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rug - related problem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Drug - related problem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회원학술보고

응급실로 내원한 약물관련 문제 발생환자 실태조사

D r u g - relat ed problems in Emerg en cy Dep a r t ment Pat ient s

박민선, 신완균, 최경숙*, 이정화*, 이병구*, 이중의* *

서울대학교약학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약제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응급의학과* *

Abstract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or a 12-month perio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NUBH)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drug-related problems in emergency departments. This 909-bed institution is a secondary-care facility and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adequate for such retrospective study. All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due to drug(s) problems were included in the study. Information relevant with the issue (viz, gender, age, duration from occurrence to visit, discharge time, cause, major symptoms, prognosis, treat- ment agent and prescribed drug) was compiled. The drug-related problems were classified in four categories; adverse drug event, abuse, overdose, drug use without proper indication. For the case of adverse drug event, the problem is sub-categorized into side effects, toxic effect, hypersensi- tivity. During the twelve months study period, 61 patients (0.2%) of 34,791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were found to experience drug-related problems; Amongst these patients, five individuals (0.014%)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indicating the severe drug- related complication which is very mino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ifty-six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in 24 hour after the admission; the specified periods of time was 4 pm to 8 pm.

The most commonly associated drug-related problems included adverse drug event (43 patients,

70.5%), abuse (13 patients, 21.3%), overdose (3 patients, 4.9%) and drug use without proper indi-

cation (2 patients, 3.3%). The drugs associated with drug-related problem were NSAIDs (19.7%),

CNS drug (11.5%) and antibiotics (11.5%). However, only 19 cases (viz, cephalexin combination

with ibuprofen, nitroglycerin, fexofenadine, finasteride, loperamide, doxylamine, perphenazine,

phenytoin and antipyrine combination with acetaminophen, propranolol combination with nimodipine,

propranolol combination with benztropine, propofol concomitant nalbuphine, montelukast, lithi-

um combination with lorazepam, rifampin combined with pyrazinamide, propofol combination

with nalbuphine, alprazolam concomitant rivastigmine) have been identified to be directly associ-

ated with the problem. Since the drug-related problem may represent an important health risk

for patients experiencing such incidence, expert intervention(s) such as clinical pharmacy ser-

vices appears necessary to further reduce the frequency. In SNUBH, the Clinical Pharmacy Ser-

vice provide recommendations to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adverse drug event reporting,

(2)

약물 관련 문제(Drug Related Problem, 이하 D R P )는 medicine related problem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투여 시 의도된 이로운 효과 외에 일탈되어 나타난 현상(any deviation from the intended beneficial effect of a medication)으로 정의

1 )

되 며, 아래와 같은 경우가 포함된다.

- 부적절한 약물선택 (improper drug selection) - 효과 발현에 도달하지 못하는 저용량 ( d o s a g e

too low to have benefit)

- 약물 입수 불가 (failure to receive drugs) - 과용량 ( o v e r d o s a g e )

- 약물유해반응 (adverse drug reaction) : 부효 과 (side effect), 독성작용 (toxic effect), 과민 반응 (hypersensitivity), 체이적 반응 ( i d i o- syncratic effects)

- 약물상호작용 (drug interaction)

- 적응증 이외의 약물사용 (drug use without proper indication)

이러한 약물관련 문제는 환자의 안전과 생명에 직 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나 현재까지 는 유병율 및 예후 등의 자료가 많지 않다. 최근 3차 종합병원에서 약물관련 문제 ( D R P )와 유사한 개념 의 약물유해반응 (Adverse Drug Reaction, ADR)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2) 12) 13)

등이 진행되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응급실은 급성증상 발생시 환자가 가장 먼저 찾아 가는 의료 접점지이고,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 및 치 료가 필요한 장소이며, 내원하는 DRP 환자군이 응 급실이라는 점과 병원의 지역 상황에 따라 특성이 달 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응급실에서 약물관련 문제 발 생 실태를 조사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향후 응급실의 약물관련 문제

에 대한 약제업무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자의무기록지의 기재사항을 토대로 DRP 환자군 의 특성과 다빈도로 DRP 원인이 되는 약물들을 정 리하고 D R P를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약제서비스 및 DRP 발생시 약사의 입장에서의 대처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2) 3) 4) 5)

.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환자 중 진단명 및 내원일의 의무기록지상에 '약물'과 관련 된 문제 (Drug Related Problems)가 발생되었다는 사실이 기재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DRP 환자라 함은 앞에서 규정한 DRP (Drug Related P r o b l e m )정의의 범주에 해당되는 경우로 제한하였 다.

