막조직의 결핍으로 인한 선천적 기관거대증, 기관 벽의 반복적인 염증과 감염으로 인한 후천적 기관거대증으로 분류되 며 비정상적으로

저자들은 임신 11주에 막성신증후군을 진단하고 면역억제제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출산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신장조직검사에서 막성

이에 연자 등은 중증 저칼륨혈증과 관련되어 발생한 후 전해질 교정 외에도 neostigmine 투여에 의해 호전된 급성 거짓 장폐쇄 1예를 경험하고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