2. 연구 방법

2 0 0 3년 8월부터 2 0 0 4년 7월까지 1 2개월간 위에 기재된 환자를 후향적 전자의무기록지 ( E l e c t r o n i c medical records, EMR)로 조사하였다. 의무기록지 내용 중 환자군 특성 (성별, 연령, 월별분포, 약물복 용~내원까지의 경과시간, 퇴원시각), DRP의 원인분 류, 원인약물, 임상경과, 처치약물 성분, 퇴원약 성 분 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1. 환자 특성 1) 성 별

2 0 0 3년 8월부터 2 0 0 4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는 3 4 , 7 9 1명으로, drug or toxicology information, allergy screening, drug interaction screening, pati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Key words] drug related problems, adverse drug reaction,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s e r v i c e s

(3)

여성 1 6 , 8 8 3 ( 4 8 . 5 % ) 명, 남성 1 7 , 9 0 8 ( 5 1 . 5 % ) 명이었 다. 이 중 D R P와 관련되어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는 6 1건으로 전체 내원자의 약 0 . 2 %에 해당되며, 이 중 남성이 2 1건(34.4%), 여성이 4 0건( 6 5 . 6 % )이었다.

2) 연령(Table 1.)

내원 환자의 연령은 최저 1 9개월에서 최고 8 6세로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1~9세가 2 6 . 3 %로 가장 높 은 비율을 보였고, 50~59세가 16.4%, 30~39세, 4 0 ~ 4 9세가 각각 1 4 . 8 %이었다

1 ~ 9세의 8 4 . 6 % ( 1 1명)에서 DRP 발생원인이 이상 반응 중 약물 오용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DRP 원인이 된 주요 약물은 감기약( 4건, 33.3%)이 었고, 나머지는 가족 구성원 중 다른 사람이 복약 중 인 약을 임의로 복용한 경우였는데, 수면제 2건, 천 식약 1건, 심혈관계약 2건 등이었다.

5 0 ~ 5 9세의 DRP 발생원인은 약물유해반응 중 과 민반응( h y p e r s e n s i t i v i t y ) 에 해당하는 경우가 7건 ( 7 0 % )을 차지하였고, 원인 약물로는 한약류가 3건, ibuprofen 또는 acetaminophen 및 c e f a계 항생제 가 포함된 감기약 2건, 중추신경용제 2건, 심혈관계 약 1건, 호르몬제 1건으로 나타났다.

6 0세 이상 환자들의 DRP 원인별 카테고리를 살펴 보면, 약물 이상반응이 1 1건( 8 4 . 6 % )이었고, 주요 약 물로는 소염진통제 2건, 중추신경용제 2건, 심혈관 계약 2건, 항암제 1건 등이었다.

3) 월별 내원경향

내원 월별로 볼 때, 7월이 9건( 1 4 . 8 % )으로 가장 많 았고, 그 다음으로 3월 7건, 4월, 8월, 9월이 각 6건 이었다. 분기별로는 D R P관련 내원환자 건수는 3분 기( 2 1건) ≻ 2분기( 1 6건) ≻ 1분기( 1 4건) ≻ 4분기( 1 0 건) 순으로 나타났다.

4) 약물 복용 후 내원까지의 경과시간(Fig. 1) 약물 복용 후 내원까지의 경과시간을 살펴보면, 응급상황으로 약물 투여 후 2시간 이내 내원하였 거나, 72시간 이후가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높게 나왔다.

5) 응급실 체류 및 재원 기간 (Table 2.)

DRP 환자의 9 2 %가 2 4시간 이내 퇴원하였고, 환 자 상태가 위중한 경우, 병동에 입원 치료 후 퇴원하 였는데 이들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8일이었으며, I C U로의 입원환자는 없었다. 이들의 원인 약물은 한 약( 2건), 항생제( 1건), 항암제( 1건), 항콜린제( 1건)이 었다.

6) 퇴원 시각 (Table 3.)

전체 6 1명의 환자 중 응급실에서 2 4시간 이내에 퇴 원한 환자 총 5 6명 중, 16시~ 2 0시에 퇴원한 환자가 1 2명( 2 1 . 4 % )으로 가장 많았고, 8시~ 1 2시, 12시~ 16 시에 퇴원한 환자는 각각 1 1명( 1 9 . 6 % )이었다. 내원

연령범위(세) 내원건수(명) %

< 1세 0 0 . 0 %

1 ~ 9세 1 3 2 1 . 3 %

1 0 ~ 1 9세 1 1 . 6 %

2 0 ~ 2 9세 6 9 . 8 %

30 ~ 39세 9 1 4 . 8 %

40 ~ 49세 9 1 4 . 8 %

50 ~ 59세 1 0 1 6 . 4 %

60 ~ 69세 7 1 1 . 5 %

≻7 0세 6 9 . 8 %

합계 6 1 1 0 0 . 0 %

재원기간 건 수

2 4시간이내퇴원 (귀가) 5 6

병동입원 5

Table 2.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들의 재원 기간 Table 1. 응급실 내원환자 연령 분포

Fig. 1 - 약물과 관련된 환자의 복용~내원까지 경과시간

(4)

2 4시간이내에응급실에서퇴원한 5 6명중퇴원시약처 방을받은경우는 2 2건( 3 9 . 9 % ) 이었다.

2. 약물관련 문제 분석 1) 원인별(Table 4.)

집계된 약물관련 문제 환자들을 원인별로 나누면

약물유해반응, 오용, 과용량 복용, 적응증 없이 사용 등으로 분류되고, 약물유해반응은 다시 부반응, 독성 반응, 과민반응으로 세부화되었다

1 )

.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DRP 환자들에서는 약물유해 반응( A D R )이 전체 DRP 환자의 4 3건( 7 0 . 5 % ) 를 차지 하였고, 오용( a b u s e )이 1 3건(21.3%), 과용량 3건 (4.9%), 적응증없이사용2건( 3 . 3 % ) 을차지하였다.

약물유해반응을 다시 작용기전별로 나누어보면 과 민반응 2 8건(전체 약물유해반응의 65.1%), 독성 작 용 9건(20.9%), 부반응 5건( 1 1 . 6 % )이었다.

2) 약효군별(T a b l e5 . )

보건복지부 의약품 분류번호에 따라 원인 약물을 분류했을 경우 해열, 소염, 진통제가 1 2건( 1 9 . 7 % )이 었고, 정신 신경용제 및 항생물질 제제가 각 7건 ( 1 1 . 5 % )이었다. 이외에도 원인이 되는 약물의 약효군 으로는 최면진정제, 항히스타민제, 혈관확장제, 항결 핵제, 항전간제 등이 있었다.

3) 성분별(T a b l e6 . )

약물 성분별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나, 의무기록지상 성분명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던 경우는 1 9건으로 전 체 D R P의 3 1 %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성분별로 분 류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의무기록지상에 기록된 성분들을 열거하면, cephaexin과 ibuprofen 또는 t r a m a d o l을 병용한 경우와 n i t r o g l y c e r i n 을 투약 한 경우, fexofenadine을 투약한 경우가 각각 2건

씩 기재되어 있었고, 이 외 단일 성분으로는 m o n- telukast, loperamide, doxylamine, per- phenazine, finasteride, phenytoin 등이 각 한 건씩 있었고, 병용 성분으로는 a n t i p y r i n e과 acetaminophen 병용, propranolol과 n i m o d i p- i n e병용, propranolol과 benztropine 병용, pro- p r a n o l o l과 chlorpromazine 병용, lithium과

퇴원시각 내원건수 %

0 ~ 4시 8 1 4 . 3 %

4 ~ 8시 4 7 . 1 %

8 ~ 1 2시 1 1 1 9 . 6 %

1 2 ~ 1 6시 1 1 1 9 . 6 %

1 6 ~ 2 0시 1 2 2 1 . 4 %

2 0 ~ 2 4시 1 0 1 7 . 9 %

합 계 5 6 1 0 0 . 0 %

Table 3. 응급실에서 2 4시간 이내에 응급실에서 퇴원한 환자의 퇴원시각

종류 건수 % 세부분류 건수 %

부반응 (side effects)

약물유해 반응 독성작용

( A D R ) (toxic effects)

과민반응 ( h y p e r s e n s i t i v i t y )

오용 ( a b u s e ) 1 3 2 1 . 3 %

과용량 ( o v e r d o s e ) 3 4 . 9 %

적응증없이사용 2 3 . 3 %

합 계 6 1 1 0 0 . 0 %

Table 4. 약물관련 문제 환자 원인별 분류

4 3

1 1 . 6

2 0 . 9

6 5 . 1 5

9

2 8 7 0 . 5

(5)

lorazepam 병용, propofol과 nalbuphine 병용, r i f a m p i n e과 pyrazinamide 병용, alprazolam과 rivastigmine 병용한 경우 등이 한 건씩 있었다.

단일 성분을 복약하여 약물관련 문제가 발생한 환 자는 1 9건으로 전체의 약 31%, 복합성분 3 6건( 5 9 % ) 으로 2종 이상의 약물을 복용한 빈도가 더 많았다.

4) 증상별 (Table 7.)

증상은 없으나, 원칙적인 용량, 용법과는 다르게 복 용한 것에 대해 심리적으로 불안하여 응급실을 내원 한 경우가 3 2 . 8 %에 달하였고, 발현된 증상으로는 r a s h가 1 4 . 8 %로 주를 이루었다.

3. 치료 1) 처치

전체 6 1명 중 3 7명( 6 0 . 6 % )의 환자에 대해 처치를 위해 약물이 사용되었고, 평균 사용 약물은 내원 1건

약 물 0 - 9 1 0 - 1 9 2 0 - 2 9 3 0 - 3 9 4 0 - 4 9 5 0 - 5 9 6 0 - 6 9 > 70 합계

1 1 4 해열, 소염, 진통제 4 4 1 2 1 1 2

1 1 7 정신신경용제 1 2 2 1 1 7

6 1 0 항생물질제제 1 1 3 1 1 7

1 1 2 최면진정제 2 1 3

1 4 1 항히스타민제 1 1 2

2 1 7 혈관확장제 1 1 2

6 2 2 항결핵제 1 1 2

2 3 7 정장제 1 1

1 1 3 항전간제 1 1

2 3 9 기타소화기관용약 1 1

1 4 9 기타알레르기용약 1 1

2 6 7 모발용제 1 1

6 2 9 기타화학요법제 1 1

2 4 7 난포,황체호르몬제 1 1

2 3 2 소화성 궤양용제 1 1

2 4 3 갑상선 호르몬제 1 1

1 1 1 전신마취제 1 1

2 1 0 순환계용약 1 1

4 2 0 종양용약 1 1

1 1 9 기타중추신경용약 1 1

합 계 1 0 1 5 7 6 6 6 5

Table 5. 약효군별 약물 분류

[기준: 보건복지부 의약품 분류번호]

약물성분 건수

c e p h a l e x i n e과 ibuprofen 병용 2 n i t r o g l y c e r i n 2 f e x o f e n a d i n e 2 montelukast, loperamide,

doxylamine, perphenazine, finasteride, pherytoin a n t i p y r i n e과 acetaminophen 병용,

p r o p r a n o l o l과nimodipine 병용, p r o p r a n o l o l과 benztropine 또는

chlorpromazine 병용, 각 1 l i t h i u m과 lorazepam 병용, r i f a m p i n e과pyrazinamide 병용,

p r o p o f o l과 nalbuphine 병용, a l p r a z o l a m과rivastigmine 병용

합계 1 9

Table 6.약물관련 문제 발생시 복약했던 약물성분

(6)

당 1 . 8종의 약물이 처방되었다. 투여경로로 보면 경 구외용약 3 1건, 주사약 3 7건이었다 (Table 8.).

전체 약물관련 문제 환자의 1 0 %에서 해독을 위해 활성탄을 사용하였다. 해당되었던 예로는 독극물, 한

방성분, acetaminophen 포함 감기약, d o x y- lamine, lithium과 lorazepam 병용, finasteride 를 복약한 경우가 있었다.

2) 퇴원약 성분

1 0명( 2 8 . 6 % )의 환자에서 h y d r o x y z i n e 이 퇴원약 으로 처방되었고, acetaminophen 5건( 1 4 . 3 % ) , alprazolam 3건(8.6%), prednisolone 3건( 8 . 6 % ) , famotidine, aspirin, aceclofenac, metoclo- pramide, ibuprofen이 각 2건( 5 . 7 % )이었고 모두 경구 투여 제형이었다 (Table 9.).

전체 환자 6 1명 중 3 9 . 3 % ( 2 4명)에서 퇴원시 약물

이 처방되었고, 환자 1인당 평균 처방약물 수는 1 . 5 건이었다.

고찰

약물 복용 후 D R P로 인한 내원까지의 경과시간을 살펴보면, 응급상황으로 약물 투여 후 2시간 이내 내 원하거나, 시간이 많이 지체한 다음 방문한 경우가 많았다. 이를 근거로 보면, 환자 자신이 뚜렷하게 응 급상황으로 판단하여 내원하거나, 장기적으로 복용 하는 약물로 인한 점진적인 D R P로 인해 오랜 시간 이 지난 후에야 내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증상 건수 %

무증상 2 0 3 2 . 8

r a s h 9 1 4 . 8

u r t i c a r i a 5 8 . 2

n a u s e a / v o m i t i n g 4 6 . 6

general weakness 4 6 . 6

h e a d a c h e 4 6 . 6

d i z z i n e s s 3 4 . 9

abd.discomfort (pain포함) 2 3 . 3

e d e m a 2 3 . 3

a p a t h y 2 3 . 3

m y a l g i a 2 3 . 3

s e i z u r e 1 1 . 6

altered mentality 1 1 . 6

기타 2 3 . 3

합계 6 1 1 0 0 . 0

Table 7. 약물관련 문제 발생시의 주요 증상

성분 투여 경로 처방건수

p h e n i r a m i n e 주사 1 0

f a m o t i d i n e 주사 7

activated charcoal 경구 6

m e t o c l o p r a m i d e 주사 4 a c e t a m i n o p h e n 경구 3

h y d r o x y z i n e 경구 2

p r e d n i s o l o n e 경구 3

c h l o r h e x i d i n e 외용 3

Vit.B 복합제 주사 2

r a n i t i d i n e 주사 1

d e x a m e t h a s o n e 주사 2 Vit.C, lorazepam, bearse, d o m-

peridone, sucralfate,epinephrine, lactulose, ketorolac, bisacodyl, acetylcystein, hyoscine, ambrox- ol, carvedilol, MgO, zolpidem, nitroglycerin, dopamine

Table 8. 처치를 위해 사용된 약물성분

퇴원약성분 환자 수 %

h y d r o x y z i n e 1 0 2 8 . 6 a c e t a m i n o p h e n 5 1 4 . 3

a l p r a z o l a m 3 8 . 6

p r e d n i s o l o n e 3 8 . 6

f a m o t i d i n e 2 5 . 7

a s p i r i n 2 5 . 7

a c e c l o f e n a c 2 5 . 7

m e t o c l o p r a m i d e 2 5 . 7

ibuprofen, arginine 2 5 . 7

s u c r a l f a t e 1 2 . 9

c i m e t i d i n e 1 2 . 9

sulbactam + ampicillin 1 2 . 9

a m i t r i p t y l i n e 1 2 . 9

합계 3 5 1 0 0 . 0

Table 9. 퇴원약 성분

각1

(7)

D R P의 원인약물명이 규명된 예는 1 9건( 3 1 % )에 불 과하였는데, 이는 환자로부터 자신이 복약한 약의 이 름 또는 성분에 대한 정보를 얻어낼 수 없었던 것이 원인으로 판단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복약 지 도시 환자들의 약이름의 인지를 강화하거나 투약기 록수첩 등을 휴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 각된다.

DRP 환자의 9 2 %가 2 4시간 이내 퇴원한 것으로 보아, 본 병원에는 비교적 경증의 DRP 환자들이 내 원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처방 약물과 처방 약물의 비율을 보면, 의사의 처 방 약물 (ethical drug)에 의한 경우가 2 9건, 비처방 약물 (OTC drug)이 2 0건, 한약 및 건강식품 4건, 처 방약과 한약 병용 2건, 이 외의 경우가 6건이었다. 주 변의원 처방약 또는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약에 기 인한 DRP 환자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의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본 병원이 지역중 심의 응급실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중 약물 과민성 ( h y p e r s e n s i t i v i t y ) 이 원인인 환자가 많았던 점에서 지역 소매약국 약사들의 적극적 복약 지도가DRP 감소에중요하다고도할수있다.

최근 약물감시 ( p h a r m a c o v i g i l e n c e ) 에 대한 중요 성이 증가하는 추세로, 유럽공동체위원회 ( T h e European Commission)내 약물감시위원회 (Pharmacovigilance committee)에서도 약물감시 에 대하여 활발히 활동 중이고, FDA에서도 약물감 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개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DRP의 정의는 현재까지 명확히 확립되지 않았고, 그에 따른 분류체계도 중점을 두는 부분에 따라 각기 다른 현황이다

8 )

. 따라서 우선적으로 D R P 의 정의확립 및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약물 D R P에 대한 인과관계도 보다 객 관적 지표로 재검토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국내에서도 몇몇 병원에서는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업무를 팀을 구성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러 나 응급실이라는 특성을 볼 때, 신속한 조치가 필요 하므로 응급실을 위한 약물관련 문제의 발생시 약물 별 대처 매뉴얼, 처치약물 보관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에서 보고된 응급실 약사의 업무로는 임상자문 (clinical consultation), 환자교육 (patient edu- cation), 처방감사 (order screening), 조제 ( d i s- pensing drugs), 투약준비 (preparation of med- ications), 예제제 (stocking medications), 심폐소 생술팀 참여 (resuscitation response), 스텝교육 (resident, nursing, patient education), 환자 관 리 (care of boarded patients), 응급상황 준비(해 독제 키트 등)

9 ) 1 0 )

등이 있다. 이와 비교해 볼 때, 분 당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임상자문업무(약물 중독시 해독제 관련 정보 및 약물 상호작용 정보를 제공), 처 방감사, 조제, 투약준비, 예제제 준비, 해독제 준비 를 행하고 있는데 향후 약물별 해독제 구비의 확대, 표준화된 업무서( S O P )하에 환자교육 및 스텝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E M R상 각 환자 별 약물 알러지력, 약물별 주요 부작용, 약물 상호작 용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alert system)은 현재 구 축되어 있는 바,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safety pro- g r a m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2 0 0 3년 8월부터 2 0 0 4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던 환자 중 약물과 관련된 (drug-related) 61례( 0 . 2 % )에 대해 임상적으로 고 찰한 결과,

1) DRP의 원인으로는 약물유해반응( A D R )이 전체 D R P환자의 4 3건( 7 0 . 5 % )를 차지하였고, 오용이 1 3 건(21.3%), 과용량 3건(4.9%), 적응증 없이 사용 2 건( 3 . 3 % )을 차지하였다. 약물유해반응을 다시 작용 기전별로 나누어보면 과민반응 2 8건(약물유해반응 의 65.1%), 독성작용 9건(20.9%), 부반응 5건 ( 1 1 . 6 % )이었다.

2) 약물의 약효군별로는 해열,소염,진통제 2 3 % ( 1 4

건), 중추신경용제 1 8 . 0 % ( 1 1건), 항생제 6 . 6 % ( 4건) ,

항히스타민제 4 . 9 % ( 3건), 혈관확장제, 항결핵제

3 . 3 % ( 2건), 순환계용약, 종양용약 등이 있었는데, 단

일 성분으로는 cephalexin, fexofenadine, mon-

telukast, loperamide, doxylamine, per-

phenazine, finasteride, phenytoin 등이 있었고,

(8)

복합 성분으로는 a n t i p y r i n e 과 a c e t a m i n o p h e n 의 병용, propranolol과 n i m o d i p i n e의 병용, pro- p r a n o l o l에 benztropine 또는 c h l o r p r o m a z i n e 을 병용, lithium과 l o r a z e p a m 의 병용, rifampine과

pyrazinamide 등과의 병용, propofol과 n a l- buphine 병용, alprazolam과 r i v a s t i g m i n e 의 병 용 등이 있었다.

3) 처치시 사용된 약물로는 pheniramine, famo- tidine, activated charcoal, metoclopramide 등 이 있었고 퇴원약으로는 hyroxyzine (10명, 28.6%), acetaminophen (5명, 14.3%), alprazo- lam (3명, 8.6%), prednisolone (3명, 8.6%), famotidine, aspirin, aceclofenac, metoclo- pramide, ibuprofen (각 2명, 5.7%)이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외국 병원 실태조사 결과에 비해 D R P가 원인이 되 어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낮지만, DRP 는 응급상황에 속할 수 있으므로, 병원약사의 입장에 서는 각 약물군별 처치 프로토콜 등을 만들어 보다 체계적이고 의료서비스를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병원약사 뿐 아니라 지역약국 약사들은 환자에게 투약시 약이름을 인지토록 복약지도하고, 약력관리 수첩 등을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복약지시 문 등을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약사 스스로 D R P에 대한 분류체계 및 보고양식을 표준화하여 이 에 대한 자료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 며, 내원시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DRP 환자를 검색해내는 전향적인 조사도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DRP 상황에 신속하게 약 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응급실 약국 설립을 고려 해 볼 수도 있는데, 기대되는 효용성에 대해서는 경 제학적 측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 문헌

1. Frank R., Ernst and Amy J. Grizzle: The cost of illness from prescription drug- related problems, Journal of the Ameri- can Phramaceutical Association,

March/April, 2001

2. 김혜경 : ADR 모니터링 및 보고, Journal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 macists, Vol.21, No4, 357-370, 2004 3. Babette S. Prince, Carla M. Goetz,

Thomas L. Rihn, and Mark Olsky: Drug- relate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hospital admissions, Americ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Vol.49, 1696-1700, Jul, 1992

4. Kelly M. Smith, June wingert McAdams, Maureen L. Frenia, and Mark W. Todd : Drug-related problem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American Journal Health-system pharmacy, 54, 295-298, 1 9 9 7

5. 최윤희, 손의동 : 3차 병원에서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현황 조사와 약물 부작용 관리를 위한 약 사의 인식도 조사, Korean Journal of Clini- cal Pharmacy, Vol.13, No.2, 72-81, 2003 6. MG Lee : Advanced Pharmacokinetics,

p.186-188 (2003)

7. Ford, Delaney, Ling, Erickson: Clinical toxicology, saunders, p.35 (2001)

8. JW Foppe van Mil, LO Tommy Wester- lund, Kurt E Hersberger, and Marion A Schaefer : Drug-related problems classi- fication systems, The Annals of pharma- cotherapy, 38(5); 859-867, 2004

9. Fairbanks RJ, Hays DP, Webster DF, Spillane LL. ;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an emergency department,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Vol. 61(9), 1 May 2004; pp 934-937 10. Thomasset, Keith B., Faris, Richard :

Survey of pharmacy services provis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Vol.60(15), 1561-1564, Aug, 2003

11. Jeannie Lee : Emeging role of pharmacist

(9)

: active participant in a healthcare pro- fessional team, vol.14, No.1, 1-3, March, 1 9 9 7

12. 성노정, 박경호, 신현택, 조남춘, 김낙두 : Sur- vey on the tendency of acute poisoning in Korea. Journal Korean Society of Health- System Pharmacists, vol.3, No. 2, 52-60, 1 9 8 6

13. 권오명, 김정숙, 이병구, 김낙두, 최국진 : 급성 중독 사례의 분석과 대책, Journal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vol.3, No.1, 59 -65, 1986

14. PCNE Classification for drug related p r o b- lems, version 5.00, 2003 P h a r m a c e u t i c a l Care Network Europe Foundation

15. 김정숙, 이금란, 최원미, 윤용선, 이혜숙, 이혜

경, 김경숙, 김상건, 이병구, 최진석, 김낙두, 최

국진 : 응급실을 통한 급성중독 실태조사,

Journal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Vol.2, No.1, 37-43, 1985

참조

관련 문서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25 cancer patients out of 796 end-stage renal disease (ESRD) patients maintained on hemodialysis or peritoneal dialysis at Chosun

Drug-intoxicated patients were predominantly male, with the highest incidence of intoxication among patients above the seventh decade of age(21.5%) and th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optimal drug therapy which secures effectiveness and safeness in elderly patients by analyzing polypharmacy and the

The Incomplete diffuse type PVD found primarily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and retinal detachment and complete diifuse type PVD found primarily in patients

Objective :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performance of hand washing in daily life for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This showed that the surgical outcome was successfulin 269 patients (98.89%),butthe revision surgery due to surgicalrelapse was performed in three patients.Of 152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

The locations of aneurysms were middle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